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근소만에서</strong> <strong>영양염의</strong> <strong>조석</strong> <strong>및</strong> <strong>계절</strong> <strong>변화</strong><br />

<strong>서해</strong> *·김경희 김동선<br />

and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Keunso Bay,<br />

Tidal<br />

Yellow Sea<br />

the<br />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ORDI<br />

Marine<br />

P.O. Box 29, Seoul 425-600, Korea<br />

Ansan<br />

: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intertidal sediments on nutrient cycle in coastal environment, we<br />

Abstract<br />

ammonia,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concentrations every hour during at least 12 hours in the<br />

measured<br />

of Keunso Bay during four seasons. The content of ammonia and silicate do not change<br />

entrance<br />

with season, but nitrate shows large seasonal variation. In summer, nitrate concentration was<br />

considerably<br />

lower than in other seasons, which resulted from large biological uptake and active denitrification in<br />

much<br />

sediments during summer. Phosphate also exhibit seasonal variations, but not that large like<br />

intertidal<br />

N/P and N/Si ratios were lower in summer than in other seasons, which was due to active<br />

nitrate.<br />

in the intertidal sediments during summer. For all seasons, ammonia concentrations were<br />

denitrification<br />

at low tide than at high tide, but nitrate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high tide. Dissolved inorganic<br />

higher<br />

concentrations measured in spring, summer, and winter were higher at high tide than at low tide,<br />

nitrogen<br />

in fall, they were higher at low tide than at high tide. For spring and winter, phosphate and silicate<br />

but<br />

were higher at low tide than at high tide, while in summer and fall, they were higher at high<br />

concentrations<br />

than at low tide. In Keunso Bay, intertidal sediments affect significantly the nutrient cycle around the<br />

tide<br />

areas. The intertidal sediments act as a source for ammonia and silicate, but as a sink for nitrate.<br />

coastal<br />

유기물 분해가 매우 활발히 일어나는 곳이다(Jickells<br />

문에<br />

Rae 1997; Alongi et al. 1999). 따라서 갯벌에서 유기<br />

and<br />

분해는 다른 연안 환경에 비해 보다 활발히 일어나며,<br />

물<br />

분해에 따른 <strong>영양염의</strong> 생성도 다른 연안 환경보다<br />

유기물<br />

그리고 갯벌은 저서 규조류의 매트(mat)가 발견될<br />

많다.<br />

저서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biomass)과 생산성<br />

정도로<br />

and Zingmark 1993). 또한, 갯벌퇴적물에서는<br />

(Pinckney<br />

의해 질산염이 질소가스로<br />

탈질소화작용(denitrification)에<br />

Vol. 30(1):1-10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Article<br />

해양환경연구본부<br />

한국해양연구원<br />

경기도 안산시 안산우체국 사서함 29<br />

(425-600)<br />

Dongseon Kim *<br />

and Kyung Hee Kim<br />

However, phosphate is not considerably influenced by intertidal sediments.<br />

Key words : nutrients, tidal and seasonal variations, Keunso Bay<br />

서 론<br />

1.<br />

유기물 분해에 의한 영양염 생성, 저서 식물플<br />

갯벌은<br />

의한 영양염 섭취, 탈질소화작용에 의한 질산염<br />

랑크톤에<br />

등과 같은 다양한 과정을 통해 연안해역의 영양염<br />

제거<br />

상당히 큰 영향을 끼친다. 갯벌은 주기적으로 대기<br />

순환에<br />

노출되어 퇴적물 온도<strong>변화</strong>가 매우 크고, 육상과 바<br />

중으로<br />

매우 큰 곳이기 때문에 저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영<br />

이<br />

섭취가 활발히 일어나 영양염이 제거되는 환경이다<br />

양염<br />

로 인접해 있어 육상으로부터 유기물이 직접 유입되기 때<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dkim@kordi.re.kr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br />

끼치는지를<br />

많은 연구자들은 갯벌퇴적물에서 <strong>영양염의</strong> 저<br />

최근까지<br />

flux)를 퇴적물 공극수에서의 영양염 농<br />

층플럭스(benthic<br />

수직분포로부터 Fick의 확산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br />

도의<br />

al. 2006). 갯벌퇴적물에서 <strong>영양염의</strong> 저층플럭스는 수<br />

et<br />

pH, 산화-환원조건(redox condition), 조류에 의한 퇴<br />

온,<br />

Lillebø et al.(2004)은 갯벌퇴적물에서 조류에 의<br />

1999).<br />

퇴적물의 재부유가 <strong>영양염의</strong> 저층플럭스에 매우 큰<br />

한<br />

태안반도에 위치하고 있는 반폐쇄적인(semiclosed)<br />

근소만은<br />

만이다. 근소만은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조<br />

공급원 또는 제거원으로 작용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br />

의<br />

예를 들면, 근소만 입구에서 관측한 영양염 농도가 만<br />

다.<br />

목적은 근소만 입구에서 <strong>조석</strong>과 <strong>계절</strong>에 따른 암모니<br />

구의<br />

질산염 +아질산염(이후로 질산염이라 명칭함), 인산<br />

아,<br />

규산염 등과 같은 <strong>영양염의</strong> <strong>변화</strong>를 파악하여 갯벌퇴적<br />

염,<br />

연안환경의 영양염 순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br />

물이<br />

2 Tid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br />

대기 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질산<br />

환원되어<br />

갯벌에서 제거된다(안 2005; 나와 이 2004). 이와 같<br />

염이<br />

따른 영양염 농도 <strong>변화</strong>를 파악하는 것이 더 바람직<br />

석에<br />

하다.<br />

갯벌에서는 영양염이 생성되기도 하고 제거되기도 하<br />

이<br />

때문에, 갯벌이 연안해역의 영양염 순환에 어떤 영향을<br />

기<br />

대부분의 퇴적물이 공기 중에 드러나는 갯벌로 이루<br />

시에<br />

있으며, 만 주위에 큰 하천이 전혀 없어 육상에서 영<br />

어져<br />

유입량이 많지 않다. 따라서 근소만은 갯벌이 연안해<br />

양염<br />

영양염 순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데<br />

역의<br />

저층챔버(benthic chamber)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br />

거나<br />

농도 <strong>변화</strong>로부터 계산하였다(Mortimer et al.<br />

영양염<br />

적합한 장소이다. 근소만 입구에서 12시간 이상 조<br />

가장<br />

따른 영양염 <strong>변화</strong>를 관측하면, 갯벌퇴적물이 영양염<br />

석에<br />

1999; Laima et al. 2002; Bally et al. 2004; Billerbeck<br />

시보다 간조 시에 높으면, 이것은 만 외부보다 내부해<br />

조<br />

영양염 농도가 높기 때문이므로 갯벌퇴적물이<br />

역에서의<br />

재부유, 유기물 공급, 해수의 화학조성 등 많은 환<br />

적물의<br />

의해 영향을 받는다(Sundareshwar and Morris<br />

경요인에<br />

공급원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영양<br />

<strong>영양염의</strong><br />

농도가 간조 시보다 만조 시에 높으면, 이것은 만 내부<br />

염<br />

외부해역에서의 영양염 농도가 높기 때문이므로 갯<br />

보다<br />

<strong>영양염의</strong> 제거원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본 연<br />

벌퇴적물이<br />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공극수와 저층챔버를 이용<br />

영향을<br />

방법은 조류에 의한 영향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기 때<br />

한<br />

많은 오차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갯벌이 연안해<br />

문에<br />

영양염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br />

역의<br />

저층챔버를 이용하여 <strong>영양염의</strong> 저층플럭스를<br />

공극수와<br />

것보다, 육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갯벌에서 조<br />

측정하는<br />

를 이해하는 것이다.<br />

Fig. 1. Location of the sampling station in Keunso Bay. The hatched area indicates the area exposed at low tide.


2 면적의 반폐쇄성 만이다(Fig. 1). 평균조차는 6m이<br />

km<br />

간조 시 전체 면적의 90% 정도가 대기 중에 노출되고,<br />

며,<br />

근소만은 육상으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하천이 없으<br />

다.<br />

약 2km 폭의 만 입구를 통해 외해역와 내해역의 해수<br />

며,<br />

이루어진다. 교환이<br />

조사는 각 <strong>계절</strong>에 따라 네 차례 수행하였으며,<br />

현장<br />

8월에는 24시간동안, 2006년 10월과 2007년 2월,<br />

2006년<br />

12시간동안 근소만 입구에서 1시간 간격으로 고<br />

5월에는<br />

실시하였다. 암모니아, 질산염+아질산염, 인산<br />

정관측을<br />

규산염 분석을 위한 해수 시료는 표층과 저층에서 니<br />

염,<br />

채수기로 채수하여 GF/F 여과지(Whatman)로 거른<br />

스킨<br />

HgCl 2 를 소량 첨가하여 냉장 보관하였다. 분석은 영양<br />

후,<br />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로 정확도를 검<br />

solution,<br />

두 번 이상 분석을 통하여 얻은 질산염, 인산<br />

정하였다.<br />

염, 규산염의 정밀도는 5% 정도이었으며, 암모니아의 정<br />

2). 표층 암모니아 농도도 봄, 여름, 겨울에는 0.5~<br />

(Fig.<br />

μmol l −1 로 유사한 범위를 나타낸 반면, 가을에는<br />

1.6<br />

μmol l −1 의 범위를 나타내 다른 <strong>계절</strong>에 비해 높았<br />

0.1~3.9<br />

암모니아는 모든 <strong>계절</strong>에서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br />

다.<br />

만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br />

타냈고<br />

농도는 표층과 저층에서 관측한 값들이 모든 계<br />

질산염<br />

질산염은 암모니아와는 정반대로 모든 <strong>계절</strong>에서 만<br />

냈다.<br />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간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br />

조<br />

나타냈다.<br />

inorganic nitrogen)는 암모니아,<br />

용존무기질소(dissolved<br />

질산염, 아질산염을 모두 합한 것을 나타낸다. 용존무기질<br />

2. Ammonia variations with time in Keunso Bay during (a) spring, (b) summer, (c) fall, and (d) winter. Filled<br />

Fig.<br />

indicate the surface and open circles the bottom.<br />

circles<br />

Kim, D. and Kim, K.H. 3<br />

연구 방법<br />

2.<br />

위치한 근소만은 <strong>조석</strong>의 영향을 받는 약 30<br />

태안반도에<br />

밀도는 10% 가량이었다.<br />

결 과<br />

3.<br />

저층에서 관측한 시간<strong>변화</strong>에 따른 암모니아 농<br />

표층과<br />

시에는 2~4 m의 수심을 유지한다. 만 내 퇴적물의<br />

만조<br />

대부분 모래질 실트(sandy silt)로 구성되어 있<br />

퇴적상은<br />

봄, 여름, 겨울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br />

도는<br />

표층보다 저층에서 다소 높은 값들을 나타냈다<br />

을에는<br />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Fig. 3). 표층 질산염<br />

절에서<br />

겨울에 11.5~16.5 μmol l −1 의 범위를 나타내 가장<br />

농도는<br />

여름에는 0.2~1.8 μmol l −1 의 범위를 나타내 가장<br />

높았고<br />

가을에는 4.4~6.0 μmol l −1 로 중간 정도를 나타<br />

낮았으며,<br />

자동분석기(Proxima, Alliance Instruments)를 이용하<br />

염<br />

각각의 측정값은 표준해수시료(CSK standard<br />

였으며,


variations with time in Keunso Bay during (a) spring, (b) summer, (c) fall, and (d) winter. Filled circles<br />

Fig.3.Nitrate<br />

the surface and open circles the bottom.<br />

indicate<br />

용존무기질소는 봄, 여름, 겨울에는 만조 시에<br />

나타냈다.<br />

농도를 나타냈고 간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낸<br />

높은<br />

가을에는 정반대로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br />

반면,<br />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br />

만조<br />

높았다(Fig. 5). 표층 인산염 농도는 겨울에 0.85~1.0<br />

에서<br />

l −1 의 범위를 나타내 가장 높았고 여름에 0.26~0.54<br />

μmol<br />

l −1 로 가장 낮았으며, 봄과 가을에는 0.45~0.85<br />

μmol<br />

l −1 의 범위로 중간 정도를 나타냈다. 표층 인산염은<br />

μmol<br />

않았다.<br />

비율은 <strong>계절</strong>과 <strong>조석</strong>에<br />

질소(용존무기질소)/인(인산염)<br />

여름과 가을에는 Redfield ratio보다 낮았다.<br />

하였지만,<br />

비율은 모든 <strong>계절</strong>에서<br />

질소(용존무기질소)/규소(규산염)<br />

저층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ig. 8). 질소/<br />

표층과<br />

비율은 봄, 여름, 가을에는 만조 시에 높은 값을 나타<br />

규소<br />

4 Tid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br />

농도는 표층과 저층에서 관측한 값들이 봄, 여름, 겨울<br />

소<br />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을에는 표층보다 저<br />

에는<br />

농도는 표층과 저층에서 관측한 값들이 봄과 겨<br />

규산염<br />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여름과 가을에는 간<br />

울에는<br />

다소 높은 값들을 나타냈다(Fig. 4). 표층 용존무기<br />

층에서<br />

농도는 겨울에 12.2~16.9 μmol l −1 의 범위를 나타내<br />

질소<br />

시에만 표층보다 저층에서 다소 높았다(Fig. 6). 표층<br />

조<br />

농도는 모든 <strong>계절</strong>에서 6.0~18 μmol l −1 의 범위를<br />

규산염<br />

높았고 여름에는 0.8~2.7 μmol l −1 의 범위를 나타내<br />

가장<br />

낮았으며, 가을에는 5.8~8.3 μmol l −1 로 중간 정도를<br />

가장<br />

암모니아, 질산염, 인산염과는 달리 <strong>계절</strong>에 따라<br />

나타내<br />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규산염은 봄에는 만조 시<br />

뚜렷한<br />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간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br />

에<br />

반면, 여름과 가을에는 정반대로 간조 시에 높은 농도<br />

낸<br />

나타냈고 만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하지만<br />

를<br />

겨울에는 <strong>조석</strong>에 따라 특별한 <strong>변화</strong>를 나타내지<br />

규산염은<br />

저층에서 관측한 인산염 농도는 봄과 겨울에는<br />

표층과<br />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을에는 표층보다 저층에<br />

큰<br />

다소 높은 값들을 나타냈으며, 여름에는 만조 시에는<br />

서<br />

저층에서 높은 반면, 간조 시에는 저층보다 표층<br />

표층보다<br />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Fig. 7). 질소/인 비율은 봄<br />

따라<br />

간조 시에 표층보다 저층에서 높았고 가을에는 반대<br />

에는<br />

저층보다 표층에서 높았으며, 여름과 겨울에는 표층과<br />

로<br />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소/인 비율은 모든<br />

저층에서<br />

만조 시에 높았고 간조 시에 낮았다. 표층에서<br />

<strong>계절</strong>에서<br />

비율은 봄과 겨울에는 Redfield ratio(16)와 유사<br />

질소/인<br />

겨울에는 만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간조 시<br />

봄과<br />

낮은 농도를 나타낸 반면, 여름과 가을에는 정반대로<br />

에는<br />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만조 시에는 낮은 농도<br />

간조<br />

나타냈다. 를


4.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variations with time in Keunso Bay during (a) spring, (b) summer, (c) fall, and<br />

Fig.<br />

winter. Filled circles indicate the surface and open circles the bottom.<br />

(d)<br />

5. Phosphate variations with time in Keunso Bay during (a) spring, (b) summer, (c) fall, and (d) winter. Filled<br />

Fig.<br />

indicate the surface and open circles the bottom.<br />

circles<br />

Kim, D. and Kim, K.H. 5


variations with time in Keunso Bay during (a) spring, (b) summer, (c) fall, and (d) winter. Filled circles<br />

Fig.6.Silicate<br />

the surface and open circles the bottom.<br />

indicate<br />

7. N/P ratio variations with time in Keunso Bay during (a) spring, (b) summer, (c) fall, and (d) winter. Filled<br />

Fig.<br />

indicate the surface and open circles the bottom.<br />

circles<br />

6 Tid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8. N/Si ratio variations with time in Keunso Bay during (a) spring, (b) summer, (c) fall, and (d) winter. Filled<br />

Fig.<br />

indicate the surface and open circles the bottom.<br />

circles<br />

겨울에 0.97~1.2로 가장 높았고 여름에 0.08~0.38<br />

비율은<br />

가장 낮았다. 로<br />

겨울에 14.5 μmol l −1 로 가장 높았고 여름에 0.85<br />

도는<br />

l −1 로 가장 낮았으며, 겨울과 여름사이에 10배 이상<br />

μmol<br />

큰 농도차이를 나타냈다. 근소만 부근 외해역에서 관측<br />

의<br />

표층 질산염 농도는 2006년 2월에 12.2~15.0 μmol l −1<br />

한<br />

2006년 7월에는 4.4~6.0 μmol l −1 이었다(임 등<br />

이었고<br />

본 연구에서 겨울 관측한 질산염 농도는 임 등<br />

2007).<br />

따라서 근소만 입구에서 여름에 관측한 질산염 농<br />

2001).<br />

특히 낮은 것은 <strong>근소만에서</strong> 여름동안에 식물플랑크<br />

도가<br />

양의 질산염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다.<br />

한<br />

농도도 <strong>계절</strong>적인 <strong>변화</strong>를 나타냈지만 질산염과<br />

인산염<br />

l −1 로 가장 낮았으며, 겨울과 여름사이에 3배 정도의<br />

μmol<br />

나타냈다. 임 등(2007)이 근소만 부근 외해역<br />

농도차이를<br />

관측한 표층 인산염 농도는 2006년 2월에 0.62~0.73<br />

에서<br />

l −1 이었고 2006년 7월에는 0.33~0.39 μmol l −1 로, 본<br />

μmol<br />

Kim, D. and Kim, K.H. 7<br />

간조 시에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겨울에는 <strong>조석</strong>에<br />

냈고<br />

특별한 <strong>변화</strong>를 보이지 않았다. 표층에서 질소/규소<br />

따라<br />

측정한 일차생산력은 다른 <strong>계절</strong>에 비해 여름에<br />

구에서<br />

이상 높았는데(Noh, unpublished data), 이것으로 보<br />

3배<br />

여름동안에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질산염 섭취가 가장<br />

아<br />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퇴적물에서의 탈질소화작용도<br />

큰<br />

활발히 일어나는데, 이것은 여름철의 높은 수온<br />

여름철에<br />

의해 미생물 활동이 활발해져 유기물 분해가 촉진되기<br />

에<br />

때문이다(Risgaard-Petersen et<br />

토 의<br />

4.<br />

<strong>계절</strong><strong>변화</strong> <strong>영양염의</strong><br />

al. 1994; An and Joye<br />

<strong>계절</strong>에 따라 큰 <strong>변화</strong>를 나타내지 않았지만<br />

암모니아는<br />

간조 시 암모니아 농도가 다른 <strong>계절</strong>에 비해 2~3배<br />

가을에<br />

의한 질산염 섭취가 가장 크고 갯벌퇴적물에서의 탈<br />

톤에<br />

가장 활발히 일어나, 근소만 내부에서 상당<br />

질소화작용도<br />

높았다. 하지만 질산염 농도는 암모니아와 달리 <strong>계절</strong><br />

정도<br />

매우 큰 <strong>변화</strong>를 나타냈다. 표층 질산염의 평균 농<br />

적으로<br />

매우 큰 <strong>변화</strong>를 보이지 않았다. 표층 인산염의 평균<br />

같이<br />

겨울에 0.96 μmol l −1 로 가장 높았고 여름에 0.37<br />

농도는<br />

겨울에 관측한 값과 유사하였지만, 여름에 관측<br />

(2007)이<br />

질산염 농도는 임 등(2007)이 여름에 관측한 값보다 상<br />

한<br />

근소만 입구에서 관측한 표층 인산염의 평균 농<br />

연구에서<br />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안해역에서 인산염 농도<br />

도와<br />

낮았다. 질산염의 주요 제거기작은 식물플랑크톤에<br />

당히<br />

섭취와 퇴적물에서의 탈질소화작용이다. 근소만 입<br />

의한<br />

가 겨울에 비해 여름에 낮게 관측되는 것은 여름철에 식


μmol l −1 이었고 여름과 가을에 10 μmol l −1 로 여름과<br />

14<br />

약간 차이가 있다. 근소만 부근 외해역에서 관<br />

겨울사이에<br />

표층 규산염 농도는 2006년 2월에는 12.0~15.7<br />

측한<br />

l −1 , 2006년 5월에는 3.1~3.4 μmol l −1 , 2006년 7월에<br />

μmol<br />

임 등(2007)이 겨울에 관측한 것과 유사하였지만, 봄,<br />

는<br />

가을에 관측한 규산염 농도는 임 등(2007)이 같은<br />

여름,<br />

판단된다.<br />

비율은 뚜렷한 <strong>계절</strong><strong>변화</strong>를 나타냈다. 표층에서<br />

질소/인<br />

질소/인 비율은 봄에 17.4로 가장 높았고 여름에 4.9<br />

평균<br />

가장 낮았으며, 봄과 가을 사이에 4 배 정도의 차이가<br />

로<br />

질소/인 비율이 다른 <strong>계절</strong>에 비해 여름에 특히 낮은<br />

났다.<br />

여름동안에 갯벌퇴적물에서 활발한 탈질소화작용에<br />

것은<br />

여름, 겨울동안에는 1 μmol l −1 내외로 유사한 값을 나<br />

봄,<br />

반면, 가을에는 3 μmol l −1 정도로 다른 <strong>계절</strong>에 비해<br />

타낸<br />

지시해준다. 을<br />

농도는 암모니아와 정반대로 모든 <strong>계절</strong>에 만조<br />

질산염<br />

높은 값을 나타냈고 간조 시에 낮은 값을 나타냈다.<br />

시에<br />

질산염 농도가 간조 시보다 만조 시에 더 높은 것<br />

이처럼<br />

질산염, 아질산염을 모두 합한 용존무기질소<br />

암모니아,<br />

봄, 여름, 겨울에는 만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간<br />

는<br />

용존무기질소 농도는 봄, 여름, 겨울에는 근소만<br />

타냈다.<br />

외부해역에서 높았고, 가을에는 오히려 외부해<br />

내부보다<br />

만 내부에서 높아, 인산염의 공급원으로 작용한다.<br />

보다<br />

주요 제거기작으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섭취와<br />

인산염의<br />

8 Tid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br />

생산력 증가에 따른 영양염 섭취 증가와 담<br />

물플랑크톤의<br />

유입량 증가에 의한 희석효과 때문이다(김 등 2005; 장<br />

수<br />

2005; 임 등 2007). 질산염의 경우, 여름철에 근소만<br />

등<br />

관측한 질산염 농도가 외해역에서 관측한 것에<br />

입구에서<br />

높았다. 이것은 갯벌퇴적물에서 수층으로 공급되는 암<br />

3배<br />

양이 다른 <strong>계절</strong>에 비해 가을에 가장 크다는 것<br />

모니아의<br />

매우 낮았던 반면에, 인산염은 근소만 입구와 외해역<br />

비해<br />

관측한 값들이 유사하였다. 이것은 질산염과는 달리<br />

에서<br />

근소만 내부에서 인산염의 제거가 일어나지 않<br />

여름철에<br />

것을 지시해준다.<br />

는다는<br />

질산염이나 인산염과 달리 뚜렷한 <strong>계절</strong><strong>변화</strong>를<br />

규산염은<br />

않았다. 표층 규산염의 평균 농도는 봄과 겨울에<br />

보이지<br />

질산염 농도가 만 내부보다 외부해역에서 높기 때문이<br />

은<br />

만 내부에서 질산염이 제거되고 있음을 지시해준다.<br />

며,<br />

주요 제거기작으로는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섭취<br />

질산염의<br />

갯벌퇴적물에서의 탈질소화작용이 있다. 갯벌퇴적물은<br />

와<br />

풍부하기 때문에, 사시사철 탈질소화작용이 활<br />

유기물이<br />

일어난다(나와 이 2005; 안 2005). 따라서 근소만 내<br />

발히<br />

4.2~4.8 μmol l −1 , 2006년 11월에는 3.7~4.9 μmol l −1 이<br />

는<br />

등 2007). 본 연구에서 겨울 관측한 규산염 농도<br />

었다(임<br />

모든 <strong>계절</strong> 동안 질산염이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섭<br />

부에서<br />

갯벌퇴적물에서의 탈질소화작용에 의해 제거되는 것<br />

취와<br />

판단된다. 간조와 만조 사이에 표층 질산염 농도 차<br />

으로<br />

봄과 겨울에는 5 μmol l −1 내외로 비교적 높은 값을<br />

이가<br />

관측한 것보다 2~4배 정도 높았다. 이처럼 겨울을<br />

<strong>계절</strong>에<br />

봄, 여름, 가을에 근소만 입구에서 관측한 규산염<br />

제외한<br />

반면, 여름과 가을에는 1.5 μmol l −1 로 낮은 값을<br />

나타낸<br />

이것은 봄과 겨울동안에 근소만 내부에서 제거<br />

나타냈다.<br />

외해역보다 높은 것은 근소만 내부, 즉 갯벌퇴적물<br />

농도가<br />

상당한 양의 규산염이 생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br />

로부터<br />

질산염의 양이 여름과 가을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br />

되는<br />

지시해준다.<br />

시에 낮은 농도를 나타낸 반면, 가을에는 정반대로 간<br />

조<br />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만조 시에 낮은 농도를 나<br />

조<br />

인산염에 비해 질산염이 보다 많이 선택적으로 제거<br />

의해<br />

때문이다. 질소/규소 비율도 다른 <strong>계절</strong>에 비해 여<br />

되었기<br />

만 내부에서 높았다. 따라서 근소만은 주변 외부해<br />

역보다<br />

대해서 봄, 여름, 겨울에는 용존무기질소의 제거원으<br />

역에<br />

가장 낮은데, 이 또한 여름동안 활발한 탈질소화작용<br />

름에<br />

의해 규산염보다 질산염이 보다 많이 선택적으로 제거<br />

에<br />

작용하고 가을에는 반대로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앞서<br />

로<br />

수층으로 공급되는 암모니아의 양이 다른<br />

갯벌퇴적물에서<br />

되었기 때문이다.<br />

비해 가을에 가장 크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다른<br />

<strong>계절</strong>에<br />

달리 가을에 근소만이 용존무기질소의 공급원으로<br />

<strong>계절</strong>과<br />

<strong>조석</strong><strong>변화</strong> <strong>영양염의</strong><br />

농도는 <strong>조석</strong>에 따라 큰 <strong>변화</strong>를 보였는데, 모<br />

암모니아<br />

것은 봄과 여름동안에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생<br />

작용하는<br />

많은 유기물들이 가을에 대부분 분해되고, 그 결과<br />

성된<br />

<strong>계절</strong>에서 간조 시에 높은 값을 나타냈고 만조 시에 낮<br />

든<br />

값을 나타냈다. 이처럼 암모니아 농도가 만조 시보다<br />

은<br />

많은 암모니아가 생성되어 수층에 공급되었기<br />

상대적으로<br />

것으로 생각된다.<br />

때문인<br />

시에 높은 것은 암모니아 농도가 만 외부보다 내부<br />

간조<br />

높기 때문이며, 만 내부에서 암모니아가 생성되<br />

해역에서<br />

봄과 겨울에는 만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br />

인산염도<br />

간조 시에 낮은 농도를 나타낸 반면, 여름과 가을에는<br />

고<br />

있음을 지시해준다. 근소만은 간조 시에 대부분의 퇴적<br />

고<br />

공기 중에 드러나는 갯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br />

물이<br />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만조 시에 낮<br />

정반대로<br />

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인산염 농도는 봄과 겨울에는<br />

은<br />

유기물 분해에 의해 상당한 양의 암모니<br />

갯벌퇴적물에서<br />

생성되어 수층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br />

아가<br />

내부보다 외부해역에서 높아, 근소만이 인산염의<br />

근소만<br />

작용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반대로 외부해역<br />

제거원으로<br />

모든 <strong>계절</strong>에 암모니아의 주요 공급원으로<br />

갯벌퇴적물은<br />

간조와 만조 사이에 표층 암모니아 농도 차이가<br />

작용한다.


실제 수층으로 공급되는 양은 많지 않다(Sundareshwar<br />

어<br />

Morris 1999; Coelho et al. 2004). Lillebø et al.<br />

and<br />

갯벌퇴적물이 연안해역의 영양염 <strong>변화</strong>에 별다른<br />

루어져,<br />

미치지 않는다.<br />

영향을<br />

만조 시보다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데,<br />

절에서<br />

갯벌퇴적물에서 해수로 공급되는 양이 해수 중에<br />

이것은<br />

암모니아, 질산염, 아질산염을 모두 합한 용존무<br />

용한다.<br />

봄, 여름, 겨울에는 간조 시보다 만조 시에 높은<br />

기질소는<br />

겨울에는 용존무기질소의 제거원으로 작용하고 가을<br />

름,<br />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갯벌퇴적물은 가을에<br />

에는<br />

여름과 가을에는 만조 시보다 간조 시에 월등히 높<br />

내고,<br />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봄과 겨울에 규산염의<br />

은<br />

Kim, D. and Kim, K.H. 9<br />

퇴적물과의 흡착이 있다. 한편, 인산염의 생성은 주<br />

표층<br />

퇴적물에서 유기물 분해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기물 공<br />

로<br />

유기물의 형태로 갯벌퇴적물에 다시 유입되며, 이로<br />

되어<br />

갯벌퇴적물과 해수 사이의 영양염 순환이 이루어진다.<br />

써<br />

많고 퇴적속도가 빠른 갯벌퇴적물에서 유기물 분해<br />

급이<br />

의해 생성된 인산염은 대부분이 표층 퇴적물에 흡착되<br />

에<br />

영양염 순환에 있어서, 유기물 분해에 의해 갯벌퇴<br />

이러한<br />

해수로 공급되는 <strong>영양염의</strong> 양과 해수 중에서 식<br />

적물에서<br />

의해 섭취되는 <strong>영양염의</strong> 양이 같으면, 갯벌<br />

물플랑크톤에<br />

해수 사이에 <strong>영양염의</strong> 공급과 소비가 평형이 이<br />

퇴적물과<br />

연구에 따르면, 갯벌퇴적물에서 수층으로 공급되<br />

(2004)의<br />

인산염 플럭스는 <strong>계절</strong>에 따라 <strong>변화</strong>하는데, 수온이 낮은<br />

는<br />

겨울에 비해 수온이 높은 여름과 가을에 높게 관측<br />

봄과<br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여름과 가을에 근소만이 인산<br />

되었다.<br />

연구에서 모든 영양염 농도가 <strong>조석</strong>에 따라 큰 <strong>변화</strong><br />

본<br />

나타내는 것은 갯벌퇴적물에서 해수로 공급되는 양과<br />

를<br />

공급원으로 작용하는 것은 갯벌퇴적물에서 수층으로<br />

염의<br />

인산염 플럭스가 여름과 가을에 높기 때문이다.<br />

공급되는<br />

중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섭취되는 양이 평형을<br />

해수<br />

있지 않다는 것을 지시해준다. 암모니아는 모든 계<br />

이루고<br />

봄과 겨울에 근소만이 인산염의 제거원으로 작용<br />

그리고<br />

것은 갯벌퇴적물에서 수층으로 공급되는 인산염 플<br />

하는<br />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섭취되는 양보다 작기 때문<br />

럭스가<br />

이다.<br />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섭취되는 양보다 많다는 것을 의<br />

서<br />

따라서 갯벌퇴적물은 암모니아의 주요 공급원으<br />

미한다.<br />

인산염과 마찬가지로 봄과 겨울에는 만조 시<br />

규산염도<br />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간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br />

에<br />

작용한다. 질산염은 모든 <strong>계절</strong>에서 간조 시보다 만조<br />

로<br />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식물플랑크톤에 의<br />

시에<br />

반면, 여름과 가을에는 정반대로 간조 시에 높은 농도<br />

낸<br />

나타냈고 만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하지만<br />

를<br />

섭취되는 양과 갯벌퇴적물에서 탈질소화작용에 의해<br />

해<br />

양을 합한 것이 갯벌퇴적물에서 해수로 공급되<br />

제거되는<br />

여름과 가을에 만조와 간조 사이에 농도 차이가<br />

규산염은<br />

μmol l −1 정도로 매우 큰 반면, 봄과 겨울의 농도차이<br />

10<br />

양보다 많다는 것을 지시해준다. 따라서 암모니아의 경<br />

는<br />

반대로 갯벌퇴적물은 질산염의 주요 제거원으로 작<br />

우와<br />

그다지 크지 않다. 따라서 여름과 가을에는 근소만이<br />

는<br />

확실한 공급원으로 작용하지만, 봄과 겨울에는<br />

규산염의<br />

미약한 제거원으로 작용한다. 규산염은 수층에<br />

규산염의<br />

주로 식물플랑크톤의 섭취에 의해 제거되고, 퇴적물에<br />

서<br />

나타낸 반면, 가을에는 오히려 만조 시보다 간조<br />

농도를<br />

높은 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갯벌퇴적물은 봄, 여<br />

시에<br />

규산질 껍질(siliceous shell)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어<br />

서<br />

공급된다. 따라서 여름과 가을에 근소만이 규산<br />

수층으로<br />

확실한 공급원으로 작용하는 것은 갯벌퇴적물에서<br />

염의<br />

껍질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어 수층으로 공급되는<br />

규산질<br />

용존무기질소의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다른 <strong>계절</strong> 동안<br />

만<br />

제거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일년 평균적으로는 제<br />

에는<br />

양이 수층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섭취에 의해 제<br />

규산염의<br />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또한, 봄과 겨울에 근소만<br />

거되는<br />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산염은 봄과 겨울<br />

거원으로<br />

간조 시보다 만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여름<br />

에는<br />

규산염의 제거원으로 작용하는 것은 수층에서 식물플<br />

이<br />

섭취에 의해 제거되는 규산염의 양이 갯벌퇴적<br />

랑크톤의<br />

가을에는 만조 시보다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낸<br />

과<br />

따라서 갯벌퇴적물은 봄과 겨울에는 인산염의 제거원<br />

다.<br />

규산질 껍질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어 수층으로 공<br />

물에서<br />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즉 갯벌퇴적물에서 규산염<br />

급되는<br />

작용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공급원으로 작용하며, 일<br />

으로<br />

평균적으로는 인산염 공급과 소비가 평형을 이루고 있<br />

년<br />

<strong>계절</strong>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수온이 낮<br />

플럭스가<br />

봄과 겨울보다 수온이 높은 여름과 가을에 보다 더 큰<br />

은<br />

것으로 생각된다. 규산염도 봄과 겨울에는 간조 시보다<br />

는<br />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여름과 가을에는 만조<br />

만조<br />

플럭스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br />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갯벌퇴적<br />

시보다<br />

봄과 겨울에는 규산염의 제거원으로 작용하고 여름<br />

물은<br />

연안해역의 영양염 <strong>변화</strong>에 미치는 영향<br />

갯벌퇴적물이<br />

유기물 공급이 많고 퇴적속도가 빠르기 때문에,<br />

갯벌은<br />

가을에는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규산염은 봄과<br />

과<br />

간조 시보다 만조 시에 약간 높은 농도를 나타<br />

겨울에는<br />

유기물 분해가 활발히 일어나며, 이에 따<br />

갯벌퇴적물에서<br />

분해 산물인 암모니아, 인산염, 규산염과 같은 영양염<br />

라<br />

많이 생성된다(Jickells and Rae 1997). 갯벌퇴적물로부<br />

이<br />

수층으로 공급된 영양염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섭취<br />

터<br />

양보다 여름과 가을에 공급되는 양이 더 많은<br />

제거되는<br />

판단된다. 따라서 일년 평균적으로는 갯벌퇴적물<br />

것으로


인산염의 제거원으로 작용한다.<br />

이<br />

근소만 갯벌 퇴적물이 연안해역에서의 영양<br />

결론적으로<br />

사 사<br />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신 한국해양연구원 권개경,<br />

본<br />

노재훈, 최동한 박사님과 한양대학교 현정호 교수<br />

양은진,<br />

목진숙, 조혜연, 김성한 연구원께 진심으로 감사드립<br />

님,<br />

본 연구는 한국해양연구원의 기본사업인 PE97703<br />

니다.<br />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br />

의<br />

참고문헌<br />

임동일, 전수경, 정회수. 2005. 한국 <strong>서해</strong> 천수만의<br />

김동선,<br />

수질특성과 부영양화. Ocean and Polar Res., 27,<br />

화학적<br />

45-58.<br />

이동섭. 2005. 공극수 모델로 추정한 강화도 갯벌의<br />

나태희,<br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0, 56-68.<br />

탈질산화작용.<br />

2005. 강화도 갯벌퇴적물의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br />

안순모.<br />

<strong>계절</strong><strong>변화</strong>.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0, 47-55.<br />

의<br />

노경찬, 장풍국, 간선미, 정회수, 정래홍, 이원찬.<br />

임동일,<br />

한국 <strong>서해</strong>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br />

2007.<br />

<strong>변화</strong> 특성과 조절 요인. Ocean and Polar Res., 29,<br />

적<br />

135-153.<br />

이원제, 장민철, 이재도, 이우진, 장만, 황근춘, 신경<br />

장풍국,<br />

2005. 광양만에서 무기 <strong>영양염의</strong> 시공간적 분포를 조<br />

순.<br />

요인. Ocean and Polar Res., 27, 359-379.<br />

절하는<br />

D.M., F. Tirendi, P. Dixon, L.A. Trott, and G.J.<br />

Alongi,<br />

10 Tid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br />

porewaters in an intertidal mudflat of the Seine estuary:<br />

Relationship to erosion-deposition cycles. Mar. Pollution<br />

Bull., 49, 163-173.<br />

순환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의 영양염에 따라 다르게<br />

염<br />

규산염에 대해서는 공급원으로, 용존무기질<br />

나타나는데,<br />

Billerbeck, M., U. Werner, K. Bosselmann, E. Walpersdorf,<br />

and M. Huettel. 2006. Nutrient release from an exposed<br />

대해서는 제거원으로 작용하며, 인산염에 대해서는<br />

소에<br />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br />

별다른<br />

intertidal sand flat. Mar. Ecol. Prog. Ser., 316, 35-51.<br />

Coelho, J.P., M.R. Flindt, H.S. Jensen, A.I. Lillebø, and<br />

M.A. Pardal. 2004. Phosphorus speciation and availability<br />

in intertidal sediments of a temperate estuary: Relation to<br />

eutrophication and annual P-fluxes. Estu. Coast. Shelf<br />

Sci., 61, 583-590.<br />

Jickells, T.D. and J.E. Rae. 1997. Biogeochemistry of<br />

Intertidal Sediment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br />

193 p.<br />

Laima, M., D. Brossard, P.-G. Sauriau, M. Girard, P.<br />

Richard, D. Gouleau, and L. Joassard. 2002. The<br />

influence of long emersion on biota, ammonium fluxes<br />

and nitrification in intertidal sediments of Marennes-<br />

Oléron Bay, France. Mar. Environ. Res., 53, 381-402.<br />

Lillebø, A.I., J.M. Neto, M.R. Flindt, J.C. Marques, and<br />

M.A. Pardal. 2004. Phosphorus dynamics in a temperate<br />

intertidal estuary. Estu. Coast. Shelf Sci., 61, 101-109.<br />

Mortimer, R.J.G., J.T. Davey, M.D. Krom, P.G. Watson, P.E.<br />

Frickers, and R.J. Clifton. 1999. The effect of<br />

macrofauna on porewater profiles and nutrient fluxes in<br />

the intertidal zone of the Humber estuary. Estu. Coast.<br />

Shelf Sci., 48, 683-699.<br />

Pinckney, J. and R. Zingmark. 1993. Biomass and production<br />

of benthic microalgal communities in estuarine habitats.<br />

Estuaries, 16, 887-897.<br />

Risgaard-Petersen, N., S. Rysgaard, L.P. Nielsen, and N.P.<br />

Revsbech. 1994. Diurnal variation of denitrification and<br />

nitrification in sediments colonized by benthic microphytes.<br />

Limnol. Oceanogr., 39, 573-579.<br />

Brunskill. 1999.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in<br />

intertidal sediments of a tropical semi-closed delta. Estu.<br />

Sundareshwar, P.V. and J.T. Morris. 1999. Phosphorus<br />

sorption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marsh sediments<br />

Coast. Shelf Sci., 48, 451-467.<br />

An, S. and S.B. Joye. 2001. Enhancement of coupled<br />

along an estuarine salinity gradient. Limnol. Oceanogr.,<br />

44, 1693-1701.<br />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by benthic photosynthesis in<br />

shallow estuarine sediments. Limnol. Oceanogr., 46, 62-74.<br />

Bally, G., V. Mesnage, J. Deloffre, O. Clarisse, R. Lafite,<br />

Received Sep. 10, 2007<br />

Accepted Jan. 14, 2008<br />

and J.-P. Dupont. 2004.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번식하는 슴새의 포란 일정 <strong>및</strong> 성 역할<br />

사수도에서 *<br />

남기백·권인기·유정칠<br />

생물학과, 한국조류연구소<br />

경희대학교<br />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1<br />

(130-701)<br />

Routine and Sex Role of Streaked Shearwaters<br />

Incubation<br />

leucomelas at Sasudo Island, South Korea<br />

Calonectris<br />

of Biology,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br />

Department<br />

Hee University, Seoul 130-701, Korea<br />

Kyung<br />

: Incubation routine and sex role of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at Sasudo<br />

Abstract<br />

in Jeju, South Korea, were studi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June to August in 2002. Incubation<br />

Island,<br />

in Procellariiformes represents a sequence of alternating shifts taken in turn by female and male in a<br />

routine<br />

pattern. Hence, coordination of individual incubation rhythms between partners is crucial<br />

species-specific<br />

successful breeding attempt. In Streaked Shearwaters, incubation routine represents a sequence of<br />

for<br />

shifts taken in turn by male and female. The first incubation shift was made by male after female<br />

alternating<br />

laid the egg. The mean incubation period was 50.8 days until hatching. Males had spent on average 26.5<br />

had<br />

incubating and females 24.3 days accordingly. The mean duration of incubation shifts decreased<br />

days<br />

from 6th and 7th shift to hatching. Overall, males had spent more time incubating than<br />

progressively<br />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but the mean duration of the incubation shift 5.6 days for males and<br />

females<br />

days for females did not differ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re were no effect of the body size of the<br />

5.7<br />

pair on incubation performance. For males the mean of body weight decreased during the<br />

breeding<br />

whereas for females it remained approximately stable. In Streaked Shearwaters, the duration of<br />

incubation,<br />

shift and subsequent foraging trip are related to loss of body weight during the period of fasting.<br />

incubation<br />

words : Streaked Shearwater Calonectris leucomelas, Sasudo Island, incubation routine, incubation<br />

Key<br />

sex role<br />

shift,<br />

수컷과 암컷이 번갈아 교대하며 포란(alternating<br />

행동은<br />

종 특이적인 형태를 보인다(Warham 1990). 즉<br />

shifts)하는<br />

오랜 시간 동안 취식을 중단하게 된다(Croxall<br />

하며,<br />

그러므로 개체들은 포란하는 기간 동안에 오랜 기<br />

1982).<br />

Vol. 30(1):11-19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Article<br />

Ki-Baek Nam, In-Ki Kwon, and Jeong-Chil Yoo *<br />

In addition, coordination of individual incubation rhythms affects their incubation behaviour.<br />

서 론<br />

1.<br />

대양성 바다새(pelagic Seabirds)들은 섬과<br />

일반적으로<br />

배우자가 둥지에서 금식 상태로 포란하는 동안에 다<br />

한쪽<br />

배우자는 자신의 다음 번 포란 행위를 위하여 바다에<br />

른<br />

제한된 번식지 <strong>및</strong> 긴 번식기간, 낮은 번식력과 같은<br />

같은<br />

특징(life-history trait)을 보인다(Warham 1990).<br />

생활사적<br />

취식한다. 일반적으로 포란하는 개체들은 그들의 기초<br />

서<br />

약 30~40% 정도의 에너지를 하루 동안에 소비<br />

대사량의<br />

슴새목 Procellariiformes의 많은 종들은 긴 포<br />

그중에서도<br />

기간을 포함하는 긴 번식기간을 가진다. 이들의 포란<br />

란<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jcyoo@khu.ac.kr<br />

아 상태로 인한 생존의 위험과 상대적으로 취약한 포식자


인한 번식실패의 위험을 동시에 겪게 된다(Imber<br />

방어로<br />

Weimerskirch 1995). 따라서 성공적인 포란 <strong>및</strong> 번식<br />

1976;<br />

Davis(1990)는 Grey-faced Petrel Pterodroma macroptera<br />

and<br />

연구에서 포란 기간 동안의 암수 행동이 상호<br />

gouldi의<br />

factors)의 지역적 그리고 년간 <strong>변화</strong>이<br />

건들(environment<br />

et al. 1994), 둘째는 각각의 개체가 가지<br />

며(Weimerskirch<br />

있는 능력(intrinsic quality)의 차이이다(Chastel et al.<br />

고<br />

이것은 개체마다 다양하게 보여지는 취식 능력<br />

1995).<br />

ability)의 차이와 더불어 각각의 개체들의 몸 크<br />

(foraging<br />

size)와 관계된 에너지 저장능력(energy reserve)<br />

기(Body<br />

exulans(Croxall and Ricketts 1983)와 같은 슴<br />

Diomedea<br />

종들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슴새목에서 각각의<br />

새목의<br />

차이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Lorensten과 Røv<br />

기의<br />

Antarctic Petrel Thalassoica antarctica의 연구<br />

(1994)는<br />

Pagodroma nivea(Barbraud et al. 1999)의 연구에<br />

Petrel<br />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데, 암수 간의 포란 길이의 차<br />

