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51) Int. Cl.<br />

(<strong>19</strong>) <strong>대한민국특허청</strong>(<strong>KR</strong>)<br />

(<strong>12</strong>) <strong>공개특허공보</strong>(A)<br />

A61K 38/22 (2006.01) A61K 38/10 (2006.01)<br />

A61P 3/00 (2006.01) A61P 9/00 (2006.01)<br />

(21) 출원번호 10-2010-7005580<br />

(22) 출원일자(국제출원일자) 2008년09월09일<br />

심사청구일자 없음<br />

(85) 번역문제출일자 2010년03월15일<br />

(86) 국제출원번호 PCT/EP2008/007456<br />

(87) 국제공개번호 WO 2009/033669<br />

국제공개일자 2009년03월<strong>19</strong>일<br />

(30) 우선권주장<br />

07017766.2 2007년09월11일<br />

유럽특허청(EPO)(EP)<br />

전체 청구항 수 : 총 15 항<br />

(11) 공개번호 10-2010-0061476<br />

(43) 공개일자 2010년06월07일<br />

(71) 출원인<br />

몬도바이오테크 래보래토리즈 아게<br />

리히텐슈타인 파두츠 헤렌가스 21 (우:<br />

에프엘-9490)<br />

(72) 발명자<br />

베펙 도리안<br />

독일 82110 게르메링 크리거슈트라쎄 62<br />

카발리 파비오<br />

스위스 체하-6925 젠틸리노 비아 파스퀘 23<br />

(뒷면에 계속)<br />

(74) 대리인<br />

최규팔, 강완식<br />

(54) 치료제로서의 펩티드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ASP-L<br />

YS-PHE 단독 또는 펩티드 PRO-GLY-THR-CYS-GLU-ILE-CYS-ALA-TYR-ALA-AL<br />

A-CYS-THR-GLY-CYS-OH와의 배합물의 용도<br />

(57) 요 약<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본 발명은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br />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치료제로서의 펩티드 화합물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br />

Asp-Lys-Phe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br />

또한, 본 발명은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항동해제, 동결건조보호제, 부형제 및/또<br />

는 희석제와 함께, 펩티드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Asp-Lys-Phe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동<br />

결건조물 또는 액상 완충액 또는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모유 대용품 형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br />

- 1 -


(72) 발명자<br />

카발리 베라<br />

스위스 체하-6925 젠틸리노 비아 파스퀘 23<br />

- 2 -<br />

바허 게랄트<br />

독일 82110 게르메링 마주렌베크 5<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특허청구의 범위<br />

청구항 1<br />

약제에 사용하기 위한 식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Asp-Lys-Phe를 갖는 펩티드.<br />

청구항 2<br />

제 1항에 있어서, 약제에 사용하기 위한 식 Pro-Gly-Thr-Cys-Glu-Ile-Cys-Ala-Tyr-Ala-Ala-Cys-Thr-Gly-Cys-OH<br />

를 갖는 펩티드와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br />

청구항 3<br />

펩티드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Asp-Lys-Phe 및 Pro-Gly-Thr-Cys-Glu-Ile-Cys-Ala-Tyr-Ala-<br />

Ala-Cys-Thr-Gly-Cys-OH 및 이들의 염 및 수화물의 배합물.<br />

청구항 4<br />

제 3항에 있어서, 펩티드들이 배합물에 30 중량% 대 70 중량% 내지 70 중량% 대 3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br />

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물.<br />

청구항 5<br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약제에 사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물.<br />

청구항 6<br />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및 대사<br />

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제 3<br />

항, 제 4항 또는 제 5항에 따른 배합물의 용도.<br />

청구항 7<br />

제 6항에 있어서,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br />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이 AIDS, AIDS 관련 질환, HIV, 카포시 육종, 림프종, 항문 형성이상증, 자궁목 형<br />

성이상증, 치매 복합증, 말초 신경병증, 우울증, 불안, 피로, 빈혈, 저혈소판증, 지방 이상증, 폐고혈압, 소모<br />

증후군, 아스페르길루스증, 비전형 미코박테리움증, 세균혈증, 칸디다증, HCMV 감염, 크립토콕쿠스증, 크립토스<br />

포리듐증, 장염, 히스토플라스마증, 노카르디아증, 뇌염, 진행성 다초점 백색질뇌증, 폐렴, 톡소플라스마증, 결<br />

핵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의 용도.<br />

청구항 8<br />

신생아 (newborn), 유아 (toddler) 및/또는 소아 (infant)에게 경구 투여하기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br />

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에 따른 배합물의 용도.<br />

청구항 9<br />

동결건조 제제 또는 완충 액상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제 3항, 제 4항<br />

또는 제 5항에 따른 배합물의 용도.<br />

청구항 10<br />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항동해제 (cryoprotectant), 동결건조보호제 (lyoprotectant),<br />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제 1항에 따른 펩티드 또는 제 3항에 따른 배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br />

청구항 11<br />

제 10항에 있어서, 동결건조물 또는 액상 완충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br />

청구항 <strong>12</strong><br />

- 3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001]<br />

[0002]<br />

[0003]<br />

[0004]<br />

[0005]<br />

[0006]<br />

[0007]<br />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정맥내투여, 경구 투여 또는 흡입 투여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br />

조성물.<br />

청구항 13<br />

제 10항, 제 11항 또는 제 <strong>12</strong>항에 있어서, 신생아, 유아 및 소아에 대한 경구 전달에 적합한 인공 모유 제제 또<br />

는 모유 대용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br />

청구항 14<br />

제 10항, 제 11항, 제 <strong>12</strong>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br />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br />

는 약제학적 조성물.<br />

청구항 15<br />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br />

사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펩티드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Asp-Lys-Phe 또는 이의 염<br />

및 수화물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암, 자가면역질<br />

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의 치<br />

료 방법.<br />

명 세 서<br />

기 술 분 야<br />

본 발명은 암, 감염성 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br />

예방 및/또는 치료용 치료제로서의 펩티드 화합물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Asp-Lys-Phe (미<br />

엘린 단백질지질 단백질 (Myelin Proteolipid Protein), MPP)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br />

배 경 기 술<br />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 화합물의 동정은 생물학적 검정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활성에 기초할<br />

수 있다. 질환 원인 메카니즘을 모방하는 생물학적 검정은 후보 (candidate) 펩티드의 치료 활성을 테스트하는<br />

데 사용될 수 있다.<br />

다수의 질환의 원인 메카니즘은 생물학적 경로의 과활동성이다.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펩<br />

티드는 생물학적 경로의 과활동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유사하게는, 다수의<br />

질환의 원인 메카니즘은 생체 분자의 과잉 생성이다. 생체 분자의 생성을 감소시키거나 과잉 생성된 생체 분자<br />

의 활성을 차단할 수 있는 펩티드는 생체 분자의 과잉 생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br />

있다.<br />

반대로, 다수의 질환의 원인 메카니즘은 생물학적 경로의 저활동성이다.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br />

있는 펩티드는 생물학적 경로의 저활동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br />

유사하게도, 다수의 질환의 원인 메카니즘은 생체 분자의 생성 부족이다. 생체 분자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저<br />

생성된 생체 분자의 생물학적 활성을 모방할 수 있는 펩티드는 생체 분자의 생성 부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br />

/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br />

본 발명의 목적은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br />

혈관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펩티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br />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의 교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특징, 측면 및 세부 사항은 본 출<br />

원서의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명백하다.<br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본 발명은 펩티드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Asp-Lys-Phe (미엘린 단백질지질 단백질 - MPP)의<br />

- 4 -


[0008]<br />

[0009]<br />

[0010]<br />

[0011]<br />

[00<strong>12</strong>]<br />

[0013]<br />

[0014]<br />

용도, 즉,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br />

환 및 대사성 질환의 약물 요법의 치료제 및 예방 및/또는 치료용 치료제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br />

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결건조물 또는 액상 완충액 또는 인공 모유 제제 형태의 약제학적 제<br />

제도 개시되어 있다. 펩티드는 AIDS, AIDS 관련 질환, HIV, 카포시 육종, 림프종, 항문 형성이상증(anal<br />

dysplasia), 자궁목 형성이상증(cervical dysplasia), 치매 복합증(dementia complex), 말초 신경병증<br />

(peripheral neuropathy), 우울증, 불안, 피로, 빈혈, 저혈소판증(thrombocytopenia), 지방 이상증<br />

(lipodystrophy),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소모증후군(wasting syndrome), 아스페르길루스증<br />

(aspergillosis), 비전형 미코박테리움증(atypical mycobacteriosis), 세균혈증(bacteraemia), 칸디다증<br />

(candidiasis), HCMV 감염, 크립토콕쿠스증(cryptococcosis), 크립토스포리듐증(cryptosporidiosis), 장염, 히<br />

스토플라스마증(histoplasmosis), 노카르디아증(nocardiosis), 뇌염, 진행성 다초점 백색질뇌증(progressive<br />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폐렴, 톡소플라스마증(toxoplasmosis), 결핵 및 이하에 기재된 다른 질환의<br />

예방 및/또는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br />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펩티드와 펩티드 화합물 Pro-Gly-Thr-Cys-Glu-Ile-Cys-Ala-Tyr-Ala-Ala-Cys-Thr-Gly-<br />

Cys-OH의 펩티드 배합물, 및 상기 펩티드 배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br />

암, 종양, 증식성 질환, 악성 종양 및 이들의 전이<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암"은 또한 종양, 증식성 질환, 악성 종양 및 이들의 전이를 말한다. 암질환의 예<br />

로는 선암, 맥락막 흑색종, 급성 백혈병, 청신경초종, 팽대부암종, 항문암종, 성상세포종, 기저세포암종, 췌장<br />

암, 유건종, 방광암, 기관지암종, 비소세포폐암 (NSCLC), 유방암, 버킷 림프종, 자궁체부암종, CUP 증후군 (원<br />

발불명암), 결장직장암, 소장암, 소장 종양, 난소암, 자궁내막암종, 상의세포종, 상피성 암형, 유잉 종양, 위장<br />

종양, 위암, 담낭암, 담낭암종, 자궁암, 자궁경부암, 자궁경부 종양, 교아세포종, 부인과 종양, 이비인후과 종<br />

양, 혈액 종양, 유모세포 백혈병, 요도암, 피부암, 피부 고환암, 뇌종양 (신경교종), 뇌전이, 고환암, 뇌하수체<br />

선종, 카르시노이드, 카포시 육종, 후두암, 배세포 종양, 골육종, 결장직장암종, 두경부 종양 (이비인후 부위의<br />

종양), 결장암종, 두개인두종, 구강암 (구강 부분 및 입술의 암), 중추신경계 암, 간암, 간 전이, 백혈병, 안검<br />

종양, 폐암, 림프절암 (호지킨/비호지킨), 림프종, 위암, 악성 흑색종, 악성 종양, 위장관 악성 종양,<br />

유방암종, 직장암, 수모세포종, 흑색종, 수막종, 호지킨병, 균상 식육종, 비강암, 신경섬유초종, 신경모세포종,<br />

신장암, 신세포암종, 비호지킨 림프종, 희돌기교세포종, 식도암종, 골용해성 암종 및 골형성성 암종, 골육종,<br />

난소암종, 췌장암종, 음경암, 형질 세포종,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종 (SCCHN), 전립선암, 인두암, 직장암종, 망<br />

막모세포종, 질암, 갑상선암종, 슈네베르거병 (Schneeberger disease), 식도암종, 극세포암, T세포 림프종 (균<br />

상 식육종), 흉선종, 관암종, 안종양, 요도암, 비뇨기계 종양, 요로상피암종, 외음부암, 쥐젖, 연부 조직 종양,<br />

연부 조직 육종, 윌름 종양, 자궁경부암종 및 설암이 있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을 암, 증식성 질환, 종양 및 이들의 전이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br />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br />

다.<br />

감염성 질환<br />

고등 척추동물의 면역계는 각종 질환의 병원체인 미생물, 예컨대 박테리아, 진균류 및 바이러스를 포함하여, 척<br />

추동물체에 들어갈 수 있는 각종 항원에 대한 방어 최전선을 나타낸다.<br />

광범위한 면역화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br />

("HIV"), 단순포진 바이러스 ("HSV", 1형 또는 2형), 인유두종 바이러스 ("HPV", 16형 또는 18형), 인간 거대<br />

세포 바이러스 ("HCMV") 또는 인간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HBV", B형; "HCV", C형) 감염은 전세계적인<br />

질병률 및 사망률의 심각한 원인이며, 노화 또는 다른 임상 상태와 관련된 면역 결핍에 걸린 사람의 질병과 사<br />

망의 주요 원인이다. 화합물, 예컨대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을 사용한 항바이러스 화학요법이 임상 감염 (즉,<br />

인플루엔자 감염)의 증상 지속기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약제 내성 변이체의 주요 부작용 및 발생<br />

이 기술되어 있다. 특정한 바이러스 단백질, 예컨대 인플루엔자 뉴라미니다아제를 표적으로 하도록 디자인된<br />

새로운 계열의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표적 단백질을 변이시키는 바이러스의 능력은 특정한<br />

바이러스 폴리펩티드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분자를 이용한 효과적인 치료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바<br />

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br />

- 5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015]<br />

[0016]<br />

[0017]<br />

[0018]<br />

[00<strong>19</strong>]<br />

[0020]<br />

게다가, 세균 감염, 특히 다제 내성 박테리아로 인한 세균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요법이<br />

필요하다. 현재, 세균 감염은 각종 항생제로 치료된다. 항생제가 각종 세균 감염의 치료에 효과적이거나 효과<br />

적일 수 있지만, 항생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하여 다수의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면, 일부 개인들은 특정<br />

한 항생제에 대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며, 다른 개인들은 심각한 부작용으로 고통받는다. 또한, 세균 감<br />

염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연속 사용하면, 박테리아의 항생제 내성 균주 생성의 원인이 된다.<b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회감염을 포함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br />

다.<br />

감염성 질환의 예로는 AIDS, 다방포충증 (AHD, 포충증), 아메바증 (이질 아메바 (Entamoeba histolytica)<br />

감염), 안지오스트론길루스 (Angiostrongylus) 감염, 아니사키스증, 탄저병, 바베시아증 (바베시아 감염), 발란<br />

티듐 감염 (발란티듐증), 바일리스아스카리스 (Baylisascaris) 감염 (미국너구리 회충), 빌하르츠 주혈흡충증<br />

(주혈흡충증), 블라스토시스티스 호미니스 감염 (Blastocystis hominis infection) (블라스토마이세스증), 보렐<br />

리아증, 보툴리누스 중독증, 브레이너드 (Brainerd) 설사, 브루셀라증, 소해면상뇌증 (BSE), 칸디다증, 카필라<br />

리아증 (카필라리아 감염), 만성 피로 증후군 (CFS), 샤가스병 (아메리카 트리파노소마증), 수두 (수두 대상포<br />

진 바이러스), 폐렴 클라미디아 감염, 콜레라,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JD), 간흡충증 (간흡충 감염), 피부유충<br />

이행증 (CLM) (구충 감염),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 결막염, 콕사키 바이러스 A16 (수족구병), 크립토콕쿠스증,<br />

크립토스포리듐 감염 (크립토스포리듐증), 빨간집모기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벡터), 원포자충증 (사이클로스포<br />

라 감염), 낭미충증 (신경낭미충증),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 뎅기 / 뎅기열, 개조충 감염 (개, 고양이 벼<br />

룩 촌충), 에볼라 바이러스 출혈열, 뇌염, 대장 아메바 감염, 동형아메바 감염, 작은아메바 감염, 이질 아메바<br />

감염 (아메바증), 폴레키아메바 감염, 요충증 (요충 감염), 장 바이러스 감염 (비폴리오), 엡스타인-바 바이러<br />

스 감염, 대장균 감염, 식품 매개 (foodborne) 감염, 족구병, 진균성 피부염, 위장염, A군 연쇄구균 감염증, B<br />

군 연쇄구균 감염증, 한센병 (leprosy), 한타바이러스 폐 증후군, 머릿니 감염 (이감염증), 헬리코박터 파이로<br />

리 감염, 혈액 질환, 헨드라 바이러스 감염, 간염 (HCV, HBV), 대상 포진 (띠헤르페스), HIV 감염, 인간 에를리<br />

히증,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인플루엔자, 이소스포라증 (이소스포라 감염), 라사열, 리슈마니아<br />

증, 칼라아자르 (칼라아자르, 리슈마니아 감염), 이 (몸이, 머릿니, 사면발이), 라임병, 말라리아, 마르부르크<br />

출혈열, 홍역, 수막염, 모기 매개 질환, 조형 결핵균 복합체 (MAC) 감염, 네글레리아 감염, 원내 감염, 비병원<br />

성 장아메바 감염, 회선사상충증 (강변 실명증), 오피스토르키스 감염증 (오피스토르키스 감염), 파르보바이러<br />

스 감염, 페스트, 주폐포자충 폐렴 (PCP), 급성 회백수염, Q열, 광견병,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 감염,<br />

류마티스 열, 리프트 계곡 열, 강변 실명증 (회선사상충증), 로타바이러스 감염, 회충 감염, 살모넬라증, 살모<br />

넬라 엔테리티디스, 옴, 시겔라증, 띠헤르페스, 수면병, 천연두, 연쇄구균 감염, 촌충 감염 (조충 감염), 파상<br />

풍, 독소성 쇼크 증후군, 결핵, 궤양 (소화성 궤양 질환), 계곡 열, 장염비브리오균 감염, 패혈증비브리오균 감<br />

염, 바이러스성 출혈열, 쥐젖, 수인성 감염성 질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 (웨스트 나일 뇌염), 백일해,<br />

황열병이 있다.<br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프리온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br />

프리온은 핵산 게놈을 갖고 있지 않는 감염체이다. 단백질이 단독으로 감염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br />

프리온은 "핵산을 변성시키는 방법에 의해 불활성화에 저항하는 작은 단백질성 감염 입자"로서 정의되어 있다.<br />

단백질 단독으로 감염성 질환을 전염시킬수 있다는 발견은 과학계에 있어서 상당한 놀라움이었다. 프리온병은<br />

피질 및 소뇌에 큰 공포를 갖는 뇌의 사후 외관 때문에, 종종 "전염성 해면상 뇌증"으로 불리운다. 대개는 대<br />

부분의 포유동물 종이 이들 질환을 발병시킨다. 프리온병은 인간 및 동물의 신경변성 장애 그룹이며, 프리온병<br />

은 산발성, 유전성 또는 감염성 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 외인성 감염에 의해 감염된 프리온병의 예로는 소의<br />

소해면상뇌염 (BSE) 및 BSE로 인한 새로 분류된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vCJD), 및 동물의 스크라피가 있다.<br />

인간 프리온병의 예로는 쿠루,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sCJD), 가족성 CJD (fCJD), 의원성 CJD (iCJD), 게<br />

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 (GSS) 병,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 (FFI), 및 특히 새로 분류된 변종 CJD (nvCJD<br />

또는 vCJD)을 들 수 있다.<br />

용어 "프리온"은 전염성 해면상 뇌증의 근거가 되는 병원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프리온은 바이러스 및 비<br />

로이드와는 상이한 새로운 감염 입자인 것으로 제안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의 불활성화 방법, 예컨대 열, 방사<br />

선 및 프로테아제에 저항하는 1개의 독특한 단백질로만 구성되어 있다. 후자의 특성에 의해, 프리온 단백질의<br />

"프로테아제 내성 이소형"이라는 용어가 산출되었다. 프로테아제 내성 이소형은 정상 프리온 단백질의 비정상<br />

형태로의 전환을 서서히 촉매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br />

- 6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021]<br />

[0022]<br />

[0023]<br />

[0024]<br />

[0025]<br />

[0026]<br />

[0027]<br />

[0028]<br />

[0029]<br />

[0030]<br />

프리온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용어 "이소형"은 매우 상이한 3차 구조를 갖는 분자로 접힐 수 있는 완전히 동일한<br />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2개의 단백질을 의미한다. 프리온 단백질의 정상 세포 이소형 (PrP c<br />

)은 고 α-헬릭스 함<br />

량 및 저 β-시트 함량을 가지며, 프로테아제 소화에 민감하다. 질환을 일으키는 비정상 이소형 (PrP Sc<br />

)은 더<br />

낮은 α-헬릭스 함량 및 훨씬 더 높은 β-시트 함량을 가지며, 프로테아제 소화에 대하여 훨씬 더 내성을 나타<br />

낸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프리온병"은 전염성 해면상 뇌증을 말한다. 프리온병의 예로는 스크라피 (양, 염<br />

소), 전염성 밍크 뇌증 (TME; 밍크), 만성 소모성 질병 (CWD; 뮬사슴, 사슴, 엘크), 소해면상뇌증 (BSE; 젖소,<br />

축우),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JD), 변종 CJD (vCJD),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sCJD), 가족성 CJD<br />

(fCJD), 의원성 CJD (iCJD,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병 (GSS),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 (FFI), 및 쿠루를<br />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BSE, vCJD, 및 CJD를 들 수 있다.<br />

AIDS<br />

AIDS는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을 나타낸다. AIDS는 실질적으로 100% 치사율의 새로운 의학 증후군에 대해 역<br />

사적으로 선택된 명칭이다.<br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 (HIV-1)이 AIDS에 관여한다. HIV-1은 렌티바이러스이다. HIV-1은 바람직하게는 AIDS<br />

환자에서 손실되는 CD4+ 세포를 감염시킨다. AIDS 환자에서, 혈액 중의 13% 이하의 림프구 및 단핵구가 감염된<br />

것으로 관찰되었다. HIV-1 양성인 무증상의 사람의 혈액으로부터 감염성 바이러스 및 바이러스 DNA가 93% 내지<br />

100% 확률로 회수될 수 있고, AIDS 환자로부터 100% 확률로 회수될 수 있다.<br />

렌티바이러스<br />

다음 표 1은 렌티바이러스 패밀리의 구성원의 개요를 제공한다.<br />

표 1<br />

렌티바이러스<br />

바이러스 숙주 질환<br />

EIAV 말 빈혈, 소모성 질환<br />

VMV 양 폐렴, 소모성 질환, 관절염, 유방염, 뇌염<br />

CAEV 염소 관절염, 유방염, 뇌염<br />

BIV 소 없음<br />

FIV 고양이 면역결핍, 뇌염, 소모성 질환<br />

SIVs 다양한 아프리카 원숭이 종 없음<br />

HIV-1, HIV-2 인간 면역결핍, 폐렴, 뇌병증, 소모성 질환, 위장병증,<br />

신장병증<br />

HIV-1 감염자의 수에 관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매일 약 16,000명의 인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며, 새로운 사례의<br />

95%가 개발도상국 (대부분 아프리카)에서 발생한다. 2백 6십만 명을 넘는 인구가 매년 AIDS로 사망한다. 미국<br />

의학 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4천 5백만 명의 인구가 HIV-1에 감염된다. 매년 AIDS 관련 질환으로 사<br />

망하는 2백 6십만 명이 넘는 인구 중에, 550,000명이 15살 미만의 어린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새로운 치료의 도<br />

입으로 평균 여명이 상당히 증가하였지만, AIDS 만연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가 어렵다.<br />

비인간 영장류에서 HIV-1의 기원은 카메룬 서부에서 일부 지리학적으로 분리된 침팬지 군집을 감염시킨 시미안<br />

(simian) 바이러스인 SIVcpz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HIV-1 원종은 아마도 혈액 전파성 감염을 통하여 침팬지로<br />

부터 인간 사냥꾼으로 감염되었을 것이다. 비인간 영장류로부터의 HIV-1 및 관련 바이러스의 계통 발생 분석으<br />

로, 20세기 초에 3가지의 독립적인 감염 사례가 3개의 HIV-1 그룹을 발생시킨 것으로 제안되어 있다: 메이저<br />

(major) (M, <strong>19</strong>15년 내지 <strong>19</strong>41년), 아웃라이어(outlier)<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O)와, 넌메이저(nonmajor) 및 넌아웃라이너<br />

(nonoutlier) (N). M 및 N 그룹에 관련된 스트레인이 침팬지에서 관찰되었지만, 최근의 증거로, 그룹 O HIV-1이<br />

이 그룹의 가장 가까운 관계가 확인된 고릴라에서 기원한 것일 수 있음이 제안되었다. 그 다음, 바이러스가 자<br />

이르 킨샤사에 있는 콩고강을 따라 인간 중에 전파된 것으로 추측되며, 인간에 있어서의 최초 HIV-1 감염의 사<br />

- 7 -


[0031]<br />

[0032]<br />

[0033]<br />

[0034]<br />

[0035]<br />

례 (그룹 M 스트레인)는 <strong>19</strong>59년의 혈액 샘플로 거슬러 올라간다.<br />

HIV-1에는 빠른 바이러스 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몇 가지 고유의 메카니즘이 있다. HIV의 역전사효소는 이것이<br />

만든 DNA 전사체가 RNA 코드의 정확한 카피인지 확인하는 능력인 교정(proofreading) 활성이 없으며, 이는 복제<br />

주기당 염기쌍당 약 3.4x10 -5<br />

개의 돌연변이체의 돌연변이률을 부여한다. HIV 게놈이 10 4<br />

개의 염기쌍의 길이이<br />

고 바이러스 생성 기준 속도가 하루에 약 10 10<br />

개의 비리온(virion)인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임의의 감염된 사<br />

람에서 수백만 개의 바이러스 변이체가 하루에 생성된다. HIV-1 재조합은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를 추가로 유<br />

발할 수 있으며, 한 사람이 동일한 세포에서 증식하는 2개의 다른 바이러스 스트레인에 동시감염되는 경우에 발<br />

생한다.<br />

HIV-1은 구조 단백질 외에, gag, pol 및 env 몇몇 조절 유전자를 코딩하는 복합 레트로바이러스이다. 특히, Rev<br />

라 불리는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의 트랜스-작용 조절자가 HIV 복제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HIV-1 Rev 단백질은<br />

핵소체(nucleoli)에서 정상 상태로 축적되는 핵 인단백질이며, 핵과 세포질 분획 사이를 왕복하는 능력이 있다.<br />

Rev 단백질 내에는, 이의 생물학적 활성에 필수적인 별개의 생물학적 도메인이 존재한다. Rev에 대한 시스-작용<br />

표적은 HIV-1 RNA에 위치한 Rev 반응 요소(RRE)로 명명된 고도로 구조화된 서열 요소이다. HIV-1 RNA를 핵으로<br />

부터 단백질 번역이 일어나는 세포질로 내보내기 위한 방법에서, Rev는 단량체로서 HIV-1 RNA에 결합함에 따라<br />

다량체화한 다음, 세포에 의해 코딩되는 공동인자와 상호작용한다. 진핵생물 개시 인자 5A (eIF-5A)는 HIV-1<br />

Rev NES에 직접적이며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세포 리보솜에 대한 HIV 게놈 캐리어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

HIV-1 분류<br />

그룹 M은 우세한 순환 HIV-1 그룹이다. 이는 문자로 표시되는 서브타입과 숫자로 표시되는 서브-서브타입으로<br />

분류되어 있다. 서브타입 A1, A2, A3, A4, B, C, D, F1, F2, G, H, J 및 K가 현재 알려져 있다. 분기군(clad<br />

e)으로도 불리는 HIV-1 서브타입은 서로 대략 동일한 유전적 거리의 HIV-1의 계통발생적으로 연결된 스트레인이<br />

며; 일부 경우에, 서브타입은 지리적 및 역학적으로도 관련되어 있다. 서브타입 내에서 유전적 변이는 15 내지<br />

20%일 수 있는 반면, 서브타입 사이의 변이는 통상 25 내지 35%이다. 지난 10년 동안, HIV의 전체 게놈 시퀀싱<br />

에서의 발전으로 순환 재조합 형태 및 고유 재조합 형태(각각 CRF 및 URF)가 동정되었다. 이들은 이중으로 감염<br />

된 사람 내에서의 서브타입 사이의 재조합의 결과이며, 이후 재조합 형태는 이로부터 다른 사람으로 전달된다.<br />

재조합 결과물은 이들이 직접적인 역학적 관련 없이, 3명 이상의 사람에서 확인된다면 순환 재조합 형태로 분류<br />

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고유 재조합 형태로 분류된다.<br />

표 2<br />

HIV-1의 계통발생학적 분류<br />

분류 정의 예<br />

서브타입 또는 분기군 나무상보다는 별상을 생성하는 본질 서브타입 A, B, C, D, F, G, H,<br />

적으로 계통발생학적으로 등거리인 J 및 K가 현재 알려져 있다; A<br />

유전적으로 관련된 HIV-1 스트레인, 내지 D가 매우 일반적이며, 다른<br />

계통발생론<br />

것들은 유병률이 낮거나 지리적<br />

분포가 제한적이다<br />

서브-서브타입 서브타입 내의 다른 계통; 서브-서브 서브타입 A 및 F는 각각 서브-서<br />

타입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서브타입 브타입 A1 내지 A4 및 F1 및 F2<br />

사이의 것보다 더 작다.<br />

로 하위 분류된다; 이들은 대부분<br />

중앙아프리카 및 서아프리카에서<br />

순환한다<br />

서브타입내 재조합 형태 게놈에서 교대하는 둘 이상의 서브타 혼합된-서브타입 유행병에서 일반<br />

입의 분절을 지니는 모자이크 스트레 적이다; 하나 이상의 HIV-1 서브<br />

인<br />

타입으로의 사람의 감염에서 기인<br />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br />

순환 재조합 형태 한 집단에서 전파되는 특정 재조합<br />

형태; 직접적인 역학적 연결 없이 3<br />

명의 사람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br />

경우 새로운 형태가 정의된다; 할당<br />

된 명칭은 발견 순서 및 서브타입 조<br />

성을 반영하며, "cpx"는 셋 이상의<br />

서브타입을 포함하는 형태를 나타낸<br />

다.<br />

- 8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현재, 43개의 형태가 공지되어 있<br />

다;<br />

CRF01_AE 및 CRF02_AG가 각각 동<br />

남아시아 및 서아프리카에서 주로<br />

관찰되었고; 다른 것들의 분포는<br />

더 제한적이이다


[0036]<br />

[0037]<br />

[0038]<br />

[0039]<br />

[0040]<br />

[0041]<br />

고유 재조합 형태 서브타입내 재조합 형태는 오직 한 부분 또는 완전 게놈 서열을 기초<br />

사람으로부터 회수된다.<br />

로 수백 개의 형태가 공지되었다;<br />

이들의 유행적 전파 가능성은 알<br />

려지지 않았다.<br />

지리학적으로 다른 계통 계통발생학적으로 구별가능한 종종 타이인 B, 인도인 C, 서아프리카<br />

지역-특이적인 계통; 서브-서브타입 인 대 동아프리카인 D 및 구소련<br />

과 달리, 이들은 서브타입 내에서 계 A(FSU-A)<br />

통발생학적으로 등거리가 아니다.<br />

HIV-1 서브타입에 의한 수용체 이용 및 질환 진행<br />

바이러스 서브타입의 차별적인 특성 및 인간 숙주와 이들의 상호작용은 HIV 감염 및 질환 진행에 영향을<br />

미친다. 케모카인 공동수용체 CCR5를 사용할 수 있는 HIV 스트레인 (R5 바이러스)은 CXCR4 공동수용체를 사용하<br />

는 스트레인 (X4 바이러스)보다 더 빈번하게 감염되고; X4 바이러스는 감염된 환자에서 더 나중에 나타나고, 더<br />

빠른 질환 진행과 관련된다. 모든 HIV-1 서브타입은 두 공동수용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서브타입 D가 가장 빈<br />

번하게 이중-친화성(dual-tropic)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R5X4 바이러스). 심지어 바이러스가 AIDS가 진<br />

행된 환자로부터 수득된 경우에도 X4 바이러스 퍼센트가 서브타입 B에서보다 서브타입 C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br />

타난다. 모자 감염에서의 초기 데이터는 서브타입 C가 서브타입 B 보다 더 빈번하게 감염되는 것을 암시하였다.<br />

서브타입 차이는 다양한 질환 진행 속도를 유발한다. 서브타입 A에 감염된 사람에서보다 재조합 형태 또는 다수<br />

의 서브타입을 지닌 서브타입 D에 감염된 사람에서 HIV-1 질환이 더 빨리 진행하며 사망 위험이 더 크다. 다른<br />

서브타입보다 더 큰 이중-친화성 정도를 보유하는 서브타입 D의 경향은 서브타입 D가 다른 HIV-1 서브타입보다<br />

더 빠른 질환 진행 속도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관찰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br />

서브타입에 따라 달라지는 숙주와 HIV-1 사이의 상호작용이 또한 중요하다. 특정 HLA 클래스 I형을 갖는 숙주에<br />

서 HIV-1 감염 및 질환 진행에서의 공지된 차이는 감염 HIV-1 서브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감염된 사람에<br />

서, HIV-1에 특이적인 T 세포는 교차-서브타입 특이성을 가질 수 있으며, 초기 반응을 생성하는 것 이외의 서브<br />

타입 내의 바이러스 에피토프를 인지할 수 있다. 서브타입 B에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수득되는 CD8+ T 세포는 서<br />

브타입 A, B 및 C의 게놈으로부터의 공통 서열의 보존된 영역 내의 바이러스 에피토프를 인지한다. 그러나, 면<br />

역 반응은 감염 서브타입에 대하여 가장 큰 경향이 있으며, CD8+ T-세포 반응은 시간에 따라 약해질 수 있다.<br />

치료법에 대한 반응<br />

현재 HIV 감염을 치료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약제가 있다.<br />

표 3<br />

FDA 항레트로바이러스제 승인일<br />

약물 상품명 판매처 승인일 클래스<br />

AZT<br />

레트로비르 Burroughs-Wellcome <strong>19</strong>87년 NRTI<br />

(지도부딘(zidovudine))<br />

ddI<br />

(디다노신(didanosine))<br />

ddC<br />

(잘시타빈(zalcitabine)) *<br />

d4T<br />

(스타부딘(stavudine))<br />

3TC<br />

(Retrovir)<br />

비덱스<br />

(Videx)<br />

(현재는<br />

GlaxoSmithKline)<br />

Bristol-Myers<br />

(현재는 Bristol-Myers<br />

Squibb)<br />

3월 <strong>19</strong>일<br />

<strong>19</strong>91년<br />

10월 9일<br />

HIVID * Hoffmann-LaRoche <strong>19</strong>92년<br />

6월 <strong>19</strong>일<br />

제리트<br />

(Zerit)<br />

에피비르<br />

(라미부딘(lamivudine)) (Epivir)<br />

사퀴나비르 (saquinavir) (SQV) 인비라제<br />

(Invirase)<br />

리토나비르 (ritonavir) (RTV) 노르비르<br />

(Norvir)<br />

- 9 -<br />

Bristol-Myers Squibb<br />

(BMS)<br />

GlaxoSmithKline<br />

<strong>19</strong>94년<br />

6월 24일<br />

<strong>19</strong>95년<br />

(GSK)<br />

11월 17일<br />

Hoffmann-LaRoche <strong>19</strong>95년<br />

<strong>12</strong>월 6일<br />

Abbott <strong>19</strong>96년<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3월 1일<br />

NRTI<br />

NRTI<br />

NRTI<br />

NRTI<br />

PI<br />

PI


[0042]<br />

[0043]<br />

인디나비르 (indinavir) (IDV) 크릭시반<br />

(Crixivan)<br />

네비라핀 (nevirapine) 비라문<br />

(Viramune)<br />

넬피나비르 (nelfinavir) (NFV) 비라셉트<br />

(Viracept)<br />

델라비르딘 (delavirdine) (DLV) 레스크립토르<br />

(Rescriptor)<br />

AZT/3TC 콤비비르<br />

(Combivir)<br />

포르토바세 *<br />

사퀴나비르 sgc *<br />

(Fortovase)<br />

에파비렌즈 (efavirenz) (EFV) 수스티바<br />

(Sustiva)<br />

아바카비르 (abacavir) (ABC) 지아젠<br />

(Ziagen)<br />

암프레나비르 (amprenavir) 아제네라제<br />

(Agenerase)<br />

로피나비르 (lopinavir) (LPV)/ 칼레트라<br />

리토나비르 (ritonavir) (Kaletra)<br />

ddI 장용 코팅 비덱스 EC<br />

(Videx EC)<br />

AZT/3TC/ABC 트리지비르<br />

테노포비르 (tenofovir)<br />

(Trizivir)<br />

DF 비레드<br />

(TDF)<br />

(Viread)<br />

엔푸비르티드 (enfuvirtide) (T- 푸제온<br />

20)<br />

(Fuzeon)<br />

아타자나비르 (atazanavir) 레야타즈<br />

FTC<br />

(Reyataz)<br />

(엠트리시타빈 엠트리바<br />

(emtricitabine))<br />

(Emtriva)<br />

ABC/3TC 에프지콤<br />

(Epzicom)<br />

FTC/테노포비르 (tenofovir) DF 트루바다<br />

포사프므레나비르<br />

(Truvada)<br />

렉시바<br />

(fosapmrenavir)<br />

(Lexiva)<br />

티프라나비르 (tipranavir) 아프티부스<br />

(Aptivus)<br />

다루나비르 (darunavir) 프레지스타<br />

TDF/3TC/<br />

(Prezista)<br />

아트리플라<br />

Merck <strong>19</strong>96년<br />

3월 13일<br />

Boehrigner Ingelheim <strong>19</strong>96년<br />

Agouron<br />

(현재는 Pfizer)<br />

Pharmacia & Upjohn<br />

6월 21일<br />

<strong>19</strong>97년<br />

3월 14일<br />

<strong>19</strong>97년<br />

(현재는 Pfizer) 4월 4일<br />

GSK <strong>19</strong>97년<br />

9월 27일<br />

Hoffmann-LaRoche <strong>19</strong>97년<br />

Dupont<br />

11월 7일<br />

<strong>19</strong>98년<br />

(현재는 BMS)<br />

9월 17일<br />

GSK <strong>19</strong>98년<br />

<strong>12</strong>월 17일<br />

GSK <strong>19</strong>99년<br />

4월 15일<br />

Abbott 2000년<br />

9월 15일<br />

BMS 2000년<br />

10월 31일<br />

GSK 2000년<br />

11월 14일<br />

Gilead 2001년<br />

Hoffmann-LaRoche<br />

10월 26일<br />

2003년<br />

/Trimeris<br />

3월 13일<br />

BMS 2003년<br />

6월 20일<br />

Gilead 2003년<br />

7월 2일<br />

GSK 2003년<br />

8월 2일<br />

Gilead 2003년<br />

8월 2일<br />

GSK 2003년<br />

10월 20일<br />

Boehrigner Ingelheim 2005년<br />

Johnson & Johnson<br />

/Tibotec<br />

Gilead/BMS<br />

6월 22일<br />

2006년<br />

6월 23일<br />

2006년<br />

PI<br />

NNRTI<br />

PI<br />

NNRTI<br />

NNRTI<br />

PI<br />

NNRTI<br />

에파비렌즈 (efavirenz) (Atripla) [Gilead/세계의 다수에서 7월 <strong>12</strong>일<br />

Merck]<br />

1 NNRTI<br />

*연질 겔 캡 사퀴나비르 (포르토바세) 및 잘시타빈 (HIVID)는 2006년 2월 15일자로 Roche에 의해 중<br />

단되었다.<br />

NRTI<br />

PI<br />

PI<br />

NRTI<br />

NRTI<br />

NRTI<br />

EI<br />

PI<br />

NRTI<br />

NRTI<br />

NRTI<br />

PI<br />

PI<br />

PI<br />

2 NRTI/<br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감염의 오직 <strong>12</strong>%만이 대부분 연구한 서브타입, B에 의해 유발되고; 일반적인 HIV<br />

감염의 50%와 모든 새로운 HIV-1 감염의 47%가 서브타입 C와 함께인 점 때문에, HIV-1 서브타입이 항레트로바이<br />

러스 치료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닌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비-B 서브타입에 대한 임상 데이<br />

터의 유효성에서의 이러한 모순은 수년 전까지 많은 나라에서 HIV-1의 비-B 서브타입을 주로 사용한 항레트로바<br />

이러스 치료를 이용할 수 없었던 사실에 의해 심화되었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아프리카의 치료 코호트(cohort)의 초기 데이터에서 두 가지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첫번째는, HIV-1의 특정 서<br />

- 10 -


[0044]<br />

[0045]<br />

[0046]<br />

브타입이 다른 것들보다 더 빠르게 전파 또는 진행될 수 있어 치료 결정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고, 두번째는<br />

서브타입 B의 연구로부터 유래한 기준 항레트로바이러스 감수성에 대한 데이터가 비-B 서브타입에 적용할 수 없<br />

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저해제에 대한 고유 내성을 갖는 2형 HIV 및 HIV-1의<br />

그룹 O 스트레인에 의해 예시된다.<br />

현재의 높은 의학적 요구 때문에, HIV-1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새로운 화합물 또는 백신이 개발되고<br />

있다.<br />

표 4<br />

표 5<br />

- 11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047]<br />

[0048]<br />

표 6<br />

표 7<br />

- <strong>12</strong>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049]<br />

[0050]<br />

[0051]<br />

[0052]<br />

[0053]<br />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법에 대한 내성<br />

표 8<br />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법에 대한 HIV 내성은 다음과 같이 2개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새로 감염된 사람에 의<br />

한 HIV의 약물-내성 스트레인의 획득을 나타내는 일차 내성; 및 HIV 치료기간 후에 발생되는 이차 또는 획득 내<br />

성.<br />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역전사효소 저해제 (NRTI),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저해제 (NNRTI) 및 프로테아제 저<br />

해제 (PI)로 구성되는 고 활성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법 (HAART)은 내성 바이러스 스트레인의 빠른 출현을 수반<br />

한다. 일부 환자에서, 내성 HIV-1의 복제는 더 독성인 HIV-1의 변이체의 출현을 유발하고, 이는 가속화된 CD4+<br />

세포의 손실과 관련되며, 질환 진행 및 사망의 위험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내성은 불완전하게 억제하는 치료<br />

법의 선택적 압력의 결과로서 출현하며, HIV-1 역전사효소 및 프로테아제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에 의해 결정된<br />

다. 일차 돌연변이는 표적에 대한 약물의 결합을 바꾸어, 효소를 저해하는 데 필요한 약물의 양을 증가시킨다.<br />

이차 돌연변이는 일차 감염을 갖는 바이러스의 적응도를 개선시킴으로써 내성을 증가시킨다. NRTI의 경우에, 돌<br />

연변이 M148V는 높은 수준의 내성을 유발하는 주요 돌연변이의 일례이다. 추가의 돌연변이 위치는 M41L, K70R,<br />

T215Y (지도부딘), L74V (디다노신), T69D (잘시타빈), Y115F (아바카비르)를 포함한다. 전체 NRTI 클래스에<br />

대한 교차-내성을 부여하는 다중약물 내성이 잘 알려져 있다 (Q151M 및 삽입 돌연변이 T69SSS). 교차-내성은 또<br />

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3개의 NNRTI 에파비렌즈, 네비라핀 및 델라비르딘에서 심하며 역전사효소 유전자에서<br />

K103N 돌연변이를 발현하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이들을 불활성으로 만든다. K103N 돌연변이는 약물-결합 주머니<br />

(pocket)의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작용한다. 이러한 약물 클래스에 대하여, "첫번째 샷(first shot)"은 대부분<br />

종종 "유일한 샷(only shot)"이다. 또한, PI 사이의 교차-내성은 예외라기보다는 규칙이다 (인디나비르 및 리토<br />

나비르는 대체로 동일한 내성 패턴을 가지며 - K20M, V32I, M36I, M46I, I54V, L63P, A71V, V82A/T/F, I84V,<br />

L90M - 사퀴나비르-내성 스트레인은 또한 다른 PI- L10I, K20M, I84V, L90M에 대하여 교차-내성을 나타낸다).<br />

심지어, 숙주 세포에 대한 바이러스의 융합을 저해하는 HIVgp41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36개 아미노산 펩티드인<br />

T20과 같은 항 HIV-1 약물에 대해서도, 내성이 이미 입증되어 있다. 또한, HAART에 있는 환자는 체지방 재분배<br />

및 글루코오스 대사 및 심혈관 분야에서 췌장염, 말초 신경병증, 간독성, 당뇨병 또는 대사 이상을 비롯한 장기<br />

간 부작용에 직면한다. 상기 언급된 약물 독성을 경험한 많은 환자를 위하여, 구조화 치료 중단의 필요를 피할<br />

수 없다 ("휴약기(drug holiday)").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억제된 바이러스가 되살아날 수 있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본 발명에 기술된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특히 하이드록시우레아; 안트라퀴논, 퀴날리자린<br />

(quinalizarin), L-키코르산(L-chicoric acid), 디카페오일퀸산(dicaffeoylquinic acid)과 같은 인테그라제 저<br />

해제; 디티안 화합물과 같은 아연 핑거 저해제; 인터루킨-2, 인터페론-알파, 인터페론-베타, GM-CSF, G-CSF와<br />

같은 면역조절제; 각 레트로바이러스, 특히 HIV-1 또는 HIV-2의 살아있는, 약화 및 복제 무능 바이러스; 사멸,<br />

- 13 -


[0054]<br />

[0055]<br />

[0056]<br />

[0057]<br />

[0058]<br />

[0059]<br />

[0060]<br />

[0061]<br />

[0062]<br />

[0063]<br />

[0064]<br />

[0065]<br />

[0066]<br />

[0067]<br />

[0068]<br />

[0069]<br />

[0070]<br />

[0071]<br />

불활성화 바이러스; 엔벨롭 서브유닛 단백질; 코어 서브유닛 단백질; 펩티드; 핵산을 비롯한 치료 백신 전략;<br />

안티센스 또는 우성-음성 Rev 돌연변이체와 같은 항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치료법과 결합될 수 있다.<br />

하기 열거된 것은 HIV-1 감염과 관련된 질환이다:<br />

악성 종양<br />

· 항문 형성이상증/암<br />

· 자궁목 형성이상증/암<br />

· 카포시 육종 (KS)<br />

· 림프종<br />

신경 증상<br />

· AIDS 치매 복합증<br />

· 말초 신경병증<br />

기타 증상 및 합병증<br />

· 아프타성 궤양(apthous ulcer)<br />

· 우울증 및 불안<br />

· 피로 및 빈혈<br />

· 구역질 및 설사<br />

· 혈소판 감소증<br />

· 소모증후군 및 지방이영양증<br />

HIV-1로 감염된 개인은 일차 및 이차 신경장애 및 신경행동 장애 모두에 대한 위험이 있다. 일차 장애는 중추<br />

신경계 (CNS)에서의 HIV-1의 영향의 결과로 발생하며; 한편, 이차 장애는 통상 면역계 결핍 또는 치료 효과의<br />

결과로 발생한다. HIV-1 감염과 관련된 신경행동 장애는 이미 존재하거나 새로 발병한 정신 및 감정 장애에 의<br />

하여 악화될 수 있다. HIV-1 감염과 관련된 신경 및 특히 신경행동 장애에서의 임상 시험은 방법론적 논점 및<br />

논쟁뿐 아니라 불명확한 질병 분류학에 의해 복잡해질 수 있다.<br />

기회 질환 또는 악성 종양<br />

아스페르길루스증<br />

비전형 미코박테리움증<br />

세균혈증<br />

칸디다증<br />

CMV<br />

크립토콕쿠스증<br />

크립토스포리듐증 - 이소스포라증<br />

장염, 비-특이적 4<br />

헤르페스(전신)<br />

히스토플라스마증<br />

카포시 육종<br />

림프종<br />

노카르디아증<br />

페니실륨증<br />

진행성 다초점 백색질뇌증(PML) 또는 HIV 뇌염<br />

뉴모시스티스 카리니(pneumocystis carinii) 폐렴<br />

폐렴<br />

표 9<br />

AIDS-관련 질환은 다음과 같이 기재된다:<br />

- 14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072]<br />

[0073]<br />

[0074]<br />

[0075]<br />

[0076]<br />

[0077]<br />

[0078]<br />

[0079]<br />

[0080]<br />

[0081]<br />

[0082]<br />

[0083]<br />

[0084]<br />

톡소플라스마증<br />

결핵<br />

HIV-1 관련 신경 장애에 대한 최근 연구의 다음 정보에서, AIDS 관련 신경행동 장애 및 이차 HIV-관련 신경 장<br />

애의 간단한 설명에 중점을 둔 진단 및 치료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또한 하기에<br />

기술되는 기회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br />

HIV-1 관련 신경 및 신경행동 장애<br />

일차 장애<br />

HIV-1은 중추신경계(CNS)에 직접적으로 침입할 수 있다. CNS에서의 바이러스감염은 대부분 종종 단핵 미세아교<br />

세포 및 다핵 거대세포에서 관찰된다. 신경 손실은 통상 뉴런 그 자체에서가 아닌 주위 세포에서 HIV-1의 존재<br />

에 의해 일어난다. 제안된 메카니즘이 신경 기능을 방해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 신경독성인 비정상 신경전달물<br />

질 대사물의 생성 및 신경전달물질 전달을 방해하는 특정 바이러스 단편의 존재를 포함할지라도, 이것에 의해<br />

신경세포사가 일어나는 과정은 위험하다.<br />

HIV-1 관련 CNS 장애는 신경행동 장애, HIV 관련 경도 인지 장애 및 HIV 관련 치매 및 신경 장애, HIV 관련 척<br />

수병증을 포함한다.<br />

HIV 관련 치매<br />

HIV-1 관련 치매 (HAD)는 초기에 무관심, 무기력, 느린 인지, 기억 손실 및 사회적 위축으로 나타나는 진행성<br />

장애이다. 이것이 진행함에 따라, 다수의 인지 기능이 점점 손상된다. 말기에는 전반적인 인지 기능 장애, 함구<br />

증 및 중증 정신운동지연을 특징으로 한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감염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br />

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br />

자가면역질환<br />

자가면역질환은 조직 손상이 체성분에 대한 체액성 및/또는 세포성 면역 반응 또는 넓은 의미로는 자기에 대한<br />

면역 반응과 관련되어 있는 질환 또는 장애 그룹을 말한다. 병적 면역 반응은 전신 또는 기관 특이성을 나타낼<br />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자기에 대한 면역 반응은 뉴런, 신장, 간장, 췌장, 갑상선, 부신 및 난소를 보호하는<br />

관절, 피부, 미엘린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br />

실제로는, 자가면역질환의 리스트는 80개 이상의 장애로 구성되어 있다. 수개의 자가면역질환, 예컨대 피부 패<br />

치가 색소 침착을 잃게 되는 백반증은 단지 성가실 뿐이다. 대부분의 다른 것들은 몸을 쇠약하게 하며, 종종<br />

시간에 따라 증상이 진행되어, 결국은 치명적이 된다.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SLE)는 예를 들면, 환자의 10 내<br />

지 15%가 진단한 지 10년 이내에 사망하는 만성 질환으로, 전체는 아니지만, 다수의 자가면역질환에서, 성비는<br />

여성에 치우쳐 있다. 예를 들면, SLE에 있어서는 여성/남성 환자 비는 9:1이다. 어느 한 경우, 면역계가 갑상<br />

선을 침범하는 하시모토병의 경우에는, 비는 50:1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면역 복합체 형성이 자가면역질환의 병인 및 진행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전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관<br />

절염에 걸린 환자의 염증은 항원, 항체 및 보체 면역 복합체의 복합체의 백혈구에 의한 식작용을 포함하는 것으<br />

로 예전부터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관절 (관절염), 신장 (사구체신염), 및 혈관 (혈관염)의 면역 복<br />

합체로 인한 염증이 자가면역질환의 질병률의 주된 원인인 것으로 인지되고 있다. 면역 복합체 형성 증가는 자<br />

기에 대한 항체 또는 소위 자가항체의 존재와 서로 관련이 있으며, 후자의 존재는 또한 면역 복합체의 부분 또<br />

는 항원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 (유리 항체)으로서 조직 염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일부의 자가면역질<br />

환에 있어서, 유리 자가항체의 존재는 질환 병상의 원인과 깊게 관련이 있다. 이는 예를 들면, SLE (항DNA 항<br />

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혈소판에 대한 항체 반응)에서 분명하게 증명되었으며, 그만큼은 아니더라도 류마<br />

티스성 관절염 (IgG 반응성 류마티스 인자)에서 증명되었다. 면역 복합체 및 유리 자가항체의 중요한 역할도<br />

또한 특정한 자가면역질환의 성공적 치료가 특정한 면역흡착법에 의해 면역 복합체 및 유리 항체를 제거함으로<br />

- 15 -


[0085]<br />

[0086]<br />

[0087]<br />

[0088]<br />

[0089]<br />

[0090]<br />

[0091]<br />

[0092]<br />

[0093]<br />

[0094]<br />

[0095]<br />

써 달성된 사실에 의해 증명된다. 예를 들면, 면역 복합체 및 항체가 면역친화성 칼럼을 통해 환자의 혈액을<br />

통과시킴으로써 제거되는 아페레시스 (apheresis) 과정의 사용은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ITP)에 관해서는 <strong>19</strong>87<br />

년에,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관해서는 <strong>19</strong>99년에 미국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자가면역질환의<br />

치료 방법에 있어서 약물 투여에 의해 면역 복합체 및 자가항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승인된 방법은<br />

없다.<br />

자가면역질환의 병인 및 진행의 또 하나의 양상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역할이다. 통상은, 염증성 사이토카인,<br />

예컨대 종양괴사인자 α (TNFα) 및 인터루킨-1 (IL-1)은 감염 및 세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보호 역<br />

할을 한다. 그러나, TNFα 및 IL-1의 만성적이고/이거나 과도한 생성으로 인한 병리학적 결과는 다수의 자가면<br />

역질환, 예컨대 류마티스성 관절염, 크론병, 염증성 장질환 및 건선의 진행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br />

다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는 인터루킨-6, 인터루킨-8, 인터루킨-17 및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인자를 들<br />

수 있다.<br />

천연 CD4+CD25+ 조절 T 세포 (Tregs)는 자가항원에 대한 말초 내성 (periphery tolerance)의 조절에 중요한 역<br />

할을 한다. 흥미롭게도, 이들은 또한 알레르겐 및 이식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동물 모델에 있어<br />

서의 최근 연구로부터, CD4+CD25+ Tregs의 입양 전달이 알레르기성 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을 예방하거나 심지어<br />

는 치료할 수 있으며, 이식 내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환자 특이적<br />

CD4+CD25+ Tregs를 이용하는 입양 세포 요법은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및 이식거부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br />

치료용 개별 맞춤형 (individualized) 약물 요법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약제를 사용한 생체 내에서의 항원 특<br />

이적 CD4+CD25+ Tregs를 활성화하여 증식시키는 전략은 약제 개발에 대한 신규한 접근법이 될 수 있다.<br />

조직에로의 혈관외 유출을 촉진시키는 백혈구와 혈관 내피의 상호작용은 체내의 방어 기구의 주요 과정을 나타<br />

낸다. 자가면역 장애와 같은 만성 질환에서 염증 조직에로의 백혈구의 과잉 보충은 백혈구 혈관외 유출 메카니<br />

즘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혈류에서 혈관외 조직으로의 백혈구의 트래피킹 (trafficking)의<br />

분자 기반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현저한 진전이 이루어져, 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전략이 가능해졌다. 백혈구<br />

롤링, 강력 접착 및 내피벽을 통한 이행의 다단계 과정은 백혈구 및 내피세포에 대한 접착 수용체 및 케모카인<br />

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촉진된다. 각종 동물 모델을 이용한 전임상 시험에 있어서, 셀렉틴 및 인테그린 패밀<br />

