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014 Views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머리말 - 대한내과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 Chapter 04<br />

골밀도 측정<br />

그림 1<br />

DXA를 이용한 요추 골밀도 측정 예<br />

4장<br />

Region BMD (g/cm 2 )<br />

Young-Adult<br />

T-Score<br />

L1 0.737 -2.7<br />

L2 0.803 -2.6<br />

L3 1.010 -0.9<br />

L4 1.162 0.3<br />

L3, L4의 퇴행성 변화로 L1, L2에 비하여 골밀도가 높게 측정되었다.<br />

L1과 L2의 T-값 평균치를 이용하여 골다공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br />

3. 요추 골밀도 측정<br />

척추는 소주골이 풍부하여 폐경후 여성에서 골대사의 변화를 예민하<br />

게 반영한다. L1에서 L4까지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진단한다. 65세 이<br />

상에서는 퇴행성 변화로 오히려 높게 측정되는 오류가 흔히 발생하므로<br />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압박골절, 퇴행성 변화가 있는 부위를 배제한<br />

후 진단한다(그림 1). 정상에서는 L1에서 L4로 가면서 골밀도가 증가<br />

하는데 이런 경향이 역전되거나 T-값이 주위 요추와 1 표준편차 이상<br />

차이를 나타내면 퇴행성 변화 등 판정에 적합하지 않은 부위일 가능성<br />

이 높다. 이런 변화로 평가할 수 있는 요추가 한 부위밖에 남지 않은 경<br />

우에는 대퇴골이나 요골 골밀도 결과를 기준으로 진단해야 한다. 추적<br />

검사는 반드시 동일한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선택해야<br />

검사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br />

L3, L4의 퇴행성 변화로 L1, L2에 비하여 골밀도가 높게 측정되었다.<br />

L1과 L2의 T-값 평균치를 이용하여 골다공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br />

●●● www.ksbmr.org 2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