서는<br />

고하였다.<br />

연구는 사수도에 서식하는 슴새 Calonectris leucomelas<br />

본<br />

특히 몸 크기와 포란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하여<br />

하였으며,<br />

또한, 포란기 동안에 이들의 취식여행 <strong>및</strong> 포<br />

고찰하였다.<br />

일본의 섬 지역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 />

중국,<br />

1996). 슴새는 여름철새로 육지와 떨어진 섬에서 집<br />

(Oka<br />

사수도에 집단 번식지가 위치하고 있으며(Won<br />

추자면<br />

약 7000쌍 정도의 슴새가 이곳에서 번식하는 것으<br />

1970),<br />

알려져 있다(Lee and Yoo 2002).<br />

로<br />

연구는 제주도 북제주군 추자면에 속하는 무인도서<br />

본<br />

사수도(동경 126 o 38', 북위 33 o 50')에서 진행되었다(Fig.<br />

인<br />

사수도의 면적은 약 223,000 m 2 이며 가장 높은 고도는<br />

1).<br />

m이다. 섬은 동서로 길게 뻗은 형태로, 섬의 남쪽은 급<br />

79<br />

암벽지역이며, 북쪽지역은 숲으로 이루어진 완만<br />

경사의<br />

japonica와 맥문아재비 Ophiopogon jaburan가 우<br />

Ardisia<br />

주로 섬의 북서쪽에서만 서식하고 있다<br />

점종이었으며,<br />

12 Nam, K.-B. et al.<br />

란 길이의 조절에 대하여 분석하였다.<br />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긴 기간 동안의 암수 간의<br />

성공이<br />

공동작업이 필수적이며, 암수 서로간의 포란 교대<br />

적절한<br />

(incubation shift)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Johnstone<br />

이것이 전체 번식성공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br />

의존적이며<br />

했다.<br />

조사 종(Species) <strong>및</strong> 번식 지역<br />

2.<br />

세계적으로 슴새목 Procellariiformes, 슴새과 Pro-<br />

전<br />

55종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슴새<br />

cellariidae에는<br />

leucomelas는 북서쪽 태평양에 속한 한국과<br />

Calonectris<br />

슴새목 종들의 포란 일정은 두 가지 요소에<br />

일반적으로<br />

영향을 받는다. 첫째는 먹이 자원 같은 환경적 조<br />

의하여<br />

번식을 하며, 한 번의 번식기 동안에 한 개의 알만을<br />

단<br />

번식기간이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Won 1970).<br />

산란하며,<br />

대부분 땅속에 굴을 파서 만들며(Burrow nest), 바<br />

둥지는<br />

암벽 틈에 짓기도 한다(Lee et al. 2002). 북제주군<br />

위나<br />

차이를 나타낸다(Hatch 1990). 일반적으로 조류에 있<br />

의<br />

개체의 몸무게와 포란 길이는 서로간에 양의 상관관<br />

어서<br />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Saether 1987), 특히<br />

계가<br />

Petrel(Imber 1976)과 Wandering Albatross<br />

Grey-faced<br />

개체의 다양한 포란 형태는 몸 크기에 영향을 받는<br />

번식<br />

보고되었는데(Warham 1990), 특히 암수 간의 몸 크<br />

다고<br />

경사 지대이다. 섬의 가장자리와 남쪽의 암벽지역을<br />

한<br />

섬 전체가 상록활엽수림으로 덮여 있다. 섬<br />

제외하고는<br />

대부분의 지역은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가 우점<br />

의<br />

이루고 있으며, 하부식생은 음지식물인 자금우<br />

종을<br />

수컷이 암컷보다 5% 정도 더 큰 에너지 저장량을<br />

에서<br />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암수 간의 서<br />

가진<br />

(Lee et al. 2002).<br />

다른 에너지 사용률(energy budget)을 가진다는 것을<br />

로<br />

있다. 일반적으로 몸 크기가 크면 에너지 저장<br />

보여주고<br />

더 좋은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이 결과들은 수컷<br />

능력이<br />

지속적인 금식 상태에서 좀 더 오랜 시간 포란할 수<br />

이<br />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Weimerskirch 1995). 그러나<br />

있을<br />

Albatross(Weimerskirch et al. 1994)와 Snow<br />

Wandering<br />

대하여 개체의 몸 크기로 인한 영향보다는 먹이자<br />

이에<br />

<strong>및</strong> 환경과 같은 복합적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br />

원<br />

포란일정 <strong>및</strong> 행동패턴에 대하여 조사한 것이다. 슴새에<br />

의<br />

연구는 육추기 동안에 급이 행동이 Lee and Yoo<br />

대한<br />

의해서 연구되었으나, 포란기 <strong>및</strong> 포란 행동에 대<br />

(2004)에<br />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br />

한<br />

Fig. 1. The location of study area.<br />

우리는 암수 간의 포란 일정 <strong>및</strong> 행동 패턴에 대하여 분석


비교적 높은 곳이다(Lee and Yoo 2002).<br />

해<br />

조사를 위하여 전체 6개의 지역에서 100개의 둥지를<br />

본<br />

이들의 외부측정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br />

1956),<br />

확인하지 못한 나머지 번식 둥지의 성조의 성별<br />

산란관을<br />

꼬리(tail)의 길이와 개체의 몸무게(body mass)를<br />

(wing),<br />

슴새의 경우, 몸 크기(부리, 두취장, 부척, 날<br />

측정하였다.<br />

대입하여 나온 결과값인 Component 1의 Factor<br />

analysis)에<br />

1(PC1)을 사용하였다(Rising and Somers 1989).<br />

score<br />

셋째, 포란하고 있는 개체의 몸무게 측정 <strong>및</strong> 몸<br />

단하였다.<br />

관찰하였다. 상태를<br />

산란이 처음 관찰된 시기는 6월 19일이<br />

조사지역에서<br />

가장 늦은 산란은 7월 2일에 관찰되었다. 전체 산란이<br />

며,<br />

경우에는 8월 9일에 첫 둥지에서 부화가 일어났으며,<br />

의<br />

늦은 부화는 23일에 관찰되었다. 전체 43개의 부화<br />

가장<br />

그 기간은 1일을 넘지 않았다. 또한, 부화 직후 부모<br />

며,<br />

하나가 취식여행을 가지 않고 둥지에 머무르는 보호기<br />

중<br />

period)은 평균 3.5일로 총 4둥지에서 관찰되<br />

간(brooding<br />

었다.<br />

1. Difference in the incubation performance between male and female of Streaked Shearwaters at Sasudo<br />

Table<br />

Island<br />

Incubation Routine and Sex Role of Streaked Shearwaters 13<br />

조사 방법<br />

3.<br />

조사는 2002년 6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조사<br />

본<br />

관찰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둥지 내에서 성<br />

지에서<br />

포란 또는 알 방치(egg neglect), 포식 <strong>및</strong> 알 사라짐<br />

조의<br />

같은 번식실패 여부를 확인하였다. 둘째, 포란 중인 개<br />

과<br />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포란 교대 여부를 판<br />

체를<br />

6월부터 8월까지는 슴새의 전체 번식 기간 중 산<br />

기간인<br />

<strong>및</strong> 포란, 부화기간을 포함하는 시기이다. 본 조사에서<br />

란<br />

둥지들은 섬의 북쪽 중앙지역에 위치하는데, 이 지<br />

관찰한<br />

사수도 전체지역 중에서 둥지 밀도가 타 지역에 비<br />

역은<br />

결 과<br />

4.<br />

일정(incubation routine) <strong>및</strong> 성 역할(sex role)<br />

포란<br />

선정하여 관찰하였다. 각각의 둥지에는 지속적<br />

무작위로<br />

관찰을 위하여 둥지 정보를 표지하였다. 둥지 내의 번<br />

인<br />

개체들은 산란 직전 또는 산란 후 포란기 동안에 포획<br />

식<br />

산란관을 확인하여 암수를 구별하였으며(Serventy<br />

하여<br />

49개의 둥지 중 77.8%(n = 38)의 둥지에서 22일부<br />

확인된<br />

28일까지 일주일 동안에 산란이 이루어졌다. 부화시기<br />

터<br />

구분하였다(van Franeker and ter Braak 1993). 성조의<br />

을<br />

성조의 부리(bill), 두취장(nape), 부척(tarsus), 날개<br />

측정은<br />

둥지 중 79%(n = 34)가 13일부터 19일까지 일주일 동<br />

된<br />

부화하였다. 안에<br />

동안의 암수의 번식행동은 암컷의 산란 후 수컷<br />

포란기<br />

첫 포란을 시작으로, 각각의 할당된 시간 동안 둥지에<br />

의<br />

암수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몸무게의<br />

개)에서<br />

수컷이 암컷에 비하여 약 16% 정도 더 무겁다<br />

경우에는<br />

포란하였으며, 배우자가 취식여행에서 둥지로 돌아오<br />

서<br />

교대 후 취식여행을 떠나는 행동을 보였다. 수컷은 산<br />

면<br />

2003). 개체의 몸 크기는 성조에서 측정된 4가지 요소<br />

(남<br />

부척, 날개, 꼬리)를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br />

(부리,<br />

다음날부터 포란을 시작하였으며, 암컷의 경우에는<br />

란일<br />

밤에 취식을 위해 둥지를 떠났다. 산란 후에 바로<br />

산란일<br />

직전부터 부화기까지의 조사기간 동안에 매일<br />

산란기<br />

시간(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에 일정한 순서<br />

일정한<br />

떠나지 않고 둥지 내에서 머무르는 산란 후<br />

취식여행을<br />

period)은 모두 6둥지에서 관찰되었으<br />

기간(post-laying<br />

전체 번식 둥지를 차례로 방문하였다. 일반적으로 슴<br />

대로<br />

종들은 주로 주간에 바다에서 취식을 하며, 일몰이<br />

새목<br />

전에는 번식지로 돌아오지 않는다. 즉 포란 교대 <strong>및</strong><br />

되기<br />

급이와 같은 번식행동은 해가 진 후에 둥지로 돌아<br />

새끼<br />

슴새의 평균 포란 기간은 50.8일이었으며, 가장<br />

사수도<br />

포란 기간은 45일(n = 1)이었으며, 가장 긴 포란 기간<br />

짧은<br />

상태에서 이루어진다(Warham 1990). 따라서 슴새 번<br />

온<br />

낮 시간 동안에 둥지를 방문하면 부모의 포란<br />

식지에서는<br />

55일(n = 2)이었다(Table 1). 수컷은 평균 26.5일을 둥<br />

은<br />

머물렀으며, 암컷은 평균 24.3일을 머물렀다. 수컷의<br />

지에<br />

<strong>및</strong> 교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번식 둥<br />

Variable<br />

Difference<br />

Mean ± S.D. Range n t p<br />

Total incubation (days) 50.8 ± 2.23 45-55 42 - -<br />

Male 26.5 ± 3.48 17-34 42<br />

3.24


2. Distribution of incubation shift lengths (shift no. 1-12) observed in male and female of Streaked Shearwaters at<br />

Fig.<br />

Island in 2002 (Unpaired t-test, t = −0.45, n.s.).<br />

Sasudo<br />

가장 짧게 둥지에 머무른 기간은 17일(n = 1), 가장<br />

경우,<br />

기간은 34일(n = 1)이었다. 암컷의 경우에는 가장 짧은<br />

긴<br />

긴 기간이 각각 18일(n = 1)과 31일(n = 1)이었다.<br />

기간과<br />

교대(incubation shift)의 경우에는 전체 포란 기간 동<br />

포란<br />

평균 9.0회로 나타났다. 가장 적은 둥지 교대 횟수는<br />

안에<br />

= 1)였으며, 가장 많은 둥지 교대 횟수는 13회(n = 1)<br />

6회(n<br />

나타났다. 성(Sex)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수컷이 평균<br />

로<br />

암컷은 평균 4.2회 포란을 위하여 교대한 것으로 조<br />

4.7회,<br />

각각의 개체가 둥지교대 후 다음 교대까지 둥지<br />

사되었다.<br />

머무르는 시간은, 수컷이 평균 5.6일(n = 198), 암컷은<br />

에<br />

5.7일(n = 178)이었다(Fig. 2).<br />

평균<br />

대한 암수 간의 차이를 보면, 수컷의 경우에는<br />

포란에<br />

= 3.24, p < 0.01, Unpaired t-test). 포란 교대(incubation<br />

t<br />

경우, 수컷은 평균 4.7회로 암컷의 평균 4.2회보다<br />

shift)의<br />

2, t = 0.45, n.s., Unpaired t-test).<br />

었다(Fig.<br />

포란기 동안의 포란 길이의 <strong>변화</strong>를 보면, 각각이<br />

전체<br />

경향을 보였다(Table 2, One-way ANOVA, F =<br />

지는<br />

p < 0.001). 전체 포란기 동안에 암수 간의 포란 비<br />

12.186,<br />

2. Duration of the incubation shift and change in the ratio of male to female attendance during incubation by<br />

Table<br />

Shearwaters<br />

Streaked<br />

length ±<br />

Mean<br />

(days) S.D.<br />

Cumulative<br />

incubation<br />

days<br />

ratio ♂:♀<br />

i, i-1 shifts<br />

Cumulative<br />

ratio ♂:♀<br />

14 Nam, K.-B. et al.<br />

성별에 따른 각각 한 번의 교대당 포란 길이는 수컷은<br />

나<br />

5.6일이었으며, 암컷은 5.7일로 암수 간의 차이가 없<br />

평균<br />

교대 길이는 포란 초기에서 중기로 갈수록 암수 모<br />

포란<br />

증가하고 있으며, 부화시기에 가까워지면서 다시 짧아<br />

두<br />

보면, 포란 초기에는 평균적으로 암컷의 포란 비율<br />

율을<br />

높았으며, 5번째 포란 교대 이후부터 수컷의 비율이<br />

이<br />

높아졌다. 따라서 전체 포란 기간 동안에는 수<br />

암컷보다<br />

암컷보다 많은 시간 동안 포란에 참여한 것으로 나<br />

컷이<br />

타났다.<br />

포란 기간 동안에 평균 26.5일을 포란하였으며, 암컷<br />

전체<br />

수컷보다 적은 평균 24.3일을 포란하였다(Table 1,<br />

은<br />

<strong>및</strong> 취식행동 조절<br />

포란<br />

수컷 각각의 몸 크기와 포란 행동과의 관계를<br />

암컷과<br />

많이 교대하였다(t =2.69, p < 0.01, Unpaired t-test). 그러<br />

분석한 결과(Table 3), 암수 모두의 몸 크기는 포란 일수와<br />

Incubation shift i<br />

Variable<br />

1(♂) 2(♀) 3(♂) 4(♀) 5(♂) 6(♀) 7(♂) 8(♀) 9(♂) 10(♀) 11(♂)<br />

4.3±1.24 4.6±2.26 5.7±1.23 6.8±1.78 6.5±1.85 6.4±1.90 6.6±2.04 5.8±1.95 5.4±1.58 3.9±1.32 3.2±1.17<br />

9.0 21.5 34.4 45.4 50.4 -<br />

completed<br />

0.93 0.84 1.02 1.14 1.38 -<br />

0.93 0.88 0.93 0.98 1.04 -<br />

N 42 42 42 42 42 42 39 37 26 13 6<br />

Note : The post-laying shift of the female was excluded.


: 41 individuals for male and 41 individuals for female, n.s.= not<br />

Note<br />

significant<br />

shift 9). 수컷의 몸무게는 포란기 초기보다 후기로 갈<br />

and<br />

낮아지고 있으며, 특히 9번째 포란에서 가장 낮은 몸<br />

수록<br />

기간 동안에 포란 <strong>및</strong> 취식여행 길이의 조절에서,<br />

포란<br />

번의 포란 동안에 감소하는 몸무게의 양은 다음번 취<br />

한<br />

males, r = 0.606, P


4. Relationships between the mass lost during an incubation fast and the mass gained during the following<br />

Fig.<br />

trip (top, filled circles for male and open circles for female), the duration of the foraging trips and<br />

foraging<br />

mass at the end of fast (middle), and the duration of the foraging trips and the mass gained at sea<br />

the<br />

(bottom).<br />

16 Nam, K.-B. et al.


Cape Petrel Daption capense(Weidinger 1998)의<br />

1995),<br />

수컷이 암컷보다 몸무게가 무거웠으며, 이러<br />

연구에서도<br />

비하여 약 16% 정도 더 무거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br />

에<br />

부리와 날개, 부척의 길이를 포함하는 몸 크기의 경우<br />

며,<br />

of incubation shift), 즉 한번의 교대기간 동안<br />

간(Length<br />

둥지의 머무르는 시간은 암수 간의 큰 차이가 없었다<br />

에<br />

2). 그러나 암수의 투자비율을 포란 전체기간 동안<br />

(Fig.<br />

수컷이 암컷보다 많은 시간을 포란에 투자하<br />

분석해보면<br />

종 특이적 투자전략에서 설명될 수 있다. Croxall and<br />

들의<br />

연구에서 Wandering Albatross의 암컷이<br />

Ricketts(1983)의<br />

Yoo 2002), 또한 일시적 둥지 포기(temporary nest<br />

and<br />

같은 포란 행동이 슴새의 부화 <strong>및</strong> 전체 번식<br />

desertion)와<br />

같은 포란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다(Table<br />

일과<br />

Barbraud et al.(1999)의 Snow Petrels의 연구에서도<br />

3).<br />

짧은 시간의 포란 <strong>및</strong> 취식여행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br />

면,<br />

된다. 따라서 개체는 포란 <strong>및</strong> 취식여행의 길이를 늘<br />

이게<br />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극지방에 서식하는 종들의 경<br />

릴<br />

제한적인 자원과 날씨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서식하<br />

우,<br />

같은 환경적 요소들의 영향(Weimerskirch et al.<br />

분포와<br />

더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br />

1994)이<br />

방어로 인하여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br />

포식자로부터의<br />

1990). 몸무게가 무거운 개체들은 가벼운 개체<br />

(Warham<br />

개체들 보다 불리하기 때문에 몸무게 감소량이 다르게<br />

은<br />

and Davis 1990). 예를 들어 Antarctic<br />

나타난다(Johnstone<br />

Incubation Routine and Sex Role of Streaked Shearwaters 17<br />

조사에서 부모 간의 포란에 대한 투자 차이를 보<br />

이번<br />

수컷이 암컷보다 전체 포란기 동안에 오랜 시간 포란<br />

면,<br />

<strong>및</strong> 취식행동 조절<br />

포란<br />

각각의 몸 크기는 포란 횟수 <strong>및</strong> 길이, 산란, 부화<br />

암수<br />

참가하였다(Table 1, Table 2). 더욱이 평균 교대 횟수<br />

에<br />

수컷이 암컷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Saether(1987)<br />

도<br />

수컷이 암컷보다 포란 길이가 긴 것에 대하여, 개체의<br />

는<br />

많이 나갈수록 전체 포란 가능 기간이 길어지며,<br />

몸무게가<br />

몸 크기는 포란 행동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br />

암수의<br />

또한 Brown(1975)은 취식여행을 위해 고정<br />

보고되었다.<br />

무거운 수컷이 암컷보다 포란에 더 많은 시간<br />

상대적으로<br />

투자한다고 설명하였다. Manx Shearwater Puffinus<br />

을<br />

에너지를 사용해야 하는 바다새들의 경우, 먹이 자원의<br />

된<br />

포란 <strong>및</strong> 취식여행의 길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br />

분포는<br />

puffinus(Brooke 1978)와 Antarctic Petrel(Lorentsen and Røv<br />

작용한다고 보고하였다. 만약 먹이 자원이 넓게 분포하<br />

로<br />

취식장소가 번식지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br />

거나,<br />

몸무게의 차이에 의해서 수컷이 길게 포란한다고 설명<br />

한<br />

있다. 남(2003)의 조사에 의하면, 슴새 수컷이 암컷<br />

하고<br />

수컷이 암컷보다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수컷<br />

에도<br />

몸무게가 암컷보다 무거운 상태에서도 각각의 포란 기<br />

의<br />

종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식여행 길이가 길어진다<br />

는<br />

and Røv 1994). 즉 비교적 긴 시간 동안에 먼<br />

(Lorensten<br />

취식여행을 간다. 이 경우에는 개체의 몸 크기의<br />

곳까지<br />

취식여행능력의 차이로 반영될 수 있으며, 결국 암<br />

차이가<br />

서로 다른 취식여행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br />

수가<br />

경우, 다른 슴새목 종들과 취식여행 길이를 비교<br />

슴새의<br />

보면, 비교적 짧은 취식여행 길이(5~6일)를 가지며, 이<br />

해<br />

이들의 취식장소가 번식지로부터 멀지 않은 지역이<br />

것은<br />

있었으며, 특히 포란 후반기로 갈수록 암수 간의 차이<br />

고<br />

보이고 있었다(Table 2). 이와 같은 현상은 슴새목 종<br />

를<br />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슴새의 포란 동안의 행<br />

라는<br />

패턴은 개체의 몸 크기에 의한 영향보다는 먹이자원의<br />

동<br />

더 오래 포란했을 때 새끼의 육추 기간 동안의<br />

평균보다<br />

감소한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현상은 암컷이 수<br />

생존율이<br />

조사에서 포란기 동안에 수컷의 몸무게는 약하게<br />

이번<br />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암컷의 경우, 일정하게<br />

감소하는<br />

에너지 조절에 있어서 더욱 민감하기 때문이며, 육<br />

컷보다<br />

안정적인 먹이 공급을 위하여 포란 기간 동안에<br />

추기의<br />

있었다(Fig. 3). 일반적으로 포란 기간 동안에 포<br />

유지되고<br />

개체는 배우자가 교대하기 전까지 긴 기아기간과<br />

란하는<br />

번식에 대한 투자가 적어진다고 설명하였다. 따<br />

수컷보다<br />

수컷이 더 많은 시간을 포란에 투자하는 것은 개체<br />

라서<br />

몸 상태(body condition) 조절 <strong>및</strong> 육추기 동안의 급이<br />

의<br />

상관이 있다(Gonzalez-Solis 2004). 이번 조사에<br />

전략과도<br />

대사량이 높으며, 따라서 일정한 기간 동안의 몸무<br />

들보다<br />

조절에 있어서 수컷과 같은 몸 크기가 큰 개체들이 작<br />

게<br />

부화기에 가까워 질수록 전체적인 암컷과 수컷의 포<br />

서도<br />

시간이 짧아지고 있으며, 더욱이 암컷의 포란 기간이<br />

란<br />

확실히 짧아지고 있었다(Table 2). 결과적으로<br />

수컷보다<br />

간의 포란 투자비율의 차이는 몸 크기와 같은 개체<br />

암수<br />

경우에도, 몸 크기가 큰 개체가 작은 개체보다<br />

Petrels의<br />

감소량이 크게 나타났다(Lorentsen and Røv 1995).<br />

몸무게<br />

영향과 더불어 바다새가 가지는 종 특이적인 육<br />

특이적인<br />

<strong>및</strong> 급이 전략과도 연관될 것이다. 그러나 사수도 슴새<br />

추<br />

취식여행의 길이가 암수 간의 차이가 없을 경우에<br />

그러나<br />

수컷의 몸무게는 점차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일반적으<br />

는<br />

번식에서, 이러한 행동들이 직접적으로 성공적인 육추<br />

의<br />

이소에 영향을 끼치는지는 판단할 수 없다. 사수도 슴<br />

<strong>및</strong><br />

암컷은 산란 이후 포란 기간 동안에 서서히 몸무게를<br />

로<br />

유지하게 된다. 이것은 산란으로 인한 에너지 감<br />

늘리거나<br />

번식성공률은 매우 낮으며, 외부도입 포식자에 의한<br />

새의<br />

주요 번식실패 요인으로 알려졌다(남 등 2002; Lee<br />

포식이<br />

보충하고(Warham 1990), 부화 이후에 새끼에게 안<br />

소를<br />

먹이공급을 하기 위함이다(Gonzalez-Solis 2004). 이<br />

정된<br />

성공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남 등 2004).<br />

조사에서 슴새의 취식여행의 길이는 포란 동안에 몸무<br />

번<br />

<strong>변화</strong>와 상관관계가 있었다(Fig. 4). 즉 포란하는 개체<br />

게의


암컷의 포란 시간은 짧아지고 있으며(Table 2), 이것은<br />

며,<br />

수컷의 취식 여행 길이가 짧아지고 있음을 보<br />

상대적으로<br />

따라서 상대적으로 긴 포란 시간에 비하여 짧은<br />

여준다.<br />

여행을 가지는 수컷의 몸무게는 감소하고 있었다<br />

취식<br />

3). 결국, 포란 <strong>및</strong> 취식여행 길이는 개체의 몸무게의<br />

(Fig.<br />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상호 의존적인 교대 행동에<br />

<strong>변화</strong>와<br />

사 사<br />

연구를 허가해 주신 문화재청 <strong>및</strong> 현지 조사에서 도<br />

본<br />

참고문헌<br />

2003. 슴새 부모의 질이 포란행위에 미치는 영향. 석<br />

남기백.<br />

경희대학교. 13 p.<br />

사학위논문,<br />

권인기, 유정칠. 2004. 사수도 슴새의 부화실패 요인.<br />

남기백,<br />

11(2), 79-85.<br />

한국조류학회지,<br />

유승화, 김동원, 유정칠. 2002. 집쥐에 의한 슴새 번<br />

남기백,<br />

감소.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서, 8(1), 43-47.<br />

식성공률<br />

C., H. Weimerskirch, G.G. Robertson, and P.<br />

Barbraud,<br />

18 Nam, K.-B. et al.<br />

Croxall, J.P. 1982. Energy costs of incubation and moult in<br />

감소된 몸무게가 높을수록 다음번 취식여행 길이는 증<br />

의<br />

있다. 또한, 취식여행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보충되<br />

가하고<br />

petrels and penguins. J. Anim. Ecol., 51, 177-194.<br />

Croxall, J.P. and C. Ricketts. 1983. Energy costs of<br />

몸무게의 양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취식여행을 떠난<br />

는<br />

자신의 몸무게의 증가뿐 아니라 포란하고 있는 배<br />

개체는<br />

incubation in the wandering Albatross Diomedea exulans.<br />

Ibis, 125, 33-39.<br />

교대 시기에 맞추어서 취식여행의 길이를 결정해<br />

우자의<br />

한다. 이것은 포란 일정이 암수 행동에 상호 의존적인<br />

야<br />

Gonzalez-Solis, J. 2004. Regulation of incubation shifts near<br />

hatching by giant petrels: A timed mechanism, embryonic<br />

signaling or food availability? Anim. Behav., 67, 663-<br />

때문이다(Johnstone and Davis 1990). 이번<br />

공동작업이기<br />

수컷의 포란 시간은 중반 이후 늘어나고 있으<br />

조사에서도<br />

671.<br />

Hatch, S.A. 1990. Individual variation in behavior and<br />

breeding success of Northern Fulmars. Auk, 107, 750-<br />

755.<br />

Imber, M.J. 1976. Breeding biology of the Grey-faced Petrel<br />

Pterodroma macroptera. Ibis, 118, 51-64.<br />

Johnstone, R.M. and L.C. Davis. 1990. Incubation routines<br />

and foraging trip regulation in the Grey-faced Petrel<br />

그들의 포란 <strong>및</strong> 취식여행 길이가 제한을 받는 것<br />

의하여<br />

생각된다. 으로<br />

Pterodroma macroptera. Ibis, 132, 14-20.<br />

Lee, K.G. and J.C. Yoo. 2002. Breeding population of<br />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and the<br />

effect of Norway Rats Rattus Norvegicus predation on<br />

Sasudo Island. J. Yamashina Inst. Ornithol., 33, 143-147.<br />

Lee, K.G. and J.C. Yoo. 2004. Variation in chick provisioning<br />

주신 임완호, 이지연, 윤민호, 김미란, 유승화, 김동원<br />

움을<br />

감사드립니다. 또한, 논문을 위해 조언을 아끼지<br />

님께도<br />

of Streaked Shearwaters(Calonectris leucomelas) during<br />

the early nestling stage. J. Yamashina Inst. Ornithol., 35,<br />

105-119.<br />

권영수와 이경규님 그리고 두 명의 심사위원에게<br />

않으신<br />

전합니다. 그리고 사수도에서 숙소를 제공해 주<br />

고마움을<br />

Lee, K.G., K.B. Nam, J.Y. Lee, H.J. Kim, and J.C. Yoo.<br />

200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rrows, adults<br />

추자도 해녀 분들과 경덕호, 배비호 선장님에게 고마움<br />

신<br />

전합니다. 을<br />

and eggs of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br />

Kor. J. Ornithol., 9(1), 23-29.<br />

Lorentsen, S.H. and N. Røv. 1994. Sex determination of<br />

Antarctic Petrels Thalassoica Antarctica by discriminant<br />

analysis of morphometric charaters. Polar Biol., 14, 143-<br />

145.<br />

Lorentsen, S.H. and N. Røv. 1995. Incubation and brooding<br />

performance of the Antarctic Petrel Thalassoica Antarctica<br />

at Svarthamaren, Dronning Maud Land. Ibis, 137, 345-<br />

351.<br />

Oka, N. 1996. Streaked Shearwaters. p. 21-22. In: The<br />

encyclopaedia of animals in Japan, v. 3. Bird 1, ed. by<br />

Jouventin. 1999. Size-related life history traits: Insights<br />

from a study of Snow Petrel Pagodroma nivea. J. Anim.<br />

H. Higuchi, H. Morioyuki, and S. Yamagishi. Heibonsha<br />

Limited, Tokyo.<br />

Ecol., 68, 1179-1192.<br />

Brooke, M.L. 1978. Some factors affecting the laying date,<br />

Rising, J.D. and K.M. Somers. 1989. The measurement of<br />

overall body size in birds. Auk, 106, 666-674.<br />

incubation and breeding success of the the Manx<br />

Shearwater, Puffinus puffinus. J. Anim. Ecol., 47, 477-495.<br />

Sæther, B.E. 1987. The influence of body weight on the<br />

covariation between reproductive traits in European<br />

Brown, W.Y. 1975. Incubation shifts of Sooty Terns Sterna<br />

fuscata on Manana Island, Hawaii. Ibis, 117, 527-529.<br />

birds. Oikos, 48, 79-88.<br />

Serventy, D.L. 1956. A method of sexing petrels in field<br />

Chastel, O., H. Weimerskirch, and P. Jouventin. 1995. Body<br />

condition and seabird reproductive performance: A study<br />

observations. Emu, 56, 213-214.<br />

Van Faneker, J.A. and C.J.F. ter Braak. 1993 A generalized<br />

of three Petrel species. Eology, 76, 2240-2246.


Incubation Routine and Sex Role of Streaked Shearwaters 19<br />

discriminant for sexing fulmarine petrels from external<br />

availability and distribution. Proc. R. Soc. Lond. B, 255,<br />

measurements. Auk, 110, 492-502.<br />

91-97.<br />

Warham, J. 1990. The Petrels: Their ecology and breeding<br />

Weimerskirch, H. 1995. Regulation of foraging trips and<br />

system. Academic Press, London. 440 p.<br />

incubation routine in male and female wandering<br />

Weidinger, K. 1998. Incubation and brooding rhythm of the<br />

albatrosses. Oecologia, 102, 37-43.<br />

Cape Petrel Daption capense at Nelson Island, South<br />

Won, P.O. 1970. Bird survey in Chuja Island, Cheju-do,<br />

Shetland Islands, Antarctica. Ibis, 140, 163-170.<br />

Korea. Tori, 20, 18-23.<br />

Weimerskirch, H., P. Doncaster, and C.F. Cuenot. 1994.<br />

Pelagic seabirds and the marine environment: Foraging<br />

Received Nov. 13, 2007<br />

pattern of wandering albatrosses in relation to prey<br />

Accepted Jan. 15, 2008


해양환경연구본부<br />

2한국해양연구원<br />

경기도 안산시 안산우체국 사서함 29<br />

(425-600)<br />

Coastal Engineering Research Department, KORDI<br />

1<br />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ORDI<br />

2<br />

: Analyzing the results of East Sea Regional Ocean Model using a 3-dimensional variational data<br />

Abstract<br />

scheme, we investigated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br />

assimilation<br />

in the East Sea. The climatological monthly mean transport of the NKCC clearly shows seasonal<br />

(NKCC)<br />

of the NKCC within the range of about 0.35 Sv (=10 6 m 3 /s), which increases from its minimum<br />

variation<br />

0.45 Sv) through December-January to March, decreases during March and May, and then increases<br />

(about<br />

to the maximum (about 0.8 Sv) in August-September. The volume transport of the NKCC shows<br />

again<br />

variation of the NKCC with the range of about 1.0 Sv that is larger than seasonal variation. The<br />

interannual<br />

current of the NKCC appears often not only in summer but in winter as well. The width of the<br />

southward<br />

is about 35 km near the Korean coast and its core is located under the East Korea Warm Current.<br />

NKCC<br />

North Korean Cold Water (NKCW), characterized by low salinity and low temperature, is located both<br />

The<br />

the Tsushima Warm Water and in the western side of the maximum southward current of the NKCC<br />

under<br />

means the NKCC advects the NKCW southward along the Korean coast. It is revealed that the<br />

that<br />

low salinity water, formed off the Vladivostok in winter, flows southward to the south of 37 o N<br />

intermediate<br />

2~3 paths; one path along the Korean coast, another one along 132 o E, and the middle path along<br />

through<br />

o E. The path of the intermediate low salinity varies with years. The reanalysis fields suggest that the<br />

130<br />

is advected through the paths along the Korean coast and along 130 o E.<br />

NKCW<br />

words : East Sea, North Korean Cold Current, seasonal variation, inter-annual variation, East Sea<br />

Key<br />

Ocean Model<br />

Regional<br />

이 난수역과 냉수역은 북위 37~38도 부근의 한국 동<br />

다.<br />

해역에서 만나며 따라서 이 해역은 해황의 공간적인<br />

해안<br />

주위보다 수온이 현저히 낮은 냉수가 존재한다.<br />

여름철에<br />

냉수는 인접한 해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염분은 낮고<br />

이<br />

Vol. 30(1):21-31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Article<br />

동해 재분석 자료에 나타난 북한한류의 <strong>계절</strong> <strong>및</strong> 경년변동성<br />

1 *·민홍식 2 김영호<br />

연안개발연구본부<br />

1한국해양연구원<br />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br />

in the East Sea Reanalysis Data<br />

Young Ho Kim 1 *<br />

and Hong Sik Min 2<br />

Ansan P.O. Box 29, Seoul 425-600, Korea<br />

1. 서 론<br />

대한해협을 통해 유입된 난수가 상층에 분포하<br />

동해는<br />

있는 남쪽의 난수역과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은 북쪽의<br />

고<br />

심한 곳이다. 한국 동해안을 따라 흐르며 고온고염<br />

<strong>변화</strong>가<br />

대마난류수를 수송하는 동한난류 밑에는 주로 봄철과<br />

의<br />

냉수역으로 나뉘며 두 해역의 경계에는 극전선이 존재한<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yhkim@kordi.re.kr<br />

용존산소량은 높은 특징을 보이는데 이러한 물리·화학적


김 1983; Cho and Kim 1994).<br />

다(김과<br />

and Chung(1984)은 1981년 9월에 울릉분지 남서<br />

Kim<br />

밝히는 것이 또 하나의 과제가 되었다. Cho and Kim<br />

를<br />

1991년 동해 남서부역에서 행해진 CTD 관측 결<br />

(1994)은<br />

입증하기에는 부족하였다.<br />

을<br />

물성관측과 해류관측을 대신하여 3차원 수치<br />

직접적인<br />

Yoon and Kawamura 2002). 이들 모델 연구에서는<br />

1999;<br />

비교적 성공적으로 재현했다고 평가되나,<br />

북한한류계수를<br />

et al.(2007)은 GFDL-MOM3에 기반한 동해순환<br />

Kim<br />

3차원 변분동화기법(3-dimensional variational<br />

모델에<br />

assimilation)을 적용하여 자료동화 체계를 구축하였<br />

data<br />

이 체계에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동해의 수온과<br />

으며,<br />

et al.(2007)의 10년간의 동해 수온 <strong>및</strong> 염분 그리고<br />

Kim<br />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북한한류의 시공간 변동<br />

해류의<br />

북한한류계수의 남하 경로를 밝히고자 한다.<br />

특성과<br />

북한한류계수를 정의함에 있어 북한한류계수의<br />

한편,<br />

김과 김 1983; Cho and Kim 1994). 1~5 o C 수온 범<br />

1979;<br />

염분이 34.05 psu 이하인 해수를 북한한류계수라<br />

위에서<br />

psu 이하인 해수로 한다. 동해중층수와 북한한류계<br />

34.05<br />

구분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 아니므로, 본<br />

수를<br />

남북방향으로는 0.1 o 로 격자간격이 일정한 반면 동서<br />

다.<br />

한국 동해안에서는 0.06 o 간격으로 조밀하고<br />

방향으로는<br />

445.97 m 간격으로 성기게 구성하였다.<br />

바닥층에서<br />

가로지르는 혼합이 수치적 오차에 의해 과<br />

등밀도면을<br />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온과 염분에 대해<br />

도해지는<br />

수평 이류방안(Hofmann and Maqueda 2006)을 도<br />

SOM<br />

등밀도면을 따르는 물성 혼합을 모수화하기<br />

입하였으며,<br />

RM 혼합방안(Roberts and Marshall 1998)을 사<br />

위하여<br />

해면경계층을 모수화하기 위해서는 KPP(K-<br />

용하였고,<br />

Parameterization) 경계면 혼합방안(Large et al.<br />

Profile<br />

사용하였다.<br />

1994)을<br />

대한해협을 통해 유입되는 해류<br />

개방경계조건으로는<br />

condition)과 완화조건(restoring condition)을 적<br />

(radiation<br />

et al. 2001). 그리고 개방경계의<br />

용하였다(Marchesiello<br />

22 Kim, Y. H. and Min, H. S.<br />

이 냉수는 북한이나 러시아 연안역에서 생<br />

특성으로부터<br />

연안을 따라 남하한 북한한류계수로 알려져 있<br />

성되어서<br />

염분이 최소이고 용존산소량이 최대인 수괴를 발<br />

쪽에서<br />

이를 동해중층수라고 명명하였다. 북한한류계수와<br />

견하고<br />

1~5 o C라고 한 점은 대부분 연구에서 일치하<br />

수온범위를<br />

염분범위는 연구마다 서로 다르게 제시되어 왔다(박<br />

나<br />

물리·화학적인 특성이 유사하여 구분 짓기<br />

동해중층수는<br />

어려우며 두 수괴를 구분하고 형성 기원과 이동 경로<br />

가<br />

하면 모든 연구의 정의를 만족하므로 본 연구에서는<br />

고<br />

정의를 1~5 o C 수온 범위에서 염분이<br />

북한한류계수의<br />

물성이 서로 비슷한 북한한류계수와 동해중층수<br />

과로부터<br />

수평적으로 그리고 수직적으로 위치를 달리한다고 보<br />

는<br />

북한한류계수의 염분최소층 수온이 동해중층<br />

고하였으며<br />

수온보다 다소 낮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br />

수의<br />

편의상 북한한류계수를 포함하여 울릉분지 주<br />

연구에서는<br />

관측되는 1~5 o C의 염분최소층을 갖는 수괴를 중<br />

변에서<br />

지칭하고, 그중에서 특히 동한난류 밑으로 한<br />

층저염수로<br />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는 중층저염수를 북한한류계수로<br />

국<br />

분포 위치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로서 두 수괴가 다<br />

성과<br />

해역에서 형성됐을 가능성과 형성 해역은 같지만 형성<br />

른<br />

동해남서부(울릉분지)로의 이동경로가 다를 가능<br />

시기와<br />

제시하였다. 한편, 북한한류의 존재를 추정해 볼 수<br />

성을<br />

동해중층수와 북한한류계수의 용어 혼동을 피하고자<br />

하여<br />

한다.<br />

한국 연안역에서의 해류추정 <strong>및</strong> 직접 관측이 실시되<br />

있는<br />

했지만(이 등 1989; Kim 1999; Chang et al. 2002),<br />

기도<br />

2. 3차원 변분동화기법을 이용한 동해자료동화<br />

체계<br />

매우 짧거나 해류관측 기간동안 해수 물성이<br />

관측기간이<br />

관측되지 않아서 북한한류계수의 남하 <strong>및</strong> <strong>계절</strong>변동<br />

함께<br />

수평방향으로는 B 격자체계를, 수직방<br />

동해순환모델은<br />

Z 격자체계를 갖는 MOM3에 기반을 두고 있<br />

향으로는<br />

이용하여 북한한류계수를 재현하고 <strong>계절</strong>변동 <strong>및</strong><br />

모델을<br />

밝히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Kim and<br />

기원을<br />

Yoon 1999; Yoshikawa et al. 1999; Kim and Seung<br />

갈수록 점점 성기게 되어 동경 130도 동쪽에서<br />

동쪽으로<br />

0.1 o 간격이 되는 가변격자체계를 도입하였다. 이처럼<br />

는<br />

조밀한 격자 간격을 구성한 이유는 동한난류<br />

동해안에서<br />

북한한류를 보다 정밀하게 모사하기 위함이다. 수직방<br />

와<br />

관측치보다 100 m 이상 깊게 모사하였으<br />

염분최소층을<br />

북한한류계수의 이동과 연관된 북한한류의 <strong>계절</strong>변동<br />

며,<br />

격자간격은 표층 부근의 해양혼합층을 정밀하게 모<br />

향의<br />

위해 표층에서 2.5 m 간격으로 조밀하게 구성하고<br />

사하기<br />

모사에서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북한한류가 남하하는<br />

의<br />

모사하였다. 이는 여름철에 북한한류계수가 한국<br />

것으로<br />

따라 남쪽으로 확장하며 겨울철에는 오히려 북<br />

동해안을<br />

쇠퇴하는 관측결과와 상반된다.<br />

쪽으로<br />

고도변이를 동화하여 0.1 o 이하의 정밀격자상에서<br />

해면<br />

간격의 3차원 수온과 염분, 그리고 해류의 재분석 자<br />

10일<br />

생산하였다. 비교 검증 결과 100 m 재분석 수온장과<br />

료를<br />

수온장의 상관도는 평균 0.79로 높았으며 울릉분지<br />

관측<br />

쓰가루해협과 쏘야해협을 통해 유출되는 해류를 모수<br />

와<br />

위하여 수온과 염분 그리고 순압류에 방사조건<br />

화하기<br />

중규모 현상들을 잘 재현하였으며, 특히 여름철에 북<br />

내의<br />

남하하는 현상을 재현하는 등 동해의 순환을 현<br />

한한류가<br />

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염분의 완화조건을 위한 자료로는 WOA(World<br />

수온과<br />

Atlas 2001)의 기후 월평균 수온과 염분 자료를 이<br />

Ocean<br />

대한해협에서 개방경계의 순압류를 위한 완<br />

용하였으며,<br />

위해 1993년부터 1998년 3월까지는 한국의 부<br />

화조건을<br />

해면을 통한 열속 조건으로 Bulk Formula<br />

조건으로는<br />

et al. 1997)를 적용하였고 담속 조건으로는 WOA<br />

(Large<br />

해면고도계 자료를 동화하기 위하여 해면압력이<br />

한편,<br />

따라 바닥압력은 <strong>변화</strong>하지 않으면서 수온과 염분<br />

<strong>변화</strong>함에<br />

프로파일은 수직적으로 이동되는 Cooper and Haines<br />

의<br />

방안을 적용하여 수괴특성과 잠재와도의 보존이<br />

(1996)의<br />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23<br />

이용한 상관모델의 수립방안을 사용하였다. 이<br />

방정식을<br />

수치적으로 빠른 계산이 가능해졌으며 복잡한 해안<br />

로써<br />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형태의 배경오차<br />

선<br />

구성할 수 있었다.<br />

공분산을<br />

일본의 모지 사이의 해면 고도를 이용해 추정된 대<br />

산과<br />

수송량을 그리고 1998년 4월부터 2002년까지는<br />

한해협<br />

해저케이블을 이용해 추정된 대한해협 수송량<br />

대한해협<br />

et al. 2004)을 이용하였다. 쓰가루해협과 쏘야해협<br />

(Kim<br />

통해 유출되는 수송량은 Na et al.(2007)의 결과를 따<br />

을<br />

각각 대한해협 수송량의 2/3와 1/3로 하였다. 해면경계<br />

라<br />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오이드의 오류<br />

만족되도록<br />

인하여 자료동화 체계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면고도<br />

로<br />

해면고도변이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였<br />

대신에<br />

et al. 2007).<br />

다(Kim<br />

해면 염분에 완화하는 조건을 적용하였다. 3차원<br />

자료의<br />

error corvariance)을 모수화<br />

배경오차공분산(background<br />

수립된 자료동화 체계를 이용하여 1993년부터<br />

이렇게<br />

국립수산과학원과 일본해양자료센타의 정선<br />

2002년까지<br />

하기 위하여 Weaver and Courtier(2001)의 방법대로 확산<br />

관측 자료, CREAMS 관측과 Argo 관측의 수온 프로파일<br />

Fig. 1. Simulated currents at 340 m in winter (a, c) and summer (b, d), 1997 (a, b) and 1999 (c, d).