리의 접착 수용체의 차단으로, 궤양성 대장염, 자가면역성 뇌척수염 또는 접촉과민증의 모델에 있어서의 염증<br />

과정이 향상된 것을 입증하는 기대할 만한 결과가 얻어졌다. 항체에 의한 접착 수용체의 표적화 이외에도, 접<br />

착 수용체 리간드의 에피토프를 모방하는 소분자가 개발되어, 동물 모델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동물<br />

모델과 비교하여, 셀렉틴 또는 백혈구 기능 관련 항원 1 (LFA-1) 인테그린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제한된 반응이<br />

임상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그러나, 알파 4-인테그린 서브유닛에 대한 인간화 항체의 이용으로, 건선, 다발성<br />

경화증 및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서 상당한 효능이 입증되었다.<br />

안구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특발성 시신경염, 교감성 안염 (ophthalmia sympathica), 전부 포도막염 및 다른<br />

포도막염 형태, 망막 변성, 및 무렌 궤양이 있다.<br />

피부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수포성 유천포창, 만성 두드러기 (자가면역성 아형), 포진상 피부염 (두링병<br />

(morbus Duhring)), 후천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EBA), 후천성 맥관부종, 임신 포진, 저보체혈증 담마진성 혈관<br />

염 증후군 (HUVS), 선상 IgA 피부병, 및 천포창이 있다.<br />

자가면역성 혈액 질환의 예로는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성 호중구감소증, 에반스 증후군, 인히비터<br />

헤모필리아 (inhibitor hemophilia),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ITP) 및 악성 빈혈이 있다.<br />

부인과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습관 유산 및 불임증이 있다.<br />

심장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선천성 심장차단, 특발성 확장형 심근증, 주산기 심근증, 심장절개술후 증후군<br />

및 심근경색후 증후군 (드레슬러 증후군)이 있다.<br />

이비인후과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만성 감각신경성 난청 및 메니에르병이 있다.<br />

결장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자가면역성 장병증, 궤양성 대장염, 불확정 대장염, 크론병 및 글루텐 과민성 장<br />

병증이 있다.<br />

자가면역성 내분비적 자가면역 장애의 예로는 1형 자가면역성 다분비선 증후군, 2형 자가면역성 다분비선 증후<br />

군, 1형 당뇨병 (IDDM), 하시모토 갑상선염, 인슐린 자가면역증후군 (IAS), 특발성 요붕증, 특발성 부갑상선 기<br />

능저하증, 특발성 애디슨병 및 그레이브스-바세도우씨병이 있다.<br />

- 16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096]<br />

[0097]<br />

[0098]<br />

[0099]<br />

[0100]<br />

[0101]<br />

[0102]<br />

[0103]<br />

[0104]<br />

[0105]<br />

[0106]<br />

[0107]<br />

간장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자가면역성 간염 (제 1 형, 제 2 형 및 제 3 형 AIH),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br />

(PBC) 및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이 있다.<br />

폐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구드패스츄어 증후군이 있다.<br />

위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만성 위축성 (A형) 위염이 있다.<br />

신경계 자가면역 장애의 예로는 길랑-바레 증후군, IgM 감마글로불린병증과 관련된 신경병증, 람베르트-이튼 증<br />

후군, 밀러-피셔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다초점성 운동신경병증, 중증 근무력증, 신경학적 부종양성 증후군,<br />

라스무센 뇌염 및 강직인간 증후군이 있다.<br />

신장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항세뇨관 기저막 신염, 구드패스츄어 증후군/항사구체 기저막 신염, IgA 신병증,<br />

간질성 신염 및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이 있다.<br />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추가의 질환으로는 베체트병, 만성 피로 면역기능 장애 증후군 (CFIDS),<br />

코간 증후군 I, 자궁내막증, HELLP 증후군, 베크테레프 증후군 (Bechterew's Disease),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br />

통, 건선, 사르코이드증 및 백반증이 있다.<br />

지난 10년간, 전신성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해 새로운 생물요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새로운 치료법의<br />

타겟은 모든 면역 반응 단계이다. 이들 새로운 요법은 B 림프구 (BL) 억제제, 예컨대 항 CD20 단클론항체, B<br />

림프구 자극인자 (BLyS) 길항제 및 병원성 항체 분비 LB의 관용원; 항원 제시 세포와, 단클론 항CD40 리간드 항<br />

체 또는 CTLA4-Ig (아바테세프트 (abatecept))와 같은 T 림프구 (TL) 사이의 부자극 억제제; 자가반응성 T세포<br />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TL 길항제; 사이토카인 길항제; 면역 담당 세포의 표적 기관에로의 트래피킹을 억제하는<br />

케모카인 및 접착 길항제이다. 이러한 새로운 요법은 보다 충분한 자가면역반응의 이해에 기초한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자가면역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br />

서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4 내지 15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br />

섬유성 질환<br />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장애는 간장, 표피, 내피, 근육, 건, 연골, 심장, 췌장, 폐, 자궁, 신경계, 고환, 난<br />

소, 부신, 동맥, 정맥, 결장, 소장, 담도 또는 위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증 또는<br />

섬유증 관련 장애는 간질성 폐섬유증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장애는 주혈흡충<br />

에 의한 감염의 결과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장애는 부상 치유의 결과이다.<br />

섬유증은 일반적으로 교질성 결합조직의 병적 또는 과잉 축적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성 질환 및 장애로는 교원<br />

병, 간질성 폐질환, 인간 섬유성 폐질환 (예를 들면, 폐색성 세기관지염, 특발성 폐섬유증, 원인이 분명한 폐섬<br />

유증, 폐질환의 종양 간질, 폐를 침범하는 전신성 경화증, 헤르만스키-푸들라크 증후군, 탄광부 진폐증,<br />

석면증, 규폐증, 만성 폐고혈압증, AIDS 관련 폐고혈압증, 사르코이드증 등), 섬유성 혈관 질환, 세뇨관 간질성<br />

및 사구체 섬유증, 심근 섬유증,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정맥류, 관상동맥 경색증, 뇌경색, 심근 섬<br />

유증, 근골격 섬유증, 수술후 유착, 인간 신장 질환 (예를 들면, 신염 증후군, 알포트 증후군, HIV 관련<br />

신병증, 다낭성 신질환, 파브리병, 당뇨병성 신병증, 만성 사구체신염, 전신성 루푸스와 관련된 신염 등), 피부<br />

켈로이드 형성, 진행성 전신성 경화증 (PSS),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PSC), 간장 섬유증, 간경화증, 신장 섬유<br />

증, 폐섬유증, 낭성 섬유증, 만성 이식편대 숙주병, 경피증 (국소 및 전신), 그레이브스 안병증, 당뇨병성 망막<br />

증, 녹내장, 페이로니병, 음경 섬유증, 방광경을 이용한 테스트 후의 요도 협착증, 수술 후의 내부 부착물<br />

(inner accretion after surgery), 흉터형성, 골수섬유증, 특발성 후복막 섬유증, 원인이 분명한 복막 섬유증,<br />

약물 유발성 맥각 중독증, 양성 또는 악성 암에 수반되는 섬유증, 미생물 감염 (예를 들면, 바이러스, 세균, 기<br />

생충, 진균 등)에 수반되는 섬유증, 알츠하이머병, 염증성 장질환에 수반되는 섬유증 (크론병 및 현미경적 대장<br />

염의 협착 형성 포함), 화학적 상해 또는 환경 장해 (예를 들면, 암 화학요법, 살충제, 방사선 요법/암 방사선<br />

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섬유증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섬유증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루푸스, 이식편대 숙주병, 경피증, 전신성 경화증, 경피증과 유사한 장애, 사인<br />

(sine) 경피증, 석회증, 레이노 식도 기능 부전, 수지경화증, 모세혈관 확장증, 과민성 폐렴, 교원 혈관성<br />

질환, 천식, 폐동맥 고혈압, 사구체신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심근 경색 후의 섬유증, 뇌졸중 또는 신경변성질<br />

환 후의 중추신경계 섬유증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병),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PVR) 및 관절염, 규폐증, 석면<br />

- 17 -


[0108]<br />

[0109]<br />

[0110]<br />

[0111]<br />

[01<strong>12</strong>]<br />

[0113]<br />

[0114]<br />

에 의한 폐섬유증, 급성 폐손상 및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세균성 폐렴에 의해 유도, 외상에 의해 유도, 바이러<br />

스성 폐렴에 의해 유도, 결핵, 인공호흡기에 의해 유도, 비폐 패혈증에 의해 유도 및 흡인에 의해 유도된 것을<br />

포함)을 들 수 있다.<br />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활성화 근섬유아세포 수의 증가:<br />

근섬유아세포의 출현 및 소실은 각각 활성 섬유증의 개시 및 이의 소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br />

근섬유아세포는 섬유성 조직, 예를 들면, 폐 조직에서 많은 병리학적 변화를 구현하는 다수의 표현형 특성을 갖<br />

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섬유증, 예를 들면, 폐섬유증의 병인에 있어서 근섬유아세포의 중요한 역할을 나타내<br />

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근섬유아세포의 존속은 진행성 질환을 예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이의 소실은 소산<br />

지표일 수 있다. 이는 또한 근섬유아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장래의 치료 전략이 유망할 것임을 시사한다.<br />

환자는 통상 활성화 섬유아세포 수가 증가된 활성 섬유증의 증거를 나타내며, 섬유아세포 중 다수는 근섬유아세<br />

포의 표현형 특성을 갖는다. 이들 부위에서, 세포외 기질의 침착은 정상 폐포 구조의 소실로 인해 그 양이 명<br />

백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동물 모델 연구에 의해, 근섬유아세포가 활성 섬유 부위에서의 I형 콜라겐 유<br />

전자 발현의 1차 공급원임을 알 수 있다. 시험관 내 연구는 특정한 사이토카인의 영향하에서 섬유아세포로부터<br />

이들 세포의 분화를 보여주는 반면, 산화질소 매개 아폽토시스에 대한 이들의 감수성을 나타낸다. 근섬유아세<br />

포 분화의 촉진 이외에도, 형질전환성장인자-β1 (TGF-β1)은 아폽토시스를 예방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지의<br />

섬유 형성 사이토카인은 근섬유아세포의 출현 및 아폽토시스 자극에 대한 이의 생존 모두에 중요하다. 이는 각<br />

종 조직에 있어서의 섬유증의 다양한 모델에서의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결정적인 중요성과 일치한다. 이러한 성<br />

질을 고려할 때, 근섬유아세포의 존속 또는 장기 생존은 폐손상의 특정한 형태가 어떻게 진행성 질환을 유발하<br />

여, 종말기 질환으로 끝나는지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br />

폐섬유증이 다양한 병인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과정, 즉, 정상 폐조직 구조를 삭제하는 세포외 기질의 이상 침<br />

착에 특징적인 공통 특징이 있다. 이러한 기질의 중요한 세포 공급원은 섬유증의 활동기에 많은 섬유성 병변을<br />

차지하는 간엽 세포 집단이다. 이러한 집단은 다수의 주요한 표현형에 대하여 불균일하다. 이들 표현형 중 하<br />

나는 근섬유아세포로, 이는 α-평활근 액틴에서 이의 발현 및 선의의 (bona fide) 평활근 세포와 섬유아세포 사<br />

이의 중간체인 특징에 의해 공통적으로 식별된다. 창상 치유 및 조직 수복/섬유증의 부위에서의 근섬유아세포<br />

의 데 노보 (de novo) 출현은 활성 섬유증의 활동기와 관련이 있으며, 창상 수축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br />

또한, 활성 세포외 기질의 침착을 행하는 부위에서의 근섬유아세포의 국소화는 섬유성 병변의 발생에 있어서의<br />

이들 세포의 중요한 역할을 제시한다.<br />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TGF-β1 패밀리 레벨 증가:<br />

단백질의 형질전환성장인자-β1 (TGF-β1) 패밀리는 지금까지 조사된 사이토카인의 세포외 기질 침착에 대한 가<br />

장 강력한 자극 효과를 갖는다. 폐섬유증의 동물 모델에 있어서, TGF-β1 유전자 발현 증가는 콜라겐 유전자<br />

발현 증가 및 단백질 침착 증가와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TGF-β1 항체는 뮤린 블레오마이신에<br />

의해 유발된 폐섬유증에 있어서 콜라겐 침착을 감소시키며, 인간 섬유성 폐 조직은 TGF-β1 유전자 및 단백질 발<br />

현 증가를 나타낸다. 여러 증거로부터, TGF-β가 폐섬유증의 중심적 조절 인자인 것으로 나타난다. TGF-β를<br />

과잉발현하는 여러 동물 모델은 광범위한 진행성 섬유증 및 제한된 염증을 보이는데, 이는 TGF-β가 폐섬유증의<br />

진행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치료 노력은 예를 들면, 항 TGF-β1 항체, 또는 TGF-<br />

β1 조절제, 예컨대 피르페니돈에 의한 TGF-β 활성의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피르페니돈은 생체 내에서의<br />

TGF-β1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켜, TGF-β1 매개 콜라겐 합성을 억제시키며, 환자의 IPF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br />

으로 나타난다. 다른 신규하고 유망한 항섬유화제로는 렐락신 (콜라겐의 TGF-β 매개 과잉발현을 억제시키고,<br />

콜라게나아제를 증가시킴), 수라민 (성장 인자를 억제시킴), 프로스타글란딘 E2 (콜라겐 생성을 억제시킴) 및<br />

로바스타틴 (섬유아세포 아폽토시스의 유도에 의해 육아 조직의 형성을 저해함)을 들 수 있다.<br />

TGF-β의 레벨 증가와 관련된 폐를 침범하는 질환으로는 미숙아 만성 폐질환, 특발성 폐섬유증, 급속 진행성 폐<br />

섬유증, 거대세포 간질성 폐렴, 폐이식술 후의 급성 거부 반응, 폐이식술 후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폐렴, 폐<br />

색성 세기관지염, 석면증, 탄광부 진폐증, 규폐증, 조직구 증식증, 사르코이드증, 호산구성 육아종, 경피증, 전<br />

신성 홍반성 루푸스, 림프관평활근종증, 폐선암종에 있어서의 중추성 (central) 섬유증, 낭성 섬유증, 만성 폐<br />

쇄성 폐질환, 및 천식을 들 수 있다.<br />

- 18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115]<br />

[0116]<br />

[0117]<br />

[0118]<br />

[01<strong>19</strong>]<br />

[0<strong>12</strong>0]<br />

[0<strong>12</strong>1]<br />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TNF-α 레벨 증가:<br />

간질성 섬유증에 있어서의 종양괴사인자-α (TNF-α)의 중요한 역할은 이러한 사이토카인을 과잉발현하거나 사<br />

이토카인의 결핍을 나타내는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이용하여 입증하였다. TNF-α를 과잉발현하도록 형질 전환된<br />

(transgenically modified) 마우스는 폐섬유증을 발병시킨다. 대조적으로, TNF-α를 갖지 않는 마우스는 블레<br />

오마이신에 의해 유발된 섬유증에 대하여 현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TNF-α는 시험관 내에서의 섬유아세포 복<br />

제 및 콜라겐 합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폐의 TNF-α 유전자 발현은 마우스에로의 블레오마이신의 투여 후에 상<br />

승한다. 가용성 TNF-α 수용체는 뮤린 모델에 있어서의 폐섬유증을 감소시키며,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폐의<br />

TNF-α의 과잉발현은 폐섬유증을 특징으로 한다. CFA 또는 석면증에 걸린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br />

유래 대식세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된 양의 TNF-α를 방출한다.<br />

TNF-α 증가로 인해, 예를 들면, 내부 기관의 섬유증, 피부 또는 진피 섬유증 및 안구 섬유증을 포함한 조직을<br />

침범하는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증상이 유도될 수 있다. 내부 기관 (예를 들면, 간장, 폐, 신장, 심장<br />

혈관, 위장관)의 섬유증은 장애, 예컨대 폐섬유증, 특발성 섬유증, 자가면역성 섬유증, 골수섬유증, 간경화증,<br />

정맥 폐색성 질환, 메산지움 증식성 사구체신염, 반월상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병증, 신장 간질성 섬유증, 사<br />

이클로스포린을 복용하는 환자의 신장 섬유증, 동종이식 거부반응 또는 HTV 관련 신증에서 발병한다. 다른 섬<br />

유증 관련 장애로는 전신성 경화증, 호산구증가 근육통 증후군, 및 섬유증 관련 CNS 장애, 예컨대 안구내 섬유<br />

증을 들 수 있다. 피부 섬유증으로는 예를 들면, 경피증, 반상 경피증, 켈로이드, 비후성 반흔, 가족성 피부<br />

교원종 및 콜라겐형 결합조직모반을 들 수 있다. 안구 섬유증으로는 증상, 예컨대 당뇨병성 망막증, 수술후<br />

흉터형성 (예를 들면, 녹내장 여과 수술후 및 내사시 (사시) 수술후), 및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을 들 수 있다.<br />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추가의 섬유성 증상은 예를 들면, 류마티스성 관절염, 장기 관절통 및<br />

퇴화된 관절과 관련된 질환; 진행성 전신성 경화증,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 호산구성 근막염, 반상 경피증, 레<br />

이노 증후군, 및 코폴립에 기인할 수 있다.<br />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레벨 증가:<br />

간질성 폐섬유증 (IPF)에 걸린 환자의 폐에서 관찰된 이상 세포외 기질 (ECM) 리모델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br />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MMP)와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조직 저해제 (TIMP) 사이의 불균형에 기인한다. 정상<br />

폐 섬유아세포는 시험관 내에서 MMP-9을 생성하지 않는데 반해, IPF 폐의 섬유아세포는 MMP-9을 강하게 발현한<br />

다. 또한, IPF 환자의 섬유아세포는 모든 TIMP의 증가된 레벨을 발현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TIMP는 일부의<br />

세포 집단의 아폽토시스에 관여할 수 있다. 특발성 폐섬유증의 미치료 환자로부터 얻은 폐포 대식세포의 인비<br />

트로 연구로부터, 건강인에게서 수집된 대식세포와 비교하여, MMP-9 분비가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br />

블레오마이신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증의 동물 모델에 있어서, MMP는 기관지 폐포 세척 (BAL) 액에서 상승되는<br />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는, MMP의 합성 저해제, 바티마스타트는 블레오마이신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증을 상당<br />

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러한 폐섬유성 질환의 발병에 있어서 MMP의 중요성을 다시금 나타낸<br />

다.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MMP의 작용은 성장 인자 및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br />

다. 이러한 전섬유화 인자 (profibrotic factor)는 이들의 활성화 또는 세포외 기질로부터의 방출을 위하여 단<br />

백질 분해 처리를 필요로 하며, 이들의 활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담체 단백질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는, 폐섬<br />

유증의 병인에 관여하는 다수의 주요 인자, 예컨대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TGF-β1 및 TNF-α의 단백질<br />

분해 활성 처리는 MMP의 작용을 통해 일어남으로써, 활성화되거나 저해성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으로부터 유리<br />

된다. 예를 들면, 생체 내에서의 IGF는 6개의 고친화성 IGF 결합 단백질 (IGFBP 1 내지 6)에 의해 격리되어,<br />

IGF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이들의 능력이 저지된다. 성인 및 소아 IPF 및 간질성 폐질환을 조사하는 연구에<br />

따르면, IPF 외에도, IGFBP-3 및 IFPB-2 레벨도 IPF BAL 액에서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 MMP는<br />

IGF 결합 단백질의 분해를 조절하여, 표적 세포의 IGF 작용에 영향을 주도록 복합 리간드를 유리시키는 것으로<br />

밝혀졌다. 또한 젤라틴분해효소, MMP-9 및 MMP-2가 잠재성 TGF-β 복합체의 단백질 분해 활성화에 관여할 수<br />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MMP 저해제, 바티마스타트는 BAL 액 중에서의 MMP-9 활성을 감소시키며, 이는 TGF-<br />

β 및 TNF-α의 감소량과 관련되어 있다.<br />

폐섬유증은 유발 인자를 갖는 숙주에 대한 폐의 급성 염증 반응의 흔한 결과일 수 있다. 섬유성 변화로 인한<br />

만성 폐 손상은 특정할 수 있는 염증 사례 또는 잠행성 미지의 사례에 기인할 수 있다. 염증 과정은 여러 종류<br />

의 염증 세포, 예컨대 호중구 및 대식세포의 침윤,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분비 및 매트릭스 리모델<br />

링 프로테이나제의 분비를 포함할 수 있다.<br />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CCL18 레벨 증가:<br />

- <strong>19</strong>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strong>12</strong>2]<br />

[0<strong>12</strong>3]<br />

[0<strong>12</strong>4]<br />

[0<strong>12</strong>5]<br />

[0<strong>12</strong>6]<br />

[0<strong>12</strong>7]<br />

[0<strong>12</strong>8]<br />

[0<strong>12</strong>9]<br />

인간 폐포 대식세포 (AM)에 의한 시스테인-시스테인 (CC) 케모카인 리간드 18 (CCL18), 즉, 선택적 활성화 마커<br />

의 발현 및 조절은 폐섬유증 환자에게서 증가되며, 폐기능 검사 파라미터와 역의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br />

CCL18은 폐섬유증에 관한 이상적인 진단 마커이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섬유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br />

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4 내지 15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br />

염증성 질환<br />

염증은 각종 손상, 예컨대 인체에 대한 감염, 외상, 및 알레르기의 최종 공통 경로이다. 염증 세포의 동원, 전<br />

구염증성 세포의 생성 및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함께, 면역계의 활성화를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의<br />

염증성 질환 및 장애는 단핵세포/대식세포, 과립구, 형질세포, 림프구 및 혈소판을 포함한 염증 세포의 이상 축<br />

적을 특징으로 한다. 조직 내피세포 및 섬유아세포와 함께, 이들 염증 세포는 지질,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 및<br />

국소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파괴 효소의 복합 어레이를 방출한다.<br />

염증 반응의 한 형태는 숙주 방어의 주요 성분인 다형핵 호중구 (PMN)에 의한 염증 조직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br />

호중구성 염증이다. 세포외 박테리아에 의한 조직 감염은 이러한 염증 반응의 원형을 나타낸다. 다른 한편으<br />

로는, 각종 비감염성 질환은 호중구의 혈관외 동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그룹의 염증성 질환으로는 만성<br />

폐쇄성 폐질환,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 일부 유형의 면역복합체형 폐포염, 낭성 섬유증, 기관지염, 기관지확장<br />

증, 폐기종, 사구체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궤양성 대장염, 특정 피부병, 예컨대 건선 및 혈<br />

관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상에 있어서, 호중구는 지속적인 경우, 결과적으로 일어나는 장기 기능 부전과 함<br />

께, 정상 조직 구조의 비가역적 파괴를 유도할 수 있는 조직 손상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br />

다. 조직 손상은 주로 호중구의 활성화에 뒤따르는 프로테이나제의 방출 및 산소종의 생성 증가로 인한<br />

것이다.<br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은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은 기류 제한의 점진적 발병으로 평하고 있다. 대부분의<br />

COPD 환자는 세가지 병상, 즉, 기관지염, 폐기종 및 점액 전색을 나타낸다. 이러한 질환은 강제 폐활량 (FVC)<br />

의 상대적인 보존과 함께, 서서히 진행되는 1초 동안의 강제 호기량 (FEV1)의 비가역적인 감소를 특징으로<br />

한다. 천식 및 COPD에 있어서, 현저하나 구별되는 기도 리모델링이 일어난다. 대부분의 기류 폐쇄는 두가지의<br />

주된 원인, 즉, 폐포 파괴 (폐기종) 및 작은 기도 폐쇄 (만성 폐쇄성 기관지염)로 인한 것이다. COPD는 주로<br />

심한 점액 세포의 과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의 폐의 호중구 침윤은 COPD의 주요 특징이다. TNF-α와 같은<br />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8 (IL-8)과 같은 케모카인 및 성장 조절 종양 유전자-α (GRO-α)의 레<br />

벨 상승은 이러한 질환의 병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소판의 트롬복산 합성도 COPD 환자에게서 강화<br />

된다. 대부분의 조직 손상은 호중구의 활성화에 뒤따르는 메탈로프로테이나제의 방출 및 산소종의 생성 증가로<br />

인한 것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TNF-α는 항상성 및 병태생리학적 상태에 중요한 다수의 생물 활성을 갖고 있다. TNF-α의 주요 공급원은 단핵<br />

세포-대식세포, T-림프구 및 비만세포이다. 항 TNF-α 항체 (cA2)가 류마티스성 관절염 (RA)을 앓고 있는 환자<br />

의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에 의해, RA에 대한 유망한 강력한 약제로서의 새로운 TNF-α 저해제를 발견<br />

하고자 하는 관심이 증대되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관절의 비가역적인 병적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br />

성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RA 이외에도, TNF-α 길항제는 다수의 다른 병상 및 질환, 예컨대 척추염,<br />

골관절염, 통풍 및 다른 관절염 증상, 패혈증, 패혈성 쇼크, 독소성 쇼크 증후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br />

염, 건선, 사구체신염,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천식, 악액질, 만성 폐쇄성 폐질환, 울혈성 심부전, 인슐린 저<br />

항성, 폐섬유증, 다발성 경화증,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바이러스 감염 및 AIDS에도 사용가능하다.<br />

용어 "면역염증성 장애"는 자가면역질환, 증식성 피부 질환, 및 염증성 피부 질환을 포함한 각종 증상을 포함한<br />

다. 면역염증성 장애는 염증 과정에 의한 건강한 조직의 파괴, 면역계 조절이상, 및 바람직하지 못한 세포 증<br />

식을 초래한다. 면역염증성 장애의 예로는 심상성 여드름;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애디슨병; 알레르기성 비염;<br />

알레르기성 안구내 염증성 질환, 항호중구 세포질 항체 (ANCA) 관련 소혈관 혈관염; 강직성 척추염; 관절염, 천<br />

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아토피성 피부염;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성 간염; 베체<br />

트병; 벨 마비; 수포성 유천포창; 뇌허혈;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변; 코간 증후군; 접촉 피부염; COPD; 크론<br />

병; 쿠싱 증후군; 피부근염; 당뇨병;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호산구성 근막염; 결절성 홍반; 박탈성 피부염; 섬<br />

유근육통; 초점성 사구체경화증;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거대세포 동맥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이식편<br />

- 20 -


[0130]<br />

[0131]<br />

[0132]<br />

[0133]<br />

[0134]<br />

[0135]<br />

[0136]<br />

[0137]<br />

[0138]<br />

[0139]<br />

[0140]<br />

[0141]<br />

대 숙주병; 손 습진; 헤노호-쉔라인 자반증; 임신성 포진; 다모증; 특발성 각막공막염; 특발성 폐섬유증; 특발<br />

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염증성 장질환 또는 위장 장애, 염증성 피부 질환; 편<br />

평 태선; 루푸스 신염; 림프종성 기관기관지염; 황반부종;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근육염; 비특이성 섬<br />

유화성 폐질환; 골관절염; 췌장염; 임신성 유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치주염;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류마티스<br />

성 다발성 근육통; 음낭 소양증; 소양증/염증, 건선; 건선성 관절염; 폐 히스토플라스마증; 류마티스성 관절염;<br />

재발성 다발성 연골염; 사르코이드증에 의한 장미증; 경피증에 의한 장미증; 스위트 증후군에 의한 장미증; 전<br />

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의한 장미증; 두드러기에 의한 장미증; 대상포진 관련 통증에 의한 장미증;<br />

사르코이드증; 경피증;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패혈성 쇼크 증후군; 어깨 건염 또는 점액낭염; 쇼그렌 증후군;<br />

스틸병; 뇌졸중에 의한 뇌세포사; 스위트병 (Sweet's disease);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전신성 경화증; 다카야<br />

스 동맥염; 측두동맥염; 독성 표피 괴사융해증; 이식 거부 및 이식 거부 관련 증후군; 결핵; 제 1 형 당뇨병;<br />

궤양성 대장염; 포도막염; 혈관염; 및 베게너 육아종증이 있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비피부 (non-dermal) 염증성 장애"는 예를 들면, 류마티스성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천<br />

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포함한다. "피부 염증성 장애"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은 건선, 적상 건선, 역<br />

위 건선, 농포성 건선, 건선성 홍피증, 급성 발열성 호중구성 피부병, 습진, 건성 습진, 발한 장애성 습진, 수<br />

포성 손,발바닥 습진, 심상성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피부근염, 박탈<br />

성 피부염, 손 습진, 한포, 장미증, 사르코이드증에 의한 장미증, 경피증에 의한 장미증, 스위트 증후군에 의한<br />

장미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의한 장미증, 두드러기에 의한 장미증, 대상포진 관련 통증에 의한 장미증, 스<br />

위트병, 호중구성 한선염, 무균성 농포증, 약진, 지루성 피부염, 장미색 비강진, 피부 기쿠치병, 임신 소양성<br />

두드러기성 구진과 반점,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및 독성 표피 괴사융해증, 타투 (tattoo) 반응, 웰스 증후군<br />

(호산구성 봉와직염), 반응성 관절염 (라이터 증후군), 장 관련 피부병-관절염 증후군, 류마티스성 호중구성 피<br />

부병, 호중구성 에크린 한선염, 손등의 호중구성 피부병, 국한성 형질세포 귀두염, 귀두포피염, 베체트병, 중심<br />

원심성 윤상 홍반, 지속성 이색성 홍반, 다형 홍반, 환상 육아종, 손 피부염, 광택 태선, 편평 태선, 경화위축<br />

성 태선, 만성 단순 태선, 극상 태선, 화폐상 피부염, 괴저성 농피증, 사르코이드증, 각질하 농포성 피부증, 두<br />

드러기, 및 일과성 극세포해리성 피부병 중에서 선택되는 염증성 장애를 의미한다.<br />

"증식성 피부 질환"은 표피 또는 진피에서의 세포 분열의 가속화를 특징으로 하는 양성 또는 악성 질환을 의미<br />

한다. 증식성 피부 질환의 예로는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비특이성 피부염, 1차 자극성 접촉 피부염, 알레르<br />

기성 접촉 피부염, 피부의 기저세포암종 및 편평상피세포암종, 층판상 어린선, 표피박리성 과각화증, 전암성 각<br />

화증,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이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질환,<br />

장애 또는 증상은 증식성 피부 질환 및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의 예로는 건선이<br />

있다.<br />

특정한 질병과 관련된 염증의 증상과 징후로는:<br />

ㆍ 류마티스성 관절염:- 통증, 종창, 환부 관절 (involved joint)의 발열 및 압통; 전신 경직 및 조조 경직;<br />

ㆍ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췌도염; 이러한 증상은 망막증, 신경장애, 신장병증;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및<br />

뇌혈관질환을 포함한 염증성 요소를 갖는 각종 합병증을 유도할 수 있음;<br />

ㆍ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쇠약, 변비, 숨가쁨, 얼굴, 손 및 발 부음, 말초 부종, 서맥;<br />

ㆍ 다발성 경화증:- 경직, 시력 저하, 현기증, 사지 쇠약, 감각이상;<br />

ㆍ 포도망막염:- 야간 시력 저하, 주변 시야 상실;<br />

ㆍ 홍반성 루푸스:- 관절통, 발진, 감광성, 열, 근육통, 손발 부음, 요검사 이상 (혈뇨, 원주 뇨, 단백뇨), 사<br />

구체신염, 인지기능장애, 혈관내 혈전, 심막염;<br />

ㆍ 경피증:- 레이노병; 손, 팔, 다리 및 얼굴의 종창; 피부 비후; 손가락 및 무릎의 통증, 부종 및 경직, 위장<br />

장애, 구속성 폐질환; 심막염; 신부전;<br />

ㆍ 염증성 요소를 갖는 다른 관절염 증상, 예컨대 류마토이드척추염, 골관절염, 패혈성 관절염 및 다발성 관절<br />

염:- 열, 통증, 종창, 압통;<br />

ㆍ 다른 염증성 뇌장애, 예컨대 수막염, 알츠하이머병, AIDS 치매 뇌염:- 광선공포증, 인지기능장애, 기억<br />

상실;<br />

- 21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142]<br />

[0143]<br />

[0144]<br />

[0145]<br />

[0146]<br />

[0147]<br />

[0148]<br />

[0149]<br />

[0150]<br />

[0151]<br />

[0152]<br />

[0153]<br />

[0154]<br />

[0155]<br />

[0156]<br />

[0157]<br />

[0158]<br />

[0159]<br />

[0160]<br />

[0161]<br />

[0162]<br />

[0163]<br />

[0164]<br />

[0165]<br />

[0166]<br />

ㆍ 다른 염증성 안구 염증, 예컨대 망막염:- 시력 저하;<br />

ㆍ 염증성 피부 장애, 예컨대 습진, 다른 피부염 (예를 들면, 아토피, 접촉), 건선, 자외선 (태양 광선 및 유사<br />

자외선 광원)에 의한 화상:- 홍반, 통증, 스케일링, 종창, 압통;<br />

ㆍ 염증성 장질환, 예컨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통증, 설사, 변비, 직장 출혈, 열, 관절염;<br />

ㆍ 천식:- 숨가쁨, 쌕쌕거림;<br />

ㆍ 다른 알레르기 장애, 예컨대 알레르기성 비염:- 재채기, 가려움, 콧물<br />

ㆍ 급성 외상과 관련된 증상, 예컨대 뇌손상 후의 뇌졸중 - 감각 상실, 운동 상실, 인지 장애;<br />

ㆍ 심근 허혈로 인한 심장 조직 손상:- 통증 숨가쁨;<br />

ㆍ 예컨대,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에서 발생하는 폐 손상:- 숨가쁨, 과호흡, 산화 감소, 폐 침윤;<br />

ㆍ 염증 동반 감염증, 예컨대 패혈증, 패혈성 쇼크, 독소성 쇼크 증후군:- 열, 호흡부전, 빈맥, 저혈압, 백혈구<br />

증가증;<br />

ㆍ 특정 기관 또는 조직과 관련된 다른 염증성 증상, 예컨대:<br />

(i) 신염 (예를 들면, 사구체신염):-소변감소증, 요검사 이상;<br />

(ii) 염증을 일으킨 충수:- 열, 통증, 압통, 백혈구증가증;<br />

(iii) 통풍:- 환부 관절의 통증, 압통, 종창 및 홍반, 혈청 및/또는 요중 요산 상승;<br />

(iv) 염증성 담낭:- 복통 및 압통, 열, 구역질, 백혈구증가증;<br />

(v) 울혈성 심부전:- 숨가쁨, 수포음, 말초 부종;<br />

(vi) 2형 당뇨병:- 심장 혈관 질환, 안질환, 신장병, 및 말초혈관질환을 포함하는 말단 기관 합병증;<br />

(vii) 폐 (pulmonary) 섬유증:- 과호흡, 숨가쁨, 산화 감소;<br />

(viii) 혈관 질환, 예컨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재협착:- 통증, 감각 상실, 맥박 감소, 기능 상실; 및<br />

(ix) 이식거부에 이르는 동종면역:- 통증, 압통, 열을 들 수 있다.<br />

인간 펩티드는 후술하는 검정법 중 하나에서 저해율이 > 50%인 경우, 염증성 질환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저<br />

해율 (퍼센트)을 하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저해율 = (1 - 샘플 중의 사이토카인의 농도/양성 대조군 중<br />

의 사이토카인의 농도) × 100. 양성 대조군은 물질로 처리되지 않은 자극 샘플을 말한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염증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br />

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br />

신경 변성 질환<br />

본 발명은 또한 일반적으로 신경학 및 정신 의학 분야, 및 포유동물 중추신경계의 세포를 손상 또는 상해로부터<br />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br />

중추신경계 (CNS) 또는 말초신경계 (PNS)에 대한 각종 상해 또는 외상은 중증도의 장기 신경학적 및/또는 정신<br />

과적 증상 및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이 일으킬 수 있는 한 형태는 중추신경계 (CNS)의 뉴런 또는 다른<br />

세포의 진행성 사멸, 즉, 신경변성 또는 신경퇴행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뇌혈관 장애 (CVAs)/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 손상, 시신경<br />

변성, 예를 들면, 허혈성 시신경장애 또는 망막 변성 및 다른 중추신경계 장애의 결과로서의 신경퇴행은 이의<br />

고 발생률 및 장기 후유증의 빈도로 인하여 거대한 의료 및 공중 위생 문제가 된다. 동물 실험 및 임상 시험으<br />

로부터, 아미노산계 전달물질 (특히, 글루타메이트), 산화성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이 이들 증상에 있어서의 세<br />

포 사멸의 큰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손상 또는 허혈성 상해 시에, 손상된 뉴런은 주위 뉴런에 대하여 흥분<br />

독성을 나타내는 대량의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를 방출한다. 글루타메이트는 포유동물 신경계의 흥분성 시<br />

냅스 전달물질인 음전하를 띤 아미노산이다. 글루타메이트의 농도가 신경말단에서 밀리몰 범위에 이를 수 있더<br />

- 22 -


[0167]<br />

[0168]<br />

[0169]<br />

[0170]<br />

[0171]<br />

[0172]<br />

[0173]<br />

라도, 이의 세포외 농도는 신경독성을 예방하도록 저 레벨로 유지된다. 고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에, 글루타메<br />

이트가 뉴런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데 주목해야 한다. 용어 "흥분독성"은 글루타메이트 (및 다른<br />

이러한 흥분성 아미노산)가 고 용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뉴런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내는데<br />

사용되어 왔다.<br />

망막을 포함한 중추신경계 (CNS) 또는 말초신경계 (PNS)에 대한 어떠한 손상 또는 상해를 입은 환자는 신경 보<br />

호 방법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신경계 손상은 예를 들면, 급성 손상, 저산소 허혈, 또는 신경 세포<br />

사멸 또는 절충 상태 (compromise)을 초래하는 이의 조합 증상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급성 신경변<br />

성 질환에서와 같이, 신경계에 대한 급격한 충격 또는 급성 손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급성 손상으로는 외<br />

상성 뇌손상 (TBI), 예컨대 폐쇄성, 둔기 또는 관통성 뇌외상, 국소성 뇌외상, 미만성 뇌손상, 척수 손상, 두개<br />

내 또는 척추내 병변 (척수의 타박상, 관통, 전단, 압박 또는 열상 병변 또는 편타성 진탕 영아 증후군<br />

(whiplash shaken infant syndrome)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br />

않는다.<br />

또한, 산소 또는 혈액 공급 결핍은 일반적으로 뇌혈관 부전, 뇌허혈 또는 뇌경색 (색전성 폐색 및 혈전증에 기<br />

인하는 뇌허혈 또는 뇌경색 포함), 망막 허혈 (당뇨병 또는 다른 것에 의해), 녹내장, 망막 변성, 다발성 경화<br />

증, 중독성 및 허혈성 시신경장애, 재관류 후의 급성 허혈, 주산기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임의의 형태의 심장<br />

마비 또는 뇌내 출혈 (경막외, 경막하, 지주막하 또는 뇌내 출혈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들<br />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저산소증 및/또는 허혈에서와 같이 급성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br />

신경계의 조직에 대한 외상 또는 손상은 또한 보다 심한 만성 및 진행성 신경변성 장애, 예컨대 알츠하이머병,<br />

피크병, 미만성 루이소체병, 진행성 핵상마비 (스틸-리처드슨 증후군), 다발계통 변성 (샤이-드래거 증후군),<br />

신경변성과 관련된 만성 간질 증상, 운동 뉴런 질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퇴행성 운동실조,<br />

피질 기저핵 변성, ALS-파킨슨-치매 복합증 (ALS-Parkinson's-dementia complex of Guam), 아급성 경화성 전뇌<br />

염, 헌팅턴 병, 파킨슨 병, 시누클레인성 병태 (synucleinopathies; 다계통 위축증 포함), 원발성 진행성 실어<br />

증, 선조체 흑질 변성증, 마카도-조셉병 또는 척수소뇌성 실조증 3형 및 올리브교 소뇌변성, 구마비 및 가성구<br />

마비, 척수성 및 구척수성 근위축증 (케네디 병), 원발성 측삭경화증, 가족성 연축성 대마비, 베르드니그-호프<br />

만 병, 쿠겔베르그-벨란더 병, 테이삭스 병 (Tay-Sach's disease), 샌드호프 병, 가족성 연축성 질환, 볼파르트<br />

-쿠겔베르그-벨란더 병, 연축성 대부전마비, 진행성 다초점 백색질뇌증, 가족성 자율신경장애 (라일리-데이 증<br />

후군) 또는 프리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 병, 쿠루병 또는 치명적 가족성<br />

불면증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장기간에 걸친 진행성<br />

신경 세포 사멸 또는 절충 상태와 관련된 질환 형태를 취할 수 있다.<br />

또한, 신경계에 대한 외상 및 진행성 손상은 양극성 장애 또는 분열정동성 장애 또는 정신분열병의 진행성 악화<br />

형태, 충동조절장애, 강박 장애 (OCD), 측두엽 간질에 있어서의 행동 변화 및 인격 장애를 들 수 있으나, 이들<br />

에 한정되지 않는 각종 정신 장애에서 일어날 수 있다.<br />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각종 정신 장애에서 신경계에 대한 외상 및 진행성 손상을<br />

포함한 장애에 있어서의 신경보호작용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장애는 분열정동성 장애, 정신분열병,<br />

충동조절장애, 강박 장애 (OCD) 및 인격 장애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br />

또한, 외상 및 손상은 연령 관련 치매, 혈관성 치매, 미만성 백질 질환 (빈스방거병), 내분비성 또는 대사성 원<br />

인의 치매, 두부 외상 및 미만성 뇌손상의 치매, 권투선수 치매 또는 전두엽 치매 (피크병을 들 수 있으나, 이<br />

것에 한정되지 않음)와 관련된 신경변성 장애를 들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명백한 광범위한 기억 상<br />

실과 관련된 질환 형태를 취할 수 있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뉴런 손상과 관련된 다른 장애로는 망막을 포함한 신경계의 화학적, 독성, 감염성 및 방사선 손상, 태아 발육기<br />

의 손상, 출산시의 미숙, 무산소성 허혈, 간장약, 혈당, 요독, 전해질 및 내분비성 원인의 손상, 정신의학적 원<br />

인 (정신병리, 우울증 또는 불안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의 손상, 말초 질환 및 신경총병증 (신<br />

경총마비 포함)에 의한 손상, 또는 신경병증 (다초점성, 감각성, 운동, 운동 감각성, 자율, 감각 자율 또는 탈<br />

수초성 신경병증 (길랑-바레 증후군 또는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br />

되지 않음) 중에서 선택되는 신경병증 포함), 또는 감염증, 염증, 면역 장애, 약물 남용, 약물 치료, 독소, 외<br />

상 (압박, 압궤, 열상 또는 분절 외상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대사 장애 (내분비성 또는 종양<br />

수반성 장애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샤르코-마리-투스병 (1a형, 1b형, 2형, 4a형 또는 1-X 연관형<br />

(linked)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 이염성 백질이영양증, 레프섬 병, 부신<br />

- 23 -


[0174]<br />

[0175]<br />

[0176]<br />

[0177]<br />

[0178]<br />

[0179]<br />

[0180]<br />

척수 신경병증,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실조, 데제린-소타스병 (A형 또는 B형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br />

않음), 람베르트-이튼 증후군 또는 뇌신경 장애에 기인하는 신경병증)에 의한 손상과 관련된 장애를 들 수 있으<br />

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br />

또 다른 징후로는 인지장애가 있다. 용어 "인지장애"는 불안장애, 섬망, 치매, 기억상실 장애, 해리장애, 섭식<br />

장애, 기분장애, 정신분열병, 정신병적 장애, 성 및 정신성적 주체성 장애, 수면장애, 신체형 장애, 급성 스트<br />

레스 장애, 강박 장애, 공황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특정 공포증, 사회 공포증, 물질 금단 섬망, 알츠하<br />

이머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두부 외상, 헌팅턴 병, HIV 질환, 파킨슨 병, 피크병, 학습장애, 운동 능력<br />

장애, 발달성 협응장애, 의사소통장애, 음성학적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아스퍼거 장애, 자폐 장애, 소아기 붕<br />

괴성 장애, 레트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품행 장애, 반항성 도전 장애, 이<br />

식증, 반추 장애, 틱장애, 만성 운동성 또는 음성 틱장애, 뚜렛 장애, 배설 장애, 유분증, 유뇨증, 선택적 함구<br />

증, 분리불안장애, 해리성 기억상실증, 이인성 장애, 해리성 둔주, 해리성 정체성 장애,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br />

경성 대식증,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성 장애, 망상성 장애,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br />

애, 망상, 환각, 물질 유도성 정신병적 장애, 절정감 장애, 성교 통증 장애, 성교 통증, 질경련, 성기능 장애,<br />

성도착증, 수면이상, 호흡관련 수면장애, 일주기 율동 수면장애, 과다수면증, 불면증, 기면증, 수면이상, 사건<br />

수면, 악몽 장애, 야경증, 몽유병, 사건수면, 신체추형장애, 전환 장애, 침울증, 통증 장애, 신체화 장애, 알콜<br />

관련 장애, 암페타민 관련 장애, 카페인 관련 장애, 대마초 관련 장애, 코카인 관련 장애, 환각제 관련 장애,<br />

흡입제 관련 장애, 니코틴 관련 장애, 아편양제제 관련 장애, 펜사이클리딘 관련 장애, 남용, 지속적 기억상실<br />

장애, 중독, 금단을 말한다.<br />

용어 "양극성 및 임상적 장애"는 적응 장애, 불안장애, 섬망, 치매, 기억상실 장애 및 다른 인지장애, 유아기,<br />

예를 들면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 해리장애 (예를 들면, 해리성 기억상실증, 이<br />

인성 장애, 해리성 둔주 및 해리성 정체성 장애), 섭식장애, 인위성 장애, 충동조절장애, 전신 병상으로 인한<br />

정신장애, 기분장애,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증상, 인격 장애, 정신분열병 및 다른 정신병적 장<br />

애, 성 및 정신성적 주체성 장애, 수면장애, 신체형 장애, 물질 관련 장애, 전신 불안장애 (예를 들면, 급성 스<br />

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공황 장애, 공포증, 광장공포증, 강박 장애, 스트레스, 급성 스트레스 장<br />

애, 불안신경증, 신경질, 공포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TSD), 남용, 강박 장애<br />

(OCD), 조울정신병, 특정 공포증, 사회 공포증, 불안 특성을 갖는 적응 장애를 말한다.<br />

유아기,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의 예로는 정신지체, 학습장애, 산술장애, 읽기장<br />

애, 쓰기 표현 장애, 운동 능력 장애, 발달성 협응장애, 의사소통장애, 표현성 언어장애, 음성학적 장애, 수용<br />

성/표현성 혼합언어장애, 말더듬기, 전반적 발달장애, 아스퍼거 장애, 자폐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레트 장<br />

애, 전반적 발달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품행 장애, 반항성 도전 장애,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br />

기의 섭식 장애, 이식증, 반추 장애, 틱장애, 만성 운동성 또는 음성 틱장애, 뚜렛 증후군, 배설 장애, 유분증,<br />

유뇨증, 선택적 함구증, 분리불안장애,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기의 반응성 애착장애, 상동증적 운동장애가<br />

있다.<br />

물질 관련 장애의 예로는 알콜 관련 장애, 암페타민 관련 장애, 카페인 관련 장애, 대마초 관련 장애, 코카인<br />

관련 장애, 환각제 관련 장애, 흡입제 관련 장애, 니코틴 관련 장애, 아편양제제 관련 장애, 정신병적 장애, 정<br />

신병적 장애, 펜사이클리딘 관련 장애, 남용, 지속적 기억상실 장애, 불안장애, 지속성 치매, 의존증, 중독, 중<br />

독 섬망, 기분장애, 정신병적 장애, 금단, 금단 섬망, 성기능 장애, 수면장애가 있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신경보호작용"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중추신경계 또는 말초신경계에 있어서<br />

의 신경 세포, 축삭 또는 이들의 지지 세포의 기능 장애, 변성 또는 사멸의 중증도를 억제, 예방, 개선 또는 감<br />

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있어서의 신경 변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흥분독성<br />

의 예방 또는 화합물 (예를 들면, 흥분성 아미노산, 예컨대 글루타메이트; 독소; 또는 아폽토시스의 즉시 또는<br />

지연 유도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즉시 또는 지연 세포독성 부작용을 나타내는 예방 또는 치료 화합<br />

물)의 세포독성을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신경보호제에 의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환자의 현 임상 증상 또는 예후가<br />

신경계 장애 또는 정신 장애의 발병, 확대, 악화 또는 치료에 대한 저항 증가를 예방하도록 신경보호작용을 부<br />

여하는 것이 효과적인 장애, 또는 상기 증후군 또는 장애를 현재 앓고 있거나 발병할 수 있는 환자를 나타낼 것<br />

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객관적 또는 주관적 파라미터를 포함한 손상, 병변 또는<br />

- 24 -


[0181]<br />

[0182]<br />

[0183]<br />

[0184]<br />

[0185]<br />

[0186]<br />

[0187]<br />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있어서의 성공 징후, 예컨대 경감; 완화; 증후의 감소 또는 환자가 손상, 병변 또는<br />

증상에 대하여 더욱 내성을 갖게 되는 것; 변성 또는 감퇴 속도의 둔화; 최종 변성점을 덜 쇠약화하는 것; 또는<br />

대상의 육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말한다. 증상의 치료 또는 개선은 신체 검사, 신경학적 검<br />

사, 및/또는 정신 감정의 결과를 포함한 객관적 또는 주관적 파라미터에 기초를 둘 수 있다.<br />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경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방법은<br />

신경계 세포에 대한 명백한 손상 또는 상해의 임상 징후 또는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나, 신경계의 손상 또<br />

는 외상 또는 일부의 공지된 생물학적 또는 유전적 소인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 장애의 검증된 바이오마커의 발<br />

견으로 인해, 신경 손상의 발현에 대한 고 리스크 그룹에 속할 수 있는 환자에게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의 치<br />

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br />

따라서,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신경 손상을 발증할 위험성이 있지만, 임상적<br />

증거를 발현하지 않은 대상의 신경보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환자는 단순히 신경 손상을 발증할 위험성<br />

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내는 대상 또는 이들의 가족의 인자, 병력, 신체검사 또는 체력검사를 확인함으로써 측정<br />

된 "위험성이 보다 높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용가능한 수단에 의해 환자가 "위험성이 보다 높은"<br />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환자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br />

있다.<br />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에 의해 치료 효과를 얻을<br />

수 있는 대상은 신경 손상에 대한 위험 인자를 측정하기 위해 용인된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될 수<br />

있다. 이러한 스크리닝 방법은 예를 들면, 폐쇄성 또는 관통성 두부 외상, 중추신경계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br />

염증, 뇌졸중, 뇌종양, 뇌부종, 낭미충증, 포르피린증, 대사성 뇌병증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뇌혈<br />

관질환, 진정수면제 또는 알콜 금단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약물 금단, 분만시의 산소 결핍 또는 임<br />

의의 종류의 분만 외상을 포함한 주산기력 이상, 뇌성 마비, 학습 장애, 과잉 행동, 소아의 열성 경련 병력, 경<br />

련중첩증 병력, 간질 가족력 또는 발작 관련 장애, 루푸스를 포함한 뇌의 염증성 질환, 코카인 중독을<br />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직접 또는 태반 통과에 의한 약물 중독, 부모 혈족, 및 향정신제를 포함한 신경<br />

계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약제에 의한 치료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위험 인자를 측정하는 통상<br />

적인 워크업을 포함한다.<br />

임상 징후 또는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환자에 있어서 신경보호제에 의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환자에<br />

대한 검사는 각종 "대리 마커" 또는 "바이오마커"를 기초로 할 수 있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대리 마커" 및 "바이오마커"는 교호적으로 사용되며, 신경 손상의 현존 또는 차후<br />

의 발병과 확실하게 상관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해부학적, 생화학적, 구조적, 전기적, 유전적 또는 화학적 지<br />

표 또는 마커를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뇌영상 기법, 예컨대 컴퓨터 단층촬영법 (CT), 자기공명영상법<br />

(MRI) 또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법 (PET)을 이용하여, 대상이 신경 손상의 위험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할<br />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적절한 바이오마커는 해마 경화증, 해마 위축증 또는 해마 용적 감소 또는 명<br />

백한 측두엽 경화증 (MTS) 또는 유사한 관련 해부학적 병변의 MRI, CT 또는 다른 영상법에 의한 검사; 환자의<br />

혈액, 혈청 또는 조직에서의 분자종, 예컨대 단백질 또는 다른 생화학적 바이오마커, 예를 들면, 모양체 신경영<br />

양인자 (CNTF)의 레벨 상승 또는 신경세포 분해산물의 혈청 레벨 상승의 검출; 또는 환자가 신경보호제를 사용<br />

한 치료를 필요로 한다는 대리 마커 또는 바이오마커에 의한 기타 증거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br />

다양한 검출 기법을 이용하는 더욱 많은 이러한 바이오마커가 장차 개발될 것으로 예기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br />

되는 후자 용어로서, 신경 손상의 현존 또는 가능한 차후 발현에 대한 이러한 마커 또는 지표가 본 발명의 화합<br />

물 및 방법을 이용한 치료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br />

신경 손상을 보유하거나 발현할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검사는 또한 예를 들면, 상세한 병력, 신체 검사, 및<br />

일련의 관련 혈액 검사를 포함하는 의학적 평가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뇌파도 (EEG), CT, MRI 또는 PET 스캔<br />

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 손상 또는 상해의 발병 위험성 증가에 대한 검사는 또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또<br />

는 프로테옴 기법을 포함한 유전자 검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신경보호제로 안정화되거나 개선될 수 있는<br />

정신 장애, 예를 들면, 양극성 장애, 분열정동성 장애, 정신분열병, 충동조절장애 등에 관해서는, 상기 테스트<br />

는 또한 환자가 장기간에 걸쳐서 받을 수 있는 다른 치료와 관련하여 장기간에 걸친 환자 증상, 예컨대 기분장<br />

애 증상 및 정신병 증상 경과의 상세한 병력, 예를 들면 라이프 챠트 및 현재 상태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br />

들 및 다른 특수화 및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임상의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제제를 이용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br />

환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펩티드<br />

- 25 -


[0188]<br />

[0189]<br />

[0<strong>19</strong>0]<br />

[0<strong>19</strong>1]<br />

[0<strong>19</strong>2]<br />

[0<strong>19</strong>3]<br />

는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 예를 들면 다른 신경보호제 또는 항간질제, 항<br />

경련제와 동반 투여될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뉴런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br />

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펩티드의 하나의 유효량을, 신경보호작용을 부여하거나 발작<br />

또는 간질 발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능력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신경보호 효과를 증대시키는 능력을 갖는<br />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의 유효량과 병용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br />

함한다.<br />

화합물, 치료제 또는 공지된 약물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병용 투여"는 공지<br />

된 약물과 펩티드 배합물이 치료 효과를 가지게 될 때의 약물과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투여를 의미한다. 경우<br />

에 따라서는, 이러한 치료 효과는 상승작용을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동반 투여는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의<br />

투여에 대하여, 약물의 수반 (즉, 동시에), 사전, 또는 후속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br />

는 특정한 약물 및 본 발명의 펩티드의 투여에 관한 적절한 타이밍, 시퀀스 및 용량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없<br />

을 것이다.<br />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는 하나 이상의 하기 특성을 갖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항<br />

산화 활성; NMDA 수용체 길항 활성, 내인성 GABA 저해 증대; NO 신타아제 저해 활성; 철 결합능, 예를 들면, 철<br />

킬레이트제; 칼슘 결합능, 예를 들면, Ca (II) 킬레이트제; 아연 결합능, 예를 들면, Zn (II) 킬레이트제; 환자<br />

의 CNS에서 나트륨 또는 칼슘 이온 채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칼륨 또는 염화물 이온 채널을 개방하는 능<br />

