11.09.2013 Views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 68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26집<br />

화 개념을 밝히고 주제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br />

러나 현실적으로 이는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의 오프라인 수업 현실<br />

에서는 현재 이러한 다문화권으로 구성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수업<br />

을 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다. 이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으로<br />

첫째, 멀티미디어 교육환경을 활용한 수업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추<br />

상적이 아닌 적극적으로 비판적 상호작용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br />

야 한다. 셋째, 어학연수에서 경험한 갈등상황 같은 유학 경험역시 효<br />

과적인 체험학습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br />

V. 나오면서<br />

글로벌시대 다문화사회에서 <strong>상호문화</strong> 능력 교육은 점점 그 중요성<br />

이 더해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상호작용상황’을 상호문<br />

화 교육의 방법론으로 외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지, 이론적 한계<br />

및 적용상의 문제점은 없는지 등을 이론과 사례를 바탕으로 살펴보<br />

고자 하였다.<br />

II장에서는 비판적 상호작용상황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정리하였<br />

다. <strong>상호문화</strong> 심리학에서 시작된 이 이론이 어떻게 <strong>상호문화</strong> 교수법<br />

방안으로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비즈니스 현장에서<br />

자주 발생하는 <strong>상호문화</strong> 갈등 사례를 토마스/브뤼히 (2004)의 사례를<br />

바탕으로 II장의 이론과 함께 비교하고 비판적 상호작용들이 상호문<br />

화 외국어 수업방안으로 활용가능한지 검토하였다. 이론 및 사례텍스<br />

트를 수업에 활용함에 있어서 다소 문제점 및 한계점도 나타났다. 모<br />

든 이론서에서 지적하고 있는 문제점처럼 한 문화를 관찰하고 기록<br />

한 저자의 개인적 견해가 그의 <strong>상호문화</strong> 사례연구에 반영되었을 수<br />

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마스/브뤼히의 사례에 나타난 독일인들<br />

의 반응은 전체 독일인들의 입장을 대변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전<br />

제하고 수업에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사례중심의 교재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