1a, c)보다는 여름철(Fig. 1b, d)에 더욱 뚜렷하다.<br />

울철(Fig.<br />

북한한류계수의 공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br />

북한한류와<br />

수심 150~350 m에 존재하며 최대의 남향류가 존재하<br />

쪽,<br />

영역보다 서쪽에 위치한다. 비록 북한한류의 유속의 수<br />

는<br />

3. Southward volume transport of the NKCC across<br />

Fig.<br />

N (Fig. 1) from 1993 to 2002 (a), and its cli-<br />

line<br />

monthly mean (b). Volume transport<br />

matological<br />

calculated by integrating southward velocity<br />

was<br />

100 m to 700 m. Red line in (a) denotes the<br />

from<br />

running average of the volume transport.<br />

370-day<br />

2. Vertical sections of simulated temperature, salinity and meridional velocity in August, 1999 across line N<br />

Fig.<br />

1). (Fig.<br />

24 Kim, Y. H. and Min, H. S.<br />

그리고 비정기적인 XBT 관측 자료를 동해순환모델<br />

자료<br />

동화하였다. 또한, 위성관측자료로 해면수온과 해면고<br />

에<br />

잘 모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온이 1~5 o C이며 염분<br />

징을<br />

34.05 psu 이하인 북한한류계수는 동경 130.3도의 서<br />

이<br />

자료를 동화하였다. 이를 통해 동해순환모델의 매 격<br />

도계<br />

10일 간격 해면고도와 수온, 염분 그리고 유속<br />

자점에서<br />

재분석 자료를 생산하였다. 이렇게 생산된 재분석 자료<br />

의<br />

일반적인 동해의 순환뿐만 아니라 울릉 분지의 중규모<br />

는<br />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바가 없으나 수온과 염분<br />

직구조는<br />

구조는 관측 자료로부터 보고된 결과(김과 김 1983;<br />

의<br />

성공적으로 재현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Kim et<br />

현상을<br />

2007). 뿐만 아니라 기존 수치모델에서는 재현되지 않<br />

al.<br />

여름철에 북한한류가 남하하는 현상이 잘 재현되었<br />

았던<br />

재분석 자료는 북한한류의 시공간 변동 특성을 파<br />

으므로<br />

악하기에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br />

3. 북한한류의 시공간 변동<br />

남서부 해역에서 북한한류의 특징이 두드러지게<br />

동해<br />

340 m층을 택하여 동해 재분석 자료에서 보이<br />

나타나는<br />

북한한류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Fig. 1). 한국 동해<br />

는<br />

따라 남하하는 북한한류의 특징이 뚜렷하게 보이며<br />

안을<br />

이후 북위 36도 경에 위치하는 울릉분지의 남단을<br />

남하<br />

일본 연안을 따라 동진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한국<br />

돌아<br />

따라 남하하는 북한한류의 폭은 약 35 km이고<br />

동해안을<br />

유속은 약 10 cm/s이며, 북한한류의 남하 경향은 겨<br />

최대<br />

8월의 재분석 자료를 택하여 북위 36도에 평행한<br />

1999년<br />

1의 N 단면)에서 수온과 염분 그리고 남북 방향<br />

단면(Fig.<br />

분포를 분석하였다(Fig. 2). 표층에서 최대 유속 약<br />

유속의<br />

cm/s이고 수심 100 m까지 유속이 10 cm/s 이상인 북향<br />

40<br />

뚜렷하게 보이며 그 아래 수심 약 150~600 m에서<br />

류가<br />

7.5 cm/s 이상인 남향류가 보인다. 전자는 동한난<br />

유속이<br />

해당하며 후자는 북한한류에 해당한다. 표층의 동한<br />

류에<br />

위치는 고온고염의 대마난류수의 위치와 대체로<br />

난류의<br />

일치하여 동한난류가 대마난류수를 수송하는 일반적인 특


and Kim 1994)와 대체로 일치하므로 북한한류계수<br />

Cho<br />

북한한류의 모사가 사실적인 것으로 판단된다.<br />

와<br />

단면의 수심 100~700 m를 통과하여 남향하는 유속<br />

N<br />

적분하여 얻어진 북한한류 수송량(Fig. 3a)의 기후 월<br />

을<br />

1년에 두 번의 피크가 있는 형태를 보인다.<br />

는<br />

<strong>계절</strong>변동 외에 북한한류 수송량의 경년 변동<br />

평균적인<br />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25<br />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Fig. 3a). 8월경에 수송량<br />

또한<br />

최대인 형태는 대부분 모든 해에 나타났으나 그 크기<br />

이<br />

자료(Fig. 3b)를 이용하여 북한한류의 <strong>계절</strong>변동성을<br />

평균<br />

10년간 월평균 북한한류의 수송량은 8~9월에<br />

조사하였다.<br />

해에 따라 크게 달랐다. 그 예로 1996년과 1999년 8월<br />

는<br />

북한한류 수송량이 1.4 Sv 이상이었으나 2001년 8월<br />

에는<br />

약 0.8 Sv(=10 6 m 3 /s)이고 12~1월에 최소인 약<br />

최대인<br />

Sv이며 <strong>계절</strong>변동 폭은 약 0.35 Sv이다. 8~9월에 북한<br />

0.45<br />

0.4 Sv 이하였다. 10년간 북한한류 수송량의 경년변<br />

에는<br />

약 1.0 Sv으로 평균 <strong>계절</strong>변동폭(Fig. 3b 참조)보다<br />

동폭은<br />

수송량이 최대인 점은 김과 김(1983)이 여름철에<br />

한류의<br />

강화된다고 제안한 것과 일치한다. 해수물성<br />

북한한류가<br />

나타났다. 12개월 이동평균으로 본 북한한류의 연평<br />

크게<br />

수송량(Fig. 3a의 붉은 실선)을 분석한 결과, 북한한류<br />

균<br />

자료로는 북한한류의 남하가 강화되기 시작하는 시<br />

관측<br />

정확하게 알 수 없었으며 겨울에서 여름으로 갈수록<br />

기를<br />

연평균 수송량은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증가하다가<br />

의<br />

감소하고 다시 1999년에 최대인 1.0 Sv까지<br />

1998년까지<br />

형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없었다. 재분석 자<br />

강화되는<br />

북한한류 수송량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기가<br />

료에서는<br />

2001년에 최소인 0.2 Sv까지 감소한 후 증가<br />

증가하다가<br />

2001년에 북한한류의 <strong>계절</strong>변동폭도 작고 수송량<br />

하였다.<br />

것으로 나타났으며 8월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형<br />

1월경인<br />

보이기보다는 3~5월에 잠시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br />

태를<br />

작았던 점은 다른 해와는 구별되는 특이한 형태로 관<br />

도<br />

발표된 적이 없는 형태이다. 10년간 북한한류<br />

측자료에서<br />

Fig. 4. Vertical sections of meridional velocity across line N in March (a) and August (b) from 1993 to 2002.


감소한 후 다시 4월이나 5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8<br />

부터<br />

9월에 최대에 이른 후 감소하는 형태가 10년 중에<br />

월이나<br />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북한한류의 수송량이 1.4<br />

구조를<br />

이상으로 컸던 1996년과 1999년 8월의 경우, 북한한류<br />

Sv<br />

동한난류 밑에 위치하는 것이며 2001년 8월과 1996년<br />

한<br />

제외한 모든 해의 유속구조가 이와 같은 형태를 갖<br />

8월을<br />

그러나 1996년 8월의 유속구조는 동한난류가 다른<br />

는다.<br />

비해 더 동쪽에 위치하고 그 서쪽 표층에서 10 cm/s<br />

해에<br />

다르게 나타났다.<br />

구조와는<br />

존재는 여름철 유속구조에서만 파악되는<br />

북한한류의<br />

아니며 겨울철 유속구조에서도 파악된다. 1994년,<br />

것은<br />

2002년 3월에는 한국 연안역에서 북한한류라고<br />

2001년,<br />

3월의 유속구조는 대부분 8월에 출현하는 북한한류의<br />

다.<br />

크게 다르지 않으며, 특히 2000년 3월의 경<br />

유속구조와<br />

동한난류 밑으로 250 m 보다 깊은 수심에서 7.5 cm/s<br />

우,<br />

강한 남향류가 나타난다. 1996년과 1997년의 경<br />

이상의<br />

표층에서 10 cm/s 이상인 남향류가 심층까지 연결된<br />

우,<br />

보이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최대 남향류가<br />

유속구조가<br />

m 이심에 존재하는 여름철 평균적인 북한한류의 유속<br />

200<br />

다른 형태이다.<br />

구조와는<br />

북한한류의 남하가 늦은 겨울 또는 이른 봄에 이미<br />

결과,<br />

2월 또는 3월에 북한한류 수송량의 피크가 나타<br />

시작되며<br />

상호 관계를 밝히는데 주요할 것으로 사료된다.<br />

수와의<br />

기원에 대해서는 Yoshikawa et al.(1999)<br />

중층저염수의<br />

m 염분의 시간에 따른 수평분포 <strong>변화</strong>를 분석하였다<br />

235<br />

5). 재분석 자료에 의하면 중층저염수는 대체로 북위<br />

(Fig.<br />

6월 이후에는 대체로 동경 130도를 따라 남하하다가<br />

며,<br />

북위 37도의 한국 연안역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br />

6월경에<br />

Fig. 5e의 A는 1997년에 한국 연안역을 따라 남<br />

타났다.<br />

중층저염수를 나타내며 B는 외해역으로 남하하는<br />

하하는<br />

접근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br />

으로<br />

경로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Fig. 5i, j)의 예가 있기<br />

남하<br />

26 Kim, Y. H. and Min, H. S.<br />

시계열자료(Fig. 3a)의 연별 <strong>계절</strong>변동에서 북한<br />

수송량의<br />

수송량은 1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월 또는 3월<br />

한류<br />

4. 중층저염수의 남하 경로<br />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북한한류계수의 남<br />

북한한류와<br />

선행 연구들(김과 김 1983; Yun et al. 2004)에 의하<br />

하는<br />

가장 일반적인 <strong>계절</strong>변동으로 Fig. 3b에 나타난 기후월<br />

서<br />

<strong>계절</strong>변동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1993년 2월,<br />

평균<br />

동해 연안역을 따라 남하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울릉분<br />

면<br />

북한한류계수와 물리·화학적 특성이 비슷한 동해중<br />

지에<br />

3월, 1997년 3월 그리고 2000년 3월의 북한한류<br />

1996년<br />

각각 0.9, 1.0, 1.2, 그리고 1.3 Sv으로 평균적인<br />

수송량은<br />

출현하고 있어 중층저염수의 기원 <strong>및</strong> 남하 경로를<br />

층수가<br />

것이 북한한류계수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해중층<br />

파악하는<br />

수송량의 <strong>계절</strong>변동과는 다르게 겨울철 수송량이<br />

북한한류<br />

기후 월평균 수송량보다 큰 점은 주목할 만하다.<br />

여름철<br />

월평균 수송량(Fig. 3b)에서 최대값이 나타나는<br />

기후<br />

8월을 중심으로 1993년부터 2002년까지 N 단면에<br />

3월과<br />

Yoon and Kawamura(2002) 등이 수치모델을 이용하여<br />

와<br />

연안역에서 표층의 저염수가 겨울철에 침<br />

블라디보스토크<br />

남북방향 유속분포를 분석하였다(Fig. 4). 2001년 8월<br />

서<br />

경우 북한한류라고 특징지을 수 있는 유속구조가 나타<br />

의<br />

생성되는 것으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중층저<br />

강하면서<br />

남하 경로에 대해서는 Yun et al.(2004)이 북한과<br />

염수의<br />

않지만 이를 제외한 모든 해의 8월에 한국 연안역의<br />

나지<br />

150 m 보다 깊은 수심에서 북한한류가 남하하는 유속<br />

약<br />

연안역에서 겨울철에 생성된 중층저염수가 4월부<br />

러시아<br />

10월까지 남하한다고 기술하면서 세 개의 남하 경로를<br />

터<br />

것 외에는 관측 자료나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밝혀<br />

제안한<br />

바가 없다. 진<br />

남향류 유속이 7.5 cm/s 이상으로 다른 해의 8월에 비<br />

의<br />

크게 나타났다. 북한한류의 평균적인 분포는 표층의 강<br />

해<br />

남하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재분석 자<br />

중층저염수의<br />

중층저염수의 저염분 특성이 잘 나타나는 수심<br />

료에서<br />

이북, 동경 132도 이서에서 생성되어 2~3개의 경로<br />

40도<br />

통하여 남하한다. 1997년의 경우, 겨울철에 생성된 저<br />

를<br />

남향류가 존재하며 그보다 깊은 200~500 m 수심<br />

이상의<br />

7.5 cm/s 이상의 남향류가 존재하는 형태로 평균적인<br />

에서<br />

두 개의 경로를 통하여 남하한다. 먼저 겨울동안<br />

염수는<br />

중층저염수는 봄철에 한국 연안역을 따라 남하하<br />

생성된<br />

수 있는 뚜렷한 남향류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br />

특징지을<br />

해의 3월에는 남향하는 북한한류의 존재가 파악되었<br />

부분<br />

나타낸다. A저염수와 B저염수가 남하하는<br />

중층저염수를<br />

경로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br />

시기와<br />

경우에는, 2월에서 3월에 생성된 저염수의 대<br />

1999년의<br />

봄철에서 여름에 이르기까지 주로 한국 연안역을<br />

부분이<br />

남하하며 저염수의 일부가 동경 132도를 따라 남하<br />

따라<br />

독도 근해역까지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5g의<br />

하여<br />

1999년에 한국 연안역을 따라 남하하는 중층저염수<br />

C는<br />

나타내며 D는 동경 132도를 따라 독도 근해역까지 남<br />

를<br />

중층저염수를 나타낸다. 1999년의 C저염수는<br />

하하는<br />

A저염수와 대체로 비슷한 경로를 따라 남하하<br />

1997년의<br />

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여름철 북한한류<br />

북한한류에<br />

남하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재분석 자료를 분석한<br />

의<br />

1997년보다 염분이 낮고 북위 36도의 울릉분지 남단까<br />

며<br />

남하한다. 반면에 1999년의 D저염수는 1997년의 B저<br />

지<br />

동쪽 경로를 통해 남하하며 B저염수가 6월경에<br />

염수보다<br />

연안역에 도달한 것과 달리 D저염수는 한국 연안역<br />

한국<br />

여름철인 8월이나 9월에 더 큰 피크가 나타나는 것<br />

나며<br />

파악되었다. 으로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27<br />

Fig. 5. Horizontal distribution of salinity at 235 m in February, April, June and August for the period of 1993~2002.


28 Kim, Y. H. and Min, H. S.<br />

(Fig. 5. Continued)


하지만 대체로 한국 연안역을 따르는 경로와 동경 132<br />

는<br />

따르는 경로 <strong>및</strong> 두 경로의 중간인 동경 130도를 따<br />

도를<br />

북한한류 수송량의 경년변동폭은 1.0 Sv으로 <strong>계절</strong><br />

이었다.<br />

크게 나타났다. 또한, 북한한류는 연안역으로<br />

변동폭보다<br />

남하하는 중층저염수일 것으로 사료된다.<br />

경로로<br />

연구들에 이용되었던 관측자료로부터는 추정하<br />

선행<br />

따라서 향후 북한한류의 변동성을 관측하고자 할 때<br />

다.<br />

아니라 겨울철 관측도 요구되며 수치모델을<br />

여름철뿐만<br />

남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br />

한한류의<br />

et al.(2006)은 북한한류계수로부터 기원하고 대한해<br />

Kim<br />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29<br />

(Fig. 5. Continued)<br />

최대인 0.8 Sv에 이르는 <strong>계절</strong>변동을 뚜렷하게<br />

8~9월경에<br />

북한한류 수송량의 <strong>계절</strong>변동폭은 약 0.35 Sv<br />

모사했으며<br />

경로 등 세 개의 경로를 통해 중층저염수가 남하하<br />

르는<br />

것으로 나타났다. 동경 130도를 따라 남하하는 저염수<br />

는<br />

봄철에 한국 연안역에 접근하는 반면(Fig. 5d, e), 동경<br />

가<br />

따라 남하하는 저염수는 한국 연안역에 접근하지<br />

132도를<br />

약 35 km 이내의 좁은 해역을 통해 남하하는 것으로<br />

부터<br />

매년 겨울에 생성되는 중층저염수는 2~3개의<br />

나타났다.<br />

남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북한한류계<br />

경로로<br />

한국 연안역을 따르는 경로와 동경 130도를 따르는<br />

수는<br />

것(Fig. 5f,g,h)이 특징적이다. 앞에서 기술한 중층<br />

않는<br />

남하 경로는 Yun et al.(2004)이 제안한 세 개의<br />

저염수의<br />

경로와 대체로 일치한다. 위와 같은 남하 경로를 통<br />

남하<br />

볼 때, 북위 37도 이남의 한국 연안역에 여름철에 출현<br />

해<br />

어려운 이러한 자세한 북한한류의 <strong>계절</strong>변동성과 공간<br />

기<br />

파악은 재분석 자료를 이용했기 때문에 가능하였<br />

특성의<br />

저온저염의 북한한류계수는 서일본분지로부터 한국<br />

하는<br />

따르는 경로와, 동경 130도를 따르는 경로를 통해<br />

연안을<br />

중층저염수일 것으로 사료된다.<br />

남하한<br />

5. 토 의<br />

북한한류를 재현하려면 고해상도의 격자망을<br />

이용하여<br />

할 것이다. 필요로<br />

12월에 북위 37.55도의 한국 동해안역에 북한한<br />

1987년<br />

넓게 분포하고 있다고 보고한 Kim et al.(1991)<br />

류계수가<br />

연구에서는 Kim et al.(2007)의 10년간의 동해 수온<br />

본<br />

염분 그리고 해류의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북한한류<br />

<strong>및</strong><br />

<strong>계절</strong> <strong>및</strong> 경년변동과 공간특성을 파악하고, 북한한류계<br />

의<br />

남하 경로를 밝히고자 하였다. 재분석 자료는 북한한<br />

수의<br />

제외하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늦은 겨울 또는 봄철부<br />

을<br />

남하하기 시작하여 2월이나 3월에 피크를 나타내는 북<br />

터<br />

늦은 겨울이나 봄철부터 남하하기 시작하면서 수송<br />

류가<br />

증가하다가 3~5월경에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여<br />

량이


있다.<br />

관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해류 자료의 부재<br />

북한한류에<br />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의 지원(계약번호 UD031003AD)<br />

본<br />

수행되었으며 한국해양연구원의 연구프로그램<br />

으로<br />

김구. 1983.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br />

김철호,<br />

기원. 한국해양학회지, 18(1), 73-83.<br />

과<br />

1979. 한국 동해의 용존산소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br />

박청길.<br />

14(2), 67-70.<br />

국해양학회지,<br />

석문식, 김철호. 1989. 한국 동해에서 남동심층류 관<br />

이흥재,<br />

한국해양학회지, 24(2), 63-68.<br />

측.<br />

30 Kim, Y. H. and Min, H. S.<br />

minimum layer in the Ulleung Basin. La mer, 32(3),<br />

서수도를 따라 남하하는 대한해협 저층냉수가 기존에<br />

협<br />

여름철에만 대한해협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br />

는<br />

271-278.<br />

Cooper, M. and K. Haines. 1996. Altimetric assimilation<br />

1월에 한번 더 유입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br />

12월이나<br />

Kim et al.(2006)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br />

다.<br />

with water property conservation. J. Geophys. Res.,<br />

101(C1), 1959-1977.<br />

여름철 외에 겨울철이나 봄철에도 상당한 남향 유속<br />

같이<br />

갖는 북한한류가 존재할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할 수<br />

을<br />

Hofmann, M. and M.A.M. Maqueda. 2006. Performance of<br />

a second-order moments advection scheme in an ocean<br />

general circulation model. J. Geophys. Res., 111, C05006.<br />

doi:10.1029/2005JC003279.<br />

해수물성 관측 자료의 시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주<br />

<strong>및</strong><br />

<strong>계절</strong><strong>변화</strong>에 초점을 맞춰왔다. 비록 Min et al.(2006)이<br />

로<br />

Kim, C.-H. and J.-H. Yoon. 1999. A numerical modeling of<br />

the upp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circulation in the<br />

Eat Sea. J. Oceanogr., 55, 327-345.<br />

주변의 냉수괴들에 대한 경년변동에 주목하였으<br />

대한해협<br />

주로 대한해협 저층냉수와 대한해협 주변의 냉수괴들<br />

나<br />

Kim, C.H., H.-J. Lie, and K.-S. Chu. 1991. On the<br />

intermediate water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 of<br />

관계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재분석<br />

과의<br />

한국 연안역을 따라 남하하는 북한한류의 계<br />

자료에서는<br />

Japan). p. 129-141. In: Oceanography of Asia Sea, ed.<br />

by K. Takano. Elsevier, Amsterdam.<br />

뚜렷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경년변동 또한 그<br />

절변동이<br />

<strong>계절</strong>변동에 비교될 만큼 뚜렷하였다. 따라서 북<br />

변동폭이<br />

Kim, K. and J.Y. Chung. 1984. On the salinity-minimum<br />

and dissolved oxygen maximum layer in the East Sea<br />

경년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한 직접적인 장기 해<br />

한한류의<br />

요구되며 재분석 자료와 비교할 필요가 있다.<br />

류관측이<br />

(Sea of Japan). p. 56-66. In: Ocean Hydrodynamics of<br />

the Japan and East China Seas, ed. by T. Ichiye.<br />

북한한류의 남하에 대한 물리적인 기작이 밝<br />

아직까지<br />

않았지만, 북한한류가 동한난류 밑으로 남하하<br />

혀지지는<br />

Elsevier, New York.<br />

Kim, K.J. and Y.H. Seung. 1999. Formation and movement<br />

of the ESIW as modeled by MICOM. J. Oceanogr., 55,<br />

저온저염의 중층저염수가 100 m 이심의 수온약층 보<br />

고<br />

깊은 수심에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동해의 열염<br />

다<br />

369-382.<br />

Kim, K., S.J. Lyu, Y.-G. Kim, B.H. Choi, K. Taira, H.T.<br />

일환이라는 견해(Kim 2006)가 있다. 본 연구에 사<br />

순환의<br />

동해 재분석 자료는 북한한류의 경년변동 등 시공간<br />

용된<br />

Perkins, W.J. Teague, and J.W. Book. 2004. Monitoring<br />

volume transport through measurement of cable voltage<br />

시험하기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면밀한<br />

변동을<br />

통해 북한한류의 물리적인 기작에 대해 연구하고<br />

분석을<br />

across the Korea Strait. J. Atmos. Ocean Tech., 21(4),<br />

671-682.<br />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br />

검증할<br />

사 사<br />

Kim, Y.H. 1999.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rth<br />

Korean Cold Water and currents off Jumunjin. M.S.<br />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90 p.<br />

Kim, Y.H. 2006. Numerical experiments on the North<br />

Korean Cold Current in the East Sea. Ph.D Thesis,<br />

Seoul National University. 126 p.<br />

(PE9811A, PE98040)으로부터 일부 지원을 받았습니다.<br />

Kim, Y.H., K.-I. Chang, J. Park, S.K. Park, S.-H. Lee, Y.-G.<br />

참고문헌<br />

Kim, K.-T. Jung, and K. Kim. 2007. Comparison<br />

between a reanalyzed product by the 3-dimensional<br />

variational assimilation technique and observations in the<br />

Ulleung Basin of the East/Japan Sea. J. Marine Syst.<br />

(Submitted).<br />

Kim, Y.H., Y.-B. Kim, K. Kim, K.-I. Chang, S.J. Lyu, Y.-K.<br />

Cho, and W.J. Teague. 2006. Seasonal variation of the<br />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and its relation to the<br />

bottom current. Geophys. Res. Lett., 33, L24604. doi:<br />

Chang, K.-I., N.G. Hogg, M.-S. Suk, S.-K. Byun, Y.-G. Kim,<br />

10.1029/2006GL027625.<br />

Large, W.G., G. Danabasoglu, S.C. Doney, and J.C.<br />

and K. Kim. 2002. Mean flow and variability in the<br />

southwestern East Sea. Deep-Sea Res. I, 49, 2261-2279.<br />

McWilliams. 1997. Sensitivity to surface forcing and<br />

boundary layer mixing in a global ocean model :<br />

Cho, Y.-K. and K. Kim. 1994. Two modes of the salinity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31<br />

Annual-mean climatology. J. Phys. Oceanogr., 27, 2418-<br />

Phys. Oceanogr., 28, 2050-2063.<br />

2447.<br />

Weaver, A. and P. Courtier. 2001. Correlation modeling on<br />

Large, W.G., J.C. McWilliams, and S.C. Doney. 1994.<br />

the sphere using a generalizing diffusion equation. Q. J.<br />

Oceanic vertical mixing: A review and a model with a<br />

R. Meteorol. Soc., 127, 1815-1846.<br />

nonlocal boundary layer parameterization. Rev. Geophys.,<br />

Yoon, J.H. and H. Kawamura. 2002. The formation and<br />

32, 363-403.<br />

circulation of the intermediate water in the Japan Sea. J.<br />

Marchesiello, P., J.C. McWilliams, and A. Shchepetkin.<br />

Oceanogr., 58, 197-211.<br />

2001. Open boundary conditions for long-term integration<br />

Yoshikawa, Y., T. Awaji, and K. Akitomo. 1999. Formation<br />

of regional oceanic models. Ocean Model., 3, 1-20.<br />

and circulation processes of intermediate water in the<br />

Min, H.S., Y.H. Kim, and C.-H. Kim. 2006. Year-to-year<br />

Japan Sea. J. Phys. Oceanogr., 29, 1701-1722.<br />

variation of cold waters around the Korea Strait. Ocean<br />

Yun, J.-Y., L. Magaard, K. Kim, C.-W. Shin, C. Kim, and<br />

Sci. J., 41(4), 227-234.<br />

S.-K. Byun. 2004.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br />

Na, Hanna, Y. Isoda, K. Kim, Y.H. Kim, and S.J. Lyu.<br />

North Korean Cold Water leading to the near-bottom<br />

2007. Recent observation of hydrography, currents and<br />

cold water intrusion in Korea Strait. Prog. Oceanogr.,<br />

volume transport in the straits of the East/Japan Sea: A<br />

60, 99-131.<br />

review. J. Marine Syst. (Submitted)<br />

Roberts, M. and D. Marshall. 1998. Do we require adiabatic<br />

Received Jan. 22, 2008<br />

dissipation schemes in eddy-resolving ocean models? J.<br />

Accepted Jan. 29, 2008


해양자원연구본부<br />

2한국해양연구원<br />

경기도 안산시 안산우체국 사서함 29<br />

(425-600)<br />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ORDI<br />

1<br />

Marine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KORDI<br />

2<br />

: In order to investigate seasonal variations of the physical environments in the region of Jinhae<br />

Abstract<br />

we carried out hydrographic surveys from November 2000 to November 2001. Horizontal<br />

Bay-Nakdongpo,<br />

vertical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temperature shows large seasonal variations. Water column is well<br />

and<br />

in winter and stratified in summer. Low-salinity water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patches because of<br />

mixed<br />

drainage control at the Nakdong River. Seasonal variations in the sea near Gadeok-Sudo are affected by<br />

the<br />

river discharge and tidal current. Currents have been measured using a bottom mounted ADCP<br />

topography,<br />

DCM12 between November 2000 and August 2001 in the Gadeok-Sudo. The current in the Gadeok-<br />

and<br />

shows a distinct two-layer structure with reversed current. Low-pass filtered time series of wind, sea<br />

Sudo<br />

and current are coherent for the period of 1-2 days and are attributed to Ekman-like dynamics.<br />

elevation<br />

and temporal circulation pattern shows a slight different. The subtidal current in Jinhae Bay goes<br />

Spatial<br />

m이고, 견내량수도는 폭이 매우 좁고 최고수심이 약<br />

45<br />

등 1993). 장 등(1993)과 김 등(1994)의 현장<br />

8m이다(장<br />

Vol. 30(1):33-46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Article<br />

가덕수도 근해에서 물리적 현상과 해류의 <strong>계절</strong> 변동<br />

1 *·전동철 2·신창웅1<br />

장성태<br />

해양환경연구본부<br />

1한국해양연구원<br />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al Conditions and Currents in the<br />

Sea Near Gadeok-Sudo<br />

Sung-Tae Jang 1 *<br />

, Dongchull Jeon 2 , and Chang-Woong Shin 1<br />

Ansan P.O. Box 29, Seoul 425-600, Korea<br />

northward, however is reversed in the Gadeok-Sudo mouth.<br />

Key words : Jinhae Bay, Nakdongpo, Gadeok-Sudo, Nakdong River, river discharge, subtidal current<br />

1. 서 론<br />

보이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진해만은 폐쇄성이 강<br />

양상을<br />

내만으로 지형이 대단히 복잡하며, 대규모의 적조 발생<br />

한<br />

남해안 동부 해역에 위치한 가덕수도는 거제도<br />

한반도<br />

중심으로 가덕도에서 진해만에 이르는 수로를 말하며,<br />

를<br />

빈번한 지역으로 가덕수도와 견내량수도를 통해 해수<br />

이<br />

이루어진다. 가덕수도는 폭이 넓고 최고수심이 약<br />

교환이<br />

형태의 독특한 지형적인 특징을 보이는 지역이다<br />

내만<br />

1). 주된 흐름은 지형적인 특성상 수로를 따르는 왕<br />

(Fig.<br />

조류이며, 수로 방향과 일치하는 흐름을 보인다. 외<br />

복성<br />

요소로 작용하는 진해만 내에서의 담수 유입, 낙동강<br />

적인<br />

바탕으로 실시한 수리, 수치 실험에 의하면 가덕수<br />

관측을<br />

통해 유입된 해수는 진해만의 북부해역과 진해만의<br />

도를<br />

하천수의 유입과 외해수의 유입 등으로 <strong>계절</strong>별로 상이한<br />

분기된다고 하였다. 또한 창조류에 유입된<br />

서부해역으로<br />

해수가 가덕수도에서 합해져 외해로 유출된다고<br />

대부분의<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stjang@kordi.re.kr<br />

하였다.


낙조류의 영향이 창조류에 비해 강하다고 하였<br />

나타내고,<br />

가덕도 서편은 창조시 북향하고 낙조시 남하하는 흐름<br />

다.<br />

달리 창조류가 우세한 양상을 보인다고 하였다.<br />

만과는<br />

가덕수도의 해황은 조류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br />

이러한<br />

수문의 개폐에 의해 저염의 강물 플륨(river plume)<br />

구둑<br />

형태를 유지한 채 내려오고, 저염의 하천수는 완전히<br />

이<br />

영향을 끼침을 시사한다. 한 등(1993)은 명지,<br />

수도에도<br />

지구의 매립은 가덕도 북단에서 가덕수도로 유입되<br />

녹산<br />

하였다. 다고<br />

지형적인 영향과 외적 요소에 의해 <strong>변화</strong>가 심한<br />

이러한<br />

조사는 진해항 남단에서 거제도와 가덕도를 지나<br />

하였다.<br />

2000년 가을부터 2001년 가을까지 <strong>계절</strong>별로<br />

외해역까지<br />

Current Profiler) <strong>및</strong> DCM 12(Doppler Current<br />

Doppler<br />

Model 12)를 이용하여 진해만에서 낙동포 외해에<br />

Meter<br />

1. Study area and station maps of hydrographic measurements in the eastern South Sea in 2001. (a) Each solid<br />

Fig.<br />

denotes the line of the vertical section, (b) Each area denotes Jinhae Bay, Gadeok-Sudo, Nakdong River<br />

line<br />

34 Jang, S.-T. et al.<br />

조류는 창조류에 가덕수도 남동 방향에<br />

가덕수도에서의<br />

유입하여 북서쪽을 통해 진해항, 마산항으로 흐르고 일<br />

서<br />

염분의 <strong>변화</strong> 폭이 가장 클 때는 8월로 7, 8월에 집중<br />

표층<br />

내리는 장마에 의한 낙동강 유출수의 영향이 가덕<br />

적으로<br />

수심이 얕은 가덕도 북측으로 흐르고, 낙조류는 창조<br />

부는<br />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국립해양조사원 1999). 가덕<br />

류의<br />

조류 형태는 반일 주조의 왕복성 조류로 월 중 일<br />

수도의<br />

달의 적위가 최대인 날에 가장 크게 나타나고,<br />

조부등은<br />

유출·입량의 <strong>변화</strong>를 가져왔다고 하였고, 현재 진행되<br />

는<br />

있는 신항만의 건설은 지형적인 <strong>변화</strong>를 가중시키고 있<br />

고<br />

최대 대조는 하·동절의 삭·망에, 소조는 춘·추절<br />

연중<br />

양현에 나타난다. 진해만에서 표, 중, 저층을 연속 관측<br />

의<br />

이 등(1974)에 의하면, 진해만의 해수 유동은 반일 주<br />

한<br />

강한 왕복성 조류로 표, 중, 저층 공히 유사한 분포를<br />

조가<br />

근해에서의 <strong>계절</strong>적 변동성과 외적 요소로 인한<br />

가덕수도<br />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strong>계절</strong>별로 조사하여 분석<br />

역학적인<br />

CTD(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와 ADCP(Acoustic<br />

보이나, 가덕도 북쪽 해역은 지형적인 특성상 창조시<br />

을<br />

내지 동향으로, 낙조시 남서류의 형태를 보이고 진해<br />

북동<br />

내만의 형태를 띤 지형적인 특성과 외적 요소로 작<br />

이나<br />

낙동강 하천수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윤(1988)<br />

용하는<br />

해역에서의 물리적 해황과 가덕수도 내에서 해류<br />

이르는<br />

특성을 파악하였다.<br />

의<br />

2. 자료 <strong>및</strong> 분석 방법<br />

의하면, 낙동강 하구둑 건설로 인하여 낙동강 하류의<br />

에<br />

변경과 이로 인한 해저 지형의 변동이 생겨 해수 유<br />

수로<br />

특성이 달라졌다고 하였다. 낙동강 하구둑 하류에 관해<br />

동<br />

장과 김(2006)에 의하면 낙동강 하류부에서는 하<br />

연구한<br />

근해에서 물리 해황의 <strong>계절</strong> <strong>변화</strong>를 관찰하기<br />

가덕수도<br />

2001년 3월, 5월, 8월과 11월에 각각 Fig. 1a에 나타<br />

위해<br />

정점에서 Seabird사의 SBE 911을 이용하여 CTD 관측<br />

난<br />

실시하였다. 정점은 진해 내만에서 가덕수도를 따라 남<br />

을<br />

못하여 패치(patch) 형태를 띄며 조류에 의해 가<br />

혼합되지<br />

방향과 다대동 방향으로 편향한다고 하였다. 또한 방<br />

덕도<br />

거제도에서 부산 앞바다까지로 선정하여 관찰하<br />

단까지와<br />

수도내의 세밀한 기작을 살펴보기 위해 동서방향으<br />

였다.<br />

하천수의 방류량에 따라 혼합 양상이 달라짐을 보<br />

류되는<br />

한국 남해의 수온과 염분의 13년 월평균 <strong>변화</strong><br />

고하였다.<br />

가덕수도의 입구인 거제도 북동편에서 가덕도 남단을<br />

로<br />

F1에서 F5를 잇는 선과 외적 요소로 작용하는 낙<br />

지나는<br />

량을 조사한 김(1982)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부산 앞바다<br />

동강 하류부 지역인 H1에서 H4에 이르는 선을 연결하여<br />

and Open sea area.


연결하여 수직 분포를 관찰하였다(Line 2).<br />

을<br />

<strong>계절</strong>별 영역별 분포를 관찰하기 위해 연구지역을<br />

또한,<br />

이후 추계로 가면서 다시 혼합이 이루어진다. 수<br />

타났고,<br />

염분의 분포는 동계에 최저 수온인 8 o C와 최고 염분<br />

온과<br />

나타났고, 하계에 최고 수온인 27.8 o C와 최저 염분<br />

34.5가<br />

각각 나타났다. 동계에서 하계로 갈수록 수괴는 성<br />

28.1이<br />

특성이 나타난다.<br />

괴<br />

<strong>계절</strong>별 변동을 4개의 세부 영역으로 나누어<br />

이러한<br />

3에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Fig. 2의 분포를 따르지<br />

Fig.<br />

지역적인 편차가 나타났다. 4개의 영역 중 진해만 영역<br />

만<br />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al Conditions and Currents in Gadeok-Sudo 35<br />

분포를 관찰하였고(Line 1), 남북방향으로 진해만 내<br />

수직<br />

가덕수도 외해역에 이르는 가덕수도 전역에 걸친 선<br />

에서<br />

없는 중립안정도를 나타내고, 춘계에는 동계의 중립<br />

화가<br />

서서히 깨어지는 특징이 나타난다. 하계의 표층은<br />

안정이<br />

복사열과 담수의 유입으로 밀도가 낮아져 뚜렷한 성<br />

태양<br />

형성되고 전 <strong>계절</strong>을 통틀어 가장 고온과 저염이 나<br />

층이<br />

내의 거동을 위한 진해만 영역, 가덕수도 영역 <strong>및</strong> 외적<br />

만<br />

작용하는 낙동강 유역과 외해역의 4개 영역(Fig.<br />

요소로<br />

1b)으로 구분하여 수괴(water mass)의 분포를 살펴보았다.<br />

수괴 <strong>변화</strong> <strong>계절</strong>별<br />

관측자료에 대한 <strong>계절</strong>별 수온·염분 곡선(T-S<br />

모든<br />

현상으로 안정되어 나타나고, 하계에서 추계로 감에 따<br />

층<br />

혼합되어 동계의 중립안정으로 되풀이되는 <strong>계절</strong>별 수<br />

라<br />

Fig. 2에 나타내었고, 이를 바탕으로 수괴 특<br />

Diagram)을<br />

살펴보았다. 수괴 분석을 통하여 동계의 혼합이 하계<br />

성을<br />

감에 따라 성층화되는 <strong>계절</strong> 변동을 관찰할 수 있다. 동<br />

로<br />

수직적으로 혼합이 잘 이루어져 수심에 따른 밀도변<br />

계는<br />

Fig. 2. Seasonal variations of Temperature-Salinity Diagrams.


하구지역이 아닌 가덕수도에서 하계에 나타났고,<br />

낙동강<br />

외해역에서 동계에 나타났다.<br />

최고염분은<br />

36 Jang, S.-T. et al.<br />

Fig. 3.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S Diagrams (• : Winter, * :Spring, o : Summer, x : Autumn).<br />

<strong>계절</strong>별 수온과 염분의 편차가 가장 적게 나타나 가덕<br />

이<br />

통해 유출·입되는 해수가 수심이 얕고 좁은 내만<br />

수도를<br />

의하면 수온은 외해로부터 내만으로 가면서 증<br />

(1980)에<br />

하였는데, 동계에만 달리 나타났다. 최저염분은<br />

가한다고<br />

지형적인 특성으로 쉽게 혼합됨을 시사한다. 낙동<br />

형태의<br />

가덕수도 영역은 하계에 집중적인 장마비와 낙동강<br />

강과<br />

의한 담수의 영향으로 그 변동 폭이 가장 크게<br />

하천수에<br />

상대적으로 외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br />

나타났다.<br />

분포 특성 수평<br />

표층 염분의 수평 분포를 Fig. 4에 나타내었다.<br />

<strong>계절</strong>별<br />

동계에 가장 고온고염이 나타나 이는 수온<br />

외해역에서 o C 이상, 염분 34.2 이상인 대마난류수로 여겨지고, 하<br />

10<br />

하천수의 영향이 일부 나타나는 낙동강 하류부를<br />

동계는<br />

균질한 분포를 나타내고, 춘계는 낙동강 하구<br />

제외하고는<br />

추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계의 전 해역에서 낙동<br />

계와<br />

하천수에 의한 고온저염의 혼합수가 나타났고, 이를 통<br />

강<br />

거제도 북동편에 일부 담수의 영향이 보인다. 두<br />

지역과<br />

모두 등수심선을 따르는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하계<br />

<strong>계절</strong><br />

낙동강 하천수가 가덕수도 해황에 미치는 중요한 외적<br />

해<br />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br />

영향<br />

장과 김(2006)이 언급한 것처럼 낙동강 하천수의 영향<br />

는<br />

가덕도 남단에까지 패치형태로 존재하고, 이는 낙동강<br />

이<br />

해역에서 최저수온은 동계에 진해만 영역에서 나타<br />

전<br />

최고수온은 하계에 낙동강지역에서 나타나 비열이<br />

났고,<br />

수문의 인위적인 개폐로 완전히 혼합되지 않은 혼<br />

하구둑<br />

조류에 의해 가덕수도쪽으로 편향되어 나타난 결<br />

합수가<br />

작은 육지의 영향이 그대로 나타났다. 해양개발연구소


이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낙동강 하천수의 영<br />

유사하였고,<br />

사료된다. 전 <strong>계절</strong> 중에서 하계에 온도 편차가 가<br />

향으로<br />

가덕수도 영역(F1~F5)과 낙동강 영역(H1~H4)으로<br />

면을<br />

보면, 가덕수도의 동계는 표층과 저층간 염분 <strong>변화</strong><br />

나누어<br />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al Conditions and Currents in Gadeok-Sudo 37<br />

Fig. 4. Horizontal distributions of salinity observed at the surface layer.<br />

판단된다. 아울러 장마비에 의한 강수량의 증가는 관<br />

과로<br />

해역에서 저염수의 양을 늘려 전 <strong>계절</strong>을 통틀어 저염<br />

측<br />

있다. 혼합이 활발하였던 동계와 춘계의 등염분선이 등<br />

고<br />

유사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수온의 경우도 낙동<br />

수심선과<br />

분포가 가장 넓게 나타났다. 그림으로 나타내지 않았<br />

의<br />

지역적으로 수심이 얕은 진해만의 전 층에서 저염<br />

지만,<br />

하천수의 영향이 뚜렷이 나타나 <strong>계절</strong>별 변동에 가장<br />

강<br />

영향을 끼침을 보여주고 있다.<br />

큰<br />

존재하였다. 추계는 하계의 성층이 다시 혼합되는 시기<br />

이<br />

염분 분포가 등수심선을 따르고 있다.<br />

로<br />

단면 구조 수직<br />

방향인 거제도 북동단에서 가덕도 남단을 거쳐 다<br />

동서<br />

수온의 수평 분포는 Fig. 5에 나타내었다. 동계에<br />

표층<br />

비열이 큰 해수의 영향으로 내만의 수온에 비해 외해<br />

는<br />

이르는 정점 F1에서 H4를 잇는 선 1(Line 1)에서<br />

대동에<br />

염분의 수직 분포를 Fig. 6에 나타내었다. 동서 단<br />

<strong>계절</strong>별<br />

수온이 높게 나타났고, 춘계에는 태양열에 의해 오히<br />

수의<br />

내만의 수온이 높게 나타났다. 하계는 염분의 분포와<br />

려<br />

거의 없어 낙동강 하구지역에 비해 혼합이 활발하였음<br />

가<br />

알 수 있다. 춘계로 접어들면서 낙동강 영역에서부터<br />

을<br />

크게 나타났다. 추계는 혼합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내만<br />

장<br />

수온이 외해에 비해 저온을 나타내었다.<br />

의<br />

시작되고 바닥은 동계에 비해 저염이다. 이후 하계<br />

성층이<br />

뚜렷한 성층을 나타내고 추계에 다시 혼합이 활발해<br />

에는<br />

수평 분포에서 뚜렷한 <strong>계절</strong> 변동을 보이고, 이<br />

염분의<br />

낙동강 하천수의 유입이 외적 요소로 작용함을 암시하<br />

는<br />

져 동계의 완전 혼합으로 되풀이 된다. 낙동강 영역에서는


38 Jang, S.-T. et al.<br />

Fig. 5. Horizontal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observed at the surface layer.<br />

Fig. 6. Vertical distributions of salinity observed at the Line 1 in Fig. 1(a).


알 수 있다. 함을<br />

수직단면 분포는 Fig. 7에 나타내었고, 하계를<br />

수온의<br />

하계에는 10 o C 이상의 온도 차를 보이고 있다. 하계는<br />

면,<br />

강하게 형성되어 표·저층간 수직 혼합이 잘<br />

수온약층이<br />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al Conditions and Currents in Gadeok-Sudo 39<br />

Fig. 7. Vertical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observed at the Line 1 in Fig. 1(a).<br />

Fig. 8. Vertical distributions of salinity observed at the Line 2 in Fig. 1(a).<br />

관계없이 하천수의 유입이 많으면 언제든지 저염<br />

<strong>계절</strong>에<br />

혼합수가 나타나고, 이러한 혼합수는 패치 형태로 존재<br />

의<br />

않았다. 염분과 수온의 수직 단면 구조에서도<br />

이루어지지<br />

큰 <strong>계절</strong> 변동요인은 유입된 하천수에 의한 영향이라<br />

가장<br />

제외한 <strong>계절</strong>의 수온 분포가 1~2 o C 정도 차이를 보인 반<br />

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다.


