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2013 Views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나 27집<br />

1<br />

여성(18c)<br />

4<br />

양차대전,향토운동,<br />

여성(분단), 과거<br />

<strong>한국독어독문학의</strong> <strong>문화연구</strong> - <strong>그</strong> <strong>경향과</strong> <strong>전개</strong> 203<br />

-<br />

1<br />

영화<br />

다 23집 - - 2 -<br />

다 24집 -<br />

다 25집 -<br />

다 26집 -<br />

1<br />

빈<br />

2<br />

유고문제,<br />

여성성(기술)<br />

1<br />

반유대주의<br />

-<br />

1<br />

1<br />

2<br />

독일극장,68<br />

1<br />

풍습(침묵)<br />

1<br />

축제<br />

2<br />

통일(사회), 8편<br />

생태운동<br />

1<br />

환경교육 3편<br />

- 3편<br />

- 4편<br />

2<br />

여성운동,<br />

환경과휴가<br />

합 15편 33편 39편 44편 14편 145<br />

비율 10.3% 22.8% 26.9% 30.3% 9.7% 100%<br />

순위 4위 3위 2위 1위 5위<br />

설악 심포지엄 특집호<br />

에 따르면 2003년과 2004년 기간에 위 3개 학술지 기준 독어독문학의<br />

문화학적 학술공론장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세부 유형은 다음 IV.1절<br />

에서 다룰 인문학적 문화지역학이다. 현대문화비평적 문학연구유형은 약 23%로<br />

문학 관련 문화이론유형과 더불어 <strong>그</strong>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보인다. 종합하자면<br />

2003년 이래 <strong>한국독어독문학의</strong> <strong>문화연구</strong>적 학술공론장은 무엇보다도 이 3개 유<br />

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보여주고 있는 2003-4년 기간의<br />

<strong>문화연구</strong>의 발전적 도약은 2008년 현재까지 상승곡선을 <strong>그</strong>리며 확장되고 있다.<br />

이제 2008년의 연구경향을 정리해보자.<br />

2008년 문학중심 <strong>문화연구</strong> 문화지역학<br />

논문집<br />

가 105집<br />

2008년 3개학술지 연구유형 비율 및 <strong>문화연구</strong> 세부담론<br />

역사<br />

인류학적<br />

2<br />

남성,<br />

자연과학<br />

현대문화<br />

비평적<br />

1<br />

통일<br />

문화<br />

이론<br />

2<br />

전통문학<br />

연구 어학<br />

5편<br />

인문 사회 합<br />

2<br />

추모문,<br />

영화<br />

- 3 1 11편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