력.<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신경 변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br />

로서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br />

심장 혈관 질환<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심장질환(heart disease)은 많은 상이한 심장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예를 들어, 가<br />

장 일반적인 심장질환인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은 심장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br />

의 수축 또는 협착이 특징적이며, 심근 일부가 죽는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을 유발할 수 있다. 심<br />

부전(heart failure)은 신체에 적절한 양의 혈액을 펌프하는 심장의 무능력에서 기인하는 상태이다. 심부전은<br />

돌연히 또는 갑자기 심장 활동이 멈추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형적으로 수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하여 심장이<br />

효과적으로 혈액을 펌프하는 능력을 점차 잃는 것이다. 심부전의 위험 요소에는 관상동맥질환(coronary heart<br />

disease), 고혈압(hypertension), 판막성 심질환(valvular heart disease), 심근병증(cardiomyopathy), 심근의<br />

질환(disease of the heart muscle), 비만(obesity), 당뇨병(diabetes) 및/또는 심부전의 가족력이 포함된다.<br />

심혈관 질환 및 장애의 예에는 다음이 있다: 동맥류(aneurysm), 안정협심증(stable angina), 불안정협심증<br />

(unstable angina), 협심증(angina pectoris), 혈관신경부종(angioneurotic edema),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br />

valve stenosis), 대동맥류(aortic aneurysm), 부정맥(arrhythmia),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이형증<br />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dysplasia),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뇌동정맥기형(arteriovenous<br />

malformations),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베체트 증후군 (Behcet syndrome), 서맥(bradycardia), 심장<br />

압전(cardiac tamponade), 심비대(cardiomegaly), 울혈성 심근증(congestive cardiomyopathy), 비후형 심근증<br />

(hypertrophic cardiomyopathy), 제한성 심근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경동맥 협착(carotid<br />

stenosis),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처크-스트라우스 증후군(Churg-Strauss syndrome), 당뇨병<br />

(diabetes), 에브스타인 이상(Ebstein's Anomaly), 아이젠멘거 복합(Eisenmenger complex), 콜레스테롤 색전증<br />

(cholesterol embolism), 세균성 심내막염(bacterial endocarditis), 섬유근 형성이상증(fibromuscular<br />

dysplasia), 선천성 심장 결함(congenital heart defects), 심장 질환(heart diseases), 울혈성 심부전<br />

(congestive heart failure), 심장 판막 질환(heart valve diseases), 심장 발작(heart attack), 경막외 혈종<br />

(epidural hematoma), 혈종(hematoma), 경막하(subdural), 힙펠-린도우병(Hippel-Lindau disease), 충혈<br />

(hyperemia), 고혈압(hypertension),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심장 비대(cardiac hypertrophy), 좌<br />

심실비대(left ventricular hypertrophy), 우심실비대(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좌심형성부전증후군<br />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저혈압(hypotension), 간헐성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 허혈성<br />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 외측<br />

연수증후군(lateral medullary syndrome), QT 간격연장증후군(long QT syndrome), 승모판탈출증(mitral valve<br />

prolapse),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피부점막림프절증후군(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심근<br />

- 26 -


[0<strong>19</strong>4]<br />

[0<strong>19</strong>5]<br />

[0<strong>19</strong>6]<br />

[0<strong>19</strong>7]<br />

[0<strong>19</strong>8]<br />

[0<strong>19</strong>9]<br />

[0200]<br />

[0201]<br />

[0202]<br />

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심근 허혈(myocardial ischemia), 심근염(myocarditis), 심막염<br />

(pericarditis),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 정맥염(phlebitis), 결절성 다발동맥염<br />

(polyarteritis nodosa), 폐동맥판폐쇄증(pulmonary atresia), 레이노병(Raynaud disease), 스네돈 증후군<br />

(Sneddon syndrome), 상대정맥증후군(superior vena cava syndrome), 증후군 엑스(syndrome X), 빈맥<br />

(tachycardia), 다카야스 동맥염(Takayasu's arteritis), 유전성 출혈 혈관확장(hereditary hemorrhagic<br />

telangiectasia), 모세혈관확장증(telangiectasis), 측두동맥염(temporal arteritis), 팔로사징(tetralogy of<br />

Fallot), 폐쇄혈전혈관염(thromboangiitis obliterans), 혈전증(thrombosis), 혈전색전증(thromboembolism),<br />

삼첨판폐쇄증(tricuspid atresia), 정맥류(varicose veins), 혈관 질환(vascular disease), 혈관염<br />

(vasculitis), 혈관경축(vasospasm),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윌리암스증후군(Williams<br />

syndrome),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 정맥류(varicose veins) 및 다리궤양(leg ulcers),<br />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월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br />

혈관 질환은 종종 혈관계의 감소된 관류나 혈관의 물리적 또는 생화학적 손상의 결과이다.<br />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 PVD)은 종종 사지 혈관의 협착이 나타나는 혈관 질환으로<br />

정의된다. 이러한 장애에는 두 가지 주요 형태로서, 혈관의 결함이 관련된 것이 아니라 저온, 스트레스 또는<br />

흡연과 같은 자극소(stimuli)로부터 발생하는 기능적 질환, 및 죽상경화병변(atherosclerotic lesion), 국소적<br />

염증 또는 외상성 손상과 같은 맥관계의 구조적 결함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질적 질환이 있다. 이것은 혈관의 폐<br />

색, 이상 혈류 및 궁극적으로 조직 허혈을 유도할 수 있다.<br />

PVD의 임상적으로 더욱 중요한 형태의 하나는 말초동맥질환(peripheral artery disease, PAD)이다. PAD는 종<br />

종 혈관성형술(angioplasty) 및 스텐트(stent)의 이식 또는 동맥우회로수술에 의해서 치료된다. 임상적 증상은<br />

폐색혈관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혈액을 장(intestine)으로 공급하는 동맥의 협착은 소화 및 흡수<br />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 수요의 증가에 대한 폐색 혈관의 무능력에서 기인하는 하복부에서의 심각한 식후통증을<br />

유발할 수 있다. 심각한 형태에서 허혈은 장괴사를 유발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리, 일반적으로 종아리에서<br />

PAD는 활동과 함께 변하는 간헐적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는 간헐성 파행(intermittent<br />

claudication, IC)으로 알려져 있고, 휴식, 허혈성 궤양 및 심지어 절단 중에도 지속통으로 진행할 수 있다.<br />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은 또한 신허혈(renal ischemia) 및 신부전(kidney dysfunction)을<br />

유도할 수 있는 신동맥의 죽상경화성 협착증(atherosclerotic stenosis)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br />

혈관 질환 및 그의 합병증이 매우 일반적인 질환의 하나는 당뇨병(diabetes mellitus)이다. 당뇨병은 다양한<br />

생리학적 및 해부학적 불규칙을 유발하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포도당의 정상적 사용에 대한 신체의 무능력<br />

으로 인한 고혈당증이다. 만성 당뇨병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대형 및 중형 혈관이 관련된<br />

이상(대혈관합병증, macroangiopathy) 및 세동맥 및 모세혈관과 같은 소혈관이 관련된 이상(미세혈관합병증,<br />

microangiopathy)을 포함하는 혈관계의 합병증을 유도할 수 있다<br />

당뇨병 환자는 손상된 신경기능(신경병증, neuropathy) 및/또는 허혈을 포함하는 질환의 만성적 장기 합병증의<br />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족부 궤양 발생 위험이 높다. 국소 조직 허혈은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핵심적인 기여 요<br />

소이다.<br />

대혈관질환 이외에, 당뇨병 환자는 적어도 두 가지 추가적인 방식으로 그들의 피부 관류에 더욱 위협을 받는다.<br />

첫째,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과정에 의해 해로운 영향을 받는 비-도관동맥(non-conduit artery)의 연루 및 둘째,<br />

아마도 더욱 중요하게, 미세순환 조절 기작의 결함(소혈관질환, small vessel disease)이다. 일반적으로, 신체<br />

부분이 어떤 형태의 외상을 겪을 때, 그 신체 부분은 신체 치유 기작의 일부로써 혈류의 증가를 경험할 것이다.<br />

많은 당뇨병의 경우에서와 같이, 소혈관질환 및 허혈이 모두 존재할 때, 이러한 자연적인 혈류 증가반응은 상당<br />

히 감소된다. 이러한 사실은 혈류의 레벨이 낮은 동안 미세순환계에서 혈전(blood clot)을 형성(혈전증,<br />

thrombosis)하는 당뇨병의 경향과 함께, 궤양 발병기전에서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여겨진다.<br />

신경병증(neuropathy)은 신경계의 기능부전을 유도하는 질환 과정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이고, 당뇨병의 주<br />

요 합병증의 하나이며, 그것의 대증요법 또는 신경 기능의 점차적인 저하 예방을 위한 잘 확립된 치료법이<br />

없다.<br />

당뇨병에 의한 모세혈관의 비후 및 누출은 우선 눈(망막병증, retinopathy) 및 신장(신장병증, nephropathy)에<br />

영향을 미친다. 당뇨병에 의한 모세혈관의 비후 및 누출은 또한 피부 장애 및 신경계의 장애(신경병증,<br />

neuropathy)와 관련된다.<br />

- 27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203]<br />

[0204]<br />

[0205]<br />

당뇨병과 관련된 안질환에는 비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증식성 당<br />

뇨병성 망막병증(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당뇨황반병증(diabetic maculopathy), 녹내장<br />

(glaucoma), 백내장(cataract) 등이 있다.<br />

다른 질환들은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것이 말초혈관계에 미치는 생리적 영<br />

향은 유사하다. 그러한 질환에는 레이노증후군(Raynaud syndrome), 크레스트증후군(CREST syndrome), 자가면역<br />

질환, 예컨대 홍반(erythematosis), 류마티스질환(rheumatoid disease) 등이 포함된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말초혈관질환"은 말초 및 자율 신경병증을 포함하는 모든 말초혈관질환을<br />

포함한다. "말초혈관질환"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는 만성 동맥폐쇄와 같은 말초동맥질환을 포함한다; 동맥경화<br />

증(arteriosclerosis), 폐쇄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obliterans) 및 폐쇄혈전혈관염(thromboangiitis<br />

obliterans) (버거병, Buerger's disease), 대혈관합병증(macroangiopathy), 미세혈관합병증<br />

(microangiopathy), 당뇨병(diabetes meiiitus), 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 정맥혈전병(phlebemphraxis),<br />

레이노병(Raynaud's disease), 레이노증후군(Raynaud's syndrome), 크레스트증후군(CREST syndrome), 진동에<br />

의한 보건위험(health hazard due to vibration), 수덱증후군(Sudeck's syndrome), 간헐성 파행(intermittent<br />

claudication), 사지의 냉감각(cold sense in extremities),사지의 비정상적 감각(abnormal sensation in<br />

extremities), 저온에 대한 민감성(sensitivity to the cold),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메니에르 증후<br />

군(Meniere's syndrome), 마비(numbness), 감각의 결여(lack of sensation), 무감각(anesthesia), 휴식통<br />

(resting pain), 작열통(causalgia) (작열통, burning pain), 말초순환기능의 장애(disturbance of peripheral<br />

circulation function), 신경기능의 장애(disturbance of nerve function), 운동기능의 장애(disturbance of<br />

motor function), 운동마비(motor paralysis), 당뇨병성 말초순환장애(diabetic peripheral circulation<br />

disorder), 요추 척주관 협착증(lumbar spinal canal stenosis),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충<br />

격(shock), 홍반(erythematosis), 류마티스 질환(rheumatoid disease)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br />

arthritis)와 같은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자율 신경병증(autonomic neuropathy), 당뇨병성 자율<br />

신경병증(diabetic autonomic neuropathy), 자율 불균형(autonomic imbalance),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br />

hypotension), 발기부전(erectile dysfunction), 여성의 성기능 장애(female sexual dysfunction), 역행사정<br />

(retrograde ejaculation), 방광병증(cystopathy), 신경원성 방광(neurogenic bladder), 질윤활의 결함<br />

(defective vaginal lubrication), 운동불내성(exercise intolerance), 심장제신경(cardiac denervation), 열<br />

불내성(heat intolerance), 미각성 다한증(gustatory sweating), 당뇨병 합병증(diabetic complication), 고혈<br />

당증(hyperglycemia), 저혈당불감증(hypoglycemia unawareness), 저혈당 무반응(hypoglycemia<br />

unresponsiveness); 녹내장(glaucoma), 신생혈관 녹내장(neovascular glaucoma), 백내장(cataract), 망막병증<br />

(retinopathy), 당뇨병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병성 황반병증(diabetic maculopathy), 망막동<br />

맥의 폐쇄(occlusion of retinal artery),망막중심동맥의 폐색(obstruction of central artery of retina), 망<br />

막정맥의 폐쇄(occlusion of retinal vein), 황반부종(macular edema), 노년기 황반변성(aged macular<br />

degeneration), 노년기 원반황반변성(aged disciform macular degeneration), 낭포황반부종(cystoid macular<br />

edema), 눈꺼풀부종(palpebral edema), 망막부종(retinal edema), 맥락망막병증(chorioretinopathy), 신생혈관<br />

황반병증(neovascular maculopathy), 포도막염(uveitis), 홍채염(iritis), 망막혈관염(retinal vasculitis),<br />

안내염(endophthalmitis), 전체안구염(panophthalmitis), 전이성안염(metastatic ophthalmia), 맥락막염<br />

(choroiditis), 망막색소상피염(retinal pigment epithelitis), 결막염(conjunctivitis), 섬모체염(cyclitis),<br />

공막염(scleritis), 상공막염(episcleritis), 시신경염(optic neuritis), 구후시신경염(retrobulbar optic<br />

neuritis), 각막염(keratitis), 눈꺼풀염(blepharitis), 삼출성망막박리(exudative retinal detachment), 각막<br />

궤양(corneal ulcer), 결막궤양(conjunctival ulcer), 만성각막염(chronic nummular keratitis), 타이거슨 각<br />

막염(Thygeson keratitis), 진행성 무렌 궤양(progressive Mooren's ulcer), 피부의 손상(damage of skin), 족<br />

부궤양(foot ulcer)을 포함하는 피부궤양(skin ulcer), 당뇨병성 궤양(diabetic ulcer), 화상궤양(burn<br />

ulcer), 하퇴궤양(lower leg ulcer), 수술후궤양(postoperative ulcer), 외상성궤양(traumatic ulcer), 대상포<br />

진후궤양(ulcer after herpes zoster), 방사선궤양(radiation ulcer), 약제성 궤양(drug induced ulcer), 동상<br />

(frostbite)(한랭손상, cold injury), 동창(chilblain), 괴저(gangrene) 및 급성괴저(sudden gangrene), 협심<br />

증(angina pectoris)/변종혈관염(variant angiitis), 관상동맥경화증(coronary arteriosclerosis)(만성허혈성<br />

심질환(chronic ischemic heart disease), 무증상허혈성심질환(asymptomatic ischemic heart disease), 동맥경<br />

화성 심혈관질환(arteri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심부전<br />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및 무통성 허혈성 심질환(painless ischemic<br />

heart disease), 폐부종(pulmonary edema), 고혈압(hypertension),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문맥고<br />

- 28 -


[0206]<br />

[0207]<br />

[0208]<br />

[0209]<br />

[0210]<br />

[0211]<br />

[02<strong>12</strong>]<br />

[0213]<br />

[0214]<br />

[0215]<br />

[0216]<br />

[0217]<br />

[0218]<br />

[02<strong>19</strong>]<br />

[0220]<br />

[0221]<br />

[0222]<br />

[0223]<br />

혈압(portal hypertension), 당뇨병성 신장병증(diabetic nephropathy), 욕창(decubitus), 신부전(renal<br />

failure).<br />

본 발명의 펩티드를 심장 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br />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br />

혈관형성 (Angiogenesis)<br />

혈관형성은 기존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혈관의 증식을 포함하는 생리 과정이다. 혈관형성은 성장 및 발달에서뿐<br />

만 아니라, 상처 치유에서 정상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이는 또한, 잠재 상태에서 악성 상태로의 종양 전이에<br />

있어서 기본 단계이기도 하다.<br />

혈관형성은 몇가지 충분히 특성화된 단계로 발생한다. 첫번째로, 혈관형성 증식 인자 (angiogenic growth<br />

factor)로 알려진 생물학적 신호가 기존 혈관에 존재하는 내피 세포상에 존재하는 수용체를 활성화한다. 두번째<br />

로, 활성화된 내피 세포는 내피 세포를 원래의 (부모) 혈관 벽으로부터 탈출시키도록 하기 위해 기저막을 붕괴<br />

시키는 프로테아제라고 하는 효소를 방출하기 시작한다. 그 후, 내피 세포는 주변 매트릭스내로 증식하고, 이웃<br />

혈관을 연결하는 고체 스프라우트 (solid sprout)를 형성한다. 스프라우트가 혈관형성 자극 원천을 향해 확장함<br />

에 따라, 내피 세포는 인테그린이라고 하는 접착 분자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그 후, 이들 스프라우트는 루프를<br />

형성하여 세포가 혈관형성 부위로 이동함에 따라 본격적인 혈관 루멘 (full-fledged vessel lumen)으로 된다.<br />

스프라우트화는 1일당 수 밀리미터의 속도로 발생하며, 새 혈관이 혈관구조의 간격을 가로질러 증식할 수 있도<br />

록 한다.<br />

치료적 혈관형성은 질환과 싸우도록 체내에서 새로운 혈관을 생성하는 것을 저해 또는 유도할 수 있는 특정 화<br />

합물의 적용이다. 없어야 하는 혈관의 존재는 조직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기능상실의 가능성을 증가시킬<br />

수 있다. 복구중이거나, 대사적으로 활성인 조직에서 혈관 부재는 복구 또는 일부 다른 기능을 지체시킬 수 있<br />

다. 몇몇 질환은 기능상실 또는 불충분한 혈관 형성의 결과이고, 혈관의 국소적 팽창으로 새 영양분을 그 부위<br />

로 가져가 복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다른 질환은 일반적인 생리 과정에 간섭하는 혈관의 국소<br />

적 팽창으로 생성될 수 있다.<br />

혈관형성은 예를 들어, 심혈관 질환의 치료에 우수한 치료 표적이다. 이는 생체 기관으로 혈액 공급이 감소하는<br />

것에 인체가 반응하는 자연적 방식, 즉, 허혈성 손상 (ischemic insult)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측부 혈관을<br />

생성하는 것의 기초가 되는 유력한 생리 과정이다.<br />

"혈관형성" 원리를 이용한 현대의 임상적인 적용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주요 영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br />

1. 항-혈관형성 요법<br />

2. 혈관형성 유발 요법 (Pro-angiogenic therapies)<br />

한편, 항-혈관형성 요법은 하기에 대항하고자 한다:<br />

ㆍ 다수의 기관에서 임의 유형의 암 및 악성 종양 및 그의 전이, 예를 들어, 혈관종 (일반적으로 종양은 영양분<br />

- 및 산소-의존성이기 때문에, 적절한 혈액 공급을 요한다),<br />

ㆍ 감염성 질환,<br />

ㆍ 자가면역질환에서의 혈관염 및 과도한 혈관형성, 예를 들어, 전신 경화증 (공피증), 다발성 경화증, 쇼그렌<br />

질환,<br />

ㆍ 혈관 및 림프관의 맥관기형, 예를 들어, 디조지 증후군,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확장증, 해면 혈관종, 피부<br />

혈관종, 림프 기형, 이식 동맥병증, 아테롬성동맥경화증, 혈관 문합,<br />

ㆍ 비만증에서의 지방 조직,<br />

ㆍ 만성 동종이식 거부,<br />

ㆍ 피부 질환, 예를 들어, 건선, 사마귀, 알레르기성 피부염, 반흔 켈로이드, 화농성 육아종, 수포성 질환,<br />

AIDS 환자의 카포시 육종, 전신 경화증 (공피증),<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ㆍ 안질환, 예를 들어, 일차 증식 유리체 증후군, 당뇨병성 망막병증, 미숙아 망막병증, 맥락막 혈관신생,<br />

- 29 -


[0224]<br />

[0225]<br />

[0226]<br />

[0227]<br />

[0228]<br />

[0229]<br />

[0230]<br />

[0231]<br />

[0232]<br />

[0233]<br />

[0234]<br />

[0235]<br />

[0236]<br />

[0237]<br />

[0238]<br />

[0239]<br />

[0240]<br />

[0241]<br />

[0242]<br />

[0243]<br />

ㆍ 폐질환, 예를 들어, 임의 유형의 폐동맥 고혈압, 천식, 코폴립, 비염, 만성 기도 염증 및 폐쇄 (COPD), 낭성<br />

섬유증, 급성 폐손상, 폐쇄성 세기관지 기질화 폐렴,<br />

ㆍ 위장관 질환, 예를 들어, 염증성 장질환, 치주 질환, 복수, 복막 유착, 간경화증,<br />

ㆍ 생식기 계통 질환, 예를 들어, 자궁내막증, 자궁출혈, 난소 낭, 난소 과자극,<br />

ㆍ 골 관절 질환, 예를 들어, 관절염 및 윤활막염, 골수염, 골증식체 형성, HIV-유도 골수 혈관형성,<br />

ㆍ 신장 질환, 예를 들어, 조기 당뇨병성 신병증.<br />

혈관형성 유발 요법은 불충분한 혈관형성 또는 혈관 퇴행을 특징으로 하거나, 이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에 새로<br />

운 치료 옵션을 찾는데 중요하다:<br />

ㆍ 신경계 질환,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뇌졸중,<br />

ㆍ 혈관 및 림프관 질환, 예를 들어, 당뇨병성 혈관병증, 재협착에서의 내피세포재형성 장애(impared<br />

reendothelialization in restenosis), 림프부종,<br />

ㆍ 위장관 궤양화, 구강 궤양, 크론병에서의 점막 허혈<br />

ㆍ 피부 질환, 예를 들어, 루푸스,<br />

ㆍ 생식기 계통 질환, 예를 들어, 자간전증, 월경과다,<br />

ㆍ 폐질환, 예를 들어,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폐섬유증, 폐기종,<br />

ㆍ 신장 질환, 예를 들어, 신장병증, 사구체경화증, 세뇨관 간질성 섬유증 (tubulointerstitial fibrosis),<br />

ㆍ 골 질환, 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절 치유 부전 (impaired bone fracture healing),<br />

ㆍ 심장 질환, 예를 들어, 허혈성 심장 질환, 심부전,<br />

ㆍ 임의의 유형의 상처 치유 장애.<br />

혈관형성 연구는 또한, 암 연구에서 최첨단 분야이고, 전통적 요법, 예를 들어, 방사선 요법은 유전자적으로 불<br />

안정한 종양 세포 구역보다는, 유전자적으로 안정한 내피 세포 구역을 표적으로 하여 일부분 수행될 수 있다.<br />

새로운 혈관 형성은 몇가지 수준에서 파괴적인 간섭을 받는, 비교적 취약한 과정이다. 요컨대, 요법은 세포 구<br />

역을 사멸시키는데 사용되는 선택 약제이다. 종양 세포는 신속한 세대시간 (일) 및 유전자적 불안정성 (변이)으<br />

로 인해 저항성을 신속히 발현하는데 반해, 내피 세포는 긴 세대시간 (개월) 및 유전자적 안정성 (낮은 변이)<br />

때문에 우수한 표적이다.<br />

혈관형성에 기초한 종양 요법은 천연 및 합성 혈관형성 저해제, 예를 들어, 안지오스타틴 (angiostatin), 엔도<br />

스타틴 (endostatin) 및 툼스타틴 (tumstatin)에 의존한다. 이들은 특정 단편으로서 주로 콜라겐 또는 플라스미<br />

노겐과 같은 기존 구조 단백질을 기원으로 하는 단백질이다.<br />

최근, 암에서 혈관형성을 표적으로 한 첫번째 FDA 승인 치료제가 미국에서 출시되었다. 이는 VEGF의 이소형에<br />

대한 단클론 항체이고, 치료제는 확립된 화학요법과 함께 병용으로 결장직장암에 사용하도록 승인되었다. 따라<br />

서, 혈관형성 분야에 추가적인 의약에 대한 광범위한 의학적 수요가 있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또한, 조직 공학의 관점에서, 혈관 이식편에서 혈관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의약이 요구된다. 매년, 심장 우회로<br />

수술에서 450,000개가 넘는 혈관 이식편이 사용된다. 혈관 이식편의 다른 용도는 혈관 동맥류 및 누관에 대한<br />

치료 및 신체내 다른 부위에서 병든 동맥에 대한 대체물을 포함한다. 가능하다면, 대체 혈관에 대한 최선의 선<br />

택은 환자의 건강한 혈관 (보통 정맥)을 선택하여 채취하고, 필요한 부위에 이식하는 자가이식이다. 그러나, 많<br />

은 환자들, 특히, 혈관 질환이 이미 존재하거나, 자가이식 과정을 이미 거친 환자들은 대체물로 적절히 작용하<br />

기에 충분히 건강한 혈관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 가장 보편적인 치료 형태는 합성 중합성 물질,<br />

예를 들어, ePTFE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Dacro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을 사용하여, 손<br />

상된 혈관에 영구 또는 재흡수성 대체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식편의 직경이 큰 경우 (5 내지 6 mm 초과), 합<br />

성 물질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보다 작은 혈관 직경이 요구되는 경우, 합성 물질은 협착 및 혈전 형성의 높은<br />

비율로 인해 사용될 수 없다. 한가지 가능한 해법은 콜라겐과 같은 천연 물질을 합성 물질로 변형시키거나, 이<br />

와 결합시켜 신체의 자연적 기능을 더욱 가깝게 모방하고, 혈전형성이 낮으며, 협착 발생이 낮은 이식편을 형성<br />

- 30 -


[0244]<br />

[0245]<br />

[0246]<br />

[0247]<br />

[0248]<br />

[0249]<br />

[0250]<br />

[0251]<br />

하는 것이다.<br />

자가이식 실패는 보통 루멘 협착으로부터 야기되는 특정 형태의 폐색에 기인한다. 제거 또는 재이식 도중 혈관<br />

의 손상은 자가이식 벽에 부착하는 인자 또는 세포의 동원을 유발할 수 있고, 루멘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br />

이어지는 흐름 제한은 혈전형성을 증가시켜, 완전 폐색 (full occulusion)될 가능성을 더욱 높게 한다. 다른 문<br />

제점은 생체내 수행에서 혈관 손상 또는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자가이식편의 준비 및 보존 과정이다. 마지막으<br />

로, 증가되고/되거나 다른 기계적 힘 때문에, 내피 세포는 수축하고 (장벽 수행 (barrier performance)을 감소<br />

시킴), 퇴화하여 또한 혈전형성 증가를 야기한다. 혈전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응고 약물이 필요하다. 이들<br />

약물의 사용은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 전신적 부작용을 야기하고, 매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합성 물질은<br />

소 직경 혈관 이식편용 물질을 위해 좋은 선택은 아니다.<br />

생물학적 물질을 합성 혈관 이식편에 편입함으로써, 숙주 반응은 이식편이 실패하지 않게 확실한 도움을 주도록<br />

조절될 수 있다. 합성 혈관 이식편용 물질로 콜라겐을 사용하는 것은 콜라겐이 생분해성이고, 우수한 기계적 특<br />

성을 갖기 때문에 매우 유망하다. 콜라겐이 생분해성이기 때문에, 장치가 퇴화함에 따라 조직이 장치내에서 증<br />

식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콜라겐 삽입물이 퇴화함에 따라 새로이 형성된 조직이 이를 대체할 것이고, 이에<br />

따라 스트레스가 이식된 장치로부터 새로이 형성된 조직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현상이 유<br />

리하다.<br />

콜라겐 혈관 삽입 물질이 루멘을 코팅하도록 내피 세포로 시딩 (seeded)되면, 표면은 이론적으로 더욱 생체적합<br />

하게 된다. 최근, 내피 세포가 콜라겐 소 직경 혈관 이식편상에서 배양되었다. 따라서, 생분해성 펩티드를 콜라<br />

겐 혈관 이식 물질에 도입함으로써, 내피 세포는 물질의 상단에 시딩되어, 내피 세포로 구성된 루멘 표면을 생<br />

성하여, 자연적인 생물학적 환경을 더욱 가깝게 모방할 수 있다. 내피 세포를 생물질로 이동시키는 것은 이식성<br />

장치의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이들 세포 특성은 이식의 성공에 중요한 내피세포재형성 (reendothelization) 및<br />

혈관형성 속도를 조절한다.<br />

혈관형성은 기존의 혈관구조로부터 새로운 혈관이 형성되는 복잡한 다단계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두가지 중요<br />

한 단계는 내피 세포 이동 및 새로운 세관으로의 조립이다. 지난 십년간, 혈관 형성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분<br />

자 조절제 어레이 (array)가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는 내피 세포 조립 및 이동에서 탁<br />

월한 역할을 하는 상기 혈관형성 조절제의 한 패밀리이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를 심장 혈관 질환 및 장애와 혈관형성 증가 또는 감소 의존성인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br />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들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br />

하여 테스트하였다.<br />

희귀 질병(Rare or Orphan diseases)<br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나 이상의 하기 희귀질병을 겪는 환자에서, 하기 희귀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및 자<br />

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br />

료용 치료제로서 펩티드 화합물 또는 펩티드 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ABCD 증후군(ABCD syndrome), AAE, ABSD, ACPS III, ACRP 증후군(ACRP syndrome), ACS, ACTH 결핍(ACTH<br />

deficiency), 단독성 ACTH 저항 (isolated ACTH resistance), ADANE, ADCA, ADCME, ADEM, ADLTE, ADULT 증후<br />

군(ADULT syndrome), AEC 증후군(AEC syndrome), AGM2, AHDS, 에이즈 소모 증후군(AIDS wasting syndrome),<br />

ALS, ALSG, AMME 증후군(AMME syndrome), ANOTHER 증후군(ANOTHER syndrome), AOA1, AOS, APC, 자가면역 다발<br />

성내분비장애(Autoimmune polyendocrinopathy) - 칸디다증(candidiasis) - 외배엽 퇴행위축 증후군(ectodermal<br />

dystrophy syndrome), 아푸도마(APUDoma), AR-CMT, ARC 증후군(ARC syndrome), ARCA, AREDYLD 증후군(AREDYLD<br />

syndrome), ASD, ASPED, ASPWSCR 복제(ASPWSCR duplication), ATLD, ATR16, ATRUS 증후군(ATRUS syndrome),<br />

ATS-MR, AVED 아게네스 증후군(AVED Aagenaes syndrome), 아라스코그 유사 증후군(Aarskog like syndrome), 아<br />

라스코그-오세-판데 증후군(Aarskog-Ose-Pande syndrome), 아라스코그-스콧 증후군(Aarskog-Scott syndrome),<br />

아즈 증후군(Aase syndrome), 아즈-스미스 증후군(Aase-Smith syndrome), 복부대동맥류(Abdominal aortic<br />

aneurysm), 이상 좌폐동맥(Aberrant left pulmonary artery), 무베타지단백혈증(Abetalipoproteinemia), 무안<br />

검 대구증 증후군(Ablepharon macrostomia syndrome), 아브루쪼-에릭슨 증후군(Abruzzo-Erickson syndrome),<br />

아칼바리아(Acalvaria), 아캄포멜릭 굴지형성이상(Acampomelic campomelic dysplasia), 아칸도아메바 각막염<br />

(Acanthamoeba keratitis), 유극적혈구성 장애(Acanthocytic disorder), 유극적혈구증(Acanthocytosis), 흑색<br />

- 31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극세포증(Acanthosis nigricans), 무카탈라제증(Acatalasemia), 선천성철분대사이상증(Aceruloplasminemia),<br />

이완불능증(Achalasia), 아샤르 티르즈 증후군(Achard Thiers syndrome), 무수족증(Acheiropodia), 연골무형성<br />

증(Achondroplasia), 색맹(Achromatopsia), 아시트레틴 태아병증(Acitretin embryofetopathy), 애커먼 증후군<br />

(Ackerman syndrome), 청신경종(Acoustic neurinoma), 후천성 전신 지방이영양증(Acquired generalized<br />

lipodystrophy), 후천성 저프로트롬빈혈증(Acquired hypoprothrombinemia), 후천성 어린선(Acquired<br />

ichthyosis), 후천성 특발성 철아구성빈혈(Acquired idiopathic sideroblastic anaemia), 후천성 지방위축성<br />

당뇨병(Acquired lipoatrophic diabetes), 후천성 프로트롬빈결핍증(Acquired prothrombin deficiency), 장성<br />

말단피부염 아연결핍형(Acrodermatitis enteropathica zinc deficiency type), 말단뼈발생이상<br />

(Acrodysostosis), 말단형성부전(Acrodysplasia), 사지안면골형성부전증(Acrofacial dysostosis), 선단각피증<br />

(Acrokeratoderma), 선단각화 유탄력섬유증(Acrokeratoelastoidosis), 선단흑피증(Acromelanosis), 전완하퇴말<br />

단 왜소증(Acromesomelic dwarfism), 말단왜소 이형성증(Acromicric dysplasia), 말단골융해증 우성형<br />

(Acroosteolysis dominant type), 신장 말단 결함(Acrorenal defect) - 외배엽 이형성증(ectodermal<br />

dysplasia) - 당뇨병(diabetes), 신장 말단 증후군(Acrorenal syndrome), 파종상 표재성 광선 한공각화증<br />

(Actinic porokeratosis disseminated superficial), 광선 한공각화증(Actinic porokeratosis), 급성 호흡곤란<br />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급성 호염기구성 백혈병(Acute basophilic leukaemia), 급성<br />

적백혈병(Acute erythroblastic leukaemia), 급성 발열성 호중구성 피부병(Acute febrile neutrophilic<br />

dermatosis),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br />

polyradiculoneuropathy, AIDP), 급성 간질성 폐렴(Acute interstitial pneumonia), 계열모호 급성백혈병<br />

(Acute leukaemia of ambiguous lineage), 계열미정 급성백혈병(Acute leukaemia of indeterminate lineage),<br />

급성 간부전(Acute liver failure), 급성림프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급성수질병변<br />

(Acute medullary lesions), 급성 거핵구성 백혈병(Acute megacaryoblastic leukaemia), 급성 단핵구성 백혈병<br />

(Acute monoblastic leukaemia), 급성 운동 및 감각 축삭 신경병증(Acute motor and sensory axonal<br />

neuropathy, AMSAN), 급성 운동 축삭 신경병증 (Acute motor axonal neuropathy, AMAN), 급성 골수아세포 백혈<br />

병(Acute myeloblasts leukaemia), 골수섬유화(myelofibrosis)를 동반한 급성골수이형성증(Acute<br />

myelodysplasia), 급성 골수섬유증(Acute myelofibrosis), 다운증후군(Down syndrome)에서 급성 골수성백혈병<br />

(Acute myeloid leukaemia), 급성 골수단핵구성백혈병(Acute myelomonocytic leukaemia), 급성 골수경화증<br />

(Acute myelosclerosis), 급성 비림프성 백혈병(Acute non lymphoblastic leukaemia), 골수섬유화<br />

(myelofibrosis)를 동반한 급성범골수증식증(Acute panmyelosis), 급성말초동맥폐색증(Acute peripheral<br />

arterial occlusion),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Acute promyelocytic leukaemia), 급성 세뇨관 사이질성 신염<br />

및 포도막염 증후군 (Acute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d uveitis syndrome), 편측성 무지증 (Adactylia<br />

unilateral), 에나멜상피종 (Adamantinoma), 아담스 낸스 증후군 (Adams nance syndrome), 아담스-올리버 증후<br />

군 (Adams-Oliver syndrome), 애디슨 병 (Addison's disease), 아데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 결핍<br />

(Ade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deficiency),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결핍 (Adenosine deaminase<br />

deficiency), 아데노실코바라민 결핍 (Adenosylcobalamin deficiency), 면역저하 환자에 대한 아데노바이러스<br />

감염 (Adenovirus infection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아데닐로숙시나제 결핍 (Adenylosuccinase<br />

deficiency), 유착성 거미막염 (Adhesive arachnoiditis), 애디 증후군 (Adie syndrome), 부신샘종 (Adrenal<br />

adenoma), 부신 과다형성 (Adrenal hyperplasia), 부신 우연종 (Adrenal incidentaloma), 부신 부전 (Adrenal<br />

insufficiency), 부신 피질 선암종 (Adrenocortical carcinoma),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br />

(Adrenoleukodystrophy), 부신척수 신경병증 (Adrenomyeloneuropathy), 부신성 근이영양증<br />

(Adrenomyodystrophy), 성인형 스틸병 (Adult Onset Still's disease), 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 (Adult T-<br />

cell leukaemia/lymphoma), 성인형 특발성 호중구감소증 (Adult idiopathic neutropenia), 성인형 신경 세로이<br />

드 리포푸스신증 (Adult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커프스 병, Kufs disease (CLN4)), 성인형 척수근<br />

육위축 (Adult spinal muscular atrophy), 무섬유소원혈증 (Afibrinogenemia), 아프리카 진드기 티푸스<br />

(African tick typhus),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African trypanosomiasis), 무감마글로불린혈증<br />

(Agammaglobulinemia), 연령관련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안-러만-사기에 증후군 (Ahn-<br />

Lerman-Sagie syndrome), 아우마다 텔 카스틸로 증후군 (Ahumada-Del Castillo syndrome), 에이카르디 증후군<br />

(Aicardi syndrome), 에이카르디-고우티에레스 증후군 (Aicardi-Goutieres syndrome),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br />

군 (AIDS), 아카바 하야사카 증후군 (Akaba hayasaka syndrome), 액송 증후군 (Akesson syndrome), 알라질 증<br />

후군 (Alagille syndrome), 알라닌-글리옥실레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결핍 (Alanine-glyoxylate<br />

aminotransferase deficiency (고옥살산뇨증 타입 1, hyperoxaluria type 1)), 알베르스-쉔베르크병 (Albers-<br />

Schonberg disease), 울브라이트 선천성 골이영양증 (Albright hereditary osteodystophy), 알콕 증후군<br />

- 32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Alcock syndrome), 알돌라제 A 결핍 (Aldolase A deficiency), 알도스테론 신타아제 결핍 (Aldosterone<br />

synthase deficiency), 알드레드 증후군 (Aldred syndrome), 알렉산더 병 (Alexander disease), 동통성 발육<br />

이상 (Algodystrophy), 알캅톤뇨증 (Alkaptonuria), 알킬글리세론 포스페이트 신타아제 결핍 (Alkylglycerone<br />

phosphate synthase deficiency), 알란-헌든-더들리 증후군 (Allan-Herndon-Dudley syndrome), 알레르기성 기<br />

관지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알그루브 증후군 (Allgrove<br />

syndrome), 탈모 (Alopecia), 알퍼스 증후군 (Alpers syndrome), 알퍼스-후텐로처 증후군 (Alpers-<br />

Huttenlocher syndrome), 알파-지중해빈혈 (Alpha-thalassemia), 알포트 증후군 (Alport syndrome), 알스트룀<br />

증후군 (Alstrom syndrome), 교대성 편마비 (Alternating hemiplegia), 폐포성 포충증 (Alveolar<br />

echinococcosis), 알베스 도스 산토스 카스텔로 증후군 (Alves dos santos castello syndrome), 알츠하이머 병<br />

(Alzheimer disease), 흑암시 - 다모증 (Amaurosis - hypertrichosis), 암브라스 증후군 (Ambras syndrome),<br />

거대핵세포증가증 (Amegacaryocytosis), 무지증 (Amelia), 아미뇨산증 (Aminoaciduria), 이질 아메바에 의한<br />

아메바증 (Amoebiasis due to Entamoeba histolytica), 암폴라 증후군 (Ampola syndrome), 아밀로이드 심근병<br />

증 (Amyloid cardiopathy), 아밀로이드 신경병증 (Amyloid nephropathy),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Amyloid<br />

polyneuropathy), 아밀로이드증 (Amyloidosis), 아밀로펙틴증 (Amylopectinosis), 정외 선천성 근무형성증<br />

(Amyoplasia congenita),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 지방조직 이상<br />

(Amyotrophy fat tissue anomaly), 빈혈 (Anemia), 아나우제틱 이형성 (Anauxetic dysplasia), 구충증<br />

(Ancylostomiasis), 안더만 증후군 (Andermann syndrome), 앤더슨 병 (Andersen disease), 동맥류성 지주막하<br />

출혈 (Aneurysmal subarachnoid haemorrhage), 앵겔만 증후군 (Angelman syndrome), 혈관-골비후성 증후군<br />

(Angio-osteohypertrophic syndrome), 혈관미성숙 괴사 척수증 (Angiodysgenetic necrotizing myelopathy), 혈<br />

관 부종(Angioedema), 혈관여포양 신경절 비대증 (Angiofollicular ganglionic hyperplasia), 혈관각화종<br />

(Angiokeratoma), 혈관종 및 혈관 기형 (Angioma and vascular malformation), 앤지오마토시스 시스테믹 시스<br />

틱 세이프 증후군 (Angiomatosis systemic cystic seip syndrome), 혈관신경성 부종 (Angioneurotic oedema),<br />

주혈선충증 (Angiostrongyliasis), 분선충증 (Anguillulosis), 무홍채증 (Aniridia), 고래회충유충증<br />

(Anisakiasis),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arthritis), 십이지장충증 (Ankylostomiasis), 윤상 대동맥<br />

확장증 (Annuloaortic ectasia), 무치아증 (Anodontia), 손발톱 결여증 (Anonychia), 무안구증 - 심장 및 폐<br />

이상 (Anophthalmia - heart and pulmonary anomalies), 무고환증 (Anorchidia), 신경성식욕부진 (Anorexia<br />

nervosa), 무이증 (Anotia), 산전 엡스테인-바 바이러스 감염 (Antenatal Epstein-Barr virus infection), 전<br />

각 세포 질환 (Anterior horn cell disease), 항-인지질 증후군 (Anti-phospholipid syndrome), 안티놀로 니에<br />

토 보레고 증후군 (Antinolo nieto borrego syndrome), 항플라스민 결핍 (Antiplasmin deficiency), 항트롬빈<br />

결핍 (Antithrombin deficiency), 앤틀리-빅슬러 증후군 (Antley-Bixler syndrome), 안얀-예보아 증후군<br />

(Anyane-Yeboa syndrome), 대동맥축착 (Aorta coarctation), 대동맥 형성저하증 (Aorta hypoplasia), 대동맥-<br />

폐동맥 누공 (Aorta-pulmonary artery fistula), TGF베타 수용체 이상으로 기인한 대동맥류 증후군 (Aortic<br />

aneurysm syndrome due to TGFbeta receptors anomalies), 대동맥 기형 (Aortic malformation), 대동맥판막 폐<br />

쇄증 (Aortic valve atresia), 대동맥판막 형성 장애 (Aortic valve dysplasia), 대동맥판막 협착증 (Aortic<br />

valve stenosis), APECED 증후군 (APECED syndrome), 에이퍼트 증후군 (Apert syndrome), 언어상실증<br />

(Aphasia), 심첨 풍선확장 증후군 (Apical ballooning syndrome), 선천성 피부무형성증 (Aplasia cutis), 재생<br />

불량빈혈 (Aplastic anaemia), 영아무호흡증 (Apnea of infancy, (AOI)), 미숙아 무호흡증 (Apnea of<br />

prematurity, (AOP)), Apo A-I 결핍 (Apo A-I deficiency), 아포리포단백질 AI 아밀로이드증 (Apolipoprotein<br />

AI amyloidosis), 사과껍질 증후군 (Apple peel syndrome), 행위상실증 (Apraxia), 아르보바이러스 열병<br />

(Arbovirus fever), 아레나 증후군 (Arena syndrome), 황반의 윤문상 위축증 (Areolar atrophy of the<br />

macula), 은중독 (Argyria), 은친화 입자병 (Argyrophilic grain disease), 무비증 후비공폐쇄 소안구증<br />

(Arhinia choanal atresia microphthalmia), 알클리스-그래함 증후군 (Arkless-Graham syndrome), 암필드 증후<br />

군 (Armfield syndrome), 아른트-고트론 병 (Arndt-Gottron disease), 아놀드-키아리 기형 (Arnold-Chiari<br />

malformation), 아로마타아제 결핍 (Aromatase deficiency), 무비증 (Arrhinia), 부정맥야기성 우심실이형성<br />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dysplasia), 동맥 석회화 (Arterial calcification), 동맥관 이상<br />

(Arterial duct anomalies), 두개강내동맥폐쇄성 질환 (Arterial occlusive disease), 동맥 꼬임 (Arterial<br />

tortuosity), 맥-간 이형성증 (Arteriohepatic dysplasia), 청소년성 관절염 (Arthritis juvenile), 관절굽음<br />

증 (Arthrogryposis), 유전적 진행성 관절안병증 (Arthroophtalmopathy), 관절증 (Arthropathy), 아트스 증후<br />

군 (Arts syndrome), 석면증 (Asbestosis), 애셔 증후군 (Ascher syndrome), 무균성 농양 증후군 (Aseptic<br />

abscesses syndrome), 무균성 골염 (Aseptic osteitis), 아셔만 증후군 (Asherman's syndrome), 아스파틸글루<br />

코스아미니다제 결핍 (Aspartylglucosaminidase deficiency), 아스퍼거 증후군 (Asperger syndrome), 아스페길<br />

- 33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루스증 (Aspergillosis), 신생아의 질식성 흉곽 이상 (Asphyxiating thoracic dystrophy of the newborn), 애<br />

슐리-켄달 이상 (Astley-Kendall dysplasia), 별아교세포종 (Astrocytoma), 조화운동불능 (Ataxia), 무종뇌증<br />

(Atelencephaly), 어텔로스테오제네시스 (Atelosteogenesis),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앳킨-<br />

플라이츠 증후군 (Atkin-Flaitz syndrome), 무트랜스페린증 (Atransferrinemia), 폐쇄증 (Atresia), 심방 심근<br />

병증 (Atrial cardiomyopathy), 심방 점액종 (Atrial myxoma), 심방 사이막 결손 (Atrial septal defect), 무<br />

모증 (Atrichia), 심실중격-팔로사징후 (Atrioventricular canal complete - fallot tetralogy), 어트로피아<br />

아에라타 (Atrophia aerata), 충식성 피부위축 (Atrophoderma vermiculata), 비전형적 기태 증후군 (Atypical<br />

Mole syndrome), 비전형적 베르너 증후군 (Atypical Werner syndrome), 아우그톤 슬로안 밀라드 증후군<br />

(Aughton sloan milad syndrome), 아우그톤-허프나글 증후군 (Aughton-Hufnagle syndrome), 아우셈스 비테볼<br />

포스트 헤네캄 증후군 (Ausems wittebol post hennekam syndrome), 자폐증 (Autism),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br />

(Autoimmune haemolytic anemia), 자가면역성 림프세포 증식 증후군 (Autoimmune lymphoproliferative<br />

syndrome), 자가면역성 췌장염 (Autoimmune pancreatitits), 악센필드-리에거 증후군 (Axenfeld-Rieger<br />

syndrome), 아야지 증후군 (Ayazi syndrome), B-세포 만성 림프구 백혈병 (B-cell chronic lymphocytic<br />

leukaemia), 성인형 양성 가족성 근견련성 간질 (BAFME), BBB 증후군, X-연관 (X-linked), BCD, BEEC, BES,<br />

BIDS 증후군, BOD 증후군, BOFS, BOR 증후군, BOS 증후군, BPD, BRESEK 증후군, BRESHECK 증후군, BRIC, BS,<br />

BSCL, BTHS, BTK-결핍, 바베스열원충증 (Babesiosis), 박테리아성 독성-쇼크 증후군 (Bacterial toxic-shock<br />

syndrome), 바헤무카 브라운 증후군 (Bahemuka brown syndrome), 베어드 증후군 (Baird syndrome), 대장섬모충<br />

증 (Balantidiasis), 발라드 증후군 (Ballard syndrome), 벨러-제롤드 증후군 (Baller-Gerold syndrome), 풍선<br />

확장 심근병증 (Ballooning cardiomyopathy), 발로 병 (Balo diseases), 뱀포트 증후군 (Bamforth syndrome),<br />

뱅스타드 증후군 (Bangstad syndrome), 반티 증후군 (Banti syndrome),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br />

(Bannayan-Riley-Ruvalcaba syndrome), 타입 A4 단지증 (Barachydactyly type A4), 바레이처 번 픽센 증후군<br />

(Baraitser burn fixen syndrome), 바레이처-브렛-피에소빅츠 증후군 (Baraitser-Brett-Piesowicz syndrome),<br />

바라캣 증후군 (Barakat syndrome), 바버-세이 증후군 (Barber-Say syndrome), 바르뎃-비에들 증후군 (Bardet-<br />

Biedl syndrome), 무표지 림프구 증후군 (Bare lymphocyte syndrome), 바니코트 바레이처 증후군 (Barnicoat<br />

baraitser syndrome), 발라퀘르-시몬즈 증후군 (Barraquer-Simons syndrome), 바렛 증후군 (Barrett<br />

eosophagus), 바트 증후군 (Barth syndrome), 바르토넬라증 (Bartonellosis), 바트소카스-파파스 증후군<br />

(Bartsocas-Papas syndrome), 바터 증후군 (Bartter syndrome), 바산 (Basan syndrome), 바센-콜른자이그 병<br />

(Bassen-Kornzweig disease) 바소에 증후군 (Bassoe syndrome), 바타글리아 네리 증후군 (Bataglia neri<br />

syndrome), 바텐 병 (Batten disease), 바우만 증후군 (Baughman syndrome), 바젝스 증후군 (Bazex syndrome),<br />

바젝스-듀프레-클리스ㅌ롤 증후군 (Bazex-Dupre-Christol syndrome), 바조포울로 키르카니도우 증후군<br />

(Bazopoulou kyrkanidou syndrome), Bd 증후군 (Bd syndrome), 빌스 증후군 (Beals syndrome), 빌스-헤츠 증후<br />

군 (Beals-Hecht syndrome), 빈 증후군 (Bean syndrome), 베아르 스티븐슨 증후군 (Beare stevenson<br />

syndrome), 베크테레프 증후군 (Bechterew syndrome), 베크위트-위드만 증후군 (Beckwith-Wiedemann<br />

syndrome), 비머-에르트브루겐 증후군 (Beemer-Ertbruggen syndrome), 베체트 병 (Behcet disease), 베르 증후<br />

군 (Behr syndrome), 베렌스-바우만-보겔 증후군 (Behrens-Baumann-Vogel syndrome),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br />

(Bell's palsy), 벨리니-치우멜로-리몰디 증후군 (Bellini-Chiumello-Rimoldi syndrome), 베날리그 라세테 증<br />

후군 (Benallegue Lacete syndrome), 베젤 (Bejel), 벤크제 증후군 (Bencze syndrome), 베니온-파터손 증후군<br />

(Bennion-Patterson syndrome), 벤슨 증후군 (Benson's syndrome), 베라디넬리-세잎 증후군 (Beradinelli-Seip<br />

syndrome), 베르돈 증후군 (Berdon syndrome), 버거 병 (Berger disease), 버크 타바츠닉 증후군 (Berk<br />

tabatznik syndrome), 베를린 브레이키쥐 증후군 (Berlin breakage syndrome), 버나드-소울리어 (Bernard-<br />

soulier syndrome), 베릴륨 중독증 (Berylliosis), 베스니어-보에크-샤우만 병 (유육종증, Besnier-Boeck-<br />

Schaumann disease), 베셀-하겐 병 (Bessel-Hagen disease), 난황형 황반 영양장애 (Best disease), 베타 지중<br />

해성 빈혈 (Beta thalassemia), 베들렘 근병증 (Bethlem myopathy), 비켈-판코니 당원 축적증 (Bickel-Fanconi<br />

glycogenosis), 비커스-아담스 증후군 (Bickers-Adams syndrome), 비커스태프 뇌간 뇌염 (Bickerstaff's<br />

brainstem encephalitis), 이판성 대동맥판 (Bicuspid aortic valve), 비에몬드 증후군 (Biemond syndrome),<br />

비에르머 병 (Biermer disease), 비에티 결정각막이영양증 (Bietti's crystalline dystrophy), 담즙산 합성<br />

결핍증 (Bile acid synthesis defect), 담관암 (Bile duct cancer), 담도폐쇄증 (Biliary atresia), 담관 염증<br />

성 질환 (Biliary inflammatory disease), 양계통성 급성 백혈병 (Bilineal acute leukaemia), 빌라드-토우타<br />

인-마헤우트 증후군 (Billard-Toutain-Maheut syndrome), 바인더 증후군 (Binder syndrome), 빈더발드-울머-뮬<br />

러 증후군 (Bindewald-Ulmer-Muller syndrome), 빈스방거 병 (Binswanger disease), 빌트-호그-두베 증후군<br />

(Birt-Hogg-Dube syndrome), 빅슬러 크리스챤 골린 증후군 (Bixler christian gorlin syndrome), 비욘스타드<br />

- 34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증후군 (Bjornstad syndrome), 블랙판-다이아몬드 빈혈 (Blackfan-Diamond anaemia), 블라이크만 증후군<br />

(Blaichman syndrome), 블레이크 낭종 (Blake's pouch cyst), 블라우 증후군 (Blau syndrome), 검열축소<br />

(Blepharophimosis), 안검하수증 (Blepharoptosis), 안검경련증 (Blepharospasm), 블레텐 베닉 호킨스 증후군<br />

(Blethen wenick hawkins syndrome), 블로취-슐츠버거 증후군 (Bloch-Sulzberger syndrome), 블룸 증후군<br />

(Bloom syndrome), 블로운트 증후군 (Blount disease), 파란 기저귀 증후군 (Blue Diaper syndrome), 보어링<br />

증후군 (Bohring syndrome), 보어링-오피츠 증후군 (Bohring-Opitz syndrome), 보이치스 증후군 (Boichis<br />

syndrome), 결손 뼈 미네랄화를 동반하는 골질환 (Bone disease with defective bone mineralisation), 골밀도<br />

증가를 동반하는 골질환 (Bone disease with increased bone density), 골수 기능부진 (Bone marrow failure),<br />

보노-뷰몬트 증후군 (Bonneau-Beaumont syndrome), 보네만-메이넥크-리히 증후군 (Bonnemann-Meinecke-Reich<br />

syndrome), 보넷-디차우메-블란크 증후군 (Bonnet-Dechaume-Blanc syndrome), 책 증후군 (Book syndrome), 부<br />

메랑 장애 (Boomerang dysplasia), 부트 하워드 딜링 증후군 (Booth haworth dilling syndrome), 보르제손-포<br />

스만-레만 증후군 (Borjeson-Forssman-Lehmann syndrome), 보크 증후군 (Bork syndrome), 보름홀른 눈병<br />

(Bornholm eye disease), 보슬레이 사리-알로라이니 증후군 (Bosley-Salih-Alorainy syndrome), 보스마 헨킨<br />

크리스티안센 증후군 (Bosma henkin christiansen syndrome), 보트니아 망막 위축 (Bothnia retinal<br />

dystrophy), 보우셔-네우하우저 증후군 (Boucher-Neuhauser syndrome), 보어네빌 증후군 (Bourneville<br />

syndrome), 부우토뉴스 열 (Boutonneuse fever), 부게스 반빅 증후군 (Bouwes Bavinck syndrome), 보벤 증후군<br />

(Bowen syndrome), 보야드지에브-잡스 증후군 (Boyadjiev-Jabs syndrome), 보일란 듀 증후군 (Boylan dew<br />

syndrome), 브라흐만-드 랑게 증후군 (Brachman-de Lange syndrome), 단지증 - 동맥성 고혈압 (Brachydactyly<br />