외해역인 K2~L3 정점은 하계를 제외하고 <strong>변화</strong> 폭<br />

크다.<br />

가장 작게 나타났다. 남북 방향의 수온 단면은 Fig. 9에<br />

이<br />

동계에 외해역의 수온이 높은 남고북저의 분<br />

나타내었고,<br />

나타났다. 포가<br />

Bottom Mount) ADCP를 이용하<br />

TRBM(Trawl-Resistant<br />

가덕수도 내의 2개 정점에서 2000년 11월 2일부터 동<br />

여<br />

40 Jang, S.-T. et al.<br />

Fig. 9. Vertical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observed at the Line 2 in Fig. 1(a).<br />

방향인 진해항에서 외해역까지인 가덕수도 전역에<br />

남북<br />

염분의 수직 단면을 Fig. 8에 나타내었다. 모든 <strong>계절</strong><br />

걸친<br />

해류<br />

가덕수도에서의<br />

해수 유동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br />

가덕수도에서<br />

만내의 염분이 외해역에 비해 적게 나타났고, 이는<br />

에서<br />

내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으로 남고북저의 분<br />

진해만<br />

보인다. 지형적으로 좁은 만내에서 넓은 외해로 연결<br />

포를<br />

있어 염분은 담수의 유입이 있는 만내에서 외해쪽으<br />

되어<br />

12월 2일까지와 2001년 3월 9일부터 3월 27일까지 각<br />

년<br />

계류하여 관측하였고, 2001년 3월, 5월과 8월에도 Fig.<br />

각<br />

증가하고 있다. 주목할 정점은 거제도 북단과 연도 사<br />

로<br />

있는 정점 D2(▼ in Fig. 8, 9)로 진해만의 길목에 위<br />

이에<br />

나타낸 정점에서 보름 전후의 기간 동안 DCM12를<br />

10에<br />

관측하였다. 관측 장비와 관측 위치 <strong>및</strong> 기간을<br />

이용하여<br />

Table 1에 나타내었다.<br />

있고 수심도 주위보다 깊어 조류에 의한 해수의 교<br />

치해<br />

이루어지는 지점이다. F3(▽ in Fig. 6~9) 지점은 외<br />

환이<br />

유입수가 직접 가덕수도로 들어오는 입구이며, 낙동강<br />

해<br />

혼합수도 직접 들어와 상대적으로 그 <strong>변화</strong> 폭이<br />

하류부<br />

방향 수온과 염분의 수직단면에서 동계와 춘계는<br />

남북<br />

층에서 혼합이 활발하고 하계에 접어들어 성층이 이루<br />

전<br />

분포 특성이 잘 나타났다. 특히, 동계에는 내만으<br />

어지는<br />

이루어진 육지의 영향으로 수온과 염분 모두 남고북저<br />

로<br />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해양개발연구소(1980)는 진해<br />

의<br />

일대의 수온 <strong>및</strong> 염분의 분포는 표층이 기온의 영향을<br />

만<br />

있음에 비하여 저층은 조류에 의하여 외해의 영향을<br />

받고<br />

하였고, 관측에서도 표·저층 수온과 염분 분포<br />

받는다고<br />

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br />

Fig. 10. Locations of ADCP and DCM12 deployments.


1. Locations, depths and periods of current measurements between November 2000 and August 2001 in the<br />

Table<br />

Gadeok-Sudo<br />

Mar. 7~Mar. 25, 2001<br />

D1<br />

20~Jun. 13, 2001<br />

May<br />

Mar. 12~Mar. 25, 2001<br />

D2<br />

19~Jun. 2, 2001<br />

May<br />

ADCP를 이용하여 관측한 A1과 A2 정점의 표,<br />

먼저,<br />

저층간 유속<strong>변화</strong>를 파악하기 위한 PVD(Progressive<br />

중,<br />

Diagram)에서 두 정점의 위치와 관측 시기는 다르<br />

Vector<br />

표층과 저층의 상반된 흐름을 관찰할 수 있고(Fig.<br />

지만<br />

11), 이는 조류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저주파통과 필터<br />

o 4.500' 34 o 4.328' 35<br />

o 1.662' 35 o 1.362' 35<br />

o 40.400'<br />

128 o 40.549'<br />

128<br />

o 47.201'<br />

128 o 47.393'<br />

128<br />

m 18<br />

m 20<br />

m 18<br />

m 18<br />

filter)를 사용하여 구한 수심별 유속 분포(Fig.<br />

(low-pass<br />

잘 나타나 외해역으로 빠져나가는 표층류와 내<br />

12)에서도<br />

이고, A2는 3.25, 3.1, 3.79 cm/s로 나타나 저층의 유속은<br />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al Conditions and Currents in Gadeok-Sudo 41<br />

Instrument Station Period Latitude Longitude Depth<br />

A1 Nov. 2~Dec. 2, 2000 34 o 58.595' 128 o 47.120' 21 m<br />

ADCP<br />

A2 Mar. 9~Mar. 27, 2001 35 o 0.775' 128 o 47.210' 32 m<br />

DCM<br />

D3 Mar. 12~Mar. 25, 2001 34 o 58.529' 128 o 48.511' 32 m<br />

D4 Aug. 19~Aug. 30, 2001 34 o 59.332' 128 o 49.709' 36 m<br />

Fig. 11. Progressive Vector Diagrams at the station A1 and A2.<br />

Fig. 12. Tidal curves and stick vector plots of low-passed velocity with depth.<br />

쪽으로 파고드는 저층류의 이층구조를 관찰할 수 있<br />

만<br />

A1의 표, 중, 저층의 평균유속은 4.95, 0.5, 3.84 cm/s<br />

다.


A1과 A2 정점의 유향차이는 지형적인 영향<br />

비슷하였고,<br />

보인다. 실제 A2 정점의 수심은 깊고 골짜기형태로<br />

으로<br />

이루어져있다. A1 정점의 표층유속이 A2에 비해 강하게<br />

13. Time series stick vector plot of low-passed wind<br />

Fig.<br />

Geoje and N (northerly) and E (easterly)<br />

at<br />

이러한 영향이 바람에 의해 좌우되리라 판단되<br />

나타났고,<br />

표층유속과 바람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았다. 사용된<br />

어<br />

<strong>계절</strong>의 특성상 북서풍이 강하게 불어 남북성분과 동<br />

었다.<br />

사이에 깊은 상관성을 보인다. 관측기간에서 11월<br />

서성분<br />

바람과 해수면의 상관성은 비교적 낮지만, 동서성<br />

내었다.<br />

1일 이상 2일 이하 주기에서 동풍이 불면 위상은<br />

분에서<br />

o 이상으로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br />

150<br />

남북으로 되어있는 가덕수도에서 동서방향의<br />

수로방향이<br />

42 Jang, S.-T. et al.<br />

거제 기상관측소에서 1시간 간격으로 관측한<br />

바람자료는<br />

저주파통과 필터를 이용한 후 Fig. 13에 나타내<br />

자료이고,<br />

반나절을 제외하고는 북풍이 강하게 불면 반드시 서<br />

16일<br />

강해졌다. 바람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밀접한 관련<br />

풍이<br />

보였던 동서와 남북성분의 바람과 필터링을 거친 조위<br />

을<br />

일치 스펙트럼(coherence spectrum)을 Fig. 14a에 나타<br />

의<br />

의한 에크만 수송(Ekman transport)에 따라 해수면<br />

바람에<br />

<strong>변화</strong>하는 것은 역학적으로 일치한다. 조류와 상관관계<br />

이<br />

보였던 동서성분의 바람과 동서와 남북성분의 유속자<br />

를<br />

비교하였을 시는(Fig. 14b) 동서성분의 바람과 동서<br />

료와<br />

component wind.<br />

성분의 유속이 모든 주파수에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고<br />

Fig. 14. Coherence analysis of the wind, tidal elevation and surface current.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al Conditions and Currents in Gadeok-Sudo 43<br />

일치하였다. 이 말은 결국 서풍이 불면 흐름도 서<br />

위상도<br />

향한다는 말인데, 조위와 연관시켜 보면 결국 서풍<br />

쪽으로<br />

불면 해수면은 하강하고 하강한 해수면을 채우기 위한<br />

이<br />

향하는 흐름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br />

서쪽으로<br />

Fig. 15. PVD (left side) and stick vector plots (right side) of low-passed velocity with tidal curves in March 2001.


16. PVD (left side) and stick vector plots (right side) of low-passed velocity with tidal curves in May and August<br />

Fig.<br />

2001.<br />

44 Jang, S.-T. et al.<br />

기간 내 조류를 제거한 평균 유속은 표층에서 남<br />

관측<br />

방향으로 4.9 cm/s, 저층에서 북동 방향으로 3.8 cm/s<br />

서<br />

나타나 강하구의 흐름형태(estuarine fluxes)를 이루었<br />

로<br />

그 경계인 중층에서는 유속이 상쇄되어 작게 나타났<br />

으며,


조류를 제거한 최강 유속은 표층의 10.3 cm/s보다 저<br />

다.<br />

14.5 cm/s로 더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저층을 통<br />

층에서<br />

관측 결과 수도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반일주조 우<br />

ADCP<br />

조류의 장축은 가덕수도 방향과 일치하는 북서<br />

세형으로<br />

저층을 통해 고염수가 가덕수도를 따라 북상하였고,<br />

에서<br />

내만으로부터 저염수가 외해쪽으로 유출되는<br />

표층에서는<br />

위해 관측 시기와 위치를 달리해서 Fig. 15와 16에<br />

하기<br />

위치별로는 진해만 영역, 가덕수도 내 정점과<br />

나타내었다.<br />

위치에 따른 흐름 차이를 뚜렷이 보여주고 있<br />

정점에서는<br />

진해만 영역에서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내만으로 향하<br />

다.<br />

진해만 영역인 D1에서 5월 25일까지 북상하던 흐름이<br />

16)<br />

후 남하하는 흐름으로 바뀌었고, D2에서는 3월과 유사<br />

이<br />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각 정점의 저층 평균유속은 2.0,<br />

는<br />

17.0 cm/s로 나타나 지형적인 영향을 받는 D2 정점은<br />

3.3,<br />

나타났다.<br />

점은 3월의 D1, D3 정점과 5월과 8월의 D1,<br />

특이한<br />

정점의 경우, 저주파 필터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br />

D4<br />

곡선과 유속 크기의 <strong>변화</strong>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D1<br />

<strong>조석</strong><br />

가덕수도 근해의 <strong>계절</strong>별 해황은 동계에 수직적으<br />

보았다.<br />

완전 혼합된 형태에서 춘계에 복사열에 의한 수온약층<br />

로<br />

수괴 분석을 통해서도 동계의 혼합이 하계로 감에<br />

였다.<br />

성층화되는 <strong>계절</strong> 변동성이 잘 나타났다. 지역적으로<br />

따라<br />

의한 담수의 영향으로 그 변동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br />

에<br />

<strong>계절</strong>별 수평 분포에서도 하계에 낙동강 하천수의 유입<br />

다.<br />

재확인하였다.<br />

사실을<br />

내 해류의 특성은 지형적인 특징상 수로를 따<br />

가덕수도<br />

저층에서는 고염수가 외해역에서 가덕수도를 따라 북<br />

다.<br />

표층에서는 내만으로부터 저염수가 외해쪽으로<br />

상하고,<br />

관찰하였다.<br />

관측에서 진해만 영역의 정점은 표, 저층 공히<br />

위치별<br />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al Conditions and Currents in Gadeok-Sudo 45<br />

조류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관계로 해류성<br />

내량수도가<br />

남아있고, 가덕수도 끝자락에 위치한 D3과 D4 정점<br />

분에<br />

내만으로의 유입수가 상층을 통해 가덕수도 밖으로 유<br />

한<br />

흐름보다 경우에 따라 더 강함을 말해준다. 또한,<br />

출되는<br />

조류에 의한 영향이 일부 나타난 결과이다.<br />

도<br />

3. 결 론<br />

영향과 외적 요소에 의해 <strong>변화</strong>가 심한 가덕수<br />

지형적인<br />

내의 <strong>계절</strong>적 변동성과 외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살펴<br />

도<br />

방향의 흐름이었고, 이 등(1974)이 말한 표, 중, 저<br />

-남동<br />

공히 유사한 진해만 내의 유동과는 달리 표, 저층간<br />

층이<br />

흐름 차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br />

형성하고, 하계에는 담수의 유입에 의한 성층화가 추계<br />

을<br />

지속되다 동계에 다시 완전 혼합되는 양상을 반복하<br />

까지<br />

지역별 해류의 특징<br />

<strong>계절</strong>별<br />

초봄에 관측하였던 ADCP의 관측 결과 외해역<br />

가을과<br />

진해만 영역이 <strong>계절</strong>별 수온과 염분의 편차가 가장 적<br />

는<br />

나타났고, 낙동강 하구 지역이 하계의 집중적인 장마비<br />

게<br />

양상이 나타났다. 다만, 관측 위치와 <strong>계절</strong>에 따른 영<br />

흐름<br />

사료되는 편차는 보인다. 이러한 변동 양상을 파악<br />

향으로<br />

가덕도 남단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낙<br />

이<br />

외적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수직 단면 구<br />

동강이<br />

입구 정점으로 나누었고, 시기별로는 3월, 5월과<br />

가덕수도<br />

달리 관측하였다. 3월에 관측하였던 D1, D2와 D3<br />

8월로<br />

낙동강 영역에서는 <strong>계절</strong>에 관계없이 하천수의 유<br />

조에서<br />

많으면 언제든지 저염의 혼합수가 나타나고 이러한<br />

입이<br />

패치 형태로 떠 다닌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이<br />

혼합수는<br />

낙동강 하구둑 수문의 개폐에 의한 영향이 있음도 확<br />

는<br />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가덕수도 초입에서는 공히<br />

는<br />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가덕수도 내의 정점인<br />

남하하는<br />

수 있었다. 염분과 수온의 수직 단면 구조에서도 가<br />

인할<br />

큰 <strong>계절</strong> 변동은 하계의 집중 호우에 의한 영향이라는<br />

장<br />

저층은 내만으로 북상하는 흐름을 보이지만, 표층은<br />

D2의<br />

방향으로 향하였다. 이는 견내량수도를 통해 유입<br />

가덕도<br />

해수가 진해만과 가덕수도 방향으로 분기되면서 나<br />

되는<br />

영향으로 사료된다. D1, D2와 D3 정점 저층의 평균<br />

타난<br />

왕복성 조류가 탁월하고 표, 중, 저층이 공히 유동하<br />

르는<br />

진해만의 유동과는 달리 표·저층간 흐름 차가 나타났<br />

는<br />

각각 6.1, 2.7, 12.6 cm/s로 나타나 가덕수도 입구<br />

유속은<br />

남하하는 흐름이 가덕수도 내 북상하는 흐름에 비해<br />

에서<br />

이상 크게 나타났고, D2 정점은 골 형태의 지형적인<br />

2배<br />

받고 있다. 5월과 8월에 관측한 자료에서는(Fig.<br />

영향을<br />

이층구조를 나타내었고 그 흐름은 가덕수도 방<br />

유출되는<br />

일치하는 북서-남동 방향이었다. ADCP로 관측한 표<br />

향과<br />

흐름을 보이지만 방향의 편차는 보였다. 8월에 가덕수<br />

한<br />

끝자락에서 관측한 D4에서도 D3와 마찬가지로 남하하<br />

도<br />

유동과 바람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서방향의<br />

층<br />

의한 에크만 수송에 따라 해수면이 <strong>변화</strong>하는 것을<br />

바람에<br />

유사한 흐름분포를 보이지만, D1은 흐름의 세기가<br />

3월과<br />

줄었고 방향도 반대로 나타나 <strong>계절</strong>별 변동성이 크게<br />

1/3<br />

북상하는 흐름을 나타낸 반면 가덕수도 입구 정<br />

내만으로<br />

남하하는 특징을 보여 위치에 따라 대비되는 양<br />

점에서는<br />

나타내었고, 이는 견내량수도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br />

상을<br />

진해만과 가덕수도 방향으로 분기되면서 나타난 영향<br />

가<br />

여겨진다. 3월과 5월에 진해만에서 관측한 자료에서<br />

으로<br />

비해 흐름의 세기가 약화되고 방향도 반대로 나타<br />

3월에<br />

나는 <strong>계절</strong>별 변동성을 확인하였다.<br />

정점은 병목현상에 의해 물의 흐름이 빠르기로 유명한 견


1999. 가덕수도의 조류도. 18 p.<br />

국립해양조사원.<br />

1982. 한국 남해의 수온과 염분의 변동계수. 한국해<br />

김복기.<br />

17(2), 74-82.<br />

양학회지,<br />

장선덕, 이종섭. 1994. 진해만 조류의 2차원 수리 <strong>및</strong><br />

김차겸,<br />

모델링. 한국해양학회지, 29(2), 83-94.<br />

수치<br />

1988. 낙동강 하구의 물리적 해황에 관한 연구. 한국<br />

윤갑동.<br />

봉종훈, 한상준. 1974. 진해만의 해수유동에 관하여.<br />

이종화,<br />

9(1-2), 19-30.<br />

한국해양학회지,<br />

김차겸, 이종섭. 1993. 진해만 조류의 현장관측 <strong>및</strong> 수<br />

장선덕,<br />

한국수산학회지, 26(4), 346-352.<br />

리모형실험.<br />

김기철. 2006.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strong>변화</strong>. 한<br />

장성태,<br />

「바다」, 11(1), 11-20.<br />

국해양학회지<br />

김기철, 김재중. 1993. 명지녹산 해역 매립 후의 해수<br />

한건모,<br />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 7(1), 441-454.<br />

유동에<br />

1980. 진해만의 적조 <strong>및</strong> 오염모니터링 시스<br />

해양개발연구소.<br />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해양개발연구소, BSPE 00022-<br />

템<br />

46 Jang, S.-T. et al.<br />

사 사<br />

논문의 심사를 맡아주셔서 세세한 부분까지 조언해<br />

본<br />

심사위원님들과 담당 편집위원이신 강석구 박사님께<br />

주신<br />

감사드립니다.<br />

참고문헌<br />

43-7. 459 p.<br />

Received Sep. 4, 2007<br />

Accepted Feb. 5, 2008<br />

어업기술학회지, 24(2-3), 65-70.


경기도 안산시 안산우체국 사서함 29<br />

(425-600)<br />

해양연구소<br />

2부산대학교<br />

(609-735)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br />

Jin-Yong Jeong 1 , Jae-Seol Shim 1 , Dong-Kyu Lee 2 , In-Ki Min 1 , and Jae-Il Kwon 1*<br />

1 Coastal Engineering Research Department, KORDI<br />

P.O. Box 29, Seoul 425-600, Korea<br />

2 Ansan<br />

Research Institute<br />

Marine<br />

: Several validation studies have been made for QuikSCAT(QSCAT) wind data around the world,<br />

Abstract<br />

in the offshore. However, until now, there were no validation studies for QSCAT wind with<br />

mainly<br />

of 12.5 km (‘QSCAT 12.5 km wind’) in the vicinity of Korean Peninsula. To validate ‘QSCAT<br />

resolution<br />

km wind’ and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around Korean Peninsula, the wind data from Ieodo<br />

12.5<br />

Research Station, KMA buoys, and KORDI Realtime Observation Stations have been compared.<br />

Ocean<br />

results showed that ‘QSCAT 12.5 km wind’ RMSE of wind direction and speed were 25.85 o and<br />

Validation<br />

m/s, respectively, at Ieodo Station. The mean wind spe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KMA buoys and<br />

1.83<br />

Realtime Observation Station were 0.78 and 0.61, and the mean wind speed RMSE were 2.2 m/s<br />

KORDI<br />

3.2 m/s, respectively. This seems to be mainly because of the distance between QSCAT and in-situ<br />

and<br />

stations. The RMSE of wind direction were bigger than 40 o at all in-situ observation stations<br />

observation<br />

near the shore, within 20 km from coastlines. Geophysical features where in-situ observation<br />

located<br />

are located seem to affect wind validation scores.<br />

stations<br />

words : QuikSC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KMA buoys, KORDI Realtime Observation<br />

Key<br />

Stations<br />

보았을 때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하루 150 mm<br />

비교해<br />

강수량을 기록한 경우는 2배 가량 증가하였다. 또<br />

이상<br />

Vol. 30(1):47-58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Article<br />

한반도 연안에서의 12.5 km 해상도 QuikSCAT 해상풍 검증<br />

1·심재설1·이동규 2·민인기1·권재일1*<br />

정진용<br />

연안개발연구본부<br />

1한국해양연구원<br />

Validation of QuikSCAT Wind with Resolution of 12.5 km in the<br />

Vicinity of Korean Peninsula<br />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09-735, Korea<br />

1. 서 론<br />

않게 나타나고 있다. 세계적으로 1970년대 이후<br />

드물지<br />

발생빈도는 거의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그<br />

자연재해들의<br />

환경 <strong>변화</strong>로 인해서 지난 30여 년 동안, 해양 <strong>및</strong><br />

지구<br />

기인한 자연재해들의 발생이 잦아지고 있다. 이<br />

기상에서<br />

인한 인명, 재산상의 손실은 막대하다. 한반도에서도<br />

로<br />

100 mm 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한 경우가 30년 전과<br />

하루<br />

는 전 세계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한반도 주변에서도<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jikwon@kordi.re.kr<br />

한, 태풍의 규모와 강도도 강해졌기 때문에 태풍에 동반


정도도 폭설 등으로 인한 피해이므로 우리 나라의 자<br />

11%<br />

거의 전부가 해양 <strong>및</strong> 기상에서 기인한 것이라<br />

연재해는<br />

수 있다(소방방재청 2006).<br />

할<br />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언제, 어디에,<br />

자연재해에<br />

2003년에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매미’에 의한 파랑과<br />

우,<br />

해일, 그리고 2007년 3월에 전남 영광에서 발생한<br />

태풍<br />

종류의 자료들이 요구된다.<br />

양한<br />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며, 태풍 해<br />

해상풍은<br />

그러나 해상에는 육지와는 달리 실측 자료들이 많지<br />

이다.<br />

육지의 관측소를 통한 해상풍의 자료 동화는 정확<br />

않으며,<br />

국립기상연구소에서는 LAPS(Local Analysis and<br />

면,<br />

System)의 입력자료로서 QSCAT 해상풍을 활<br />

Prediction<br />

주변의 바람을 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기상청<br />

한반도<br />

본 연구에서는 해양과 기상수치모델의 입력 <strong>및</strong> 검<br />

2006).<br />

해상풍의 검증은 주로 외해의 부이를 통해서<br />

QSCAT<br />

이루어졌다. QSCAT이 궤도에 오르기 이전 시기의<br />

많이<br />

이용한 해상풍의 관측에 대해서, Rufenach<br />

scatterometer를<br />

al.(1997)은 ERS-1 scatterometer의 관측자료와 1994년<br />

et<br />

해 동안 1시간 단위의 부이 해상풍 자료를 비교하였다.<br />

한<br />

연구에서는 약한 풍속 영역에서는 scatterometer<br />

그들의<br />

일본 주위에 설치된 JMA(Japan Meteorological<br />

al.(2000)은<br />

부이들과 NSCAT 자료를 비교하였다. 풍속의<br />

Agency)의<br />

NSCAT 고장 이후 QSCAT이 궤도에 오른 후, Ebuchi<br />

다.<br />

al.(2002)은 저위도의 수심이 깊은 외해에 설치된 부이<br />

et<br />

풍속의 상관관계는 0.89로 매우 높았으며 QSCAT이<br />

다.<br />

2m/s 정도 풍속을 크게 관측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br />

약<br />

등(2007)은 RDAPS(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br />

유<br />

System)와 QSCAT의 한반도를 포함한 북서태<br />

Prediction<br />

비교를 통해 풍속의 BIAS는 ±1m/s 이내이며,<br />

평양에서<br />

1.5 m/s 이내로 나타난다고 하였다.<br />

RMSE는<br />

해상풍은 2006년까지는 25 km 해상도로<br />

QSCAT<br />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의<br />

NASA(National<br />

Propulsion Laboratory)에서 제공하였으나 2007년<br />

JPL(Jet<br />

12.5 km 해상도 자료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br />

부터는<br />

해상풍과 비교, 검증 자료로 이용될 실측자료는<br />

QSCAT<br />

해양기상부이 5기(이하 기상청 부이), 한국<br />

국립기상청의<br />

기지)에서 관측된 값이다.<br />

어도<br />

지점(이하 ‘기상청 부이, 실시간 관측소, 그리고<br />

실측<br />

외해에서 검증이 된 대표값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br />

풍은<br />

해안선으로부터 20 km 이내의 ‘land mask’가<br />

QSCAT은<br />

그 영역에 대한 해상풍은 제공하지 않는다(Fig. 1).<br />

있어<br />

이를 연안의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외해에서<br />

따라서<br />

따라서 이에 기인하는 오차를 감안하여야 하며, 실<br />

크다.<br />

지점들이 연안에 있기 때문에 이들이 위치한 지리적<br />

측<br />

QSCAT 25 km 해상풍의 검증 결과와도 비교하<br />

하였으며,<br />

보았다. 여<br />

48 Jeong, J.-Y. et al.<br />

바람과 파도에 의한 피해, 그리고 태풍 해일에 대한 피<br />

된<br />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우리 나라는 지진이나 화산<br />

해도<br />

1.7 m/s, 풍향에서는 20 o 를 조금 넘는 값으로 계<br />

RMSE는<br />

설계오차범위를 대체로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br />

산되어<br />

의한 피해 규모는 거의 없으나 풍수해로 인한 손실<br />

등에<br />

전체 자연재해의 약 88% 정도를 차지하며 나머지<br />

은<br />

QSCAT 자료를 비교하여 풍속은 1.01 m/s, 풍향은<br />

들과 o 의 오차범위를 보여 Masuko et al.(2000)과 마찬가지로<br />

23<br />

관측된 해상풍이 실제 관측값과 큰 오차<br />

scatterometer로<br />

없다는 것을 보였다. 한편 한반도 주변에서는 하 등<br />

가<br />

정도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필<br />

어느<br />

하지만, 1996년의 지리산 부근에서 발생한 집중호<br />

요하다.<br />

2005년도 3월 한 달 동안에 이어도 종합해양과<br />

(2007)이<br />

관측된 해상풍과 QSCAT 해상풍을 비교하였<br />

학기지에서<br />

등 해양 <strong>및</strong> 기상재해는 사전에 예측하기가 쉽지 않<br />

해일<br />

것이 현실이다. 이런 재해들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br />

은<br />

해양과 기상 관측자료들이 필수적이다. 즉, 예측을<br />

양질의<br />

수치모델의 입력자료로서 충분한 신뢰성을 갖는 다<br />

위한<br />

파랑을 좌우하기 때문에 여러 대기, 해양 기인의<br />

일이나<br />

예측에 반드시 입력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br />

자연재해의<br />

수행하던 초기에는 25 km 자료로 시작하였으나 그<br />

를<br />

12.5 km 자료를 획득하여 이를 위주로 분석하였다.<br />

후<br />

않다(유 등 2007). 따라서 실측 자료의 획득이 어려<br />

하지<br />

해상에서는 위성자료가 매우 유용하다. QuikSCAT(이<br />

운<br />

QSCAT)은 광역의 해상풍을 관측하는 위성으로, 수치<br />

하<br />

위한 자료동화 등에 이미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br />

모델을<br />

운용하는 7곳의 실시간 해양관측소(이하<br />

해양연구원에서<br />

관측소), 그리고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이하 이<br />

실시간<br />

있으며, 실측자료가 전무한 해상에서 QSCAT 자료<br />

용하고<br />

입력하여 해상풍을 모의하였을 때, 보다 실제에 가깝게<br />

를<br />

기지의 통칭’)에서 관측된 해상풍은 실측 지점이<br />

이어도<br />

지역에 대한 해상풍의 대표값이며, QSCAT 해상<br />

위치한<br />

외해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는 QSCAT 위성의<br />

증자료로서<br />

자료를 한반도 연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br />

해상풍<br />

마찬가지로 검증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QSCAT 해상<br />

와<br />

활용 영역을 연안으로 확장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br />

풍의<br />

지점들의 해상풍과 비교하여 연안에서 QSCAT 해상<br />

실측<br />

비교, 검증하였다. 연안에서 QSCAT 해상풍의 검증<br />

풍을<br />

외해에서와는 달리 비교 대상이 되는 실측 지점과<br />

은<br />

해상풍의 관측 지점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br />

QSCAT<br />

풍속이 과대평가되고 강한 풍속 영역에서는 오히려<br />

의<br />

경향이 나타남을 지적하였다. 1996년에는<br />

과소평가되는<br />

탑재한 NSCAT(NASA scatterometer)이<br />

scatterometer를<br />

올라 해상풍을 관측하기 시작하였고, Masuko et<br />

궤도에<br />

의한 영향도 파악하고자 한다. 그에 앞서 해상도가<br />

조건에<br />

QSCAT 12.5 km 해상풍을 이어도 기지에서 검증<br />

높아진


1. QuikSCAT wind data points and in-situ observation<br />

Fig.<br />

stations. Thick lines indicate the ‘land mask’<br />

of QSCAT wind. Dots on the ocean are<br />

border<br />

wind data points accumulated for<br />

QuikSCAT<br />

days. Triangles, stars, and squares represent<br />

seven<br />

the KMA buoys, KORDI Realtime Obseva-<br />

Stations, and Ieodo Ocean Research Station,<br />

tion<br />

a: Deokjeokdo buoy, b: Chilbaldo<br />

respectively.<br />

c: Geomundo buoy, d: Geojedo buoy, e:<br />

buoy,<br />

buoy, f: Incheon, g: Seocheon, h: Taean,<br />

Donghae<br />

Donongtan, j: Wangdolcho, k: Sokcho, l:<br />

i:<br />

and m: Ieodo.<br />

Ssangjeongcho,<br />

실시하여 지구 표면의 약 90% 범위를 스캔하게 된다.<br />

을<br />

이전의 NSCAT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웨이브<br />

QSCAT은<br />

이용하여 해상풍을 관측하며 그 주파수는 13.4 GHz이<br />

를<br />

가시광선 영역이 아닌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므로<br />

다.<br />

기상조건에서 관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br />

모든<br />

측정된 반사파는 ‘Geophysical Model<br />

Scatterometer로<br />

3~20 m/s의 풍속측정범위를 갖는다. 풍속은 2m/s,<br />

지며<br />

20 o 의 설계오차범위를 갖는다(http://winds.jpl.<br />

풍향은<br />

m 높이의 이어도 기지 옥상 층의 10 m 높이로 위치<br />

33.5<br />

기상타워에 풍향, 풍속계들이 설치되어 있다. 기상타워<br />

한<br />

자료 선정의 시간범위는 이어도 기지에서 10분 간격<br />

한편,<br />

바람 자료가 생산되지만, 기상청 부이와 실시간 관측소<br />

의<br />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다.<br />

것이<br />

해상풍은 관측 높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br />

실측지점의<br />

해상풍과 비교하기 위해 10 m 높이의 해상풍으로<br />

QSCAT<br />

변환하기 위한 식으로는 하 등(2007)이 이어<br />

변환하였다.<br />

ln H z 0<br />

---<br />

----------<br />

−3 m을 사용하였다.<br />

10<br />

기지는 제주도 서남쪽 약 160 km 정도 떨어진<br />

이어도<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49<br />

현재 운용 중인 다섯 기 모두의 자료를 사용<br />

2006년까지<br />

실시간 관측소는 항로표지 또는 잔교 등에 설치되<br />

하였다.<br />

있으며(해양수산부 2006), 대부분의 지점에서 2003년<br />

어<br />

2006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어도 기지는<br />

부터<br />

동, 서쪽에 설치된 풍향, 풍속 자료는 동일하여 타워 서<br />

의<br />

설치된 풍향풍속계 자료를 사용하였다.<br />

쪽에<br />

기지, 기상청 부이, 그리고 실시간 관측소의 위<br />

이어도<br />

Fig. 1에 나타내었다. 실측지점에서 바람을 측정하는<br />

치는<br />

사용하는 풍향, 풍속계는 R.M. Young사의 05106 모델<br />

데<br />

모두 사용하고 있으며 장비의 측정오차는 풍속은 2%,<br />

을<br />

7 o 이다. QSCAT 해상풍은 각 실측지점으로부터<br />

풍향은<br />

km 이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는 30분 이내의 자료<br />

50<br />

선택하였다. Ebuchi et al.(2002)은 QSCAT 25 km 해<br />

를<br />

외해에 설치된 부이들과의 비교에 있어서 공간적<br />

상풍과<br />

25 km, 시간의 차이로는 30분 이내의 자료를 추출<br />

으로는<br />

비교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연안에서<br />

하여<br />

곳에 위치한 실측지점과의 비교에 많은 비중을 두<br />

가까운<br />

때문에 Ebuchi et al.(2002)이 사용한 범위에서 데이<br />

었기<br />

추출하였을 때 비교자료가 없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br />

터를<br />

공간적으로 50 km 이내에 속하는 자료를 추출하였다.<br />

서<br />

1시간 마다 자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실측<br />

에서<br />

관측시간으로부터 30분 이내의 자료를 추출하는<br />

지점의<br />

2. 자료 <strong>및</strong> 연구방법<br />

극궤도, 태양동조궤도위성이며 약 100분에<br />

QSCAT은<br />

바퀴 정도 지구를 회전하며. 하루에 약 40만 번의 관측<br />

한<br />

기지와 QSCAT 해상풍을 비교할 때 사용하였던 변환<br />

도<br />

(1)을 사용하였다 (De Rooy et al. 2004; 오 등 2005;<br />

식<br />

등 2007). 실측지점의 세부 정보는 Table 1에 기술하였<br />

하<br />

실시간 해양관측자료의 풍향, 풍속계 높이는 정확히<br />

다.<br />

어려운 부분이 있어 등표의 제원을 기준으로 계<br />

파악하기<br />

산하였다.<br />

ln 10 -----<br />

z 0<br />

u u Hm 10 m<br />

(1)<br />

=<br />

통해 10 m 높이의 해상풍으로 환산된<br />

Functions(GMF)’를<br />

QSCAT의 1회 관측범위는 1,800 km 정도의 폭을 가<br />

다.<br />

실측지점에서 해상풍을 관측한 높이를 의미하며, z 0<br />

H는<br />

거칠기 길이로서 외해에 해당하는 이어도 기지, 동해<br />

는<br />

nasa.gov/missions/quikscat/index.cfm).<br />

그리고 왕돌초는 하 등(2007)이 사용한 값인 5×10 −4<br />

부이,<br />

하였으며, 그 외의 실측지점은 연안에 해당하는 값인<br />

m로<br />

부이는 1996년부터 설치되어 운용되어 왔으며<br />

기상청<br />

덕적도, 칠발도, 거문도, 거제도, 그리고 동해시의 동<br />

현재<br />

쪽 해상에 계류되어 있다. 비교 분석을 위해 2003년부터


1. The information of the KMA buoys, KORDI Realtime Observation Stations, and Ieodo Ocean Research<br />

Table<br />

Station<br />

KMA<br />

Buoy<br />

KORDI<br />

Realtime<br />

Observation<br />

Data<br />

Deokjeokdo<br />

(DJ)<br />

Chilbaldo<br />

(CB)<br />

Geomundo<br />

(GM)<br />

Geojedo<br />

(GJ)<br />

Donghae<br />

(DH)<br />

Donongtan<br />

(DO)<br />

Incheon<br />

(IC)<br />

Seocheon<br />

(SC)<br />

Sokcho<br />

(SO)<br />

Ssangjeongcho<br />

(SS)<br />

Taean<br />

(TA)<br />

Wangdolcho<br />

(WD)<br />

Ocean Research Station<br />

Ieodo<br />

(IE)<br />

o 14'33"<br />

N37 o 01'20"<br />

E126<br />

o 47'36"<br />

N34 o 46'37"<br />

E125<br />

o 00'03"<br />

N34 o 27'57"<br />

E127<br />

o 46'00"<br />

N34 o 54'00"<br />

E128<br />

o 32'39"<br />

N37 o 00'00"<br />

E130<br />

o 09'18"<br />

N33 o 16'36.5"<br />

E126<br />

o 20'00"<br />

N37 o 35'50"<br />

E126<br />

o 08'15"<br />

N36 o 29'29"<br />

E126<br />

o 11'48"<br />

N38 o 37'30"<br />

E128<br />

o 33'15"<br />

N37 o 56'32"<br />

E130<br />

o 54'38"<br />

N36 o 14'26"<br />

E126<br />

o 42'36"<br />

N36 o 44'24"<br />

E129<br />

o 07'23"<br />

N32 o 10'59"<br />

E125<br />

Anemometer<br />

H (m)<br />

height,<br />

2003~<br />

2006<br />

2004~<br />

2006<br />

2003~<br />

2006<br />

2003~<br />

2006<br />

m southwest of Gapa harbour<br />

600<br />

Jeju island<br />

in<br />

of Korean Gas Corporation at<br />

Pier<br />

Terminal<br />

Incheon<br />

of Seocheon thermal power<br />

Pier<br />

plant<br />

km away from Hupo harbour<br />

24.5<br />

Uljin in<br />

2. Wind speed comparison between QSCAT and observation wind data. Best (worst) scores are highlighted with<br />

Table<br />

(italic) characters<br />

bold<br />

KMA<br />

Buoy<br />

KORDI<br />

Realtime<br />

Observation<br />

Data<br />

Observation station<br />

Wind speed (m/s) Distance (km) Number<br />

50 Jeong, J.-Y. et al.<br />

station<br />

Position<br />

Observation<br />

Features<br />

Data<br />

6 km west of Deokjeok island<br />

5<br />

5 '' 2 km northwest of Chilbal island<br />

5 '' 14 km east of Geomun island<br />

5 '' 16 km east of Geoje island<br />

5 '' 70 km east of Donghae city<br />

13<br />

7<br />

7 ''<br />

13 '' 2 km east of Sokcho city<br />

16 '' 2.7 km northeast of Ulreung island<br />

7 '' Pier of Taean thermal power plant<br />

16 ''<br />

44<br />

146 km southwest of Jeju island<br />

of data<br />

Corr RMSE Bias Closest Mean<br />

Deokjeokdo 0.77 2.10 0.47 17.32 22.94 2220<br />

Chilbaldo 0.79 2.11 0.62 9.48 15.70 2160<br />

Geomundo 0.81 2.18 0.79 6.83 12.60 1750<br />

Geojedo 0.76 2.56 1.43 3.31 10.84 2138<br />

Donghae 0.85 1.78 0.31 0.46 6.18 1491<br />

Donongtan 0.72 3.10 1.25 13.91 19.35 1061<br />

Incheon 0.66 2.61 0.96 42.92 47.66 331<br />

Seocheon 0.59 3.11 1.61 16.85 23.47 2300<br />

Sokcho 0.47 3.69 1.83 17.41 23.30 2220<br />

Ssangjeongcho 0.51 3.86 −1.06 15.43 20.67 1691<br />

Taean 0.71 2.77 1.01 31.56 39.05 2250<br />

Wangdolcho 0.76 2.29 0.79 0.20 5.07 1236<br />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0.85 1.83 −0.17 0.44 5.84 1591<br />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해부이는 해<br />

동중국해의<br />

70 km 이상 떨어져 있어 외해에 위치한 실측<br />

안으로부터<br />

할 수 있다. 한국해양연구원의 실시간 관측소 중<br />

지점이라<br />

왕돌초 등표가 해안으로부터 22 km 정도 떨어져<br />

에서는


거리가 모두 1km 이내에 있으며, 평균 거리도 6km<br />

소<br />

매우 가까이에서 관측되었다. 그 외 실측 지점들은<br />

정도로<br />

하지만, 연안의 소규모의 섬들까지 완벽하게 고려<br />

단된다.<br />

것은 아니기 때문에 QSCAT 해상풍을 연안에서 활용<br />

된<br />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br />

할<br />

13곳의 실측 지점에서 QSCAT 12.5 km 해상도 자료<br />

총<br />

한반도 외해에 위치한 왕돌초, 동해 부이, 그리고 이어<br />

다.<br />

기지에서 관측된 바람과 QSCAT 해상풍과의 상관관계<br />

도<br />

1.85, 그리고 1.83 m/s로서 동해 부이와 이어도 기지<br />

2.29,<br />

비교에서는 QSCAT의 설계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br />

와의<br />

2. Comparisons of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MSE<br />

Fig.<br />

QSCAT 12.5 km and 25 km resolution<br />

between<br />

3). 있다(Fig.<br />

기지와 QSCAT 해상풍 풍속의 비교 결과, 대<br />

이어도<br />

났다.<br />

설치된 기상청 부이의 상관관계는 평균 0.79로<br />

연안에<br />

m/s보다 1m/s 정도 낮게 나타났다. 기상청 부이와<br />

3.2<br />

해상풍 관측지점 간의 거리를 확인해보면 평균<br />

QSCAT<br />

km 정도이며, 실시간 관측소는 평균 29 km이다. 따라<br />

15<br />

이러한 풍속의 비교 결과 차이는 QSCAT의 관측점과<br />

서<br />

지점 간의 거리에 따른 영향으로 사료된다.<br />

실측<br />

관측점과 실측 지점 간의 거리가 커질수록<br />

QSCAT의<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51<br />

그 외 다른 지점들에 비해 비교적 외해에 위치하고<br />

있어<br />

위의 세 실측 지점은 QSCAT의 관측점으로부터 최<br />

있다.<br />

거리가 10 km부터 48 km로 나타났다(Table 2).<br />

평균<br />

3. 결 과<br />

따른 QSCAT 해상풍 비교<br />

해상도에<br />

관측점과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실측 지점들<br />

QSCAT의<br />

위치는 Fig.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QSCAT의 관측지<br />

의<br />

Fig. 1에서 점으로 표시하였다. QSCAT은 육지로부<br />

점은<br />

약 20 km 정도 떨어진 곳부터 해상풍을 제공하며 육지<br />

터<br />

해상풍 자료를 제공하지 않는다(‘land mask’).<br />

근처에서는<br />

나타내진 않았지만 12.5 km와 이전의 25 km 해<br />

그림으로<br />

해상풍 관측지점을 비교해 보면 12.5 km 해상도<br />

상도의<br />

실제 해안선을 보다 정확하게 고려했다는 것을 확<br />

자료가<br />

수 있었다. 25 km 해상도 자료에서는 한반도의 <strong>서해</strong><br />

인할<br />

같이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들이 많은 경우, 섬과 가까<br />

와<br />

곳뿐만 아니라 섬 위에도 해상풍 자료가 생산되는 경<br />

운<br />

있었으나, 12.5 km 해상도 자료에서는 한반도 주위<br />

우가<br />

복잡한 해안선과 섬들도 효과적으로 고려된 것으로 판<br />

의<br />

data.<br />

25 km 자료보다 풍속은 평균 0.4 m/s, 풍향은 평균 3 o<br />

는<br />

향상된 값을 나타내었다(Fig. 2).<br />

정도<br />

연안에 위치한 거제 부이와 태안 실시간 관측소에서<br />

이나<br />

R 2 값이 외해에 비해 0.3 정도까지 낮은 값을 보이고<br />

는<br />

비교 풍속의<br />

설계 측정 풍속 범위는 3~20 m/s이므로, 본<br />

QSCAT의<br />

통계분석에 있어서는 QSCAT과 실측지점의<br />

연구에서는<br />

미만, 그리고 20 m/s를 초과하는 풍속은 제외하였<br />

3m/s<br />

해상풍은 4~10 m/s 범위의 영역에서 관측되었다<br />

부분의<br />

4). 7 m/s 이하의 풍속에서는 대체로 QSCAT 풍속<br />

(Fig.<br />

이어도 기지 풍속보다 약간 크게 관측되며, 7 m/s 이<br />

이<br />

풍속 영역에서는 오히려 QSCAT 풍속이 작게 나타<br />

상의<br />

각각 0.76, 0.84, 그리고 0.85로 나타나 그 경향이 유사<br />

는<br />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2). 각각의 RMSE는<br />

하다는<br />

0.61의 실시간 관측소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RMSE도<br />

서<br />

부이에서는 평균 2.23 m/s로서 실시간 관측소의<br />

기상청<br />

보이고 있다. QSCAT 25 km 해상풍과 실측 지점<br />

결과를<br />

통계 분석에서, 이어도 기지와 동해 부이의 상관관계<br />

과의<br />

0.2정도 낮아지고, RMSE는 0.1 m/s 정도 증가하였으<br />

는<br />

유의할 정도는 아니다. 왕돌초에서는 이어도 기지와 동<br />

나<br />

부이에 비해 상관관계는 낮고 RMSE는 큰 값을 보였<br />

해<br />

외해에 위치한 이어도 기지와 동해 부이에서는 풍속의<br />

다.<br />

전 영역에 걸쳐 QSCAT 해상풍 풍속과 잘 맞는 경향을 보<br />

상관관계는 작아지며, RMS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2<br />

Wind speed scatter plots with R values at (a)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b) Donghae buoy, (c) Geojedo<br />

Fig. 3.<br />

(d) Taean realtime observation station.<br />

and buoy,<br />

5). 그러나 QSCAT 해상풍과 실측 지점간의 거리가<br />

(Fig.<br />

km인 지점들에서는, 풍속의 상관관계와 RMSE가<br />

20~25<br />

et al.(2002)는 15 m/s 이상의 강한 풍속 영역에<br />

Ebuchi<br />

QSCAT의 풍속이 다시 크게 관측된다고 하였으며,<br />

서는<br />

분석하였다. 여<br />

기지의 경우 풍속의 RMSE는 3~10 m/s인 경<br />

이어도<br />

3~20 m/s일 때보다 0.36 m/s 정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br />

우,<br />

3). 쌍정초 실시간 관측소를 제외한 모든 실<br />

타났다(Table<br />

52 Jeong, J.-Y. et al.<br />

설계오차범위인 2m/s 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br />

대부분<br />

또한, 기상청 부이들의 RMSE는 평균 0.7 m/s 낮아졌<br />

다.<br />

의해 영향을 받기보다 다른 요인에 의해 더 큰 영<br />

거리에<br />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실측 지점의 지리적 조<br />

향을<br />

실시간 관측소들에서는 0.8 m/s 정도 낮아졌다. 따라<br />

으며<br />

10 m/s를 초과하는 풍속을 제외하였을 때 기상청 부이<br />

서<br />

풍향, 풍속의 RMSE’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볼 것<br />

건과<br />

이다.<br />

RMSE 뿐만 아니라 실시간 관측소, 이어도 기지의<br />

들의<br />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풍<br />

RMSE도<br />

10 m/s를 초과하는 영역에서 부이의 풍속 관측 자료에<br />

속<br />

오차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20 m/s 이하의 풍속<br />

서만<br />

부이가 고정구조물이 아니기 때문에, 부이의 특성상<br />

이는<br />

풍속에서는 높은 파도 등의 영향을 받아 정확성에<br />

강한<br />

부이와 고정구조물의 해상풍 풍속의 정밀도<br />

영역에서는<br />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br />

차이는<br />

주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5 m/s 이<br />

영향을<br />

풍속은 자료의 수가 적어 통계 분석의 신뢰성을 확<br />

상의<br />

수 없었다. 따라서 10 m/s 이상을 강풍으로 규정하<br />

보할<br />

풍속이 3~20 m/s인 경우와 3~10 m/s인 경우를 구분하<br />

고,<br />

비교 풍향의<br />

해상풍과 실측 지점간의 풍향의 비교에 있어서<br />

QSCAT<br />

모든 지점에서 QSCAT의 설계오차범위인 20 o 보다 큰<br />

는<br />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외해에 위치한 이어<br />

값을<br />

기지의 경우, QSCAT 해상풍과 0.96의 상관관계를 보<br />

도<br />

6a), RMSE가 25.85 o 로서 설계오차범위에 가장<br />

이며(Fig.<br />

측 지점에서 풍속이 3~10 m/s일 때 RMSE가 낮았으며,<br />

값을 보였으나 약 6 o 정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br />

근접하는<br />

이어도 기지와 마찬가지로 외해에 위치한 동해 부이<br />

났다.


