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강소농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 ...

강소농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 ...

강소농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 ...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농촌지도와 개발 제19권 4호(2012) 927-961 943<br />

의 활성화 즉, 강소농을 육성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제약조건으로 작용할<br />

개연성이 크다. 그 까닭은 소농의 대상 파악이 불가능한 연유로 정책의<br />

대상이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소농의 경영 특성이 파악되지 않<br />

은 채, 추진되는 정책은 소농의 특성에 부합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br />

있다. 더군다나, 농업은 영농행태별로 경영구조 등이 매우 상이한데, 소<br />

농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영통행태별로 강소농 육성을 위해 어떠한<br />

전략을 마련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모호한 측면을 노정할 수 있다. 따<br />

라서 소농과 강소농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의를 토대로 하여 강소농 육<br />

성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br />

본 연구에서는 앞서 논의하였던 소농의 개념을 토대로 한국적 상황에<br />

적합한 소농과 <strong>강소농의</strong>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한국적 상황에서<br />

소농 및 <strong>강소농의</strong> 개념을 정의함에 있어 다음의 몇 가지 원칙은 충족되어<br />

야 한다. 첫째, 한국적 상황에 부합된 소농 및 <strong>강소농의</strong> 경영구조적 특성<br />

등의 핵심 기준은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둘째, 소농 및 <strong>강소농의</strong> 개념은<br />

가급적 구체적으로 정의되어야 하며, 정립된 소농의 개념은 실증 자료를<br />

통해 소농의 대상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의 논거를 토대로 본 연<br />

구에서 조작적으로 정의내린 소농 및 <strong>강소농의</strong> 개념은 다음과 같다.<br />

먼저 소농의 개념은 농지규모와 경영특성을 고려하였다. 농지규모는 World<br />

Bank(2003)의 기준을 적용하여 2ha 미만으로 정의하였으며, 경영특성<br />

은 농지를 소유하고 있으면서 전업에 종사하는 농가로 국한시켰다. 이러<br />

한 정의는 앞서 논의하였던 선행연구들의 일반적 논의를 수용한 것이다.<br />

그리고 본 소농의 정의는 우리나라의 농림어업총조사를 활용하여 구체적<br />

인 소농의 대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소농 중<br />

강소농은 소득이 상위 10%인 농가로 정의하였다. 소득은 농업의 경쟁력<br />

을 진단할 수 있는 핵심적인 지표로서, 소득을 기준으로 강소농을 파악<br />

하는 것은 규범적으로 타당하다. 하지만 농가의 소득 자료를 확보할 수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