- arterial hypertension), 지중절단소증 II 및 V (Brachymesophalangy II and V), 브라키올미아<br />

(Brachyolmia), 브래독 캐리 증후군 (Braddck carey syndrome), 브래디오프시아 (Bradyopsia), 뇌 염증성 질환<br />

(Brain inflammatory disease), 뇌 손상 (Brain injury), 뇌 경화 (Brain sclerosis), 브라우어 증후군<br />

(Brauer syndrome), 브라운 베이어 증후군 (Braun bayer syndrome), 브라운 틴스처트 (Braun-Tinschert), 유방<br />

암 (Breast cancer), 브릴-진써 병 (Brill-Zinsser disease), 파골병 (Brittle bone disease), 브로디 근병증<br />

(Brody myopathy), 기관지 유암종 (Bronchial carcinoid tumour), 기관지확장증 (Bronchiectasis), 폐쇄세기관<br />

지기질화폐렴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폐쇄성 폐질환을 동반한 세기관지염<br />

(Bronchiolitis obliterans with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기관지낭 (Bronchogenic cyst), 기관지폐<br />

형성이상 (Bronchopulmonary dysplasia), 브론스피겔 젤닉 증후군 (Bronspiegel-Zelnick syndrome), 브룩-스피<br />

글러 증후군 (Brooke-Spiegler syndrome), 브라운-비아레또-반 라에레 증후군 (Brown-Vialetto-van Laere<br />

syndrome), 브루스 윈십 증후군 (Bruce winship syndrome), 브루셀라증 (Brucellosis), 브룩 증후군 (Bruck<br />

syndrome), 브루가다 증후군 (Brugada syndrome), 브루너-윈터 증후군 (Brunner-Winter syndrome), 브루젤 증<br />

후군 (Brunzell syndrome), 브루인 쉘턴스 증후군 (Bruyn scheltens syndrome), 버클리 증후군 (Buckley<br />

syndrome), 버드-키아리 증후군 (Budd-Chiari syndrome), 버거 병 (Buerger's disease), 불-닉슨 증후군<br />

(Bull-Nixon syndrome), 불독 증후군 (Bulldog syndrome), 폭식 (Bulimia), 물집전신홍반루프스 (Bullous<br />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분틱스 로만스 마틴 증후군 (Buntinx lormans martin syndrome), 버키트 림프<br />

종 (Burkitt lymphoma), 번-맥케오운 증후군 (Burn-McKeown syndrome), 구강 작열감 증후군 (Burning Mouth<br />

syndrome), 버쉬크-피셔-브라우어 증후군 (Buschke-Fischer-Brauer syndrome), 버쉬크-올렌도르프 증후군<br />

(Buschke-Ollendorff syndrome), 부티엔즈-프린즈 증후군 (Buttiens-Fryns syndrome), C 증후군 (C syndrome),<br />

CACD, CACH 증후군 (CACH syndrome), CADASIL, CAMAK 증후군 (CAMAK syndrome), CAMFAK 증후군 (CAMFAK<br />

syndrome), CAMOS 증후군 (CAMOS syndrome), CANOMAD 증후군 (CANOMAD syndrome), CAP 증후군 (CAP<br />

syndrome), CAPOS 증후군 (CAPOS syndrome), CAPS (크리피오린 관련 주기적 증후군, cryopyrin associated<br />

periodoc syndrome), CAR 증후군 (CAR syndrome), CATCH 22, CATSHL 증후군 (CATSHL syndrome), CAVC, CCFDN,<br />

CCGE 증후군 (CCGE syndrome), CDA 타입 1 (CDA type 1), CDG 증후군 (CDG syndrome), CDGIIc, CDP, CDPD,<br />

CEDIK 증후군 (CEDNIK syndrome), CFC 증후군 (CFC syndrome), CHAND 증후군 (CHAND syndrome), CREST 증후군<br />

(CREST syndrome), CRMO, CRV, CSD, CSID, CSWSS 증후군 (CSWSS syndrome), CVID, 카키-리치 병 (Cacchi-<br />

Ricci disease), 밀크 커피 반점 증후군 (Cafe au lait spots syndrome), 카페이 병 (Caffey disease), Cahmr<br />

증후군 (Cahmr syndrome), 석회증 (Calcinosis), 칼데론 곤잘레스 칸투 증후군 (Calderon gonzalez cantu<br />

syndrome), 칼파인병증 (Calpainopathy), 카메라 리투아니아 코헨 증후군 (Camera lituania cohen syndrome),<br />

캄포멜리아 커밍 타입 (Campomelia Cumming type), 수지 만곡증 (Camptodactyly), 카무라티-엥겔만병<br />

(Camurati engelmann disease), 카날레-스미스 증후군 (Canale-Smith syndrome), 카나반 병 (Canavan<br />

disease), 칸디다 증 (Candidiasis), 칸탈라메사 발디니 암브로시 증후군 (Cantalamessa baldini ambrosi<br />

syndrome), 안각 (Canthus), 탄수화물 대사 장애 (Carbohydrate metabolism disorder), 카디오제니탈 증후군<br />

- 35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Cardiogenital syndrome), 심근병증 (Cardiomyopathy), 심장골격 근육병증 (Cardioskeletal myopathy), 캐리<br />

파인만 지터 증후군 (Carey fineman ziter syndrome), 카네발 캐눈 멘도자 증후군 (Carnevale canun mendoza<br />

syndrome), 카네발-에르난데즈-델 카스틸로 증후군 (Carnevale-Hernandez-del Castillo syndrome), 카네발 크<br />

라제브스카-피스체토 증후군 (Carnevale-Krajewska-Fischetto syndrome), 카니 복합 증후군 (Carney complex),<br />

카니-스트라타키스 증후군 (Carney-Stratakis syndrome), 카르노시나제 결핍 (Carnosinase deficiency), 카르<br />

소신혈증 (Carnosinemia), 카롤리병 (Caroli's disease), 손저림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목수 증<br />

후군 (Carpenter syndrome), 카펜터-와지리 증후군 (Carpenter-Waziri syndrome), 캐링턴 병 (Carrington's<br />

disease), 카리온 병 (Carrion disease), 카바잘증후군 (Carvajal syndrome), 카사마시마-몰턴-낸스 증후군<br />

(Casamassima-Morton-Nance syndrome), 카시아 스토코 도스 산토스 증후군 (Cassia Stocco dos Santos<br />

syndrome), 캐슬만 병 (Castleman disease), 카스트로 가고 폼보 노보 증후군 (Castro gago pombo novo<br />

syndrome), 카탈라제 결핍 (Catalase deficiency), 백내장 (Cataract), 캐틀-만즈케 증후군 (Catel-Manzke<br />

syndrome), 케일러 증후군 (Cayler syndrome), 만성소화장애증 (Celiac disease), 복장틈새증 (Celosomia), 세<br />

라니 렌즈 합지증 (Cenani lenz syndactylism), 중심성신경세포종 (Central neurocytoma), 첨두합지증<br />

(Cephalopolysyndactyly), 세라미다제 결핍 (Ceramidase deficiency), 소뇌 저형성증 (Cerebellar<br />

hypoplasia), 뇌동정맥루 (Cerebral arteriovenous shunt), 아밀로이드증성 뇌출혈 (Cerebral hemorrhage with<br />

amyloidosis), 대뇌망막 혈관병증 (Cerebroretinal vasculopathy), Cfc 증후군 (Cfc syndrome), 샤가스 병<br />

(Chagas disease), 중성지방 축적증 (Chanarin disease), 챤들러 증후군 (Chandler syndrome), 창-데이비슨-칼<br />

슨 증후군 (Chang-Davidson-Carlson syndrome), 다원성 심방 빈맥 (Chaotic atrial tachycardia), 샤르 더글라<br />

스 던간 증후군 (Char douglas dungan syndrome), 샤르 증후군 (Char syndrome), CHARGE 증후군 (Charge<br />

syndrome), 샬레보익스 병 (Charlevoix disease), 찰리 m 증후군 (Charlie m syndrome), 세디아크-히가시 유사<br />

증후군 (Chediak-Higashi like syndrome), 샘입술염 (Cheilitis glandularis), 셈케 올리버 말렉 증후군<br />

(Chemke oliver mallek syndrome), 화학감수체종 (Chemodectoma), 앵두반점 근경련 증후군 (Cherry-red-spot<br />

myoclonus syndrome), 가족섬유형성이상증 (Cherubism), 키아리 프롬멜 증후군 (Chiari Frommel syndrome), 키<br />

타얏하즈 샤힌 증후군 (Chitayat haj chahine syndrome), 키타얏 무어 델 비지오 증후군 (Chitayat moore del<br />

bigio syndrome), 키타얏-뮈니어-호지킨슨 증후군 (Chitayat-Meunier-Hodgkinson syndrome), 치티 홀 웹 증후<br />

군 (Chitty hall webb syndrome), 치티-홀-바라이처 증후군 (Chitty-Hall-Baraitser syndrome), 콜레라<br />

(Cholera), 쓸개즙정체 (Cholestasis),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저장 질환 (Cholesteryl ester storage disease),<br />

콜린 아세틸트란스퍼라제 결핍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deficiency), 연골석회화증<br />

(Chondrocalcinosis), 연골형성 장애 (Chondrodysplasia), 연골발생 장애 (Chondrodystrophy), 척삭종<br />

(Chordoma), 가시세포증가무도병 (Choreoacanthocytosis), 맥락망막위축 (Chorioretinal atrophy), 분리종<br />

(Choristoma), 맥락막이영양 (Choroidal dystrophy), 맥락막경화 (Choroidal sclerosis), 범맥락막위축<br />

(Choroideremia), 크리스트-지멘스-투어라인 증후군 (Christ-Siemens-Touraine syndrome), 크리스챤 증후군<br />

(Christian syndrome), 크리스챤-로젠버그 증후군 (Christian-Rosenberg syndrome), 크리스찬슨 증후군<br />

(Christianson syndrome), 크리스찬슨-푸리에 증후군 (Christianson-Fourie syndrome), 크리스마스 트리 증후<br />

군 (Christmas tree syndrome), 색소진균증 (Chromomycosis), 만성 호산구성 폐렴 (Chronic eosinophilic<br />

pneumonia),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 (Chronic<br />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만성 골수증식성 질환 (Chronic myeloproliferative disease),<br />

만성호중구성백혈병 (Chronic neutrophilic leukaemia), 진통제 투여를 요하는 만성 통증 (Chronic pain<br />

requiring intraspinal analgesia), 유아 만성 폐렴 (Chronic pneumonitis of infancy), 만성 골수염 (Chronic<br />

osteomyelitis), 만성 척수성 근위축증 (Chronic spinal muscular atrophy), 처들리-로즈딜스키 증후군<br />

(Chudley rozdilsky syndrome), 처들리-로리-호아르 증후군 (Chudley-Lowry-Hoar syndrome), 처그-스트라우스<br />

증후군 (Churg-Strauss syndrome), 유미립자 정체 질환 (Chylomicron retention disease),섬모 이질 (Ciliary<br />

dysentery), 섬모 이상운동증-기관지확장증 (Ciliary dyskinesia-bronchiectasis), 칠러스-베이그턴 증후군<br />

(Cilliers-Beighton syndrome), 심장기능장애 관련 간경화 (Cirrhosis associated cardiac dysfunction), 간경<br />

변성 심근병증 (Cirrhotic cardiomyopathy), 클락슨 병 (Clarkson disease), 전형적 호지킨 병 (Classical<br />

Hodgkin disease), 전형적인 호모시스틴뇨증 (Classical homocystinuria), 클라우드-버나드-호너 증후군<br />

(Claude-Bernard-Horner syndrome), 클레이톤스미스-도나이 증후군 (ClaytonSmith-Donnai syndrome), 클레이도<br />

리조멜릭 증후군 (Cleido rhizomelic syndrome), 쇄골두개골이골증 (Cleidocranial dysostosis), 두개 안면 이<br />

골증 (Cleidocranial dysplasia), 크라우스턴 증후군 (Clouston syndrome), 응고 장애 (Coagulation<br />

disorder), 대동맥 축착 (Coarctation of aorta), 코아츠 병 (Coats disease), 콥 증후군 (Cobb syndrome), 코<br />

카인 중독 (Cocaine poisoning), 코케인 증후군 (Cockayne syndrome), CODAS 증후군 (Codas syndrome), 셀리악<br />

- 36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병 (Coeliac disease), 코엔자임 Q 시토크롬 c 리덕타제 결핍 (Coenzyme Q cytochromec reductase<br />

deficiency), 코핀 증후군 (Coffin syndrome), 코핀-로리 증후군 (Coffin-Lowry syndrome), 코핀-시리스 증후<br />

군 (Coffin-Siris syndrome), 코간 증후군 (Cogan syndrome), 코간-리스 증후군 (Cogan-reese syndrome), 코헨<br />

헤이든 증후군 (Cohen hayden syndrome), 코헨 락우드 와이보니 증후군 (Cohen lockood wyborney syndrome),<br />

코헨 증후군 (Cohen syndrome), 콜 카펜터 증후군 (Cole carpenter syndrome), 대장염 (Colitis), 콜라겐 이상<br />

(Collagen anomaly), 콜린스 포프 증후군 (Collins pope syndrome), 콜린스 사카티 증후군 (Collins sakati<br />

syndrome), 결손 (Coloboma), 결장암 (Colon cancer), 결장 폐쇄 (Colonic atresia), 콜로라도 진드기 뇌염<br />

(Colorado tick encephalitis), 복합형 뇌하수체호르몬결핍 (Combined pituitary hormone deficiencies), 보체<br />

결핍 (Complement component deficiency), 선천적 람베르트-이튼-유사 증후군 (Congenital Lambert-Eaton-like<br />

syndrome), 선천성 렙틴 결핍 (Congenital leptin deficiency), 선천성 엽성폐기종 (Congenital lobar<br />

emphysema), 결막 질환 (Conjunctival disease), 결막 혈관 장애 (Conjunctival vascular anomaly), 콘 증후군<br />

(Conn syndrome), 교원병 (Connective tissue disease), 콘라디-휘너만-하플 증후군 (Conradi-Hunermann-<br />

Happle syndrome), 수축성 기관지염 (Constrictive bronchiolitis), 쿡 증후군 (Cooks syndrome), 쿠울리 빈혈<br />

(Cooley anaemia), 쿠퍼-잽스 증후군 (Cooper-Jabs syndrome), 코미어 러스틴 뮤니치 증후군 (Cormier rustin<br />

munnich syndrome), 각막 이영양증 (Corneal dystrophy), 코넬리아 드 랑게 증후군 (Cornelia de Lange<br />

syndrome), 코르네오더마토오세서스 증후군 (Corneodermatoosseous syndrome), 코네오고니오디스제네시스<br />

(Corneogoniodysgenesis), 심장혈관루 (Coronaro-cardiac fistula), 관상동맥 기형 (Coronary arterial<br />

malformations), 관상동맥류 (Coronary artery aneurysm), 심장 정맥굴 타입 ASD (Coronary sinus type ASD),<br />

코타다 쿠세프 마츠모토 증후군 (Cortada koussef matsumoto syndrome), 코스테프 시신경 위축 증후군<br />

(Costeff optic atrophy syndrome), 코스테프 증후군 (Costeff syndrome), 코스텔로 증후군 (Costello<br />

syndrome), 코트 카찬토니 증후군 (Cote katsantoni syndrome), 커즌-월브라움-체게라 증후군 (Cousin-<br />

Walbraum-Cegarra syndrome), 카우촉 증후군 (Cowchock syndrome), 카우촉-와프너-컬츠 증후군 (Cowchock-<br />

Wapner-Kurtz syndrome), 카우덴증후군 (Cowden syndrome), 코옥소아리큘라 증후군 (Coxoauricular syndrome),<br />

크레이머-니더델만 증후군 (Cramer-Niederdellmann syndrome), 크랜달 증후군 (Crandall syndrome), 크랜-하이<br />

스 증후군 (Crane heise syndrome), 두개 기형 (Cranial malformation), 두개인두종 (Craniopharyngioma), 두<br />

개척추파열 (Craniorachischisis), 협두증 (Craniostenosis), 두개유합증 (Craniosynostosis), 두개종뇌강 이<br />

형성 (Craniotelencephalic dysplasia), 두개관 증후군 (Craniotubular syndrome), 크레아틴 결핍 (Creatine<br />

deficiency), 포복병 (Creeping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dt-Jakob disease), 묘성 증후군<br />

(Cri du chat syndrome), 크리글러 나이잘 증후군 (Crigler-Najjar syndrome), 크리미아-콩고 출혈열<br />

(Crimean-Congo haemorragic fever (CCHF)), 크리스포니 증후군 (Crisponi syndrome), 십자형 심장 (Criss-<br />

cross heart), 크리스윅-스케펜스 증후군 (Criswick-Schepens syndrome), 크론 병 (Crohn disease), 크롬 증후<br />

군 (Crome syndrome), 크론카이트 카나다 증후군 (Cronkhite canada syndrome), 크로스 증후군 (Cross<br />

syndrome), 크루종 병 (Crouzon disease), 크로우·후카세 증후군 (Crow-Fukase syndrome), 혼합 한성글로불린<br />

혈증 (Cryoglobulinaemia mixed), 크립토콕쿠스증 (Cryptococcosis), 특발성 기질화 폐렴 (Cryptogenic<br />

organizing pneumonia), 안구잠복증 (Cryptophthalmia), 크립토스포리디움증 (Cryptosporidiosis), 쿨러-존스<br />

증후군 (Culler-Jones syndrome), 큐라리노 세동이(Currarino triad), 커리-홀 증후군(Curry-Hall syndrome),<br />

커리-존스 증후군(Curry-Jones syndrome), 쿠싱 질환(Cushing disease), 피부 수막 척수 혈관종증<br />

(Cutaneomeningospinal angiomatosis), 피부홍반성루푸스(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피부 비만세포종<br />

(Cutaneous mastocytoma), 피부 비만세포증(Cutaneous mastocytosis), 피부 감광성 대장염(Cutaneous<br />

photosensitivity colitis), 피부 혈관염(Cutaneous vasculitis), 피부 구더기증(Cutaneuous myiasis), 이완피<br />

부증(Cutis laxa), 커틀러 배스 롬쉬 증후근(Cutler bass romshe syndrome), 원포자충증(Cyclosporosis), 시<br />

스타티오닌뇨증(Cystathioninuria),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 폐와 신장의 낭성 과오종(Cystic hamartoma<br />

of lung and kidney), 낭성림프관종(Cystic lymphangioma), 낭성 신장 질환(Cystic renal disease), 시스틴증<br />

(Cystinosis), 시스틴뇨증(Cystinuria), 시토크롬 c 옥시다아제 결핍(Cytochrome c oxydase deficiency), 손상<br />

된 세포 매개성 면역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질환(Cytomegalovirus(CMV) disease<br />

in patients with impaired cell mediated immunity deemed at risk), 혈구감소증(Cytopenia), 차이젤 브루저<br />

증후군(Czeizel brooser syndrome), 차이젤 로손치 증후군(Czeizel losonci syndrome), D 에르꼴레 증후군(D<br />

ercole syndrome), D-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 뇨증(D-2-hydroxyglutaricaciduria), D-글리세르산 디하이드로게<br />

나아제 결핍(D-glycerate dehydrogenase deficiency (hyperoxaluria type 2)), D-글리세르산 키나아제 결핍(D-<br />

glycerate kinase deficiency), D-글리세릭애시데미아(D-glycericacidemia), DCMA 증후군(DCMA syndrome),<br />

DCMD, DEND 증후군(DEND syndrome), DI-CMT, DIDMOAD 증후군(DIDMOAD syndrome (Diabetes Insipidus -<br />

- 37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Diabetes Mellitus - Optic Atrophy - Deafness)), DIS, DK 바다표범발증 증후군(DK phocomelia syndrome),<br />

DKC, DOOR 증후군(DOOR syndrome), DORV, DTDP1, DYT6, 다 실바 증후군(Da silva syndrome), 눈물주머니염증<br />

뼈얼룩증(Dacryocystitis osteopoikilosis), 댄틀-타운센드-시겔 증후군(Daentl-Townsend-Siegel syndrome),<br />

달버그-보러-뉴커머 증후군(Dahlberg-Borer-Newcomer syndrome), 다이시 하드만 라몬트 증후군(Daish hardman<br />

lamont syndrome), 댄싱 아이 증후군(Dancing Eye syndrome), 댄디 워커 기형(Dandy walker malformation), 데<br />

인만 다비 맨서 증후군(Daneman davy mancer syndrome), 다농 질환(Danon disease), 다리에 질환(Darier<br />

disease), 다리에-고트론 질환(Darier-Gottron disease), 데이븐포트 돈랜 증후군(Davenport donlan<br />

syndrome), 다비드 증후군(David syndrome), 데이비스 질환(Davies disease), 다비스 라페르 증후군(Davis<br />

lafer syndrome), 데 바시 증후군(De Barsy syndrome), 데 하우워-레로이-아드리앤슨 증후군(De Hauwere-<br />

Leroy-Adriaenssens syndrome), 데 산티스-카키오네 증후군 (De Santis-Cacchione syndrome), 데 스멧-파브리-<br />

프린스 증후군(De Smet-Fabry-Fryns syndrome), 데 바알 질환(De Vaal disease), 데 라 채펠 형성이상(De la<br />

Chapelle dysplasia), 데 모지르 증후군(De morsier syndrome), 난청-소장 게실증-신경병증(Deafness-small<br />

bowel diverticulosis-neuropathy), 딜 바렛 딜론 증후군(Deal barratt dillon syndrome), 데고스 질환(Degos<br />

disease), 데제린-소타스 증후군(Dejerine-Sottas syndrome), 데카반-아리마 증후군(Dekaban-Arima syndrome),<br />

장기이식 후 지연성 이식 기능(Delayed graft function after organ transplantation), 델레만-오르투이스 증<br />

후군(Delleman-Oorthuys syndrome), 대사질환과 연관된 치매(Dementia associated with a metabolic disease),<br />

신경변성질환과 연관된 치매(Dementia associated with a neurodegenerative disease), 감염질환과 연관된 치<br />

매(Dementia associa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간부전 및 신부전과 연관된 치매(Dementia associated<br />

with hepatic and renal failure), 모낭진드기증(Demodicidosis), 수지상세포 육종(Dendritic cell sarcoma),<br />

수지상세포 종양(Dendritic cell tumor), 뎅기(Dengue), 데니스 코헨 증후군(Dennis cohen syndrome), 데니스<br />

페어허스트 무어 증후군(Dennis fairhurst moore syndrome), 덴즈(델타) 그라뉼 질환(Dense(delta) granule<br />

disease), 덴트병(Dent disease), 상아질이형성증(Dentin dysplasia), 데니스-드래쉬 증후군(Denys-Drash<br />

syndrome), 데르 칼로우스티안-자루디-쿠리 증후군(Der Kaloustian-Jarudi-Khoury syndrome), 데르 칼로우스티<br />

안 매킨토시 실버 증후군(Der kaloustian mcintosh silver syndrome), 더컴병(Dercum's disease), 융기성 피부<br />

섬유육종(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피부 알레르기 질환(Dermatologic allergic disease), 스테븐스<br />

존슨 타입 피부구내염(Dermatostomatitis Stevens Johnson type), 데스부쿼스 증후군(Desbuquois syndrome),<br />

데스미노파씨(Desminopathy), 데스모이드 질환(Desmoid disease), 데스모스테로로시스(Desmosterolosis), 데빅<br />

병(Devic's disease), 드브린트 레구스 프린스 증후군(Devriendt legius fryns syndrome), 드브린트 반덴베르<br />

그 프린스 증후군(Devriendt vandenberghe fryns syndrome), 디조지 증후군(DiGeorge syndrome), 당뇨병<br />

(Diabetes), 투석 관련 관절병증(Dialysis-related arthropathy), 투명척추뼈발생이상<br />

(Diaphanospondylodysostosis), 횡격막성 아게네시아(Diaphragmatic agenesia), 횡격막성 척수근육위축증<br />

(Diaphragmatic spinal muscular atrophy), 미만성 폐포 출혈(Diffuse alveolar haemorrhage), 미만성 거대 B<br />

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미만성 평활근종증 - 알포트 증후군 X-연관된(Diffuse<br />

leiomyomatosis - Alport syndrome X-linked), 미만성 신생아 혈관종증(Diffuse neonatal haemangiomatosis),<br />

디하이드로피리미딘뇨증( Dihydropyrimidinuria), 운동실조를 갖는 확장형심근증(Dilated cardiomyopathy with<br />

ataxia), 딩크소이-살리-파텔 증후군(Dincsoy-Salih-Patel syndrome), 디오 쉬어러 바이스코프 증후군(Dinno<br />

shearer weisskopf syndrome), 디오메디 베르나르디 프라시디 증후군(Diomedi bernardi placidi syndrome), 디<br />

오니시-비씨-사베타-감바라라 증후군(Dionisi-Vici-Sabetta-Gambarara syndrome), 디프테리아(Diphtheria), 두<br />

얼굴증(Diprosopia),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Discoid lupus erythematosus), 분리성 섬유근성 대동맥하협착<br />

(Discrete fibromuscular subaortic stenosis), 이열첩모-선천성 심내결손증-말초혈관 이상(Distichiasis-<br />

congenital heart defects-peripheral vascular anomalies), 디스토마토시스( Distomatosis), 도브로우 증후군<br />

(Dobrow syndrome), 도나트-란트슈타이너 증후군(Donath-Landsteiner syndrome), 돈나이-바로우 증후군<br />

(Donnai-Barrow syndrome), 도노휴 증후군(Donohue syndrome), 두즈 증후군(Doose syndrome), 도르프만-카나린<br />

질환(Dorfman-chanarin disease), 도우링-데고스 질환(Dowling-Degos disease), 도우링-데고스-기타무라 질환<br />

(Dowling-Degos-Kitamura disease),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도인 벌집모양 망막이영양증(Doyne<br />

honeycomb retinal dystrophy (DHRD)), 드라크만 바인브래트 시타르쯔 증후군(Drachtman weinblatt sitarz<br />

syndrome), 드래쉬 증후군(Drash syndrome), 드라벳 증후군(Dravet syndrome), 드루몬드 증후군(Drummond<br />

syndrome), 듀 판 증후군(Du Pan syndrome), 듀안 증후군(Duane syndrome), 듀빈-존슨 증후군(Dubin-Johnson<br />

syndrome), 두보위쯔 증후군(Dubowitz syndrome), 뒤링 브로크 질환(Duhring brocq disease), 듀커-바이스-시<br />

버 증후군(Duker-Weiss-Siber syndrome), 더니간 증후군(Dunnigan syndrome), 듀퐁 셀리어 초칠론 증후군<br />

(Dupont sellier chochillon syndrome), 다이그브-멜키올-클라우젠 질환(Dyggve-Melchior-Clausen disease),<br />

- 38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다이크스-마르케스-하퍼 증후군(Dykes-Markes-Harper syndrome), 연골뼈형성이상(Dyschondrosteosis), 전신 색<br />

소이상증(Dyschromatosis universalis), 디스펄린병증(Dysferlinopathy), 이상섬유소원혈증<br />

(Dysfibrinogenemia), 이상각화증(Dyskeratosis), 연결조직 병발을 갖는 이형 증후군(Dysmorphic syndrome<br />

with connective tissue involvement), 이상골경화증(Dysosteosclerosis), 뼈발생이상(Dysostosis), 기형성 삼<br />

키기곤란(Dysphagia lusoria), 형성이상(Dysplasia), 이상프로트롬빈혈증(Dysprothrombinemia), 이상분절 형성<br />

이상 녹내장(Dyssegmental dysplasia glaucoma), 이상척추골내연골종증(Dysspondyloenchondromatosis), 발작질<br />

환을 갖는 디스토니-유사 증후군(Dystoni-like syndrome with paroxysmal disease), 근육긴장이상(Dystonia),<br />

EBD, EBJ, EBS, ECP 증후군(ECP syndrome), EDS III, EEC 증후군(EEC syndrome), EEM 증후군(EEM syndrome),<br />

EGE, ENT, ERA, ESS1, 이글-바렛 증후군(Eagle-Barret syndrome), 일스병(Eales disease), 에볼라 바이러스 질<br />

환(Ebola virus disease), 무딘톱날적혈구 장애(Echinocytic disorder), 외배엽형성이상(Ectodermal<br />

dysplasia), 팔다리없음증(Ectromelia), 눈꺼풀겉말림(Ectropion), 습진-저혈소판증-면역결핍 증후군(Eczema-<br />

thrombocytopenia-immunodeficiency syndrome), 에딘버르그 기형 증후군(Edinburgh malformation syndrome),<br />

에드워드 증후군(Edward syndrome), 에드워드스-패턴-딜리 증후군(Edwards-Patton-Dilly syndrome), 앨러스-단<br />

로스 증후군(Ehlers-Danlos syndrome), 에르리히증(Ehrlichiosis), 에이켄 증후군(Eiken syndrome), 아이젠맹<br />

거 증후군(Eisenmenger syndrome), 사행상 관통성 탄력섬유증(Elastosis perforans serpiginosa), 엘레할데 증<br />

후군(Elejalde syndrome), 엘리어트 루드만 티비 증후군(Elliott ludman teebi syndrome), 타원적혈구증<br />

(Elliptocytosis), 엘리스 반 크레벨드 증후군(Ellis Van Creveld syndrome), 엘리스 예일 윈터 증후군(Ellis<br />

yale winter syndrome), 엘슁 증후군(Elsching syndrome), 임마누엘 증후군(Emanuel syndrome), 에머리-드라이<br />

퍼스 근육퇴행위축(Emery-Dreifuss muscular dystrophy), 에머리-넬슨 증후군(Emery-Nelson syndrome), 공터키<br />

안 증후군 (Empty Sella syndrome), 뇌염(Encephalitis), 뇌척수염(Encephalomyelitis), 뇌병증<br />

(Encephalopathy), 골내연골종증(Enchondromatosis),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엔도더리티스<br />

(Endotheliitis), 엥 스트롬 증후군(Eng strom syndrome), 엥겔 선천성 근육무력증(Engel congenital<br />

myasthenia), 엥겔하드 야찌브 증후군(Engelhard yatziv syndrome), 에놀라아제 결핍(Enolase deficiency), 엔<br />

테릭 안엔도크리노시스(Enteric anendocrinosis), 장병증(Enteropathy), 엔테로바이러스 산전 감염<br />

(Enterovirus antenatal infection), 눈꺼풀속말림(Entropion), 물어서 생기는 중독(Envenomization), 호산구<br />

성 심내막염(Eosinophilic endocarditis), 호산구성 폐렴(Eosinophilic pneumonia), 뇌실막세포종<br />

(Ependymoma), 물집표피박리증(Epidermolysis bullosa), 간질(Epilepsy), 골단형성이상(Epiphyseal<br />

dysplasia), 발작적 운동실조증(Episodic ataxia), 요도상열(Epispadias), 상피성 난소암(Epithelial ovarian<br />

cancer), 상피종(Epithelioma),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Epstein-Barr virus infection), 에드하임 질환<br />

(Erdheim disease), 에드하임-체스터 질환(Erdheim-Chester disease), 에로넨-소머-구스타프손 증후군(Eronen-<br />

Somer-Gustafsson syndrome), 홍반(Erythema), 홍통증(Erythermalgia), 적혈모구감소증(Erythroblastopenia),<br />

적혈구증가증(Erythrocytosis), 홍색피부증(Erythroderma), 홍반각피증(Erythrokeratoderma), 홍색사지통증<br />

(Erythromelalgia), 에셔 허트 증후군(Escher hirt syndrome), 에스코바르 증후군(Escobar syndrome), 식도 샘<br />

암종(Esophageal adenocarcinoma), 식도폐쇄증(Esophageal atresia), 본태 한랭글로불린혈증(Essential<br />

cryoglobulinaemia), 본태성홍채위축(Essential iris atrophy), 본태성 뼈용해(Essential osteolysis), 감각신<br />

경모세포종(Esthesioneuroblastoma), 에스트로겐 수용체 결핍(Estrogen receptor deficiency), 에스트로겐 저<br />

항성 증후군(Estrogen resistance syndrome), 에반스 증후군(Evans syndrome), 유잉 육종(Ewing sarcoma), 엑<br />

스너 증후군(Exner syndrome), 외골증(Exostoses), 삼출망막병증(Exsudative retinopathy), 피부외 비만세포종<br />

(Extracutaneous mastocytoma), 외인성 알레르기성 폐포염 (Extrinsic allergic alveolitis), 안구 질환(Eye<br />

disease), F 증후군(F syndrome), FAP, FAS 결핍(FAS deficiency), FCS 증후군(FCS syndrome), FCU, FENIB,<br />

FEOM, FFDD type I, FG 증후군(FG syndrome), FLOTCH 증후군(FLOTCH syndrome), FOP, FOSMN 증후군(FOSMN<br />

syndrome), FPS/AML 증후군(FPS/AML syndrome), FRAXA 증후군(FRAXA syndrome), FRAXE 증후군(FRAXE<br />

syndrome), FRAXF 증후군(FRAXF syndrome), FSH 저항(FSH resistance), 파브리병(Fabry disease), 인자 VII 결<br />

핍(Factor VII deficiency), 인자 VIII 결핍(Factor VIII deficiency), 인자 X 결핍(Factor X deficiency),<br />

인자 XI 결핍(Factor XI deficiency), 인자 XII 결핍(Factor XII deficiency), 인자 XIII 결핍(Factor XIII<br />

deficiency), 인자 II, VII, IX 및 X 복합 결핍(Factors II,VII,IX and X, combined deficiency), 파르 증후군<br />

(Fahr syndrome), 팔로 콤플렉스(Fallot complex), 가족성 LCAT 결핍(Familial LCAT deficiency), 판코니 빈혈<br />

(Fanconi anaemia), 판코니 비늘증 형태이상(Fanconi ichthyosis dysmorphism), 판코니 증후군(Fanconi<br />

syndrome), 판코니-비켈 질환( Fanconi-Bickel disease), 파라-크루팍코바 증후군(Fara-Chlupackova<br />

syndrome), 파버 지방육아종증(Farber lipogranulomatosis), 파머 폐 질환(Farmer's lung disease), 치명성 유<br />

아 COX 결핍(Fatal infantile COX deficiency), 폴크-엡스타인-존스 증후군(Faulk-Epstein-Jones syndrome),<br />

- 39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잠두중독증(Favism), 파지오-론데 질환(Fazio-Londe disease), 페히트너 증후군(Fechtner syndrome), 파이겐바<br />

움-베르게론-리차드슨 증후군(Feigenbaum-Bergeron-Richardson syndrome), 파인골드 증후군(Feingold<br />

syndrome), 펠티 증후군(Felty syndrome), 펜톤 윌킨슨 토세라노 증후군(Fenton wilkinson toselano<br />

syndrome), 페르리니-라그노-칼조라리 증후군(Ferlini-Ragno-Calzolari syndrome), 페른호프-블랙스톤-오클리<br />

증후군(Fernhoff-Blackston-Oakley syndrome), 태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증후군(Fetal cytomegalovirus<br />

syndrome), 태아 부종(Fetal edema), 태아 좌심실 동맥류(Fetal left ventricular aneurysm), 피브리노겐 장애<br />

(Fibrinogen disorder), 피브로콘드로제네시스(Fibrochondrogenesis), 선천골화섬유형성이상(Fibrodysplasia<br />

ossificans progressiva), 섬유종증(Fibromatosis), 동맥 섬유근 형성이상증(Fibromuscular dysplasia of<br />

arteries), 섬유근육통(Fibromyalgia), 섬유결합소 사구체병증(Fibronectin glomerulopathy), 섬유육종<br />

(Fibrosarcoma), 섬유성 세로칸염(Fibrosing mediastinitis), 외안근의 섬유화(Fibrosis of extraocular<br />

muscles), 피징거-레로이-라이터 증후군(Fiessinger-Leroy-Reiter's syndrome), 피구에라 증후군(Figuera<br />

syndrome), 필라민 기형(Filamin anomaly), 필라리아증(Filariasis), 필리피 증후군(Filippi syndrome), 파인-<br />

루빈스키 증후군(Fine-Lubinsky syndrome), 핀레이-마르케스 증후군(Finlay-Markes syndrome), 피누케인 컬츠<br />

스캇 증후군(Finucane kurtz scott syndrome), 피츠 휴 커티스 증후군(Fitz Hugh Curtis syndrome), 피츠시몬<br />

스-길버트 증후군(Fitzsimmons-Guilbert syndrome), 피츠시몬스-맥라클란-길버트 증후군(Fitzsimmons-<br />

McLachlan-Gilbert syndrome), 피츠시몬스-왈슨-멜러 증후군(Fitzsimmons-Walson-Mellor syndrome), 고정 대동<br />

맥하협착(Fixed subaortic stenosis), 프레겔 질환(Flegel disease), 프로팅-하버 증후군(Floating-Harbor<br />

syndrome), 개화성 백악-골 이형증(Florid cemento-osseous dysplasia), 플린 에어드 증후군(Flynn aird<br />

syndrome), 푸아 샤바니 마리 증후군(Foix chavany marie syndrome), 푸아-알라쥬아닌 증후군(Foix-<br />

Alajouanine syndrome), 모낭피부위축증-기저세포암종(Follicular atrophoderma-basal cell carcinoma), 소포<br />

수지상세포 육종(Follicular dendritic cell sarcoma), 소포 이상각화종(Follicular dyskeratoma), 모낭성 비<br />

늘증(Follicular ichthyosis), 소포림프종(Follicular lymphoma), 퐁텐-패리아욱스-블랑카에르 증후군<br />

(Fontaine-Farriaux-Blanckaert syndrome), 포르브스 병(Forbes disease), 포네-로빈슨-파스코 증후군(Forney-<br />

Robinson-Pascoe syndrome), 포룬쿠로이드 구더기증(Forunculoid myiasis), 파운턴 증후군(Fountain<br />

syndrome), 파울러-크리스마스-채플 증후군(Fowler-Christmas-Chapple syndrome), 폭스 포다이스 병(Fox<br />

Fordyce disease), Fra-X 증후군(Fra-X syndrome), 유약 X 증후군(Fragile X syndrome), 프라고소 시드 가르시<br />

아 에르난데스 증후군(Fragoso cid garcia hernandez syndrome), 프란셰티-클라인 증후군(Franceschetti-Klein<br />

syndrome), 프랑소아 디스세파릭 증후군(Francois dyscephalic syndrome), 프랑소아 증후군(Francois<br />

syndrome), 프라넥 보커 케일런 증후군(Franek bocker kahlen syndrome), 프랭크-터 하 증후군(Frank-Ter Haar<br />

syndrome), 프랭크린병(Franklin disease), 프레이저 유사 증후군(Fraser like syndrome), 프레이저 증후군<br />

(Fraser syndrome), 프레지어 증후군(Frasier syndrome), 프리만-쉘던 증후군(Freeman-Sheldon syndrome), 프<br />

라이베르그 병(Freiberg's disease), 프레이리 마이아 핀헤이로 오피츠 증후군(Freire maia pinheiro opitz<br />

syndrome), 프레이 증후군(Frey’s syndrome), 후리아스 증후군(Frias syndrome), 프라이드 증후군(Fried<br />

syndrome), 프라이드-골드버그-먼델 증후군(Fried-Goldberg-Mundel syndrome), 프리드먼 굿맨 증후군(Friedman<br />

goodman syndrome), 프리이드라이히 운동실조(Friedreich ataxia), 프뢰리히 증후군(Froelich’s syndrome),<br />

프로스터-후흐 증후근(Froster-Huch syndrome), 프로스터-이스케니우스-워터슨 증후군(Froster-Iskenius-<br />

Waterson syndrome), 과당뇨증(Fructosuria), 프리드맨-코헨-카르몬 증후군(Frydman-Cohen-Karmon syndrome),<br />

프린스 대두증(Fryns macrocephaly), 프린스-아프티모스 증후군(Fryns-Aftimos syndrome), 프린스-호프켄스-<br />

파브리 증후군(Fryns-Hofkens-Fabry syndrome, 푸어만-리거-드 수자 증후군(Fuhrmann-Rieger-de Sousa<br />

syndrome), 후쿠다 미야노메 나카타 증후군(Fukuda miyanomae nakata syndrome), 후쿠하라 증후군( Fukuhara<br />

syndrome), 후쿠아-베르코비츠 증후군(Fuqua-Berkovitz syndrome), 펄롱 증후군(Furlong syndrome), 후루카와<br />

타카기 나카오 증후군(Furukawa takagi nakao syndrome), G 증후군(G syndrome), G6PD 결핍증(G6PD<br />

deficiency), GABA 대사 질환(GABA metabolism disease), GAMT 결핍(GAMT deficiency), GAPO 증후군(GAPO<br />

syndrome), GIST, GM1 강글리오시드증(GM1 gangliosidosis), GOSHS, GRACILE 증후군(GRACILE syndrome), GRF<br />

종양(GRF Tumour), GSD, GTN, GVH, 가이스벡크 증후군( Gaisbock syndrome), 갈락토키나아제 결핍<br />

(Galactokinase deficiency), 갈락토오스혈증(Galactosemia), 갈락토시알리도시스(Galactosialidosis), 갤러웨<br />

이 증후군(Galloway syndrome), 갤러웨이-모왓 증후군(Galloway-Mowat syndrome), 감보르그 닐센 증후군<br />

(Gamborg nielsen syndrome), 게임-프리드먼-파라다이스 증후군 (Game-Friedman-Paradice syndrome), 감스토르<br />

프 발작적 아디나미(Gamstorp episodic adynamy), 신경절신경종(Ganglioglioma), 가르시아 토레스 과르네리 증<br />

후군(Garcia torres guarner syndrome), 가르시아-루리 증후군(Garcia-Lurie syndrome), 가드너 실렌고 바흐텔<br />

증후군(Gardner silengo wachtel syndrome), 가드너-모리슨-애보트 증후군(Gardner-Morrison-Abbott<br />

- 40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syndrome), 가렛 트립 증후군(Garret tripp syndrome), 위암(Gastric cancer), 배벽갈림증(Gastroschisis), 고<br />

쉐병(Gaucher disease), 고쉐-유사 병(Gaucher-like disease), 긴 스탠포드 데이비슨 증후군(Geen sandford<br />

davison syndrome), 겔리노병(Gelineau disease), 게미나니 증후군(Gemignani syndrome), 겜스 증후군(Gemss<br />

syndrome), 진스 증후군( Genes syndrome), 지노콘드로마토시스(Genochondromatosis), 게르보데 결함( Gerbode<br />

defect), 게르하르트 증후군(Gerhardt syndrome), 게르만 증후군(German syndrome), 게르쇼니바루치-레이보 증<br />

후군(Gershonibaruch-Leibo syndrome),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 증후군(Gerstmann-Straussler-<br />

Scheinker syndrome), 고살 증후군(Ghosal syndrome), 기아노티 크로스티 증후군(Gianotti Crosti syndrome),<br />

거세포동맥염(Giant cell arteritis), 거대 혈소판 증후군(Giant platelet syndrome), 길버트 증후군(Gilbert<br />

syndrome), 질 드 라 뚜렛 증후군(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길레스피 증후군(Gillespie syndrome),<br />

기텔만 증후군(Gitelman syndrome), 글란쯔만 혈소판무력증(Glanzmann thrombasthenia), 글래스 본 질환(Glass<br />

bone disease), 글래스-채프만-호클리 증후군(Glass-Chapman-Hockley syndrome), 녹내장(Glaucoma), 아교모세<br />

포종(Glioblastoma), 사구체 질환(Glomerular disease),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피브로넥틴 축적을<br />

갖는 사구체병증(Glomerulopathy with fibronectin deposits (GFND)), 그루미 증후군(Gloomy syndrome), 글루<br />

카곤종(Glucagonoma),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저항(Glucocorticoid resistance), 글리코겐 축적 질환( Glycogen<br />

storage disease), Gms 증후군(Gms syndrome), 갑상샘종-난청 증후군(Goiter-deafness syndrome), 고라비-로젠<br />

증후군(Golabi-Rosen syndrome), 골드버그 증후군(Goldberg syndrome), 골드버그-맥스웰 증후군(Goldberg-<br />

Maxwell syndrome), 골드버그-시프린첸 거대대장증 증후군(Goldberg-Shprintzen megacolon syndrome), 골드블<br />

랫 빌조엔 증후군(Goldblatt viljoen syndrome), 골드블랫 월리스 증후군(Goldblatt wallis syndrome), 골덴<br />

하르 증후군(Goldenhar syndrome), 골드만-파브레 증후군(Goldmann-Favre syndrome), 골드스타인 헛 증후군<br />

(Goldstein hutt syndrome), 골드스톤 증후군(Goldston syndrome), 골럽 증후군(Gollop syndrome), 골럽 볼프<br />

강 컴플렉스(Gollop wolfgang complex), 골츠 증후군(Goltz syndrome), 골츠-골린 증후군(Goltz-Gorlin<br />

syndrome), 곰보 증후군(Gombo syndrome), 곤잘레스 델 엔젤 증후군(Gonzales del angel syndrome), 굿맨 증후<br />

군( Goodman syndrome), 굿패스츄어 증후군(Goodpasture syndrome), 구센스-드브린트 증후군(Goossens-<br />

Devriendt syndrome), 고든 증후군(Gordon syndrom), 고함 증후군(Gorham syndrome), 고함-스타우트 질환<br />

(Gorham-Stout disease), 골린 증후군(Gorlin syndrome), 골린-초우드리-모스 증후군(Gorlin-Chaudhry-Moss<br />

syndrome), 폐 이식 후 이식편거부(Graft rejection after lung transplantation), 이식편대숙주 질환(Graft<br />

versus host disease), 그라함 보일 트락셀 증후군( Graham boyle troxell syndrome), 그라함-콕스 증후군<br />

(Graham-Cox syndrome), 그랜드-케인-풀링 증후군(Grand-Kaine-Fulling syndrome), 그랜지 폐색성 동맥 증후군<br />

(Grange occlusive arterial syndrome), 그랜트 증후군(Grant syndrome), 과립세포 육종(Granulocytic<br />

sarcoma), 육아종 알레르기성 혈관염(Granulomatous allergic angiitis), 육아종 염증성 관절염, 피부염 및 포<br />

도막염(Granulomatous inflammatory arthritis, dermatitis, and uveitis), 육아종 유방염(Granulomatous<br />

mastitis),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그레이 플레이트릿 증후군(Gray platelet syndrome), 그린버그<br />

형성이상(Greenberg dysplasia), 그레이그 증후군(Greig syndrome), 그라이터 질환(Greither's disease), 그리<br />

세리 질환(Griscelli disease), 그릭스 블랑켄십 피터슨 증후군(Grix blankenship peterson syndrome), 그롤<br />

허쇼위츠 증후군(Groll hirschowitz syndrome), 그론브라드-스트랜드버그-뚜렌느 증후군(Gronblad-Strandberg-<br />

Touraine syndrome), 그로스 증후군(Grosse syndrome), 그로버병(Grover’s disease), 성장호르몬 결핍(<br />

Growth hormone deficiency), 그루벤 드 콕 보그라프 증후군(Grubben de cock borghgraef syndrome), 그래스베<br />

크-이머스룬트 질환(Grasbeck-Imerslund disease), 괌 질환(Guam disease), 구아니디노아세테이트 메틸트랜스<br />

퍼라아제 결핍( Guanidinoacetate methyltransferase deficiency), 귀바우트-바인젤 증후군(Guibaud-Vainsel<br />

syndrome), 귈레인 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구이자-바스케스-루엔가스 증후군(Guizar-Vasquez-<br />

Luengas syndrome), 구이자-바스케스-산체스-만자노 증후군(GuizarVazquez-Sanchez-Manzano syndrome), 구날<br />

세버 바사란 증후군(Gunal seber basaran syndrome), 구리어리-삼미토-벨루시 증후군(Gurrieri-Sammito-<br />

Bellussi syndrome), 거셔 증후군(Gusher syndrome), 음양모세포종(Gynandroblastoma), 귄터병(Gunther<br />

disease), HAD 결핍(HAD deficiency), HAE, HAIRAN 증후군(HAIRAN syndrome), HANAC 증후군(HANAC syndrome),<br />

HARD 증후군(HARD syndrome (Hydrocephalus-agyria-retinal dysplasia)), HCDD, HCL, HDL 대사 장애(HDL<br />

metabolism disorder), HEM, HEP, HERNS 증후군(HERNS syndrome), HHE 증후군(HHE syndrome), HHT, HHV-8,<br />

HID 증후군(HID syndrome), HIGM1, HIT, HMSN 5, HMSNP, HNPCC, HNSCC, HPA-1 결핍(HPA-1 deficiency), HPE,<br />

HSAN 1, HSD 결핍(HSD deficiency), HSV 뇌염(HSV encephalitis), HSV 각막염(HSV keratitis), HUS, HVR, 하<br />

스-로빈슨 증후군(Haas-Robinson syndrome), 하다드 증후군(Haddad syndrome), 혈액학적 암(Haematologic<br />

cancers), 혈색소침착증(Haemochromatosis), 헤모글로빈 이상(Haemoglobin disorders), 용혈(Haemolysis), 용<br />

혈성 빈혈(Haemolytic anaemia), 용혈 요독 증후군(Haemolytic uremic syndrome), 출혈열(Haemorrhagic<br />

- 41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fever), 경산부출혈 혈소판 이상증(Haemorrhagiparous thrombocytic dystrophy), 하게만 인자 결핍(Hageman<br />

factor deficiency), 하게모저 바인스테인 브레스닉 증후군(Hagemoser weinstein bresnick syndrome, 헤일리-<br />

헤일리병(Hailey-Hailey disease), 하임-먼크 증후군(Haim-Munk syndrome), 유모세포 백혈병(Hairy cell<br />

leukaemia), 하이두-체니 증후군(Hajdu-Cheney syndrome), 할-베르그-루돌프 증후군(Hal-Berg-Rudolph<br />

syndrome), 할랄 증후군(Halal syndrome), 할랄-세튼-왕 증후군(Halal-Setton-Wang syndrome), 할러만 스트라<br />

이프 유사 증후군(Hallermann streiff like syndrome), 할러만-스트라이프-프랑소와 증후군(Hallermann-<br />

Streiff-Francois syndrome), 할러포르텐-스파츠 병(Hallervorden-Spatz disease), 하마니시 우에다 츠지 증후<br />

군(Hamanishi ueba tsuji syndrome), 하마노 츠카모토 증후군(Hamano tsukamoto syndrome), 하만-리치 증후군<br />

(Hamman-Rich syndrome), 한하르트 증후군(Hanhart syndrome), 수족구 증후군(Hand Foot Mouth syndrome), 한<br />

트-슐러-크리스티안 질환(Hand-Shuller-Christian disease), 하노트 증후군(Hanot syndrome), 한타바이러스 폐<br />

증후군(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하프네스 보만 스케이 증후군(Hapnes boman skeie syndrome), 행복한<br />

강아지 증후군(Happy puppet syndrome), 하보얀 증후군(Harboyan syndrome), 하드캐슬 증후군(Hardcastle<br />

syndrome), 하딩 운동실조(Harding ataxia), 해로드 증후군(Harrod syndrome), 해로드-킬 증후군(Harrod-Keele<br />

syndrome), 하아트눕 장애(Hartnup disorder), 하츠필드 빅슬러 데미어 증후군(Hartsfield bixler demyer<br />

syndrome), 하시모토 갑상샘종(Hashimoto struma), 하시모토-프리츠커 증후군(Hashimoto-Pritzker syndrome),<br />

하스페스라프-프린스-뭐레나르 증후군(Haspeslagh-Fryns-Muelenaere syndrome), 호퀸신뇨증(Hawkinsinuria),<br />

헤이 웰스 증후군(Hay wells syndrome), 심장 차단 진행(Heart block progressive), 심장-손 증후군(Heart-<br />

hand syndrome), 중쇄 침착 질환(Heavy chain deposition disease), Hec 증후군(Hec syndrome), 헤흐트 스코트<br />

증후군(Hecht scott syndrome), 헥켄리베리 증후군(Heckenlively syndrome), 하이드 증후군(Heide syndrome),<br />

하임러 증후군(Heimler syndrome), 하이너 증후군(우유 과민(Heiner syndrome(cow's milk hypersensitivity)),<br />

헬머호르스트 히톤 크로쎈 증후군(Helmerhorst heaton crossen syndrome), 혈관종-혈소판감소 증후군<br />

(Hemangioma-thrombocytopenia syndrome), 혈관주위세포종(Hemangiopericytoma), 조혈 형성저하증<br />

(Hematopoietic hypoplasia), 주간맹(Hemeralopia), 헤미 3 증후군(Hemi 3 syndrome), 반경련-반마비-간질 증<br />

후군(Hemiconvulsion-Hemiplegia-Epilepsy syndrome), 반얼굴 과다형성 사시(Hemifacial hyperplasia<br />

strabismus), 반비대 창자 망 각막 혼탁(Hemihypertrophy intestinal web corneal opacity), 반쪽다리증(반쪽<br />

팔증, Hemimelia), 반쪽몸통증(Hemitruncus), 혈색소침착증(Hemochromatosis), 헤모글로빈 C 병, 헤모글로빈 E<br />

병, 헤모글로빈 H 병, 용혈 빈혈(Hemolytic anaemia), 혈우병(Hemophilia), 경산부출혈 혈소판 이상증<br />

(Hemorrhagiparous thrombocytic dystrophy), 헨네캄 코스 드 지스트 증후군(Hennekam koss de geest<br />

syndrome), 헨네캄 증후군(Hennekam syndrome), 헨네캄-비머 증후군(Hennekam-Beemer syndrome), 헤노흐-쉔라<br />

인 자색반(Henoch-Schoenlein purpura), 간 낭포성 과오종(Hepatic cystic hamartoma), 간섬유증(Hepatic<br />

fibrosis), 간암(Hepatic cancer), 간 정맥폐색 병(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간 이식 후의 B형 간염의<br />

재감염, 간염, 간모세포종(Hepatoblastoma), 간세포성 샘종(Hepatocellular adenoma), 간세포성 암종<br />

(Hepatocellular carcinoma), 간적혈구성 포르피린증(Hepatoerythropoeitic porphyria), 간문맥 경화증<br />

(Hepatoportal sclerosis), 유전성 코프로포르피린증(Hereditary coproporphyria), 유전성 내피병증 - 망막병<br />

증 - 신장병증 - 뇌졸중(Hereditary endotheliopathy - retinopathy - nephropathy - stroke), 유전성 타입 I<br />

림프부종(Hereditary lymphoedema type I), 유전성 운동 및 감각 신경병증(Hereditary motor and sensory<br />

neuropathy), 유전성 혈관 망막병증(Hereditary vascular retinopathie) - 레이노드 현상(Raynaud phenomenon)<br />

- 편두통, 헤르만스키-푸들라크 증후군(Hermansky-Pudlak syndrome), 훼르난데즈 프라고소 증후군(Hernandez<br />

fragoso syndrome), 훼르난데즈-아귀레 네그레트 증후군(Hernandez-Aguirre Negrete syndrome), 헤르페스 바이<br />

러스 감염, 헤르만 오피츠 관절굽음증 증후군(Herrmann opitz arthrogryposis syndrome), 허스 병(Hers<br />

disease), 허쉬-포드러쉬-바이스콥프 증후군(Hersh-Podruch-Weisskopf syndrome), 헤르바 병(Herva disease),<br />

내장위치이상(Heterotaxia), 이형 OSMED(Heterozygous OSMED), 힐릭 증후군(Hillig syndrome), 힌만 증후군<br />

(Hinman syndrome), 힌슨-펩피스 병(Hinson-Pepys disease), 히포 증후군(Hipo syndrome), 히라야마 병<br />