4. Wind speed comparisons between Ieodo Ocean<br />

Fig.<br />

Station and QSCAT 12.5 km wind (a)<br />

Research<br />

speed residuals (QSCAT-Ieodo), (b) standard<br />

Wind<br />

deviation, and (c) number of data.<br />

5. Variability of correalation coefficient and RMSE<br />

Fig.<br />

the mean distances between QSCAT and<br />

with<br />

in-situ observation stations.<br />

해상풍 관측 지점과 실측 지점 간의 거리에 따<br />

QSCAT<br />

비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는 거리가 멀어짐<br />

른<br />

따라 상관관계는 작아지고 RMSE는 커지는 경향을 보<br />

에<br />

5). 하지만, 연안에 위치한 실측 지점의 경우, 거<br />

인다(Fig.<br />

경우 풍향의 특정 영역에서는 잘 맞는 경향을 보<br />

측소의<br />

6a와 6b), 이는 지리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br />

이는데(Fig.<br />

이는 다음 절에서 살펴볼 것이다.<br />

생각된다.<br />

RMSE는 덕적도 부이에서 92 o 로 가장 크게 나<br />

풍향의<br />

대부분 40 o 가 넘는 값을 보이고 있다. 기상청<br />

타났으며,<br />

QSCAT 해상풍 관측 지점과의 거리가 실시간 관<br />

부이는<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53<br />

큰 것으로 나타나 이 기간을 제외하고 재분석하<br />

상적으로<br />

그 결과 풍향의 RMSE는 47.54 o 로 향상되었지만 여<br />

였다.<br />

이어도 기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br />

전히<br />

강한 풍속과 파도로 인해 동해 부이의 관측에 영향이<br />

다.<br />

것으로 판단하여 10 m/s를 초과하는 풍속을 제외하<br />

있을<br />

오히려 약한 풍속에서의 RMSE가 0.65 o 더 크게<br />

였으나,<br />

나타났다(Table 3).<br />

차이 외의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분석 결과가 영향<br />

리의<br />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거제도 부이와 태안 실시간 관<br />

을<br />

경우에는 잘 맞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풍향의 유<br />

의<br />

이어도 기지에 비해 떨어졌으며(Fig. 6b), 풍향의<br />

사성이<br />

약 59 o 로 나타났다. 동해 부이의 월별 풍향의<br />

RMSE는<br />

분석해 본 결과 2004년초의 풍향 RMSE가 비정<br />

RMSE를


3. RMSE between QSCAT wind and observed<br />

Table<br />

Wind speed from 3 to 10 m/s are used.<br />

wind.<br />

KMA<br />

Buoy<br />

KORDI<br />

Realtime<br />

Observation<br />

Data<br />

RMSE differences (RMSE 3~10<br />

-RMSE 3~20<br />

)<br />

The<br />

shown in ( ). RMSE 3~10<br />

and RMSE 3~20<br />

rep-<br />

are<br />

the RMSE for wind speeds from 3 to 10<br />

resent<br />

and from 3 to 20 m/s, respectively<br />

m/s<br />

Observation<br />

station<br />

direction<br />

Wind<br />

(degree)<br />

speed<br />

Wind<br />

(m/s)<br />

59.72 (0.29) 1.36 (−0.75)<br />

Chilbaldo<br />

54.16 (0.5) 1.29 (−0.89)<br />

Geomundo<br />

Ocean Research<br />

Ieodo<br />

Station<br />

이하인 경우만 분석한 경우, 풍속의 RMSE는 현저히 줄<br />

s<br />

경향을 보였던 것과는 달리, 풍향의 RMSE는 거의<br />

어드는<br />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br />

<strong>변화</strong>가<br />

QSCAT과 실측 지점의 풍향 RMSE는, 평균<br />

연안에서<br />

지점의 지리적 조건과 풍향, 풍속의 RMSE<br />

실측<br />

실측 지점의 해상풍 비교에 있어서 일치성은<br />

QSCAT과<br />

관측 지점과 실측 지점간의 거리에 의해 일차적<br />

QSCAT<br />

영향을 받을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거리 외에 다른<br />

인<br />

실측 지점별로 실시하였다.<br />

여,<br />

이어도 기지, 동해 부이, 그리고 왕돌초 실시간<br />

외해의<br />

54 Jeong, J.-Y. et al.<br />

Fig. 6. Same as the Fig. 3, but for wind direction.<br />

가깝게 나타났으나 풍향의 RMSE가 5~10 o 정도<br />

측소보다<br />

나타났다. 전체 실측지점에서 QSCAT 풍속이 10 m/<br />

크게<br />

RMSE<br />

15 km인 기상청 부이에서 63 o 인 반면 평균거리가<br />

거리가<br />

km로 더 먼 곳에 위치한 실시간 관측소에서 평균 52 o<br />

29<br />

Deokjeokdo 92.87 (0.74) 1.65 (−0.45)<br />

나타나 풍향의 유사성은 단지 거리에 의해 좌우되는<br />

로<br />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br />

것만은<br />

Geojedo 49.85 (3.79) 1.76 (−0.8)<br />

Donghae 58.32 (0.65) 1.20 (−0.58)<br />

Donongtan 55.80 (7.41) 2.51 (−0.59)<br />

Incheon 56.06 (0.21) 1.88 (−0.73)<br />

Seocheon 67.39 (2.82) 2.13 (−0.98)<br />

중 실측 지점이 위치한 지리적 요인이 미치는 영<br />

요소들<br />

살펴보았다. 지리적 조건의 분석은 외해에서 육지를<br />

향을<br />

Sokcho 73.20 (3.9) 2.53 (−1.16)<br />

Ssangjeongcho 43.79 (3.83) 4.54 (0.68)<br />

Taean 38.54 (2.09) 1.93 (−0.84)<br />

않고 실측 지점으로 불어 들어가는 바람과, 육지를<br />

거치지<br />

실측 지점으로 향하는 바람의 영역을 각각 구분하<br />

지나<br />

Wangdolcho 47.68 (0.53) 1.67 (−0.62)<br />

27.10 (1.25) 1.47 (−0.36)


KMA<br />

Buoy<br />

KORDI<br />

Realtime<br />

Observation<br />

Data<br />

7. Schematic diagram for selecting the ‘Good’ and<br />

Fig.<br />

cases. Gray arrows, dots, and triangle rep-<br />

‘Bad’<br />

wind direction, QSCAT wind data points,<br />

resent<br />

in-situ observation station(Ssangjeongcho),<br />

and<br />

direction (degree) Distance (km) Number<br />

Wind<br />

Data of<br />

‘Good case’와 ‘Bad case’의 해상풍을 분석하여 풍향,<br />

후<br />

RMSE의 <strong>변화</strong>를 분석하였다.<br />

풍속의<br />

거문도 부이는 해안으로부터 각각 약 18 km,<br />

거제도,<br />

km 이상씩 떨어진 위치에 계류되어 있으며 풍향의<br />

15<br />

받는 것으로 보인다.<br />

향을<br />

실시간 관측소의 경우에는 ‘Good case’에서 ‘Bad<br />

속초<br />

서쪽으로 태백산맥이 위치하는 지형적 특성에 의한<br />

하고,<br />

추정되지만, 명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속초<br />

영향으로<br />

지리적 조건을 고려한 분석을 통해서 풍향의 RMSE<br />

서도<br />

‘Good case’에서 ‘Bad case’보다 낮아지지 않는 것으<br />

가<br />

나타났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Good case’에서 ‘Bad<br />

로<br />

풍향, 풍속의 RMSE가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br />

case’보다<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55<br />

Table 4. Same as the Table 2. But for wind direction<br />

Observation Station<br />

Corr RMSE Bias Closest Mean<br />

Deokjeokdo 0.65 92.13 15.64 17.32 22.94 2220<br />

Chilbaldo 0.80 59.43 9.81 9.48 15.70 2160<br />

Geomundo 0.87 53.66 21.50 6.83 12.60 1750<br />

Geojedo 0.91 46.06 2.36 3.31 10.84 2138<br />

Donghae 0.87 57.67 14.72 0.46 6.16 1486<br />

Donongtan 0.89 48.39 −24.67 13.91 19.35 1061<br />

Incheon 0.86 55.85 −4.82 42.92 47.66 331<br />

Seocheon 0.82 64.57 −18.95 16.85 23.47 2300<br />

Sokcho 0.83 69.30 −12.48 17.41 23.30 2220<br />

Ssangjeongcho 0.92 39.96 4.35 15.43 20.67 1691<br />

Taean 0.93 36.45 8.65 31.56 39.05 2250<br />

Wangdolcho 0.95 47.15 −25.09 0.2 5.07 1236<br />

Ieodo Ocean Research Staton 0.96 25.85 0.96 0.44 5.84 1591<br />

결과, 풍향의 RMSE는 분석된 9곳의 실측 지점 중<br />

비교<br />

case’에서 ‘Bad case’보다 작게 나타난 지점이 4곳<br />

‘Good<br />

풍속의 RMSE는 거문도 부이를 제외한 모든 지<br />

이었으며<br />

‘Good case’에서 작은 값을 보여주었다(Table 5).<br />

점에서<br />

‘Good case’에서 작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두<br />

RMSE가<br />

해안으로부터 10 km 이내에 위치한 그 외 연<br />

지점에서는<br />

실측 지점보다 지리적 조건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br />

안<br />

관측 거리의 차이에 의해서 풍향의 RMSE가 영<br />

생각되며<br />

풍향의 RMSE가 40 o 나 큰 값으로 나타났다. 속<br />

case’보다<br />

실시간 관측소는 해안으로부터의 거리가 2km에 불과<br />

초<br />

관측소 자료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br />

실시간<br />

생각된다. 한편, 덕적도 부이와 서천 실시간 관측소에<br />

로<br />

respectively.<br />

풍향보다는 풍속에서 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br />

며<br />

5). (Table<br />

육지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br />

관측소는<br />

때문에 제외하였다. 실측지점의 해상풍이 육지(섬)의<br />

기<br />

연안 실측 지점의 풍향 RMSE 시계열 분석을 시<br />

모든<br />

결과(그림 표시하지 않음), 태안과 쌍정초 실시간 관<br />

행한<br />

받지 않는 풍향 영역(이하 ‘Good case’)과 영향을<br />

영향을<br />

풍향 영역(이하 ‘Bad case’)을 정하였다(Fig. 7). 그<br />

받는<br />

측소에서 하계(6,7,8월)와 동계(12, 1, 2월)의 RMSE가 다


5. RMSE with the consideration of geophysical factors. Bold (Italic) characters indicate that ‘Good case’ is<br />

Table<br />

(worse) than ‘Bad case’<br />

better<br />

case’<br />

‘Good<br />

(Degrees)<br />

case’ ‘Bad<br />

(Degrees)<br />

315~0 135~215 73.61 72.33 2.91 3.71<br />

Seochoen<br />

135~225 315~45 97.88 57.61 3.67 3.87<br />

Sokcho<br />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Fig. 8).<br />

열의<br />

실측 지점의 지리적 조건을 감안한 분석 결과, 지<br />

연안<br />

주변의 실측 지점들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QSCAT<br />

반도<br />

km 해상풍은 이어도 기지에서 관측된 바람 자료로<br />

12.5<br />

풍속의 RMSE는 1.85 m/s 정도로 QSCAT 설계<br />

검증하여,<br />

2m/s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향의 경<br />

오차범위<br />

mask’는 해안선이 단순한 동해안과 남해 동부에서<br />

‘land<br />

약 20 km 정도의 범위를 나타냈으나 해안선이 복잡하<br />

는<br />

섬이 많은 남해 서부와 <strong>서해</strong>안의 경우에는 ‘land mask’<br />

고<br />

범위가 일정치 않다. 특히 남해 서부 해안에서는<br />

의<br />

해상풍이 제공되지 않는 범위가 매우 넓게 나타<br />

QSCAT<br />

있다. 나고<br />

해상풍과 실측 지점들의 비교 분석 결과 풍향<br />

QSCAT<br />

풍속 모두 QSCAT 해상풍과 실측 지점 간의 거리에 영<br />

과<br />

Ebuchi et al.(2002)는 부이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br />

났다.<br />

풍속에서 해상풍을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br />

강한<br />

56 Jeong, J.-Y. et al.<br />

RMSE<br />

Selected wind range<br />

Wind directon (degree)<br />

Wind speed (m/s)<br />

Station<br />

‘Good’ ‘Bad’ ‘Good’ ‘Bad’<br />

Deokjeokdo 270~360 90~180 91.26 89.91 2.08 2.47<br />

Chilbaldo 270~360 135~225 56.64 70.90 1.87 3.34<br />

Geojedo 45~90 315~360 51.30 42.53 2.19 2.76<br />

Geomundo 45~135 315~360 61.27 50.78 2.12 1.68<br />

Donongtan 200~290 0~90 42.47 61.88 2.83 3.59<br />

Ssangjeongcho 225~315 0~90 30.48 40.03 3.92 4.62<br />

Taean 270~315 90~135 26.66 32.05 1.95 3.04<br />

지점들보다 강한 <strong>계절</strong>성을 보였다(Fig. 8a, 8b). 두 지<br />

른<br />

RMSE는 동계에 낮고 하계에는 높게 나타났다. 동계<br />

점의<br />

풍향은 대부분 ‘Good case’의 풍향에 해당하며, 하계에<br />

의<br />

지배적으로 드러나는 풍향은 존재하지 않으나 남풍 계<br />

는<br />

조건에 의한 풍향의 <strong>변화</strong>는 예상보다 현저하게 나타<br />

리적<br />

않았다. 이는 지리적 조건 외에도 QSCAT과 실측지<br />

나지<br />

해상풍의 RMSE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존재하기<br />

점의<br />

사료된다. 거문도를 제외한 모든 연안 실측 지점<br />

때문으로<br />

받으나, 실측 지점이 위치한 지리적인 조건도 두 자<br />

향을<br />

간에 발생하는 오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br />

료<br />

풍속 RMSE는 평균 0.75 m/s 정도 낮아지는 값을 보<br />

에서<br />

지리적 조건에 의한 풍속의 <strong>변화</strong>는 상대적으로 잘 나<br />

여<br />

등(2007)은 모델을 이용한 천해파랑의 산정에 있어 지<br />

김<br />

고려한 해상풍을 이용할 때 천해파랑 모델링 결과가<br />

형을<br />

타났다.<br />

4. 요약 <strong>및</strong> 결론<br />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측 지점의 지<br />

달라지는<br />

조건을 고려하였으나, 김 등의 연구와 같이 지형적인<br />

리적<br />

분석하지 못하여 이후 계속적인 분석이 뒤따<br />

요소까지는<br />

것으로 사료된다.<br />

라야할<br />

제공하는 광역의 해상풍 자료는 여러 연구들<br />

QSCAT이<br />

통해 외해의 부이나 선박 등과의 비교, 검증으로 그 정<br />

을<br />

위치한 이어도 기지와 동해 기지의 풍속은 모두<br />

외해에<br />

설계오차범위를 만족시켰다. 하지만, 풍향의 경<br />

QSCAT의<br />

확보되어 있으며, 다양한 해양 <strong>및</strong> 기상수치모델 등<br />

확성이<br />

입력<strong>및</strong> 검증자료로서 이미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br />

의<br />

이어도 기지는 약 26 o , 동해 부이는 59 o 정도의 오차를<br />

우<br />

동해 부이는 설계오차범위보다 40 o 정도 크게 나타<br />

보여,<br />

기존의 25 km 해상도의 QSCAT 해상풍 자료보다 정밀<br />

는<br />

향상된 QSCAT 12.5 km 해상풍 자료를 이용하여 한<br />

도가<br />

제시하였다. 하지만 3~10 m/s 풍속 영역의 해상풍과<br />

을<br />

m/s 해상풍을 비교하면, 기상청 부이 뿐만 아니라 전<br />

3~20<br />

지점에서 RMSE가 작아지고, 풍향의 RMSE는 거의<br />

실측<br />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 m/s 이하의 풍속<br />

<strong>변화</strong>가<br />

26 o 정도로 설계오차범위인 20 o 보다 컸다. 이는<br />

우에는<br />

km 해상도에서보다 풍속의 RMSE가 0.15 m/s 정도 커<br />

25<br />

고정구조물과 부이의 해상풍의 정밀도 차이는 크<br />

에서는<br />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br />

지<br />

유의할 정도는 아니며, 풍향의 RMSE는 4 o 정도<br />

졌으나<br />

것으로 나타났다.<br />

향상된<br />

연구에서는 한반도 연안에서 QSCAT 12.5 km 해상<br />

본<br />

활용을 위해, QSCAT 해상풍과의 거리에 따른 풍향,<br />

풍의<br />

육지 부근에서 QSCAT 해상풍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인<br />

풍속의 오차 증가 등을 정량화하려 하였다. 하지만, 연안


8. Monthly wind direction RMSE at (a) Ssangjeongcho and (b) Taean. Wind vector at Ssangjeongcho in winter<br />

Fig.<br />

in summer (e) and wind vector at Taean in winter (d), in summer (f). Winter seasons are Dec., Jan., and<br />

(c),<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57<br />

Feb., and summer seasons are Jun., Jul., and Aug.<br />

실측 지점의 지리 <strong>및</strong> 지형적 조건, 관측 장비의 정<br />

에서는<br />

관리상의 문제로 인한 오류들은 정량화하기에 어<br />

밀도와<br />

경우 풍속은 풍향에 비해 QSCAT의 설계오차범위에<br />

의<br />

나타나고 있어, 연안에서 QSCAT 해상풍의 풍속<br />

가깝게<br />

렵다. 그러나 QSCAT과 실측 지점과의 비교에서 대부분<br />

은 풍향보다 활용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된다.


실측지점의 비교분석 결과 각 실측지점의<br />

QSCAT과<br />

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실측지점이<br />

RMSE는<br />

mask’ 이내의 연안으로 확장해서 사용할 때에는<br />

‘land<br />

해상풍 관측지점과의 거리뿐만 아니라 연구지역<br />

QSCAT<br />

2006. 해양기상<strong>변화</strong> 탐지기술개발(IV). 기상연구소,<br />

기상청.<br />

2002M-004-00. 484 p.<br />

MR053M16<br />

허동수, 김창훈, 김도삼. 2007. 지형을 고려한 해상풍<br />

김지민,<br />

SWAN 모델의 결합에 의한 천해파랑<br />

모델(MASCON)과<br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1), 57-65.<br />

산정.<br />

2006. 재해사전예방 강화 <strong>및</strong> 투자확대 방안.<br />

소방방재청.<br />

오현미, 하경자. 2005. 2003~2004년도 이어도 기지 해상 기<br />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41(5), 671-680.<br />

상<br />

조재갑, 서장원. 2007. 기상청 현업 모델 RDAPS와<br />

유승협,<br />

해상풍 자료의 비교.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br />

QuikSCAT<br />

467-475.<br />

19(5),<br />

허기영, 오현미, 심재설. 2007. 이어도 해양과학기지<br />

하경자,<br />

자료의 기상학적 활용성. 제1회 이어도연구(회) 발<br />

관측<br />

논문집, p. 79-84. 표<br />

2006. 해양관측 <strong>및</strong> 예보시스템 - 제1부 해양관측<br />

해양수산부.<br />

58 Jeong, J.-Y. et al.<br />

가까울수록 QSCAT 관측지점과의 거리는 멀어지<br />

연안에<br />

주변 육지의 지리 <strong>및</strong> 지형의 영향을 받게 되어 QSCAT<br />

며<br />

실측지점의 해상풍의 RMSE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br />

과<br />

따라서, QSCAT 해상풍을 실측자료가 없는 지역에서<br />

다.<br />

지리 <strong>및</strong> 지형적 조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br />

의<br />

료된다.<br />

개발. 한국해양연구원, BSPM 3780-1880-1. 197 p.<br />

시스템<br />

Rooy, W. and K. Kok. 2004. A combined physical-<br />

De<br />

statistical approach for the downscaling of model wind<br />

사<br />

사<br />

speed. Weather Forecast., 19(3), 485-495.<br />

Ebuchi, N., H.C. Graber, and M.J. Caruso. 2002. Evaluation<br />

of wind vectors observed by QuikSCAT/SeaWinds using<br />

ocean buoy data. J. Atmos. Ocean. Tech., 19(12), 2049-<br />

2062.<br />

연구는 해양수산부 R&D 연구과제인 “종합해양과학<br />

본<br />

구축 <strong>및</strong> 활용 연구(PM49900)”와 “해일침수범람지역<br />

기지<br />

Masuko, H., K. Arai, N. Ebuchi, M. Konda, M. Kubota, K.<br />

기술 <strong>및</strong> 재해도(Hazard Map) 작성기술 개발<br />

예측<br />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논문이 만들<br />

(PE98070)”의<br />

Kutsuwada, T. Manabe, A. Mukaida, T. Nakazawa, A.<br />

Nomura, A. Shibata, and Y. Tahara. 2000. Evaluation of<br />

Vector Winds Observed by NSCAT in the Seas around<br />

세심한 배려를 아끼지 않은 두 분의 심사위원<br />

어지기까지<br />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br />

분들께<br />

참고문헌<br />

NASA Missions - SeaWinds on QuikSCAT. Available from<br />

Japan. J. Oceanogr., 56, 495-505.<br />

WWW: [cited 2007-9-10]<br />

Rufenach, C. 1998. Comparison of Four ERS-1<br />

Scatterometer wind retrieval algorithm with buoy<br />

measurements. J. Atmos. Ocean Tech., 15(1), 304-313.<br />

Received Oct. 1, 2007<br />

Revised Jan. 21, 2008<br />

Accepted Feb. 5, 2008<br />

363 p.


미국 시그랜트 프로그램의 비교 분석<br />

한국과 1 *·김영자 2 박성쾌<br />

Faculty of Marine Business and Economics<br />

1<br />

National University, Busan 608-737, Korea<br />

Pukyong<br />

Yeongnam Sea Gran University Program<br />

2<br />

Maritime University, Busan 606-791, Korea<br />

Korea<br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US Sea Grant<br />

Abstract<br />

Program (SGCP). The important lesson learned from the US SGCP is that ocean policy requires<br />

College<br />

제약이 따른다. 그 이유는 간단하고 분명하다. 즉,<br />

현실적<br />

일반 국민과 정치권 그리고 타 부처의 시야에서<br />

해양이<br />

실로 놀라운 일이다.<br />

것은<br />

반세기의 해양역사가 증언하듯이, 지구생명 시스<br />

과거<br />

Vol. 30(1):59-77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Article<br />

해양산업경영학부<br />

1부경대학교<br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 3동 599-1<br />

(608-737)<br />

영남 시그랜트 대학사업단<br />

2한국해양대학교<br />

(606-791)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1<br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 and United States Sea Grant Program<br />

Seong Kwae Park 1 *<br />

and Young Ja Kim 2<br />

active interaction among public and oceans since oceans are far from constituents, law makers and<br />

government officials. Also, Sea Grant Program (SGP) should be based on universities so as to facilitate the<br />

use of equipment and expertise, there is a need for a well-organized control system, legislative mandates<br />

and stro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sea grant activities must be well combined with regional/local<br />

outreach, education and research at the appropriate level.<br />

Key words : sea grant program, interface, governance system, legislative mandates, outreach<br />

서 론<br />

1.<br />

정책이 육지관련 정책과 뚜렷하게 다른 점은<br />

해양관련<br />

우주개발과 더불어 21세기 국가 신( 新 )성장<br />

해양개발은<br />

될 것이라는 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br />

동력이<br />

것 같다. 그러나 인류의 해양에 대한 접근성 제고는<br />

는<br />

후반 눈부신 첨단과학기술 발전이 이루어질 때까<br />

20세기<br />

비해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지는 해양을<br />

육지에<br />

한다는 것이다. 해양산업 발전과 효과적인 해양<br />

대상으로<br />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만 했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해양<br />

지<br />

해양자원에 대한 접근성은 크게 향상된 반면, 해양과<br />

과<br />

추진은 눈에 보이지 않는 바다 속에 감추어져 있는<br />

정책<br />

필요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br />

해양정보가<br />

동시에 위기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사실, 해양<br />

연안지역은<br />

지구상에 탄생한 이래 그 조성이 <strong>변화</strong>하지 않은 채<br />

은<br />

시간과 첨단기술과 높은 비용이 수반된다. 반면, 해양<br />

긴<br />

연구개발과 정보생산에 필요한 예산 확보에는 많은<br />

관련<br />

여년의 장구한 세월이 흘렀음에도, 최근 50년이라는<br />

32억<br />

짧은 기간에 바다가 치명적인 손상을 입고 있다는<br />

극히<br />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br />

인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해양생태계<br />

템과<br />

포함한 해양환경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이용과 보존<br />

를<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skpark@pknu.ac.kr


60 Park, S. K. and Kim, Y. J.<br />

Commission On The Ocean)는 『The Ocean, Our<br />

World<br />

보고서를 통해 세계 해양 환경과 생물자원<br />

Future』라는<br />

1) 1960년대는 미국 사회가 환경문제에 대해<br />

안겨주었다.<br />

인식하기 시작한 중요한 시기였으며, 광대한 해<br />

심각하게<br />

USSGCP), 즉 바다와 국민 사이의 가교(인터페<br />

Program:<br />

구축도 점차 현실화되어갔다.<br />

이스)<br />

강력한 파트너쉽을 가지고 시그랜트(Sea Grant: SG)<br />

계가<br />

하에서 대민사업(outreach) 2) 과 교육사업(education)<br />

시스템<br />

Sea Grant Program: KSGP)은 지난 2000년에 시<br />

(Korea<br />

권역 SG대학사업단은 2005년에 처음 설치되<br />

작되었지만,<br />

가톨릭·개신교 성직자들과 여러 사회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던 한국 최초의 환경단체)에서<br />

1)한국공해문제연구소(1982년<br />

펴낸 「한국의 공해지도」는 최초로 우리나라의 공해상황과 문제점 <strong>및</strong> 심각성을 체계적이고 사실적으로 고발하였다. 그<br />

1986년에<br />

시그랜트(Sea Grant: SG)의 경험에 비춰 한국 SG 프로그램을 위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i) 한국 해<br />

3)미국<br />

연구에서 대학교 연구진의 활용도가 매우 낮은 점을 감안할 때 SG를 통한 대학자원의 활용은 해양연구에서 획기적인 전기가<br />

양<br />

수 있다, (ii) 한국 SG 프로그램의 적은 예산을 감안할 때 전략적 투자계획을 조속히 수립해 연구의 효율성을 재고해야 한다, (iii)<br />

될<br />

연구의 자율성과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SG 프로젝트는 연구용역이 아닌 연구비 지원의 성격을 지녀야 한다, (iv) 미국 SG<br />

대학<br />

BK21은 21세기의 두뇌 한국을 뜻하는 단어이다. 교육부는 첨단 과학기술 분야핵심 인력을 중점 양성하고 이를 통해 대학체제를<br />

4)<br />

고질적인 입시경쟁을 완화하겠다는 골자의 BK21을 내놓았다. 그 동안 관행화된 나눠먹기식의 지원으로는 국제적 경쟁력은<br />

고쳐<br />

균형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전반적 지구 생명유지 시<br />

의<br />

치명적 손상을 입음으로써 개별 국가와 지역사회<br />

스템은<br />

떨어져 있고 국제적 해양경쟁이 심화하고 있기 때문<br />

멀리<br />

연방정부와 주 정부와 대학·연구소 그리고 해양산업<br />

에<br />

물론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은 심각한 제약을 받을<br />

는<br />

있다는 것이다. 해양환경 문제는 흑해, 황해, 북해 등<br />

수<br />

곳곳의 폐쇄 또는 반 폐쇄 해역에서 현저하게 진전<br />

세계<br />

왔다. 이런 상황하에서 1998년 IWCO(Independent<br />

되어<br />

연구사업(research)을 통합적이고 연계적으로 수행<br />

그리고<br />

한다는 인식이 미국 사회에 확산되었다. 그 결과<br />

하여야<br />

미국 농업 <strong>및</strong> 기계산업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br />

USSGCP는<br />

랜드그랜트 대학사업(Land Grant University Programs)<br />

한<br />

더는 미룰 수 없는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해 있다고 경<br />

은<br />

고하였다.<br />

같은 차원에서 해양에 대한 국민적 이해를 촉진하고<br />

과<br />

대한 사회적 지지기반을 확대하고, 해양과학<br />

해양정책에<br />

약 반세기 전 1962년 미국의 R. 카슨<br />

지금으로부터<br />

Carson)은 조용한 봄(Silent Spring)을 출간함으로<br />

(Rachel<br />

해양산업을 발전시킬 목적으로 1966년 미국 연안 <strong>및</strong><br />

과<br />

호 인접 주립대학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br />

5대<br />

심각한 미국의 육지·강·해양 오염문제를 처음 실증적<br />

써<br />

제기하였고, 미국 사회와 국제 사회에 일대 충격을<br />

으로<br />

근 반세기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반면, 그<br />

USSGCP가<br />

유사한 우리나라의 SG사업, 즉 해양한국발전프로그램<br />

와<br />

해양환경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편익과<br />

양자원과<br />

문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미국 사회<br />

해양환경<br />

이제 겨우 3년이 경과하였다. 그러나 현재 3개의 권역<br />

어<br />

기반은 취약하기 이를 데 없다. 우리나라에<br />

SG대학사업단<br />

바다와 국민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매우 취약하다는 사<br />

는<br />

깊이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바다에 대한 사회적<br />

실을<br />

시그랜트에 관한 연구는 윤(2001)에 의해 처음 이루어<br />

서<br />

그는 『미국 대학 시그랜트 프로그램 <strong>및</strong> 한국 해<br />

졌는데,<br />

미국의 해양정책을 오늘날과 같은 체계적이고 강<br />

인식은<br />

만드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런 사회적 분<br />

력하게<br />

발전에서 SG가 갖는 의미에 대한 연구』에서 미<br />

양연구<br />

SG프로그램의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SG발전<br />

국<br />

소수 사회구성원들의 생각 속에 머물러 있던 미<br />

위기에서<br />

시그랜트 대학 사업(United States Sea Grant College<br />

국<br />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의 연구는 연구사업에<br />

에<br />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쳤다. 3) 두 번째 연구는 김<br />

국한된<br />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들은 『해양한국 발전<br />

등(2002)에<br />

장기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에서 KSGP의 재<br />

프로그램<br />

언급한 바와 같이 해양·해양산업정책은 해양 자<br />

앞서<br />

해양자원을 대상으로 하고 해양은 국민의 시야에서<br />

체와<br />

문제와 기존 해양수산부문 R&D 사업·BK21사업 4)·<br />

원<br />

해양수산관련 연구사업과의 중복성 문제와 정체성<br />

여타<br />

이 연구소는 1988년 「공해반대시민운동협의회」와 통합하여 발족한 「공해추방운동연합(공추련)」으로 이어졌고, 1993년 4월<br />

후<br />

공추련 등 전국 8개의 환경단체(서울 공해추방운동연합, 부산 공해추방시민운동 협의회, 진주 남강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광<br />

2일<br />

환경운동시민연합, 대구 공해추방운동협의회, 울산 공해추방운동연합, 마산·창원 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목포 녹색연구회)<br />

주<br />

통합되어 현재 전국 조직인 「환경운동연합」으로 다시 태어났다.<br />

가<br />

또는 아웃리치(outreach)란 하나의 조직이나 그룹의 아이디어·실천사항을 다른 조직, 그룹, 특정 청중이나 일반 국민에<br />

2)대민사업<br />

전파하는 조직·그룹의 노력을 말한다. 마케팅과 달리 대민사업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한 상품전략과 다르다. 일반적으<br />

게<br />

비영리단체, 시민단체, 교회가 대민사업에 관여한다. 대민사업은 흔히 교육적 요소를 가지지만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br />

로<br />

지닌다. 대민사업 전략은 조직의 사명과 관련되어 있으며, 목표와 목적과 이정표 하에서 수립된다(www.wikipedia.org).<br />

연구 프로젝트 <strong>변화</strong>, 한국 SG의 적은 예산 등을 감안할 때 한국 SG는 초기 연구과제로 환경문제를 집중적으로 선택할 필요가<br />

의<br />

2001). 있다(윤<br />

고사하고 전반적인 하향 평준화 밖에 될 수 없어 어느 정도 여건을 갖춘 대학과 학문 분야에 재정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세계수준


KSGP의 법·제도적 인프라(예: 예산, 조<br />

루어짐으로써,<br />

평가·관리·조정 등), 지역 SG대학사업단의 운영체제<br />

직,<br />

관한 구체적 분석과 실천적 대안제시가 미흡했다.<br />

등에<br />

보는 바와 같이 아직도 KSGP는 제도, 조직,<br />

이상에서<br />

KSGP의 문제점에 대한 이런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br />

다.<br />

여건<strong>변화</strong>와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해양수산정책<br />

해양수산<br />

그리고 KSGP의 설립배경을 살펴보고, USSGCP<br />

패러다임<br />

KSGP를 다면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KSGP<br />

와<br />

해양수산 여건<strong>변화</strong>와 새로운 해양정책 패러다<br />

2.<br />

대두 임의<br />

2 의 해양관할권과 345천km 2 의 대륙붕, 11,914 km<br />

443천km<br />

해안선, 3,167개의 도서를 가지고 있으며, 갯벌은 그<br />

의<br />

연안, 캐나다 남동부 연안) 중 하나다. 또한,<br />

일·네덜란드<br />

청정해역과 천혜의 해수욕장, <strong>서해</strong>에는 광활한<br />

동해에는<br />

남해에는 리아스식 해안과 아름다운 다도해가 분포<br />

갯벌,<br />

2007).<br />

한다(해양수산부<br />

수산물을 생산하여 국민동물성 단백질 공급의 약<br />

규모의<br />

담당하고 있다. 또한, 연간 100조 원으로 추정되는<br />

40%를<br />

배타적 개발권을 확보한 태평양 심해저 클라리언-클<br />

된다.<br />

해역에는 연간 3백만 톤씩<br />

리퍼턴(Clarion-Clipperton)<br />

해양환경산업 등 고부가가치 미래 해양산업<br />

양관광산업,<br />

새로운 고용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6)<br />

육성과<br />

경쟁력 약화, 어촌사회의 양극화, 동북아 주요 항<br />

수산업<br />

간 치열한 물류허브 경쟁 등이 바로 그것이다. 7)<br />

만<br />

한·중·일간 해양관할권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br />

첫째,<br />

보자. 1994년 UN 해양법협약이 발효됨에 따라<br />

쟁상황을<br />

국가경쟁력을 좌우한다는 판단에서이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05년까지 7년간 총 1조 4000억원을 지원하였다<br />

상이<br />

(http://bnc.krf.or.kr/home/link.do?method=get&menuSN=020101).<br />

우리나라 해양 광물 <strong>및</strong> 에너지자원의 자세한 현황에 대해서는 (i) Ernst, G.F. 1995. Ocean Environmental management: A<br />

5)세계와<br />

on the role of the oceans and how to maintain their contributions to life on earth. Prentice Hall PTR, Englewood Cliffs, N.J.<br />

primer<br />

31-35, (ii) 김기현, 지상범. 2005. 해양광물자원. p. 58-75. In: 해양개발의 현재와 미래, 해양과학총서 1, 김웅서, 강성현 엮음. 한<br />

p.<br />

안산, (iii) 해양수산부. 2007. 미래국가해양전략(안). p. 20 참조.<br />

국해양연구원,<br />

해양수산부 「미래국가해양전략(안)」. p. 21 참조.<br />

6)앞의<br />

7)앞의 해양수산부 「미래국가해양전략(안)」. p. 22-24 참조.<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61<br />

지적하였다. 동시에 전략적 계획수립, 지원금 형태<br />

문제를<br />

자금 제공, SG대학의 확대, 중앙정부 SG오피스의<br />

로의<br />

부존량은 약 650만kw, 전 연안의 파력에너지는<br />

력에너지<br />

울돌목 등의 조류 에너지는 50-100만kw로 추정<br />

550만kw,<br />

보유, 국민적 성과 인정 노력 등을 권고하였다. 그<br />

결정권<br />

김 등(2002)의 연구 역시 SG연구사업을 중심으로 이<br />

러나<br />

채광할 수 있는 망간단괴가 부존해 있다. 5)<br />

150년간<br />

우리나라는 천혜의 지정학적 위치의 이점 등으로<br />

특히<br />

미래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경제의 급<br />

높은<br />

세계 3대 경제권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는 동북<br />

성장으로<br />

등 그 기반이 취약한 상태에 있으며, 권역별 주관대<br />

예산<br />

중심의 SG체제도 법제도적으로 조직화되어 있지 않<br />

학<br />

경제권의 중심에 있다. 또한, 부산·광양항은 세계 간<br />

아<br />

항로상에 있고 대형선박 입출항에 필요한 충분한 수심<br />

선<br />

확보하고 있어 동북아 물류거점기지로서 발전 <strong>및</strong> 경쟁<br />

을<br />

보유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직·간접효과를 포<br />

잠재력을<br />

해양관련 산업에서 창출되는 연간 부가가치 총액<br />

함하여<br />

GDP 총액의 7.8%를 점하고 있다. 해운, 항만, 수산,<br />

은<br />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수<br />

발전을<br />

행되었다.<br />

등 해양관련 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해<br />

조선<br />

해양에너지, 해양생명공학산업 등은 아직 초기 성<br />

양관광,<br />

있다. 우리나라의 우수한 정보기술(IT)과 인력을<br />

장단계에<br />

활용할 경우 해양생명산업, 물류정보산업, 해<br />

해양산업에<br />

해양 관련 산업 발전 잠재력<br />

해양여건과<br />

남한 육지면적(99천km 2 )의 4.5배에 달하는<br />

우리나라는<br />

여건 <strong>변화</strong>와 연안지역 문제<br />

국내외<br />

비교적 양호한 해양산업 발전 여건과 잠재<br />

우리나라는<br />

보유하고 있지만, 해양수산 경제와 정책을 둘러싸고<br />

력을<br />

제반 <strong>변화</strong>의 거센 물결은 우리에게 도전과 기회를<br />

있는<br />

2,393 km 2 (남한면적의 2.4%)에 이르는 세계 5대<br />

면적이<br />

한국 <strong>서해</strong>, 남미 아마존 하구, 미국 조지아주, 독<br />

갯벌(예:<br />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주변 연안국 간 해양관할<br />

동시에<br />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 기후<strong>변화</strong> 등에 따른 해양 여<br />

권<br />

<strong>및</strong> 환경의 급격한 <strong>변화</strong>, 해양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br />

건<br />

국민적 욕구 증대, 국제화에 따른 시장개방 확대와<br />

대한<br />

해역에는 풍부한 수산·에너지 자원이 부존해<br />

우리나라<br />

연근해어업·양식업·원양어업은 연간 270만 톤<br />

있으며,<br />

기초생산력을 가진 해양생태계와 장래 이용 가능한<br />

높은<br />

해양에너지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예컨대, <strong>서해</strong> 조<br />

풍부한<br />

해양관할권이 12해리 영해에서 200해리 배타적<br />

연안국의<br />

Economic Zone: EEZ)으로 확대되었<br />

경제수역(Exclusive<br />

다. 그러나 한·중·일 등 동북아 국가 간 양안거리는 400<br />

끌어 올리겠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학문분야로는 정보기술, 생명, 기계, 디자인, 한의학, 영상 등이 선정됐다. 지원대상<br />

으로<br />

연구중심 대학원으로 선정되는 대학이다. 지원 대상 인력은 교수가 아닌 석·박사 과정의 학생들인데 이들의 연구능력 향<br />

학교는


62 Park, S. K. and Kim, Y. J.<br />

이하이기 때문에 관할권 중첩문제가 발생하고 있다.<br />

해리<br />

기후<strong>변화</strong>, 해양오염 등에 따른 해양환경의 급격한<br />

둘째,<br />

o C)이 여름철(0.56 o C)보다 더 상승하였고, <strong>계절</strong> 변동<br />

(1.14<br />

감소하는 추세이고 수온상승에 따라 대형 해파리, 대<br />

폭이<br />

우리나라 해수면은 5.4 mm 상승하여 세계 평균<br />

한,<br />

mm)의 2배 이상 상승하였고, 연안은 지난 3년간 해안<br />

(2.8<br />

‘해양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국민적 욕구<br />

셋째,<br />

들 수 있다. 주 5일 근무제 시행(2004)과 지속적인<br />

증대를<br />

문화가 확산되고 쾌적한 연안·해양 공간 관리<br />

(wellbeing)<br />

이용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br />

와<br />

글로벌화에 따른 시장개방 확산과 수산업 경쟁력<br />

넷째,<br />

문제이다. 다자간 무역협상인 WTO/DDA(World<br />

약화<br />

Organization/Doha Development Agenda) 협상과<br />

Trade<br />

등 경제대국과의 FTA(Free Trade Agreements) 협상<br />

미국<br />

계속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br />

률은<br />

어촌사회 내부의 양극화 현상의 심화 문제이<br />

다섯째,<br />

어업자원의 지속적인 감퇴와 어업생산비 상승 그리고<br />

다.<br />

외 소득원의 한계는 어가 부채비율의 상승과 도시<br />

어업<br />

소득격차는 더 심각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br />

과의<br />

동북아 경제권의 급부상으로 주요 항만(부산,<br />

여섯째,<br />

고베 등) 간 치열한 물류허브 경쟁이다. 동북아는<br />

상하이,<br />

북미자유무역지대(NAFTA)와 더불어 세계<br />

유럽연합(EU),<br />

홍콩, 상해, 심천, 부산) 모두 동아시아에<br />

항만(싱가포르,<br />

해 있으며 지역 항만 간 중심항만(hub port) 경쟁이<br />

입지<br />

지속 가능한 해양산업 발전의 개념은 무엇인<br />

그렇다면, 8) 간략하게 정의하면, 해양 자원과 환경의 한계를 전<br />

가?<br />

지속 가능한 해양산업발전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br />

제한<br />

불변의 두 가지 중요한 열역학법칙을 전제할 때, 9) 해<br />

다.<br />

가능한 해양산업 발전의 개념 : 한마디로 해양산업 발전에 있어서 해양자원과 해양환경의 한계를 의미한다. 즉 절대적 한계<br />

8)지속<br />

아닌 해양환경자원을 이용하는 기술과 사회조직의 현재 상태와 인간 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흡수할 수 있는 생물계의 능력에 의<br />

가<br />

불변의 법칙) : 우주의 물질과 에너지 총량은 일정하기 때문에 생성되거나 소멸될 수 없고 오직 그 형태만이 바뀐<br />

9)제1법칙(에너지<br />

제2법칙(엔트로피 법칙) : 물질과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만 바뀐다. 즉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부터 사용할 수 없는 형태로, 얻을<br />

다.<br />

교역권의 하나로 부상하고 동북아 물동량 선점을 위<br />

3대<br />

주변 국가 간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세계 5대<br />

한<br />

들 수 있다. 최근 35년간(1968-2002) 바다 표층 수<br />

<strong>변화</strong>를<br />

0.85 o C 상승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겨울철<br />

온은<br />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br />

가오리, 보라문어 등 열대성 어류가 온대 해역에 출현<br />

형<br />

등 어장환경의 <strong>변화</strong>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br />

하는<br />

해양정책 패러다임 대두<br />

새로운<br />

해양수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국내외 도전은<br />

우리나라<br />

<strong>및</strong> 해양자원 이용 중심의 해양정책 패러다임을 지속<br />

해양<br />

발전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계기가 되<br />

가능한<br />

4m 침식되었으며, 태풍, 해일, 침식 등으로 연 1천<br />

선이<br />

원 이상의 연안재해 피해가 발생했다.<br />

억<br />

있다. 즉, 지속 가능한 발전 패러다임은 시스템적 사고<br />

고<br />

부분에서 전체를 지향하는 사고, 생태계를 기반으로<br />

(예:<br />

자원관리 등)를 의미한다(카프라 1998). 새로운 해양<br />

하는<br />

패러다임의 키워드(key word)는 전체, 세계화, 지속<br />

정책<br />

증가로 말미암아 우리 사회는 노동 중심 사회에<br />

국민소득<br />

여가 중심 사회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참살이<br />

서<br />

발전, 건강한 연안·해양환경 유지 등이라고 할 수<br />

가능한<br />

있다.<br />

우선 전체의 관점에서 국제화나 세계화란 말의<br />

우리는<br />

의미보다는 이 말이 사용되는 사회적 맥락을 따져<br />

사전적<br />

필요가 있다.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란 기업경영에<br />

볼<br />

국가 간 국경의 개념을 인정하며 자기 국가를 기초로<br />

서<br />

나라와의 일정한 관계하에서 경영활동을 전개해나가<br />

다른<br />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세계화(globalization)란<br />

는<br />

동시 다발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는 가운데, 연근해<br />

이<br />

1980년 1천만 톤에서 2004년 790만 톤으로<br />

수산자원량은<br />

간 국경 자체의 한계나 차이를 뛰어넘어 처음부터<br />

국가<br />

전체를 하나의 경영단위로 삼는 보다 공세적이고<br />

지구촌<br />

향후 10년 이후 자원량은 약 390만 톤으로<br />

감소하였으며<br />

이런 상황하에서 수산자원보유국(Fish Friends<br />

전망된다.<br />

기업활동을 말한다(마르틴과 슈만 2003). 따라서<br />

전략적<br />

재화와 서비스, 노동, 자본 등의 자유로운 국가<br />

세계화는<br />

관세 <strong>및</strong> 보조금 감축 압력으로 인하여 무역적자<br />

States)의<br />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국내 수산물 자급<br />

는<br />

이동을 의미한다. 개방화를 특징으로 하는 세계화의 진<br />

간<br />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매우 공격적인 기업경영전<br />

전은<br />

유인하지만, 이는 자연자원의 이용과 보존 사이에 심<br />

략을<br />

딜레마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이 딜레마가 바로<br />

각한<br />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지구적-국가적-지역적 관<br />

오늘날<br />

불러 일으켜 온 이유이다.<br />

심을<br />

소득격차를 더욱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br />

근로자와의<br />

특히 어촌사회 내부에서 상업형 어업과 생계형 어업<br />

있다.<br />

해양산업 발전의 범위와 규모는 한계성을 지닐<br />

양개발과<br />

없다. 기존의 산업발전 패러다임이 풍부한 자연자<br />

수밖에<br />

해 주어지는 상대적 한계를 의미한다(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87).<br />

있는 형태로부터 얻을 수 없는 형태로, 질서가 있는 상태로부터 질서가 없는 상태로만 변할 수 있음을 말한다. 본질적으로 열<br />

수<br />

제2법칙은 우리의 삼라만상은 질서가 있고 가치가 있는 상태로부터 무질서하고 가치가 없는 혼돈 상태로, 즉 한 방향으로만<br />

역학<br />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김 1992).


