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Scientific program -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abetes and ...

Scientific program -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abetes and ...

Scientific program -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abetes and ...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strong>on</strong>g>Scientific</str<strong>on</strong>g> <str<strong>on</strong>g>program</str<strong>on</strong>g>Friday 9 Nov. 09:00~11:00 / C<strong>on</strong>venti<strong>on</strong> Hall A, 4FS2 Clinical diabetes & therapeuticsNew therapeutic targets for diabetesChair : Sung-Woo Park, Kyo Il Suh<str<strong>on</strong>g>Scientific</str<strong>on</strong>g> <str<strong>on</strong>g>program</str<strong>on</strong>g>S2-1S2-2S2-3S2-4Glucag<strong>on</strong> receptor antag<strong>on</strong>istsSeung Jo<strong>on</strong> Oh (Kyung Hee University, Korea)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α/γ (PPAR-α/γ) dual ag<strong>on</strong>ists B<strong>on</strong>g Soo Cha (Y<strong>on</strong>sei University, Korea)SIRT1 as a therapeutic target for type 2 diabetesMechanism of acti<strong>on</strong> of novel insulin sensitizersMunehiro Kitada (Kanazawa University, Japan)Patrick R. Griffin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USA)Organizer: 홍은경, 김철희약 90년 전 인슐린이 처음 사용된 이래 당뇨병 치료제에 대한 연구개발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후 제2형 당뇨병환자에 사용되는 메트포르민, 설폰요소제, 글리나이드,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TZD 그리고 2005년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한 인크레틴 치료제까지 많은 새로운 약제들이 현재 사용되고 있지만, 각 약제들이 가지는 부작용과 효과 지속성 결여 등으로 인해 당뇨병 치료는완전한 해결책을 얻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현재 당뇨병의 병인적 측면이나 이와 관련된 다양한 분자레벨에서의치료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경희의대 오승준 교수가 당뇨병환자에서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글루카곤 작용을 억제하여 혈당조절 효과를 갖는 글루카곤 수용체 antag<strong>on</strong>ist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서 연세의대 차봉수 교수는 TZD 수용체인 PPARγ와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PPARα 수용체에 동시 작용을 갖는 PPARα/γ ag<strong>on</strong>ist가 각각의 수용체 단일 효과에 비해 혈당 조절에서 얻을 수 있는 장단점들에 대한 최근 결과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그리고 일본 Kanazawa 의대Munehiro Kitada 교수가 인슐린저항성 개선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SIRT1의 비만 및 당뇨병 치료효과를 발표하고, 끝으로 미국 Scripps Research Institute의 Patrick R. Griffin 교수가 기존의 당뇨병 치료제인 TZD 계열 약제와 달리 PPARγ 수용체에n<strong>on</strong>-ag<strong>on</strong>ist 리간드 기전을 갖는 새로운 물질의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Friday 9 Nov. 09:00~11:00 / C<strong>on</strong>venti<strong>on</strong> Hall B, 4FS3 ObesityRecent advances in the pathophysiology of obesityChair : Je<strong>on</strong>g Taek Woo, Sung-Hee IhmS3-1S3-2S3-3S3-4Hypothalamic neur<strong>on</strong> cilia <strong>and</strong> energy metabolismNovel adipokines <strong>and</strong> hepatokinesA new NR-FGF1 axis: regulati<strong>on</strong> of feast <strong>and</strong> famineBrown adipose tissue as a regulator of body fat in humansMin Se<strong>on</strong> Kim (University of Ulsan, Korea)Kyung Mook Choi (Korea University, Korea)Jae Myoung Suh (Salk Institute, USA)Masayuki Saito (Tenshi College, Japan)Organizer: 고은희비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최근까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시상하부의 많은 신경 펩타이드는 식이 섭취 및 체중 조절과 관련이 있다.체내 지방조직의 양에 대한 신호를 뇌 시상하부에 전달해 주는 물질인 leptin이 지방세포에서 생산된다는 발견은 지금까지 가져왔던 생각, 즉 지방조직이 체내 잉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단순 창고가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호르몬들을 적극적으로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후의 연구들에서 실제 지방세포는 다양한 호르몬(adipokines)을 생산, 분비함으로써 뇌, 근육, 간을 포함한 여러 조직에서 음식 섭취, 에너지 소비, 지방과 당 대사 등 우리 몸의 여러 가지 기능 조절에 적극적으로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포유류 신생아는 갈색지방조직을 보유하고 있는데 체온 유지에 중요한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최근 갈색지방조직이 인간에서의 비만 치료와 관련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심포지엄은시상하부 및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adipokines 및 인간 갈색지방조직의 역할에 대하여 각 분야의 최고 권위자들을 모시고 비만의 최신 연구 지견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된다.10<str<strong>on</strong>g>2012</str<strong>on</strong>g> <str<strong>on</strong>g>Internati<strong>on</strong>al</str<strong>on</strong>g> <str<strong>on</strong>g>C<strong>on</strong>ference</str<strong>on</strong>g> <strong>on</strong> <strong>Diabetes</strong> <strong>and</strong> Metabolism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