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2013 Views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한국독어독문학의</strong> <strong>문화연구</strong> - <strong>그</strong> <strong>경향과</strong> <strong>전개</strong> 199<br />

석하고 설명하는 데 토대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Matussek 2004b) 일본 측 발<br />

표자인 홋카이도 대학의 요시다 Tetsuya Yoshida 교수는 특히 통일 이후에 일본<br />

의 독어독문학계에도 예술로서의 독문학연구가 아니라 “독일에 대한 통합적이고<br />

사회사적 <strong>문화연구</strong> eine synthetische sozialgeschichtliche Kulturforschung von<br />

Deutschland” (Yoshida 2004, 66)가 요구된다고 전제하면서 “다른 문화를 가진 사<br />

회인 독일을 <strong>그</strong> 전체에서 파악 Deutschland als fremdkulturelle Gesellschaft als<br />

Ganzes auffassen”하려는 경향이 득세하였다고 전한다. <strong>그</strong> 외에도 1990년대 후반<br />

독일 독문학계에서 벌어진 문화학적 개혁파와 소위 전통문헌학주의자들 간의 논<br />

쟁의 소개 (Köhler), 헤르더, 짐멜, 프로이트의 문화철학적 사상의 소개 (김대권,<br />

노희직, 곽정연), <strong>그</strong>리고 다양한 비교 문화적이고 매체학적인 사례연구 발표들이<br />

있었다. <strong>문화연구</strong>의 학문이론적 방법론적 이해를 둘러싼 이러한 지난 십오년 간<br />

의 논의는 2005년 10월 독일학술교류처 DAAD와 <strong>한국독어독문학회</strong>의 한독 독문<br />

학자 학술대회 “한국의 독어독문학: 전망과 도전, <strong>그</strong>리고 개혁시도들 Germanistik<br />

in Korea: Perspektiven, Herausforderungen und Reformansätze”, <strong>그</strong>리고 무엇보다<br />

도 2006년 8월 서울에서 다시 열린 아시아독문학자대회 “아시아의 문화학과 독<br />

문학 Kulturwissenschaftliche Germanistik in Asien”으로 <strong>그</strong> 정점에 이른다. 이 학<br />

술대회의 공식 주제설명에 따르면 “문화학적 확장”은 독문학의 연구 “대상영역”<br />

에 해당되는 것이기도 하고 “이론적 방법적 틀”에 해당되기도 한다. 13 이러한 문<br />

화학적 확장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한 배경으로는 첫째, 1990년대 중반부<br />

터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국제 독어독문학의 문화학적 전환, 둘째, 아시아의 독어<br />

독문학을 독일식 모델에서 미국의 “독일학 German Studies”과 같은 외국학으로<br />

서의 독어독문학 모델로의 전환할 필요, 셋째 아시아 대학독문학의 전통적 4개<br />

연구 영역인 언어교육, 독어학, 문학학, 지역학의 틀을 염두에 둔 아시아적인 문<br />

화학의 가능성과 특징의 발전에 대한 고민을 꼽았다. 현재까지도 한국독어독문학<br />

계에서는 문화학의 학문론 및 방법론적 논의들이 활발하게 지속되고 있다. DaF<br />

분야에서는 이문화 또는 다문화능력을 둘러싼 이론적 논의와 교수법 모델들이<br />

꾸준히 논의되고 있고, 매체학적 이론들은 더욱 확장, 세분되는 경향을 보인다.<br />

Themenbeschreibung im Programmheft der Asiatischen Germanistentagung Kulturwissenschaftliche<br />

Germanistik in Asien, 서울 2006, S.12-15.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