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 지침 2008<br />

Physician’s Guide for Diagnosis & Treatment of Osteoporosis<br />

600~800 mg을 넘지 않도록 한다.<br />

2.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br />

7장<br />

메타분석에서 요추 골밀도는 비타민 D 투여 1년 후 유의한 차이가 있<br />

었고, 대퇴골 골밀도는 최소 2년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밀도에 미<br />

치는 영향은 비활성형이 활성형 비타민 D 에 비해 작아서, 활성형을 투<br />

여하면 대조군에 비해 전신골밀도가 평균 2.06% 증가한 반면 비활성형<br />

비타민 D는 0.40% 증가하였다. 활성형 비타민 D를 하루 0.5 μg 이상<br />

사용한 경우 요추와 원위요골 골밀도 증가가 비활성형 비타민 D에 비해<br />

더컸다.<br />

3. 골절에 미치는 영향<br />

비타민 D 를 하루 700~800 IU 투여하면 대퇴골과 비척추골절이 각<br />

각 26%, 23% 감소되지만, 400 IU를 투여하면 골절 예방효과가 없다는<br />

메타분석이 있다. 비타민 D 투여가 척추골절의 상대위험도를 37% 낮추<br />

고, 비척추골절의 상대위험도도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는 메타분석도 있<br />

다. 이 메타분석에서 척추골절에 대한 연구는 주로 활성형 비타민 D가<br />

투여되었고, 비척추골절에 대한 연구는 주로 비활성형 비타민 D가 투여<br />

되었다.<br />

연령 84세의 여성에게 하루 칼슘 1,200 mg과 비타민 D 800 IU를<br />

18개월간 투여한 결과 대퇴골 골절 위험도가 43%, 비척추골절 위험도<br />

가 32% 감소되었다. 65세 이상의 남녀에게 3년간 칼슘 500 mg과 비<br />

타민 D 700 IU를 투여하면 비척추골절 상대위험도가 58% 낮아진다는<br />

연구도 있다. 약 75세의 남녀에게 비타민 D 100,000 IU를 4개월에 한<br />

4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