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2013 Views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의 문화연구 그 경향과 전개 - 한국독어독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한국독어독문학의</strong> <strong>문화연구</strong> - <strong>그</strong> <strong>경향과</strong> <strong>전개</strong> 209<br />

장르인데, 김정철은 「독일어문학」41집(2008, 29-54)의 「입문의식동화를 통해 본<br />

남녀차이」에서 반 제넵의 ‘통과의례’ 이론에 기대어, <strong>그</strong>림의 동화가 실현하는 ‘입<br />

문의식’의 내러티브를 분석한다. <strong>그</strong>림동화에서 빈번히 발견되는 삼단계 진행, 즉<br />

주인공이 “익숙한 환경으로부터(의) 분리”된 후, 분리와 소외 속에서 “변화를 겪<br />

고”, 결국 “새로운 신분을 획득하여 귀환”하는 것은 인간의 인류학적 기본표상을<br />

언어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라고 평가한다. 더 나아가 이 사회적 성숙의 통과의례<br />

에서 <strong>그</strong>림의 동화는 “남성에게는 적극성과 외향성, 여성에게는 수동성과 내향<br />

성”(김정철 2008, 49이하) 이라는 상이한 내러티브를 제시한다고 결론짓는다. 위<br />

의 예들이 사회적, 생물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다양한 규정성과 정체성에 대한 역<br />

사적 담론과 규범화의 과정들을 추적하는 것이라면, 특정한 사회체제의 가치들을<br />

규범화하는 과정에 대한 문학적 분석도 발견된다. 위 에서 3위에 있는 ‘유<br />

대인 및 반유대주의’ 담론은 서구사회의 기독교적인 규범과 민족주의 국가 규범<br />

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재생산되고 확장된 것이다. <strong>그</strong> 외에도 문학적 담론이 근대<br />

이래로 형성된 경제와 재산권에 대한 절대적 가치관의 형성과정에 동참하고 있<br />

음을 보여주는 연구, 19 낭만주의 문학이해가 해당 시대의 매체의 역사적 변화<br />

에 의해 조건 지워졌음을 보여주는 연구, 20 근대정치적 이성의 신화로 자<br />

리 잡은 나폴레옹이 역사의 “불안정한” 시기에 발생하는 여러 가능성들을 이용<br />

하면서 상류사회로 진입한 인물임을 보여주는 연구 21 등 흥미로운 연구사례들이<br />

발견된다. 의 주제항목들은 문화와 자연 개념의 길항작용, 교양 및<br />

교양소설과 개인주의의 상호성, 또 감성과 이성의 위계질서 등을 암시하는<br />

「독일언어문학」제 22집(2003, 189-210)에서 권기철은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