(Hirayama disease), 히르쉬스푸룽 병(Hirschsprung disease), 다모증(Hirsutism), 히스 번들 빈맥(His bundle<br />

tachycardia), 히스티딘 대사 이상(Histidine metabolism disorder), 히스티딘뇨증 콩팥요세관 결손<br />

(Histidinuria renal tubular defect), 조직구 및 수상세포 종양(Histiocytic and dendritic cell tumour), 조<br />

직구 육종(Histiocytic sarcoma), 조직구 심근병증(Histiocytoid cardiomyopathy), X 조직구증 (Histiocytosis<br />

X), 히스토플라스마증(Histoplasmosis), 히트너 히르쉬 크레흐 증후군(Hittner hirsch kreh syndrome), Hmc 증<br />

후군(Hmc syndrome), 호지킨 림프종(Hodgkin lymphoma), 홉프너 드레이어 레이머즈 증후군(Hoepffner dreyer<br />

reimers syndrome), 호프만 증후군(Hoffman's syndrome), 홈즈 베나세라프 증후군(Holmes benacerraf<br />

syndrome), 홈즈 콜린스 증후군(Holmes collins syndrome), 홈즈-강 증후군(Holmes-Gang syndrome), 무형무심<br />

- 42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체(Holoacardius amorphus), 통앞뇌증(Holoprosencephaly), 홀트-오람 증후군(Holt-Oram syndrome), 홀츠그레<br />

브 와그너 레더 증후군(Holzgreve wagner rehder syndrome), 호모카노시노시스(Homocarnosinosis), 호모시스틴<br />

뇨증(Homocystinuria), 호모겐티신산 산화효소 결핍증(Homogentisic acid oxydase deficiency), 훈 홀 증후군<br />

(Hoon hall syndrome), 호르너 증후군(Horner syndrome), 홀톤 병(Horton disease), 휼스턴 아이런톤 템플 증<br />

후군(Haulston ironton temple syndrome), 집 알레르기성 폐포염(House allergic alveolitis), 하워드 영 증후<br />

군(Howard young syndrome), 하월-에반스 증후군(Howell-Evans syndrome), 호에랄-레이다슨 증후군(Hoyeraal-<br />

Hreidarsson syndrome), 상완요골 유합(Humeroradial synostosis), 상완요척골 유합(Humeroradioulnar<br />

synostosis), 상완척수 뼈발생이상(Humerospinal dysostosis), 헌터 카펜터 맥도날드 증후군(Hunter carpenter<br />

mc donald syndrome), 헌터 쥬렌카 톰슨 증후군(Hunter jurenka thompson syndrome), 헌터 증후군(Hunter<br />

syndrome), 헌터-루드-호프만 증후군(Hunter-Rudd-Hoffmann syndrome), 헌터-톰슨-리드 증후군(Hunter-<br />

Thompson-Reed syndrome), 헌팅턴병(Huntington disease), 후리즈 증후군(Huriez syndrome), 헐러 증후군<br />

(Hurler syndrome), 헐러-샤이에 증후군(Hurler-Scheie syndrome), 허친슨-길포드 증후군(Hutchinson-Gilford<br />

syndrome), 허터로쓰 스프랭거 증후군(Hutteroth spranger syndrome), 유리질막병(Hyaline membrane disease),<br />

히알루로니다아제 결핍증(Hyaluronidase deficiency), 포충증(Hydatidosis), 하이드-포스터-맥카티-베리 증후<br />

군(Hyde-Forster-Mccarthy-Berry syndrome), 주머니림프관종(Hygroma cysticum), 고알도스테론증<br />

(Hyperaldosteronism), 과아르기닌혈증(Hyperargininemia),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 특발성 고칼<br />

슘뇨증(Hypercalciuria idiopathic),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 과킬로마이크론혈증<br />

(Hyperchylomicronemia), 고코르티솔증(Hypercortisolism), 놀람병( Hyperexplexia), 과글라이신혈증<br />

(Hyperglycinemia), 고이미도디펩티드뇨증(Hyperimidodipeptiduria), 고인슐린증(Hyperinsulinism), 각화과다<br />

증(Hyperkeratosis), 고지혈증(Hyperlipidaemia), 고지방단백혈증(Hyperlipoproteinemia), 과라이신혈증<br />

(Hyperlysinemia), 과메티오닌혈증(Hypermethioninemia), 고오르니틴혈증(Hyperornithinemia), 뼈과다증<br />

(Hyperostosis), 고옥살산뇨증(Hyperoxaluria), 부갑상샘항진증(Hyperparathyroidism), 과다지골증 추형 기관<br />

지연화증(Hyperphalangism dysmorphy bronchomalacia), 고페닐알라닌혈증성 배아병증(Hyperphenylalaninemic<br />

embryopathy), 고피페콜린산혈증(Hyperpipecolatemia), 과민성 폐렴(Hypersensitivity pneumonitis), 양안과다<br />

격리증(Hypertelorism), 고열(Hyperthermia), 갑상샘항진증(Hyperthyroidism), 털과다증(Hypertrichosis), 비<br />

후성 신경병증(Hypertrophic neuropathy), 비후성 또는 사마귀모양 홍반성 루푸스(Hypertrophic or verrucous<br />

lupus erythematosus), 비후성 대동맥하 협착(Hypertrophic subaortic stenosis), 저베타지방단백혈증<br />

(Hypobetalipoproteinemia), 저베타지방단백혈증(Hypobetalipoproteinemia), 연골 발육부전<br />

(Hypochondroplasia), 하이포컴플리멘태믹 백혈구파쇄성 혈관염(Hypocomplementaemic leucocytoclasic<br />

vasculitis), 치아발육부전증(Hypodontia), 저섬유소원혈증(Hypofibrinogenemia), 저칼륨혈성 알카리증<br />

(Hypokalemic alkalosis), 각화저하증(Hypokeratosis), 수초형성부전증(Hypomyelination), 부갑상샘저하증<br />

(Hypoparathyroidism), 뇌하수체부전증(Hypopituitarism), 좌심형성부전증후군(Hypoplastic left heart<br />

syndrome), 우심형성부전증후군(Hypoplastic right heart syndrome), 요도밑열림증(Hypospadias), 시상하부 과<br />

오아종 증후군(Hypothalamic hamartoblastoma syndrome), 갑상선저하증(Hypothyroidism), 털감소증<br />

(Hypotrichosis), 하이포잔틴 구아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 완전 결핍증(Hypoxanthine guanine<br />

phosphoribosyltransferase (HPRT) complete deficiency), I-세포병(I-cell disease), IBIDS 증후군(IBIDS<br />

syndrome), ICCA 증후군(ICCA syndrome), ICE 증후군(ICE syndrome), ICF 증후군(ICF syndrome), ICOS 결핍증<br />

(ICOS deficiency), IDI, IED, IFAP 증후군(IFAP syndrome), IGDA, IGF-1 결핍증(IGF-1 deficiency), IGHD,<br />

IMAGe 증후군(IMAGe syndrome), INAD, INCL, IOMID 증후군(IOMID syndrome), IOSCA, IPEX, IPSID, IRAK4 결핍<br />

증(IRAK4 deficiency), ISOD, ITP, IVC 협착(IVC stenosis), 비늘증(Ichthyosis), 아이다호 증후군(Idaho<br />

syndrome), 특발성 근육긴장이상 DYT1(Idiopathic dystonia DYT1), 특발성 육아종 유방염(Idiopathic<br />

granulomatous mastitis), 특발성 과호산구 증후군(Idiopathic hypereosinophilic syndrome), 특발성 영아 동<br />

맥 석회화(Idiopathic infantile arterial calcification), BCG 또는 비정형 미코박테리아에 의해 야기된 특발<br />

성 감염(Idiopathic infection caused by BCG or atypical mycobacteria), 특발성 간질성 폐렴(Idiopathic<br />

interstitial pneumonia), 특발성 소아 골다공증(Idiopathic juvenile osteoporosis), 특발성 골수섬유증<br />

(Idiopathic myelofibrosis), 특발성 폐쇄성 동맥병증(Idiopathic obliterative arteriopathy), 특발성 기립<br />

저혈압( Idiopathic orthostatic hypotension),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특발성 혈<br />

소판감소 자색반(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이쉬마-코에다-이나가키 증후군(Ieshima-Koeda-<br />

lnagaki syndrome), 엉덩뼈 증후군(Ilium syndrome), 일라이나 아모아쉬 그레고리 증후군(Ilyina amoashy<br />

grygory syndrome), 이마이주미 쿠로키 증후군(Imaizumi kuroki syndrome), 면역 혈소판감소증(Immune<br />

thrombocytopaenia), 면역결핍증(Immunodeficiency), 면역증식성 소장병(Immunoproliferative small<br />

- 43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intestinal disease), 영아 호흡곤란 증후군(Infan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인슐린-저항 증후군<br />

(Insulin-resistance syndrome), 인슐린종(Insulinoma), 수지상세포 육종(Interdigitating dendritic cell<br />

sarcoma), 중간 DEND 증후군(Intermediate DEND syndrome), 중간 척수근육위축증(Intermediate spinal<br />

muscular atrophy), 속목동맥 무발생증(Internal carotid agenesis), 간질성 방광염(Interstitial cystitis),<br />

관절염을 수반한 간질성 육아종 피부염(Interstitial granulomatous dermatitis with arthritis), 간질성 폐렴<br />

(Interstitial pneumonia), 심실간 사이막 동맥류(Interventricular septum aneurysm), 창자 다발폐쇄증<br />

(Intestinal atresia multiple), 창자 상피 형성이상(Intestinal epithelial dysplasia), 이차 저칼슘혈증을<br />

수반한 창자 저마그네슘혈증(Intestinal hypomagnesemia with secondary hypocalcemia), 창자 지방이상증<br />

(Intestinal lipodystrophy), 창자 지방탐식 육아종증(Intestinal lipophagic granulomatosis), 창자 림프관확<br />

장증(Intestinal lymphangiectasia), 창자 거짓폐쇄(Intestinal pseudoobstruction), 뇌내출혈(Intracerebral<br />

haemorrhage), 두개내 동맥류(Intracranial aneurysms), 두개내 동정맥기형(Intracranial arteriovenous<br />

malformation), 역 마르쿠스-건 현상(Inverse Marcus-Gunn phenomenon), 홍채각막 내피 증후군(Iridocorneal<br />

endothelial syndrome), 홍채앞방각발생장애(Iridogoniodysgenesis), 아이런-반 증후군(Irons-Bhan syndrome),<br />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아이작 증후군(Isaac's syndrome), 아이작 머튼 증후군<br />

(Isaacs mertens syndrome), 허혈성 뇌손상(lschaemic brain injury), 고형 기관 이식 과정과 관련된 허혈/관<br />

류 손상(Ischemia/perfusion injury associated with solid organ transplantation procedure), 궁둥척추 형<br />

성이상(Ischio-vertebral dysplasia), 이소-키쿠치 증후군(Iso-Kikuchi syndrome), 이소스포라증<br />

(Isosporiasis), 이소트레티노인 증후군(Isotretinoin syndrome), 이소트레티노인-유사 증후군(Isotretinoin-<br />

like syndrome), 이소발레르산혈증(Isovaleric acidemia), 아이틴 증후군(Itin syndrome), 이토 멜라닌저하증<br />

(Ito hypomelanosis), 무비증후군(Ivemark syndrome), JAE, JWS, 잭슨-바 증후군(Jackson-Barr syndrome), 잭<br />

슨-바이스 증후군(Jackson-Weiss syndrome), 야콥 증후군(Jacobs syndrome), 야콥슨 증후군(Jacobsen<br />

syndrome), 쟈페 캄파나찌 증후군(Jaffe campanacci syndrome), 쟈페-리히텐슈타인 병(Jaffe-Lichtenstein<br />

disease), 자겔 홈그렌 호퍼 증후군(Jagell holmgren hofer syndrome), 자릴리 증후군(Jalili syndrome), 잰카<br />

증후군(Jancar syndrome), 일본 뇌염(Japanese encephalitis), 자코-레빈 증후군(Jarcho-Levin syndrome), 턱-<br />

눈짓 증후군(Jaw-Winking syndrome), 젠슨 증후군(Jensen syndrome), 제콰이어-코즐로브스키 증후군(Jequier-<br />

Kozlowski syndrome), 저벨 및 랭지-넬슨 증후군(Jervell and Lange-Nielsen syndrome), 쥐느 증후군(Jeune<br />

syndrome), 잡 증후군(Job syndrome), 요한슨-블리자드 증후군(Johanson-Blizzard syndrome), 죤슨 증후군<br />

(Johnson syndrome), 죤슨-맥밀린 증후군(Johnson-McMillin syndrome), 죤슨-먼순 증후군(Johnson-Munson<br />

syndrome), 죤스톤-아론-쉘리 증후군(Johnston-Aarons-Schelley syndrome), 죤스 증후군(Jones syndrome), 요<br />

젠슨 렌즈 증후군(Jorgenson lenz syndrome), 쥬버트 증후군(Joubert syndrome), 쥬버트-볼트샤우저 증후군<br />

(Joubert-Boltshauser syndrome), 쥬베르그 헤이워드 증후군(Juberg hayward syndrome), 쥬베르그-마시디 증후<br />

군(Juberg-Marsidi syndrome), 저지 미시 롸이트 증후군(Judge misch wright syndrome), 메인의 점핑 프렌치맨<br />

(Jumping Frenchman of Maine), 정 울프 백 스탈 증후군(Jung wolff back stahl syndrome), 소아 만성 골수단<br />

핵구 백혈병(Juvenile chronic myelomonocytic leukaemia), 소아 위장관 폴립증(Juvenile gastrointestinal<br />

polyposis), 소아 녹내장(Juvenile glaucoma), 소아 혈색소침착증(Juvenile hemochromatosis), 연소성 유리질<br />

섬유종증(Juvenile hyaline fibromatosis), 소아 특발성 관절염(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소아 황반변<br />

성(Juvenile macular degeneration), 소아 골수단핵구 백혈병(Juvenile myelomonocytic leukaemia), 소아 폴립<br />

증 증후군(Juvenile polyposis syndrome (JPS)), 소아 측두 동맥염(Juvenile temporal arteritis), KBG 증후군<br />

(KBG syndrome), KBG-유사 증후군(KBG-like syndrome), 키드 증후군(KID syndrome), 카부키 증후군(Kabuki<br />

syndrome), 카이저 증후군(Kaeser syndrome), 칼러병(Kahler's disease), 칼러 개리티 스턴 증후군(Kaler<br />

garrity stern syndrome), 칼린 증후군(Kallin syndrome), 칼만 증후군(Kallmann syndrome), 칼라나라만 증후<br />

군(Kalyanaraman syndrome), 칸자키병(Kanzaki disease), 카플란-플로슈-피치 증후군(Kaplan-Plauchu-Fitch<br />

syndrome), 카플로비츠-보덜터 증후군(Kaplowitz-Bodurtha syndrome),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카포시<br />

형 혈관내피종(Kaposiform hemangioendothelioma), 카퍼-토리엘로 증후군(Kapur-Toriello syndrome), 카란디카<br />

-마리아-캄블 증후군(Karandikar-Maria-Kamble syndrome), 카르쉬 뉘게바우어 증후군(Karsch neugebauer<br />

syndrome), 카르타제너 증후군(Kartagener syndrome), 카사바흐-메리트 증후군(Kasabach-Merritt syndrome),<br />

카샤니-스트롬-어틀리 증후군(Kashani-Strom-Utley syndrome), 카즈니카 칼슨 코페지 증후군(Kasznica carlson<br />

coppedge syndrome), 카산토니 파파다쿠 라고야니 증후군(Katsantoni papadakou lagoyanni syndrome), 카우프<br />

만-맥쿠식 증후군(Kaufman-Mckusick syndrome), 카와사키병(Kawasaki disease), 카와시마 증후군(Kawashima<br />

syndrome), 카와시마-츠지 증후군(Kawashima-Tsuji syndrome), 컨스-세이레 증후군(Kearns-Sayre syndrome),<br />

켈리-시그밀러 증후군(Kelley-Seegmiller syndrome), 켈리-커슨-와이어트 증후군(Kelly-Kirson-Wyatt<br />

- 44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syndrome), 케네디병(Kennedy disease), 케네디-티비 증후군(Kennedy-Teebi syndrome), 켄너네치 증후군<br />

(Kennerknecht syndrome), 케니 증후군(Kenny syndrome), 케니-캐피 증후군(Kenny-Caffey syndrome), 케냐 진<br />

드기물림 열병(Kenya tick-bite fever), 유전적 안질환과 관련된 각질화 이상(Keratinisation disorder<br />

associated with genetic eye disease), 각막염(Keratitis), 각질가시세포종(Keratoacanthoma), 원추각막<br />

(Keratoconus), 각질피부증(Keratoderma), 각화증(Keratosis), 백선 종창(Kerion celsi), 컬시 증후군(Kersey<br />

syndrome), 케톤산증(Ketoacidosis), 키토산뇨증(Ketoaciduria), 케톤분해 이상(Ketolysis disorder), 쿠텔 증<br />

후군(Keutel syndrome), KGB 증후군(KGB syndrome), 칼리파-그라함 증후군(Khalifa-Graham syndrome), 키엔보<br />

크 병(Kienbock disease), 키쿠치 병(Kikuchi disease), 키쿠치-후지모토 병(Kikuchi-Fujimoto disease), 키무<br />

라 병(Kimura disease), 킹-덴보로 증후군(King-Denborough syndrome), 킹스본 증후군(Kinsbourne syndrome),<br />

클라스킨 종양(Klatskin tumour), 클라인-바덴버그 증후군(Klein-Waardenburg syndrome), 클라인-레빈 증후군<br />

(Kleine-Levin syndrome), 클라이너 홈즈 증후군(Kleiner holmes syndrome), 클라인펠터 증후군(Klinefelter<br />

syndrome), 클리펠-페일 기형(Klippel-Feil malformation), 클리펠-트레노네이 증후군(Klippel-Trenaunay<br />

syndrome), 클뤼버-부시 증후군(Kluver-Bucy syndrome), 나스트 형성이상(Kniest dysplasia), 노블로치 레이어<br />

증후군(Knobloch layer syndrome), 코커-데브레-스멜라인 증후군(Kocher-Debre-Semelaigne syndrome), 쾰러병<br />

(Kohler's disease), 쾨헬슈트트-톤즈 증후군(Kohlschutter-Tonz syndrome), 코크병(Kok disease), 코마 증후<br />

군(Komar syndrome), 코닉스마크 녹스 허슬 증후군(Konigsmark knox hussels syndrome), 코피스크 바르지크 크<br />

롤 증후군(Kopysc barczyk krol syndrome), 코즈노우 증후군(Kosenow syndrome), 코스트만 증후군(Kostmann<br />

syndrome), Kosztolanyi 증후군(Kosztolanyi syndrome), 코제프 니콜스 증후군(Koussef nichols syndrome),<br />

코제프 증후군(Kousseff syndrome), 코왈스키 증후군(Kowarski syndrome), 코즐로브스키 브라운 하드윅 증후군<br />

(Kozlowski brown hardwick syndrome), 코즐로브스키 마센 증후군(Kozlowski massen syndrome), 코즐로브스키<br />

아우브리어 증후군(Kozlowski ouvrier syndrome), 코즐로브스키 츠루타 증후군(Kozlowski tsuruta syndrome),<br />

코즐로브스키-크라예브스카 증후군(Kozlowski-Krajewska syndrome), 크라베병(Krabbe disease), 크라스노우-콰<br />

지 증후군(Krasnow-Qazi syndrome), 크라우스 헤르만 홈즈 증후군(Krauss herman holmes syndrome), 쿠도 타무<br />

라 퓨즈 증후군(Kudo tamura fuse syndrome), 쿠겔베르그-벨란더 병(Kugelberg-Welander disease), 쿠바-레빅<br />

증후군(Kumar-Levick syndrome), 쿤즈 라임 증후군(Kunze riehm syndrome), 쿠르크쥔스키-카스펄슨 증후군<br />

(Kurczynski-Casperson syndrome), 쿠스코큄병(Kuskokwim disease), 쿠즈니엑키 증후군(Kuzniecky syndrome),<br />

키누레니네이스 결핍증(Kynureninase deficiency), 키포멜성 형성이상(Kyphomelic dysplasia), 척추후만증 단<br />

지증성 시각신경위축증(Kyphosis brachyphalangy optic atrophy), 쿠스마울-마이어 병(Kussmaul-Maier<br />

disease), L1 증후군(L1 syndrome), L-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뇨증(L-2-hydroxyglutaricaciduria), LADD 증후<br />

군, LBSL, LBWC 증후군, LCAD, LCAT 결핍증, LCCS, LCDD, LCH, LCHAD 결핍증, LDD, LEOPARD 증후군, LGMD,<br />

LHCDD, LIG4 증후군, LMS, LORD, LP1, 라밴드 증후군(Laband syndrome), 라쉬빅츠 시블리 증후군(Lachiewicz<br />

sibley syndrome), 락트산 디하이드로제나제 결핍증(Lactate dehydrogenase deficiency), 락트산 산증(Lactic<br />

acidosis), 프로락틴분비세포 선종(Lactotroph adenoma), 라다 조나나 라메르 증후군(Ladda zonana ramer<br />

syndrome), 라포라 병(Lafora disease), 레잉 말단 근육병증(Laing distal myopathy), 시옷봉합 뼈융합<br />

(Lambdoid synostosis), 램버트 증후군(Lambert syndrome), 램버트-이튼 근육무력 증후군(Lambert-Eaton<br />

myasthenic syndrome), 층판 비늘증(Lamellar ichthyosis), 판상증(Laminopathy), 랜다우-클리프너 증후군<br />

(Landau-Kleffner syndrome (LKS)), 랜딩병(Landing disease), 랜도지-드저린 근육병(Landouzy-Dejerine<br />

myopathy), 랑거-기디온 증후군(Langer-Giedion syndrome), 랑거한스 세포 육아종증(Langerhans cell<br />

granulomatosis), 랑거한스 세포 조직구증(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랑거한스 세포 육종(Langerhans<br />

cell sarcoma), 배벽갈림증(Laparoschisis), 라플레인 폰테인 라가드레 증후군(Laplane fontaine lagardere<br />

syndrome), 라론 증후군(Laron syndrome), 라르센 증후군(Larsen syndrome), 라르센-유사 증후군(Larsen-like<br />

syndrome), 후두 외전근 마비(Laryngeal abductor paralysis), 후두-손발톱-피부 증후군(Laryngo onycho<br />

cutaneous syndrome), 후두-기관-식도 갈림 폐 형성저하증(Laryngo-tracheo-esophageal cleft pulmonary<br />

hypoplasia), 라사열(Lassa fever), 라슈흐-그라함-리틀 증후군(Lassueur-Graham-Little syndrome), 아동형 신<br />

경세포 지방갈색소증(Late infantil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미성숙 영아의 후기발병 패혈증(Late<br />

onset sepsis in premature infants), 콜레스테롤 생합성 부족(Lathosterolosis), 로브리-페찌 증후군(Laubry-<br />

pezzi syndrome), 로누와-벤소드 선 지방종증(Launois-Bensaude adenolipomatosis), 로렌스-문 증후군<br />

(Laurence-Moon syndrome), 로린-샌드로 증후군(Laurin-Sandrow syndrome), 로렌스 증후군(Lawrence<br />

syndrome), 로렌스-세입 증후군(Lawrence-Seip syndrome), 락소바-옵티즈 증후군(Laxova-Opitz syndrome), 르<br />

미러 증후군(Le Merrer syndrome), 르 마렉 브라크 피카우드 증후군(Le marec bracq picaud syndrome), 리오-<br />

다 실바 증후군(Leao-da Silva syndrome), 리어만 증후군(Learman syndrome), 레버 '플러스' 병(Leber 'plus'<br />

- 45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disease), 레버 선천 흑암시(Leber congenital amaurosis), 레버 좁쌀 동맥류(Leber miliary aneurysm), 왼콩<br />

팥정맥 포착 증후군(Left renal vein entrapment syndrome), 좌심실 고 잔기둥형성(Left ventricular<br />

hypertrabeculation), 좌심실 비치밀화증(Left ventricular noncompaction), 레그-칼베-페르테스 병(Legg-<br />

Calve-Perthes disease), 레기오넬라증(Legionellosis), 레기오넬라증(Legionnaires' disease), 리히트만-우드<br />

-론 증후군(Leichtman-Wood-Rohn syndrome), 라이퍼 라이 바이스 증후군(Leifer lai buyse syndrome), 라이 병<br />

(Leigh disease), 라이너 병(Leiner disease), 식도 백내장 혈뇨의 평활근종증(Leiomyomatosis of esophagus<br />

cataract hematuria), 평활근종증(Leiomyomatosis), 평활근육종(Leiomyosarcoma), 레이팔라 카이틸라 증후군<br />

(Leipala kaitila syndrome), 리슈만편모충증(Leishmaniasis), 레이스티-홀리스터-리모인 증후군(Leisti-<br />

Hollister-Rimoin syndrome), 르미레 증후군(Lemierre syndrome), 르네그레 병(Lenegre disease), 렌녹스-가스<br />

타우트 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 레프리코니즘(Leprechaunism), 나병(Leprosy), 렙토스피라병<br />

(Leptospirosis), 레리 과잉뼈증(Leri pleonosteosis), 레리-웨일 증후군(Leri-Weill syndrome), 레쉬-니한 증<br />

후군(Lesch-Nyhan syndrome), 척수전각세포 질환을 수반한 치사 관절굽음증(Lethal arthrogryposis with<br />

anterior horn cell disease (LAAHD)), 치사 연골형성장애 모어맨 타입(Lethal chondrodysplasia moerman<br />

type), 치사 선천성 구축 증후군(Lethal congenital contracture syndrome), 치사 골경화성 뼈 형성이상<br />

(Lethal osteosclerotic bone dysplasia), 레테러-시웨 병(Letterer-Siwe disease), 류신증가증(Leucinosis),<br />

백혈병(Leukaemia), 백혈구 부착 결핍증(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LAD)), 백색질장애(Leukodystrophy),<br />

백색질뇌증(Leukoencephalopathy), 전체 백색손발톱증(Leukonychia totalis), 류코트리엔 C4(LTC4) 합성효소<br />

결핍증(Leukotriene C4 (LTC4) synthase deficiency), 레빅 스테파노빅 니콜릭 증후군(Levic stefanovic<br />

nikolic syndrome), 레빈-크리칠리 증후군(Levine-Critchley syndrome), 왼심장증(Levocardia), 레비-홀리스터<br />

증후군(Levy-Hollister syndrome), 레비-예보아 증후군(Levy-Yeboa syndrome), 루이스-파샤얀 증후군(Lewis-<br />

Pashayan syndrome), 루이스-섬너 증후군(Lewis-Sumner syndrome), 루이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레이<br />

디히 세포 형성저하증(Leydig cell hypoplasia), 레미트-두크로스 병(Lhermitte-Duclos disease), 리-프라우메<br />

니 증후군(Li-Fraumeni syndrome), 태선(Lichen), 리히텐슈타인 증후군(Lichstenstein syndrome), 리들 증후군<br />

(Liddle syndrome), 린제이-번 증후군(Lindsay-Burn syndrome), 선형 과오종 증후군(Linear hamartoma<br />

syndrome), 증식성 위벽염(Linitis plastica), 구순 혈공증 증후군(Lip-pit syndrome), 지질축적병(Lipid<br />

storage disease), 지방이상증(Lipodystrophy), 지방이상증-HIV 연관(Lipodystrophy-HIV related), 지방성 부<br />

종(Lipoedema), 지질성 단백증(Lipoid proteinosis), 지방종증(Lipomatosis), 지질단백 대사병(Lipoprotein<br />

metabolism disease), 지방육종(Liposarcoma), 리스커-가르시아-라모스 증후군(Lisker-Garcia-Ramos<br />

syndrome), 뇌이랑없음증(Lissencephaly), 리스테리아증(Listeriosis), 리틀 증후군(Little syndrome), 뇌 엽<br />

위축증(Lobar atrophy of brain), 롭스타인 병(Lobstein disease), 두가락증(Lobster-claw deformity), 국소<br />

캐슬만병(Localized Castleman disease), 국소 피부경화증(Localized scleroderma), 록-인 증후군(Locked-in<br />

syndrome), 뢰플러 심내막염(Loeffler's endocarditis), 로이즈-디에츠 증후군(Loeys-Dietz syndrome), 로프레<br />

도 센나모 세시오 증후군(Loffredo cennamo cecio syndrome), 로직 증후군(Logic syndrome), 로아사상충증<br />

(Loiasis), 롱 QT 증후군(Long QT syndrome), 롱만-톨미 증후군(Longman-Tolmie syndrome), 느슨한 성장기 증<br />

후군(Loose anagen syndrome), 로페즈 골린 증후군(Lopes gorlin syndrome), 로페즈 마르퀴스 드 파리아 증후<br />

군(Lopes marques de faria syndrome), 로페즈-훼르난데즈 증후군(Lopez-Hernandez syndrome), 루-게릭 병<br />

(Lou-Gehrig disease), 루이스-바 증후군(Louis-Bar syndrome), 로우 콘 코헨 증후군(Lowe kohn cohen<br />

syndrome), 로우 안뇌신 증후군(Lowe oculocerebrorenal syndrome), 로우 증후군(Lowe syndrome), 저 중배엽<br />

결손(Lower mesodermal defects), 로운-가농-레빈 증후군(Lown-Ganong-Levine syndrome), 로리 증후군(Lowry<br />

syndrome), 로리-맥린 증후군(Lowry-MacLean syndrome), 로리-용 증후군(Lowry-Yong syndrome), 루바니-AI 살<br />

레-티비 증후군(Lubani-AI Saleh-Teebi syndrome), 루빈스키 증후군(Lubinsky syndrome), 럽스-아레나 증후군<br />

(Lubs-Arena Syndrome), 루시 드리스콜 증후군(Lucey driscoll syndrome), 럭키 겔레터 증후군(Lucky<br />

gelehrter syndrome), 루잔-프린스 증후군(Lujan-Fryns syndrome), 반달뼈연화증(Lunatomalacia), 룬드버그 증<br />

후군(Lundberg syndrome), 폐 무발생 심장 결손 엄지 이상(Lung agenesis heart defect thumb anomalies), 소<br />

세포 폐암(Lung cancer small cell), 폐섬유증(Lung fibrosis), 홍반성 루푸스(Lupus erythematosus), 루리 클<br />

레스키 증후군(Lurie kletsky syndrome), 조화운동불능을 수반한 황체형성호르몬 분비 호르몬 결핍증<br />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deficiency with ataxia), 러츠-리흐너-랜돌트 증후군(Lutz-Richner-<br />

Landolt syndrome), 라이엘 증후군(Lyell syndrome), 라임 보렐리오시스(Lyme borreliosis), 라임 병(Lyme<br />

disease), 림프관평활근종증(Lymphangioleiomyomatosis), 림프관종(Lymphangioma), 림프사상충증(Lymphatic<br />

filariasis), 림프기형(Lymphatic malformation), 림프부종(Lymphedema), 림프구 아폽토시스 이상(Lymphocyte<br />

apoptosis anomaly), 림프구-고갈 클래식컬 호지킨 림프종(Lymphocyte-depleted classical hodgkin lymphoma),<br />

- 46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림프구-풍부 클래식컬 호지킨 림프종(Lymphocyte-rich classical hodgkin lymphoma), 림프구성 대장염<br />

(Lymphocytic colitis), 림프구 간질성 폐렴(Lymphoid interstitial pneumonia), 림프종모양 육아종증<br />

(Lymphomatoid granulomatosis), 일차 면역 질환과 관련된 림프증식성 질환(Lymphoproliferative disease<br />

associated with primary immune disease), 린치 리 멀데이 증후군(Lynch lee murday syndrome), 린치 증후군<br />

(Lynch syndrome), 린스타다스 증후군(Lyngstadaas syndrome), 리소좀질환(Lysosomal disease), 라이티코-보딕<br />

병(Lytico-bodig disease), M-CMTC, M/SCHAD, MAD, MADSAM, MAE, MALT 림프종(lymphoma), MASA 증후군, MCA,<br />

MCAD 결핍증, MCOPS1, MDC1A, MEB (근육-안구-뇌) 증후군, MEHMO 증후군, MELAS, MEN 1, MEN 2, MERRF 증후군,<br />

MGA 타입 I, MHBD 결핍증, MIDD, MIRAS, MMEP 증후군, MMND, MNGIE 증후군, MOBA 증후군, MOCOD, MODY 증후군,<br />

MORM 증후군, MPPH 증후군, MPS, MRGH, MRKH 증후군, MRXS7, MSA, MTHFR 결핍증, MVA 증후군, MYH9, 맥 더피<br />

증후군(Mac Duffie's syndrome), 맥 더못 윈터 증후군(Mac dermot winter syndrome), 마카리오 메나 증후군<br />

(Maccario mena syndrome), 맥더못-패튼-윌리암스 증후군(Macdermot-Patton-Williams syndrome), 마카도-조셉<br />

병(Machado-Joseph disease), 마시아스 플로레스 가르시아 크루즈 리베라 증후군(Macias flores garcia cruz<br />

rivera syndrome), 맥케이 쉑 카르 증후군(Mackay shek carr syndrome), 큰혀증(Macroglossia), 대식세포 또는<br />

조직구 종양(Macrophage or histiocytic tumour), 대식세포 활성화 증후군(Macrophagic activation syndrome),<br />

대식세포 근막염(Macrophagic myofasciitis), 백혈구 포함물을 수반한 마크로혈소판감소증<br />

(Macrothrombocytopenia with leukocyte inclusions), 반상 아밀로이드(Macular amyloidosis), 황반 이영양증<br />

(Macular dystrophy), 황반부종(Macular edema), 마델룽 병(Madelung's disease), 마드라스 운동 신경 세포 질<br />

환(Madras motor neuron disease), 마푸치 증후군(Maffucci syndrome), 마지드 증후군(Majeed syndrome), 마제<br />

스키 오즈투르크 증후군(Majewxki ozturk syndrome), 기도 허탈(Major airway collapse), 멜레다 병(Meleda<br />

disease), 연화판증(Malakoplakia), 연반증(Malakoplasia), 말라리아(Malaria),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br />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악성 생식세포 종양(Malignant germ cell tumor), 악성 초고열(Malignant<br />

hyperpyrexia), 악성 이상고열(Malignant hyperthermia), 악성 간엽 종양(Malignant mesenchymal tumor), 악성<br />

발작성 심실빈맥(Malignant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 말로리 바이스 증후군(Mallory Weiss<br />

syndrome), 말로우프 증후군(Malouf syndrome), 말타아제-글루코아밀라아제 결핍(Maltase-glucoamylase<br />

deficiency), 조울증(Maniac-depressive disorders), 마누브리에 증후군(Manouvrier syndrome), 만소넬라증<br />

(Mansonellosis), 외투 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단풍 당뇨증(Maple syrup urine disease), 마라시<br />

골린 증후군(Marashi gorlin syndrome), 골 화석증(Marble brain disease), 마르부르그 병(Marburg disease),<br />

발작 야간 혈색뇨증(Marchiafava-Micheli disease), 마르쿠스-건 증후군(Marcus-Gunn syndrome), 마르덴 워커<br />

유사 증후군(Marden walker like syndrome), 마르판 증후군(Marfan syndrome), 마르가리타 아일랜드 외배엽 이<br />

형성(Margarita island ectodermal dysplasia), 마린-아맷 증후군(Marin-Amat syndrome), 마리네스코-쇄그렌<br />

증후군(Marinesco-Sjogren syndrome), 마리온 메이어스 증후군(Marion mayers syndrome), 마르켈-비쿨라-물리<br />

켄 증후군(Markel-Vikkula-Mulliken syndrome), 말레스 그린버그 페르사우드 증후군(Marles greenberg persaud<br />

syndrome), 마로토 코헨 솔랄 보나벤투라 증후군(Maroteaux cohen solal bonaventure syndrome), 마로토 레 메<br />

레르 벤사헬 증후군(Maroteaux le merrer bensahel syndrome), 마로토 스타네스쿠 커즌 증후군(Maroteaux<br />

stanescu cousin syndrome), 마로토-라미 증후군(Maroteaux-Lamy syndrome), 마로토-말라뮤트 증후군<br />

(Maroteaux-Malamut syndrome), 마르스덴 니한 사카티 증후군(Marsden nyhan sakati syndrome), 마샬 증후군<br />

(Marshall syndrome), 마샬-스미스 증후군(Marshall-Smith syndrome), 마르티네즈 모나스테리오 핀헤이로 증후<br />

군(Martinez monasterio pinheiro syndrome), 마르티네즈-프리아스 신드롬(Martinez-Frias syndrome), 마르트<br />

솔프 증후군(Martsolf syndrome), 마사 시저 세울레만스 증후군(Massa casaer ceulemans syndrome), 비만세포<br />

백혈병(Mast cell leukaemia), 비만세포 육종(Mast cell sarcoma), 비만세포증(Mastocytosis), 매스트로이아코<br />

보 데 로사 사타 증후군(Mastroiacovo de rosa satta syndrome), 매튜 데 브로카 보니 증후군(Mathieu de<br />

broca bony syndrome), 매트소카스 리아리코스 지아니카 증후군(Matsoukas liarikos giannika syndrome), 매튜<br />

-우드 증후군(Matthew-Wood syndrome), 성숙 B-세포종(Mature B-cell tumour), 성숙 T-세포종 및 NK-세포종<br />

(Mature T-cell and NK-cell tumour), 메이-헤글린 혈소판감소증(May-Hegglin thrombocytopenia), 메이어-로키<br />

탄스키-퀴스터-하우저 증후군(Mayer-Rokitansky-Kuster-Hauser syndrome), 마자브라우드 증후군(Mazabraud<br />

syndrome), 맥아들 병(McArdle disease), 맥카베 병(McCabe's disease), 맥쿤-알브라이트 증후군(McCune-<br />

Albright syndrome), 맥도나우 증후군(McDonough syndrome), 맥도월 증후군(McDowall syndrome), 맥그라스 증<br />

후군(McGrath syndrome), 맥쿠식-카우프만 증후군(McKusick-Kaufman syndrome), 맥레오 증후군(McLeod<br />

syndrome), 맥퍼슨-할 증후군(McPherson-Hall syndrome), 맥칼리스터 크레인 증후군(Mcalister crane<br />

syndrome), 맥칼럼 마카담 존스톤 증후군(Mccallum macadam johnston syndrome), 맥길리브레이 증후군<br />

(Mcgillivray syndrome), 맥클레인-데카반 증후군(Mclain-Dekaban syndrome), 맥퍼슨 클레멘스 증후군<br />

- 47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Mcpherson clemens syndrome), 메캄 빈 쿨러 증후군(Meacham winn culler syndrome), 메도우 증후군(Meadows'<br />

syndrome), 멕켈 유사 증후군(Meckel like syndrome), 멕켈 증후군(Meckel syndrome), 멕켈-그루버 증후군<br />

(Meckel-Gruber syndrome), 태변 흡인 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메데이라 데니스 도나이 증후군<br />

(Medeira dennis donnai syndrome), 종격(흉선) 거대 b-세포 림프종(Mediastinal (thymic) large b-cell<br />

lymphoma), 경화증 동반 종격 확산 거대세포 림프종(Mediastinal diffuse large-cell lymphoma with<br />

sclerosis), 종격종 섬유증(Mediastinal fibrosis), 메드라노 롤단 증후군(Medrano roldan syndrome), 수질 질<br />

환(Medullar disease), 속질 낭종 신장 질환(Medullary cystic kidney disease), 수모세포종<br />

(Medulloblastoma), 거대신배증(Megacalycosis), 거대십이지장증 및/또는 거대방광증(Megaduodenum and/or<br />

megacystis), 거대적모구성 빈혈(Megaloblastic anaemia), 메가르반-로이슬렛 증후군(Megarbane-Loiselet<br />

syndrome), 메헤스 증후군(Mehes syndrome), 메타-루이스-패튼 증후군(Mehta-Lewis-Patton syndrome), 마이어<br />

블룸베르그 이마호른 증후군(Meier blumberg imahorn syndrome), 마이어-골린 증후군(Meier-Gorlin syndrome),<br />

메이그 병(Meige disease), 마이네케 페퍼 증후군(Meinecke pepper syndrome), 마이네케 증후군(Meinecke<br />

syndrome), 흑색종(Melanoma), 멜레다 병(Meleda disease), 멜헴 팔 증후군(Melhem fahl syndrome), 유비저<br />

(Melioidosis), 멜커슨 로젠탈 증후군(Melkersson rosenthal syndrome), 멜닉-니들스 증후군(Melnick-Needles<br />

syndrome), 유선상과골증(Melorheostosis), 막증식성 사구체신염(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br />

막성 사구체신염(Membranous glomerulopathy), 메네트리에 병(Menetrier's disease), 멘겔 쾨니히스마크 증후<br />

군(Mengel konigsmark syndrome), 메니에르 병(Meniere's disease), 수막종(Meningioma), 수막염(Meningitis),<br />

멘케스 증후군(Menkes syndrome),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메레토야 증후군(Meretoja syndrome), 메르<br />

켈 세포암종(MCC: Merkel cell carcinoma), 멀롭 그루네바움 레이즈너 증후군(Merlob grunebaum reisner<br />

syndrome), 메산지움 경화(Mesangial sclerosis), 중배엽 이형성(Mesodermic dysplasia), 중피종<br />

(Mesothelioma), 메술램 증후군(Mesulam syndrome), 대사성 중독 질환(Metabolic intoxication disease), 대사<br />

성 간 질환(Metabolic liver disease), 골중간 형성이상(Metaphyseal dysplasia), 미첼 증후군(Michels<br />

syndrome), 미클레슨 증후군(Mickleson syndrome), 마이크로 증후군(Micro syndrome), 소두증(Microcephaly),<br />

작은 동공증(Microcoria), 소낭포성 침윤성 림프관종(Microcystic infiltrating lymphatic malformation), 소<br />

구성 빈혈(Microcytic anaemia), 소안구증(Microphthalmia), 현미경적 대장염(Microscopic colitis), 소이증<br />

(Microtia), 미세융모 봉입체 병(Microvillous inclusion disease), 중간 대동맥 형성이상 증후군(Mid-aortic<br />

dysplastic syndrome), 미다스 증후군(Midas syndrome), 중간 대동맥 증후군(Middle aortic syndrome), 중심선<br />

심장(Midline heart), 미튼스 증후군(Mietens syndrome), 미에비스 베렐렌 듀모울린 증후군(Mievis verellen<br />

dumoulin syndrome), 미카티 나자르 살리 증후군(Mikati najjar sahli syndrome), 미쿨리즈 병(Mikulicz<br />

disease), 경 굴지 형성이상(Mild campomelic dysplasia), 밀러 증후군(Miller syndrome), 밀러-디커 증후군<br />

(Miller-Dieker syndrome), 밀러-피셔 증후군 (MFS: Miller-Fisher syndrome), 밀스 증후군(Mills syndrome),<br />

밀로이 병(Milroy disease), 미세변화 신증후군(MCNS: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민코브스키-쇼파<br />

드 병(Minkowski-Chauffard disease), 미로싸이니-홈즈-월튼 증후군(Mirhosseini-Holmes-Walton syndrome), 승<br />

모판 탈출증(Mitral valve prolapse disease), 미우라 증후군(Miura syndrome), 혼합 결합 조직 질환(Mixed<br />

connective tissue disease), 혼합 표현형 급성 백혈병(Mixed phenotype acute leukaemia), 혼합 경화 골 이영<br />

양증(Mixed sclerosing bone dystrophy), 미요시 근병증(Miyoshi myopathy), Mls 증후군(Mls syndrome), 중등<br />

도 및 중증 외상성 뇌손상(Moderate and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뫼비우스 증후군(Moebius<br />

syndrome), 모에르만 반덴베르게 프린스 증후군(Moerman vandenberghe fryns syndrome), 모에르체-볼트만 증후<br />

군(Moersch-Woltman syndrome), 모에슐러 클라렌 증후군(Moeschler clarren syndrome), 모르 증후군(Mohr<br />

syndrome), 모르-트라네브야르그 증후군(Mohr-Tranebjaerg syndrome), 몰리카 파보네 안테너 증후군(Mollica<br />

pavone antener syndrome), 몰로니 증후군(Moloney syndrome), 모모 증후군(Momo syndrome), 연주모<br />

(Monilethrix), 모노넨-카르네스-세낙 증후군(Mononen-Karnes-Senac syndrome), 단골섬유성 형성이상<br />

(Monostotic fibrous dysplasia), 몬테피오레 증후군(Montefiore syndrome), 무어-페더만 증후군(Moore-<br />

Federman syndrome), 모라바-메헤스 증후군(Morava-Mehes syndrome), 모르가니-스튜어트-모렐 증후군<br />

(Morgagni-Stewart-Morel syndrome), 모릴로 쿠치 파싸르게 증후군(Morillo cucci passarge syndrome), 나팔꽃<br />

증후군(Morning glory syndrome), 모르키오 병(Morquio disease), 모리스 증후군(Morris syndrome), 모스 런슬<br />

리 사르겐트 증후군(Morse rawnsley sargent syndrome), 모르반 증후군(Morvan syndrome), 모스코비츠 병<br />

(Moschcowitz disease), 무니어-쿤 증후군(Mounier-Kuhn syndrome), 마우사-알 딘-알 나싸르 증후군(Mousa-Al<br />

Din-Al Nassar syndrome), 운동성 질환(Movement disease), 모왓-윌슨 증후군(Mowat-Wilson syndrome), 모야모<br />

야병(Moya-moya disease), 모이나한 증후군(Moynahan syndrome), MPO 결핍(MPO deficiency), Msbd 증후군(Msbd<br />

syndrome), 메셀레니 조인트 병(MJD: Mseleni joint disease), 무카-하베르만병(Mucha Habermann Disease), 머<br />

- 48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클-웰스 증후군(Muckle-Wells syndrome), 점막 상피 이형성(Mucoepithelial dysplasia), 뮤코리피드증<br />

(Mucolipidosis), 점액다당류증(Mucopolysaccharidosis), 털곰팡이증(Mucormycosis), 수포성 유전포창(Mucosal<br />

pemphigoid), 뮤코설파티도시스(Mucosulfatidosis), 무엔케 증후군(Muenke syndrome), 무어-토레 증후군(Muir-<br />

Torre syndrome), 뮬러관 무형성(Mullerian aplasia), 다발성 캐슬만 병(MCD: Multicentric Castleman<br />

disease), 다발성 거대 림프절 증식증(Multicentric giant lymph node hyperplasia), 다발성 골용해<br />

(Multicentric osteolysis), 다초점성 후천성 탈수초성 감각 및 운동 신경장애(Multifocal acquired<br />

demyelinating sensory and motor neuropathy), 다초점성 무늬 이영양증 자극 노란점 안저(Multifocal pattern<br />

dystrophy simulating fundus flavimaculatus), 다선성 증식(Multiglandular hyperplasia), 멀티미니코어 병<br />

(MmD: Multiminicore disease), 다결절 갑상선종 낭성 신장 다지증(Multinodular goiter cystic kidney<br />

polydactyly), 다발성 카르복실라제 결핍증(Multiple carboxylase deficiency), 다발성 구축 증후군(Multiple<br />

contracture syndrome), 다발성 피부 및 자궁 평활근종(Multiple cutaneous and uterine leiomyomas), 다발성<br />

내분비선종(Multiple endocrine neoplasia), 다발성 골단 이형성증(Multiple epiphyseal dysplasia), 다발성<br />

섬유모낭종(Multiple fibrofolliculoma), 다발성 과오종 증후군(Multiple hamartoma syndrome), 다발성 각화극<br />

세포종(Multiple keratoacanthoma), 다발성 익상편 증후군(Multiple pterygium syndrome), 다발성 경화증<br />

(Multiple sclerosis), 다발성 설파타아제 결핍증(Multiple sulfatase deficiency), 다계통 위축증(Multiple<br />

system atrophy), 다계통 심실중격결손(Multiple ventricular septal defects), 멀비힐-스미스 증후군<br />

(Mulvihill-Smith syndrome), MURCS 연합(MURCS association), 머레이-퓨레틱-드레스커 증후군(Murray-<br />

Puretic-Drescher syndrome), 근육 채널병증(Muscular channelopathy), 근육퇴행위축(Muscular dystrophy), 근<br />

섬유증 다초점성 폐쇄 혈관(Muscular fibrosis multifocal obstructed vessels), 무트키닉 증후군(Mutchinick<br />

syndrome), 트립토판 관련 호산구성 근육통(Myalgia eosinophilla associated with tryptophan), 중증 근무력<br />

증(Myasthenia gravis), 근무력 증후군(Myasthenic syndromes), 진균종(Mycetoma), 미코플라즈마 뇌염<br />

(Mycoplasma encephalitis), 균상 식육종(Mycosis fungoides), 말이집탈락성 광범위 경화증(Myelinoclastic<br />

diffuse sclerosis), 광범성 중심 용해증(Myelinosis centralis diffusa), 골수 소뇌 장애(Myelocerebellar<br />

disorder), 골수형성이상 또는 골수증식성 질환(Myelodysplastic or myeloproliferative disease), 골수화생<br />

동반 골수섬유증(Myelofibrosis with myeloid metaplasia) , 골수성 육종(Myeloid sarcoma), 골수종(Myeloma),<br />

마이레 증후군(Myhre syndrome), 구더기증(Myiasis), 근간대성 근긴장 이상(Myoclonic dystonia), 근간대성 발<br />

작(Myoclonic epilepsy), 골수이형성(Myodysplasia), 근원섬유 근병증(Myofibrillar myopathy), 미오글로빈뇨<br />

증(Myoglobinuria), 근병증 및 당뇨병(Myopathy and diabetes mellitus), 근병증(Myopathy), 근시(Myopia), 진<br />

행성 골화성 근염(Myositis ossificans progressiva), 미오틸리노퍼시(Myotilinopathy), 선천성 근긴장증<br />

(Myotonia congenita), 근육긴장장애(Myotonic disease), 근세관성 근병증(Myotubular myopathy), 점액섬유성<br />

육종(Myxofibrosarcoma), 점액성 지방육종(Myxoid liposarcoma), 점액양형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Myxoid<br />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섬유성 이형성 수반 점액종(Myxoma with fibrous dysplasia), 뫼비우스 증<br />

후군(Mobius syndrome), N 증후군(N syndrome), NACG, NAGS 결핍증(NAGS deficiency), NAME 증후군(NAME<br />

syndrome), NAO 증후군(NAO syndrome), NARP 증후군(NARP syndrome), NASH 증후군(NASH syndrome), NBS, NCL,<br />

NCMD, NF 1, NFJ 증후군(NFJ syndrome), NHL, NHPP, NISCH 증후군(NISCH syndrome), NOMID 증후군(NOMID<br />

syndrome), NPLCA, NSIP, NTD, 네겔리 증후군(Naegeli syndrome), 네겔리-프란세체티-야다존 증후군(Naegeli-<br />

Franceschetti-Jadassohn syndrome), 나거 증후군(Nager syndrome), 나기브 증후군(Naguib syndrome), 손톱 기<br />

형(Nail anomaly), 손톱 이형성(Nail dysplasia), 나이토-오야나기 병(Naito-Oyanagi disease), 나카가와 혈관<br />

모세포종(Nakagawa's angioblastoma), 나카조 니시무라 증후군(Nakajo nishimura syndrome), 나카조 증후군<br />

(Nakajo syndrome), 나카무라 오사메 증후군(Nakamura osame syndrome), 낸스-호란 증후군(Nance-Horan<br />

syndrome), 탈력발작 없는 기면증(Narcolepsy without cataplexy), 기면증-탈력발작(Narcolepsy-Cataplexy),<br />

나소디지토어쿠스틱 증후군(Nasodigitoacoustic syndrome), 비인두 암종(Nasopharyngeal cancer), 나수-하콜라<br />

병(Nasu-Hakola disease), 나탈리 증후군(Nathalie syndrome), 나바조 브레인스템 증후군(Navajo brainstem<br />

syndrome), 낙소스 병(Naxos disease), 괴사성 뇌하수체염(Necrotising hypophysitis), 괴사성 척수염<br />

(Necrotizing myelitis), 네말린 근병변(Nemaline myopathy), 신생아기 발생 다기관 염증질환(Neonatal Onset<br />

Multisystem Inflammatory Disease), 신생아 사망 면역 결핍(Neonatal death immune deficiency), 신생아 혈색<br />

소증(Neonatal hemochromatosis),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Neonatal neutropenia),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br />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신모세포종(Nephroblastoma), 신원성 섬유피부질환(Nephrogenic<br />

fibrosing dermopathy), 신원성전신섬유증(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신석증(Nephrolithiasis), 신결석<br />

증-간 섬유증(Nephronophthisis-hepatic fibrosis), 신장병증(Nephropathy), 신장증( Nephrosis), 미만성 메산<br />

지음 경화증 수반 신 증후군(Nephrotic syndrome with diffuse mesangial sclerosis), 신 증후군(Nephrotic<br />

- 49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syndrome), 신경계 종양(Nervous system tumour), 네테르톤 병(Netherton disease), 노이-락소바 증후군(Neu-<br />

Laxova syndrome), 노이하우저 달리 마그넬리 증후군(Neuhauser daly magnelli syndrome), 노이하우저 아이흐<br />

너 오피즈 증후군(Neuhauser eichner opitz syndrome), 노이하우저 기형(Neuhauser's anomaly), 신경능선 종양<br />

(Neural crest tumour), 신경유극세포증(Neuroacanthocytosis), 신경축삭퇴행위축(Neuroaxonal dystrophy), 신<br />

경모세포종(Neuroblastoma), 신경피부멜라닌증(Neurocutaneous melanosis), 3-하이드록시이소부티릴-CoA 하이<br />

드롤라제 결핍에 의한 신경변성( Neurodegeneration due to 3-hydroxyisobutyryl-CoA hydrolase deficiency),<br />

뇌의 철 침착을 수반한 신경변성(NBIA: Neurodegeneration with brain iron accumulation), 신경 변성 질환<br />

(Neurodegenerative disease), 신경외배엽 증후군(Neuroectodermal syndrome), 신경상피종(Neuroepithelioma),<br />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신경지방종증(Neurolipomatosis), 신경근 접합부 질환(Neuromuscular<br />

junction disease), 시신경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신경근육긴장증(Neuromyotonia), 신경장애<br />

(Neuropathy), 중성지방축적증(Neutral Lipid Storage Disease), 호중구감소증(Neutropaenia), 네보 증후군<br />

(Nevo syndrome), 모반양 과흑색종(Nevoid hypermelanosis), 네젤로프 증후군(Nezelof syndrome), 니콜라이데<br />

스 바라이쳐 증후군(Nicolaides baraitser syndrome), 니만-피크 병(Niemann-Pick disease), 니페어겔트 증후<br />

군(Nievergelt syndrome), 니카와-쿠로키 증후군(Niikawa-Kuroki syndrome), 니이메겐 브레이키지 증후군<br />

(Nijmegen breakage syndrome), 니벨론-니벨론-마빌레 증후군(Nivelon-Nivelon-Mabille syndrome), 노악 증후<br />

군(Noack syndrome), 노블 바스 셔만 증후군(Noble bass sherman syndrome), 노카르디아증(Nocardiosis), 결절<br />

성 림프구 우세형 호지킨 림프종(Nodular lymphocyte predominant Hodgkin lymphoma), 결절성-관절병-골용해<br />

증후군(Nodulosis-arthropathy-osteolysis syndrome), 수암(Noma), 비-24시간 수면-각성 증후군(Non-24-Hour<br />

