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 Chapter 04<br />

골밀도 측정<br />

제4장<br />

골밀도 측정<br />

4장<br />

골밀도는 현재 임상적으로 골다공증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기준으로<br />

사용되고 있다. 골밀도는 치료 방침의 결정에 도움을 주며 뼈의 소실과<br />

증가 속도 또는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 하는데도 이용된다.<br />

대한골대사학회에서 권고하는 골밀도 측정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br />

1. 골밀도 측정의 적응증<br />

1) 6개월 이상 무월경을 보이는 폐경전 여성<br />

2) 골다공증 위험인자 (제2장 참고)를 갖는 폐경 이행기 여성<br />

3) 폐경후 여성<br />

4) 골다공증 위험인자를 갖는 50-69세 남성<br />

5) 70세 이상 남성<br />

6) 골다공증 골절의 과거력<br />

7) 방사선 소견에서 척추 골절이나 골다공증이 의심될 때<br />

8) 이차성 골다공증이 의심될 때<br />

9) 골다공증의 약물요법을 시작할 때<br />

10) 골다공증 치료를 받거나 중단한 모든 환자의 경과 추적<br />

심사 평가원의 골밀도 검사 인정기준은 제22장 국내 보험 지침에 수<br />

록 되어 있다. 심평원의 기준은 고위험요소의 범위와 정도를 엄격하게<br />

●●● www.ksbmr.org 21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