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188]<br />

[0189]<br />

[0<strong>19</strong>0]<br />

[0<strong>19</strong>1]<br />

[0<strong>19</strong>2]<br />

[0<strong>19</strong>3]<br />

는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 예를 들면 다른 신경보호제 또는 항간질제, 항<br />

경련제와 동반 투여될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뉴런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br />

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펩티드의 하나의 유효량을, 신경보호작용을 부여하거나 발작<br />

또는 간질 발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능력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신경보호 효과를 증대시키는 능력을 갖는<br />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의 유효량과 병용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br />

함한다.<br />

화합물, 치료제 또는 공지된 약물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병용 투여"는 공지<br />

된 약물과 펩티드 배합물이 치료 효과를 가지게 될 때의 약물과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투여를 의미한다. 경우<br />

에 따라서는, 이러한 치료 효과는 상승작용을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동반 투여는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의<br />

투여에 대하여, 약물의 수반 (즉, 동시에), 사전, 또는 후속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br />

는 특정한 약물 및 본 발명의 펩티드의 투여에 관한 적절한 타이밍, 시퀀스 및 용량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없<br />

을 것이다.<br />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는 하나 이상의 하기 특성을 갖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항<br />

산화 활성; NMDA 수용체 길항 활성, 내인성 GABA 저해 증대; NO 신타아제 저해 활성; 철 결합능, 예를 들면, 철<br />

킬레이트제; 칼슘 결합능, 예를 들면, Ca (II) 킬레이트제; 아연 결합능, 예를 들면, Zn (II) 킬레이트제; 환자<br />

의 CNS에서 나트륨 또는 칼슘 이온 채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칼륨 또는 염화물 이온 채널을 개방하는 능<br />

력.<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신경 변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br />

로서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br />

심장 혈관 질환<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심장질환(heart disease)은 많은 상이한 심장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예를 들어, 가<br />

장 일반적인 심장질환인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은 심장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br />

의 수축 또는 협착이 특징적이며, 심근 일부가 죽는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을 유발할 수 있다. 심<br />

부전(heart failure)은 신체에 적절한 양의 혈액을 펌프하는 심장의 무능력에서 기인하는 상태이다. 심부전은<br />

돌연히 또는 갑자기 심장 활동이 멈추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형적으로 수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하여 심장이<br />

효과적으로 혈액을 펌프하는 능력을 점차 잃는 것이다. 심부전의 위험 요소에는 관상동맥질환(coronary heart<br />

disease), 고혈압(hypertension), 판막성 심질환(valvular heart disease), 심근병증(cardiomyopathy), 심근의<br />

질환(disease of the heart muscle), 비만(obesity), 당뇨병(diabetes) 및/또는 심부전의 가족력이 포함된다.<br />

심혈관 질환 및 장애의 예에는 다음이 있다: 동맥류(aneurysm), 안정협심증(stable angina), 불안정협심증<br />

(unstable angina), 협심증(angina pectoris), 혈관신경부종(angioneurotic edema),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br />

valve stenosis), 대동맥류(aortic aneurysm), 부정맥(arrhythmia),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이형증<br />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dysplasia),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뇌동정맥기형(arteriovenous<br />

malformations),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베체트 증후군 (Behcet syndrome), 서맥(bradycardia), 심장<br />

압전(cardiac tamponade), 심비대(cardiomegaly), 울혈성 심근증(congestive cardiomyopathy), 비후형 심근증<br />

(hypertrophic cardiomyopathy), 제한성 심근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경동맥 협착(carotid<br />

stenosis),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처크-스트라우스 증후군(Churg-Strauss syndrome), 당뇨병<br />

(diabetes), 에브스타인 이상(Ebstein's Anomaly), 아이젠멘거 복합(Eisenmenger complex), 콜레스테롤 색전증<br />

(cholesterol embolism), 세균성 심내막염(bacterial endocarditis), 섬유근 형성이상증(fibromuscular<br />

dysplasia), 선천성 심장 결함(congenital heart defects), 심장 질환(heart diseases), 울혈성 심부전<br />

(congestive heart failure), 심장 판막 질환(heart valve diseases), 심장 발작(heart attack), 경막외 혈종<br />

(epidural hematoma), 혈종(hematoma), 경막하(subdural), 힙펠-린도우병(Hippel-Lindau disease), 충혈<br />

(hyperemia), 고혈압(hypertension),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심장 비대(cardiac hypertrophy), 좌<br />

심실비대(left ventricular hypertrophy), 우심실비대(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좌심형성부전증후군<br />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저혈압(hypotension), 간헐성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 허혈성<br />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 외측<br />

연수증후군(lateral medullary syndrome), QT 간격연장증후군(long QT syndrome), 승모판탈출증(mitral valve<br />

prolapse),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피부점막림프절증후군(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심근<br />

- 26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