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1.2015 Aufrufe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Erfolgreiche ePaper selbst erstellen

Machen Sie aus Ihren PDF Publikationen ein blätterbares Flipbook mit unserer einzigartigen Google optimierten e-Paper Software.

2009년 2학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br />

한국어사<br />

제2주<br />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


한국어의 선사( 先 史 )<br />

한국어의 역사는 문헌 자료에 의해 실증되는<br />

고대 국어에서부터 시작된다.<br />

<br />

한국어의 계통<br />

<br />

한국어의 형성


한국어의 계통(1)<br />

<br />

20세기 중반 어느 때부터 일본 학자들은 비교언<br />

어학 및 기타 방법에 의해 언어 간의 연원적 관<br />

계를 밝히는 학문을 ‘계통론’이라고 불렀다.<br />

●영어의 genealogy(혹은 독일어의 Genealogie, 프랑스<br />

어의 généalogie)는 본래 생물학에서 ‘족보, 가계, 혈통’<br />

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언어학에서는 분야명의 하나로<br />

정립되어 온 것이 아니다. 우리 학계는 일본 학계에서<br />

창출된 ‘계통론’이라는 용어를 수용하여 연구와 교육에<br />

서 널리 시용하여 왔다.


한국어의 계통(2)<br />

<br />

19세기의 역사비교언어학적 접근 방법 사용<br />

1 인도와 유럽에서 역사적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사용되는 대다수<br />

의 언어들로부터 관찰되는 유사성은 그 언어들이 같은 조상 언어<br />

[ 共 通 祖 語 ]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언<br />

어들의 상호관계는 친척관계[ 親 族 關 係 ]와 비견될 수 있고, 그에 따<br />

라 한 집안[ 語 族 ]을 이루는 언어들이라고 볼 수 있어서, 인도-유럽<br />

어족 혹은 인도-게르만어족으로 부르게 되었다.<br />

2 인도-유럽어족의 수립과 소속 언어 상호간의 역사적 관계를 고찰하<br />

는 과정에서 ‘비교문법’(혹은 비교언어학)과 ‘역사언어학’이 학문의<br />

분야로 정착되었다.


한국어의 계통(3)<br />

3 친족관계 수립을 위한 비교의 대상은 공통조어에서 유래하는 성분<br />

이 되어야 하며, 다른 언어로부터 차용된 성분들은 배제되어야 한<br />

다. 그러한 관심에서 ‘단어’의 비교가 아닌 단어를 구성하는 성분,<br />

즉 ‘형태소’의 비교가 강조되었고, 특히 ‘문법요소’의 비교가 언어<br />

간의 근원적 관계를 설정하는 기준이 된다고 믿었다.<br />

► 문법 요소도 유추(analogy)에 의해 변화하므로 이는 효력 상실!<br />

4 ‘규칙적 음운대응’을 발견하고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시작하였다.<br />

●그림의 법칙(Grimm’s law)<br />

≪그림의 법칙(Grimm's law)≫<br />

희랍어 p b f t d th k g ch p f<br />

고트어 f p b th t d h k g t → P(←IE *t)<br />

게르만어 b(v) f p d z t g ch k k h(←IE *k)<br />

<br />

5 언어의 계통적 분류 이외에 ‘유형적 분류’ 등도 시도되었다.


한국어의 계통(4)<br />

<br />

타타르 諸 語 로부터 알타이 諸 語 까지: 탐색의 단계<br />

1 타타르 諸 語 (the Tatar languages)<br />

1730년 스웨덴의 훤슈트랄렌베르그의 저서에서 유라시아 대륙의 북부와<br />

내륙 지방에 산재하는 여러 언어들에 유사성이 존재함을 발견하고 이들을<br />

묶어서 ’타타르제어’로 명명함. 1864년 프랑스 선교사 드로스니(L. de<br />

Rosny)의 한국어에 관한 논문에 한국어가 몽고어, 만주어 등과 함께 이 타<br />

타르제어와 동일 계통 언어라고 간략히 기술한 것이 효시.<br />

2 스키티아 語 群 (the Scythian group)<br />

1834년 덴마크의 라스크는 타타르제어 이외에도 그린란드, 북아메리카,<br />

유라시아 대륙의 북부, 코카서스 지방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들은 물론,<br />

스페인의 바스크어까지 포함하여 ‘스키티아 語 群 ’으로 명명함. 이 어군에는<br />

몽고, 만주-퉁구스, 튀르크, 휘노-우그르, 에스키모, 古 아시아, 코카서스<br />

제어는 물론 고대에 유럽에 거주한 非 인도-유럽계 민족들의 언어들이 모<br />

두 포함됨.


