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 Chapter 05<br />

생화학적 골표지자<br />

고값보다 증가되어 있는 경우 고관절 골절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져<br />

있다.<br />

골다공증 치료제의 효과 판정에는, 골밀도의 변화, 새로운 골절의 발<br />

생 여부, 삶의 질 개선, 골표지자의 변화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이중<br />

골표지자는 치료 후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현저하게 변화하기 때문에<br />

치료제의 효과를 평가하는 강력한 수단이다. 여러 연구에서 골흡수 억<br />

제제를 투여한 초기의 골표지자의 감소 정도가 향후 발생할 골절 위험<br />

을 유의하게 예측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골흡수 억제제를 투여한 후 골<br />

흡수 표지자는 4~6 주내에 감소하고 골형성 표지자는 그보다 천천히<br />

감소하기 때문에, 골흡수 표지자는 투여 후 3`~6개월 사이, 골형성 표지<br />

자는 6개월에 측정하여 투여 전 값과 비교한다. 골흡수 억제제 투여 후<br />

골표지자의 감소는 표지자의 종류와 치료제에 따라 다양하여 약<br />

20~80% 정도이다. 골표지자는 일간 변동 (day-to-day variability)<br />

이 심하기 때문에 치료에 반응하는 유의한 변화는 일간 변동률의 두 배<br />

(최소 유의 변화값, minimum significant change) 이상 변화하여야<br />

한다. 치료제를 투여한 후 유의한 변화가 없으면 약제 순응성, 흡수 장<br />

애 및 이차성 골다공증 유무 등의 가능성을 먼저 고려하여야 하고, 그렇<br />

지 않다면 약제 비반응성으로 판단하여 약제 용량의 증가, 투여 방법의<br />

변경, 대체 약물로의 변경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골형성 촉진제를 투여<br />

한 후에는 골표지자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그러나, 골형성 촉진제 투여<br />

후 골표지자의 증가가 골절 위험을 감소시키는 지에 대한 증거는 아직<br />

까지 명확하지 않다.<br />

5장<br />

4. 결론<br />

골다공증을 가지고 있거나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서 빠<br />

●●● www.ksbmr.org 3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