동시에 국민의 삶의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다.<br />

자<br />

해양과 해양산업 그리고 해양정책이 국민 속에<br />

환언하면<br />

KSGP의 설립 배경과 조직·운영·사업·법<br />

3.<br />

제도<br />

배경 <strong>및</strong> 경과 설립<br />

해양수산부가 신설된 이후 해양수산정책의 핵<br />

1996년<br />

폐지 이후 국가 해양행정정책을 종합·조<br />

청(1955-1961)<br />

주무부처가 없이 11개 부·처·청이 해양행정을 분<br />

정하는<br />

이러한 국민적 지지문제는 새로운 정부가 들<br />

지속되었다.<br />

때마다 해양수산부의 존폐가 야기되는 단서를 제공<br />

어설<br />

해양수산 전문가들과 공직자들이 해양과 해양산<br />

하였다.<br />

대한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한다고 하더라도, 그 중요<br />

업에<br />

해양문제에 관한 한 유사한 어려움이 있었는데<br />

미국도<br />

중반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써 주립<br />

1960대<br />

KSGP는 해양개발기본법에 근거하여 수립된 법<br />

입하였다.<br />

기존 해양개발기본법(1996년 1월)을 확대 개<br />

정계획으로<br />

그러면 왜 지역대학 기반의 KSGP로 전환되<br />

전환하였다.<br />

그 이유는 바다에 인접해 있는 지역 국립·사립<br />

었는가?<br />

해양정책체계의 문제점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들 수 있다: (i) 1987년 해양개발기본법이 제정되었지만 이 법에 근거하<br />

10)분산된<br />

해양정책조정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해양개발위원회(위원장 : 국무총리)가 당시까지 1996년 1월 단 1회만 개최되<br />

여<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63<br />

부존을 상정한 발전모형이었다면, 향후 발전모형은<br />

원의<br />

희소성의 전제하에서 자원을 절약하고 자연환경<br />

해양자원<br />

말처럼, 눈에 보이지 않으면 사회구성원의 관<br />

Mind”라는<br />

멀어지는 것이 세상의 이치다.<br />

심에서<br />

보전하는 한계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br />

을<br />

한다는 것이다.<br />

모형이어야<br />

해양수산부가 탄생할 당시 「행정쇄신위원회」<br />

1996년<br />

국가 해양관련 업무가 9개 부처 2개 청에 분산됨으로<br />

는<br />

신 해양산업발전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데 있<br />

이러한<br />

가장 중요한 것은 연안지역과 해양이 산업의 공간이<br />

어서<br />

초래되었던 해양행정의 비효율성과 문제점 10) 을 지적하<br />

써<br />

1996). 사실, 이러한 문제점은 해무<br />

였다(행정쇄신위원회<br />

위해서는 국민과 해양 사이에 접촉 면의 확대가<br />

존재하기<br />

이를 위해서는 해양과 해양산업에 대한 국민적<br />

중요하며,<br />

따라 정책의 일관성 결여 <strong>및</strong> 중복, 긴급사태<br />

산·집행함에<br />

시 행정 공백 현상을 초래하였다. 분산된 해양행정의<br />

발생<br />

해양수산정책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선행되어야<br />

이해와<br />

이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 수단의 강구가 필요하<br />

하고,<br />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해양수산부가 신설되<br />

비효율성과<br />

해양과 국민 사이에는 효과적인 인터페이스의 역<br />

었지만,<br />

것이다. 사실, 정책은 최선의 선택을 요구하지만, 그<br />

다는<br />

국민적 지지에 달렸기 때문에, 흔히 정책은 선택과<br />

성공은<br />

수행함으로서 해양수산 행정과 정책에 대한 국민적<br />

할을<br />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의 부재상태가<br />

인식과<br />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적 딜레마를<br />

지지의<br />

정책목표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2000년<br />

없애고<br />

바다와 국민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로<br />

해양수산부는<br />

해양수산 대민(outreach), 교육(education), 연구사업<br />

서<br />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위 종합국가 해<br />

(research)을<br />

프로그램(Korea Sea Grant Program, KSGP)을 설<br />

양발전<br />

가치가 일반 국민과 입법부 그리고 타 부처 사이에<br />

성과<br />

않으면 해양수산 정책과제는 국가적 의제로 부<br />

공유되지<br />

치하였다.<br />

어렵고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는데 한계를 지니게<br />

상되기<br />

된다.<br />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소위 국가 시그랜트대학<br />

대학<br />

Sea Grant College Programs)을 도입하<br />

프로그램(National<br />

2001). 우리나라도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써<br />

였다(윤<br />

발전시키고, 해양수산 행정과 정책에 대한 국<br />

해양산업을<br />

국가 해양정책 이슈는 해양개발 <strong>및</strong> 해양산업 발전과<br />

심적<br />

사이의 접촉 면 또는 인터페이스를 넓힘으로<br />

해양·국민<br />

인식과 지지를 제고하기 위하여 2000년 미국식 시그<br />

민적<br />

프로그램(Sea Grant Program, SGP), 즉 KSGP를 도<br />

랜트<br />

해양 <strong>및</strong> 해양산업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높이고 해양<br />

써<br />

대한 국민적 지지를 증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br />

정책에<br />

하기란 쉽지 않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매우 간단<br />

렇게<br />

분명하다. 해양(바다)은 일반국민, 입법부, 공무원의<br />

하고<br />

「해양한국 21(Ocean Korea 21)」을 실행하기 위한<br />

편한<br />

2005년 지역 국립대학 기반의 KSGP로<br />

정책수단이었고,<br />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바다에 대한 그들의<br />

시야에서<br />

관심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이다. 영어속담<br />

인식과<br />

에 “보이지 않으면 마음도 멀어진다: Out of Sight, Out of<br />

뿐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고, (ii) 해양행정 조직의 다원화와 종합조정기능 부재로 종합적이고 강력한 해양개발업<br />

었을<br />

추진이 어려웠으며 특히 항만청, 수산청, 수로국 간에 유사업무의 분산수행으로 예산 <strong>및</strong> 인력이 낭비되고 있었으며, (iii) 관련<br />

무<br />

간에 상충 초래(해양공간의 개발·이용에 있어서 개별행위 간 상충. 예, 영산강 하구둑 공사와 그에 따른 간척기 개발공<br />

업무<br />

<strong>및</strong> 이에 대한 해결능력의 부재로 사회적인 문제가 야기되고 있었고, (iv) 대형 선박사고 <strong>및</strong> 해양오염사고 발생 시 효과적인 대<br />

사)<br />

부족하였으며, (v) 새로운 해양질서에 대한 종합적 대처능력이 미약했으며, (vi) 해양조사·연구개발의 경우 기능 <strong>및</strong> 인력<br />

응능력<br />

분산과 중장기 연구방향설정 결여로 대형연구과제 수행능력이 미약함으로써 장비의 공동이용과 조사·연구결과의 효율적 활<br />

의<br />

곤란하였고, (vii) 해양환경 보전을 위한 지역협력기구 결성과 각국의 자원보호 강화추세 등 주요과제에 대처할 국제협력기<br />

용이<br />

취약하였다(행정쇄신위원회 1996).<br />

능이


해양 행정 <strong>및</strong> 정책에 대한 국민적 인식과 지지와<br />

양교육,<br />

확대하고자 하였다.<br />

참여를<br />

되었고, 이는 결국 KSGP의 정체성 문제를 초래하였<br />

안게<br />

그런 중복성과 정체성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단위에서<br />

다.<br />

Sea Grant University Programs)을 설치하기<br />

Consortium<br />

예컨대, 2005년 영남시그랜트 대학사업단<br />

시작하였다.<br />

Sea Grant University Program, YSGUP)을 시<br />

(Yeongnam<br />

2006년 호남시그랜트 대학사업단(Honam Sea<br />

작으로,<br />

University Program, HSGUP), 2007년 중부시그랜<br />

Grant<br />

대학사업단(Jungbu Sea Grant University Program,<br />

트<br />

구별된다.<br />

해양정책에 있어서 대규모 항만건설과 같은 중<br />

한국의<br />

해양에 대한 국민적 이해 증진과 같이 해양의 지속<br />

보존,<br />

이용에 관한 소프트웨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br />

가능한<br />

& Technology Promotion, KIMST)과 세 개의 권<br />

Science<br />

컨소시엄(consortium) SG대학사업단(영남, 호남, 중<br />

역<br />

두고 있다.<br />

무처(국)를<br />

조직의 사명과 업무의 범위 <strong>및</strong> 수준이 정해질 경<br />

사실,<br />

인력자원의 질적 수준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하더라<br />

우,<br />

적절한 업무 분장과 그에 따른 스탭핑(staffing)이 적<br />

도,<br />

Table 1에서 보듯이, 영남 SG대학사업단은 비교적 스<br />

다.<br />

잘 되어 있지만, 호남과 중부는 연구·교육·대<br />

탭핑이<br />

1994년 우루과이 라운드협상 타결 이후 수산부문 경쟁력 향상과 수산 현장애로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br />

11)수산특정연구개발사업은<br />

농어촌발전특별법에 근거하여 농어촌특별세에 의해 199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1994년부터 2006년까지 375과제 616억 원을<br />

하여<br />

기술이전 39건, 국내외 특허등록 160건, 국내외 논문발표 1042건 등의 실적을 나타내고 있다(www.kmi.re.kr/news/bodo_<br />

지원해<br />

view.asp·num=2230&page=2).<br />

NURI사업은 지방대학 역량강화→기업이 요구하는 우수인력 배출→지방대 졸업생의 취업률 제고→지역기업체 성장→지역경제<br />

12)<br />

우수학생 유입의 선순환을 견인하는 참여정부의 대표적인 국책 시범사업이며, 지역발전 전략을 토대로 대학별<br />

발전→지방대학에<br />

분야에서 산·학·연·관이 협력하여 추진하는 우수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지원한다(bnc.krf.or.kr/home/nuri/index.<br />

특성화<br />

do?method=getList&menuSN=0301).<br />

64 Park, S. K. and Kim, Y. J.<br />

인프라와 네트워크 그리고 연구·교육능력을 활용<br />

대학의<br />

하는 것이었다. 환언하면 지방정부와 지역대학이<br />

하고자<br />

주도의 대규모 하드웨어 개발정책에 대한 수요는<br />

앙정부<br />

감소하고 있는 반면, 항만운영, 해양레저, 해양환경<br />

점차<br />

현안 문제를 직접 발굴하여 연구하고, 지역단위<br />

해양수산<br />

해양수산 인력을 양성하고, 일반 지역주민을 교육하<br />

에서<br />

해양청지기로서의 역량을 키우고, 대민사업을 수행함<br />

여<br />

국가는 지역대학을 기반으로 해양, 해양산업, 해<br />

으로써,<br />

이와 같은 해양정책수요의 <strong>변화</strong>추세에 부합하고<br />

KSGP는<br />

국민 사이의 접촉 면을 확대하고 해양정책에 대한<br />

바다와<br />

지지기반을 확대·강화할 수 있는 사업이라고 할<br />

국민적<br />

있다. 수<br />

연구개발지원사업 중심의 KSGP는 수산특정연구<br />

초기 11) BK21사업, NURI사업 12) 등과 중복성 문제를<br />

개발사업,<br />

<strong>및</strong> 운영 조직<br />

이를 총괄하는 해양수산부를 정점(해양정<br />

KSGP체제는<br />

해양개발과)으로 지역 SG의 예산과 사업을 관리<br />

책본부<br />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Korea Institute for Marine<br />

하는<br />

국민 사이의 접촉면(즉, 인터페이스)을 확대하기<br />

바다와<br />

2005년부터 해양수산부는 그 산하에 세 개 영역<br />

위하여,<br />

사업(예: 연구, 교육, 대민사업 영역)을 중심축으로 하<br />

의<br />

3개 지역대학 기반 컨소시엄 시그랜트사업단(Regional<br />

는<br />

조직되어 있다. 개별 권역별 SG대학사업단 컨소<br />

부)으로<br />

권역 내 2-3개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1개<br />

시엄은<br />

주관대학(영남-한국해양대학교, 호남-목포해양대<br />

대학이<br />

중부-인하대학교)이다. 각 SG대학사업단은 공히 사<br />

학교,<br />

설치함으로써 지역 대학기반의 KSGP 시스템<br />

JSGUP)를<br />

네트워크를 갖추었다.<br />

과<br />

이루어져야 비로소 그 조직은 기대되는 사명과 업<br />

정하게<br />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현<br />

무를<br />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국고와 권역별 각 지<br />

KSGP는<br />

산업체, 대학 등에서 지원하는 대응자금(matching<br />

자체,<br />

해양수산부(사무관 1명, 실무자 1명)와 SG 주관대학<br />

재<br />

조직과 스탭핑은 전반적으로 극히 취약하<br />

사무처(국)의<br />

토대로, 지역 SG사업단이 대학의 연구능력을 활<br />

fund)을<br />

지역의 해양수산 현안 문제를 직접 발굴하여 연구<br />

용하여<br />

물론, 대국민 해양관련 교육홍보와 연구결과의 이<br />

함은<br />

등을 통해 국가·지역 현안을 적극적<br />

전·홍보·정보제공<br />

구분하지 않고 단 1명의 직원만을 보유하고<br />

민·행정을<br />

있다.<br />

해결하는 「지역 해양수산발전 종합프로그램」이라<br />

으로<br />

할 수 있다. KSGP는 연구개발 그 자체가 중심이 아<br />

고<br />

영남 SG대학사업단은 사무처장(박사)을 두고 있<br />

현재<br />

반면, 호남과 중부는 사무국장(석사)과 간사(주관대학<br />

는<br />

지역 현안 문제의 실질적인 해결을 추구하고 해양과<br />

닌<br />

사이의 실질적 인터페이스(교량) 역할을 수행한다<br />

국민<br />

두고 있다. 그러나 단장과 간사는 자신들의 교육<br />

교수)를<br />

연구업무를 기존의 수준에서 그대로 유지하면서 SG업<br />

과<br />

측면에서, 대학의 연구과제 <strong>및</strong> 인력양성 지원위주 성<br />

는<br />

BK21사업이나 통상적인 R&D지원사업과 분명히<br />

격의<br />

추가로 수행하기 때문에, 단장과 간사의 대학 고유의<br />

무를<br />

감축되지 않는 한, 최소한 표면적으로는<br />

교육·연구업무가<br />

단장이나 간사가 SG대학사업단의 업무를 체계적이고 적


Regional<br />

University<br />

SG<br />

수행할 수 있느냐에 대한 의문이 남게 된다.<br />

극적으로<br />

SG의 사명이 교육·대민사업을 통해 국민과 바다<br />

또한,<br />

지속 가능한 연안지역·국가 경제발전을 도모하는<br />

하며,<br />

점을 감안할 때, 권역 SG 사무처(국)의 스탭핑<br />

것이라는<br />

52억1천만 원이 투자되었고 선정된 연구과제 수는 총<br />

약<br />

과제(계속과제 포함)로 과제당 평균 연구개발비는<br />

118개<br />

4.4천만 원이었다.<br />

약<br />

2005년 이후 중앙관리 체제에서 벗어나 우리나<br />

그러나<br />

Planned<br />

of Research)<br />

(No.<br />

call Open<br />

of Research)<br />

(No.<br />

Total<br />

of Research)<br />

(No.<br />

167,250<br />

(4)<br />

808,280<br />

(21)<br />

975,530<br />

(25)<br />

Associate<br />

director<br />

164,000<br />

(4)<br />

772,950<br />

(17)<br />

936,950<br />

(21)<br />

BK21사업, NURI사업, 일반 용역연구<br />

수산특정연구사업,<br />

통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이들 연구<br />

사업을<br />

104,050<br />

(3)<br />

895,950<br />

(19)<br />

1,000000<br />

(22)<br />

205,000<br />

(5)<br />

947,000<br />

(20)<br />

1,152,000<br />

(25)<br />

Administration<br />

1<br />

Coordinator<br />

(professor)<br />

1<br />

Coordinator<br />

(professor)<br />

215,000<br />

(5)<br />

933,000<br />

(20)<br />

1,148,000<br />

(25)<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65<br />

Table 1. Regional SG staffing<br />

Staff<br />

Director<br />

program<br />

Research Education Outreach<br />

Yeongnam Professor 1(Ph.D.) 1(M.A.) 1(B.S.) 1(B.S.)<br />

Honam Professor 1(M.S.) 1(B.S.)<br />

Jungbu Professor 1(M.S.) 1(B.S.)<br />

Source : Each regional SG university program.<br />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해양발전<br />

바탕으로<br />

서서히 정착해가고 있다. 영남 SG사업<br />

종합프로그램으로<br />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해양<br />

사이에<br />

대한 국민적 이해를 촉진하고, 국민적 지지기반을 확대<br />

에<br />

경우에는 2006년 총 21건의 지역현안과제를 발굴·<br />

단의<br />

부산방송(KNN)과 2부작 해양관련 다큐멘터<br />

연구하였고,<br />

제작·방송하는 한편, 초·중학생 대상 해양환경 체<br />

리를<br />

프로그램도 운영하는 등 해양환경 분야에서 상당<br />

험교육<br />

체계적이고 균형적인 업무분장과 고도의 전문성 그리<br />

은<br />

경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현재의 해양수산부 <strong>및</strong> SG<br />

고<br />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호남 SG사업단은 진도어민들을<br />

한<br />

전복의 일본수출 판로를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br />

도와<br />

스탭핑과 바람직한 스탭핑 사이에는 큰 격<br />

대학사업단의<br />

존재하며, 이를 완화하는 것이 KSGP가 직면하고 있<br />

차가<br />

권역 SG대학사업단이 설치된 이래 아직도 정착<br />

2005년<br />

있지만, 이같은 SG사업의 3대 축인 대민·교육·<br />

단계에<br />

는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하겠다.<br />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향후 권역 SG대학<br />

연구사업이<br />

지향점과 그 기대되는 효과를 시사해 주고 있다.<br />

사업의<br />

<strong>및</strong> 예산 사업<br />

해양수산부 시그랜트사업(KSGP)은<br />

2000-2004년까지<br />

역할 중 연구사업과 전문인력양성사업이 중<br />

대학사업단의<br />

것은 사실이지만, 해양수산관련 연구와 인력양성은<br />

요한<br />

지원사업 중심으로 추진되었고, 이와 병행하여<br />

연구개발<br />

대학원 석·박사과정 전문인력 양성지<br />

전문인력양성(예:<br />

시행하였다. 당시 KSGP사업은 BK21사업 <strong>및</strong> 통상<br />

원)을<br />

R&D사업과 유사한 연구개발지원사업과 전문인력양성<br />

적<br />

인력양성사업체제는 인터페이스의 부재로 인해 그 연<br />

<strong>및</strong><br />

국민 속에 전파하고 대민사업으로 연결하고 경<br />

구결과를<br />

한정되었다. 또한 중앙정부(해양수산부)는 연구과<br />

사업에<br />

공모에서 결과평가에 이르기까지 심사위원회를 통해<br />

제의<br />

Table 3. Regional SG budget<br />

Year<br />

모든 과정을 직접 관리하였다. 동 기<br />

연구개발지원사업의<br />

중앙정부 관리 하에서 추진된 연구개발지원사업에<br />

간에<br />

2005 2006 2007<br />

SG<br />

Yeongnam 800,000 800,000 850,000<br />

Honam − 500,000 550,000<br />

Jungbu − − 500,000<br />

Total 800,000 1,300,000 1,900,000<br />

라의 SG대학사업은 대응자금 제공 등 지자체의 참여를<br />

Source: MOMAF.<br />

Table 2. KSGP investment<br />

2000 2001 2002 2003 2004<br />

Sourc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MOMAF).


효과를 거양하는 데는 분명한 한계성을 지니고 있<br />

제적<br />

여기에 바로 대민·교육홍보·연구 사업의 통합적 역<br />

다.<br />

SG대학사업단은 가장 많은 국고지원금(8억 원/연)<br />

영남<br />

받고 있고 지자체(부산시) 대응자금(2억 원/연)과 주관<br />

을<br />

균형을 이루어가고 있다. 2007년 총 예산은<br />

구사업간<br />

788,661천원, 부산시 200,000천원, 주<br />

1,125,705천원(국가<br />

3개 권역 SG대학사업단 중에서 교육홍보·대민<br />

분하였고,<br />

비율이 가장 높다.<br />

사업비의<br />

7에서 보듯이, 호남 SG대학사업단은 영남보다<br />

Table<br />

늦은 2006년 컨소시엄(목포해양대학교, 전남대학교,<br />

1년<br />

형태로 설치되었으며, 국가지원금은 연간 약<br />

군산대학교)<br />

원이며, 지자체(전남, 전북)와 주관대학의 대응자금은<br />

5억<br />

Expenditure<br />

Amount Ratio (%) Item Amount Ratio (%)<br />

Source<br />

66 Park, S. K. and Kim, Y. J.<br />

<strong>및</strong> 기능을 지닌 SG대학사업단의 중요성과 존재가치가<br />

할<br />

있다.<br />

40,000천원, 이월금 97,044천원)이었으며, 연구사<br />

관대학<br />

52%, 교육·홍보사업에 5%, 대민사업에 20%를 배<br />

업에<br />

대응자금(연평균 약 5천만 원)도 상대적으로 가장 높<br />

대학<br />

또한, 2005년과 2006년에는 언론매체로부터의 각각<br />

다.<br />

원을 지원받았다. 2005년 총예산의 70%를 연구사<br />

5천만<br />

배분하였지만, 점차 연구사업비를 상대적으로 줄이<br />

업에<br />

고 교육·대민사업비의 비중을 높임으로써 대민·교육·연<br />

2006년 2억55백만 원(전남도 2억 원, 전북도 3천만 원,<br />

Table 4. Yeongnam SG budget (2005)<br />

unit : thousand won<br />

Revenue<br />

MOMAF 800,000 64 Research 874,667 70<br />

Busan City 200,000 16 Outreach 150,000 12<br />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137,000 11 Education 40,000 3<br />

Media 50,000 4 Operation 168,948 14<br />

Host university 55,740 4 Preliminary budget 17,190 1<br />

Other 4,305 1<br />

Total 1,247,045 100 Total 1,250,805 100<br />

Source : Yeongnam SG University Program.<br />

Table 5. Yeongnam SG budget (2006)<br />

unit : thousand won<br />

Revenue<br />

Expenditure<br />

Source Amount Ratio (%) Item Amount Ratio (%)<br />

MOMAF 800,000 58 Research 820,910 60<br />

Busan City 200,000 15 Outreach 225,728 16<br />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130,000 9 Education 65,651 5<br />

Media 50,000 4 Operation 230,200 17<br />

Host university 55,000 4 Preliminary budget 35,117 2<br />

Other 142,606 10<br />

Total 1,377,606 100 Total 1,377,606 100<br />

Source : Yeongnam SG University Program.<br />

Table 6. Yeongnam SG budget (2007)<br />

Revenue<br />

Expenditure<br />

Source Amount Ratio (%) Item Amount Ratio (%)<br />

MOMAF 788,661 70 Research 582,000 52.0<br />

Busan City 200,000 17 Outreach 56,650 5.0<br />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Education 228,000 20.0<br />

Media Operation 255,370 22.7<br />

Host university 40,000 4 Preliminary budget 3,685 0.3<br />

Other 97,044 9<br />

Total 1,125,705 100 Total 1,125,705 100<br />

Source : Yeongnam SG University Program.


였다.<br />

SG대학사업단은 2007년 설립된 인하대학교와 강<br />

중부<br />

500,000 65.0 Research 470,000<br />

MOMAF<br />

management<br />

(Research<br />

university<br />

Host<br />

Maritime Univ.)<br />

(Mokpo<br />

University<br />

Kunsan<br />

Univ.)<br />

(Consortium<br />

university<br />

Host<br />

Maritime Univ.)<br />

(Mokpo<br />

462,000 100 Research 150,000(Inha Univ.)<br />

MOMAF<br />

Univ.)<br />

120,000(Inha<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67<br />

2.5천만 원)에서 2007년 8천만 원(전북도 3천<br />

주관대학<br />

원, 주관대학 5000천만 원)으로 감소하였고, 국가 지원<br />

만<br />

원(66.9%), 45,080천 원(7.7%), 61,050천 원<br />

393,520천<br />

사용함으로써 대민·교육홍보활동 비중을 높<br />

(10.4%)을<br />

지자체 대응자금을 연구비(61%)와 대민활동비<br />

금과<br />

사용하였지만, 2007년에는 총 예산 77천만 원<br />

(2.5%)에<br />

중 연구활동과 대민활동 그리고 교육홍보활동에 각각<br />

릉대학교로 구성된 컨소시엄 SG대학사업단이다. 호남과<br />

Table 7. Honam SG budget (2006)<br />

unit : thousand won<br />

Revenue<br />

Expenditure<br />

Source Amount Ratio (%) Item Amount Ratio (%)<br />

61.0<br />

30,000)<br />

Cheolanam-do 200,000 26.0 Education<br />

Choenlabuk-do 30,000 3.9 Outreach 19,000 2.5<br />

Enterprises/Institutions Operation 95,000 12.3<br />

Media Carrying forward 186,000 24.2<br />

25,000 3.2<br />

15,000 1.9<br />

Total 770,000 100 Total 770,000 100<br />

Source : Honam SG University Program.<br />

Table 8. Honam SG budget (2007)<br />

unit : thousand won<br />

Revenue<br />

Expenditure<br />

Source Amount Ratio(%) Item Amount Ratio(%)<br />

MOMAF 507,853 86.4 Research 393,520 66.9<br />

Cheolanam-do Outreach 45,080 7.7<br />

Choenlabuk-do 30,000 5.1 Education 61,050 10.4<br />

Enterprises/Institutions Operation 88,203 15.0<br />

Media<br />

50,000 8.5<br />

Total 587,853 100 Total 587,853 100<br />

Source : Honam SG University Program.<br />

Table 9. Jungbu SG budget (2007)<br />

unit : thousand won<br />

Revenue<br />

Expenditure<br />

Source Amount Ratio (%) Item Amount Ratio (%)<br />

58<br />

Provincial Government Outreach 138,000(Kangnung Univ.) 9<br />

Enterprises/Institutions Education 134,000(Kangnung Univ.) 7<br />

Media Operation 120,000 26<br />

Host University<br />

Other<br />

Total 462,000 100 Total 462,000 100<br />

Source : Jungbu SG University Program.


KSGP는 설립된지 7년이 경과하였지만, 아직도<br />

요컨대,<br />

법제도와 관리·운영체제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해<br />

관련<br />

경우, 2명(사무관 1명과 실무자 1명)이 KSGP<br />

양수산부의<br />

담당하고 있고, KSGP 총예산 또한 약 20억 원에 지나<br />

를<br />

인센티브가 미흡하기 때문이다.<br />

과<br />

SG연구과제 응모의 경우, 연구과제가 지역 해<br />

예컨대,<br />

응모자격을 대학교수에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br />

하고,<br />

현안을 연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자의 참여를<br />

해양수산<br />

13) 단지 (i)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33조(연구·개발사<br />

다.<br />

등)와 (ii) 해양수산연구개발사업의처리등에관한규정<br />

업<br />

독립적 법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br />

KSGP는<br />

목적, 사업범위, 예산 등에 대한 구속력 있는 명<br />

KSGP의<br />

입법명령(legislative mandates)이 존재하지 않는다.<br />

확한<br />

지역 SG대학사업단의 경우에도 (i) 주관 시도와 주<br />

또한,<br />

위상 등에 관한 규정이 모호한 상태에 있다.<br />

국(사무처)<br />

국가 <strong>및</strong> 지역 SG에 대한 체계적 관할 시스템이 정<br />

이처럼<br />

기대되는 성과를 거양하지 못하고 있으며, (iii) 지역<br />

서<br />

직원들의 신분 <strong>및</strong> 처우에 대한 명확한 규정도 부재한<br />

SG<br />

임용절차, 임무, 보수 등에 대한 규정이 모호하다.<br />

격,<br />

해양수산부는 2005년 KSGP를 권역 KSGP로 전<br />

특히<br />

해양수산부는 2007년 8월 지역 주관 시도 <strong>및</strong> 주<br />

예컨대,<br />

지역대학과 긴밀한 사전협의가 없는 상태에서, 지역<br />

관<br />

대학사업단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던 프로그램 관리를<br />

SG<br />

이관하였다. 이러한 갑작스런 조치는 지역 SG<br />

KIMST로<br />

사업단을 중심으로 지역 해양수산 문제의 발굴,<br />

주관대학<br />

교육사업, 프로그램 관리 등을 수행하고자 했던<br />

대민사업,<br />

목적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대민, 교<br />

당초의<br />

연구사업 등 각 사업 영역의 고유성과 연계성이 존재<br />

육,<br />

KIMST는 「해양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운영규<br />

사실,<br />

<strong>및</strong> 지침」에 따라 일반 연구사업단 차원에서 지역 SG<br />

정<br />

연구개발사업 개념으로 관리하기 때문에,<br />

대학사업단을<br />

운영규정 <strong>및</strong> 지침을 적용하는 한, 지역 SG대학사업단<br />

동<br />

Sea Grant Legislation and Regulations에는 (i) Sea Grant Legislation, (ii) Sea Grant Public Law 107-299, (iii) Code of<br />

13)미국의<br />

Regulations - 917 & 918이 있다(www.seagrant.noaa.gov/other/admininfo.html).<br />

Federal<br />

SG대학사업단 사업 <strong>및</strong> 예산관리를 「해양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strong>및</strong> 지침」에 따라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KIMST)이<br />

14)<br />

권역 SG대학사업단은 프로젝트 베이스로 관리된다. 따라서 각 SG대학사업단은 하나의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하<br />

담당함으로써<br />

68 Park, S. K. and Kim, Y. J.<br />

5억 원의 국가지원금을 받고 있으며, 주관대학인 인<br />

같이<br />

연구사업(2억7천만 원, 58%)을, 강릉대학교가<br />

하대학교가<br />

사업 <strong>및</strong> 예산관리는 「해양과학기술 연구<br />

SG대학사업단<br />

운영규정 <strong>및</strong> 지침」에 따라 KIMST가 담당하고<br />

개발사업<br />

있다. 14)<br />

원, 16%)을 각각 분담하고<br />

교육홍보·대민사업(7.2천만<br />

9). 있다(Table<br />

않는다. 영남 SG대학사업단을 제외하고 지방 자치단체<br />

지<br />

주관대학도 재정 <strong>및</strong> 여타 협력에 있어서 소극적이다.<br />

와<br />

대학간의 관계설정, (ii) 주관대학과 지역 SG간 관계설<br />

관<br />

(iii) SG에 대한 주관대학의 지원, (iv) 단장과 SG 사무<br />

정,<br />

SG대학사업단 자체도 적정한 스탭핑이 되어있지 않<br />

권역<br />

때문에 SG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의 고유한<br />

기<br />

있지 않기 때문에 (i) 국가 <strong>및</strong> 지역 SG 설치 목적<br />

립되어<br />

여전히 명확하지 못하고, (ii) 교육과 대민사업 영역에<br />

이<br />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이<br />

역할과<br />

문제점이 구조적으로 존재하는 이유는 KSGP에 대<br />

러한<br />

정부의 인식부족과 SG 이해관계자들이 대민·교육·연<br />

한<br />

<strong>및</strong> 관리업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성<br />

구사업<br />

있고, (iv) 특히 지역 SG 대학사업단의 발전과 활<br />

상태에<br />

있어서 단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단장의 자<br />

성화에<br />

현안에 관련된 현장애로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어야<br />

양수산<br />

불구하고 높은 수준(SCI급)의 학문적 논문을 요구<br />

함에도<br />

당시 체계적인 KSGP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았<br />

환할<br />

때문에 KSGP 관리에 있어서 혼선이 야기되고 있다.<br />

기<br />

봉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KSGP가 지향<br />

원천적으로<br />

궁극적 목표와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KSGP의<br />

하는<br />

기능을 대학사회에 한정시키는 모순을 낳고 있<br />

역할과<br />

KSGP가 현재와 같이 개방성을 갖지 못한다면, KSGP<br />

다.<br />

바다와 국민 간 인터페이스 역할은 축소될 수밖에 없<br />

의<br />

것이다. 인터페이스의 역할이 축소되면, 자연히 해양수<br />

을<br />

대한 국민적 지지기반을 확대하기 어렵고 국가<br />

산정책에<br />

우선순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br />

정책의<br />

현행 예산은 여전히 연구사업에 편중되는 결과를<br />

함에도<br />

있다. 낳고<br />

추진에 필요한 법제도기반 구축과 제도적<br />

해양수산정책<br />

어려워지게 된다.<br />

예산확보도<br />

기반 법제도적<br />

미국의 SG처럼 독립적인 법을 가지고 있지 않<br />

KSGP는<br />

대민·교육사업 등 고유 사업영역을 도외시한 채, 연구<br />

은<br />

중심의 지역 SG사업을 수행될 수밖에 없고, 이<br />

개발사업<br />

구분)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에 따<br />

제4조(연구개발사업의<br />

각 지역 SG대학사업단은 연구개발사업 중심의 자체<br />

라<br />

지역 SG관리체제는 KSGP를 창설한 원래의 목적과 취<br />

런<br />

부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KSGP의 주된 임무가<br />

지에<br />

운영규정 하에서 운영되고 있다. 한편 2007년 8월 이후<br />

통합적이고 연계적인 대민·교육·연구사업을 통해 바다<br />

연구 프로젝트로 취급되는 모순을 안고 있기 때문에 행정업무와 서류작업에 과도한 인력과 시간과 예산을 낭비하는 경향<br />

나의<br />

있다. 이


미국 SG 프로그램의 설립 배경과 현재의 시<br />

4.<br />

스템<br />

등으로 1969년 지구의 날(The Earth Day)이 제정되었<br />

제<br />

구소련과의 우주개발 경쟁이 한창인 가운데 닐 암스트<br />

고,<br />

Armstrong)이 달 착륙에 성공하였다.<br />

롱(Neil<br />

사회·기술적 배경 속에서 1963년 제93회 미국<br />

이러한<br />

Fisheries Society)에서 미네소타 대학<br />

수산학회(American<br />

of Minnesota)의 스필하우스(Athelstan Spilhaus)<br />

(University<br />

USSGCP의 개념과 설립을 제안하였다. 다음해인<br />

교수는<br />

사이언스(Science)지에 다음과 같은 그의 논문이 15)<br />

1964년<br />

백여년전 랜드그랜트 대학사업(Land Grant<br />

이는<br />

Program)에 의해 커다란 성장을 이루어낸 농업<br />

University<br />

증가하면서 USSG사업도 점차 현실화되어갔다. 1965<br />

이<br />

로드아일랜드(Rhodie Island)주의 상원의원 Claiborne<br />

년<br />

채택하였다. 16) 당시 법안은 전미과학재단(National<br />

법안을<br />

Foundation: NSF)에 다음과 같이 USSGCP의 관<br />

Science<br />

법은 “USSGCP의 목적을 시그랜트 대학(Sea Grant<br />

동<br />

<strong>및</strong> 연구소, 공영·사영 기관들에 의한 교육, 실사<br />

College)<br />

전파하기 위한 대학기반의 연구·교육·대민사업<br />

원에게<br />

Research·Education·Outreach Programs)<br />

(University-Based<br />

환언하면, 해양수산에 관한 과학기술 정보를 대학을<br />

이다.<br />

생산하고 전파함으로써 개인이나 집단 혹은 제<br />

기반으로<br />

즉 대민사업이라고 하며, 연구결과를 현직<br />

치(outreach),<br />

학생 그리고 해양산업 종사자, 일반 국민에게 전<br />

교사와<br />

웹 <strong>및</strong> 전화 문의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br />

파·교육하고,<br />

활동을 말한다.<br />

등의<br />

「국가 시그랜트 대학 프로그램(National Sea Grant<br />

로서<br />

Program)」을 창설했다(Fig. 1). 로드아일랜드 주<br />

College<br />

Island State)와 주립대학인 로드아일랜드 대학교<br />

(Rhode<br />

of Rhode Island, URI)는 미국이 국가 SG를<br />

(University<br />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당시 URI 총장(Francis.<br />

창설하는<br />

상원의원(Claiborne Pell)과 더불어, URI 해양대학<br />

Horn),<br />

Island, New Port)에서 첫 국가 SG회의를<br />

뉴포트(Rhode<br />

다음해인 1966년 Claiborne Pell은 「국가 시<br />

개최하였다.<br />

프로그램 법안(National Sea Grant College<br />

그랜트대학<br />

Act)」을 의회에 제출하였다.<br />

Program<br />

대한 첫 상원 청문회가 URI에서 열렸는데,<br />

SG법안에<br />

청문회가 주립대학교에서 열린 것은 그때가 처음이<br />

상원<br />

었다. URI는 SG주관대학으로서 공식 지정된 첫 네 개 대<br />

Spilhaus, A.F. 1964. Man in the sea. Science, 145(3636), 993.<br />

15)<br />

National Sea Grant College and Program Act of 1966(Public Law 89-688, October 15, 1966 [H.R. 16559]: An Act to amend the<br />

16)<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69<br />

위임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그 임무가 미국 상무<br />

리책임을<br />

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br />

부<br />

tration, NOAA)에 위임되어 있다.<br />

국민 간 인터페이스를 확대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연<br />

와<br />

(대학원)인력양성 외에도 (일반국민)교육사업과<br />

구개발과<br />

대민사업은 KSGP의 중요한 국가적 과업이기 때문이다.<br />

실증연구, 출판 등을 통해 USSGCP를 장려·지원<br />

구시의<br />

개발·발전시키며, 이는 현재 해양자원 개발 관련분야<br />

<strong>및</strong><br />

종사 중이거나 흥미를 가지고 있는 개인, 과학학회, 그<br />

에<br />

일반대중에게 실용적인 정보를 전파·공유케 하는<br />

리고<br />

배경 설립<br />

설립된 1960년대 미국 사회에서는 환경문<br />

USSGCP가<br />

대한 의식이 싹트고 오대 호(Great Lakes)와 해양자<br />

제에<br />

보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등 급격한 사회·기술적<br />

원<br />

규정하고 있다.<br />

것”으로<br />

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과 정보를 사회 구성<br />

USSGCP는<br />

겪고 있었다. 농업용 살충제에 의한 자연 생태계의<br />

<strong>변화</strong>를<br />

큐야호가(Cuyahoga) 강, 이리(Erie) 호의 오염 문<br />

파괴와<br />

등의 <strong>변화</strong>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안 <strong>및</strong> 해양수<br />

도<br />

사회구성원들에게 전파하는 모든 활동을 아웃리<br />

산정보를<br />

USSGCP에 대한 미국 사회의 관심이 고조되<br />

게재되면서<br />

었다.<br />

명령 입법<br />

미국 의회는 해양자원과 그들의 경제적 가치에<br />

1966년<br />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현존 대학에 시그<br />

“해양산업<br />

대학(Sea Grant College)의 설립을 제안한 바 있다. ...<br />

랜트<br />

국민적 이해와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연방·주정<br />

대한<br />

대학과 산업체간 파트너쉽(partnership) 프로그램으<br />

부와<br />

기계기술 산업에 버금가는 해양산업의 발전을 가져올<br />

<strong>및</strong><br />

...” 것이다.<br />

미국정부의 순수과학에 대한 관심, 특히 광대한<br />

당시<br />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편익에 대한 관심<br />

해양자원으로부터<br />

John A. Knaus는 SG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br />

학장이었던<br />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1965년 로드아일랜드<br />

점증하고<br />

USSGCP 설립에 관한 법안을 제안하였고, 1966년<br />

Pell이<br />

의회는 대학·기업·정부 간 협력체로서 USSGCP<br />

미국<br />

Marine Resources and Engineering Development Act of 1966 to authoriz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ea grant colleges<br />

and programs by initiating and supporting programs of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various fields relating to the development of<br />

marine resources, and for other purposes. National Sea Grant College and Program Act of 1966. Ant. p. 203 Be it enacted by the<br />

Senate and 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Congress assembled.


