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3.2013 Views

섬 유 / 의 류

섬 유 / 의 류

섬 유 / 의 류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한<strong>섬</strong> vs LG패션 차이점<br />

1)봄신상품 판매 동향<br />

2)자회사 연결실적 감안 시<br />

Valuation<br />

>> <strong>섬</strong><strong>유</strong>/<strong>의</strong><strong>류</strong><br />

한<strong>섬</strong> vs LG패션 : 복종 및 <strong>유</strong>통채널 달라서 실적 차별화<br />

최근 한<strong>섬</strong>과 LG패션은 같은 내수<strong>의</strong><strong>류</strong> 포지션임에도 다른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는<br />

한<strong>섬</strong>이 1)봄신상품 판매 호조를 보이며 타사 대비 견조한 1분기 실적이 예상되고, 2)연결<br />

실적 반영 시 13년 Valuation이 PER 9.6배로 LG패션(10.9배) 대비 저평가 매력이 있기<br />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한<strong>섬</strong>은 경쟁사 대비 로열티 있는 고객과 제품경쟁력이 있어, 12년<br />

11월과 13년 3월에 각각 겨울 <strong>의</strong><strong>류</strong>, 봄 <strong>의</strong><strong>류</strong><strong>의</strong> 이연 수요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인다.<br />

한<strong>섬</strong><strong>의</strong> 투자<strong>의</strong>견 BUY를 <strong>유</strong>지하는데, 이는 1분기 실적이 양호할 전망이며, 이연 소비가<br />

강하게 나타나고 있고, 아직 경쟁사 대비 Valuation 할인을 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strong>섬</strong><br />

<strong>의</strong> 추세적인 주가 상승과 Valuation Re-rating을 위해서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먼<br />

저, 겨울 <strong>의</strong><strong>류</strong> 백화점 세일 판매 기간인 지난 12월~2월에 한<strong>섬</strong> 판매가 부진했듯이, 올해<br />

봄 <strong>의</strong><strong>류</strong> 세일 판매 기간인 4월~5월 판매동향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SPA <strong>의</strong><strong>류</strong>가 경쟁력<br />

이 있는 여름 <strong>의</strong><strong>류</strong> 판매 기간인 6월~8월까지 동향도 앞으로 중요한 관전포인트다.<br />

LG패션은 실적 회복을 하반기에 기대해 볼 수 있고, 중국법인 연결실적 반영 시 13년<br />

PER 10.9배로 Valuation 부담이 있기 때문에 Marketperform을 <strong>유</strong>지한다. 중국은 매출<br />

비중이 아직 미미하고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성장동력으로 본다.<br />

최근 LG패션과 한<strong>섬</strong><strong>의</strong> 판매 동향 차이는 1)여성복과 남성복 비중 및 남성복 구성요소,<br />

2)백화점 및 가두점 비중 차이에 기인한다고 본다. 먼저, 불황에는 남성복 매출이 부진한<br />

데 LG패션(18%)<strong>의</strong> 남성복 비중이 한<strong>섬</strong>(9%)보다 높다. 또한, 남성복 시장에서 정통신사<br />

복은 MS가 하락하며 캐릭터 정장은 MS가 상승하고 있는데 LG패션은 전자 비중이 높고,<br />

한<strong>섬</strong>은 후자에 속한다.<br />

한<strong>섬</strong>은 여성복 비중이 75%로 높고 일부 남성복(9%)이 있지만 타임 옴므, 시스템 옴므는<br />

캐릭터 정장 라인이다. LG패션은 여성복이 약 24%, 남성복이 약 18%로 비중 상 차이가<br />

있다. LG패션 남성복 중 질스튜어트 NY은 캐릭터 정장 라인이지만 동사<strong>의</strong> 남성복 매출<strong>의</strong><br />

대부분을 차지하는 닥스, 마에스트로는 정통 신사복 라인이다. 40~50대 중장년층<strong>의</strong> 정장<br />

수요는 감소추세에 있고, 신규로 정장을 구매하는 20~30대는 캐릭터 정장 수요가 강하기<br />

때문에 남성복 시장에서 이 같은 트렌드는 지속될 전망이다.<br />

다른 한가지 차이점은 한<strong>섬</strong>(75%)은 LG패션(60%)대비 백화점 매출 비중이 높다. 경기<br />

가 본격적으로 회복되기 전에 소비자는 가격 대비 만족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특정 브랜드<br />

구매를 위해 가두점에서 소비를 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브랜드 비교가 가능한 백화점에서<br />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고 판단된다.<br />

10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