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0.2013 Views

전선업 - Mirae asset

전선업 - Mirae asset

전선업 - Mirae asset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전선업</strong> Analyst 김양기 3774-1943 liku@mirae<strong>asset</strong>.com<br />

자원 부국과 아시아 개도국의 전력<br />

인프라 투자는 전력선 신규수요의<br />

성장 동력<br />

도시화는 초고압 전력선 수요의<br />

또다른 Driver<br />

Global T&D 장기 성장 Cycle 돌입-신흥국 T&D 시장의 성장<br />

중동, 아시아 개도국 등의 신규 발전능력 확충에 따라 초고압 신규수요 발생 전력선<br />

에 대한 투자는 우선적으로 각국의 전력소비 규모에 비례한다. 에서처럼 국<br />

가별 인당 GDP 대비 인당 전력소비 추이를 살펴보면 인당 GDP가 높아질수록 인당<br />

전력소비 또한 유사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인당 GDP가 US$10,000까<br />

지 성장하는 동안 전력수요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br />

개도국들의 전력선 신규수요의 고성장성 또한 전망된다. 특히 중동, 중국, 인도, 동<br />

남아 등은 신규 발전소 건설에 따른 송배전 인프라 투자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br />

예상된다.<br />

인당 GDP US$ 10,000 까지 인당 전력소비 급격히 증가<br />

인당 전력소비 (kWh/인)<br />

14,000<br />

12,000<br />

10,000<br />

8,000<br />

6,000<br />

4,000<br />

2,000<br />

-<br />

United Arab Emirates Italy United Kingdom<br />

Japan Korea Argentina<br />

Brazil<br />

China<br />

India Vietnam<br />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br />

인당 GDP ($/인)<br />

자료: IMF, IEA,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br />

또한, 초고압 전력선 수요의 중요한 Driver는 바로 도시화이다. 도시화는 집중화된<br />

전력 다소비를 의미, 이에 따라 고압이며, 미관상 이점이 있는 초고압 지중선 수요를<br />

유인한다. 와 같이 유럽과 북미의 도시화 비중은 1950년 38.3% 및 15.0%<br />

2010년 각각 15.2% 및 8.2%로 감소할 것으로 기대되는 반면, 아시아와 아프리카는<br />

각각 1950년 31.7% 및 4.5% 2010년대 50.5% 및 11.9%로 급성장이 예상된다.<br />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세계 도시화 추세<br />

(%)<br />

60<br />

50<br />

40<br />

30<br />

20<br />

10<br />

0<br />

1950 1970 1990 2000 2010<br />

Africa Asia Europe Latin America North America Oceania<br />

자료: World Bank,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br />

Dec 4 2007 MIRAE ASSET RESEARCH 16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