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9.2013 Views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 6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26집<br />

간주한다. 비판적 상호작용의 본질적 형태가 ‘문화 동화 culture<br />

assimilator’와 동질시 되는 교수법적 문제상황을 어떻게 묘사하는지에<br />

따른 방법론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9)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교육에<br />

서는 학습자들이 최소한 참여하는 것을 견제해야 한다. 따라서 적극<br />

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론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타<br />

문화의 사고방식에 대한 차별화된 인식과 각 문화적 특성과 습관을<br />

트레이닝에서 알 수 있긴 하지만, 학습자들은 여전히 타문화권 상호<br />

작용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Lange 1994: 47). 따라서 비<br />

판적 상호작용상황 교수법 형태는 학습자들의 참여를 높이는 것이어<br />

야 할 것이다 (Bhawuk 1990). 예를 들어 직접 비판적 위기상황을 체<br />

험한 학습자들의 체험담을 소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론이 될 것이<br />

다. 학생들이 경험한 국내·외적 체험담들은 다른 학습자들의 참여를<br />

자극하는데 고무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br />

에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들을 학습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br />

여야 할 것이다 (Kammhuber 2000). 또한 인터넷상의 상호작용을 활<br />

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비판적 상호작용상황의 학습심리학<br />

Lernpsychologie에 기초한 교수법은 문화개념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br />

가지고 있는 트레이너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상호<br />

문화간 학습과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론의 하나로 제공 될 수 있을<br />

것이다.<br />

IV. 교육현장에서 활용가능성<br />

현재의 외국어 교육의 현실은 어떠한가? 단순한 지역학 강의에 머<br />

무르고 있는 것은 아닌가? 현재 지역학 강의가 해외 현지 적응문제와<br />

19) 문화 동화 트레이닝 culture assimilation Training은 종종 감정층위나 행위적<br />

층위에서 아주 최소한 혹은 간접적인 작용을 가져오는 인식적인 트레이닝 형<br />

태로 비판을 받고 있다 (Lange 1994).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