1. National Sea Grant partnerships.<br />

Fig.<br />

: www.seagrant.noaa.gov/GreenBook/SeaGrant101_<br />

Source<br />

2. Core themes and 4 program areas.<br />

Fig.<br />

www.seagrant.noaa.gov/colleges/index.html.<br />

Source:<br />

지금은 최소한 하나의 SG 프로그램이 각 연안 <strong>및</strong> 5대<br />

며,<br />

주(State)에 설치되어 있다. SG법안에 근거한 국가 SG<br />

호<br />

Sea Grant Strategic Plan)에 나타나 있<br />

전략계획(National<br />

USSGCP의 핵심주제는 (i) 연구(research, RE), (ii) 교<br />

는<br />

ED), (iii) 대민사업(outreach, OR), (iv) 프로<br />

육(education,<br />

관리(program management, PM)이며(Fig. 2), 미국<br />

그램<br />

USSGCP 정책선언은 다음과 같다.<br />

의회의<br />

국가적 관심이 요구하는 전략은 (i) 해양, 연안, 5대<br />

(1)<br />

연안 해역 <strong>및</strong> 그 주변부와 5대호 그리고 배타적<br />

(iii)<br />

대한 국민적 책무와 현명한 경제적 개발<br />

경제수역에<br />

(vi) 해양, 연안, 5대호 문제에 대한 국내<br />

이해하며,<br />

협력적 해결을 촉진하는 것이다.<br />

외<br />

SG의 연구, 교육, 훈련, 기술이전, 공공서비스에 대<br />

(2)<br />

투자는 이러한 전략실현에 필수적이다.<br />

한<br />

증가하는 연안지역 인구와 연안 <strong>및</strong> 5대호 환경에 가<br />

(3)<br />

압력에 의해 초래되는 해양, 연안, 5대 호 자<br />

중되는<br />

국가의 역동성과 시민 삶의 질은 해양, 연안, 5대호<br />

(4)<br />

대한 이해, 평가, 개발, 이용, 보전에 더욱 크<br />

자원에<br />

기여한다.<br />

통상증대에<br />

그와 같은 자원의 이해, 평가, 개발, 이용, 보전은 해<br />

(5)<br />

연안, 5대호와 관련되어 있거나 영향을 받는 주<br />

양,<br />

<strong>및</strong> 지방 정부, 일반산업, 대학, 단체, 개인과의<br />

정부<br />

국가 해양대기청(NOAA)은 국가 SG대학 프로그램<br />

(6)<br />

해양, 연안, 5대호에 대한 더 큰 이해, 평가, 개발,<br />

이<br />

보전 활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연방정부의 책<br />

이용,<br />

이행과 지원에 필요한 가장 적절한 지위와 수단<br />

무<br />

기타 기관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과 프로<br />

구소,<br />

설치, 개발,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지속적으로<br />

잭트<br />

SG는 2002년 11월 SG에 대한 의회의 재승인<br />

미국<br />

의해 현재의 형태로 국가 <strong>및</strong> 주 시그랜<br />

(reauthorization)에<br />

Sea Grant, SSG) 시스템(네트워크)를 유지하게<br />

트(State<br />

국가가 주도하는 SG의 괄목할 만한 예산증액이<br />

되었고,<br />

재승인의 핵심사항은 (i) 연안 자원, 교육, 연<br />

이루어졌다.<br />

대민사업 전개, 대학기반 하부구조 구축, (ii) 강점<br />

구개발,<br />

근거한 지원과 경쟁, (iii) 기관간·기관내 권한 설정,<br />

에<br />

전략적 계획 수립, (v) 성과검토 등에 관한 것이다.<br />

(iv)<br />

3과 같은 국가 SG 오피스(National Sea Grant Office,<br />

Fig.<br />

설치·운영하고 있다. NSGO는 (i) 32개의<br />

NSGO)를<br />

Grant College Programs)에 지원금(Grants)를<br />

SGCP(Sea<br />

(ii) 연방자금 <strong>및</strong> 대응자금을 관리하고, (iii) 행<br />

제공하고,<br />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vii) 연구(research), 교육<br />

(fellowship)<br />

대민사업(outreach), 재정 네크워크(financial<br />

(education),<br />

제공한다.<br />

networks)를<br />

국가 SG대학 사업단 단장(director)과 부단<br />

NSGO에는<br />

director)이 있으며, 단장과 부단장 사이에 단장<br />

장(deputy<br />

acting)이 있다. 또한, 단장, 단장보좌역,<br />

보좌역(assistant:<br />

70 Park, S. K. and Kim, Y. J.<br />

의존하고 있으며, 이들 자원은 식품, 에너지, 미<br />

게<br />

공급하고, 인간의 건강, 환경의 질, 국가안보,<br />

네랄을<br />

지속해나가는 데 있어서 연방정부의 광<br />

파트너쉽을<br />

책임과 적극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br />

범위한<br />

011207.ppt.<br />

제공해야 한다. 그러한 활동은 비용 효과적인 방<br />

을<br />

촉진되어야 하며 연방정부는 SG대학, SG연<br />

법으로<br />

증대하는 것이다.<br />

주립대학교, 오래곤 주립대학교, 택사<br />

학교(로드아일랜드<br />

A&M 대학교, 워싱턴 대학교)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br />

스<br />

운영 조직과<br />

SG의 핵심주제·조직·예산·운영<br />

국가<br />

연방정부는 상무성(Department of Commerce)의<br />

미국<br />

산하에 SG를 총괄하는 조직으로<br />

국가해양대기청(NOAA)<br />

자원과 환경에 대한 이해와 현명한 이용을 위한<br />

호<br />

제공하고, (ii) 경제적 경쟁력을 제고하며,<br />

전략을<br />

촉진하고, (iv) 연안 재해에 대한 예측과 분석 시<br />

을<br />

발전을 촉진하고, (v) 글로벌 환경 프로세스를<br />

스템<br />

통제(실행예산의 5% 내)하고, (iv) 프로그램 관<br />

정비용을<br />

통해 대학기반 SG사업단을 평가·감독하고, (v) 효<br />

리를<br />

전략적 투자를 위해 지원금 이용에 대한 경쟁을<br />

율적인<br />

(vi) 크나우스(Knauss) <strong>및</strong> 기타 특별 연구지원<br />

촉진하고,<br />

이용과 개발 확대는 그와 같은 자원을 현명하<br />

원의<br />

관리하기 위한 미국의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br />

게<br />

부단장은 국가 SG검토패널(National Sea Grant Review


또한 부단장 산하에 3명의 행정담당 단장보좌역<br />

하며,<br />

director for administration)를 두고 있는데, 이<br />

(assistant<br />

SG 총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2006<br />

미국의<br />

국가 SG예산은 약 9천5백만 달러에 달했다. 여기에<br />

년<br />

연구과제), 국가 경쟁 베이스 연구사업에 2.4백만 달<br />

(357<br />

SG 1.6백만 달러 + 대응자금 0.8백만 달러, 28<br />

러(연방<br />

패스스루 어워드(pass-through awards) 연구사<br />

연구과제),<br />

8.3백만 달러(연방자금 8.3백만 달러, 53 연구과제)<br />

업에<br />

양식개발, 기술개발, 굴 질병, 걸프(Gulf) 굴 산업발<br />

생물,<br />

특별연구지원사업(fellowship programs) 등이 포<br />

전구상,<br />

시그랜트(State Sea Grant: SSG)의 사업·역할·조직·운영<br />

주<br />

시랜트(SSG)사업은 크게 4개 분야, 즉 연구, 교육, 대<br />

주<br />

프로그램 관리로 구분된다. 주관대학(SG대학 프<br />

민사업,<br />

오피스가 있는 대학)은 당해 주의 사립대학을 포<br />

로그램<br />

3. National Sea Grant office organization.<br />

Fig.<br />

www.seagrant.noaa.gov/GreenBook/SeaGrant101_011207.ppt#478,9,NSGO%20Org%20Chart.<br />

Source:<br />

자금(pass-through funds)이란 이미 의회가 승인한 각 정부부처 예산 중에서 SG 프로그램·프로젝트 지원금으로 이전되<br />

17)패스스루<br />

자금을 말한다. 는<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71<br />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부단장은 프로그램<br />

Panel)과<br />

<strong>및</strong> 조정, 국가 리더쉽 <strong>및</strong> 조정 업무를 직접 관장<br />

리더쉽<br />

지원되었다. 이중 연방정부가 주도하는 경쟁 베이스<br />

가<br />

환경생물공학, 수산생물 서식처, 수생 해적<br />

연구분야에는<br />

각각 예산, 조직 운영, 프로그램 기획·평가를 담당<br />

들은<br />

한다.<br />

함된다.<br />

패스스루(pass-through) 자금 17) 을 합하면 총<br />

대응자금과<br />

1억 달러를 상회하였다. 이중 약 4천5백만 달러<br />

예산은<br />

12.8백만 달러 + 대응자금 12.8백만 달러)가 연<br />

(연방자금<br />

배분되었는데, 주 SG연구사업에 34백만 달러<br />

구사업에<br />

주립대학과 협력하에서 상기 4분야의 사업을 수행<br />

함한<br />

모든 SSG 주관대학은 국가 핵심 이슈(National<br />

한다.


Issues)를 고려한 당해 주(State)의 다양한 연안·<br />

Priority<br />

다루어 나가는 데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수<br />

해양문제를<br />

행한다.<br />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연계한 학제연구<br />

연구사업은<br />

적정한 연구비 지원하에서 이루어지며, 연구 결과<br />

이고,<br />

자원 <strong>및</strong> 생태계의 지속성을 촉진하고 생태계에 기반<br />

는<br />

관리 <strong>및</strong> 개발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된다.<br />

문의<br />

주(State) 단위의 해양·연안 관리자, 자원 이용자,<br />

SSG는<br />

과학자 등의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하여 연안·해<br />

교육자,<br />

생태계와 이용에 대한 응용 과학기술의 이해를 진작<br />

양<br />

SSG 교육사업의 목적은 다양한 해양 교육기회에 접근<br />

72 Park, S. K. and Kim, Y. J.<br />

수 있는 최상의 연구를 경쟁 베이스로 지원하고 평<br />

시킬<br />

가한다.<br />

한 해양환경 <strong>및</strong> 해양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공공·민간부<br />

Fig. 4. URI SG organization.<br />

Source: seagrant.gso.uri.edu/about/stratplan06.pdf.


따라서 SSG의 사명은 연구와 대민사업 간 혁신적 연<br />

다.<br />

만들어가기 위하여 대학원 <strong>및</strong> 학부 학생들에게 필<br />

계성을<br />

지도는 SG 프로그램의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서 이<br />

있다.<br />

다시 두 가지 영역(예: 지속 가능한 연안 지역사회 <strong>및</strong><br />

는<br />

지속 가능한 수산업 지도 분야)으로 나누어진<br />

생태계와<br />

법률 서비스의 목적은 해양 관련법을 전공하는 학생들<br />

다.<br />

up and top down)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시민들<br />

향(bottom<br />

하여금 해양 <strong>및</strong> 환경 이슈에 관한 보다 폭넓은 지식을<br />

로<br />

관장 하에 대학SG사업단을 설치·운영하고 있다.<br />

장의<br />

직간접으로 주관 대학과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으<br />

SSG는<br />

로드아일랜드대학(URI)의 경우 총장, 교무처장, 대학<br />

며,<br />

원로 자문위원회, 해양관련 학과 <strong>및</strong> 연구소<br />

자문위원회,<br />

대학SG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br />

등이<br />

주관대학은 (i) 재정적, 인적, 행정적 지원을 통해<br />

SSG<br />

관리<br />

SG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의회의 관장하에 있으<br />

미국의<br />

의회는 NSGO의 예산과 사업을 입법명령(legislative<br />

며,<br />

19) 5년 마다 작성되는 국가 시그랜트 전략계획<br />

관장하며,<br />

SSG 전략계획 수립과 운영 <strong>및</strong> 관리에 중요한 지침<br />

은<br />

lines)을 제공한다.<br />

(guide<br />

NSGO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하지만, 각<br />

SSG는<br />

교육(해양수산과학 분야의 전문성), SG에 대한 지식<br />

험,<br />

중요한 자격요건이다. 특히 SSG단장의 자격조건은<br />

등이<br />

경우, 지역 SG대학 사업단 단장은 주관대학 교수가 겸직하고 있고, SG연구 참여도 반드시 당해 지역 대학교수로 한<br />

18)우리나라의<br />

있으며, 지역 SG대학 사업단 직원들은 SG연구에 전혀 참여할 수 없다.<br />

정되어<br />

SGCP는 2개의 컨소시엄(Consortium Sea Grant College Programs)과 30개의 개별 연안 주 시그랜트(State Sea Grant College<br />

19)미국<br />

SSGP)로 구성되어 있다. 컨소시엄에는 세 개 이상의 대학이 참여하며, Mississippi-Alabama SG컨소시엄(Auburn<br />

Programs:<br />

South Alabama)와 South Carolina SG컨소시엄(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lemson University, S.C. Department of Natural<br />

of<br />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ollege of Charleston, South Carolina State University, Coastal Carolina<br />

Resources,<br />

Citadel(Military College of South Carolina))이 있다. 또한 최근(2007년) 일곱 개의 SG가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컨소<br />

University,<br />

즉 5대호 대민·연구사업 컨소시엄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컨소시엄 SG는 주정부 기관(State Agency)으로 설치되어 있다.<br />

시엄,<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73<br />

수 있는 해양·연안환경 지도자, 자원관리자, 해양·연<br />

할<br />

보다 잘 이해하는 일반인을 육성하는 것이며, 대<br />

안환경을<br />

<strong>및</strong> 연구기관으로 하여금 그런 교육기회를 제공하도록<br />

학<br />

해양·연안 환경의 평생학습 원칙에 기여하는 데 있<br />

하고<br />

SSG에 참여하고, (ii) SSG 직원의 보수와 신<br />

적극적으로<br />

주관대학의 규정을 따르고, (iii) SSG의 단장직은 많<br />

분은<br />

새로운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기회 개발을 선도하는<br />

요한<br />

것이다.<br />

경우 대학교수를 포함하여 개방되어 있고, (iv) SSG에<br />

은<br />

연구자들도(행정직 제외) SG연구에 참여한다. 18)<br />

근무하는<br />

3개 영역, 즉 지도(extension), 커뮤니케이션<br />

대민사업은<br />

법률 서비스(legal service)로 구성되어<br />

(communications),<br />

많은 SSG의 경우, 대학교수가 SSG단장을 겸직하<br />

미국의<br />

않고 있는데, 그 이유는 대학 당국이 SSG단장 겸직교<br />

지<br />

교육·연구 업무를 덜어주지 않는 한, SSG의 운영에<br />

수의<br />

수 있고 따라서 SSG사업 수행과 발전에 제약요<br />

소극적일<br />

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br />

교육·훈련시키고, 연안 이용자와 정책 입안자들에게<br />

을<br />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해양·연안에 영향을 미<br />

적시에<br />

법률적 이슈의 연구·분석을 통해 보다 실천적인 법<br />

치는<br />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은 쌍방<br />

률과<br />

의해 통제한다. NSGO는 32개(2개의 컨소시<br />

mandates)에<br />

SG와 30개의 개별 SSG)에 달하는 SG 대학사업단을<br />

엄<br />

수 있도록 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환경<br />

지닐<br />

정책결정에 그들의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br />

등의<br />

프로그램 관리는 연안지역사회, 연안유역, 연<br />

마지막으로<br />

니즈(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해 과학적 정보와<br />

안바다의<br />

운영과 관리는 당해 주의 특성을 감안하여 독자적<br />

SSG의<br />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관대학 자문위원회와 원로자문<br />

으로<br />

창출하는 연구, 교육, 대민사업 프로그램 관리를<br />

지식을<br />

국가, 지역, 지방의 리더쉽을 육성하는 데 있다. SSG<br />

통해<br />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자문위<br />

위원회가<br />

SSG단장의 임면결정에 관여하며, NSGO는 SSG<br />

원회는<br />

우수성은 지속적 조직발전과 자체혁신의 관리철학에<br />

의<br />

SSG의 사명은 경쟁적 연구풍토를 조성하고, 철저한<br />

있다.<br />

의사결정을 전적으로 존중한다. SSG단장의<br />

주관대학의<br />

각 SSG의 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경<br />

자격은<br />

전문가 검토를 수행하고, 대학과 주 정부를 대<br />

연구계획서<br />

그랜트(grants)와 프로그램(programs)을 관리하고,<br />

신해서<br />

기반을 둔 연안관리 시스템을 개발·적용하고, 투<br />

과학에<br />

공정한 SG행정을 수행하는 것이다.<br />

명하고<br />

한정되지 않으며, 대학교수가 아닐 경우 적<br />

대학교수직에<br />

1-5년의 SG 근무경험, 연구경험, 대민·교육사업 경<br />

절한<br />

기반으로 하는 국가 SG의 역할과 기능을 효과<br />

대학을<br />

수행하기 위하여 SSG는 일반적으로 주관대학 총<br />

적으로<br />

등이 있으면 누구나 SSG단장직에 응모할 수 있는 자<br />

험<br />

주어진다. 격이<br />

연구 프로젝트 관리는 이원화되어 있는데, 국가 우선과<br />

University, Dauphin Island Sea Lab, Jackson State University,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Alabama, The<br />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The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and the University


74 Park, S. K. and Kim, Y. J.<br />

Fig. 5. Ontogeny of program investment & management (URI).<br />

Source : seagrant.gso.uri.edu/about/stratplan06.pdf.


5. USSGCP와 KSGP의 비교<br />

조직, 행정, 관리 상황을 검토·평가한다. SSG<br />

(NSGO)의<br />

대학 자체 규정에 따라 SSG 단장 <strong>및</strong> 직원들<br />

주관대학은<br />

따라 KIMST에서 담당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SG<br />

침」에<br />

권역 SG운영규정은 SG의 조직, 업무, 단장 <strong>및</strong> 직<br />

규칙과<br />

법·제도적 여건이 완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권역 SG<br />

라서<br />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KSGP <strong>및</strong> 권역 SG<br />

대학사업단이<br />

Grant College Program, SGCP)을 총괄하는<br />

업단(Sea<br />

즉 국( 局 ) 단위의 전담부서를 두고 있다. SGCP 역<br />

NSGO,<br />

대학자문위원회, 대학원로자문위원회가 URI<br />

학원장,<br />

의사결정에 직간접으로 관여하며, 지속가능한 수<br />

SGCP의<br />

해양교육 전문가, 340명의 지도 스탭(extension staffs)<br />

의<br />

전문가, 90명의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를 확보하고 있다.<br />

<strong>및</strong><br />

규모의 인력(해양정책본부 해양개발과 사무관 1명,<br />

작은<br />

1명)으로 3개 권역 SG사업단을 관리해왔으며, 최<br />

실무자<br />

미국 SG의 국가 우선 분야(National Priority Areas)는 수계( 水 系 ) 해적생물종, 수산지도(Fisheries Extension), 유해해조류, 굴·<br />

20)현재<br />

등 3개 분야이며, SSG의 핵심주제(core themes)는 양식, 해양생명공학, 연안 지역사회 <strong>및</strong> 경제, 디지털 해양, 생태계 <strong>및</strong><br />

패류질병<br />

SSG의 단장직은 매력적인 포지션(position)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교육, 커뮤니케이션, 지도, 법 관련 전문가들은 SSG에 근<br />

21)미국의<br />

것에 대해 높은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br />

무하는<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75<br />

연구제안서 공모에서 심사·선·결과평가에 이르기<br />

제는<br />

모든 과정을 NSGO가 직접 관장하는 반면, 주 단위<br />

까지<br />

원 확보를 제약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br />

프로젝트는 SSG 대학사업단이 검토·평가 시스템하<br />

연구<br />

모든 과정과 결과를 관리한다. 20) 우리나라도 미국<br />

에서<br />

<strong>및</strong> 운영 조직<br />

경우, 상무성 산하 NOAA에 32개의 SG대학 사<br />

미국의<br />

SSG와 유사한 SG연구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br />

주관대학과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로<br />

시<br />

경우, 대학총장, 교무처장, 해양대<br />

드아일랜드대학(URI)의<br />

기반 제도적<br />

SG법에 근거한 의회 입법명령(legislative<br />

USSGCP는<br />

의해 관리·운영된다. 의회는 SG에 대한 정<br />

mandates)에<br />

평가결과를 토대로 SG를 재승인(reauthorization)<br />

기적인<br />

분야는 수산·축산·수의학과 학과장이, 대민·교<br />

산지도<br />

연안자원센터 소장이 관장하고, 커뮤니케이<br />

육분야는<br />

재승인의 결과는 SG예산의 증감으로 나타난다. 또<br />

하며<br />

연방자문위원회법(Federal Advisory Commitee Act:<br />

한<br />

로드아일랜드 시그랜트<br />

션·프로그램관리·재정·행정은<br />

단장의 직할하에 있다. 그리고 법률 서비스 부문<br />

(RISG)<br />

따라 상무장관이 임명하는 국가 SG검토 패널<br />

FACA)에<br />

Sea Grant Review Panel)은 국가 SG 사무국<br />

(National<br />

로저 윌리엄스대학(Roger Williams University)의 법과<br />

은<br />

관장한다. 그러나 SGCP의 조직규모와 업무분장<br />

대학장이<br />

기능은 획일적이지 않고 개별 SG 주관대학에 따<br />

그리고<br />

다르다. 특히 미국 SG는 교육·대민사업 분야에 28명<br />

라<br />

임면과 신분 그리고 처우를 정하고 있다. USSGCP는<br />

의<br />

업무분장, 안정된 신분, 대학교직원과 같은 처우<br />

분명한<br />

관한 제도적 장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SSG 직원<br />

등에<br />

비전과 보람과 긍지를 가지고 자신들의 업무에 종<br />

들은<br />

경우, 해양수산부는 KSGP를 총괄하지만<br />

우리나라의<br />

내에서의 KSGP 위상은 극히 낮다. 즉, KSGP<br />

해양수산부<br />

21) 사한다.<br />

KSGP는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33조(연구·개발<br />

반면,<br />

연간 총 예산은 20억 원에 불과하고 담당자도 2명에<br />

의<br />

않는다. 또한, 2007년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br />

지나지<br />

등)과 해양수산연구개발사업의처리등에관한규정 제<br />

사업<br />

구분)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에 근거<br />

4조(연구개발사업의<br />

거의 연구사업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KSGP는 해<br />

KSGP는<br />

관련 여타 연구사업과 다를 바가 없었다. 따라서<br />

양수산<br />

해양수산부 SG규칙에 따라 각 지역 SG대학사업단은<br />

한<br />

통해 연구개발사업 중심의 자체 운영규정<br />

운영위원회를<br />

작은 규모로 유지되었고, 프로그램 관리와 행정업<br />

예산은<br />

많은 인력도 필요하지 않았다. 그 결과 현재까지도<br />

무에<br />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한편 SG대학사업단 사업 <strong>및</strong> 예<br />

을<br />

「해양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strong>및</strong> 지<br />

산관리는<br />

8월) 그 관리가 KIMST에 위임되었다. 권역<br />

근(2007년<br />

사무처(국) 또한 취약한 인력자원으로 운영<br />

SG대학사업단<br />

위상·신분·처우에 관한 사항, 지방자치단체와 주<br />

원의<br />

임무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따<br />

관대학의<br />

있다. 그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스탭핑이 잘 되어 있는<br />

되고<br />

SG대학사업단의 경우에도, 단장 외에 불과 4명의 직<br />

영남<br />

1명, 연구담당 1명, 대민·교육 담당 1명, 행<br />

원(사무처장<br />

담당 1명)이 경북·경남·부산을 커버하는 모든 SG업<br />

정<br />

무를 수행하고 있다.<br />

로드맵이 부재하며 SG대학사업단 직원들<br />

대학사업단의<br />

신분과 처우도 법·제도적으로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br />

의<br />

않다. 이런 상황이 바로 KSGP <strong>및</strong> 권역 SG대학사업단<br />

지<br />

발전을 더디게 하고 SG대학 사업단의 유능한 인력자<br />

의<br />

사업·예산·관리<br />

NSGO는 32개 SGCP에 정부 지원금(government<br />

미국<br />

서식지, 수산업, 해양과학교육, 식품과학 <strong>및</strong> 기술, 연안도시 등 9개 분야로 설정되어 있다.


제공하고 연방지원금과 주정부 <strong>및</strong> 대학 대응자금<br />

grants)을<br />

government & univeristy matching funds)을 관리<br />

(state<br />

행정비용은 실행예산의 5%로 제한하고 있다. 또<br />

하며,<br />

사업 평가과정을 통해 사업평가를 감독한다. 국가전<br />

한,<br />

관리한다.<br />

미국 연방정부 총 SG예산은 약 9천5백만 달러<br />

2006년<br />

9백50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대응자금과 패스스루<br />

(약<br />

자금을 합하면 총 예산은 1억 달러를 상회<br />

(pass-through)<br />

이중 약 4천5백만 달러가 연구사업에 배분되었<br />

하였다.<br />

주 SG연구사업에 34백만 달러, 국가 경쟁 베이스<br />

는데,<br />

2.4백만 달러, 패스스루 어워드(pass-through<br />

연구사업에<br />

연구사업에 8.3백만 달러가 지원되었다. 이중 국<br />

awards)<br />

Oyster Initiative), 특별 연구지원사업(fellowship<br />

구상(Gulf<br />

등이 포함된다.<br />

programs)<br />

PATs)이 성과평가를 담당하는 데, 네 가지의 성과<br />

Teams:<br />

프로그램 영향 50%, 기획 10%, 관리 20%,<br />

벤치마크(즉,<br />

개별 SGCP의 전략계획과 연구·교육·대민<br />

이루어진다.<br />

과제의 검토 <strong>및</strong> 선정 그리고 투자산출물·결과·영향<br />

사업<br />

프로그램 투자 <strong>및</strong> 관리 시스템 참조).<br />

SG의<br />

KSGP의 경우 총 사업예산이 약 20억원에 불과<br />

한편,<br />

해양수산부 자체의 SG에 대한 인식도 매우 낮고<br />

하며,<br />

나머지 해양수산정책으로 인식), SG관리 조직과 인<br />

(예:<br />

미국 SG는 정부, 대학, 산업계 등 파트너 기관 <strong>및</strong> 과<br />

다.<br />

일반국민 사이에 인터페이스 또는 가교 역할을 담<br />

학자,<br />

있다. 기여하고<br />

SG의 설치배경과 발전과정이 우리나라의 SG와는<br />

미국<br />

공통점은 미국도 SG를 설치할 당시 1960년대<br />

다르지만,<br />

해양과 해양산업 그리고 해양정책의 중요성에 대한<br />

중반<br />

과학자, 일반국민 사이에 조직화된 인터페이스가 절실<br />

계,<br />

요청되었다는 것이다. 사실, 오늘날 미국의 대학기반<br />

히<br />

SG법, SG대학사업단법 등)와 입법명령과 체계적<br />

라(예:<br />

필요하며, 예산이 제도적으로 확보될 수 있어야 하<br />

조직이<br />

해양관련 이해관계자 사이에 네트워크(network)가 체<br />

고,<br />

구축되어야 한다.<br />

계적으로<br />

동해·<strong>서해</strong>·남해·제주해역의 특성과 연안지역<br />

또한,<br />

섬의 지리적 특성 그리고 컨소시엄대학·지자체간 연<br />

<strong>및</strong><br />

76 Park, S. K. and Kim, Y. J.<br />

결론 <strong>및</strong> 시사점<br />

6.<br />

SG는 SG법과 입법명령(legislative mandates)<br />

미국의<br />

의해서 운영되고 의회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기 때<br />

에<br />

비전과 사명과 목표 그리고 사업영역이 명확하고,<br />

문에<br />

대하여는 경쟁 베이스의 연구비 지원을 관리하<br />

략투자에<br />

크나우스(Knauss) <strong>및</strong> 기타 특별연구지원 프로그램을<br />

고<br />

예산도 제도적으로 확보된다. 미국 SG는 연방정<br />

조직과<br />

연안지역·지방의 역량강화와 해양수산 관련 연구<br />

부가<br />

정보 서비스를 통해 연안 주, 지역, 지방, 대학에 관여<br />

<strong>및</strong><br />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br />

하는<br />

과학을 해양에 적용하고 해양정책에 대한 국<br />

당함으로써<br />

지지기반을 확대하고, 연안지역 <strong>및</strong> 국가 경제발전에<br />

민적<br />

경쟁 베이스 연구분야에는 환경생물공학, 수산생물 서<br />

가<br />

수생해적생물, 양식, 기술, 굴 질병, 걸프 굴양식 개발<br />

식처,<br />

인식이 매우 낮았고 그로 말미암아 적극적인 해양<br />

사회적<br />

추진이 어려웠기 때문에 바다, 정부, 대학, 산업<br />

정책의<br />

성과 베이스(performance base)로 4년<br />

USSGCP평가는<br />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평가팀(Program Assessment<br />

마다<br />

해양정책에 대한 국민적 지지기반 확대와<br />

SG프로그램은<br />

정책추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br />

강력한<br />

연계 20%)에 의해 개별 SGCP에 대한 등급이 매<br />

이용자<br />

이 등급에 의해 성과 베이스의 차등 예산지원이<br />

겨진다.<br />

국가 시그랜트대학프로그램의 발전과정에서 보<br />

미국의<br />

우리의 바다와 거기에 부존하는 자원 그리고 연안지<br />

듯이,<br />

국가 경제발전과 우리 삶의 향상에 직결되어 있다고<br />

역이<br />

유치원생으로부터 고등학생 그리고 대학생 <strong>및</strong><br />

하더라도<br />

외부 자문위원회, 내부 자원위원회, 외부 연구계<br />

평가에는<br />

검토패널 등이 관여한다(Fig. 4의 로드아일랜드(RI)<br />

획서<br />

성인에 이르기까지 바다 <strong>및</strong> 해양산업에 대한 사회구<br />

일반<br />

인식과 이해와 경험(또는 접촉)이 부족하고, 중<br />

성원들의<br />

<strong>및</strong> 연구계·산업계·비정부기<br />

앙정부·지방자치단체·학계<br />

사이에 네트워킹(networking)이 취약하면, 우리<br />

구(NGO)<br />

바다와 연안의 거대한 잠재력을 실현하고 해양과학과<br />

는<br />

발전시켜 나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바로 여기<br />

해양산업을<br />

또한 취약하다. 또한, 권역 SG대학사업단의 관리나<br />

력<br />

관계도 매우 느슨한 상태(예: 2007년 8<br />

대학사업단과의<br />

바다와 국민 간 인터페이스로서 국가 차원의 SG가 요<br />

에<br />

이유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제도적 인프<br />

청되는<br />

이전까지 권역 SG에 대한 평가 부재 등)에 있다. 따<br />

월<br />

사실상 권역 SG대학사업단에 대한 체계적 관리 <strong>및</strong><br />

라서<br />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 있다. 더욱이<br />

조정이<br />

그에 따른 입법명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br />

KSGP법과<br />

역할과 범위가 명확하지 않으며 예산도 제도적<br />

KSGP의<br />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2005년 설립된 지 3<br />

으로<br />

경과한 영남SG는 상대적으로 잘 조직화 되어있고 업<br />

년이<br />

대민, 교육, 연구, 행정)도 비교적 세분화되어<br />

무분장(예:<br />

반면,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설립된 호남과 중부<br />

있는<br />

아직도 기본적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만<br />

대학사업단은<br />

고려하여 기존 권역 SG를 확대·재편할 필요가 있<br />

계성을<br />

예컨대, 현재 중부 SG 컨소시엄 대학(인하대학교와 강<br />

다.<br />

큼 체제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br />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고 해역의 특성이 다<br />

릉대학교)은<br />

컨소시엄 참여 대학이 있는 지자체가 다르기 때문에<br />

르고


사 사<br />

본 논문을 수정 보완하는 데 유익한 의견을 주신<br />

먼저<br />

참고문헌<br />

1992. 엔트로피. 동아출판사. p. 15.<br />

김명자.<br />

조정희, 안재현. 2002. 해양한국발전 프로그램 장기<br />

김정봉,<br />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br />

발전전략<br />

마르틴, 한스 페터, 하랄트 슈만. 2003. 세계화의 덫: 민주주<br />

삶의 질에 대한 공격. 강수돌 역. 영림카디널, 서울.<br />

의와<br />

2001. 미국 대학 시그랜트 프로그램 <strong>및</strong> 한국 해양연<br />

윤구현.<br />

프리초프. 1998. 생명의 그물: 생물 시스템에 대한 새<br />

카프라,<br />

과학적 이해. 김용정, 김용광 역. 범양사, 서울.<br />

로운<br />

2007. 미래국가해양전략.<br />

해양수산부.<br />

1996. 해양행정제도 개선 방안.<br />

해양쇄신위원회.<br />

1986. 한국의 공해지도. 일월서각. 서울.<br />

한국공해문제연구소.<br />

p. 276<br />

다시 분산되어 바다와 국민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극도로 취약해지기 때문에 KSGP 시스템은 더욱 중요하고, 현<br />

22)해양수산정책은<br />

컨소시엄 형태의 3개 권역 SG대학사업단을 강원, 경기/인천, 충남/전북, 전남, 부산/경남, 경북, 제주 등 개별 연안 시·도로 확<br />

재<br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US Sea Grant Program 77<br />

대응자금 확보 <strong>및</strong> 지역 단위 바다·연안특성을 고<br />

협력적<br />

SG사업 추진이 용이하지 않다. 지역(시·도) 단위에<br />

려한<br />

발전에서 시그랜트가 갖는 의미에 대한 연구. 박사학<br />

구<br />

서울대학교. 106 p.<br />

위논문,<br />

해양수산·연안지역 정책을 강력하고 효율적으로 추진<br />

서<br />

현재의 3개 권역 SG대학사업단을 7개 이상의 개<br />

하려면<br />

연안 시·도 단위로 확대·재편할 필요가 있다. 22) 이런<br />

별<br />

인프라가 갖추어질 때, 해양수산 인터페이스로서 지역<br />

SG<br />

기반으로 하는 KSGP가 육성·발전될 수 있으며<br />

대학을<br />

생태환경 보존과 해양산업 발전 그리고 강력<br />

해양·연안<br />

해양정책 추진에 필수적인 국민적 지지기반을 확보할<br />

한<br />

있을 것이다. 수<br />

Carson, R. 1962. Silent Spring. Houghton Mifflin Company,<br />

Boston.<br />

Frankel, E.G. 1995. Ocean environmental management: A<br />

primer on the role of the oceans and how to maintain<br />

their contributions to life on earth. Prentice Hall PTR,<br />

New Jersey. p. 34.<br />

박사와 익명의 두 심사위원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br />

권석재<br />

또한, 본 논문 편집·게재 과정을 관리하는 데 애써주<br />

다.<br />

Spilhaus, A.F. 1964. Man in the sea. Science, 145(3636),<br />

993.<br />

The Independent World Commission on the Ocean. 1998.<br />

신 편집간사에게도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br />

The ocean, our fu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br />

Cambridge, England. p. 9-13.<br />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br />

1987. Our Common Future. p. 8.<br />

Received Jan. 16, 2008<br />

Accepted Feb. 4, 2008<br />

대·재편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 안산시 안산우체국 사서함 29<br />

(425-600)<br />

과학기술대학 해양환경과학부<br />

2한양대학교<br />

(426-791) 경기도 안산시 사 1동 1271<br />

Marine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br />

1<br />

P.O. Box 29, Seoul 425-600, Korea<br />

Ansan<br />

2 Major in Earth and Marine Sciences,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br />

: Hydroacoustic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spatiotemporal stability and distribution of<br />

Abstract<br />

fish aggregations in the coastal region to overcome som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thods such<br />

demersal<br />

net and divi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Baekeum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in January<br />

as<br />

The bottom depth in the study site ranges from 7 to 25 m. In order to outline aggregations of demersal<br />

2007.<br />

initial scanning using 200 kHz split-beam transducer was randomly conducted over the large area.<br />

fish<br />

detected fish aggregation in the specific region, intensive acoustic survey of irregular star pattern<br />

Having<br />

carried out along 14 transects across the area in question. The results of the acoustic survey show that<br />

was<br />

demersal fish aggregations are concentrated about 5 m from sea bottom having a slight slope and remain<br />

all<br />

with no spatial or temporal variations during acoustic survey. The hydroacoustic method used in this<br />

steady<br />

offers a new approach to understand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spatiotemporal stability, and<br />

study<br />

estimate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in coastal regions. Additionally, the number of individual<br />

biomass<br />

estimated from in situ acoustic target strength data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standing stock of<br />

fish<br />

가운데 연구 대상을 해양 생물로 한정시킨 수산 음<br />

적용<br />

Acoustics) 혹은 생물 음향학(Bioacoustics)<br />

향학(Fisheries<br />

최근에는 해초류 서식지 조사, 식물 플랑크톤 생태<br />

1992).<br />

연구 대상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Sabol et al.<br />

분야로<br />

Vol. 30(1):79-87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Article<br />

수산 음향 기법을 이용한 연안 저서 어군의 시·공간 분포 <strong>및</strong> 안정성 조사<br />

1 *·이창원1·조성호2·명정구1<br />

강돈혁<br />

해양자원연구본부<br />

1한국해양연구원<br />

Hydroacoustic Survey of Spatiotemporal Stability and Distribution of<br />

Demersal Fish Aggregations in the Coastal Region<br />

Donghyug Kang 1 *<br />

, Changwon Lee 1 , Sungho Cho 2 , and Jung-Goo Myoung 1<br />

Hanyang University, Ansan 426-791, Korea<br />

demersal fish aggregation.<br />

Key words : demersal fish, fisheries acoustics, irregular star pattern survey, spatiotemporal stability<br />

1. 서 론<br />

음향학은 해수 내에서 감쇠(attenuation)가 적은 수<br />

수중<br />

음파의 전달 특성을 이용하여 해양 물리, 해양 기상, 해<br />

중<br />

세분화 되었으며 이들 분야에서는 주로 동물 플랑크<br />

으로<br />

치어, 어류 등의 시·공간 분포, 자원량 추정 등 기존<br />

톤,<br />

생물 분야 <strong>및</strong> 국방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br />

양<br />

and Clay 1998). 해양에서 다양한 수중음향의<br />

(Medwin<br />

해양 생물학 분야에서 나타난 한계점을 상호 보완하는<br />

의<br />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MacLennan and Simmonds<br />

연구<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dhkang@kordi.re.kr


강 등 2006).<br />

1997;<br />

음향의 대상이 되는 해양 생물 가운데 주된 연구<br />

수산<br />

이를 위하여 1980년 이후 다양한 계량 어군탐지 시스<br />

다.<br />

이용하여 조사 해역에서 부어류 자원의 시·공간 분<br />

템을<br />

<strong>및</strong> 자원량을 조사하였다(Petitgas and Levenez 1996;<br />

포<br />

et al. 1998; Reid et al. 2000). 특히 일부 상업 어종<br />

Abad<br />

대해서는 대상 어류의 음향 표적강도(acoustic target<br />

에<br />

TS) 자료를 이용하여 자원량 예측 단계까지 발전<br />

strength,<br />

왔다(Steig and Iverson 1998; Ohshimo 2004).<br />

되어<br />

어군탐지 시스템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중층 어류<br />

계량<br />

이러한 이유는 저서 어류의 분포가 음향 탐지를 하<br />

1996).<br />

수심이 깊거나 혹은 분포 위치가 해저면 근처이므로<br />

기에<br />

구조 <strong>및</strong> 자원량 조사가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br />

시·공간<br />

2003). 다(NOAA<br />

있다. 하고<br />

이용한 자망 조사는 설치 조사 지역의 제한 요<br />

그물을<br />

어류의 회피 본능을 자극하는 두 가지 방법은 현재<br />

특히,<br />

가능한 효율적인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제한<br />

사용<br />

이러한 제한 요소는 분포 위치가 불규칙적이며, 특히<br />

다.<br />

하면서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저서 정착어<br />

성장을<br />

1). 이 지역은 해양수산부가 실시하고 있는 전남바<br />

다(Fig.<br />

해역 가운데 한 곳으로 2005년 이후 매년 대량의<br />

다목장<br />

1. Study area for acoustic survey of demersal fish<br />

Fig.<br />

The black circle indicates acoustic<br />

aggregation.<br />

area. The area is Baekeum bay, on the<br />

survey<br />

of Geumodo, Yeosu, Korea.<br />

southeast<br />

80 Kang, D. H. et al.<br />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방법의 적용이 필요한 상황<br />

한계를<br />

이다.<br />

해양 생물 자원 이용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어류<br />

대상은<br />

이 가운데 부어류(pelagic fish) 자원을 들 수 있<br />

자원이며,<br />

연구에서는 연안의 저서 어류 자원 조사에 사용되는<br />

본<br />

방법이 가지는 한계 요소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br />

기존의<br />

하나로 음향 조사 기법을 사용하였다. 즉, 음향 기<br />

방법의<br />

통하여 연안 저서 어류의 시·공간에 따른 군집의 안<br />

법을<br />

<strong>및</strong> 분포 특성 파악을 위해 기존의 부어류 자원량 조<br />

정성<br />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수산 음향 기법을 사용하<br />

사에<br />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br />

여<br />

2. 재료 <strong>및</strong> 방법<br />

집중되어 있는 반면 저서 어류에 대한 음향 자원 조사<br />

에<br />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Everson et al.<br />

는<br />

지역 <strong>및</strong> 현장 조사<br />

연구<br />

기법을 이용한 저서 어류의 시·공간 구조 <strong>및</strong> 어<br />

음향<br />

안정성 파악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여수시 남<br />

군의<br />

안도리 동쪽 해안인 백금만을 조사 지역으로 선정하였<br />

면<br />

shadow zone 영역에 포함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br />

음파의<br />

탐지가 가능한 수심에 저서 어류가 존재하거나 혹은<br />

음향<br />

방류하는 해역으로 연안 저서 어류가 분포하는 것<br />

어류를<br />

알려지고 있다(해양수산부 2007). 연구 지역의 수심<br />

으로<br />

부근이지만 사용 주파수의 고분해능으로 인해 해<br />

해저면<br />

분리가 가능한 조건에서는 연안 저서 어류에 대한<br />

저면과<br />

7~25 m의 수심 분포를 가지며 동쪽 <strong>및</strong> 남동쪽은 남해<br />

은<br />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지역은 육지로 둘러싸인 만<br />

외양과<br />

지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만의 동-서 방향으로는<br />

형태의<br />

경사를 이루며 모래로 이루어진 해저 특성을 가지<br />

완만한<br />

수심 50 m보다 얕은 연안 지역에 많은 수<br />

우리나라는<br />

인공 어초가 투입되어 있고 주요 대상 어종은 정착성<br />

의<br />

있으며, 남-북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를 형<br />

고<br />

있으며 북쪽으로는 암반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br />

성하고<br />

어종이다. 특히 이들 어종들은 <strong>계절</strong>적으로 동계 시기<br />

저서<br />

움직임이 적으며 특정 지역에서 어군을 형성하고 있<br />

에는<br />

2005). 1990년 후반부터 시작된 바다목장<br />

다(해양수산부<br />

사업 등에서 연안역 자원 조사를 위해 많은 양의 정착<br />

화<br />

저서 어류를 방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 조사를<br />

성<br />

위하여 대부분 자망이나 잠수 등의 방법을 이용<br />

실시하기<br />

있으며, 잠수 조사는 조사 심도 <strong>및</strong> 시간의 제약으로<br />

소가<br />

한정된 자료만을 제공하고 있다(해양수산부 2006).<br />

인해<br />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넓은 조사 지역에 대해 어<br />

요소를<br />

분포하지 않는 지역이 선정될 경우 자료의 심한 편<br />

류가<br />

가질 수 있다. 두 번째는 어류의 분포 수심이 깊을<br />

차를<br />

잠수를 통한 방법으로는 자료 산출 자체가 불가능하<br />

경우<br />

경우 자원량 추정 <strong>및</strong> 군집 구조 파악에 더 큰 오차를<br />

일<br />

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는 두 가지 방법은 종<br />

가지게<br />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서<br />

식별을<br />

군집 크기, 분포 특성 <strong>및</strong> 군집의 안정성 파악에는<br />

어군의


width)은 0.1 ms, 송신 간격(ping interval)은 0.5<br />

폭(pulse<br />

한편, 조사 시기의 현장 수온, 염분을 고려한 수중<br />

초이다.<br />

1488.87 m/s이므로 음향 조사에 사용된 200 kHz<br />

음속이<br />

개개 음향 산란체에 대한 수직 분해능은 약<br />

송·수파기의<br />

cm였다.<br />

7.4<br />

조사는 예인체(towed body)에 송·수파기를 설치<br />

현장<br />

200 kHz 송·수파기의 내부에는 기울기 <strong>및</strong> 방위각 측<br />

다.<br />

장치가 독립적으로 내장되어 있어 예인체의 안정성을<br />

정<br />

파악하면서(±7 o 이내) 예인 속도를 결정하였<br />

실시간으로<br />

예인 속도는 예인체의 안정성 정도와 예인체 주변에<br />

다.<br />

위치 정보를 위하여 GPS 보다 해상도가 높은 DGPS<br />

한<br />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매 1<br />

(Differential<br />

3. Acoustic transects and bathymetry to survey<br />

Fig.<br />

fish aggregations.<br />

demersal<br />

일반적인 어류의 음향 자원 조사에서 사용되는 정선<br />

후,<br />

다른 “스타 패턴 조사(star pattern survey)” 방법<br />

방법과는<br />

남-북 방향으로는 350 m, 동-서 방향으로는 245 m<br />

지르며<br />

면적에 대해 집중 조사를 실시하였다.<br />

의<br />

Acoustic Detection of Demersal Fish 81<br />

시기에 우리나라 남해 연안의 중층 부어류는 적정<br />

동계<br />

동중국해 혹은 남해 외양쪽으로 회유를 하고 정<br />

수온대인<br />

저층 어종만이 우점하는 생태학 특성을 보이고 있<br />

착성<br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이 저서 어류의 음향 탐지를 위<br />

다.<br />

조사였으므로 부어류의 음향 탐지 가능성을 배제시키<br />

한<br />

위하여 음향 조사는 동계 기간인 2007년 1월 18일<br />

기<br />

실시하였으며 이때 수온은 9.9 o C의 분포를<br />

09:00~12:30에<br />

보였다.<br />

시스템 <strong>및</strong> 음향 자료 수집<br />

음향<br />

조사에 사용된 음향 장비는 입력 변수 제어 <strong>및</strong> 음<br />

현장<br />

자료 송·수신을 유·무선으로 할 수 있는 통합 계량<br />

향<br />

시스템이다(BioSonics 2005; Fig. 2a). 음향 조사<br />

어군탐지<br />

앞서 송·수파기는 절대 보정구를 이용하여 보정을 실<br />

에<br />

저서 어류 탐지를 위해 분할 빔(split-beam) 방<br />

시하였다.<br />

어군에 대한 집중적인 음향 조사에 앞서 저서 어<br />

저서<br />

분포하는 위치를 찾기 위하여 전체 조사 지역에 걸<br />

류가<br />

사용하는 200 kHz 송·수파기를 사용하였으며 빔 폭<br />

식을<br />

6.6 o , 수신 신호의 최소 역치는 −130 dB, 송신 신호의<br />

은<br />

사전 음향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음향 조사를 통해<br />

쳐<br />

전체 해역에서 저층 어군이 존재하는 위치를 파악한<br />

만<br />

사용하였다(Josse et al. 1999; Doray et al. 2006). 이<br />

을<br />

방법은 (1) 한정된 지역에서의 집중 조사 (2) 어류의<br />

조사<br />

구조 파악 (3) 어군의 안정성 파악을 위해 최근에<br />

3차원<br />

방법이다. 탐지된 저서 어군의 주변에 대해 총<br />

시도되는<br />

후(Fig. 2b), 소형 선박의 측면에 고정한 후에 해수면으<br />

한<br />

약 0.5 m의 심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실시하였<br />

로부터<br />

정선에 대한 음향 조사를 실시하였다(Fig. 3). 총<br />

14개의<br />

거리는 약 4.3 mile이었으며, 어군 형성 주변을 가로<br />

조사<br />

기포의 영향을 고려하여 3~4 노트로 일정하게<br />

형성되는<br />

조사 지역이 좁은 만이므로 음향 자료의 정확<br />

유지하였다.<br />

자료 처리 음향<br />

조사를 통해 개개 어류의 음향 특성을 나타내는<br />

음향<br />

음향 표적강도(in-situ TS, dB)와 어군 전체의 음향<br />

현장<br />

정보를 제공하는 체적 후방산란 강도(volume<br />

특성<br />

초 간격으로 음향 자료와 함께 위치 정보를 저장하였다.<br />

backscattering strength, S v , dB) 자료를 위치 자료와 함께<br />

Fig. 2. Embedded acoustic system (a) & towed body (b) to be installed split beam transducer.


