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2013 Views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한국독어독문학의</strong> <strong>문화연구</strong> - <strong>그</strong> <strong>경향과</strong> <strong>전개</strong> 213<br />

자체 보다는 매체와 기호를 통해 재현된, 즉 인지되고 해석되고 재구성된 현실에<br />

주목한다. 특히 영화비평, 예술 비평, 매체비평이 눈에 띄는데, 이것은 앞서 II 절<br />

에서 페히를 빌어 언급한 ‘문학적인 것 das Literarische’에 대한 연구로 문학학으<br />

로부터 자연스럽게 확장가능한 영역이다. 둘째, 텍스트 중심의 민속학 연구의 비<br />

중이 크다. 즉 의사소통과 경험적 고찰을 통해 확인 가능한 대상보다 종교, 신화,<br />

민속, 민요, 속담, 축제처럼 문서와 문화적 기억으로만 남은 과거의 현실과 문화<br />

가 선호된다. 셋째, 역사를 다룰 경우 정치경제사보다는 사회문화사와 정신사를<br />

선호한다. 문화수용과 문화전이, 번역과 교류와 같은 비교문화사적인 연구도 꾸<br />

준하다. 넷째, 제도사 차원에서 문학과 문화, 학문의 역사를 연구하는 전통이 새<br />

롭게 자리 잡았다. 종합해 보자면, 현재 한국독어독문학이 추구하는 인문학적 문<br />

화지역학은 비언어적 기호 체계로서의 현실문화, 예를 들면 현재 독일의 패션문<br />

화, 몸의 문화, 공간문화, 여행문화, 취미와 여가문화 등보다는 ‘문학적인 것’, 즉<br />

언어 기호적 체계에서 파생되고 재현된 문화에 주목한다고 말할 수 있다.<br />

사회과학적 문화지역학<br />

지역학의 본격적 대상들, 즉 인문지리와 역사, 정치경제, 사회구성과 계급, 국<br />

제관계와 법을 독일어권과 유럽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을 사회과학적 문<br />

화지역연구라고 할 때, 한국의 독어독문학에서 사회과학적 문화지역연구의 경향<br />

은 2003-4년 <strong>문화연구</strong>의 도약기 이래 제한된 규모이긴 하지만 분명 하나의 전통<br />

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사회과학적 <strong>문화연구</strong>의 <strong>경향과</strong> 내용을 보다 구체적<br />

으로 파악하기 위해 이 유형에 대해서만은 독어독문학의 문화학적 발전기인<br />

2003년부터 2008년까지의 6개년도 전 기간에 대해 「독일문학」, 「독일어문학」,<br />

「독일언어문학」 3개 학술지의 해당연구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전수검사의 의미<br />

보다는 설득력 있는 평가를 위해 자료의 양적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br />

이 연구유형은 독어독문학의 지역학적 보완을 둘러싼 논쟁의 핵심쟁점이라고 할<br />

수 있는데, <strong>문화연구</strong>의 장기적 목표설정을 위해서도 자세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br />

다. 지금까지 어떤 연구주제들이 부각되었는지 살펴보자.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