한국어의 계통(5)<br />

3 투란 諸 語 (h (the Turanian languages)<br />

1855년 뮐러의 저서에서는 교착성(agglutination)에 근거해 슈트랄렌베<br />

르그와 라스크가 같은 계통으로 분류한 언어들 이외에도 인도 남부의 드라<br />

비다어, 샴어(타이어), 티베트어, 말레이어 등을 포함시켜 ‘투란 諸 語 ’라고<br />

명명함. 19세기 말 한국어의 계통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한 미국인 선교<br />

사 헐버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침.<br />

4 알타이 諸 語 (the Altaic languages)<br />

핀란드 학자 카스트렌은 형태소의 대응성(identity of morphemes)이 언<br />

어 분류에 있어 필수적인 요인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 인칭어미의 대응성<br />

에 의거해 휘노-우그르 우그르, 사모예드, 튀르크, 몽고, 만주-퉁그스 제어만을 묶<br />

어 ‘알타이 諸 語 ’로 명명함. 이는 후에 ‘우랄-알타이어족’으로 불린 어군 개<br />

념의 효시. 카스트렌은 우랄(휘노-우그르)어족의 창시자로 인정되어 옴.


한국어의 계통(6)<br />

<br />

우랄-알타이 語 族 : 가정의 단계<br />

1 카스트렌의 알타이제어를 독일의 볼러(Boller) 등은 ‘우랄-알타이제어’라<br />

고 부름.<br />

2 체계적인 연구는 쇼트(Wilhelm Schott)에 의해 수행됨. 어휘 비교에 의한<br />

구조적 유사성을 지적함으로써 이들 언어들을 같은 언어군으로 인정하고,<br />

휘노-우그르제어를 ‘추드’(Chdic), 튀르크•몽고•만주-퉁구스 제어를 ‘타타<br />

르’(Tatar)로 하위 구분. 전체 언어군을 ‘알타이’ 혹은 ‘추드•타타르어군’으<br />

로 부름.<br />

3 쇼트 이후 학자들의 관심사는 주로 추드(휘노-우그르)제어 상호간, 혹은<br />

타타르(알타이)제어 상호간의 음운대응과 형태소 비교 연구에 집중됨으로<br />

써 서서히 휘노-우그르어족과 알타이어족을 구분하는 경향 등장. 현재까<br />

지도 ‘증명되지 않는 가설’로 언급되어 옴.<br />

4 19세기 말에 白 鳥 庫 吉 (Shiratori Kurakichi) 같은 일본 학자들이 이 ‘우랄<br />

-알타이어족설’을 우리나라 학자들에게도 전파함. 신채호, 김윤경, 최남선<br />

등.


한국어의 계통(7)<br />

<br />

<br />

19세기 유럽의 학자들이 유라시아 대륙에 산재하는 여<br />

러 언어들을 스키티아제어, 투란제어, 알타이제어, 우랄<br />

-알타이어족 등으로 명명하여 분류한 근거는 애초부터<br />

인도-유럽어족의 분류 근거가 되었던 수사를 비롯한 기<br />

초 어휘의 ‘규칙적 음운대응’이 아니었다.<br />

그보다는 교착성, 모음조화, 어두자음조직의 특성 등과<br />

같은 ‘공통특질’들이 이 언어들의 계통적 관계를 추측케<br />

하였는데, 바로 이러한 점이 우랄-알타이어족설의 취약<br />

점이었으며 그 후 분화•발전된 알타이어족설의 취약점<br />

으로 지금까지도 지적되고 있다.


