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강소농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 ...

강소농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 ...

강소농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 ...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농촌지도와 개발 제19권 4호(2012) 927-961 951<br />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생산자 조직에 참여하며, 직접 판매를 하는 가<br />

구일수록 강소농일 확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생산의 집단화와<br />

직접 거래를 할 수 있는 판로의 확보가 사과 강소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br />

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친환경농업의 사과 농가는 과수 강소농과<br />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서되었는데, 이는 아직까지 사과 작목에서<br />

친환경농가가 강소농으로 출현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고 볼 수<br />

있다. 친환경농업에 따른 수요 시장에서의 대가(Rate of Return)가 그<br />

다지 높지 않거나, 친환경실시 농가의 규모가 대규모 농가에 비해 작은<br />

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성우, 권오상, & 이호철, 2003).<br />

컴퓨터를 보유하고 활용하고 있는 농가는 그렇지 않은 농가들에 비해 강<br />

소농이 될 확률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농가의 정보화 수준이 소득<br />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기존 연구들과의 <strong>분석</strong>결과를 궤를 함<br />

께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간 우리나라에서 추진한 농촌의 정보화 정책<br />

이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였다고 풀이할 수 있다. 주산지는 사과 강소<br />

농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과의 주산지에 많은 강<br />

소농이 분포하고 있는 특성을 보였다.<br />

사과 <strong>강소농의</strong> <strong>결정요인</strong> 추정결과<br />

인구⋅<br />

경제적<br />

변인<br />

변인 회귀계수 VIF<br />

절편 -1.5903 ***<br />

39세 이하 0.0556 1.1<br />

연령<br />

40∼49세 0.0053 1.2<br />

50∼59세 0.0998 *** 1.1<br />

성별 남성 -0.0588 1.0<br />

교육<br />

고졸 0.0787 ** 1.2<br />

대졸 이상 0.1048 * 1.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