Sleep-Wake syndrome), 비-DYT1 특발성 염전 이긴장증(Non-DYT1 idiopathic torsion dystonia), 비호지킨 악성<br />

림프종(Non-Hodgkin malignant lymphoma),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비-아밀로이드<br />

성 단일 클론성 면역글로불린 병(Non-amyloid monoclonal immunoglobulin deposition disease), 호산구 증가증<br />

수반 비-거대세포 육아종성 측두동맥염(Non-giant cell granulomatous temporal arteritis with<br />

eosinophilia), 후안부에 영향을 주는 비-감염성 포도막염(Non-infectious uveitis affecting the posterior<br />

segment of the eye), 노나카 근병증(Nonaka myopathy), 비미분화성 생식세포 종양(Nondysgerminomatous germ<br />

cell tumor), 누난 유사 구축 근병증 고열증(Noonan like contracture myopathy hyperpyrexia), 누난 유사 증<br />

후군(Noonan like syndrome), 누난 증후군(Noonan syndrome), 노르모모르픽 시알산증(Normomorphic<br />

sialidosis), 노리병(Norrie disease), 노럼병(Norum disease), 노바 증후군(Nova syndrome), 노박 증후군<br />

(Novak syndrome), 핵세포 엔벨로퍼시(Nuclear cell envelopathy), 오 도넬 파파스 증후군(O donnell pappas<br />

syndrome), 오도허티 증후군(O'Doherty syndrome), 오설리번-맥레오드 증후군(O'Sullivan-McLeod syndrome),<br />

OA-1, OCA, OCRL1, OFC 증후군(OFC syndrome), OFCD 증후군(OFCD syndrome), OHSS, OLEDAID, ONMR 증후군<br />

(ONMR syndrome), OPPG, ORW 2, OSLAM 증후군(OSLAM syndrome), OSMED, OTUDP 증후군(OTUDP syndrome), 폐쇄<br />

성 문맥증(Obliterative portal venopathy), 폐쇄성 영아 동맥병증(Occlusive infantile arteriopathy), 직업<br />

성 알레르기성 폐포염(Occupational allergic alveolitis), 오코아 증후군(Ochoa syndrome), 갈색증<br />

(Ochronosis), 눈 골격 콩팥 증후군(Oculo skeletal renal syndrome), 눈-골-피부 증후군(Oculo-osteo-<br />

cutaneous syndrome), 눈 외배엽 증후군(Oculoectodermal syndrome), 눈 위장 근육 이영양증<br />

(Oculogastrointestinal muscular dystrophy), 안구 운동 마비(Oculomotor palsy), 동안 신경 마비(Oculomotor<br />

paralysis), 원위부근병증(Oculopharyngodistal myopathy), 치과 질환(Odontologic disease), 다발성 치아종<br />

(Odontomatosis), 외르터-프리에드만-앤더슨 증후군(Oerter-Friedman-Anderson syndrome), 식도 폐쇄<br />

(Oesophageal atresia), 오구치 병(Oguchi disease), 오하하 증후군(Ohaha syndrome), 오도 마도코로 소노다<br />

증후군(Ohdo madokoro sonoda syndrome), 오타하라 증후군(Ohtahara syndrome), 오카모토 증후군(Okamoto<br />

syndrome), 오키히로 증후군(Okihiro syndrome), 올리고콘 증후군(Oligocone syndrome), 신원거대감소증<br />

(Oligomeganephronia), 올리버 맥팔란 증후군(Oliver mcfarlane syndrome), 올리버 증후군(Oliver syndrome),<br />

올리에르 병(Ollier disease), 올름스테드 증후군(Olmsted syndrome), 오멘 증후군(Omenn syndrome), 오모디스<br />

플라시아(Omodysplasia), 오낫 증후군(Onat syndrome), 회선사상충증(Onchocerciasis), 온딘 증후군(Ondine<br />

syndrome), 온딘-히르슈슈프룽 병(Ondine-Hirschsprung disease), 손발톱이상증(Onychodystrophy), 우크스 증<br />

후군(Oochs syndrome), 안근마비 어린선(Ophtalmic ichthyosis), 안근마비(Ophtalmoplegia), 오피즈 BBB/G 증<br />

후군(Opitz BBB/G syndrome), 오피즈 레이놀즈 피츠제랄드 증후군(Opitz reynolds fitzgerald syndrome), 오피<br />

즈-칼타비아노 증후군(Opitz-Caltabiano syndrome), 오피즈-프리아즈 증후군(Opitz-Frias syndrome), 오펜하임<br />

근긴장이상(Oppenheim's dystonia), 옵시스모디스플라시아(Opsismodysplasia), 안진전/간대성근경련<br />

(Opsoclonus-myoclonus syndrome), 시신경위축(Optic atrophy), 시신경 형성부전(Optic nerve hypoplasia), 시<br />

신경장애(Optic neuropathy), 시신경로 교종(Optic pathway glioma), 안와 평활근종(Orbital leiomyoma), 오몬<br />

- 50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드 병(Ormond's disease), 오르니틴 아미노전환효소 결핍증(Ornithine aminotransferase deficiency), 입-얼굴<br />

-손발가락 증후군(Orofaciodigital syndrome), 구강하악 근긴장이상(Oromandibular dystonia), 오로트산뇨증<br />

(Oroticaciduria), 오로야 열(Oroya fever), 오세볼드-레몬디니 증후군(Osebold-Remondini syndrome), 오스굿-<br />

슐라터병(Osgood-Schlatter disease), 오슬러-바케병(Osler-Vaquez disease), 골관절병증(Osteoarthropathy),<br />

골모세포종(Osteoblastoma), 골연골염(Osteochondritis), 골연골종(Osteochondromas), 골연골증<br />

(Osteochondrosis), 골두개협착증(Osteocraniostenosis), 골이형성(Osteodysplasia), 골확장증(Osteoectasia),<br />

골육종(Osteogenic sarcoma), 골용해(Osteolysis), 오스테오메소피크노시스(Osteomesopyknosis), 골괴사<br />

(Osteonecrosis), 골감소증(Osteopaenia), 선상골병증-두개경화증(Osteopathia striata-cranial sclerosis),<br />

골화석증(Osteopetrosis), 골반문증(Osteopoikilosis), Osteoporosis(골다공증), Osteosarcoma(골육종), 골경<br />

화증(Osteosclerosis), 오스트라빅 린데만 솔베르그 증후군(Ostravik lindemann solberg syndrome), 귀경화증<br />

(Otosclerosis), 우브리에 빌슨 증후군(Ouvrier billson syndrome), 난소 세르톨리-레이디히 세포 종양<br />

(Ovarian Sertoli-Leydig cell tumor), 난소암(Ovarian cancer), 난소 악성 생식세포종양(Ovarian germ cell<br />

malignant tumor), 난소 백색질이영양증(Ovarioleukodystrophy), 옥살산증(Oxalosis), PAF, PAGOD 증후군<br />

(PAGOD syndrome), PAN, PANDAS, PAP, PAPA 증후군(PAPA syndrome), PARC 증후군(PARC syndrome), PCA,<br />

PCARP, 시신경 위축 수반 PCH(PCH with optic atrophy), PCT, PDALS, PEHO 증후군(PEHO syndrome), PEL,<br />

PELVIS 증후군(PELVIS syndrome), PFAPA 증후군(PFAPA syndrome), PFIC, PHACE 증후군(PHACE syndrome),<br />

PIBIDS 증후군(PIBIDS syndrome), PJS, PLOSL, PMD, PNDM, POADS, POEMS 증후군(POEMS syndrome), POF, POMC<br />

결핍증(POMC deficiency), PPA, PPHS, PPM-X, PPoma, PSEK, PSP, PTC-RCC, PTLAH, PTLD, 뇌이랑비대증<br />

(Pachygyria), 손발톱비대증(Pachyonychia), 팩맨 이형성(Pacman dysplasia), 스트렙토코쿠스 감염 관련 소아<br />

성 자가면역 질환(Paediatric Autoimmune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us infections), 스트렙토코<br />

쿠스 감염 관련 소아성 자가면역 신경정신 질환(Paediatric Autoimmune Neuropsychiatric Disorders<br />

Associated with Streptococcus infections), 소아성 육아종성 관절염(Paediatric granulomatous arthritis),<br />

파제트병(Paget disease), 파곤 스테판 증후군(Pagon stephan syndrome), Pai 증후군(Pai syndrome), 팔리스터<br />

W 증후군(Pallister W syndrome), 팔리스터-할 증후군(Pallister-Hall syndrome), 팔리스터-킬리안 증후군<br />

(Pallister-Killian syndrome), 팔머 파곤 증후군(Palmer pagon syndrome), 눈꺼풀 질환(Palpebral disease),<br />

파나이오토포울로스 증후군(Panayiotopoulos syndrome), 췌장암종(Pancreatic carcinoma), 췌장염<br />

(pancreatitis), 패너 병(Panner disease), 지방층염(Panniculitis), 범내장하수증 섬유 형성이상(Panostotic<br />

fibrous dysplasia), 신장 유두 증후군(Papillo-renal syndrome), 재발성 호흡기계 유두종증(Papillomatosis,<br />

recurrent respiratory), 파필론-리그-사우메 증후군(Papillon-Leage-Psaume syndrome), 파필론-레페브레 증후<br />

군(Papillon-Lefevre syndrome), 구진 및 경피양 점액 수종성 태선(Papular and sclerodermoid lichen<br />

myxedematosus), 구진 무모증(Papular atrichia), 유아 구진 점액증(Papular mucinosis of infancy), 이상근육<br />

긴장증(Paramyotonia), 종양수반성 천포창(Paraneoplastic pemphigus), 종양수반성 망막증(Paraneoplastic<br />

retinopathy), 하반신마비(Paraplegia), 부갑상선 암종(Parathyroid carcinoma), 실질성 간질환<br />

(Parenchymatous liver disease), 파리스-트루소 혈소판 감소증(Paris-Trousseau thrombocytopenia), 팔케스-<br />

웨버 증후군(Parkes-Weber syndrome), 파긴슨병(Parkinson disease), 파킨스-ALS-치매 복합증(Parkinsonism-<br />

dememtia-ALS complex), 발작성 한냉 혈색소뇨증(Paroxysmal cold haemoglobinuria), 발작성 활동 유도 이상운<br />

동증(Paroxysmal exertion-induced dyskinesia), 발작성 심실 세동(Paroxysmal ventricular fibrillation),<br />

패리-롬버그 증후군(Parry-Romberg syndrome), 파르소니지-터너 증후군(Parsonage-Turner syndrome), 부분 심<br />

부 2도 화상 및 3도(전층) 화상(Partial deep dermal and full thickness burns), 파팅턴 아밀로이드증<br />

(Partington amyloidosis), 파팅턴 병(Partington disease), 파팅턴-앤더슨 증후군(Partington-Anderson<br />

syndrome), 파팅턴-물리 증후군(Partington-Mulley syndrome), 파르보바이러스 산전 감염(Parvovirus<br />

antenatal infection), 파스쿠엘 카스트로비에호 증후군(Pascuel castroviejo syndrome), 파샤얀 증후군<br />

(Pashayan syndrome), 파쓰웰-굿맨-시프르코브스키 증후군(Passwell-Goodman-Siprkowski syndrome), 파타우 증<br />

후군(Patau syndrome), 망막 색소 상피 무늬 이영양증(Patterned dystrophy of the retinal pigment<br />

epithelium), 패터슨 수도레프레카우니즘 증후군(Patterson pseudoleprechaunism syndrome), 패터슨 스티븐슨<br />

증후군(Patterson Stevenson syndrome), 패터슨 로우리 근형부 이형성증(Patterson-Lowry rhizomelic<br />

dysplasia), 소수 관절형 만성 관절염(Pauciarticular chronic arthritis), 파보네 피우마라 리조 증후군<br />

(Pavone fiumara rizzo syndrome), 피어슨 증후군(Pearson syndrome), 피부 박리 증후군(Peeling skin<br />

syndrome), 펠겟-후어 기형(Pelget-Huer anomaly), 펠리체우스-메르츠바허 뇌 경화증(Pelizaeus-Merzbacher<br />

brain sclerosis), 펠라그라(Pellagra), 천포창(Pemphigus), 페나-쇼커 증후군(Pena-Shokeir syndrome), 펜드<br />

레드 증후군(Pendred syndrome), 펜타 X 증후군(Penta X syndrome), 오탄당뇨증(Pentosuria), 펩타이드 대사<br />

- 51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질환(Peptide metabolism disease), 펩타이드 성장 인자 결핍(Peptidic growth factors deficiency), 페르힌투<br />

파 증후군(Perheentupa syndrome), 결절성동맥주위염(Periarteritis nodosa), 심장막 결손 횡경막 탈장<br />

(Pericardial defect diaphragmatic hernia), 심막염(Pericarditis), 신경다발막종(Perineurioma), 주산기 심<br />

근증(Peripartum cardiomyopathy), 말초 T세포 림프종(Peripheral T-cell lymphoma), 말초 신경 장애 및 시신<br />

경 위축(Peripheral neuropathy and optic atrophy), 복강내 평활근종증(Peritoneal leiomyomatosis), 뇌 종양<br />

유도 종양주위 부종(Peritumoral oedema derived from brain tumours), 뇌실주위 결절 이소증(Periventricular<br />

nodular heterotopia), 펄만 증후군(Perlman syndrome), 악성빈혈(Pernicious anaemia), 페르니올라 크라예브<br />

스카 카르네발레 증후군(Perniola krajewska carnevale syndrome), 페록시좀 베타-산화 질환(Peroxisomal<br />

beta-oxidation disease), 페로 증후군(Perrault syndrome), 지속성 뮐러관 증후군(Persistent Mullerian duct<br />

syndrome), 피터스 기형(Peters anomaly), 피터스-플러스 증후군(Peters-plus syndrome), 페트게스-클레자트<br />

증후군(Petges-Clejat syndrome), 쁘띠-프린스 증후군(Petit-Fryns syndrome), 페티 락소바 비데만 증후군<br />

(Petty laxova Wiedemann syndrome), 포이츠-예거 증후군(Peutz-Jeghers syndrome), 페이로니 증후군(Peyronie<br />

syndrome), 파이퍼 마이어 증후군(Pfeiffer mayer syndrome), 파이퍼 팜 텔러 증후군(Pfeiffer palm teller<br />

syndrome), 파이퍼 록켈레인 증후군(Pfeiffer rockelein syndrome), 파이퍼 증후군(Pfeiffer syndrome), 파이<br />

퍼-카퍼러 증후군(Pfeiffer-Kapferer syndrome), 파이퍼-싱어-찌쉐 증후군(Pfeiffer-Singer-Zschiesche<br />

syndrome), 파이퍼-웨버-크리스티안 증후군(Pfeiffer-Weber-Christian syndrome), 모반증(Phacomatosis), 갈색<br />

세포종(Phaeochromocytoma), 식세포 기능 이상(Phagocyte function anomaly), 파버 증후군(Phaver syndrome),<br />

펠란-맥더미드 증후군(Phelan-McDermid syndrome), 표현형 설사(Phenotypic diarrhoea), 페닐케톤뇨증<br />

(Phenylketonuria), 해표지증(Phocomelia), 식물스테롤혈증(Phytosterolemia), 피카르디-라쉬에르-리틀 증후군<br />

(Picardi-Lassueur-Little syndrome), 뇌의 피크병(Pick disease of brain), 부분 백피증(Piebaldism), 피에르<br />

로빈 시퀀스 관련 새궁 기형(Pierre Robin sequence associated with branchial archs anomalies), 피에르 로<br />

빈 시퀀스 관련 교원병(Pierre Robin sequence associated with collagen diseases), 비둘기사육사폐병<br />

(Pigeon-breeder's lung disease), 필라이 증후군(Pillay syndrome), 모기질종(Pilomatrixoma), 필로토 증후군<br />

(Pilotto syndrome), 핀헤이로 프라이레 마이아 미란다 증후군(Pinheiro freire maia miranda syndrome), 핀스<br />

키-디 조지-할리 증후군(Pinsky-Di George-Harley syndrome), 피트-홉킨스 증후군(Pitt-Hopkins syndrome), 피<br />

트-윌리엄스 단지증(Pitt-Williams brachydactyly), 피트-로저스-단크스 증후군(Pitt-rogers-danks syndrome),<br />

뇌하수체 선종(Pituitary adenoma), 뇌하수체 무발생(Pituitary agenesis),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증(Pituitary<br />

hormone deficiency), 뇌하수체 프로락틴분비세포 선종(Pituitary lactotrophic adenoma), 모공성 홍색 비강진<br />

(Pityriasis rubra pilaris), 피우싼-레나르츠-마티유 증후군(Piussan-Lenaerts-Mathieu syndrome), 형질세포<br />

종양(Plasma cell tumour), 혈소판 기능질환(Platelet function disease), 편평척추 형성이상(Platyspondylic<br />

dysplasia), 플렉틴 결핍증(Plectin deficiency), 다형성 지방육종(Pleomorphic liposarcoma), 흉막폐 아세포<br />

종(Pleuro-pulmonary blastoma), 흉막폐 자궁내막증(Pleuro-pulmonary endometriosis), 플롯 증후군(Plott<br />

syndrome), 플럼 증후군(Plum syndrome), 플럼머-빈슨 증후군(Plummer-Vinson syndrome), 폐아세포종<br />

(Pneumoblastoma), 폐포자충증(Pneumocystosis), 녹농균 유발 폐렴(Pneumonia caused by Pseudomonas<br />

Aeruginosa), 다형피부근염(Poikilo-dermatomyositis), 폴리트 증후군(Pollitt syndrome), 결절성 다발성 동맥<br />

염(Polyarteritis nodosa), 다발성 관절염(Polyarthritis), 다낭성 신질환(Polycystic kidney disease), 다낭<br />

성 간질환(Polycystic liver disease), 다낭성 난소질환(Polycystic ovarian disease), 적혈구증가증<br />

(Polycythaemia), 다지증(Polydactyly), 다골단 형성이상(Polyepiphyseal dysplasia), 다소뇌화증<br />

(Polymicrogyria), 다형 카테콜성 심실성 빈맥(Polymorphic catecholergic ventricular tachycardia), 다발성<br />

근염(Polymyositis), 다골성 섬유성 골이형성증(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폴립증(Polyposis), 다합지<br />

증 - 심장기형(Polysyndactyly - cardiac malformation), 폼페병(Pompe disease), 슬와 웹 증후군(Popliteal<br />

web syndrome), 한공각화증(Porokeratosis), 포르피린증(Porphyria), 문맥고혈압(Portal hypertension), 문맥<br />

혈전증(Portal vein thrombosis), 폴리오 후 증후군(Post polio syndrome), 이식술후 이식편 기능장애(Post<br />

transplantation graft dysfunction), 회백질척수염후 증후군(Post-poliomyelitic syndrome), 이식후 림프증식<br />

성 질환(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 외상후 척수공동증(Post-traumatic syringomyelia),<br />

두경부 감염에 대한 2차 협심증후 패혈증(Postanginal sepsis secondary to oropharyngeal infection), 후방피<br />

질위축증(Posterior cortical atrophy), 산후 심근증(Postpartum cardiomyopathy), 바이러스 감염 후 피로 증<br />

후군(Postviral Fatigue Syndrome), 포토키-샤퍼 증후군(Potocki-Shaffer syndrome), 포터 시퀀스(Potter<br />

sequence), 파웰 찬드라 사알 증후군(Powell Chandra saal syndrome), 파웰 베넨치 고든 증후군(Powell<br />

venencie gordon syndrome), 프라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프라타 리베랄 곤칼브스 증후군<br />

(Prata liberal goncalves syndrome), 이개전 소와 신장 질환(Preauricular pits renal disease), 전구체 B-세<br />

- 52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Precursor B-cell 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전구체 T-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br />

혈병(Precursor 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프레야솜바트-바라비티야 증후군(Preeyasombat-<br />

Varavithya syndrome), 임신-관련 담즙정체증(Pregnancy-related cholestasis), 노인성 조숙증(Premature<br />

aging), 압력-유발 국소 지방위축증(Pressure-induced localized lipoatrophy), 프리에토-바디아-뮬라스 증후<br />

군(Prieto-Badia-Mulas syndrome), 프리에르-그리셀리 증후군(Prieur-Griscelli syndrome), 원발성 담즙성 간<br />

경변증(Primary biliary cirrhosis), 원발성 섬모 이상운동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원발성 피부<br />

CD30-양성 T-세포 림프증식성 질환(Primary cutaneous CD30-positive T-cel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br />

원발성 삼출 림프종(Primary effusion lymphoma),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감염에 관련된 원발성 삼출 림<br />

프종(Primary effusion lymphoma associated with th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원발<br />

성 장림프관확장증(Primary intestinal lymphangiectasia), 원발성 측삭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br />

원발성 지방이영양증(Primary lipodystrophy), 원발성 림프부종(Primary lymphoedema), 원발성 폐 림프종<br />

(Primary pulmonary lymphoma),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프라임로즈 증후군<br />

(Primerose syndrome), 조로증(Progeria), 소아기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ralysis of<br />

childhood), 진행성 추체 이상증(Progressive cone dystrophy), 진행성 골간 이형성증(Progressive diaphyseal<br />

dysplasia), 진행성 대량 골용해증(Progressive massive osteolysis), 고혈압을 동반한 진행성 신장병증<br />

(Progressive nephropathy with hypertension), 간질환을 동반한 소아기 진행성 신경퇴행(Progressive<br />

neuronal degeneration of childhood with liver disease), 프로락틴선종(Prolactinoma), 프롭핑 제레스 증후<br />

군(Propping Zerres syndrome), 전립선암(Prostate cancer), 프로테우스 증후군(Proteus syndrome), 프라우드-<br />

레빈-카펜터 증후군(Proud-Levine-Carpenter syndrome), 프룬 배 증후군(Prune belly syndrome), 건선성 관절<br />

염(Psoriatic arthritis), PTEN 과오종 증후군(PTEN Hamartoma syndrome), 익상편(Pterygia), 음부 신경통<br />

(Pudendal neuralgia), 음부 신경병증(Pudendal neuropathy), 폐동정맥류(Pulmonary arterioveinous<br />

aneurysm), 폐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 증식증(Pulmonary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폐포 미석증<br />

(Pulmonary alveolar microlithiasis), 폐포 단백증(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폐대동맥 협착증<br />

(Pulmonary aortic stenosis),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폐동정맥루(Pulmonary<br />

arterio-veinous fistula), 폐동맥 저형성증(Pulmonary artery hypoplasia), 폐 폐쇄증(Pulmonary atresia),<br />

폐 모세포종(Pulmonary blastoma), 폐 분지 협착증(Pulmonary branch stenosis), 폐 자궁내막증(Pulmonary<br />

endometriosis), 폐 헤모시데린증(Pulmonary haemosiderosis), 폐기능 부족(Pulmonary insufficiency), 폐 림<br />

프관확장증(Pulmonary lymphangiectasia), 폐 림프관종증(Pulmonary lymphangiomatosis), 폐 결절성 림프구양<br />

증식증(Pulmonary nodular lymphoid hyperplasia), 폐 판막상부 협착증(Pulmonary supravalvular stenosis),<br />

폐표면활성단백질 이상(Pulmonary surfactant protein anomalies), 폐판막 무발생(Pulmonary valve agenesis<br />

(PVA)), 폐정맥 폐쇄성 질환(Pulmonary venoocclusive disease), 수석(Pulp stones), 펄프성 이형성증(Pulpal<br />

dysplasia), 퓨레틱 증후군(Puretic syndrome), 퍼틸로 증후군(Purtilo syndrome), 농축이골증<br />

(Pycnodysostosis), 결여연골무발생증(Pyknoachondrogenesis), 결여간질(Pyknolepsy), 파일병(Pyle disease),<br />

괴저성 농피증(Pyoderma gangrenosum), 화농성 근염(Pyomyositis), 열변형적혈구증(Pyropoikilocytosis), Q 열<br />

(Q fever), 콰지-마르퀴조스 증후군(Qazi-Markouizos syndrome), 쿼트린 맥퍼슨 증후군(Quattrin mcpherson<br />

syndrome), RAEB-1, RAPADILINO 증후군(RAPADILINO syndrome), RB-ILD, RECQ2, RECQL3, RHS, 랍슨-멘덴홀 증<br />

후군(Rabson-Mendenhall syndrome), 방사선 증후군(Radiation syndromes), 방사성 신 증후군(Radio renal<br />

syndrome), 레인 증후군(Raine syndrome), 라잡-스프랭거 증후군(Rajab-Spranger syndrome), 람밤-하샤론 증후<br />

군(Rambam-Hasharon syndrome), 램바드-갈리안 증후군(Rambaud galian syndrome), 라몬 증후군(Ramon<br />

syndrome), 라모스 아로요 클라크 증후군(Ramos arroyo clark syndrome), 램지 헌트 증후군(Ramsay hunt<br />

syndrome), 랜달병(Randall disease), 랩-호지킨 외배엽 이형성 증후군(Rapp-Hodgkin ectodermal dysplasia<br />

syndrome), 랩-호지킨 증후군(Rapp-Hodgkin syndrome), 라스무센 존슨 톰슨 증후군(Rasmussen johnsen thomsen<br />

syndrome), 라스무센 증후군(Rasmussen syndrome), 라트번병(Rathburn disease), 레이 피터슨 스코트 증후군<br />

(Ray peterson scott syndrome), 레이너드 현상(Raynaud phenomenon), 리어든-바라이처 증후군(Reardon-<br />

Baraitser syndrome), 리어든-홀-슬래니 증후군(Reardon-Hall-Slaney syndrome), 간 피이식자에 있어서 재발 C<br />

형 간염 바이러스 유발 간 질환(Recurrent hepatitis C virus induced liver disease in liver transplant<br />

recipients), 적혈구 무형성증(Red cell aplasia), 레페토프 증후군(Refetoff syndrome), 반사성 교감 신경 이<br />

영양증 증후군(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레프섬병(Refsum disease), 레지나토-쉬아파챠세 증<br />

후군(Reginato-Schiapachasse syndrome), 라이펜슈타인 증후군(Reifenstein syndrome), 라인하르트 파이퍼 증<br />

후군(Reinhardt pfeiffer syndrome), 라이터 증후군(Reiter’s syndrome), 신 무형성증(Renal adysplasia), 신<br />

세포암종(Renal cell carcinoma), 신 이형성증(Renal dysplasia), 신 당뇨(Renal glucosuria), 신 고혈압<br />

- 53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Renal hypertension), 신 저형성증(Renal hypoplasia), 신 호두까기 증후군(Renal nutcracker syndrome), 신<br />

세뇨관성 산증(Renal tubular acidosis), 신세뇨관성 장애(Renal tubular disorder), 신-콜로보마 증후군<br />

(Renal-coloboma syndrome), 렌두-오슬러-웨버병(Rendu-Osler-Weber disease), 레니어-가브렐스-재스퍼 증후군<br />

(Renier-Gabreels-Jasper syndrome), 렌페닝 증후군(Renpenning syndrome), 활성화된 단백질 C에 대한 저항성<br />

(Resistance to activated protein C), 갑상선 자극 호르몬에 대한 저항성(Resistance to thyroid stimulating<br />

hormone), 호흡성 세기관지염(Respiratory bronchiolitis),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제한성<br />

심근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망상 신경다발막종(Reticular perineurioma), 망막세동맥 만곡증<br />

(Retinal arteriolar tortuosity), 망막변성(Retinal degeneration), 망막형성장애증(Retinal dystrophy), 망<br />

막출혈(Retinal hemorrhage), 망막모세포종(Retinoblastoma), 망막성간내분비 증후군<br />

(Retinohepatoendocrinologic syndrome), 미숙아 망막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초기 주맹증이 수반된<br />

망막분리(Retinoschisis with early hemeralopia), 망막분리(Retinoschisis), 안구후퇴증후군(Retraction<br />

syndrome), 후복막 섬유증(Retroperitoneal fibrosis), 레트 유사 증후군(Rett like syndrome), 레트 증후군<br />

(Rett syndrome), 레베즈-데뷰즈 증후군(Revesz-Debuse syndrome), 레이예 증후군(Reye's syndrome), 레이놀즈<br />

증후군(Reynolds syndrome), Rh 결핍 증후군(Rh deficiency syndrome),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류마티<br />

스 열(Rheumatic fever), 리조멜릭형 이형성증(Rhizomelic dysplasia), Rh눌 증후군(Rhnull syndrome), 리차즈<br />

-런들 증후군(Richards-Rundle syndrome), 리차드슨 증후군(Richardson's syndrome), 리치에리 코스타-귀온 알<br />

메이다-코헨 증후군(Richieri Costa-Guion Almeida-Cohen syndrome), 리치에리 코스타 다 실바 증후군<br />

(Richieri costa da silva syndrome), 리치에리 코스타 골린 증후군(Richieri costa gorlin syndrome), 리치에<br />

리-코스타-콜레토 증후군(Richieri-Costa-Colletto syndrome), 리치에리코스타-페레이라 증후군<br />

(RichieriCosta-Pereira syndrome), 리치너-한하트 증후군(Richner-Hanhart syndrome), 릭커 증후군(Ricker<br />

syndrome), 릭케테시에병(Rickettesiae disease), 리델 갑상선염(Riedel Thyroiditis), 리거 증후군(Rieger<br />

syndrome), 우심방 가족성 확장증(Right atrium familial dilatation), 우심실 형성부전(Right ventricle<br />

hypoplasia), 강직성 척추 증후군(Rigid spine syndrome), 라일리-데이 증후군(Riley-Day syndrome), 라일리-<br />

스미스 증후군(Riley-Smith syndrome), 립버거 아세 증후군(Rippberger aase syndrome), 물결모양 근육병<br />

(Rippling muscle disease), 릿쳐 쉰젤 증후군(Ritscher schinzel syndrome), 리베라-페레즈-살라스 증후군<br />

(Rivera-Perez-Salas syndrome), 로버츠 증후군(Roberts syndrome), 로비노우 증후군(Robinow syndrome), 로비<br />

노우-소라우프 증후군(Robinow-Sorauf syndrome), 로비노우-웅거 증후군(Robinow-Unger syndrome), 로비노우-<br />

유사 증후군(Robinow-like syndrome), 록-레리 중체강 지방종증(Roch-Leri mesosomatous lipomatosis), 록키산<br />

반점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로디니 리치에리 코스타 증후군(Rodini richieri costa syndrome), 로<br />

저병(Roger disease), 로이프만-멜라메드 증후군(Roifman-Melamed syndrome), 로키탄스키 증후군(Rokitansky<br />

syndrome), 로마노-워드 QT 간격 연장 증후군(Romano-Ward long QT syndrome), 롬보 증후군(Rombo syndrome),<br />

롬멘 뮬러 사이베르트 증후군(Rommen mueller sybert syndrome), 로사이-도르프만병(Rosai-Dorfman disease),<br />

로젠버그 로어 증후군(Rosenberg lohr syndrome), 로젠버그 추토리안 증후군(Rosenberg Chutorian syndrome),<br />

로스문트-톰슨 증후군(Rothmund-Thomson syndrome), 로터 증후군(Rotor syndrome), 로이 마로톡스 크렘프 증후<br />

군(Roy maroteaux kremp syndrome), 로진-허츠-굿맨 증후군(Rozin-Hertz-Goodman syndrome), 루빈슈타인-테이<br />

비 증후군(Rubinstein-Taybi syndrome), 러드-클리멕 증후군(Rudd-Klimek syndrome), 루디거 증후군(Rudiger<br />

syndrome), 러셀 실버 증후군(Russell Silver syndrome), 러셀 위버 불 증후군(Russell weaver bull<br />

syndrome), 러더퍼드 증후군(Rutherfurd syndrome), 러발카바 증후군(Ruvalcaba syndrome), 러발카바-마이어-<br />

스미스 증후군(Ruvalcaba-Myhre-Smith syndrome), SADDAN, SANDO, SAPHO 증후군(SAPHO syndrome), SC 해표상지<br />

증(SC phocomelia), SCA, SCAN 2, SCAR1 , SCARF 증후군(SCARF syndrome), SCASI, SCD, SCID, SCLC, SE(M)D,<br />

SGBS, SGS, SHORT 증후군(SHORT syndrome), SIADH, SIBIDS 증후군(SIBIDS syndrome), SJS, SLK, SMD, SMEI,<br />

SMMCI, SOD, SOLAMEN 증후군(SOLAMEN syndrome), SPG, SPONASTRIME 이상형성증(SPONASTRIME dysplasia), SPS,<br />

SRP, SUNCT 증후군(SUNCT syndrome), 살-그린슈타인 증후군(Saal-Greenstein syndrome), 사카로핀뇨증<br />

(Saccharopinuria), 색-바라바스 증후군(Sack-Barabas syndrome), 새트레-코첸 증후군(Saethre-Chotzen<br />

syndrome), 사이토 쿠바 츠루타 증후군(Saito kuba tsuruta syndrome), 사카티 증후군(Sakati syndrome), 사카<br />

티-니한 증후군(Sakati-Nyhan syndrome), 사카티-니한-티스데일 증후군(Sakati-Nyhan-Tisdale syndrome), 살세<br />

도 증후군(Salcedo syndrome), 살라병(Salla disease), 살모넬라증(Salmonellosis), 살티 살렘 증후군(Salti<br />

salem syndrome), 삼마르티노 데크레치오 증후군(Sammartino decreccio syndrome), 산 루이스 밸리 증후군(San<br />

Luis Valley syndrome), 샌드호프병(Sandhoff disease), 샌디퍼 증후군(Sandifer syndrome), 샌드로우 증후군<br />

(Sandrow syndrome), 산필리포병(Sanfilippo disease), 산자드-사카티 증후군(Sanjad-Sakati syndrome), 산타<br />

부아리병(Santavuori disease), 산토스-마테우스-레알 증후군(Santos-Mateus-Leal syndrome), 사르코시토시스<br />

- 54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Sarcocystosis),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사르코신혈증(Sarcosinemia), 사르코스포리디오시스<br />

(Sarcosporidiosis), 사토요시 증후군(Satoyoshi syndrome), 세이 바버 홉스 증후군(Say barber hobbs<br />

syndrome), 세이 바버 밀러 증후군(Say barber miller syndrome), 세이 필드 콜드웰 증후군(Say field<br />

coldwell syndrome), 세이 마이어 증후군(Say meyer syndrome), 녹내장 여과 외과처치 중의 흉터형성(Scarring<br />

in glaucoma filtration surgical procedures), 샤프 테일러 바라이처 증후군(Schaap taylor baraitser<br />

syndrome), 샤이에 증후군(Scheie syndrome), 쇼이어만병(Scheuermann disease), 쉴바크-로트 증후군<br />

(Schilbach-Rott syndrome), 쉴더병(Schilder disease), 쉼케 증후군(Schimke syndrome), 쉼멜페닝 증후군<br />

(Schimmelpenning syndrome), 쉰들러병(Schindler disease), 쉰젤 증후군(Schinzel syndrome), 분리 회합<br />

(Schisis association), 주혈흡충증(Schistosomiasis), 슈미트 증후군(Schmidt syndrome), 슈미트 질렌워터 켈<br />

리 증후군(Schmitt gillenwater kelly syndrome), 달팽이 골반 이형성증(Schneckenbecken dysplasia), 슈니츨<br />

러 증후군(Schnitzler syndrome), 쇼퍼-베츠-볼 증후군(Schofer-Beetz-Bohl syndrome), 숄테 베거 반 에센 증<br />

후군(Scholte begeer van essen syndrome), 쇼프-슐츠-파사르게 증후군(Schopf-Schulz-Passarge syndrome), 신<br />

경초종(Schwannomatosis), 슈바르츠-얌펠 증후군(Schwartz-Jampel syndrome), 시미타르 증후군(Scimitar<br />

syndrome), 경화위축 증후군(Scleroatrophic syndrome), 경피증(Scleroderma), 경화성 점액부종<br />

(Scleromyxedema), 경화성 종격동염(Sclerosing mediastinitis), 경화성 스테오시스(Sclerosteosis), 스콧 증<br />

후군(Scott syndrome), 스콧-브라이언트-그레이엄 증후군(Scott-Bryant-Graham syndrome), 스콧-타오르 증후군<br />

(Scott-Taor syndrome), 시버 캐시디 증후군(Seaver cassidy syndrome), 세바스챤 증후군(Sebastian<br />

syndrome), 섹켈 유사 증후군(Seckel like syndrome), 섹켈 증후군(Seckel syndrome), 세들라코바 증후군<br />

(Sedlackova syndrome), 세마노바 레스니 증후군(Seemanova lesny syndrome), 세가와 증후군(Segawa<br />

syndrome), 세거스 증후군(Seghers syndrome), 자이텔버거병(Seitelberger disease), 셀릭-베나세라프-그린 증<br />

후군(Selig-Benacerraf-Greene syndrome), 셀라스-바이튼 증후군(Sellars-Beighton syndrome), 젠거스 증후군<br />

(Sengers syndrome), 젠거스-하멜-오튼 증후군(Sengers-Hamel-Otten syndrome), 시니어 증후군(Senior<br />

syndrome), 시니어-보이치스 증후군(Senior-Boichis syndrome), 시니어-로켄 증후군(Senior-Loken syndrome),<br />

젠센브레너 증후군(Sensenbrenner syndrome), 젠터 증후군(Senter syndrome), 패혈증(Sepsis), 내경정맥의 패<br />

혈성 정맥염(Septic phlebitis of the internal jugular vein), 세퀘이로스-사크 증후군(Sequeiros sack<br />

syndrome), 세르벨-마르토렐 증후군(Servelle-Martorell syndrome), 세틀레이스 증후군(Setleis syndrome), 중<br />

증 폐쇄성 외상성 뇌손상(Severe closed traumatic brain injury), 중증 복합 면역결핍 T- B-(Severe combined<br />

immunodeficiency T- B-), 과호산구증을 수반한 중증 복합 면역결핍(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with<br />

hypereosinophilia), 백혈구감소증을 수반한 중증 복합 면역결핍(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with<br />

leukopenia), 중증 폐렴구균혈증(Severe pneumococcemia), 세자리 림프종(Sezary's lymphoma), 샤피로 증후군<br />

(Shapiro syndrome), 샤르마 카푸르 람지 증후군(Sharma kapoor ramji syndrome), 샤프 증후군(Sharp<br />

syndrome), 시한 증후군(Sheehan syndrome), 시겔라증(Shigellosis), 쇼케어 증후군(Shokeir syndrome), 숀 증<br />

후군(Shone syndrome), QT 기간 단축 증후군(Short QT syndrome), 괴사성 장염으로 인한 짧은창자증후군(Short<br />

bowel syndrome due to necrotizing enterocolitis), 혈전증으로 인한 짧은창자증후군(Short bowel syndrome<br />

due to thrombosis), 짧은창자증후군(Short bowel syndrome), 슈프린첸 탈장 증후군(Shprintzen omphalocele<br />

syndrome), 슈프린첸-골드버그 증후군(Shprintzen-Goldberg syndrome), 슐만 증후군(Shulman syndrome), 슈바<br />

흐만-다이아몬드 증후군(Shwachman-diamond syndrome), 샤이-드래거 증후군(Shy-drager syndrome), 시알산증<br />

(Sialidosis), 겸상적혈구빈혈(Sickle cell anaemia), 철적모구성 빈혈(Sideroblastic anaemia), 시드란스키-<br />

파인슈타인-굿맨 증후군(Sidransky-Feinstein-Goodman syndrome), 지글러 브루어 캐리 증후군(Siegler brewer<br />

carey syndrome), 실렌고 레론 펠리쪼 증후군(Silengo lerone pelizzo syndrome), 실렌스 증후군(Sillence<br />

syndrome), 시모사 펜차스자데 부스토스 증후군(Simosa penchaszadeh bustos syndrome), 심슨 형태이상 증후군<br />

(Simpson dysmorphia syndrome (SDYS)), 심슨-골라비-베멜 증후군(Simpson-Golabi-Behmel syndrome), 신딩-라<br />

르센-요한슨병(Sinding-Larsen-Johansson disease), 싱 츄하파왈 드한다 증후군(Singh chhaparwal dhanda<br />

syndrome), 싱-윌리엄스-맥칼리스터 증후군(Singh-Williams-McAlister syndrome), 단심실중격결손(Single<br />

ventricular septal defect), 싱글턴-메르텐 이형성증(Singleton-Merten dysplasia), 싱글턴-메르텐 증후군<br />

(Singleton-Merten syndrome), 굴심방 심차단(Sino-auricular heart block), 동방결절질환 및 근시(Sinus node<br />

disease and myopia), 시플 증후군(Sipple syndrome), 인어체기형(Sirenomelia), 시토스테롤혈증<br />

(Sitosterolemia), 내장역위-심장병증(Situs inversus viscerum-cardiopathy), 소그렌 증후군(Sjogren<br />

syndrome), 소그렌-라르손 증후군(Sjogren-Larsson syndrome), 골격계 이형성증(Skeletal dysplasia), 골격근<br />

질환(Skeletal muscle disease), 피부 교원병(Skin collagen disease), 피부 혈관 질환(Skin vascular<br />

disease), 수면장애(Sleep disorder), 수면 시크니스(Sleeping seekness), 슬라이병(Sly disease), 소장선암종<br />

- 55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Small bowel adenocarcinoma), 소장 평활근육종(Small bowel leiomyosarcoma), 소형 비분리 세포 림프종<br />

(Small non-cleaved cell lymphoma), 스미스 마틴 도드 증후군(Smith martin dodd syndrome), 스미스-파인맨-<br />

마이어스 증후군(Smith-Fineman-Myers syndrome),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Smith-Lemli-Opitz syndrome),<br />

스미스-마게니스 증후군(Smith-Magenis syndrome), 스네돈 증후군(Sneddon syndrome), 스네돈-윌킨슨병<br />

(Sneddon-Wilkinson disease), 스나이더-로빈슨 증후군(Snyder-Robinson syndrome), 연부조직 신경주막종(Soft<br />

tissue perineurioma), 연부 조직 육종(Soft tissue sarcomas), 소발 소퍼 증후군(Sohval soffer syndrome),<br />

고립성 형질세포종(Solitary plasmacytoma), 솔로몬 증후군(Solomon syndrome), 뇌하수체성장호르몬분비선종<br />

(Somatotroph adenoma), 좀머 히네스 증후군(Sommer hines syndrome), 좀머 라트분 배틀스 증후군(Sommer<br />

rathbun battles syndrome), 좀머-영-위-프라이에 증후군(Sommer-Young-Wee-Frye syndrome), 존트하이머 증후<br />

군(Sondheimer syndrome), 소노다 증후군(Sonoda syndrome), 솔스비 증후군(Sorsby syndrome), 솔스비 안저 이<br />

영양증(Sorsby's fundus dystrophy), 소토스 증후군(Sotos syndrome), 연축성 대마비(Spastic paraplegia), 스<br />

펠라시 깁스 와츠 증후군(Spellacy gibbs watts syndrome), 구상수정체증-브라키모피아(Spherophakia-<br />

brachymorphia), 스핑고리피드증(Sphingolipidosis), 이분척추증(Spina bifida), 척수성 위축증(Spinal<br />

atrophy), 나선균증(Spirillosis), 비장변연부 림프종(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척추관절증<br />

(Spondylarthropathy), 척추성 굴지 증후군(Spondylo camptodactyly syndrome), 척추갈비뼈발생이상<br />

(Spondylocostal dysostosis), 척추뼈내연골형성이상 (Spondyloenchondrodysplasia), 척추사지골단형성이상<br />

(Spondyloepiphyseal dysplasia), 중추신경계의 스펀지 퇴행(Spongy degeneration of central nervous<br />

system), 스펀지 심근(Spongy myocardium), 가족성 자발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familial type), 스포<br />

로트리쿰증(Sporotrichosis), 두경부 편평상피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of head and neck), 세인트루이스<br />

뇌염(St Louis encephalitis), 스토커 치타야트 증후군(Stalker chitayat syndrome), 슈탐페 소렌슨 증후군<br />

(Stampe sorensen syndrome), 스타페도-전정 굳음증(Stapedo-vestibular ankylosis), 포도상구균성 괴사성 폐<br />

렴(Staphylococcal necrotizing pneumonia), 포도상구균성홍열(Staphylococcal scarlet fever), 포도상구균성<br />

독소성 쇼크 증후군(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슈타가르트병(Stargardt disease), 스타크-카에저<br />

증후군(Stark-Kaeser syndrome), 놀람병(Startle disease), 피지낭종(Steatocystoma), 스틸-리차드슨-올스제브<br />

스키병(Steele-Richardson-Olszewski disease), 슈타인-레벤탈 증후군(Stein-Leventhal syndrome), 슈타이네르<br />

트 근긴장성 이영양증(Steinert myotonic dystrophy), 슈타인펠트 증후군(Steinfeld syndrome), 스턴-루빈스키<br />

-듀리 증후군(Stern-Lubinsky-Durrie syndrome),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스티클러<br />

증후군(Stickler syndrome), 근강직 증후군(Stiff person syndrome), 스틸병(Still disease), 스티믈러 증후군<br />

(Stimmler syndrome), 스토엘링가 데 쿠멘 다비스 증후군(Stoelinga de koomen davis syndrome), 스톨 알렘빅<br />

핀크 증후군(Stoll alembik finck syndrome), 스톨 게라우델 차우빈 증후군(Stoll geraudel chauvin<br />

syndrome), 스톨 키에니 도트 증후군(Stoll kieny dott syndrome), 스톨-레비-프랑크포르트 증후군(Stoll-<br />

Levy-Francfort syndrome), 위암(Stomach cancer), 스토모르켄-샤스타드-랑스렛 증후군(Stormorken-Sjaastad-<br />

Langslet syndrome), 스트라톤 가르시아 영 증후군(Stratton garcia young syndrome), 스트라톤 파커 증후군<br />

(Stratton parker syndrome), 연쇄간균증(Streptobacillosis), 연쇄상구균성 독소성-쇼크 증후군<br />

(Streptococcal toxic-shock syndrome), 스트레스 심근병증(Stress cardiomyopathie), 스트럼펠-로레인병<br />

(Strumpell-Lorrain disease), 스터지-웨버 증후군(Sturge-Weber syndrome), 스튜브-비더만 이형성증(Stuve-<br />

Wiedemann dysplasia), 피하 지방층염-유사 T-세포 림프종(Subcutaneous panniculitis-like T-cell lymphoma),<br />

폐동맥판하 협착(Subpulmonary stenosis), 빨기/삼키기 장애(Sucking/swallowing disorder), 영아 돌연사 증후<br />

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슈거만 증후군(Sugarman syndrome), 수잔스키-레오나드 증후군(Sujansky-<br />

Leonard syndrome), 설포시스테인뇨증(Sulfocysteinuria), 섬머스킬-월쉬-티그스트럽 증후군(Summerskill-<br />

Walshe-Tygstrup syndrome), 서밋 증후군(Summitt syndrome), 대동맥판상부협착증(Supravalvar aortic<br />

stenosis), 수삭 증후군(Susac syndrome), 서튼병 II(Sutton disease II), 스윗 증후군(Sweet syndrome), 스와<br />

이어 증후군(Swyer syndrome), 결합지증(Symphalangism), 실신발작성 빈맥(Syncopal paroxysmal tachycardia),<br />

실신 빈맥성 부정맥(Syncopal tachyarythmia), 증후군성 설사(Syndromatic diarrhea), 윤활육종<br />

(Synovialosarcoma), 윤활막염(Synovitis), 신스폰딜리즘(Synspondylism), 신텔렌세팔리(Syntelencephaly), 유<br />

두상 한선종(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 척수공동증(Syringomyelia), 전신성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br />

(Systemic capillary leak syndrome),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전신성 비만세포<br />

증(Systemic mastocytosis), 전신성 경피증(전신성 경화증)(Systemic scleroderma(systemic sclerosis)), 전신<br />

성 혈관염(Systemic vasculitis), T 세포 면역결핍(T cell immunodeficiency), T-세포 백혈병(T-cell<br />

leukaemia), T-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T-cell chronic lymphocytic leukaemia), TAC, TAR 증후군(TAR<br />

syndrome), TCP, TDO 증후군(TDO syndrome), TEMF, TGA, TINU 증후군(TINU syndrome), TNF 수용체 1 관련 주기<br />

- 56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성 증후군(TNF receptor 1 associated periodic syndrome), TOS, TRAPS 증후군(TRAPS syndrome), TTP, TTR 아<br />

밀로이드 심장병증(TTR amyloid cardiopathy), TTR 아밀로이드 신경병증(TTR amyloid neuropathy), 타바츠닉<br />

증후군(Tabatznik syndrome), 타카츠키 증후군(Takatsuki syndrome), 다카야수 동맥염(Takayasu arteritis),<br />

타코추보 심근증(Takotsubo cardiomyopathy), 탕시류 증후군(Tang hsi ryu syndrome), 탄지에르병(Tangier<br />

disease), 지발성 안면마비(Tardive dyskinesia), 족근관 증후군(Tarsal Tunnel syndrome), 타루이병(Tarui<br />

disease), 타우병증(Tauopathy), 타우시-빙 증후군(Taussig-Bing syndrome), 테이 증후군(Tay syndrome), 테이<br />

-삭스병(Tay-Sachs disease), 테이비 증후군(Taybi syndrome), 테이비- 린더 증후군(Taybi-Linder syndrome),<br />

티비 알 살레 하순 증후군(Teebi al saleh hassoon syndrome), 티비 카우라 증후군(Teebi kaurah syndrome),<br />

티비 나지브 알라와디 증후군(Teebi naguib alawadi syndrome), 티비 쉘타우트 증후군(Teebi shaltout<br />

syndrome), 모세혈관확장증(Telangiectasia), 안각격리증(Telecanthus), 텔퍼 슈거 재거 증후군(Telfer sugar<br />

jaeger syndrome), 템타미-샬라쉬 증후군(Temtamy-Shalash syndrome), 테르 하르 증후군(Ter Haar syndrome),<br />

기형종(Teratoma), 사지절단증(Tetraamelia), 팔로 사징후(Tetralogy of Fallot), 태커 도나이 증후군(Thakker<br />

donnai syndrome), 지중해빈혈 증후군(Thalassaemia syndrome), 치사성 이형성증(Thanatophoric dysplasia),<br />

테오도르 증후군(Theodore's syndrome), 티일 증후군(Thiele syndrome), 티만병(Thiemann disease), 티스-리스<br />

증후군(Thies-Reis syndrome), 토마스 제웨트 레인스 증후군(Thomas jewett raines syndrome), 토마스 증후군<br />

(Thomas syndrome), 톰프슨 바레이쳐 증후군(Thompson baraitser syndrome), 톰슨 및 베커병(Thomsen and<br />

Becker disease), 통 더글라스 페란테 증후군(Thong douglas ferrante syndrome), 흉부 대동맥류(Thoracic<br />

aortic aneurysm) 및/ 또는 박리(dissection), 흉곽출구 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쓰리 M병(Three M<br />

disease), 폐쇄혈전혈관염(Thromboangiitis obliterans),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aenia), 혈소판 감소성<br />

자반증 자가면역(Thrombocytopenic purpura autoimmune),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특발성(Thrombocytopenic<br />

purpura idiopathic), 혈소판 증가증(hrombocytosis), 혈전색전성 폐고혈압(Thromboembolic pulmonary<br />

hypertension), 혈액 기원(haematologic origin)의 혈전성 질환(Thrombotic disease), 흉선 무형성증(Thymic<br />

aplasia), 흉선암종(Thymic carcinoma), 갑상선 종양(thyroid tumor), 진드기 매개 뇌염(Tick-borne<br />

encephalitis), 티쩨 증후군(Tietze syndrome), 티모시 증후군(Timothy syndrome), 톨너 호르스트 맨즈케 증후<br />

군(Tollner horst manzke syndrome), 톨로사-헌트 증후군(Tolosa-Hunt syndrome), 순대양 신경병증(Tomaculous<br />

neuropathy), 톰 부룬 파듀 증후군(Tome brune fardeau syndrome), 토니-디브리-판코니병(Toni-Debre-Fanconi<br />

disease), 토노키-오우라-니이카와 증후군(Tonoki-Ohura-Niikawa syndrome), 토치 증후군(TORCH syndrome), 토<br />

리엘로 증후군(Toriello syndrome), 토리엘로-카레이 증후군(Toriello-Carey syndrome), 토리엘로-히긴스-밀러<br />

증후군(Toriello-Higgins-Miller syndrome), 토리엘로-라카시-드로스트 증후군(Toriello-Lacassie-Droste<br />

syndrome), 토레스 아이버 증후군(Torres ayber syndrome), 뚜렛 증후군(Tourette syndrome), 타운스-브록스<br />

증후군(Townes-Brocks syndrome), 개회충증(Toxocariasis), 톡소플라스마성 배아병증(Toxoplasma<br />

embryopathy), 톡소플라스마증(Toxoplasmosis), 기관 골형성증(Tracheopathia osteoplastica), 트란브제르그-<br />

스베즈카르드 증후군(Tranebjaerg-Svejgaard syndrome), 전염성 해면상 뇌증(Transmissible spongiform<br />

encephalopathies), 폐동맥 협착증(pulmonary stenosis)을 동반하는 대혈관 전위(Transposition of the great<br />

arteries), 트란스티레틴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Transthyretin amyloid polyneuropathy), 트리처-콜린스 증<br />

후군(Treacher-Collins syndrome), 삽관(intubation) 및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ilation)를 요하는 흡인<br />

성 폐렴(aspiration pneumotitis),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트레프트-샌봄-카레이 증후군(Treft-<br />

Sanbom-Carey syndrome), 참호열(Trench fever), 트레버병(Trevor disease), 삼중방심(Triatrial heart), 선모<br />

충증(Trichinosis), 모발 손발톱 형성이상(Tricho onychic dysplasia), 모발-치아-골 증후군(Tricho-dento-<br />

osseous syndrome), 모발-간-장 증후군(Tricho-hepato-enteric syndrome), 모발 비지절<br />

(Trichorhinophalangeal), 결절열모증 증후군(Trichorrhexis nodosa syndrome), 모발 유황 이영양증<br />

(Trichothiodystrophy), 삼첨판 폐쇄(Tricuspid atresia), 트리오피아(Triopia), 삼중 A 증후군(Triple A<br />

syndrome), 삼중 H 증후군(Triple H (HHH) syndrome), 삼중 X 증후군(Triplo-X syndrome), 삼염색체증<br />

(Trisomy), 청색맹(Tritanopia), 활차 형성이상(Trochlear dysplasia), 열대 석회화 만성 췌장염(Tropical<br />

calcific chronic pancreatitis), 열대 심근내막 섬유증(Tropical endomyocardial fibrosis), 트루에브 부르그<br />

보타니 증후군(Trueb burg bottani syndrome), 차오-엘링슨 증후군(Tsao-Ellingson syndrome), 쯔카하라-카지<br />

이 증후군(Tsukahara-Kajii syndrome), 쯔쿠하라 증후군(Tsukuhara syndrome), 쯔쯔가무시병(Tsutsugamushi<br />

disease), 쯔쯔가무시열(Tsutsugamushi fever), 결핵(Tuberculosis), 결절성 경화증(Tuberous sclerosis), 세<br />

관형 식도 중복증(Tubular duplication of the oesophagus), 세관 형성이상(Tubular dysplasia), 세관성 신질<br />

환-심근증(Tubular renal disease - cardiomyopathy), 세뇨관 간질성 신염(Tubulointerstitial nephritis) 및<br />

포도막염(uveitis) 증후군, 터커 증후군(Tucker syndrome), 투플리-락소바 증후군(Tuffli-Laxova syndrome),<br />