알타이언어란<br />

튀르크어파: 34개의 언어(1억 4천만 명)<br />

몽골어파: 10개의 언어(880만 명)<br />

만주퉁구스어파: 11개의 언어(15만 명)<br />

<br />

유럽 동부 지역에서부터 중앙아시아, 중<br />

국의 서북부 및 동북부, 몽골, 시베리아에<br />

걸친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


한국어의 계통(8)<br />

<br />

알타이 語 族 : 증명의 단계<br />

1 핀란드 학자 람스테트(Ramstedt)는 우랄-알타이제어를 ‘우랄’과<br />

‘알타이’ 두 어족으로 분리할 것을 주창하고, 알타이어족의 몽고•튀<br />

르크•만주-퉁구스제어의 체계적인 비교연구를 처음으로 수행함.<br />

2 1919년에서 1930년 사이 핀란드의 주일본대사관에서 근무하며 일<br />

본에서 ‘유진걸’이라는 한국인을 교사로 채용, 국어를 습득하는 과<br />

정에서 국어의 ‘아구리( 口 )’가 튀르크어 ayiz, 츄바시어 Śavar의 先<br />

史 形 *aɤuri와 일치하는 사실을 발견하고 국어를 알타이어족에 속<br />

하는 언어로 인정.


한국어의 계통(9)<br />

3 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관계에 대한 람스테트(Ramstedt)의 견해<br />

- 한국어의 계통적 위치: 대동아시아어군(a great East-Asiatic group)<br />

- 몽고-튀르크어군이 조기 분리되어 나온 후 퉁구스어군은 한국어와 가까이<br />

있으면서 중국어 차용어를 한국어로부터 수입<br />

- 우랄-알타이어족설은 신빙성 없는 이론이며, 알타이 세계의 중심은 興 安<br />

領 산맥의 서편과 동편 山 麓<br />

4 람스테트는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 신념을 설득력 있게<br />

증명하기 위해 산발적으로 발견되는 음운대응의 예들을 가급적 다<br />

수 찾아 제시. 그의 저서는 20세기 한국어 계통론의 필수 참고서.


한국어의 계통(10)<br />

5 람스테트를 계승하여 알타이어족설을 강력히 주장한 가장 중심적<br />

인 인물은 포페(N.Poppe). 람스테트의 학설을 이어받아 한국어를<br />

알타이어족의 제4파로 인정.<br />

6 람스테트의 저서를 한국어-알타이어족설을 증명하는 업적으로 칭<br />

송. ‘신빙성’ 있는 비교 예로서 56개, ‘의심스러운’ 예로 21개를 지<br />

적하고 자신은 34개의 예를 추가 제시.<br />

7 포페의 저술은 이기문 교수를 비롯한 국내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br />

