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Scientific program -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abetes and ...

Scientific program -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abetes and ...

Scientific program -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abetes and ...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strong>on</strong>g>Scientific</str<strong>on</strong>g> <str<strong>on</strong>g>program</str<strong>on</strong>g>Thursday 8 Nov. 14:00~16:00 / Emerald Hall, 3FProfessi<strong>on</strong>al secti<strong>on</strong> interest group 1Korean diabetes pregnancy study groupChair : J<strong>on</strong>g Chul Shin1. How to assess glycemic c<strong>on</strong>trol in GDM during pregnancy?2. Is early screening of diabetes necessary in Korean women?3. The current status of using oral antidiabetic agent in GDM4. Gestati<strong>on</strong>al diabetes mellitus in Korea: now <strong>and</strong> futureHyuk-Sang Kw<strong>on</stro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orea)Jo<strong>on</strong>-Seok H<strong>on</strong>g (Seoul Nati<strong>on</strong>al University, Korea)Se<strong>on</strong>g-Min Han (Miz Medi Hospital, Korea)Hak Chul Jang (Seoul Nati<strong>on</strong>al University, Korea)Organizer: 임신성 당뇨병 연구회임신성 당뇨병 연구회는 내분비내과뿐 아니라 소아과, 산부인과 등 많은 구성원이 참여하여 임신과 당뇨병을 효율적으로 함께 연구하고자 모임을 지속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는 임신성 당뇨병환자를 치료 함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연제를 통하여 진료실에서 산모를 진료하는 참석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하면 공복 혈당뿐만 아니라 식후 혈당,특히 식후 1시간 혈당 등이 태아의 outcome에 영향을 미치는 등에 관한 연구들이 나오면서 ‘과연 임신성 당뇨병환자에서 어떻게 혈당을 체크 하고, 목표치를 설정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커져가고 있다. 가톨릭의대 권혁상 교수가 이러한 이슈를 정리하여 발표하고 우리의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할지 논의할 예정이고, 이어서 서울의대 홍준석 교수는 산부인과 의사의 견지에서 산모에서 당뇨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태아 건강에 미치는 결과 등을 연결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미즈메디 병원의 한성민선생은 아직까지 임신성 당뇨병환자에서 경구혈당강하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많은데, 이를 발표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정리하여 논의할 예정이며, 마지막으로 서울의대 장학철 교수는 한국의 임신성 당뇨병의 현황과 향후 어떠한 연구를 중심으로 협력해 나가는 것이 좋을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토의할 예정으로 매우 흥미 있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세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str<strong>on</strong>g>Scientific</str<strong>on</strong>g> <str<strong>on</strong>g>program</str<strong>on</strong>g>Thursday 8 Nov. 14:00~16:00 / C<strong>on</strong>venti<strong>on</strong> Hall A, 4FProfessi<strong>on</strong>al secti<strong>on</strong> interest group 2Diabetic vascular cell biology research meetingChair : Jo<strong>on</strong>g-Yeol Park1. Mouse retinal angiogenesis as a model system of diabetic retinopathy Akiyoshi Uemura (Kobe University, Japan)2. Activati<strong>on</strong> of NAD(P)H:quin<strong>on</strong>e oxidoreductase-1 improves blood pressure via enhancement of eNOS couplingfollowing by increase of aortic GTP cyclohydrolase-1.Chul-Ho Lee (KRIBB, Korea)3. The new perspectives <strong>on</strong> diabetic vascular complicati<strong>on</strong>s: the balance between endogenous protective factors<strong>and</strong> harmful factors induced by hyperglycemiaIn-Kyung Je<strong>on</strong>g (Kyung Hee University, Korea)4. Akt isoforms in the cardiovascular systemJaetaek Kim (Chung Ang University, Korea)Organizer: 혈관세포 연구회만성 고혈당은 혈관세포 손상을 일으키며 세포사멸 또는 신생혈관 생성을 유발한다. 당뇨병성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 발생의 병태생리는 많은 연구를 통해 발생기전이 제시되었지만 아직 규명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본 세션에서는 이 분야에서활발한 연구를 하고 계시는 네 분의 연자를 초대하여 최신지견을 공유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첫 번째 강의는 Kobe University의Akiyoshi Uemura 교수가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 연구를 위한 동물모델을 소개해 주실 예정이다. 두 번째 강의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철호 박사가 NAD(P)H:quin<strong>on</strong>e oxidoreductase-1의 활성화를 통한 혈압조절 전략에 대해서 강의해 주실 것이며, 세 번째 강의는 경희의대 정인경 교수가 고혈당에 따른 혈관의 손상 인자 및 보호 효과가 균형을 유지하는 기전에 대해서 강의해 주실예정이다. 마지막 강의는 중앙의대 김재택 교수가 혈관과 심장에서 Akt1과 Akt2의 역할에 대해 소개해 주실 예정이다.<str<strong>on</strong>g>2012</str<strong>on</strong>g> <str<strong>on</strong>g>Internati<strong>on</strong>al</str<strong>on</strong>g> <str<strong>on</strong>g>C<strong>on</strong>ference</str<strong>on</strong>g> <strong>on</strong> <strong>Diabetes</strong> <strong>and</strong> Metabolism 7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