- 57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야생토끼병(Tularaemia), 모래벼룩증(Tungiasis), 턴글란드-벨만 증후군(Tungland-Bellman syndrome), 터널 대<br />

동막판 하부협착증(Tunnel subaortic stenosis), 터코트 증후군(Turcot syndrome), 터너 증후군(Turner<br />

syndrome), 터너-카이저 증후군(Turner-Kieser syndrome),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Twin.twin transfusion<br />

syndrome), 피부경결(Tylosis), ULD, UPDM, UPDP, USH, UhI 이상(anomaly), 울브라이트 호드즈 증후군<br />

(Ulbright hodes syndrom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흉터홍반 오프리오제네시스(Ulerythema<br />

ophryogenesis), 울리크 증후군(Ulick syndrome), 울리히병(Ullrich disease), 제대 궤양(Umbilical cord<br />

ulceration), 공통심실 심근증(Univentricular cardiopathy), 운베리히트-룬드보그병(Unverricht-Lundborg<br />

disease), 우핑톤병(Upington disease), 업샤우-슐만 증후군(Upshaw-Schulman syndrome), 우어바흐-위데병<br />

(Urbach-Wiethe disease), 우어반-로저스-메이어 증후군(Urban-Rogers-Meyer syndrome), 우어반-쇼서-스폰 증<br />

후군(Urban-Schosser-Spohn syndrome), 요독 소양증(Uremic pruritus), 유렛-자발리아 증후군(Urrets-Zavalia<br />

syndrome), 아셔 증후군(Usher syndrome), 통상성 간질성 폐렴(UIP: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포도막염<br />

(Uveitis), VIP종(VIPoma), VMCM, VODI 증후군(VODI syndrome), VSD, VWS, 바그너 트리올레 리페르트 증후군<br />

(Vagneur triolle ripert syndrome), 반 알렌-마이어 증후군(Van Allen- Myhre syndrome), 반 벤템-드리에센-<br />

한벨드 증후군(Van Benthem-Driessen-Hanveld syndrome), 반 보가르트병(Van Bogaert disease), 반 데르 와우<br />

데 증후군(Van Der Woude syndrome), 반 비에르빌레 헨드릭스 반 에르트브루겐 증후군(Van biervliet<br />

hendrickx van ertbruggen syndrome), 반 데 베르게-데퀘커 증후군(Van de berghe-Dequeker syndrome), 반 덴<br />

보쉬 증후군(Van den Bosch syndrome), 반 덴 엔데 브루너 증후군(Van den ende brunner syndrome), 반 데르<br />

크냅 증후군(Van der Knapp syndrome), 반 고뎀 증후군(Van goethem syndrome), 반 말데르겜 베츠부르거 베를<br />

로즈 증후군(Van maldergem wetzburger verloes syndrome), 반 레게모르터 피에르퀸 바모스 증후군(Van<br />

regemorter pierquin vamos syndrome), 바라디-파프 증후군(Varadi-Papp syndrome), 혈관성 백질뇌증(Vascular<br />

leukoencephalopathy), 혈관염(Vasculitis), 바스쿠에즈-허스트-소토스 증후군(Vasquez-Hurst-Sotos<br />

syndrome), 바스테르보텐 이영양증(Vasterbotten dystrophy), 갈렌 정맥류(Vein of Galen aneurysm), 베넨시<br />

포웰 윈클만 증후군(Venencie powell winkelmann syndrome),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대동<br />

맥 판막 부족(aortic insufficiency)을 동반하는 심실중격결손, 베를로스-길레롯-프라인스 증후군(Verloes -<br />

Gillerot - Fryns syndrome), 베를로스 부르귀논 증후군(Verloes bourguignon syndrome), 베를로스 다비드 증<br />

후군(Verloes david syndrome), 베를로스 반 말데르겜 마메프 증후군(Verloes van maldergem mameffe<br />

syndrome), 베를로스-데프레즈 증후군(Verloes-Deprez syndrome), 베를루브 반호리크 브루박 증후군(Verloove<br />

vanhorick brubakk syndrome), 베르누이병(Verneuil disease), 빌조엔 윈쉽 증후군(Viljoen winship<br />

syndrome), 빌조엔-칼리스-보게 증후군(Viljoen-Kallis-Voges syndrome), 빌조엔-스마트 증후군(Viljoen-Smart<br />

syndrome), 바이러스성 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바이러스성 혈<br />

관염(Viral vasculitis), 내장 신경병증(Visceral neuropathy), 백반증(Vitiligo), 유리체망막 변성<br />

(Vitreoretinal degeneration), 보그트-코야나기-하라다병(Vogt-Koyanagi-Harada disease), 포빙켈 증후군<br />

(Vohwinkel syndrome), 폴케-소카르만 증후군(Volcke-Soekarman syndrome), 폰 기르케병(Von Gierke disease),<br />

폰 힙펠-린도우병(Von Hippel-Lindau disease), 폰 레클링하우젠병(Von Recklinghausen disease), 폰 보스-체<br />

르스트보이 증후군(Von Voss-Cherstvoy syndrome), 폰 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 disease), 폰 힙펠 이상<br />

(Von hippel anomaly), Vsr 증후군(Vsr syndrome), 부오팔라병(Vuopala disease), W 증후군(W syndrome), WAGR<br />

증후군(WAGR syndrome), WARBM1 , WHIM 증후군(WHIM syndrome), WL 증후군(WL syndrome), WT 사지-혈액 증후군<br />

(WT limb-blood syndrome), 왈러-아르스코그 증후군(Waaler-Aarskog syndrome), 바르덴부르그 증후군<br />

(Waardenburg syndrome), 바르덴부르그-샤흐 증후군(Waardenburg-Shah syndrome), 바그너병(Wagner disease),<br />

와이즈만 증후군(Waisman syndrome), 왈덴스트룀 마크로글로불린혈증(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발트만<br />

병(Waldmann disease), 워커-다이슨 증후군(Walker-Dyson syndrome), 워커-워버그 증후군(Walker-Warburg<br />

syndrome), 월리스 크레민 베이턴 증후군(Wallis cremin beighton syndrome), 월리스 자이프 골드블라트 증후<br />

군(Wallis zieff goldblatt syndrome), 바르부르그 마이크로 증후군(Warburg Micro syndrome), 바르부르그 톰<br />

슨 증후군(Warburg thomsen syndrome), 바르부르톤-애니안-예보 증후군(Warburton-Anyane-Yeboa syndrome), 워<br />

만-멀리켄-헤이워드 증후군(Warman-Mulliken-Hayward syndrome), 워터-웨스트 증후군(Water-West syndrome),<br />

워터하우스-프리드릭슨 증후군(Waterhouse-Friedrickson syndrome), 왓슨 증후군(Watson syndrome), 위버 유사<br />

증후군(Weaver like syndrome), 위버 증후군(Weaver syndrome), 위버-윌리암스 증후군(Weaver- Williams<br />

syndrome), 웨버-크리스찬병(WCD: Weber-Christian disease), 웨버-크리스찬 지방층염(Weber-Christian<br />

panniculitis), 웹스터 데밍 증후군(Webster deming syndrome), 베게너 육아종(Wegener granulomatosis), 웨일<br />

증후군(Weil syndrome), 웨일-마르체사니 증후군(Weill-Marchesani syndrome), 와이즈만 네터 스툴 증후군<br />

(Weismann Netter Stuhl syndrome), 바이센바처-즈베이뮬러 증후군(Weissenbacher-Zweymuller syndrome), 웰레<br />

- 58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스레이-카르만-프렌치 증후군(Wellesley-Carman-French syndrome), 웰스 증후군(Wells syndrome), 웰스-얀코빅<br />

증후군(Wells-Jankovic syndrome), 베르드니그-호프만병(Werdnig-Hoffmann disease), 베르머 증후군(Wermer<br />

syndrome), 베르너 증후군(Werner syndrome), 베르니케 뇌병증(Wernicke's encephalopathy), 베르니케-코르사<br />

코프 증후군(Wernicke-Korsakoff syndrome), 웨스트 증후군(West syndrome), 서부 나일강 뇌염(West-Nile<br />

encephalitis), 웨스터호프-비머-코르만 증후군(Westerhof-Beemer-Cormane syndrome), 서부 말 뇌척수염<br />

(Western equine encephalomyelitis), 웨스트팔병(Westphall disease), 휠란 증후군(Whelan syndrome), 휘플병<br />

(Whipple disease), 휘파람 증후군(Whistling face syndrome), 백일해(Whooping cough), 화이트-머피 증후군<br />

(Whyte-Murphy syndrome), 비아커-볼프 증후군(Wieacker-Wolff syndrome), 비데만 그로세 디베른 증후군<br />

(Wiedemann grosse dibbern syndrome), 비데만 올딕스 오페르만 증후군(Wiedemann oldigs oppermann<br />

syndrome), 비데만-베크위드 증후군(Wiedemann-Beckwith syndrome), 비데만-라우텐스트라우흐 증후군<br />

(Wiedemann-Rautenstrauch syndrome), 빌데르반크 증후군(Wildervanck syndrome), 윌크스 스티븐슨 증후군<br />

(Wilkes Stevenson syndrome), 윌키-테일러-스캠블러 증후군(Wilkie-Taylor-Scambler syndrome), 빌레브란트병<br />

(Willebrand disease), 윌리-프라더 증후군(Willi-Prader syndrome), 윌리암스 증후군(Williams syndrome), 윌<br />

리암스-뷰렌 증후군(Williams-Beuren syndrome), 윌름즈 종양(Wilms tumor), 윌슨병(Wilson disease), 윌슨-터<br />

너 증후군(Wilson-Turner syndrome), 윈체스터병(Winchester disease), 윙클만 베취 파이퍼 증후군(Winkelman<br />

bethge pfeiffer syndrome), 윙클만 식세포성 지방층염(Winkelmann's cytophagic panniculitis), 윈쉽 빌조엔<br />

리어리 증후군(Winship viljoen leary syndrome), 윈터 하딩 하이드 증후군(Winter harding hyde syndrome),<br />

윈터-쇼트랜드-템플 증후군(Winter-Shortland-Temple syndrome), 위스코트-알드리치 증후군(Wiskott-Aldrich<br />

syndrome), 위슬러-판코니 증후군(Wissler-Fanconi syndrome), 위트코프 증후군(Witkop syndrome), 위트워 증<br />

후군(Wittwer syndrome), 월코트-랄리슨 증후군(Wolcott-Rallison syndrome), 울프-히르시호른 증후군(Wolf-<br />

Hirschhorn syndrome), 볼프 짐머만 증후군(Wolff zimmermann syndrome), 볼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Wolff-<br />

Parkinson-White syndrome), 볼프람 증후군(Wolfram syndrome), 월만 병(Wolman disease), 우드하우스 사카티<br />

증후군(Woodhouse sakati syndrome), 우즈 블랙 노버리 증후군(Woods black norbury syndrome), 우즈 레베샤<br />

로저스 증후군(Woods leversha rogers syndrome), 우즈-크라우치만-허슨 증후군(Woods-Crouchman-Huson<br />

syndrome), 워스터 드라우트 증후군(Worster drought syndrome), 워스 증후군(Worth syndrome), 피부주름 증후<br />

군(Wrinkly skin syndrome), 와이번-메이슨 증후군(Wyburn-Mason syndrome), XHIGM, XLAG 증후군, XMEA, XP,<br />

잔틱 요석증(Xanthic urolithiasis), 잔틴뇨증(Xanthinuria), 황색육아종성 뇌하수체염(Xanthogranulomatous<br />

hypophysitis), 대뇌건 황색종증(Xanthomatosis cerebrotendinous), 제로사이토시스(Xerocytosis), 색소성 건<br />

피증(Xeroderma pigmentosum), 황열병(Yellow fever), 황색 손발톱 증후군(Yellow nail syndrome), 예르시니아<br />

증(Yersiniosis), 요리후지-오쿠노 증후군(Yorifuji-Okuno syndrome), 요시무라-다케시다 증후군(Yoshimura-<br />

takeshita syndrom), 영 메이더스 증후군(Young maders syndrome), 영 증후군(Young syndrome), 영-위그 증후<br />

군(Young-Hugues syndrome), 영-심슨 증후군(Young-Simpson syndrome), 유니스-바론 증후군(Yunis-Varon<br />

syndrome), ZASP-관련 근섬유 근병증(ZASP-related myofibrillar myopathy), 자딕-바락-레빈 증후군(Zadik-<br />

Barak-Levin syndrome), 젤위거 증후군(Zellweger syndrome), 젤위거-유사 증후군(Zellweger-like syndrome),<br />

짐머 단지증(Zimmer phocomelia), 짐머만 라반트 증후군(Zimmerman laband syndrome), 진세르-콜-엥만 증후군<br />

(Zinsser-Cole-Engman syndrome), 즐로토고라-오거 증후군(Zlotogora-Ogur syndrome), 즐로토구라-마르티네즈<br />

증후군(Zlotogura-Martinez syndrome), 졸링거-엘리슨 증후군(Zollinger-Ellison syndrome), 조리 스태커 윌리<br />

암스 증후군(Zori stalker Williams syndrome), 주니히-케이 증후군(Zunich-Kaye syndrome), 접합균증<br />

(Zygomycosis), 2,8 디하이드록시-아데닌 요석증(2,8 dihydroxy-adenine urolithiasis), 2-아미노아디프산성<br />

산뇨증(2-aminoadipic aciduria), 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성 산뇨증(2-hydroxyglutaricaciduria), 2-메틸부티<br />

르산성 산뇨증(2-methylbutyric aciduria), 3 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성 산뇨증(3 hydroxyisobutyric<br />

aciduria),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르산성 산뇨증(3-hydroxy-3-methylglutaric aciduria), 3-메틸크로토닌<br />

성 글리신뇨증(3-methylcrotonylglycinuria), 3-메틸글루타콘산성 산뇨증(3-methylglutaconic aciduria), 3C<br />

증후군(3C syndrome), 3M 증후군(3M syndrome),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성 산뇨증(4-hydroxybutyricaciduria),<br />

내장 리슈마니아증(Visceral leishmaniasis), 춘계 각막결막염(Vernal keratoconjunctivitis), UV-A 및 가시광<br />

선-유도성 감광성 장애(UV-A and visible light-induced photosensitivity disorders)(만성 광선 피부염<br />

(chronic actinic dermatitis), 피부 포르피린증(cutaneous porphyrias), 광선 양진(actinic prurigo) 및 일광<br />

두드러기(solar urticaria)), 요독 소양증(Uremic pruritus), 삼환계 항우울제 중독(Tricyclic<br />

antidepressants poisoning), 외상성 척수 손상(Traumatic spinal cord injury), 신세포암종(Renal cell<br />

carcinoma), 표재성 방광암(Superficial bladder cancer), 황색포도상구균 균혈증(Staphylococcus aureus<br />

bacteraemia),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이분척추(Spina bifida), 연부 조직 육종(Soft tissue<br />

- 59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sarcoma),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겸상적혈구병(Sickle cell disease), 유아기의 중증 간대성<br />

근경련간질(Severe myoclonic epilepsy in infancy), 중증 복합면역결핍증(SCID: Severe combined<br />

immunodeficiency), 중증 폐쇄 외상성 뇌손상(Severe closed traumatic brain injury), 미숙아 망막병증<br />

(Retinopathy of prematurity), 색소성 망막염(Retinitis pigmentosa), 임신주수 32 주 미만 미숙아의 호흡곤<br />

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간 이식 수용자(liver transplant recipients)의 재발 C형 간염<br />

유도성 간 질환(Recurrent hepatitis C virus induced liver disease), 방사선 직장염(Radiation proctitis),<br />

낭성 섬유증에서의 녹농균 폐 감염(Pseudomonas aeruginosa lung infection), 진행성 간대성 근경련 간질<br />

(Progressive myoclonic epilepsies), 원발성 악성 골종양(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미숙 신생아<br />

(premature newborns)의 원발성 무호흡(Primary apnoea), 이식후 림프세포증식 장애(Post-transplant<br />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후기신생아 뇌내출혈(Post-neonatal intracerebral haemorrhage), 이식후 이<br />

식편 기능장애(Post transplantation graft dysfunction),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vera), 뇌종양으로<br />

부터 유래하는 종양주위 부종(Peritumoral oedema), 말초 T세포 림프종(Peripheral T-cell lymphoma)(결절성<br />

(nodal), 기타 림프절외(extranodal) 및 백혈병성(leukaemic)/파종성(disseminated)), 임신주수 34 주 미만 미<br />

숙아의 동맥관(Ductus arteriosus), 부분적 2도(Partial deep dermal) 및 3도 화상(full thickness burns), 발<br />

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췌장암(Pancreatic cancer), 통증 HIV-연계성<br />

신경병증(Painful HIV-associated neuropathy), 난소암(Ovarian cancer), 골육종(Osteosarcoma), 순수 자율신<br />

경계 부전(pure autonomic failure)을 가진 환자의 기립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다계통 위축증<br />

(multiple system atrophy)을 가진 환자의 기립저혈압, 오르니틴-트란스카바밀라제 결핍증(Ornithine-<br />

transcarbamylase deficiency), 방사선 요법(radiation therapy)을 받는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환자<br />

의 구강 점막염(Oral mucositis), 식도암(Oesophageal cancer), 비-외상성 뼈괴사(Non-traumatic<br />

osteonecrosis), 비-케톤성 고글라이신혈증(Non-ketotic hyperglycinaemia), 눈의 후안부(posterior segment)<br />

를 침범하는 비-감염성 포도막염(Non-infectious uveitis), 광각(light perception)이 없는 맹인의 비-24-시간<br />

수면-각성 장애(Non-24-hour sleep-wake disorders),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신생혈관 녹내장<br />

(Neovascular glaucoma), 신염 증후군(Nephritic syndrome), 골수형성이상 증후군(Myelodysplastic<br />

syndromes),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중등도(Moderate) 및 중증(severe) 외상성 뇌손상(traumatic<br />

brain injury), 이염성 백질이영양증(Metachromatic leukodystrophy), 갑상선 수질암종(Medullary thyroid<br />

carcinoma), 비만세포증(Mastocytosis), 외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악성 흑색종(Malignant<br />

melanoma), 악성 위장관 간질 종양(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외분비성 췌장 효소 기능부<br />

전(exocrine pancreatic enzyme insufficiency)에 기인하는 흡수장애(Malabsorption), 저혈류성 지속발기증<br />

(Low flow priapism), 지단백 리파제 결핍증(Lipoprotein lipase deficiency), 목질 결막염(Ligneous<br />

conjunctivitis), 레버 선천성 시신경병증(Leber's hereditary optic neuropathy), 레버 선천흑암시(Leber's<br />

congenital amaurosis), 임신주수 32주 이하 미숙아의 후기발병 패혈증(Late onset sepsis), 소아 골수단핵구<br />

성 백혈병(Juvenile myelomonocytic leukaemia), 일본 뇌염(Japanese encephalitis) , 창자 이식편대숙주병<br />

(Intestinal graft-versus-host disease), 무통성 비호지킨 림프종(Indolent non-Hodgkin's lymphoma), 일차성<br />

담즙산 합성(primary bile acid synthesis)의 선천이상(Inborn errors), 고페닐알라닌혈증<br />

(Hyperphenylalaninemia), 고호산구 증후군(Hypereosinophilic syndrome), 신경아교종(Glioma), 바렛 식도<br />

(Barrett's oesophagus)의 고도 형성이상(High-grade dysplasia), 단순포진 바이러스 간질 각막염(Herpes<br />

simplex virus stromal keratitis), 유전성 인자 XIII 결핍증(Hereditary factor XIII deficiency), 간세포 암<br />

종(Hepatocellular carcinoma), 간 이식 후에 이어지는 B형 간염 재감염(reinfection), 간 정맥폐색성 질환<br />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낭성 섬유증에서의 그람 음성 박테리아 폐 감염(Gram negative bacterial<br />

lung infection), 위암(Gastric cancer), 감마 사르코클리칸병증(Gamma sarcoglycanopathy), 소포 림프종<br />

(Follicular lymphoma), 가족성 대장폴립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선천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br />

(congenital alpha-1 antitrypsin deficiency)에 속발된 폐기종(Emphysema), 뒤시엔느 근이영양증(Duchenne<br />

muscular dystrophy),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미만성 폐포출혈(Diffuse<br />

alveolar haemorrhage), 창자 미포자충 감염(intestinal microsporidial infection)에 연계된 설사<br />

(Diarrhoea), 피부 T 세포 림프종(Cutaneous T-cell lymphoma), 홍반성 루푸스(lupus erythematosus)의 피부<br />

형태(Cutaneous forms), 이소성 ACTH 분비(ectopic ACTH secretion)에 속발된 쿠싱 증후군(Cushing's<br />

syndrome), 각막이식편 거부(Corneal graft rejection), 선천 정맥 기형(Congenital venous malformations),<br />

선천 림프관 기형(Congenital lymphatic malformations), 선천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선천 부신 과형성<br />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만성 통증(chronic pain), 코카인 중독(Cocaine poisoning), 만성 골수성<br />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aemia),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aemia), 킬레이트 요법<br />

- 60 -


[0252]<br />

[0253]<br />

[0254]<br />

(chelation therapy)을 요하는 만성 철 과부하(Chronic iron overload), 만성 특발성 골수섬유증(Chronic<br />

idiopathic myelofibrosis), 만성 호산구성 백혈병(Chronic eosinophilic leukaemia) 및 과호산구 증후군<br />

(hypereosinophilic syndrome), 담관암종(Cholangiocarcinoma), 샤르코-마리-투스병 유형 1A(Charcot-Marie-<br />

Tooth disease type 1A),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임신주수 30 주 미만 미숙아의 기관지폐 형성이상<br />

(Bronchopulmonary dysplasia), B-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B-ce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자가면<br />

역 포도막염(Autoimmune uveitis), 보체계(complement system)의 선천 이상에 연계된 비정형 용혈성-요독성 증<br />

후군(aHUS: Atypical Haemolytic Uraemic Syndrome), 삽관 및 기계적 환기를 요하는 흡인성 폐렴(aspiration<br />

pneumonitis), 동맥류 지주막하 출혈(Aneurysmal subarachnoid haemorrhage), 역형성 갑상선암(Anaplastic<br />

thyroid cancer), 치루(Anal fistula), 급성 감각신경성 난청(acu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급성 음향<br />

성 외상(acute acoustic trauma), 돌발성 난청(sudden deafness) 및 수술 유도성 음향성 외상(surgery induced<br />

acoustic trauma)), 급성 말초혈관 폐색증(acute peripheral arterial occlusion),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br />

(acute intermittent porphyria), 페이로니병(Peyronie's disease)의 활성기(Active phase), 가시아메바 각막<br />

염(Acanthamoeba keratitis), A-만노스 축적증(A-mannosidosis), 5q 척수성 근위축(5q spinal muscular<br />

atrophy), 대정맥폐동맥 연결(Cavopulmonary Anastomosis), 심방중격결손(ASD: Atrial Septal Defects), 부분<br />

적 폐정맥환류이상(Parti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존속 공동 심방심실관 심장내막융기결손<br />

(Persistent Common Atrio Ventricular Canal Endocardial Cushion Defect). 일차공개존증(Ostium Primum),<br />

단심방(Single Atrium), 동맥관개존증(PDA: Patent Ductus Arteriosus), 총폐정맥환류이상(Total Anomalous<br />

Pulmonary Venous Return), 심실중격결손(VSD: Ventricular Septal Defect), 폐동막판 협착증(Pulmonary Valve<br />

Stenosis), 폐동맥 협착(Pulmonary Artery Stenosis) 및 폐동맥 가지의 협착(Stenosis of Pulmonary Artery<br />

Branches), 온전한 심실중격을 가진 폐동맥판폐쇄증(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 선<br />

천 승모판 질환(Congenital Mitral Valve Disease), 대동맥판막 협착증(Aortic Valvular Stenosis) 및 선천 대<br />

동맥판막 역류(Congenital Aortic Valvular Regurgitation), 판상부대동맥협착증(Supravalvular Aortic<br />

Stenosis), 대혈관 전위(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Double Outlet Right<br />

Ventricle), 수정 대혈관 전위(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동맥간(Truncus<br />

Arteriosus), 대동맥폐동맥창(Aorto Pulmonary Window), 삼천판 폐쇄(Tricuspid Atresia), 에브스타인 기형<br />

(Ebstein Anomaly), 대정맥의 기형(Malformations of the Vena Cava), 대동맥의 축착(Coarctation of the<br />

Aorta), 대동맥판막의 폐쇄(Atresia of Aortic Valve), 대동맥궁의 이상(Anomalies of the Aortic Arch), 대동<br />

맥 축착을 동반하는 우측쇄골하동맥(Right Subclavian Artery)의 비정상 기원(Anomalous Origin), 특발성 폐동<br />

맥 확장증(Idiopathic Dilatation of the Pulmonary Artery), 우측 폐동맥으로부터 발생하는 좌측 폐동맥(Left<br />

Pulmonary Artery Arising from Right Pulmonary Artery), 우심증(Dextrocardia) - 전내장역위증(Situs<br />

Inversus Totalis), 무비증(Asplenia)과 심장 기형(Heart Malformations)의 연계, 대정맥의 기형, 선천 관상동<br />

맥 동정맥루(Congenital Coronary Artery Arteriovenous Fistula), 관상동맥의 비정상 기원( Abnormal Origin<br />

of the Coronary Arteries), 발살바동(Sinus of Valsalva)의 동맥류(Aneurysm)(대동맥동 동맥류(Aortic Sinus<br />

Aneurysm)), 심장내막 탄력섬유증(Endocardial Fibroelastosis), 특발성 비후성 대동맥하 협착(IHSS:<br />

Idiopathic Hypertrophic Subaortic Stenosis), 승모판 탈출증(Mitral Valve Prolapse) - 발로우 증후군<br />

(Barlow's Syndrome), 좌심 발육부전(Hypoplastic Left Heart).<br />

약제학적 조성물<br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br />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br />

을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활성 성분으<br />

로서의 본 발명의 펩티드 및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글리덴트<br />

(glident), 희석제, 윤활제, 착색제, 감미제, 향미제, 방부제 등과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의 펩티드 또는 펩티<br />

드 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으로 적절한 용량 레벨로 통상적인 고체 또는<br />

액체 담체 또는 희석제 및 통상적인 약제학적으로 제조된 애주번트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두 펩<br />

티드는 배합물중에 20 중량%의 펩티드 1 대 80 중량%의 펩티드 2 내지는, 80 중량%의 펩티드 1 대 20 중량%의<br />

펩티드 2의 양으로 함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두 펩티드는 배합물중에 30 중량%의 펩티드 1 대 70 중량%의 펩<br />

티드 2 내지는, 70 중량%의 펩티드 1 대 30 중량%의 펩티드 2의 양으로 함유된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두 펩<br />

- 61 -


[0255]<br />

[0256]<br />

[0257]<br />

[0258]<br />

[0259]<br />

[0260]<br />

[0261]<br />

[0262]<br />

[0263]<br />

[0264]<br />

[0265]<br />

티드는 배합물중에 40 중량%의 펩티드 1 대 60 중량%의 펩티드 2 내지는, 60 중량%의 펩티드 1 대 40 중량%의<br />

펩티드 2로 함유된다.<br />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정맥내 투여에 적합하거나, 경구 투여에 적합하거나, 흡입 투여에<br />

적합하다.<br />

투여 형태로는 예를 들면, 환약, 정제, 필름 정제, 코팅 정제, 캡슐, 리포좀 제제, 마이크로 및 나노 제제, 분<br />

말 및 침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피부, 피내, 위내, 피부내 (intracutan), 혈관내, 정맥내,<br />

근육내, 복강내, 비강내, 질내, 구강내, 경피적 (percutan), 직장, 피하, 설하, 국소, 또는 경피 투여를 포함한<br />

비경구 투여용 약제학적 제제를 포함하며, 제제는 전형적인 비히클 및/또는 희석제 이외에도, 본 발명의 펩티드<br />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함유한다.<br />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제제 및/또는 영양 보조 식품으로서 신생아 (newborn), 유아 (toddler), 및 소아<br />

(infant)에게 펩티드 배합물을 경구 투여하기 위한 제제로서 포유동물 밀크, 인공 포유동물 밀크, 및 포유동물<br />

밀크 대용품을 포함한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또한 이의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br />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염은 산부가염 및 알칼리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br />

리튬, 마그네슘 또는 칼슘 염이 얻어질 수 있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유기산 및 무기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생성한다. 이러한<br />

산부가염 생성에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옥살산, 말론산,<br />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말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술폰산, 포스폰산, 과염소산, 질<br />

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하이드록시말레산, 피루브산, 페닐아세트산, 벤조산,<br />

p-아미노벤조산,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아질산, 하이드록시에탄술폰산, 에틸렌술폰산,<br />

p-톨루엔술폰산, 나프틸술폰산, 술파닐산, 캠퍼술폰산, 차이나 애시드 (china acid), 만델산, o-메틸만델산, 하<br />

이드로젠-벤젠술폰산, 피크르산, 아디프산, D-o-톨릴타르타르산, 타르트론산, α-톨루산, (o, m, p)-톨루산, 나<br />

프틸아민 술폰산, 및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른 광물산 또는 카복실산이 있다. 염은 통상적인<br />

방법으로 염을 생성하도록 유리 염기 형태를 충분한 양의 원하는 산과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된다.<br />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원하는 투여 형태에 대하여, 즉, 정제, 캡슐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br />

충전), 구성용 분말, 통상적인 약무와 일치하는 에어로졸 제제 형태의 경구 투여를 위해 선택된 적절한 담체 물<br />

질과 함께 투여될 것이다. 다른 적절한 제제로는 겔, 엘릭시르, 분산성 과립, 시럽, 현탁액, 크림, 로션,<br />

용액, 유제, 현탁액, 분산액 등이 있다. 적절한 서방성 제형으로는 활성 성분이 함침되고, 이러한 함침되거나<br />

캡슐화된 다공성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정제형 또는 캡슐로 성형된 방출 제어 폴리머 매트릭스 또는 붕괴<br />

속도를 변화시키는 층을 갖는 정제를 들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5 내지 95 중량%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br />

합물로 구성될 수 있고, 한편, 최대 100%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펩티드 배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br />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로서, 락토스, 전분, 수크로스, 셀룰로스, 스테아르산마<br />

그네슘, 제2인산칼슘, 황산칼슘, 탤크, 만니톨, 에틸 알콜 (액체 충전 캡슐)이 사용될 수 있다.<br />

적절한 결합제로는 전분, 젤라틴, 천연당, 콘 스위트너, 천연 및 합성 검, 예컨대 아카시아, 알긴산나트륨, 카<br />

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왁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제형에 사용되는 윤활제 중에서, 붕산,<br />

벤조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는 전분, 메틸셀룰로스, 구아검 등을 들<br />

수 있다. 감미제, 향미제 및 방부제도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용어의 일부, 즉, 붕괴제, 희석<br />

제, 윤활제, 결합제 등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다.<br />

게다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속도 제어된 방<br />

출을 행하도록 서방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절한 서방성 제형으로는 활성 성분이 함침되고, 이러한 함침<br />

되거나 캡슐화된 다공성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정제형 또는 캡슐로 성형된 방출 제어 폴리머 매트릭스 또<br />

는 붕괴 속도를 변화시키는 층을 포함하는 층상 정제를 들 수 있다.<br />

흡입용으로 적합한 에어로졸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불활성 압축 가스, 예를 들면 질소<br />

와 병용할 수 있는 용액 및 분말 형태의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좌제를 제조하기 위해, 처음에 저 융점 왁스, 예컨대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 예컨대 코코아 버터를 용<br />

융시키고, 활성 성분을 교반 또는 유사 혼합에 의해 그 중에 균질하게 분산시킨다. 그 다음에, 용융된 균일 혼<br />

- 62 -


[0266]<br />

[0267]<br />

[0268]<br />

[0269]<br />

[0270]<br />

[0271]<br />

[0272]<br />

[0273]<br />

[0274]<br />

[0275]<br />

[0276]<br />

[0277]<br />

합물을 편리한 사이즈의 몰드에 부어, 냉각함으로써 고화시킨다.<br />

사용 직전에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 액상 제제로 전환되도록 의도된 고형 제제도 포함된다. 이러한 액상으로<br />

는 용액, 현탁액 및 유제를 들 수 있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또한 경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경피 조성물은 크림, 로션, 에어로<br />

졸 및/또는 유제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적인 바와 같이, 매트릭스 또는 저<br />

장기 타입의 경피 패치에 포함될 수 있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의 경피 제제는 순환 혈액으로의 상기 펩티드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br />

것으로 여겨진다. 펩티드(들) 투여에 있어서의 한가지 문제점은 수성 환경에서의 불용성 물질의 생성, 또는 분<br />

해로 인한 생물 활성의 손실이다. 따라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할 시에, 이들의 유동성 및 이들의<br />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펩티드(들)의 안정화가 달성되어야 한다.<br />

의약용 활성제를 제공하는 이전의 노력은 약제를 폴리머 매트릭스에 혼입함으로써, 활성 성분을 체순환으로 방<br />

출시킨다는 것이다. 활성제의 공지된 서방성 전달 수단은 예를 들면,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화학물질을 점막으<br />

로 전달하기 위한 폴리머 약제학적 비히클에 관하여, US4235988, US4188373, US4100271, US4474751,<br />

US4474752, US4474753, 또는 US4478822에 개시되어 있다. 약제학적 담체는 특정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br />

로필렌 응축물의 수용액이다. 이러한 폴리머 약제학적 비히클은 점막에 의한 약물 흡수 및 지속성 약물 작용을<br />

2배 이상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대체물은 약물, 예컨대 인슐린의 안정화를 위해 사<br />

용되는 폴리옥시프로필렌과 폴리옥시에틸렌의 블록 코폴리머이다.<br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록사머) 수용액은 펩티드(들)의 안정화제로서 유용하다.<br />

펩티드(들)의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것 이외에도, 폴록사머는 펩티드(들)의 전달을 위한 우수한 비히클을 제공<br />

하고,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하다. 상표명 "플루로닉스 (Pluronics; 예를 들면, 플루로닉 (Pluronic) F<strong>12</strong>7, 플루<br />

로닉 P85, 플루로닉 F68)"로도 공지된 폴록사머는 공업 용도에서 이들을 유용하게 하는 계면활성제 특성을 갖고<br />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이들은 소수성 유성 물질의 수용성을 증가시키거나, 아니면 소수성이 상이한 2개의<br />

물질의 혼화성을 증가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들 폴리머는 통상 공업 용도, 화장품 및 의약품<br />

에 사용된다. 이들은 또한 약물 전달 용도를 위한 모델 시스템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생물학적으로 유도되는,<br />

플록사머를 기제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인시츄 (In situ) 겔화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br />

들면, US5256396), 이 공보에는 규정 농도의 폴록사머 407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br />

용어 "캡슐"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유하거나 함유하기 위한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알콜, 또는<br />

변성 젤라틴 또는 전분으로 된 특수 용기 또는 인클로저 (enclosure)를 말한다. 하드셸 캡슐은 통상적으로 비<br />

교적 높은 겔 강도를 갖는 골 (bone) 젤라틴과 돈피 젤라틴의 블렌드로 제조된다. 캡슐 자체는 소량의 염료,<br />

불투명화제 (opaquing agent), 가소제 및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br />

정제는 적절한 희석제와 함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압축되거나 성형된 고형 제형을 의미한다. 정제는 당해 기<br />

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습식 조립, 건식 조립 또는 압밀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 또는 과립의 압축에 의해<br />

제조될 수 있다.<br />

경구용 겔은 친수성 반고체 매트릭스에 분산되거나 가용화된 활성 성분을 말한다.<br />

구성용 분말은 물 또는 쥬스에 현탁될 수 있는 활성 성분 및 적절한 희석제를 함유하는 분말 블렌드를 말한다.<br />

이러한 신생아, 유아 및/또는 소아용 경구 투여 형태의 일례로는 임의로 부분적으로 락토스로 치환되는 분유 및<br />

유장 분말로 제조된 모유 대용품이 있다.<br />

모유는 영양소 및 비영양학적 생물 활성 성분이 풍부한 복합 유체이다. 신생아가 필요로 하는 모든 영양소를<br />

함유한다. 이들은 대사 성분 (지방, 단백질 및 탄수화물), 물, 및 조직 성장 및 발달을 위한 원료, 예컨대 지<br />

방산, 아미노산, 미네랄, 비타민, 및 미량 원소를 포함한다.<br />

지방의 98% 이상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올레산 및 팔미트산은 모유 트리글리세라이드에서 가<br />

장 풍부한 지방산이며, 비교적 고 비율의 필수 지방산 및 리놀렌산, 그 다음에 장쇄 다가 불포화 지방산, 예컨<br />

대 아라키돈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이 풍부하다. 이들 장쇄 지방산은 뇌 및 신경 조직의 성분이며, 정신 및 시각<br />

발달을 위해 약년기에 필요하다. 모유의 지질 성분은 지용성 미량영양소, 예컨대 프로스타글란딘, 및 비타민<br />

A, D, E 및 K의 수송 비히클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단백질은 모유 중의 질소 함유 화합물의 약 75%를 차지한다. 비단백질 질소 물질은 요소, 뉴클레오티드, 펩티<br />

- 63 -


[0278]<br />

[0279]<br />

[0280]<br />

[0281]<br />

드, 유리 아미노산, 및 DNA를 포함한다. 모유의 단백질은 2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약 40:60의 비율<br />

로 존재하는 미셀라 카제인 및 수성 유장 단백질. 카제인은 비교적 작은 용적의 미셀을 형성하며, 소아의 위에<br />

유모성 응유 (flocculent curd)를 생성한다. 주요 유장 단백질은 소량으로 존재하는 다수의 다른 단백질 및 펩<br />

티드와 함께, 락트알부민, 락토페린, 분비형 IgA, 및 혈청 알부민을 들 수 있다.<br />

주요 탄수화물은 락트알부민을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글루코스로부터 유방 상피세포에 생성되는 이당류인 락토<br />

스이다.<br />

영양 성분 이외에도, 모유는 유익한 비영양학적 기능을 갖는 풍부한 생물 활성 성분을 갖는다. 이들은 광범위<br />

한 특이적 및 비특이적 항미생물 인자를 포함한다;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물질; 및 호르몬, 성장 조절 인자,<br />

및 소화 효소 (표 1), 이들 중 다수는 다중 활성 (multiple activity)을 갖는다. 이들 성분은 약년기에 있어서<br />

의 숙주 방어 및 소화기 계통의 미숙 때문에 영유아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br />

표 10<br />

모유의 비영양학적 성분의 예<br />

항미생물 인자 성장 인자<br />

분비형 IgA, IgM, IgG<br />

상피세포 성장 인자 (EGF)<br />

락토페린<br />

리소자임<br />

보체 C3<br />

백혈구<br />

비피더스 인자<br />

지질 및 지방산<br />

항바이러스성 무친, GAGs<br />

올리고당<br />

신경 성장 인자 (NGF)<br />

인슐린양 성장 인자 (IGF)<br />

형질전환 성장 인자 (TGF)<br />

타우린<br />

폴리아민<br />

사이토킨 및 항염증 인자 소화효소<br />

종양괴사인자<br />

아밀라아제<br />

인터루킨<br />

인터페론<br />

프로스타글란딘<br />

항키모트립신<br />

항트립신<br />

혈소판 활성화 인자<br />

담즙산 자극 에스테라아제<br />

담즙산 자극 리파아제<br />

리포단백질 리파아제<br />

호르몬 수송체<br />

수유 피드백 저해인자 (FIL)<br />

락토페린 (Fe)<br />

인슐린<br />

프로락틴<br />

갑상선 호르몬<br />

코르티코스테로이드<br />

ACTH<br />

옥시토신<br />

칼시토닌<br />

부갑상선 호르몬<br />

에리트로포이에틴<br />

폴산 결합제<br />

코발라민 결합제<br />

IgF 결합제<br />

티록신 결합제<br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제<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모유 이외에도, 유아용 조제분유는 의학계에 의해 1세 미만 유아에게 영양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으로 고려되는<br />

유일한 다른 유아용 밀크이다. 우유는 유아의 미숙한 신장에 해를 가할 수 있는 고 함량의 단백질 및 전해질<br />

(염)으로 인해 추천되지 않는다. 유아용 조제분유의 영양분은 단백질, 지방, 리놀레산, 비타민: A, C, D, E,<br />

K, 티아민 (B1), 리보플라빈 (B2), B6, B<strong>12</strong>, 니아신, 폴산, 판토텐산, 칼슘, 금속: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br />

구리; 인, 요오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우유를 사용하지 않는 조제분유는 비오틴,<br />

콜린, 및 이노시톨을 포함해야 한다. 저알레르기성 조제분유는 특정한 건강 문제를 갖는 유아에 있어서의 특정<br />

한 의학적 합병증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유아용 분유는 원료 아미노산으로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유의<br />

- 64 -


[0282]<br />

[0283]<br />

[0284]<br />

[0285]<br />

[0286]<br />

[0287]<br />

[0288]<br />

[0289]<br />

[0290]<br />

[0291]<br />

[0292]<br />

종류는 종종 기본적인 유아용 조제분유 또는 이의 특수성 때문에 의료 식품으로 명명된다.<br />

물 또는 쥬스에 현탁될 수 있는 활성 성분 및 적절한 희석제를 함유하는 분말 블렌드는 분무 건조에 의해 제조<br />

될 수 있다.<br />

분무 건조는 밀크의 유용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밀크 농축물을 분말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최후 부<br />

분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모든 분무 건조기의 원리는 농축물을 다량의 소액적<br />

으로 변환시킨 다음에, 고속 열기류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액적의 매우 큰 표면적으로 인해, 물은 거의 동시에<br />

증발하여, 액적이 분말 입자로 변환된다.<br />

분유는 건조된 밀크 고형분으로 제조된 분말이다. 분유는 액체 밀크보다 유효 기간이 훨씬 더 길며, 저 수분<br />

함량으로 인해 냉장시킬 필요가 없다.<br />

인스턴트 분유는 건조된 분유 입자를 부분적으로 재수화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재수화는 이들을 점착시키고 응집<br />

시킨다. 그 다음에, 물은 건조에 의해 제거되며, 분말 입자 사이에 혼입된 공기량이 증가된다.<br />

분유 제조는 대규모로 행해지는 프로세스이다. 색상, 풍미, 용해도, 영양가와 같은 모든 바람직한 자연 특성을<br />

보유하면서, 물을 적당히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br />

분유 프로세스는 분무 건조, 유동층 처리, 추출, 증발 및 동결 건조를 포함한다. 다른 프로세스로는 동결<br />

농축, 여과, 및 균질화가 있다.<br />

본 발명의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모유 대용품은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또는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을 특히 분말<br />

형태의 시판용 모유 제제를 포함하는 모유 제제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바람직<br />

하게는 100 ml (시판용) 모유 제제당 3 내지 100 ㎍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br />

내지 70 ㎍ /100 ml 모유 제제의 양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100 ml 모유 제제의 양으로 첨가된<br />

다.<br />

적절한 희석제는 통상 조성물 또는 제형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이다. 적절한 희석제는 당, 예컨대 락토스,<br />

수크로스, 만니톨 및 소르비톨, 밀, 옥수수, 쌀 및 감자로부터 유도된 전분, 및 셀룰로스, 예컨대 미결정성 셀<br />

룰로스를 포함한다. 조성물 중의 희석제의 양은 전체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br />

지 약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6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50 중량%의 범위일<br />

수 있다.<br />

용어 "붕괴제"는 분해 (붕괴)를 촉진하여, 약제를 방출하도록 조성물에 첨가되는 물질을 말한다. 적절한 붕괴<br />

제로는 전분, "냉수 가용성" 변성 전분, 예컨대 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천연 및 합성 검, 예컨대 로커스트빈,<br />

카라야, 구아, 트래거캔스 및 한천,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스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미결<br />

정성 셀룰로스 및 가교 미결정성 셀룰로스, 예컨대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알긴산염, 예컨대 알긴산 및 알긴<br />

산나트륨, 점토, 예컨대 벤토나이트, 및 비등성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조성물 중의 붕괴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br />

1 내지 약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2 내지 약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3 내지 20 중<br />

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br />

결합제는 분말을 함께 결합시키거나 "접착"시켜, 과립을 형성시킴으로써 응집시켜, 제제 중에 "접착제"로서 작<br />

용하는 물질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제는 희석제 또는 증량제에 이미 사용가능한 응집력을 가한다. 적절한 결<br />

합제로는 당, 예컨대 수크로스, 밀, 옥수수, 쌀 및 감자로부터 유도된 전분; 천연 검, 예컨대 아카시아, 젤라틴<br />

및 트래거캔스; 해초 유도체, 예컨대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및 알긴산칼슘암모늄; 셀룰로스계 재료, 예컨대 메<br />

틸셀룰로스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무기물, 예<br />

컨대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조성물 중의 결합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br />

게는 조성물의 약 2 내지 약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br />

지 약 6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윤활제는 정제, 과립 등이 압축된 후에, 마찰 또는 마모를 감소시킴으로써 몰드 또는 다이로부터 방출될 수 있<br />

도록 제형에 가해지는 물질을 말한다. 적절한 윤활제로는 스테아르산 금속염,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br />

테아르산칼슘 또는 스테아르산칼륨; 스테아르산; 고 융점 왁스; 및 수용성 윤활제, 예컨대 염화나트륨, 벤조산<br />

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올레산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d'l-류신을 들 수 있다. 윤활제는 이들이 과립<br />

표면, 및 과립과 정제 프레스 부분의 사이에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 압축 전에 가장 마지막 단계에 첨가된<br />

다. 조성물 중의 윤활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 0.05 내지 약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2 내지 약 5 중<br />

- 65 -


[0293]<br />

[0294]<br />

[0295]<br />

[0296]<br />

[0297]<br />

[0298]<br />

[0299]<br />

[0300]<br />

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3 내지 약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3 내지 약 1.5 중<br />

량%의 범위일 수 있다.<br />

글리덴트는 케이킹을 방지하고, 과립의 유동 특성을 향상시켜, 유동을 원활하게 균일하게 하는 물질이다. 적절<br />

한 글리덴트로는 이산화규소 및 탤크를 들 수 있다. 조성물 중의 글리덴트의 양은 조성물 중의 약 0.01 내지<br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중의 0.1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5 중량%, 가장<br />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br />

착색제는 조성물 또는 제형에 착색을 부여하는 부형제이다. 이러한 부형제로는 식품 등급 염료, 및 적절한 흡<br />

착제, 예컨대 점토 또는 산화알루미늄에 흡착된 식품 등급 염료를 들 수 있다. 착색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br />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05 내지 6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1 내지<br />

약 4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 중량%로 변화할 수 있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는 다중 미립자 (multiparticulate), 단독 입자, 공지된 제형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br />

그의 총량은 대상으로 하는 치료상 유용한 약물의 용량을 나타낸다. 경구 투여되는 경우에는, 다중 미립자는<br />

통상 위장관에 자유로이 분산되어, 흡수를 최대화한다. 구체예는 US 6068859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아지스<br />

로마이신의 방출을 제어하는 다중 미립자를 개시하고 있다. 다중 미립자의 다른 이점은 약물 안정성의 개선이<br />

다. 다중 미립자의 폴록사머 성분은 매우 불활성을 나타내므로, 약물의 분해를 최소화한다.<br />

그러나, 제형화의 문제점은 다중 미립자를 형성하는데 종종 사용되는 용융-응고 프로세스에 기인한다. 다중 미<br />

립자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비드 또는 구형으로 형성된다. 용융된 다음에 응고되는 일부의 담체는 원형 비드를<br />

형성하지 않지만, 로드, 스트링 또는 다른 비구형상으로 응고될 수 있다. 그 결과는 제형으로 가공하기가 어려<br />

운 고도의 비정형 다중 미립자이다.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면, WO 2007104173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는 입자<br />

가 약제 (예를 들면, 인슐린)와 함께, 미셀을 형성하는 폴록사머, 수지, 및/또는 토코페롤로 구성된다. 미셀<br />

형성은 인체 내의 다수의 영양소의 흡수에 필수적이다. 간장에 형성되어, 담낭에 의해 분비되는 담즙 염에 의<br />

해, 지방산의 미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장에 의해 미셀 내의 복합 지질 (complicated lipid) 및<br />

지용성 비타민이 흡수될 수 있다. 미셀은 형상이 대략 구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br />

티드 배합물은 약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한 미셀을 형성하도록 폴록사머 및 수지로 제<br />

형화된다.<br />

액상 제제로는 용액, 현탁액 및 유제를 들 수 있다. 비경구 주사용 물 또는 물-프로필렌글리콜 용액 또는 경구<br />

액제, 현탁액 및 유제용 감미제 및 유백제의 첨가를 들 수 있다. 액상 제제는 또한 비강내 투여용 용액을 포함<br />

할 수 있다.<br />

다른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완충액이다. 수소 이온 농도 또는 pH에 관하여 사용되는 경우, 용어<br />

"완충제", "완충계", "완충액" 및 "완충 용액"은 산 또는 알칼리 첨가시 또는 용매와의 희석시에 pH 변화에 저<br />

항하는 계, 특히 수용액의 능력을 말한다. 바람직한 완충계는 포메이트 (pKa=3.75), 락테이트 (pKa=3.86), 벤<br />

조산 (pKa=4.2), 옥살레이트 (pKa=4.29), 푸마레이트 (pKa=4.38), 아닐린 (pKa=4.63), 아세테이트 완충제<br />

(pKa=4.76), 시트레이트 완충제 (pKa2=4.76, pKa3=6.4), 글루타메이트 완충제 (pKa=4.3), 포스페이트 완충제<br />

(pKa=7.20), 숙시네이트 (pKa1=4.93; pKa2=5.62), 피리딘 (pKa=5.23), 프탈레이트 (pKa=5.41); 히스티딘<br />

(pKa=6.04), MES (2-(N-모르폴리노)에탄술폰산; pKa=6.15); 말레산 (pKa=6.26); 카코딜레이트 (디메틸아르시네<br />

이트, pKa=6.27), 탄산 (pKa=6.35), ADA (N-(2-아세트아미도)이미노-디아세트산 (pKa=6.62); PIPES (4-피페라<br />

진비스-(에탄술폰산; BIS-TRIS-프로판 (1,3-비스[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프로판), pKa=6.80), 에틸<br />

렌디아민 (pKa=6.85), ACES 2-[(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에탄술폰산; pKa=6.9), 이미다졸 (pKa=6.95),<br />

MOPS (3-(N-모르핀)-프로판술폰산; pKa=7.20), 디에틸말론산 (pKa=7.2), TES (2-[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br />

틸]아미노 에탄술폰산; pKa=7.50) 및 HEPES (N-2-하이드록실에틸피페라진-N'-2-에탄술폰산; pKa=7.55) 완충제<br />

또는 pKa가 3.8 내지 7.7인 다른 완충제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br />

카복실산 완충제, 예컨대 아세테이트 및 카복실이산 (carboxylic diacid) 완충제, 예컨대 푸마레이트, 타르트레<br />

이트 및 프탈레이트 및 카복실삼산 (carboxylic triacid) 완충제, 예컨대 시트레이트의 그룹이 바람직하다. 바<br />

람직한 완충제의 또하나의 그룹은 무기 완충제, 예컨대 술페이트, 보레이트, 카보네이트, 옥살레이트, 수산화칼<br />

슘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로 나타낸다. 바람직한 완충제의 또 다른 그룹은 질소 함유 완충제, 예컨대 이미다졸,<br />

디에틸렌디아민, 및 피페라진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술폰산 완충제, 예컨대 TES, HEPES, ACES, PIPES, [(2-하이드록시-1,1-비스(하이드록시메틸)에틸)아미노]-1-프<br />

- 66 -


[0301]<br />

[0302]<br />

[0303]<br />

[0304]<br />

[0305]<br />

로판술폰산 (TAPS), 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프로판술폰산 (EPPS), 4-모르폴린프로판술폰산 (MOPS) 및<br />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술폰산 (BES)도 바람직하다.<br />

바람직한 완충제의 다른 그룹은 글리신 완충제, 예컨대 글리신, 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N,N-비<br />

스(2-하이드록시에틸)글리신 및 N-[2-하이드록시-1,1-비스(하이드록시-메틸)에틸]글리신 (트리신)이다.<br />

아미노산 완충제, 예컨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br />

판,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br />

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N,N,N-트리메틸리신, 3-메틸히스티딘, 5-하이드록시리신, O-포스포세린, γ-카복시<br />

글루타메이트, ε-N-아세틸리신, ω-N-메틸아르기닌, 시트룰린, 오르니틴 및 이들의 유도체도 바람직하다.<br />

표 11<br />

하기의 완충제도 바람직하다:<br />

유효 pH 범위 pKa 25℃ 완충제<br />

2.7-4.2 3.40 말레이트 (pK1)<br />

3.0-4.5 3.75 포르메이트<br />

3.0-6.2 4.76 시트레이트 (pK2)<br />

3.2-5.2 4.21 숙시네이트 (pK1)<br />

3.6-5.6 4.76 아세테이트<br />

3.8-5.6 4.87 프로피오네이트<br />

4.0-6.0 5.13 말레이트 (pK2)<br />

4.9-5.9 5.23 피리딘<br />

5.0-6.0 5.33 피페라진 (pK1)<br />

5.0-7.4 6.27 카코딜레이트<br />

5.5-6.5 5.64 숙시네이트 (pK2)<br />

5.5-6.7 6.10 MES<br />

5.5-7.2 6.40 시트레이트 (pK3)<br />

5.5-7.2 6.24 말레에이트 (pK2)<br />

5.5-7.4 1.70, 6.04, 9.09 히스티딘<br />

5.8-7.2 6.46 비스-트리스<br />

5.8-8.0 7.20 포스페이트 (pK2)<br />

6.0-<strong>12</strong>.0 9.50 에탄올아민<br />

6.0-7.2 6.59 ADA<br />

6.0-8.0 6.35 카보네이트 (pK1)<br />

6.1-7.5 6.78 ACES<br />

6.1-7.5 6.76 PIPES<br />

6.2-7.6 6.87 MOPSO<br />

6.2-7.8 6.95 이미다졸<br />

6.3-9.5 6.80, 9.00 BIS-TRIS 프로판<br />

6.4-7.8 7.09 BES<br />

6.5-7.9 7.14 MOPS<br />

6.8-8.2 7.48 HEPES<br />

6.8-8.2 7.40 TES<br />

6.9-8.3 7.60 MOBS<br />

7.0-8.2 7.52 DIPSO<br />

7.0-8.2 7.61 TAPSO<br />

7.0-8.3 7.76 트리에탄올아민 (TEA)<br />

7.0-9.0 0.91, 2.10, 6.70, 9.32 피로포스페이트<br />

7.1-8.5 7.85 HEPPSO<br />

7.2-8.5 7.78 POPSO<br />

유효 pH 범위가 2.7 내지 8.5, 더욱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7.7인 완충제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완충제에 대한<br />

유효 pH 범위는 pKa - 1 내지 pKa + 1 (여기서, Ka는 완충제 중의 약산에 대한 이온화 상수이고, pKa = - log<br />

K이다)로서 정의될 수 있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약제학적 용도에 적합한 완충제, 예를 들면 환자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완충제, 예컨대 아세테이트, 카보네이<br />

- 67 -


[0306]<br />

[0307]<br />

[0308]<br />

[0309]<br />

[0310]<br />

[0311]<br />

[03<strong>12</strong>]<br />

[0313]<br />

[0314]<br />

[0315]<br />

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타메이트, 락테이트, 포스페이트, 프탈레이트, 및 숙시네이트 완충제가 가장<br />

바람직하다. 통상 사용되는 약제학적 완충제의 특히 바람직한 예로는 아세테이트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br />