줌. 특히 그가 제시한 알타이제어의 계통도는 지난 근 40년간 국내<br />

학자들이 빈번히 인용.<br />

8 국내에서는 이숭녕, 이기문, 김방한 등의 학자들이 알타이어족설에<br />

입각해 국어의 계통 연구


한국어의 계통(11)<br />

알타이제어의 공통 특질론<br />

1 모음조화가 있다.<br />

2 어두의 자음조직이 제약을 받고 있다. cf. 어두에 유음이나 자음군<br />

( 子 音 群 )이 오지 못한다.<br />

3 교착성( 膠 着 性 )을 보여준다.<br />

4 모음교체 및 자음교체에 의한 굴절이 없다. cf. sing-sang-sung<br />

5 관계대명사 및 접속사가 없다.<br />

6 부동사( 副 動 詞 )가 있다. cf. 접속사가 없는 것을 보충하는 방법으로<br />

부동사는 용언에 대해서 부사적 역할만을 하는 동사, 즉 연결어미<br />

를 가진 동사를 말한다.<br />

7 후치사( 後 置 詞 )가 있다. cf. 후치사는 동사․명사와 같은 실사( 實 辭 )<br />

에서 발달하여 그 구실이 격( 格 )과 비슷하게 된 것을 말한다. 븥다<br />

( 附 ) → 브터, 리다( 與 ) → 려


한국어의 계통(12)<br />

람스테트<br />

한국어의 북방민족적 요소<br />

한국어의 남방민족적 요소<br />

한국어의 계통에 대한 잠정적 결론<br />

KBS특별기획 ‘위대한 여정 한국어’<br />

제1부 말의 탄생, 산과 바다를 넘어


한국어의 형성(1)<br />

N. Poppe의가설(1965)<br />

Altaic unity<br />

Chuvash-Turkic-Mongol-Manchu-Tungus unity<br />

Proto-Korean<br />

Chuvash-Turkic unity<br />

Mongolian-Manchu-Tungus unity<br />

Proto-<br />

Turkic<br />

Proto-<br />

Chuvash<br />

Common<br />

Mongolian<br />

Common<br />

Manchu-Tungus<br />

Turkic Chuvash Mongolian Manchu-Tungus Korean<br />

languages language languages languages languages


한국어의 형성(2)<br />

J. Street의의 가설(1962)<br />

)<br />

Proto-North-Asiatic(PNA)<br />

Proto-Altaic(PA)<br />

<br />

<br />

Korean Japanese Ainu


한국어의 형성(3)<br />

【 古 朝 鮮 】<br />

檀 君<br />

王 儉 cf. 신라어 ‘금’( 王 )<br />

阿 斯 達 cf. 고구려어 ‘달’( 山 )<br />

箕 子 朝 鮮 cf. 백제어 ‘ 鞬 吉 支 ’<br />

『 日 本 書 紀 』의 kisi, 광주판 『천자문』의 ‘ 王 긔 왕’


한국어의 형성(4)<br />

중국 史 書 에 나타난 민족의 同 異<br />

▪ 夫 餘 , 高 句 麗 , ( 東 ) 沃 沮 , 濊 의 언어 유사<br />

▪ 肅 愼 , 挹 婁 , 勿 吉 , 靺 鞨 로 이어지는 퉁구스족의<br />

언어는 부여계 언어와 상이<br />

▪ 馬 韓 , 弁 韓 , 辰 韓 의 언어<br />

『 三 國 志 魏 志 東 夷 傳 에서는 辰 韓 과 弁 韓 이 비슷하고 馬 韓 이 이들<br />

『 三 國 志 』 魏 志 東 夷 傳 에서는 辰 韓 과 弁 韓 이 비슷하고 馬 韓 이 이들<br />

과 달랐다고 했으나, 『 後 漢 書 』 東 夷 傳 에서는 辰 韓 과 弁 韓 의 언어<br />

에 차이가 있다고 서술


한국어의 형성(5)<br />

▪『삼국사기』지리지 권37<br />

【고구려】<br />

買 忽 (매홀) 一 云 水 城 (수성)<br />

水 谷 城 郡 (수곡성군) 一 云 買 旦 忽 (매단홀)<br />

∴ 고구려 단어 ‘ * ’[ 水 ], ‘ * 홀’[ 城 ]<br />

▪ 고구려어는 알타이계 언어로서 신라어와 가까우면서<br />

고구려어는 알타이계 언어로서 신라어와 가까우면서<br />

퉁구스제어와도 가까운 일면을 보여주며 고대 일본어와<br />

도 대응되는 측면을 보여준다.


한국어의 형성(6)<br />

▪『삼국사기』지리지 권36<br />

【백제】<br />

扶 餘 郡 (부여군) 本 百 濟 所 夫 里 郡 (소부리군)<br />

∴ 백제어 단어 ‘ * 부리’[ 城 , 村 ]<br />

熊 津 (웅진) ☞ ‘고마 ’ <br />

∴ 백제어 단어 ‘ * 고마’[ 熊 ]<br />

▪ 백제어의 흔적들은 이 언어가 신라어와 가까웠음을 보<br />

여준다.


한국어의 형성(7)<br />

▪『계림유사』 고려 방언<br />

【고려】<br />

面 美 (면미) 曰 捺 翅 朝 勳 (날시조훈)<br />

∴ *<br />

치 됴 (낯이 좋은)<br />

面 醜 (면추) 曰 捺 翅 沒 朝 勳 (날시몰조훈)<br />

∴ * 치 몯 됴 (낯이 못 좋은)<br />

酒 (주) 曰 酥 孛 (수발) *수블<br />

不 善 飮 (불선음) 曰 本 道 安 理 麻 蛇 (본도안리마사)<br />

∴ *본본<br />

아니 마셔


한국어의 형성(8)<br />

이기문 교수의 가설<br />

夫 餘 • 韓 祖 語<br />

原 始 夫 餘 語<br />

原 始 韓 語<br />

高 句 麗 語 百 濟 語 新 羅 語<br />

中 世 國 語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