글루타메이트 완충제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가 있다. 카복실산 완충제의 그룹도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br />

사용되는 용어 "카복실산 완충제"는 카복실일산 (carboxylic mono acid) 완충제, 카복실이산 완충제 및 카복실<br />

삼산 완충제를 언급할 것이다. 물론, 완충제,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완충제의 배합물도 본 발명에<br />

유용하다.<br />

일부의 적절한 약제학적 완충제로는 시트레이트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200 mM의 최종 제제 농도, 더<br />

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strong>12</strong>0 mM의 최종 제제 농도) 또는 아세테이트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200<br />

mM의 최종 제제 농도)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200 mM의 최종 제제 농도)를 들 수 있<br />

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의 제형화 및 투여에 관한 기술은 문헌 [참조: "Remington's<br />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적어도<br />

하나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적절한 조성물은 적절한 액상 약제학적 담체 중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의 용액<br />

또는 다른 제제, 예컨대 정제, 환약, 필름 정제, 코팅 정제, 당의정, 캡슐, 분말 및 침착물, 겔, 시럽, 슬러리,<br />

현탁액, 유제 등 일 수 있다.<br />

특히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흡입 투여 또는 정맥내 투여에 적합한 동결건조 (freeze-dried) 제제 (동결건<br />

조물)이다. 바람직한 동결건조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4 내지 5%<br />

(w/v) 만니톨 용액에 가용화된 다음에, 용액은 동결건조된다. 만니톨 용액도 상술한 적절한 완충액 중에서 제<br />

조될 수 있다.<br />

적절한 항동해제 (cryoprotectant) /동결건조보호제 (lyoprotectant) (아니면, 증량제 또는 안정화제로 불리운<br />

다)의 추가의 예로는 티올 비함유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예를 들면, PEG, 폴리프로필렌<br />

글리콜),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덱스트란, 말토스, 라피노즈, 스타치오즈 및 다른 당류<br />

(예를 들면, WO 97/29782 참조)를 들 수 있으며, 만니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통상적인 동결건조 기<br />

술에서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동결건조법은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br />

흡입 투여되기 위한 동결건조 제제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이다.<br />

동결건조 제제는 흡입기, 예를 들면 옵티네브 (OPTINEB)<br />

또는 벤타-네브 (VENTA-NEB)<br />

흡입기 (NEBU-TEC, Elsenfeld, Germany)를 사용하여 투여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동결건조된 생성물은 흡입 투<br />

여를 위해 멸균 증류수 또는 다른 적절한 액체에 재수화될 수 있다.<br />

또는 정맥내 투여를 위해, 동결건조된 생성물은 정맥내 투여를 위해 멸균 증류수 또는 다른 적절한 액체에 재수<br />

화될 수 있다.<br />

멸균 증류수 또는 적절한 액체에서 투여를 위해 재수화한 후에, 동결건조 제제는 재수화된 펩티드 제제의 표적<br />

조직, 즉, 정맥내 투여를 위한 혈액 또는 흡입 투여를 위한 폐 조직의 근사한 생리적 오스몰 농도를 가져야 한<br />

다. 따라서, 재수화된 제제가 실질적으로 등장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br />

정맥내, 경구, 또는 흡입 투여를 위한 바람직한 용량 농도는 100 내지 2000 μmole/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br />

내지 800 μmole/ml이다. 이들은 또한 모유 대용품 또는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제학적 조<br />

성물 중의 바람직한 펩티드 배합물의 범위이다.<br />

영양 보조 식품<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은 영양 보조 식품으로서의 개시된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br />

영양 보조 식품은 경구 투여용으로 바람직하고, 특히 신생아, 유아, 및/또는 소아에로의 투여에 바람직하나, 이<br />

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양 보조 식품은 일상의 음식물을 보충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제품의 "식이 성분"은 또<br />

한 비타민, 미네랄, 허브 또는 다른 식물 성분, 아미노산, 및 물질, 예컨대 효소, 장기 조직, 선 (glandular),<br />

및 대사 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영양 보조 식품은 예컨대, 정제, 캡슐, 소프트젤, 젤캡, 액체, 또는 분말 형<br />

- 68 -


[0316]<br />

[0317]<br />

[0318]<br />

[03<strong>19</strong>]<br />

[0320]<br />

[0321]<br />

[0322]<br />

[0323]<br />

[0324]<br />

[0325]<br />

[0326]<br />

[0327]<br />

[0328]<br />

[0329]<br />

[0330]<br />

[0331]<br />

[0332]<br />

태로 제조될 수 있다.<br />

치료 방법<br />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상기 언<br />

급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치료적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br />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br />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br />

따라서, 용어 "예방" 또는 "치료"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br />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시키도록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투여하<br />

는 것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사용한 치료는 감염성 질환, 자가<br />

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시<br />

키기 위해 다른 보호 화합물과 병용하여 행해질 것이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활성제" 또는 "치료제"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br />

신경 변성 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질환의 증상 및/또는 진행을 예방, 억제, 또는<br />

저지할 수 있는 약제를 말한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치료 효과"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br />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 증상 및/또는 진행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시키는 보호 효과가 효과적으로 제공<br />

되는 것을 말한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 또는 환자에 있어서 상술한 치료 효과<br />

를 산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의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대상" 또는 "환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는 인간, 예컨대 인간 환자<br />

또는 대상을 포함하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용어 "포유동물"은 인간 환자 및 비인간<br />

영장류, 및 실험 동물, 예컨대 래빗, 래트, 및 마우스, 및 다른 동물을 포함한다.<br />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다른 치료 화합물과 병용 투여하여,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br />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br />

된 다른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합물, 치료제 또는 공지된 약물과 본 발<br />

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의 "병용 투여"는 공지된 약물과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이 치료 효과를 가<br />

지게 될 때 약물과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을 투여함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치료 효과는 상<br />

승작용을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동반 투여는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의 투여에 대하여, 약물의<br />

수반 (즉, 동시에), 사전, 또는 후속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는 특정한 약물 및 본 발<br />

명의 펩티드(들)의 투여에 관한 적절한 타이밍, 시퀀스 및 용량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br />

펩티드 활성의 정의<br />

펩티드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a) 내지 g)에 열거된 하기 활성 중 어느 하나를 증명한다면, 치료 활성을 갖는 것<br />

으로 간주된다:<br />

a) 펩티드는 과잉으로 활동하는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br />

b) 펩티드는 과잉으로 생산된 생체 분자의 생산을 억제할 수 있다.<br />

c) 펩티드는 과잉으로 생산된 생체 분자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br />

d) 펩티드는 활성이 저하된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br />

e) 펩티드는 불충분하게 생산된 생체 분자의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br />

f) 펩티드는 불충분하게 생산된 생체 분자의 활성을 모방할 수 있다.<br />

g) 펩티드는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br />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질환의 증상 및/또는 진행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할 수 있다.<br />

- 69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333]<br />

[0334]<br />

[0335]<br />

[0336]<br />

[0337]<br />

[0338]<br />

[0339]<br />

[0340]<br />

[0341]<br />

[0342]<br />

[0343]<br />

[0344]<br />

[0345]<br />

[0346]<br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억제"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을 10 내지 100% 감소시키는<br />

것으로 정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의 감소는 25 내지 100%<br />

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의 감소는 50 내지 100%이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증대"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의 활성 또는 생산을 10 내지 100% 증가시키는 것으로<br />

정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의 증가는 25 내지 100%이다.<br />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의 증가는 50 내지 100%이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방"은 불충분하게 생산된 생체 분자에 따라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10 내지 100% 증<br />

가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의 증가는 25 내지 100%이다. 보다 바람<br />

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의 증가는 50 내지 100%이다.<br />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br />

하기 펩티드를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br />

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치료제로서 그의 활성에 대해 단독으로 및 배합하여 시험하였다:<br />

His-Ser-Leu-Gly-Lys-Trp-Leu-Gly-His-Pro-Asp-Lys-Phe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1,<br />

Pro-Gly-Thr-Cys-Glu-Ile-Cys-Ala-Tyr-Ala-Ala-Cys-Thr-Gly-Cys-OH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구아닐린: 펩티드<br />

2.<br />

두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배합물에 1몰 펩티드 1 대 5몰 펩티드 2 내지 5몰 펩티드 1 대 1몰 펩티드<br />

2의 몰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몰 펩티드 1 대 4몰 펩티드 2 내지 4몰 펩티드 1 대 1몰 펩티드 2의 몰비, 보다<br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몰 펩티드 1 대 3몰 펩티드 2 내지 3몰 펩티드 1 대 1몰 펩티드 2의 몰비, 더 더욱 바람<br />

직하게는 1몰 펩티드 1 대 2몰 펩티드 2 내지 2몰 펩티드 1 대 1몰 펩티드 2의 몰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몰 펩<br />

티드 1 대 1.5몰 펩티드 2 내지 1.5몰 펩티드 1 대 1몰 펩티드 2의 몰비로 함유된다. 중량%로 나타낸 펩티드의<br />

바람직한 비가 상기에서 개시되며, 몰비로 언급된 비 대신 사용될 수 있다.<br />

또한, 본 발명은 의약에 있어서의 약제학적 활성제, 즉, 약제로서의 상술한 펩티드 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br />

다.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의 이점은 펩티드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징후에 대해 통상 사용되는 약물에<br />

비해 독성이 낮으며, 펩티드 배합물이 부작용이 적고, 특정 질환의 장기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투<br />

여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펩티드 배합물은 특정한 타겟에 대하여 선택적이며, 생리적 조건하에서 독성<br />

이거나 유해 분해 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br />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펩티드(들)" 또는 "펩티드 배합물"은 또한 상술한 펩티드의 염, 탈보호 또는 탈아<br />

세틸화 형태,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라세미체, 프로드럭 및 수화물을 말한다. 펩티드의 디아스테레오머<br />

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입체화학적 또는 키랄 중심이 변화하는 경우에 얻어진다. 에난티오머는 모든 키랄<br />

중심에서 반대 입체화학을 갖는다.<br />

용어 "프로드럭"은 생리적 조건하에서 상술한 펩티드를 생성시키거나 방출시킬 수 있는 전구체 화합물을<br />

말한다. 이러한 프로드럭, 즉, 이러한 전구체 분자는 예를 들면, 상술한 펩티드중 하나를 생성하도록 선택적으<br />

로 절단되는 더 큰 펩티드이다. 또한 프로드럭은 특히 카복실산기 및/또는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갖는 보호된<br />

아미노산이다.<br />

아미노기에 대한 적절한 보호기는 벤질옥시카보닐기, t-부틸옥시카보닐 (BOC) 기, 포르밀기, 및 아세틸기 또는<br />

아실기이다. 카복실산기에 대한 적절한 보호기는 에스테르, 예컨대 벤질 에스테르 또는 t-부틸 에스테르이다.<br />

본 발명은 또한 아미노산 치환, 결실, 첨가를 갖는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고, 치환 및 첨가는 표준 D 및 L 아미<br />

노산 및 변형 아미노산, 예를 들면 아미드화 및 아세틸화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이때 상술한 염기 펩티드 서열<br />

의 치료 활성은 유지된다.<br />

열거된 펩티드 서열에서, "Ac"는 아세틸화 잔기를 나타내고, "NH2"는 아미드화 잔기를 나타내며, "사이클로"는<br />

환상 펩티드를 나타내고, "D"는 D형 광학 이성질체를 나타낸다. 탈아세틸화 아미노기 또는 NH-기는 유리 아미노<br />

(-NH2) 기를 말한다.<br />

- 70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347]<br />

하기 약어는 본 명세서에 언급된 보통 아미노산에 대하여 사용된다.<br />

표 <strong>12</strong><br />

[0348] 약어<br />

아미노산<br />

Ala 알라닌<br />

Arg 아르기닌<br />

Asn 아스파라긴<br />

Asp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테이트)<br />

Cys 시스테인<br />

Gln 글루타민<br />

Glu 글루탐산 (글루타메이트)<br />

Gly 글리신<br />

His 히스티딘<br />

Ile 이소류신<br />

Leu 류신<br />

Lys 리신<br />

Met 메티오닌<br />

Phe 페닐알라닌<br />

Pro 프롤린<br />

Pyl 피롤리신<br />

Ser 세린<br />

Sec 셀레노시스테인<br />

Thr 트레오닌<br />

Trp 트립토판<br />

Tyr 티로신<br />

Val 발린<br />

Asx 아스파르트산 또는 아스파라긴<br />

Glx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br />

Xaa 아미노산<br />

Xle 류신 또는 이소류신<br />

[0349]<br />

[0350]<br />

[0351]<br />

[0352]<br />

[0353]<br />

[0354]<br />

[0355]<br />

[0356]<br />

[0357]<br />

[0358]<br />

[0359]<br />

일부의 변형 아미노산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br />

"D-2-Nal"는 2-나프틸-D-알라닌이고,<br />

"SertBu"는 t-부틸 세린이며,<br />

"Azagly"는 아자 글리신이고,<br />

"Me"는 메틸이며,<br />

Met(O)는 메티오닌 술폭사이드이고,<br />

"Pyr" 및 "pGlu"는 피로글루탐산이며,<br />

"Tyr(SO3H)"은 황산화 티로신이고,<br />

"Tyr(Me)"은 메틸티로신이며,<br />

"NHEt"는 에틸아미드이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상기에 열거된 펩티드 및 대략 등몰량 (equimolar amount)의 두 펩티드 (편차 ±10%)를 함유한 본 발명의 펩티<br />

드 배합물을 실시예 1 내지 17에 기술된 검정법을 사용하여 활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험한 펩티드는 모두 상<br />

업적으로 구입가능하고, 익히 공지된 펩티드이며, 해당 기술분야의 문헌에 잘 기술되어 있고, 특성화되어 있다.<br />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두 펩티드를 예를 들어, 0.9 대 1.1 내지 1.1 대 0.9 ("대략 등몰량"으로 언급) 또는 다<br />

른 비, 예컨대, 0.5 내지 1.5 대 1.5 내지 0.5의 몰비로 단순 혼합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 배합물을 제조하였다.<br />

0.4 대 1.6몰 (펩티드 1 대 펩티드 2) 내지 1.6 대 0.4몰 (펩티드 1 대 펩티드 2) 몰비의 펩티드 배합물로 얻은<br />

생물학적 데이터가 일반적으로 등몰 펩티드 배합물로 얻은 생물학적 데이터와 매우 유사하여 대부분의 경우에서<br />

- 71 -


[0360]<br />

[0361]<br />

[0362]<br />

[0363]<br />

[0364]<br />

[0365]<br />

[0366]<br />

[0367]<br />

는 등몰 (0.9:1.1 내지 1.1:0.9) 배합물에 대한 데이터가 본원에서 인용된다는 것을 언급하고자 한다. 추가의<br />

데이터는 펩티드가 비등몰량인 펩티드 배합물의 생물학적 데이터가 등몰 배합물의 생물학적 데이터와 20% 이상<br />

다른 경우에만 제시한다.<br />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 "펩티드"는 펩티드 1, 펩티드 2 및 펩티드 배합물을 의미하고, "1 ml당 10 마이크<br />

로그램"의 농도는 1 ml당 10 μg의 펩티드 1 또는 1 ml당 10 μg의 펩티드 2 또는 1 ml당 10 μg의 펩티드 배합<br />

물을 의미한다.<br />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 용어 "펩티드"는 상응하는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험을 펩티드 1 단독 및 펩티드 2 단독<br />

및 상응하는 실시예에서 다른 몰비가 언급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등몰 비 (펩티드 1:펩티드 2에 대해, 약 1:1<br />

의 몰비)인 펩티드 배합물로 수행됨을 나타낸다.<br />

실시예 1:<br />

HIV-1 실험<br />

항바이러스 검정에 사용하기 전에, CEM-SS 세포를 T-75 플라스크에서 계대시켰다. 검정 하루 전에, 감염시에<br />

세포가 지수 증식기에 있는 것을 확보하도록 세포를 1:2로 분할하였다. 혈구계 및 트리판 블루 배제법 (trypan<br />

blue exclusion)을 이용하여, 총세포 생존율 정량화를 행하였다. 검정에 사용되는 세포의 세포 생존율은 95%를<br />

초과하였다. 세포를 조직 배지에 5 × 10 4<br />

터 플레이트에 가하였다.<br />

세포/ml로 재현탁시켜, 50 ㎕의 용적으로 펩티드 함유 마이크로타이<br />

사용된 바이러스는 림프구 친화성 균주 (lymphocytotropic strain) HIV-1 IIIB이었다. NIH AIDS 리서치 앤드 레<br />

퍼런스 리에이전트 프로그램 (Research and Reference Reagent Program)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얻어, 스톡 바이<br />

러스 풀 (pool)의 생산을 위해, CEM-SS 세포에서 성장시켰다. 각 검정에서, 프리타이터된 (pre-titered) 바이<br />

러스 일정분량을 냉동 장치 (-8O℃)로부터 제거하여, 생물학적 안전 캐비닛에서 서서히 실온으로 해동시켰다.<br />

바이러스를 재현탁시켜, 50 ㎕의 용적으로 각각의 웰에 가해진 바이러스 양이 감염 후 6일 후에 85% 내지 95%의<br />

세포 사멸을 나타내도록 측정된 양이 되도록 조직 배지에 희석시켰다. CEM-SS 세포에서의 종말점 적정에 의한<br />

TCID5O 계산은 감염 다중도가 약 0.01임을 나타내었다. AZT (뉴클레오시드계 역전사 효소 저해제; NRTI) 및 인<br />

디나비르 (프로테아제 저해제; PI)를 양성 대조군 항바이러스성 화합물로서 사용하였다.<br />

플레이트 포맷<br />

각 플레이트는 세포 대조군 웰 (세포 단독), 바이러스 대조군 웰 (세포 + 바이러스), 약물 세포독성 웰 (세포 +<br />

펩티드 단독), 펩티드 비색분석 대조군 웰 (펩티드 단독) 및 실험 웰 (펩티드 - 10 ㎍/ml + 세포 + 바이러스)을<br />

포함하였다. 검출가능하다면,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삼중 측정 및 이중 측정으로 샘플의 항바이러스 효<br />

과를 평가하였다.<br />

표 13<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0368] 1 2 3 4 5 6<br />

A 시약 백그라운드 대조군<br />

B 약물 1 독성 세포<br />

약물 1 항바이러스 효능 약물 1 독성<br />

C 약물 2 독성 대조군<br />

약물 2 항바이러스 효능 약물 2 독성<br />

D 약물 3 독성 약물 3 항바이러스 효능 약물 3 독성<br />

E 약물 4 독성 바이러스<br />

약물 4 항바이러스 효능 약물 4 독성<br />

F 약물 5 독성 대조군<br />

약물 5 항바이러스 효능 약물 5 독성<br />

G 약물 6 독성 약물 6 항바이러스 효능 약물 6 독성<br />

H 약물 6 색상 약물 5 색상 약물 4 색상 약물 3 색상 약물 2 색상 약물 1 색상<br />

7 8 9 10 11 <strong>12</strong><br />

A 플라스틱 대조군<br />

B 약물 7 독성 약물 7 항바이러스 효능 세포 약물 7 독성<br />

C 약물 8 독성 약물 8 항바이러스 효능 대조군 약물 8 독성<br />

D 약물 9 독성 약물 9 항바이러스 효능 약물 9 독성<br />

- 72 -


[0369]<br />

[0370]<br />

[0371]<br />

[0372]<br />

[0373]<br />

[0374]<br />

[0375]<br />

[0376]<br />

[0377]<br />

[0378]<br />

[0379]<br />

E 약물 10 독성 약물 10 항바이러스 효능 바이러스 약물 10 독성<br />

F 약물 11 독성 약물 11 항바이러스 효능 대조군 약물 11 독성<br />

G 약물 <strong>12</strong> 독성 약물 <strong>12</strong> 항바이러스 효능 약물 <strong>12</strong> 독성<br />

H 약물 <strong>12</strong> 색상 약물 11색상 약물 10 색상 약물 9 색상 약물 8 색상 약물 7 색상<br />

검정 종료시에, 플레이트를 가용성 테트라졸륨계 염료 MTS (CellTiter 96 Reagent, Promega)로 염색하여, 세포<br />

생존율을 측정하고 펩티드 독성을 정량화하였다. 가용성 포르마잔 생성물을 얻도록 대사적으로 활성인 세포의<br />

미토콘드리아 효소에 의해 MTS를 대사시켜, 세포 생존율 및 펩티드 세포독성의 신속한 정량 분석을 행할 수 있<br />

다. 이 시약은 사용 전에 제조되는 것을 요하지 않는 안정한 단일 용액이다. 검정 종료시에, MTS 시약을 웰<br />

당 20 내지 25 ㎕ 가한 다음에,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37℃ 및 5% CO2에서 5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 생<br />

존율을 평가하였다. 접착 플레이트 시일러를 리드 대신에 사용하고, 시일링된 플레이트를 수회 전도시켜, 가용<br />

성 포르마잔 생성물을 혼합하고, 몰레큘러 디바이스 (Molecular Devices) Vmax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플레<br />

이트를 490/560 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리딩하였다.<br />

항바이러스 활성의 예상 레벨을 나타내는 양성 대조군 화합물 AZT 및 인디나비르의 평가에 기초한 전체 검정 성<br />

능은 유효하였다.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있어서의 세포의 거시적 관찰에 의해, MTS 대사성 염료<br />

로 세포 염색을 행하여 얻어진 세포독성 결과를 확인하였다.<br />

HIV 실험 결과: 펩티드 1은 HIV-1 감염된 CEM-SS 세포에서 세포 변성 효과(CPE)를 43.9% 감소시켰다. 펩티드 2<br />

는 HIV-1 감염된 CEM-SS 세포에서 CPE를 13.2% 감소시켰다. 펩티드 배합물 (0.95 몰 펩티드 1 및 1.05 몰 펩티<br />

드 2)은 HIV-1 감염된 CEM-SS 세포에서 CPE를 28.5% 감소시켰고, 펩티드 배합물 (1.50 몰 펩티드 1 및 0.50 몰<br />

펩티드 2)은 HIV-1 감염된 CEM-SS 세포에서 CPE를 36.3% 감소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br />

은 이들 인간 간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에 어떠한 유의적인 저해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br />

얻은 데이터의 선택성 및 특이성을 다음 실시예에서 시험하였다.<br />

실시예 2:<br />

HBV 실험 검정 시스템<br />

HepG2-2.2.15는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ayw 균주 게놈 (ATCC Cat. No. CRL-1<strong>19</strong>97)을 포함하는 안정한 세포주<br />

이다. 바이러스 복제의 후기 단계, 예컨대 전사, 번역, 프리게놈 인캡시데이션 (pregenome encapsidation), 역<br />

전사, 입자 조립 및 방출을 블로킹하는 항바이러스성 화합물을 이러한 세포주를 사용하여, 동정하고 특성화할<br />

수 있다. 본 검정에서, 활성 화합물은 세포로부터 분비된 HBV의 생성을 감소시킬 것이며, 이는 HBV DNA 카피를<br />

직접 정확히 측정하도록 실시간 정량적 PCR (TaqMan) 검정을 이용함으로써 측정된다. 이 데이터의 분석에<br />

의해, 다음을 계산할 수 있다:<br />

* 항바이러스 활성<br />

* 화합물 세포독성<br />

HepG2-2.2.15 세포를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평판 배양하였다. 16 내지 24 시간 후에, 이중 실험으<br />

로, HepG2-2.2.15 세포의 융합성 단층을 세척하고, 배지를 테스트 펩티드 - 10 ㎍/ml를 함유하는 완전 배지로<br />

교체하였다. 라미부딘 (3TC)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고, 배지 단독을 음성 대조군 (바이러스 대조군)으로<br />

서 세포에 첨가하였다. 3일 후에, 배지를 펩티드를 함유하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펩티드의 초기 투여<br />

6일 후에, 세포 배양 상청액을 수집하여, 프로나아제 및 DNA 분해 효소로 처리한 다음에, 실시간 정량적 TaqMan<br />

PCR 검정에 사용하였다. 증폭된 HBV DNA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소광된 (quenched) 형광 프로브 분자의 엑소핵<br />

산 분해 (exonucleolytic degradation)로부터 발생된 형광 시그널 증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PCR로 증폭된 HBV<br />

DNA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였다. 각각의 PCR 증폭에 관해서는, 정제된 HBV DNA의 희석물을 사용하여, 표준곡선을<br />

동시에 형성시켰다. 항바이러스 활성을 HBV DNA 레벨 (% 바이러스 대조군) 감소량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그 다<br />

음에, 신규 염료 흡수 (uptake) 검정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으며, 이는 독성 (% 세포 대조군)을 계<br />

산하는데 사용된다.<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HBV 실험 결과: 펩티드 1은 바이러스 대조 감염에 비해 HBV 복제를 43.4% 저해하였다. 펩티드 2는 바이러스 대<br />

조 감염에 비해 HBV 복제를 21.7% 저해하였다. 펩티드 배합물 (0.95 몰 펩티드 1 및 1.05 몰 펩티드 2)은 바이<br />

- 73 -


[0380]<br />

[0381]<br />

[0382]<br />

[0383]<br />

[0384]<br />

[0385]<br />

[0386]<br />

[0387]<br />

[0388]<br />

[0389]<br />

[0390]<br />

러스 대조 감염에 비해 HBV 복제를 32% 저해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이들 인간 간 세포에서 세포 생<br />

존성에 어떠한 유의적인 저해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3:<br />

HCMV 실험 검정 시스템<br />

MRC-5 세포 (인간 태아 폐 섬유아세포)를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br />

(ATCC CCL-171; Rockville, Maryland))에서 얻어, 10% 소 태아 혈청 (FBS), 0.1 mM 비필수 아미노산, 1.0 mM<br />

피루브산나트륨, 2.0 mM L-글루타민,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마이신이 추가된 이글<br />

(Eagle) BSS (EMEM)를 함유하는 이글 최소 필수 배지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를 주당 2회 1:2로 분할하였다.<br />

HCMV 균주 AD169을 ATCC (ATCC VR-538)로부터 얻었다. 2% FBS를 함유하는 MRC-5 성장 배지에서 최소 감염 다<br />

중도로 80% 융합성 MRC-5 세포를 감염시킴으로써, 바이러스 스톡을 준비하였다. 90% 내지 95%의 바이러스 세포<br />

변성 효과 (CPE)가 관찰될 때까지 (10 내지 13일), 단층을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에, 배지를<br />

세포로부터 수집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하도록 저 속도로 원심분리하고, 1 ml 용적으로 등분하여, 스톡 바이러<br />

스로서 -80℃로 보관하였다.<br />

MRC-5 세포를 MRC-5 성장 배지를 사용하여, 24 웰 플레이트에서 75,000 세포/웰로 시딩하였다. 플레이트를 37<br />

℃, 5% CO2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HCMV의 100개의 플라크 형성 단위<br />

(pfu)를 웰에 추가하였다. 바이러스를 37℃, 5% CO2에서 1 시간 동안 세포에 흡착시켰다. 펩티드를 0.5% 메틸<br />

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애세이 배지에서 10 ㎍/ml로 희석하였다. 배양 시간 후에, 바이러스 접종원을 흡인하지<br />

않고서, 각 펩티드 용액 1 ml를 웰에 가하였다. 플레이트를 플라크 형성을 위해 7 내지 10일간 배양하였다.<br />

간시클로비르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배양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독성을 나타내었다. 배지를<br />

웰로부터 흡인하고, 세포를 고정시켜, 크리스탈 바이올렛을 함유하는 20% 메탄올을 사용하여 염색한 다음에, 현<br />

미경 검사에 의해 플라크 계수를 행하였다.<br />

세포독성 시험에 관해서는, MRC-5 세포를 성장 배지를 사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서 2,500 세포/웰로 시딩하였<br />

다. 플레이트를 37℃, 5% CO2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날, 펩티드를 가해, 이중으로 테스트하였<br />

다. 6일간의 배양 시간 후에, 세포 생존율을 셀타이터 (CellTiter) 96 솔루션 (Solution) (Promega)를 사용<br />

하여 측정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추가로 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접착 플레이트 시일러를 리드 대신에<br />

사용하고, 시일링된 플레이트를 수회 전도시켜, 가용성 포르마잔 생성물을 혼합하고, 몰레큘러 디바이스 Vmax<br />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를 490/560 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리딩하였다.<br />

항바이러스 활성의 예상 레벨을 나타내는 양성 대조군 화합물 간시클로비르의 평가에 기초한 전체 검정 성능은<br />

유효하였다.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있어서의 세포의 거시적 관찰에 의해, MTS 대사성 염료로 세<br />

포 염색을 행하여 얻어진 세포독성 결과를 확인하였다.<br />

HCMV 검정 결과: 펩티드 1 및 2는 바이러스 대조 실험에 비해 HCMV 플라크 형성을 저해하지 않았다. 펩티드 배<br />

합물은 상승 효과를 제공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이들 인간 폐 세포에서 세포 생존성에 어떠한<br />

유의적인 저해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4:<br />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MRSA) 검정<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깨끗한 U-바텀 (bottom)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성 검정을 행하였다. 양이온으로 조<br />

절된 뮬러-힌톤 배지 (Cation-adjusted Mueller-Hinton Broth (MHB))를 MRSA를 테스트하는데 사용하였다. 이<br />

중 실험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각 0.1 ml - 10 ㎍/ml)를 웰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에, 웰에 5 × 10 5<br />

CFU/mL<br />

MRSA를 0.1 ml 용적으로 접종시켰다. 대조군용으로, 각 플레이트는 세균 접종원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br />

4개의 웰 및 접종원을 함유하나, 펩티드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을 포함하였다. 플레이트를 37<br />

℃에서 <strong>12</strong>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 후 18 내지 24 시간 동안 육안으로 리딩하였다. 처음에 MRSA의 성장 조절<br />

을 조사하여, 배지 준비물 및 성장 조건의 적합성을 결정하였다. 허용 성장은 각 샘플 웰의 저부에서 세포의<br />

- 74 -


[0391]<br />

[0392]<br />

[0393]<br />

[0394]<br />

[0395]<br />

[0396]<br />

[0397]<br />

[0398]<br />

[0399]<br />

[0400]<br />

[0401]<br />

[0402]<br />

≥ 2 mm 폭 버턴 (button) 또는 배양 상청액의 명백한 탁도로서 정의된다. 테스트 웰을 조사하여, 활성에 대하<br />

여 포지티브/네가티브 스코어를 결정하였다.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스코어는 테스트 MRSA의 거시적 성장의 완<br />

전 저해를 기초로 한다.<br />

MRSA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MRSA의 증식에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5:<br />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검정<br />

깨끗한 U-바텀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성 검정을 행하였다. 양이온으로 조절된 뮬러-<br />

힌톤 배지 (MHB)를 녹농균을 테스트하는데 사용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각 0.1 ml - 10 ㎍<br />

/ml)를 웰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에, 웰에 5 × 10 5<br />

CFU/mL 녹농균을 0.1 ml 용적으로 접종시켰다. 대조군용<br />

으로, 각 플레이트는 세균 접종원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 및 접종원을 함유하나, 펩티드를 함유<br />

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을 포함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strong>12</strong>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 후 18 내지<br />

24 시간 동안 육안으로 리딩하였다. 처음에 녹농균의 성장 조절을 조사하여, 배지 준비물 및 성장 조건의 적합<br />

성을 결정하였다. 허용 성장은 각 샘플 웰의 저부에서 세포의 ≥ 2 mm 폭 버턴 또는 배양 상청액의 명백한 탁<br />

도로서 정의된다. 테스트 웰을 조사하여, 활성에 대하여 포지티브/네가티브 스코어를 결정하였다. 활성에 대<br />

한 포지티브 스코어는 테스트 녹농균의 거시적 성장의 완전 저해를 기초로 한다.<br />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녹농균 (Pseudomonas<br />

aeruginosa) 증식에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6:<br />

폐렴 연쇄상 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e) 검정<br />

깨끗한 U-바텀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성 검정을 행하였다. 양이온으로 조절된 뮬러-<br />

힌톤 배지 (MHB)를 폐렴 연쇄상 구균을 테스트하는데 사용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각 0.1<br />

ml - 10 ㎍/ml)를 웰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에, 웰에 5 × 10 5<br />

CFU/mL 폐렴 연쇄상 구균을 0.1 ml 용적으로 접<br />

종시켰다. 대조군용으로, 각 플레이트는 세균 접종원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 및 접종원을 함유<br />

하나, 펩티드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을 포함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strong>12</strong> 시간 동안 배양하<br />

여, 배양 후 18 내지 24 시간 동안 육안으로 리딩하였다. 처음에 폐렴 연쇄상 구균의 성장 조절을 조사하여,<br />

배지 준비물 및 성장 조건의 적합성을 결정하였다. 허용 성장은 각 샘플 웰의 저부에서 세포의 ≥ 2 mm 폭 버<br />

턴 또는 배양 상청액의 명백한 탁도로서 정의된다. 테스트 웰을 조사하여, 활성에 대하여 포지티브/네가티브<br />

스코어를 결정하였다.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스코어는 테스트 폐렴 연쇄상 구균의 거시적 성장의 완전 저해를<br />

기초로 한다.<br />

폐렴 연쇄상 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e) 검정 결과: 펩티드 1은 폐렴 연쇄상 구균 (Streptococcus<br />

pneumoniae) 증식을 100% 저해하였다. 펩티드 2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펩티드 배합물은 폐렴 연쇄상 구균<br />

(Streptococcus pneumoniae) 증식에 유의적인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7:<br />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검정<br />

깨끗한 U-바텀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성 검정을 행하였다. 미들브룩 (Middlebrook)<br />

7H<strong>12</strong> 애세이 배지를 약제 내성 결핵균을 테스트하는데 사용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각 0.1<br />

ml - 10 ㎍/ml)를 웰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에, 웰에 5 × 10 5<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CFU/mL 결핵균을 0.1 ml 용적으로 접종시켰다.<br />

대조군용으로, 각 플레이트는 세균 접종원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 및 접종원을 함유하나, 펩티<br />

드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을 포함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7일간 배양하여, 그 후에 육안<br />

으로 리딩하였다. 처음에 결핵균의 성장 조절을 조사하여, 배지 준비물 및 성장 조건의 적합성을 결정하였다.<br />

- 75 -


[0403]<br />

[0404]<br />

[0405]<br />

[0406]<br />

[0407]<br />

[0408]<br />

[0409]<br />

[0410]<br />

[0411]<br />

[04<strong>12</strong>]<br />

[0413]<br />

허용 성장은 각 샘플 웰의 저부에서 세포의 ≥ 2 mm 폭 버턴 또는 배양 상청액의 명백한 탁도로서 정의된다.<br />

테스트 웰을 조사하여, 활성에 대하여 포지티브/네가티브 스코어를 결정하였다.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스코어<br />

는 테스트 결핵균의 거시적 성장의 완전 저해를 기초로 한다. 검정에 사용된 약제 내성 결핵균은 하기 약제에<br />

대한 내성을 나타낸다: 파라-아미노살리실산 (PAS), 스트렙토마이신 및 이소니아지드 (INH).<br />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결핵균<br />

(Mycobacterium tuberculosis) 증식에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8:<br />

세포 주기 분석<br />

인간 A549 세포 (인간 폐포암 기저 상피 세포 (carcinomic human alveolar basal epithelial cell))를 요오드<br />

화프로피듐 (Propidium iodide) 세포 주기 검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진핵 세포 주기는 세포에서 이의 복제에<br />

이르기 위해 일어나는 일련의 이벤트이다.<br />

세포 주기 조절은 유전자 손상 검출 및 복구, 및 제어되지 않은 세포 분열을 방지하는 각종 체크의 공급을 포함<br />

한, 세포에 매우 중요한 단계를 포함한다. 세포 주기를 제어하는 분자 이벤트는 정해져 있고 방향성을 나타내<br />

며; 즉, 각 프로세스는 순차적으로 일어난다.<br />

세포 주기는 4개의 상이한 기: G1 기, S 기, G2 기 (일괄하여, 간기로서 알려짐) 및 M 기로 구성된다. M 기는<br />

그 자체가 2개의 밀접하게 연관된 프로세스: 세포 염색체가 2개의 딸세포 사이에 분배되는 유사 분열, 및 세포<br />

질이 분할하여 상이한 세포를 형성하는 세포질 분열로 구성된다. 각 기의 활성화는 적절한 진행 및 이전 기의<br />

완료에 의존한다. 분열이 일시적으로 또는 가역적으로 정지된 세포는 G0 기로 불리우는 휴지 상태에 들어간 것<br />

이라 한다. 비교적 짧은 M 기는 핵분열 및 세포질 분열로 구성된다. 이전의 M 기의 말기에서 DNA 합성 초기까<br />

지의 간기 내의 제 1 기는 G1 (G는 갭 또는 성장을 나타냄)으로 불리운다. 이러한 기 동안에, 세포의 생합성<br />

활성이 고 비율로 재개된다. 이 기는 S 기에 요구되는 각종 효소, 주로 DNA 복제에 필요한 효소의 합성을 특징<br />

으로 한다. 그 다음의 S 기는 DNA 합성이 시작될 때에 개시되며; 완료될 때에, 모든 염색체가 복제된다. 그<br />

다음에, 세포는 G2 기에 들어가서, 세포가 유사분열에 들어갈 때까지 지속된다. 주로 유사분열 과정시에 요구되<br />

는 미소관의 생산을 포함하여, 상당한 단백질 합성이 이 기 동안에 일어난다. G2 기 동안의 단백질 합성 저해에<br />

의해, 세포가 유사분열을 행하는 것을 저지한다. 세포 주기 성분의 조절 이상 (disregulation)에 의해, 종양<br />

형성을 유발할 수 있다.<br />

요오드화프로피듐은 DNA를 염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형광 분자 및 삽입제이다. 세포를 테스트 펩티드 - 10<br />

㎍/ml를 사용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거나 미처리 상태로 두었다. 그 후에,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배지 +<br />

10% FCS에 현탁시켜, 원심분리하고 (1000 rpm, 5 분), 세포 펠릿을 PBS (1 ml)에 재현탁시켰다. 세포를 2.5<br />

ml 무수 EtOH에 피펫하여 (최종 농도 약 70%), 얼음에서 15 분간 배양하였다. 그 후에, 세포를 1500 rpm에서 5<br />

분간 처리하여 펠릿을 만들어, PBS 중의 요오드화프로피듐 용액에 재현탁시켰다. 37℃에서 40 분간 배양한 후<br />

에, 세포를 FACS에서 검정하였다.<br />

세포 주기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시험한 인간 폐 세포의 세포 주기에 저해 또는 불<br />

규칙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9:<br />

T 세포 증식 검정<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를 정상 인간 공여자로부터 얻었다. T 세포 증식 반응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br />

기 위하여, 테스트 펩티드 - 10 ㎍/ml의 부재하에 (양성 증식 대조군) 또는 이의 존재하에 T 세포 미토겐 피토<br />

헤마글루티닌 (PHA)으로 세포를 자극하여, T 세포 증식을 유도하였다. 10 5<br />

/웰 PBMC를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br />

레이트에 평판 플레이트하고, 펩티드로 이중으로 검정하였다. 세포 배양물을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7℃에서<br />

3일간 배양한 후에, 추가로 <strong>12</strong> 시간 배양하면서 1 microCi/웰 3<br />

H-티미딘으로 펄스하였다. 배양 시간 종료시에,<br />

- 76 -


[0414]<br />

[0415]<br />

[0416]<br />

[0417]<br />

[0418]<br />

[04<strong>19</strong>]<br />

[0420]<br />

[0421]<br />

[0422]<br />

[0423]<br />

[0424]<br />

[0425]<br />

[0426]<br />

[0427]<br />

[0428]<br />

[0429]<br />

플레이트를 수확하고, T 세포 증식 평가 기준으로서 세포에의 3<br />

H-티미딘의 혼입을 액체 신틸레이션에 의해 카운<br />

트하였다.<br />

T 세포 증식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특이적으로 자극된 인간 T-세포의 증식에 유의적<br />

인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10:<br />

B 세포 증식 검정<br />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를 정상 인간 공여자로부터 얻었다. B 세포 반응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br />

하여, 테스트 펩티드 - 10 ㎍/ml의 부재하에 (양성 증식 대조군) 또는 이의 존재하에 B 세포 미토겐 황색 포도<br />

상구균 Cowans I (SAC) + 인터루킨-2로 세포를 자극하여, B 세포 증식을 유도하였다. 10 5<br />

/웰 PBMC를 96 웰 마<br />

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평판 배양하고, 펩티드로 이중으로 검정하였다. 세포 배양물을 5% CO2 인큐베이터에서<br />

37℃에서 3일간 배양한 후에, 추가로 <strong>12</strong> 시간 배양하면서 1 microCi/웰 3<br />

H-티미딘으로 펄스하였다. 배양 시간<br />

종료시에, 플레이트를 수확하고, B 세포 증식 평가 기준으로서 세포에의 3<br />

H-티미딘의 혼입을 액체 신틸레이션에<br />

의해 카운트하였다.<br />

B 세포 증식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특이적으로 자극된 인간 B-세포의 증식에 유의적<br />

인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11:<br />

식작용 검정<br />

RAW 264.7 (마우스 백혈병 단핵세포 대식세포 세포주) 세포를 ATCC로부터 얻어, 10% FBS를 함유하는 RPMI 1640<br />

배지에서 성장시켰다. 섭취될 병원체로서 플루오레세인 표지 대장균을 첨가하기 전에, 37℃에서 30분간 테스트<br />

펩티드 - 10 ㎍/ml로 <strong>12</strong> × 75 mm 튜브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를 37℃에서 추가로 60분간 배양하여, 플<br />

루오레세인 표지 대장균을 섭취하게 한 후에, 세포를 1%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시켰다. 그 다음에, 샘플을<br />

플로사이토메트리로 분석하여, 휘도 함수로서 식작용의 양을 측정하였다 (식작용 활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대식<br />

세포 집단의 형광성이 높아진다). 양성 염색된 세포의 % 양성 평균 형광 강도 (MFI)로서 데이터를 나타낸다.<br />

식작용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뮤린 대식세포의 식작용 활성에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br />

않았다.<br />

실시예 <strong>12</strong>:<br />

아폽토시스 유도 검정<br />

인간 A549 세포 (인간 폐포암 기저 상피 세포)를 아넥신-5 아폽토시스 검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넥신-5는 칼<br />

슘 의존적으로 산성 인지질에 결합하는 고도로 보존된 단백질 패밀리의 멤버이다. 아넥신-5는 포스파티딜세린<br />

에 대하여 고친화성을 갖는다. 포스파티딜세린은 세포가 아폽토시스 또는 세포 괴사에 의한 사멸을 겪는 경우<br />

에 원형질막의 내측에서 외층으로 전위되며, 이는 사멸될 세포가 식세포에 의해 인지되는 시그널로서 작용한다.<br />

아폽토시스 사인 (sign)을 분석하기 전에, 테스트 펩티드 - 10 ㎍/ml를 A549 세포에 24 시간 노출시켰다.<br />

아폽토시스 유도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인간 폐 세포상에서 아폽토시스를 유의적으<br />

로 유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br />

실시예 13:<br />

아폽토시스 예방 검정<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인간 A549 세포 (인간 폐포암 기저 상피 세포)를 아넥신-5 아폽토시스 검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넥신-5는 칼<br />

- 77 -


[0430]<br />

[0431]<br />

[0432]<br />

[0433]<br />

[0434]<br />

[0435]<br />

[0436]<br />

[0437]<br />

[0438]<br />

[0439]<br />

[0440]<br />

[0441]<br />

슘 의존적으로 산성 인지질에 결합하는 고도로 보존된 단백질 패밀리의 멤버이다. 아넥신-5는 포스파티딜세린<br />

에 대하여 고친화성을 갖는다. 포스파티딜세린은 세포가 아폽토시스 또는 세포 괴사에 의한 사멸을 겪는 경우<br />

에 원형질막의 내측에서 외층으로 전위되며, 이는 사멸될 세포가 식세포에 의해 인지되는 시그널로서 작용한다.<br />

A549 세포를 테스트 펩티드 - 10 ㎍/ml로 30분간 전처리한 다음에, C2 세라마이드에 노출시켰다. 세라마이드는<br />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MAPK) 및 스트레스 활성화 키나아제 (JNK/SAPK)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 아폽토<br />

시스를 매개한다. C2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의 막 가용성 합성 유사체이다.<br />

아폽토시스 예방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인간 폐 세포상의 세라마이드-유도 아폽토시<br />

스에 대해 유의적인 보호를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14:<br />

Th1/Th2 사이토카인 프로파일링 검정<br />

Balb/c 마우스 (<strong>19</strong>23년에 유래된 일반적인 균주로, 다수의 상이한 리서치 분야에 사용됨. 또한 20회 이상의 상<br />

이한 연속 형매 교배 (brother-sister mating) 생산에 의한 동종 교배로서 분류됨, Balb/c 마우스는 알비노로<br />

사이즈가 작음)를 PBS (5 ㎍/인젝션) 중의 오발부민 (오발부민은 통상 테스트 동물의 면역 반응을 자극시키는데<br />

사용되는, 난백에서 발견되는 주요 단백질임)으로 1, 15, 및 29일째에 면역화시켰다. 50일째에, 마우스의 비장<br />

을 채취하였다 (오발부민으로 최후 부스트 (boost) 3주 후에). 세포를 배양하여 (2 × 10 5<br />

/웰, 삼중 실험), 배<br />

지 또는 테스트 펩티드 - 10 ㎍/ml로 30분간 배양하였다. 그 후에, 추가의 오발부민을 세포의 시험관 내에서의<br />

재자극을 위해 10 ㎍/ml으로 세포에 가하였다. 72 시간 후에, 세포 상청액을 채취하여, 벡톤 디킨슨 (Becton<br />

Dickinson) 마우스 Th1/Th2 사이토카인 CBA 키트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이 키트는 단일 샘플 중의 인터루킨-<br />

2 (IL-2), 인터루킨-4 (IL-4), 인터루킨-5 (IL-5), 인터페론-γ (IFN-γ), 및 종양괴사인자-α (TNF-α) 단백<br />

질 레벨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키트 성능은 조직 배양 상청액 및 혈청 샘플 중의 특이적 사이토카인<br />

단백질의 생리적으로 상응하는 농도 (pg/ml 레벨)의 분석에 최적화되어 있다.<br />

Th1/Th2 사이토카인 검정 결과: 펩티드 1은 뮤린의 비장 세포에서 TNF-α 생성을 21.2%, IL-2 생성을 106.5%,<br />

IL-4 생성을 117.8% 유도하였고, IFN-γ 및 IL-5 생성을 유의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았다. 펩티드 2는 뮤린의 비<br />

장 세포에서 IFN-γ 생성을 38% 감소시켰고, IL-2 생성을 35.5%, IL-4 생성을 43.8% 증가시켰으며, TNF-알파<br />

및 IL-5 생성을 유의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았다. 펩티드 배합물 (0.95 몰 펩티드 1 및 1.05 몰 펩티드 2)은 뮤린<br />

비장 세포에서 IL-2 생성을 72% 증가시켰고, IL-4 생성을 84% 증가시켰으며, TNF-알파, IFN-γ 및 IL-5의 생성<br />

을 유의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았다.<br />

실시예 15:<br />

TNF 알파 생성 검정<br />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를 정상 인간 공여자로부터 얻었다. 플레이트의 플라스틱 웰에 PBMC을 부착시<br />

켜, 대식세포를 준비하였다. 2 ng/ml의 재조합 인간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의 존재하에 8일 배양한 후, 분<br />

화된 대식세포를 테스트 펩티드 - 10 ㎍/ml와 함께 30분간 전배양한 다음에, 200 ng/ml의 최종 농도로 리포폴리<br />

사카라이드를 첨가하여, 인웰 자극 (in-well stimulation)을 유도하였다. 자극되지 않은 대식세포를 음성 백그<br />

라운드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하룻밤 동안의 배양 후에, 대조군 및 LPS로 자극된 배양물의 상청액을 채취<br />

하여, TNF 알파 특이적 ELISA를 이용하여 TNF 알파 생성을 검정하였다.<br />

TNF 알파 검정 결과: 본 발명의 펩티드 및 펩티드 배합물은 인간 대식세포에서 LPS-유도 TNF-알파 생성을 유의<br />

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았다.<br />

실시예 16:<br />

내피세포 이동 검정<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br />

내피세포 이동은 혈관 형성의 온사이트 (on-site) 동원에 불가결한 신혈관 형성 또는 혈관 신생 과정의 필요조<br />

건이다. 일차 인간 내피세포 (HUVEC)를 0.1% 소 혈청 알부민이 추가된 내피세포 기초 배지 (EBM)에서 37℃에서<br />

- 78 -


[0442]<br />

[0443]<br />

[0444]<br />

[0445]<br />

[0446]<br />

[0447]<br />

[0448]<br />

[0449]<br />

[0450]<br />

[0451]<br />

[0452]<br />

[0453]<br />

[0454]<br />

[0455]<br />

[0456]<br />

6 시간 동안 멀티트랜스웰 (multi-transwell) 플레이트의 3 ㎛의 세공 직경을 갖는 인서트 챔버에 시딩하였다.<br />

그 후에, 이중 실험으로, 지정 농도의 테스트 펩티드 - 10 ㎍/ml를 웰에 가하였다. 내피세포를 37℃에서 22 시<br />

간 동안 이동시킨 다음에, 이동된 세포를 고정시켜, 훽스트 (Hoechst) 33342 염료로 염색시켰다. 인서트 당 3<br />

개 필드의 이미지를 취해, 필드 당 이동된 세포수를 ImageProPlu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각 처<br />

리 조건에 있어서, 6개의 데이터 포인트의 표준편차 및 이동된 세포의 평균수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br />

HUVEC 이동에 대한 활성 테스트 펩티드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동된 세포의 50% 저해율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br />

통계적 p 값을 스튜던트 t-테스트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br />

내피 세포 이동 검정 결과: 펩티드 1은 인간 내피 세포의 이동을 <strong>12</strong>% 저해하였고, 펩티드 2는 내피 세포의 이동<br />

을 24% 저해하였고, 펩티드 배합물 (펩티드 1:펩티드 2(1.10몰:0.90몰))은 인간 내피 세포의 이동 저해에 어떠<br />

한 상승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17:<br />

내피세포관 형성 검정<br />

내피세포관 형성 검정은 기저막 추출물의 겔에 배양하는 경우의 삼차원 모세혈관과 유사한 관상 구조를 형성하<br />

는 내피세포의 능력에 기초한다. 내피세포관 형성 검정은 혈관 신생의 저해 및 유도를 조사하기 위한 강력한<br />

모델을 나타낸다. 칼세인 AM으로 사전 표지된 HUVEC를 세포외 기질 (Chemicon international Cat. ECM625)로<br />

코팅된 96 웰 배양 플레이트에 시딩하여, 풀 (full) 성장 배지에서 테스트 펩티드 - 10 ㎍/ml로 처리하였다.<br />

양성 대조군은 비히클 단독이었다. 내피세포를 20 시간 동안 관을 형성시킨 다음에, 도립 형광현미경하에 조사<br />

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각 처리에 대한 웰을 촬영하여,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ImageProPlus를 이용하여 평<br />

균 세관 길이를 정량적으로 검정하였다. 원 데이터를 픽셀로 나타낸 평균 소관 길이 ±표준편차로서 나타내었<br />

다. 통계적 p 값을 스튜던트 t-테스트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br />

내피세포관 형성 검정 결과: 펩티드 1은 인간 내피세포관 형성을 10% 저해하였고, 펩티드 2는 내피세포관 형성<br />

을 10% 저해하였으며, 펩티드 배합물 (펩티드 1:펩티드 2 (1.10몰:0.90몰)은 인간 내피세포관 형성 저해에 어떠<br />

한 상승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br />

실시예 18:<br />

모유 제제<br />

모유 또는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모유 대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WO03043429, US5962062, WO0030461,<br />

EP0527283, EP0832565에 기재되어 있다.<br />

인공 모유 또는 모유 대용품 제제의 일례는 하기에 주어지며, 상술한 참고문헌에 개시된 다른 제제도 사용될 수<br />

있고,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br />

밀크 대용품은 탈지 밀크 고형분 약 15 중량%, 탈염수 약 75 중량%, 대두유 약 9 중량%, 카라기네이트<br />

(carrageenate) 약 0.02 중량%, 레시틴 0.2 중량%, 및 인산일수소이나트륨 약 0.2 중량%를 함유한다.<br />

제 1 단계에서, 가용화 수성 배지를 제조하며, 이는 물 약 75 중량%, 카라기네이트 약 0.02 중량% 및 인산일수<br />

소이나트륨 약 0.2 중량%를 포함한다.<br />

그 다음에, 탈지 분유를 60℃에서 10 분간 용액에 가해, 액체 중에 용해시킨다.<br />

그 다음에, 60℃에서 대두유 및 레시틴을 밀크 대용품 조성물에 가한다. 밀크 조성물을 55℃에서 30분간 정치<br />

시킨다. 저온 살균 후에, 본 발명의 펩티드 1을 액체 또는 분말 형태로 가하여, 얻어진 밀크 조성물이 밀크 조<br />

성물 100 ml 당 5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의 양이 포함되도록 한다. 임의로 펩티드 2가 얻어진<br />

조성물과 비슷하거나 더 적은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br />

실시예 <strong>19</strong>:<br />

겔 제제<br />

- 79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0457]<br />

[0458]<br />

[0459]<br />

[0460]<br />

[0461]<br />

[0462]<br />

[0463]<br />

[0464]<br />

[0465]<br />

[0466]<br />

[0467]<br />

[0468]<br />

펩티드 1 0.5 g<br />

이소프로판올 1.6 g<br />

글리세롤 1.0 g<br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strong>12</strong>500 (플루로닉 F<strong>12</strong>7) 1.6 g<br />

물 5.3 g을 10 분간 혼합한 다음에, 연속 교반하에 85℃로 15분간 가열하였다. 용액을 교반하에 실온으로 냉각<br />

시킨다. 냉각 단계시에, 용액은 약 45℃의 온도에서 겔화되기 시작하여, 투명 겔을 형성한다. 겔은 의료용 펩<br />

티드 배합물을 5% 함유한다. 임의로, 펩티드 2가 0.01 내지 0.5 g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br />

실시예 20:<br />

로션 제제<br />

펩티드 1 0.5 g<br />

이소프로판올 1.9 g<br />

디메틸이소소르바이드 1.0 g<br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strong>12</strong>500 (플루로닉 F<strong>12</strong>7) 1.0 g<br />

물 5.6 g을 투명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5O℃에서 교반, 가열시킨다. 그 다음에, 조성물을 교반하에 실온으로<br />

냉각시킨다. 로션은 의료용 펩티드 배합물을 5% 함유한다. 임의로, 펩티드 2가 0.01 내지 0.5 g의 양으로 첨가<br />

될 수 있다.<br />

서 열 목 록<br />

SEQUENCE LISTING<br />

mondoBIOTECH Laboratories AG<br />

Use of a peptide as a therapeutic agent<br />

MON-P02563WO<br />

PCT/EP2008/007456<br />

2008-09-09<br />

EP07017766.2<br />

2007-09-11<br />

2<br />

PatentIn version 3.3<br />

1<br />

13<br />

PRT<br />

Homo sapiens<br />

1<br />

His Ser Leu Gly Lys Trp Leu Gly His Pro Asp Lys Phe<br />

1 5 10<br />

- 80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2<br />

15<br />

PRT<br />

Homo sapiens<br />

2<br />

Pro Gly Thr Cys Glu Ile Cys Ala Tyr Ala Ala Cys Thr Gly Cys<br />

1 5 10 15<br />

- 81 -<br />

공개특허 10-2010-0061476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