저장하였다.<br />

조사를 통해 저장된 현장 TS는 음파에 탐지된 개<br />

음향<br />

각각의 송신 음에 대해 탐지된 어류의 음향 표적강도<br />

다.<br />

수신된 개개 어류의 탐지 수심, 시간 <strong>및</strong> 위치 정<br />

자료에는<br />

TS 값, 빔 축에 대한 어류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으<br />

보,<br />

이들 자료로부터 조사 지역에서 스타 패턴 조사(star<br />

며,<br />

survey)에 따른 개개 어류의 수직 분포 특성과 탐<br />

pattern<br />

어군의 개체수를 파악하였다. 이때 탐지된 어류의 개<br />

지된<br />

모든 수 층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였으며, 200 kHz<br />

체수는<br />

대한 저서 어류의 TS-길이 관계식으로부터 −58 dB 보<br />

에<br />

개개 음파에 대한 수 층 전체의 어군 분포 특성은<br />

한편,<br />

체적 후방산란 강도를 나타내는 S v 자료를 이용하였<br />

층별<br />

이러한 S v 자료로부터 집중 조사 지역에서 실시한 각<br />

다.<br />

어군의 시·공간 분포 특성과 어군의 안정성을<br />

정선에서<br />

본 연구의 목적이 음향을 이용한 저서 어류의<br />

표시하였다.<br />

파악임을 고려하여 수신된 음향 자료 가운데 해저<br />

특성<br />

예비 음향 조사를 통해 탐지된 저서 어류의 분포 지역<br />

다.<br />

집중적인 음향 조사를 위해 14개의 음향 정선에 대<br />

에서<br />

4. Example echogram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along transect 1. The green line in the echogram indicates<br />

Fig.<br />

S v layer between bottom and above 5 m from bottom.<br />

integrated<br />

82 Kang, D. H. et al.<br />

어류의 시·공간 분포 특성을 알아보았다.<br />

저서<br />

3. 결 과<br />

어류에 의한 음향 산란 특성을 나타낸다. 앞에서 기술<br />

개<br />

대로 본 연구에 사용된 음향 시스템의 수직 분해능은<br />

한<br />

7.4 cm로 개개 어류간 간격이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br />

약<br />

때 개개 어류의 현장 음향 표적강도 값을 산출하게 된<br />

할<br />

지역에 서식하는 저서 어류의 시·공간 분포 <strong>및</strong> 어<br />

연안<br />

안정성 파악을 위하여 음향 조사 기법을 사용하였<br />

군의<br />

불규칙 스타 패턴(irregular star pattern) 방법을 이용하<br />

해<br />

였다.<br />

어류 군집의 수직 <strong>및</strong> 공간 분포<br />

저서<br />

지역은 북쪽 지역에 수심 6.5 m의 능선이 형성되<br />

조사<br />

가장 얕은 수심을 보이고 있으며, 동-서-남쪽 세 방향<br />

어<br />

수심이 증가하는 해저 지형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br />

으로<br />

작은 TS 값은 5cm 보다 작은 소형 어류이므로 제외시<br />

다<br />

and Hwang 2003).<br />

켰다(Kang<br />

남쪽으로는 수심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사면 이후에는<br />

히<br />

지역 끝까지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최대<br />

조사<br />

약 23 m로 조사 지역의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었<br />

수심은<br />

3). 다(Fig.<br />

수직 분포는 집중 조사 지역 전체에서 수심<br />

어군의<br />

m 부근의 해저면 근처에 강하게 분포하는 특성을 나타<br />

20<br />

있었다(Fig. 4). 일반적으로 −50 dB 이상의 S v 값은<br />

내고<br />

음향 특성을 나타내므로 본 연구에서 탐지된 최대<br />

어류의<br />

면-해저면 위 5m 사이의 해저면 부근 자료만을 이용하여


dB의 S v 값은 해저면에 강한 저층 어군이 분포함을<br />

−35<br />

있다. 반면 표층과 중층 사이에는 어군 신호가<br />

보여주고<br />

5. Vertical distribution of individual demersal fish<br />

Fig.<br />

in situ acoustic target strength data.<br />

using<br />

6. Spatial distribution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br />

Fig.<br />

irregular star pattern survey. The S v data<br />

using<br />

averaged with 0.1 n mile between bottom<br />

were<br />

above 5 m from bottom.<br />

and<br />

dB 이상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었다. 연구 지역에서<br />

−50<br />

집중 음향 조사에 의한 저서 어군은 북쪽의 경사<br />

실시한<br />

음향을 이용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어군을 탐지한 후,<br />

서<br />

지역에서 집중적인 음향 조사를 실시하는 본 연<br />

탐지된<br />

어류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01:40이 지난 11:30부터<br />

저층<br />

집중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8개의 음향 정선에<br />

12:30까지<br />

따른 어군 분포는 최초 발견된 시점에서 02:40<br />

시간에<br />

지난 12:30분 까지 해저면 위 5m 부근에서 어군 분<br />

분이<br />

Acoustic Detection of Demersal Fish 83<br />

특성을 파악하였다(Fig. 6). S v 값은 어군이 약한 지<br />

분포<br />

−60 dB 정도, 강한 어군이 존재하는 곳에서는<br />

역에서는<br />

탐지되지 않아 해저면 부근의 고밀도 어군과 큰 대<br />

전혀<br />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봄-가을 시기 동안 표층<br />

조를<br />

중층에 분포하는 경향이 강한 <strong>계절</strong> 회유어의 특성을<br />

<strong>및</strong><br />

동계 시기에 해저면 부근에서 탐지된 이러한<br />

고려한다면<br />

지역보다는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과 완만한 경사진<br />

면<br />

강하게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특히 완만한<br />

사면에서<br />

정착성이 큰 저서 어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br />

어군은<br />

분포 특성은 전체 음향 정선에서 관측된 개개 어류<br />

수직<br />

시작되는 부분에서 강한 어군 분포를 형성하고<br />

경사면이<br />

있었다.<br />

음향 산란 신호인 현장 TS 자료에서 뚜렷하게 보여주<br />

의<br />

있다(Fig. 5). 대부분의 개개 어류는 수심 13~15 m와<br />

고<br />

밀집도가 강한 연안 저서 어류의 수직 <strong>및</strong> 시·공<br />

분포<br />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광범위한<br />

간<br />

사이에서 집중적으로 탐지되고 있으며, 탐지 위치<br />

해저면<br />

급격한 경사면의 끝 지점에서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된<br />

는<br />

지역에 분포하는 부어류의 분포 <strong>및</strong> 자원량 추정에<br />

조사<br />

적용하고 있는 음향 조사 기법을 사용하였다.<br />

다양하게<br />

골고루 분포하고 있다. 한편, 조사 지역에서 저<br />

지점까지<br />

어군은 해저면으로부터 2.5~7.2 m의 상층부에 분포하<br />

서<br />

연안 어류 자원 조사에 적용하고 있는 그물<br />

일반적으로<br />

잠수 조사 방법으로는 서식처 특성에 따라 시·공<br />

이나<br />

대부분은 5m 이내의 수 층에서 강한 음향 강도를<br />

였으며<br />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포 어군<br />

가지며<br />

분포의 불규칙성이 큰 저서 어류의 자원량 추정 <strong>및</strong><br />

간<br />

특성 파악에 큰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br />

분포<br />

높이는 3~7 m 사이의 분포를 보이며 저서 어류의 분포<br />

의<br />

보여주고 있었다.<br />

특성을<br />

위 5m 수 층 사이에서 얻어진 S v 자료<br />

해저면~해저면<br />

0.1 n mile 간격으로 표시하여 저서 어류의 시·공간<br />

를<br />

방법은 연안 저서 어류의 시·공간 구조 파악 <strong>및</strong> 자<br />

구의<br />

평가 측면에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br />

원량<br />

것이다.<br />

어군의 안정성 저서<br />

어군의 최초 탐지는 09:50분 경이었으며 위치는<br />

저서<br />

음향 조사 지역의 북쪽 부근이었다. 이때 탐지된 저<br />

집중<br />

어군의 시간에 따른 분포의 안정성 파악을 위하여 근<br />

서<br />

지역에서 14개의 정선에 대해 집중적인 음향 조사를<br />

처<br />

이 가운데 5개의 동-서 방향 정선과 3개의<br />

실시하였다.<br />

방향 정선을 분리하여 저층 부근의 S v 값으로부터<br />

남-북<br />

따른 저서 어군 군집의 <strong>변화</strong> 양상을 알아보았다.<br />

시간에<br />

회유 어류는 한 지점에 일정 시간 동안 체<br />

일반적으로<br />

않고 다양한 공간 이동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저<br />

류하지<br />

어류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 이동을 하는 특성을 가<br />

서<br />

있다. 따라서 본 음향 조사에서 최초 탐지된 어군이<br />

지고<br />

저층 부근의 저서 어류는 15~20 m 수심 대에서 골고<br />

서<br />

분포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Fig. 7). 조사 지역의<br />

루<br />

위치한 정선 3, 4번에서 상대적으로 분포 강도가<br />

남쪽에<br />

뿐 전체적으로 강한 어군을 유지하고 있었다.<br />

약할<br />

일정하게 유지되어 본 연구에서 탐지된 저층 어군은<br />

포가<br />

어군 형성임을 보여주고 있다. 해저면에서 해저면<br />

안정된<br />

5 m 수 층까지 탐지된 저서 어군의 평균 S v 값은 3번<br />

위<br />

4번 정선에서 −55 dB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뿐<br />


7. Time series distributions of demersal fish aggregations between 09:59 AM and 12:20 AM along north - south<br />

Fig.<br />

east - west direction.<br />

and<br />

S v Mean<br />

(dB)<br />

체계적인 평행 정선(systematic parallel transect),<br />

추어<br />

평행 정선(random parallel transect) <strong>및</strong> 체계적인<br />

불규칙<br />

정선(systematic zig-zag transect) 방식을 선택<br />

지그재그<br />

and Simmonds 1992). 현재 사용되고 있<br />

한다(MacLennan<br />

84 Kang, D. H. et al.<br />

Table 1. Information of mean S v , mean height and mean depth with time series<br />

Time<br />

(hh:mm:ss)<br />

height<br />

Mean<br />

(m)<br />

depth<br />

Mean<br />

(m)<br />

volume<br />

Beam 3 ) (m<br />

Transect<br />

Direction<br />

1 09:59:20 - 10:02:21 −50.2 4.96 17.8 4,993<br />

2 11:49:30 - 11:51:00 −50.4 4.98 16.9 2,258<br />

3 11:31:57 - 11:36:46 −55.4 4.99 17.1 7,587<br />

E-W<br />

4 11:37:50 - 11:39:23 −55.6 4.97 18.8 2,857<br />

5 12:17:45 - 12:20:01 −50.3 5.01 16.6 3,317<br />

6 11:51:30 - 11:53:16 −50.2 5.07 17.2 2,681<br />

N-S<br />

7 11:44:04 - 11:45:45 −50.3 5.04 17.7 2,807<br />

8 11:40:00 - 11:42:22 −52.7 5.03 17.5 4,046<br />

정선에서 −50.2~ −52.7 dB의 안정된 값을 보여주고<br />

6개<br />

분포하는 평균 수심은 16.6~18.8 m였다(Table<br />

있었으며,<br />

4. 고 찰<br />

1).<br />

어군의 안정성 파악을 위한 어구나 잠수를 이<br />

분포하는<br />

방법은 서식처에 대해 외부 혼란을 일으키는 어구<br />

용하는<br />

음향 자원 조사에서 사용되는 정선 방식은<br />

일반적인<br />

해역의 지형, 수심 <strong>및</strong> 대상 어류의 생태 특성에 맞<br />

조사<br />

<strong>및</strong> 회수 작업과 직접 다이빙에 의한 어류의 회피 본<br />

설치<br />

의해 파악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br />

능에<br />

본 음향 조사에서 사용한 조사 기법은 서식처에 대한<br />

한<br />

혼란을 최소화하며 넓은 공간에 걸쳐 빠른 시간 내<br />

외부<br />

에 반복 조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것이다.<br />

계량 어군탐지 시스템은 좁은 빔 폭 때문에 대상 해역<br />

는<br />

조사선이 지나는 좁은 체적 내에서만 어군의 분포를<br />

에서


and Hwang 2003; Didrikas and Hansson<br />

있다(Kang<br />

Kang et al. 2005). 최근 소나를 이용한 어군 조사는<br />

2004;<br />

상태이다(Mayer et al. 2002).<br />

어려운<br />

3차원 TS 자료가 없는 조건에서 소나 시스템을<br />

따라서,<br />

음향 기법이 추가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br />

진<br />

조사에서 시·공간 <strong>및</strong> 수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br />

음향<br />

움직인다고 알려져 왔다(명 2002). 탐지된 현장 TS<br />

발히<br />

어류의 체장을 계산하기 위한 볼락의 평균 표<br />

자료로부터<br />

8. Photography of Sebastes inermis around survey<br />

Fig.<br />

in January 30 2007.<br />

area<br />

2. Estimation of acoustic detected fish number at<br />

Table<br />

fish length class using in situ target<br />

each<br />

length class<br />

Fish<br />

(cm)<br />

detected<br />

Acoustic<br />

number<br />

fish<br />

Ratio<br />

(%)<br />

schlegeli)에 대한 200 kHz의 음향 표적강도 함<br />

(Sebastes<br />

이용하였다(Kang and Hwang 2003).<br />

수를<br />

음향 정선에서 실시한 음향 조사에서 현장 TS<br />

14개의<br />

해저면과 해저면 위 5m 수 층 사이에서 총 1,824개의<br />

는<br />

일반적으로 음향 조사에서 자원량 추정은 각 정선의<br />

였다.<br />

S v 값과 대상 어종의 평균 TS 함수로부터 정선에 대<br />

평균<br />

Acoustic Detection of Demersal Fish 85<br />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2차원 TS 자료를<br />

파악할<br />

자원량 추정이 가능하므로 다양하게 적용하고<br />

이용하여<br />

3차원 구조 파악에는 큰 장점을 제공하고 있으나<br />

어군의<br />

어류의 3차원 TS 자료의 부족으로 자원량 추정이<br />

탐지된<br />

자원량 추정보다는 축적된 실험 자료가 있는 2차<br />

이용한<br />

TS 자료를 이용하는 게량 어군탐지 시스템의 적극적인<br />

원<br />

많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계량 어군<br />

활용이<br />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서 어군이 탐지되면<br />

탐지<br />

연구에서 시도한 방법인 탐지된 어군의 주변 해역에<br />

본<br />

반복 조사를 함으로써 어군의 시·공간 구조를 파악<br />

대한<br />

수신된 음향 자료로부터 자원량 추정을 시도하는 것<br />

하고<br />

이다.<br />

잠수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제한된 지역만을 대<br />

자망이나<br />

한 조사에서 연안 저서 어류는 수심 <strong>변화</strong>가 심한<br />

상으로<br />

strength data<br />

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해양수산<br />

암반<br />

2005). 그러나 연속적이며 수 층 전체의 어군 특성을<br />

부<br />

5~10 3 0.2<br />

10~15 389 24.6<br />

본 연구의 집중 음향 조사에서는 또 다른 분포<br />

보여주는<br />

보여주고 있다. 즉, 암반이 발달한 급경사 지역에<br />

특성을<br />

15~20 478 30.2<br />

20~25 344 21.8<br />

저서 어군 형성이 안되고 완만한 경사면 지역에서<br />

서는<br />

저서 어군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br />

집중적으로<br />

25~30 182 11.5<br />

30~35 185 11.7<br />

어류의 분포 지역이 연안 암반 지대에 한정되어 있<br />

저서<br />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기존 연구<br />

지<br />

다른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연안 저서<br />

결과와는<br />

시·공간 분포 연구에 빠른 조사 방법의 장점을 가<br />

어류의<br />

TS 200kHz =20* log 10 (fish length, cm) − 72.79 (1)<br />

S v 값 이외에 개개 어류의 음향 특성 정보인 현<br />

사용하는<br />

TS 자료는 음향 탐지된 어류의 길이 특성을 간접적으<br />

장<br />

나타내고 있다. 음향 조사 지역에 서식하는 연안 저서<br />

로<br />

어종 정보가 존재하고, 대상 어종의 길이에 따른<br />

어류의<br />

신호가 탐지되었으며, 탐지된 TS 자료를 식 (1)을 이<br />

어류<br />

어류의 체장을 계산하였다. 볼락의 최대 성장 길이<br />

용하여<br />

TS 함수가 존재한다면 수신된 현장 TS 자료로부터<br />

평균<br />

체장 분포 추정이 가능하게 된다.<br />

역으로<br />

약 35 cm인 것을 고려하였을 때 탐지된 개체수는 약<br />

가<br />

추정되었다(Table 2). 15~20 cm의 체장 분포<br />

1,580개체로<br />

조사가 실시된 근처에서 1월 동계 기간에 실시한<br />

음향<br />

잠수 조사에서 수심 18 m 부근에 볼락(Sebastes<br />

수중<br />

전체 개체수의 30%로 최대 분포 비율을 보이고 있었<br />

가<br />

10~15 cm는 24.6%, 20~25 cm는 21.8%를 차지하<br />

으며,<br />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8). 볼락은 쏨<br />

inermis)이<br />

양볼락과의 어류로 최대 체장이 약 35 cm로 암초<br />

뱅이목<br />

된 연안에 서식하며 밤에는 표층이나 중층에서 별로<br />

로<br />

없으나 낮에는 무리를 이루어 중층 아래에서 활<br />

움직임이<br />

평균 생체량을 추정한 후 조사 면적에 대비하여 자원<br />

해<br />

추정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저서 어류의 자원량<br />

량을<br />

주된 목적이 아니라 현장 TS 자료만으로 탐지 개<br />

추정이<br />

추정하였다. 체수를<br />

함수는 연구 자료가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비슷<br />

적강도<br />

체형으로 동일한 쏨뱅이목 양볼락과인 조피볼락<br />

한<br />

본 연구에서는 총 85,750 m 2 의 조사 면적에 대한 저서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br />

방법을<br />

직접적인 방법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br />

기존의<br />

분산 <strong>및</strong> 이동에 대한 고찰이 뒤따라야 하므로 이에 대<br />

성,<br />

현장 음향 조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Fréon et al.<br />

한<br />

이를 위하여 200 kHz 송·수파기를 장착한 소<br />

사용하였다.<br />

예인체를 이용하여 저서 어군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14<br />

형<br />

정선에 대해 불규칙 스타 패턴(irregular star pattern)<br />

개의<br />

방법을 이용하였다. 음향 조사 결과 저층 어군은 대<br />

조사<br />

조성호, 라형술, 김종만, 나정열, 명정구. 2006. 수중<br />

강돈혁,<br />

이용한 해초 서식처(Seagrass Habitats)의 공간 <strong>및</strong><br />

음향을<br />

분포 추정. Ocean and Polar Res., 28, 225-236.<br />

수직<br />

2002. 우리바다 어류도감. 다락원. 287 p.<br />

명정구.<br />

2005. 통영해역의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 보<br />

해양수산부.<br />

한국해양연구원, BSPM 33900-1717-3. 552 p.<br />

고서.<br />

2006. 전남 다도해형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br />

해양수산부.<br />

한국해양연구원, BSPM 35300-1745-3. 640 p.<br />

보고서.<br />

2007. 전남 다도해형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br />

해양수산부.<br />

한국해양연구원, BSPM 42200-1896-3. 622 p.<br />

보고서.<br />

86 Kang, D. H. et al.<br />

시·공간 분포 특성 <strong>및</strong> 어군의 안정성 파악을 위<br />

어군의<br />

02:40분 동안 불규칙 스타 패턴(irregular star pattern)<br />

해<br />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br />

1896-3)”의<br />

참고문헌<br />

방식을 이용한 집중적인 음향 조사 기법을 통하여<br />

정선<br />

어군 군집에 대한 외부 혼란을 최소화하며 하여 반<br />

저서<br />

조사를 실시하였다. 적용한 음향 조사 방법과 음향 정<br />

복<br />

구성 방식으로부터 짧은 시간 내에 어군의 수직 <strong>및</strong> 공<br />

선<br />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직접<br />

간<br />

보여주고 있다. 또한 조사 면적이나 잠수 시간의<br />

적으로<br />

인해 연안 저서 어류의 시·공간 <strong>및</strong> 수직 구<br />

한정성으로<br />

파악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기존의 자망이나 잠수<br />

조<br />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제시한 음향 조사 기법을 현장<br />

한<br />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는 주간에 조사를 실시한 한<br />

조사에<br />

Abad, R., J. Miquel, M. Iglesias, and F. Alvarez. 1998.<br />

Acoustic estimation of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br />

있다. 연안 저서 어군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는<br />

계점이<br />

시간대 보다는 주·야간 일주 변동을 통한 어군의 형<br />

특정<br />

sardine in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Fish. Res.,<br />

34, 239-245.<br />

BioSonics. 2005. X-Series Echosounder and Visual Acquisition<br />

5.0 User Guide. BioSonics Inc., Seattle, USA.<br />

1993; Nilsson et al. 2002).<br />

5. 결 론<br />

the Baltic Sea herring and sprat. ICES J. Mar. Sci., 61,<br />

Didrikas, T. and S. Hansson. 2004. In situ target strength of<br />

378-382.<br />

Doray, M., E. Josse, P. Gervain, L. Reynal, and J. Chantrel.<br />

연구에서는 연안 저층의 정착성 어류 자원의 분포<br />

본<br />

시·공간에 따른 군집의 안정성 파악을 위해 자망 <strong>및</strong><br />

<strong>및</strong><br />

2006. Acoustic characterization of pelagic fish aggregations<br />

around moored fish aggregating devices in Martinique<br />

(Lesser Antilles). Fish. Res., 82, 162-175.<br />

방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이 가지는 한계 요소를<br />

잠수<br />

위한 새로운 방법의 하나로 음향 조사 기법을<br />

보완하기<br />

Everson, I., M. Bravington, and C. Goss. 1996. A combined<br />

acoustic and trawl survey for efficiently estimating fish<br />

abundance. Fish. Res., 26, 75-91.<br />

Fréon, P., M. Soria, C. Mullon, and F. Gerlotto. 1993.<br />

Diurnal variation in fish density estimates during<br />

acoustic surveys in relation to spatial distribution and<br />

해저면과 해저면 위 5m 사이의 수 층에 밀집되어<br />

부분<br />

있었으며, 시·공간 변동성 없이 안정된 어군 형<br />

분포하고<br />

avoidance reaction. Aquat. Living Res., 6, 221-234.<br />

Josse, E., A. Bertrand, and L. Dagorn. 1999. An acoustic<br />

approach to study tuna aggregated around fish aggregating<br />

유지하고 있었다. 음향 기법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br />

성을<br />

분포하는 어군을 탐지한 후, 탐지된 지역에서 집중<br />

연안에<br />

devices in French Polynesia: Methods and validation.<br />

음향 조사를 실시하는 본 연구의 방법은 연안 저서<br />

적인<br />

시·공간 구조 파악 <strong>및</strong> 자원량 평가 측면에 새로<br />

어류의<br />

Aquat. Living Res., 12, 303-313.<br />

Kang, D. and D. Hwang. 2003. Ex situ target strength of<br />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 bream (Pagrus<br />

접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분포하는 어<br />

운<br />

안정성 파악을 위한 장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현<br />

군의<br />

major) in the Northwest Pacific. ICES J. Mar. Sci., 60,<br />

TS 자료를 이용하여 음향 탐지된 어류의 개체수를 추<br />

장<br />

연안 저서 어류의 현존량 파악을 위한 기초<br />

정함으로써<br />

538-543.<br />

Kang, D., T. Mukai, K. Iida, D. Hwang, and J.G. Myoung.<br />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br />

자료를<br />

사 사<br />

strength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br />

2005. The influence of tilt angle on the acoustic target<br />

pacificus). ICES J. Mar. Sci., 62, 779-789.<br />

MacLennan, D.N. and E.J. Simmonds. 1992. Fisheries<br />

acoustics. Chapman & Hall, London. 325 p.<br />

Mayer, L., Y. Li, and G. Melvin. 2002. 3D visualization for<br />

연구는 한국해양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는 해양수산부<br />

본<br />

“전남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 용역 사업(BSPM42200-<br />


Acoustic Detection of Demersal Fish 87<br />

pelagic fisheries research and assessment. ICES J. Mar.<br />

Petitgas, P. and J.J. Levenez. 1996. Spatial organization of<br />

Sci., 59, 216-225.<br />

pelagic fish: Echogram structure, spatio-temporal condition,<br />

Medwin, H. and C.S. Clay. 1998. Fundamentals of acoustical<br />

and biomass in Senegalese waters. ICES J. Mar. Sci., 53,<br />

oceanography. Academic Press, San Diego. 712 p.<br />

147-153.<br />

Nilsson, F., B.F. Nielsen, U.H. Thygesen, B. Lundgren, R.<br />

Reid, D., C. Scalabrin, P. Petitgas, J. Masse, R. Aukland, P.<br />

Nielsen, and J. Beyer. 2002. Modelling the process of<br />

Carrera, and S. Georgakarakos. 2000. Standard protocols<br />

dispersion of schools in relation to diurnal migration of<br />

for the analysis of school based data from echo sounder<br />

herring and sprat in the Baltic based on acoustic<br />

surveys. Fish. Res., 47, 125-136.<br />

observations. Paper ID 253. In: Proc. 6th ICES Symp.<br />

Sabol, B.M., E. McCarthy, and K. Rocha. 1997. Hydroacoustic<br />

acoustics in fisheries and aquatic ecology, Montpellier,<br />

basis fo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elgrass<br />

France, June 10-14.<br />

(Zostera marina). p. 679-693. In: Proc. 4th Conference<br />

on remote sensing of marine environments, Florida,<br />

NOAA. 2003. Results of the March 2003 echo integrationtrawl<br />

survey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br />

USA, March 17-19.<br />

conducted in the Southeastern Aleutian Basin Near<br />

Steig, T.W. and T.K. Iverson. 1998. Acoustic monitoring of<br />

Bogoslof Island. Alaska Fisheries Science Center Processed<br />

salmonid density, target strength, and trajectories at two<br />

Report Number 2003-09. 28 p.<br />

dams on the Columbia River, using a split-beam<br />

Ohshimo, S. 2004. Spatial distribution and biomass of<br />

scanning system. Fish. Res., 35, 43-53.<br />

pelagic fish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based on<br />

acoustic surveys from 1997 to 2001. Fish. Sci., 70, 389-<br />

Received Feb. 15, 2008<br />

400.<br />

Accepted Mar. 6, 2008


해양환경법제 분석과 전개방향에 관한 고찰<br />

중국의 1 *·박성욱1·박수진2·권석재1<br />

양희철<br />

for Building a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br />

Prospects<br />

in China<br />

Protection<br />

Hee Cheol Yang 1 *<br />

, Seong Wook Park 1 , Su Jin Park 2 , and Suk-Jae Kwon 1<br />

Policy Research Division, KORDI<br />

1<br />

P.O. Box 29, Seoul 425-600, Korea<br />

Ansan<br />

2 Coastal & Ocean Policy Research Department, KMI<br />

: Marine environment is subject serious destruction because of frequent accidents during<br />

Abstract<br />

of marine resources and overseas transport. Also, as many industrial enterprises discharge high<br />

exploration<br />

of wastes and contamination, marine pollution has become a serious threat to people (especially in<br />

volume<br />

China is quickly becoming a world economic leader of the 21st century. Rapid industrialization and<br />

China).<br />

changes have raised the standard of living of millions of the Chinese, mainly in the areas of East and<br />

social<br />

East coast.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however, is often followed by deterioration of the marine<br />

South<br />

and rarely turned around until a country has increased its standard of living. Solving these<br />

environment<br />

of problems will take decades and currently the government is addressing minor specific issues only.<br />

array<br />

the Chinese government has enacted a number of marine pollution control laws. On 25<br />

Fortunately,<br />

1999, the 13th Session of the Ninth Standing Comme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br />

December<br />

the amended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is Law<br />

passed<br />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relevant departments concerning marine environment<br />

establishes<br />

and provides for two new chapters on “Marine Environment Supervision” and “Marine<br />

management<br />

Protection”, along with “Supervision of Pollution Prevention for Marine Construction Projects”,<br />

Ecological<br />

Ecological Protection” and “Marine Environment Pollution Prevention for Marine Construction<br />

“Marine<br />

Also, the Law was amended with provisions for integrated pollution discharge control system and<br />

Projects”.<br />

spillage emergency response plan and enhanced legal responsibilities. Chinese government recognizes<br />

oil<br />

international and national experience can be useful for China to prevent further ecological degradation<br />

that<br />

words :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Bohai Sea and Yellow<br />

Key<br />

blue sea action plan for Bohai Sea<br />

Sea,<br />

Vol. 30(1):89-107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Article<br />

정책연구실<br />

1한국해양연구원<br />

경기도 안산시 안산우체국 사서함 29<br />

(425-600)<br />

해양정책연구본부<br />

2한국해양수산개발원<br />

(121-270)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1625<br />

Seoul 121-270, Korea<br />

of the marine environment.<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ceaser@kordi.re.kr


산하 해양발전전략연구소(China Institute for Marine<br />

양국<br />

CIMA) 소장이자 전국인민대표대회(이하 ‘전인대’)<br />

Affairs,<br />

주변국과의 분쟁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한 바 있다 2) .<br />

해<br />

소장의 지적은 사실 발해 문제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br />

高<br />

하다.<br />

바와 같이, 경제적 측면에서 시작된 세계화는<br />

주지하는<br />

국제적인 성격을 갖는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br />

법이면서도<br />

본 논문은 먼저 우리의 해양환경 정책과 밀접한 관련<br />

서,<br />

관련 문제점은 우리의 해양환경보호법제의 체계화 과<br />

고,<br />

조정적 요소를 부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는<br />

정에<br />

高 之 國 소장에 의하면, 발해는 중국에서 가장 오염이 심각한 해역으로, 매년 약 57억톤의 유독성 폐기물과 약 20억톤의 고체폐기<br />

1)<br />

유입되었으며, 2006년에만 약 15.8억톤의 유독성 화공폐기물이 유입되었다. 발해환경오염의 약 80%는 육지오염원, 약 20%<br />

물이<br />

해상오염원으로 보고되고 있다. 中 新 社 (2007. 3. 12) ; 天 津 日 報 (2007. 3. 14) ; 中 國 新 聞 網 (2007. 3. 12)<br />

가<br />

北 京 靑 年 報 (2007.3.13)<br />

2)<br />

들어, 중국은 2000년 발해의 수질 <strong>및</strong> 생태환경 회복과 개선을 위해 2001년부터 2015년까지 1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공포하<br />

3)예를<br />

바, 이것이《 渤 海 碧 海 行 動 計 劃 》이다. 본 계획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를 단기계획, 2006년부터 2010년까지를 중기, 2010<br />

였는<br />

2015년까지를 장기계획으로 수립, 시기별 행동계획과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발해벽해행동계획은 육지오염원 통제를 주요<br />

년부터<br />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중국정부는 계획기간인 15년 동안 총 600억 중국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于 2001).<br />

내용으로<br />

접하고 있는 중국 연안지방( 省 , 自 治 區 , 直 轄 市 )에는 북쪽에서부터 요녕성, 하북성, 천진시, 산동성, 강소성, 절강성, 상해<br />

4)해안선을<br />

복건성, 광서장족자치구, 광동성, 해남성, 홍콩특별행정구, 마카오특별행정구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전체 중국경제를 움직이는<br />

시,<br />

중요한 연안지방이기도 하다.<br />

가장<br />

법은 부칙 제1조에 따라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시행된다. 일부 조항(제19조 1항 2호)은 공포 후 2년이 경과한 날부<br />

5)본<br />

제40조와 제53조는 법 시행 후《선박유해방오시스템의규제에관한국제협약》이 우리나라에 효력을 발생하는 날부터 시행한다<br />

터,<br />

규정하고 있다. 고<br />

법안은 1977년 12월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제정한 선박으로부터의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MARPOL)의 국내법적 근<br />

6)동<br />

마련을 위해 제정한 《해양오염방지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br />

거<br />

내용은 해양환경관리법 참조; 김영석 해양정책국장. 2007. 해양환경관리법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바다. 국정브리핑 기고문<br />

7)자세한<br />

90 Yang, H. C. et al.<br />

서 론<br />

1.<br />

내수 해역의 환경보호 문제가 각국의 주요 정책<br />

해양과<br />

관리기반 구축 방향으로 정비된 것이다 7) . 연안개발<br />

합적<br />

도시화 정책이 가속화됨에도 국가정책의 후순위에 있<br />

과<br />

해양환경 보호의 투자와 연구현실을 고려한다면, 늦<br />

었던<br />

문제해결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다<br />

게나마<br />

부각되고 있다. 특히, 개방정책을 표방한 이래 지<br />

과제로<br />

경제성장을 유지하고 세계의 공장으로 역할을 확<br />

속적인<br />

일이다. 그러나 《해양환경관리법》의 제정이<br />

행스러운<br />

위한 기본법을 마련하였다는 긍정적 평<br />

해양환경관리를<br />

하고 있는 중국에서는 성장의 역동성 만큼이나 심각<br />

고히<br />

환경문제를 고민하여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중국해<br />

한<br />

여전히 하위법령 제정과 관련제도의 정비 등의 조치<br />

가는<br />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정비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br />

를<br />

본다. 이러한 점에서 세계화 추세를 통해 이루어<br />

하리라<br />

해양환경보호법제의 동질화 현상과 주변국의 해양<br />

지는<br />

한 高 之 國 박사는 2007년 전인대 환경위원회<br />

의원이기도<br />

“발해만 근해의 어류와 새우, 게 등 주요 수자원이<br />

에서<br />

추진 현황 <strong>및</strong> 전개방향은 우리의 방향성 설<br />

환경보호법제<br />

객관적 조정 여지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br />

정에<br />

있다”고 지적하고 1) , 발해의 종합적 관리를 위한<br />

사라지고<br />

법집행 체제가 수립되지 않으면 환경오염으로 인<br />

체계와<br />

해양환경문제의 세계화로 확산되었으며, 일국의 해<br />

이미<br />

보호조치 또한 주변국 혹은 전 세계 국가와의 유<br />

양환경<br />

해양오염의 심각성 인지와 이를 위한 제도적 대책<br />

중국이<br />

수립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3) , 지나치게 연안지역에 집<br />

을<br />

연계를 통하지 않고는 실행과 효과의 한계가 있음<br />

기적<br />

부정할 수 없다. 이는 환경에 관한 법률규정이 국내<br />

또한<br />

산업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는 점과 해양환경 관련<br />

중된<br />

국제사회의 해양환경 추세와 여전히 일정한 갭이<br />

법제가<br />

점은 현재의 정책적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br />

있다는<br />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4) .<br />

을<br />

<strong>및</strong> 상호 협력의 공간이 절대적인 중국의 해양환경보호<br />

성<br />

형성과정과 주요내용 이해에 목적을 두었다. 중국<br />

법제의<br />

위한 체계적 노력의 움직임은 우리나<br />

해양환경보호를<br />

시작되고 있다. 지난 2006년 12월 22일 국회를<br />

라에서도<br />

분석은 동북아시아 환경협력 조정을<br />

해양환경보호법제<br />

데 있어서 이질적 요소를 최소화하는데 조력하<br />

추진하는<br />

2007년 1월 제정·공포된 《해양환경관리법》<br />

통과하고<br />

그것이다 5) . 동 관리법은 6) 선박기인 오염관리를 주된<br />

이<br />

하는 해양오염방지법을 개편하여 오염원인자<br />

내용으로<br />

해양환경개선부담금 부과, 해양유입 또는 해양<br />

책임원칙,<br />

예방적 환경정책과 치유적환경정책의 연계와 통<br />

동시에<br />

측면에서 동북아 해역에서 요구되는 환경정책<br />

합이라는<br />

등에 대한 관리강화, 바다 골재채취 등의 각<br />

발생오염원<br />

해양이용 행위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등 해양환경의 종<br />

종<br />

의 상호보완적 연계성 확보의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을<br />

(1.17) 참조.


또한, 중국의 해양환경보호 체계와 정책형성 <strong>및</strong><br />

것이다.<br />

친환경 요소, 세계화와 더불어 나타나는 해양환경<br />

유기적<br />

2. 중국의 해양환경보호입법 체계와 성과<br />

있다. 수<br />

해양에 관한 전체적인 법률규정은 전인대와 그 상<br />

이중<br />

중국의 해양법규에 대한 이해 또한 이들 입법 주<br />

있으며,<br />

중심으로 상관관계와 상하위 법령의 적용관계를 이<br />

체를<br />

중국이 유일 정부로 인정받기 전에 유엔 내에서<br />

터이다.<br />

합법정부로 인정받았던 대만은 1958년 제1차 유<br />

유일한<br />

많은 해양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기에 이르렀다. 특히<br />

로는<br />

국제적인 환경보호 기조가 점차 강화되던 시<br />

1980년대는<br />

중국이 해양과 내수 환경보호 문제를 위한 국내법<br />

기로서,<br />

조치를 본격화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br />

적<br />

중국의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법원( 法 源 )으로는 헌<br />

현재,<br />

국제조약, 환경보호법, 해양환경보호법, 국무원이 제정<br />

법,<br />

< 碧 海 행동계획>, , ,<br />

,<br />

, ,<br />

등을 통해 국가의 장기 해양환경보호에 관<br />

호십일오계획><br />

따른 영역별 분류는 예를 들어, 형법, 경제법, 행정법, 소송법에 속하는 법률법규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하며; 법률<br />

8)법률체계에<br />

의한 분류는 국가 근본제도와 근본임무를 규정한 헌법 규정, 국가 해양주권과 주권적 권리 선포에 관한 것, 해양구역종합<br />

성질에<br />

관한 것, 해양자원 개발과 이용에 관한 것, 해양교통운수 등에 관한 것, 해양환경보호관리에 관한 것, 해사분쟁해결에 관<br />

관리에<br />

것 등에 따라 분류한 것을 의미한다. 권 등(2008). 제1부 참조.<br />

한<br />

언급한 ‘단계’는 입법 주체의 상하위에 의한 단계일 수도 있으며, 동시에 각 법령의 시행에 따른 시간적 단계일 수도 있<br />

9)본문에서<br />

주의하기 바란다.<br />

10) 음을<br />

국제법위원회의 노력으로 1958년 Geneva에서 개최된 제1차 해양법회의에서 4개의 협약을 체결(영해 <strong>및</strong> 접속수역, 공해, 공<br />

UN과<br />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는 해양투기를 규제할 국제적 체제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그해 12월 런던에서 “폐기물 <strong>및</strong> 기타<br />

11)<br />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협약”을 채택하였다. 지역적 차원에서는 1972년 2월 오슬로에서 영국과 노르웨이 등 일부 유럽<br />

물질의<br />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91<br />

유일 합법정부로 인정받은 후, 중국은 1973년<br />

유엔에서<br />

1982년까지 9년 동안 지속된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br />

부터<br />

관련 국내법의 국제적 기준으로의 동질화 현상을 통<br />

보호<br />

우리나라 해양환경보호제도에의 긍정적 시사점을 도<br />

해<br />

처음부터 참여하였는데,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를 통해<br />

에<br />

해양 정책에 대한 기본 정책수립과 함께 국내적으<br />

중국은<br />

출하고자 한다.<br />

해양환경보호입법의 체계<br />

중국<br />

해양 관련 법체계는 입법주체와 법률체계에 따<br />

중국의<br />

유엔해양법회의의 본격적인 진행과 해양환경에<br />

제3차<br />

국제적 논의가 가시화되면서 11) , 중국은 1970년대 해<br />

대한<br />

영역별 혹은 입법 성질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8) . 이중<br />

른<br />

주체에 따라서는 전인대의 입법, 전인대 상무위원<br />

입법<br />

제정 노력을 시작하었다. 1974년 중국 국<br />

양환경보호법규<br />

을 비준하였는데, 이는 유류 <strong>및</strong> 기타 유해물질에<br />

行<br />

연안해역 오염방지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1982에<br />

의한<br />

중국 최초의 해양환경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이<br />

제정하고, 구체적인 행정법규에 대하여는 국<br />

무위원회가<br />

관련 부서, 즉 국가해양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br />

무원과<br />

환경보호법과 함께 중국 환경체계를 형성하는 핵<br />

통과된<br />

원칙과 방향을 규정함으로써 전체 중국 해양환경 보<br />

심<br />

위한 법규, 규칙 <strong>및</strong> 지방성법규 제정의 근간이 되고<br />

호를<br />

있다.<br />

한다. 단, 본 절에서는 제정 주체와 그 주체를 통<br />

해하여야<br />

절차적인 이해보다는 단계별 법령을 중심으로 9) 구체적<br />

한<br />

중국의 해양환경 입법체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제한하<br />

인<br />

논한다. 여<br />

행정법규, 지방정부의 지방성 법규와 각 행정조직이 제<br />

한<br />

규칙과 해양관련 법규 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입<br />

정한<br />

해양정책에 적극성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중국<br />

중국이<br />

유엔에서 유일 합법정부로 인정받기 시작한 1971년부<br />

이<br />

주체를 기준으로 법률, 행정법규, 지방성법규로 구분할<br />

법<br />

있다(Fig. 1 참조).<br />

수<br />

해양환경보호 규범화를 위한 또 다른 특징은


개정에 대한 주요 근거로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12) .<br />

정과<br />

개정된 해양환경보호법 역시 의 선박안전운행<br />

for<br />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안전규칙(ISM규칙), 은 중국의 환경보호 정책의 지도적 목표에 근거하여 2006부터 시작된 제11차 5개년<br />

12)예컨대,<br />

기간동안 실행할 환경보호입법의 추진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환경보호법과 해양폐기물관리조례에 대하여는<br />

계획<br />

발해환경보호조례와 해안대환경보호조례는 연구수행, 외래 침입종에 의한 환경안전관리조치와 생태기능보호구역 건설 <strong>및</strong><br />

수정,<br />

대하여는 제정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제11차 기간동안 제정될 사항으로 계획된 는<br />

건설계획>은 1998년과 2000년 국무원이 공포한 과 을<br />

,<br />

두고 있다. 국무원이 2003년에 비준한 은<br />

제정한 첫 번째 거시적 문건으로, 중국의 해양자원을<br />

해<br />

해양경제를 국민경제의 새로운 성장점으로 하<br />

가속화하고<br />

과 방향성 설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이 사실이다. 예컨<br />

작성한 것으로, 중국 근해와 해안대를 주요 대상해역으로 하나, 관할해역을 모두 고려하여 2030년까지를 계획기간으로 하<br />

토대로<br />

작성된 것이다. 全 國 海 洋 生 態 境 保 護 建 設 規 ( 草 案 ) 참조.<br />


유엔해양법협약 제212조와 제222조는 대기에 의한 또<br />

대,<br />

대기를 통한 오염과 법령집행을 규정하고, 각국이 대기<br />

는<br />

제41조로 수용되었다 14) . 유류사고와 관련<br />

양환경보호법><br />

중국은 1973년부터 1999년까지 50톤 이상의 유류<br />

하여,<br />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 중대 해상오염사고에 대한 응<br />

하여,<br />

수립을 해양환경보호법에 반영하였다 15) . 동시에<br />

급계획<br />

입법의 단계 혹은 상호 관계에 대하여, 중국이 2000<br />

있다.<br />

제정 한 은 17) 입법의 단계와 효력에 대하여<br />

년<br />

해양환경보호 법률<br />

주요<br />

해양환경보호와 관련된 법률에는 중국의


시행하였다 22) .<br />

4월부터<br />

제5조를 통해 환경보호를 위한 기관<br />

해양환경보호법은<br />

선박오염 사고가 어업에 손해를 일으키는 경우, 어<br />

만일,<br />

주무부서를 참여시켜 조사처리 한다. 이 밖에, 어<br />

업행정<br />

22) 1982년 8월 23일 제5회 전인대 상무위원회 제24차 회의 통과, 1999년 12월 25일 제9회 전국인민대표 대회 상무위원회 제13차 회<br />

94 Yang, H. C. et al.<br />

해양환경보호의 조정 필요성을 인식하고, 1999년 전<br />

따른<br />

상무위를 통해 해양환경보호법을 개정하여 2000년<br />

인대<br />

보호”하는 업무를 담당하며, 또한 일반 오염사고 이외<br />

을<br />

어업오염사고를 조사처리하는 책임이 있다. 군대의 환<br />

의<br />

부서는 군사선박의 해양환경 오염에 대한 감독관<br />

경보호<br />

<strong>및</strong> 오염사고에 대한 조사처리를 담당하며, 연안의 縣 級<br />

리<br />

업무를 규정하고 있는데, 국무원 환경보호행정 주관부<br />

간<br />

국가환경보호총국은 “전국 환경보호 업무에 대한 통<br />

서인<br />

지방인민정부가 행사하는 해양환경 감독관리 부서의<br />

이상<br />

성·자치구·직할시 인민정부가 해양환경보호법<br />

직책은<br />

감독관리 부서로서 전국 해양환경 보호 업무에 대한<br />

일적<br />

협조 <strong>및</strong> 감독을 실시하고, 또한 전국의 육상 기인<br />

지도와<br />

국무원의 관련 규정에 근거하여 확정토록 하고 있다<br />

과<br />

2 참조).<br />

(Fig.<br />

해안 공사건설 사업의 해양오염 훼손에 대한<br />

오염물질과<br />

보호업무”를 책임진다. 또한, 국가해양행정 주관부서<br />

환경<br />

전국과 지방에 기능에 따른 해양구역<br />

해양환경보호법은<br />

설정토록 하고 있으며(제6조), 기능 구역에 따라 전국<br />

을<br />

국가해양국은 “해양환경의 감독관리와 해양환경의 조<br />

인<br />

<strong>및</strong> 과학연구에 책임을 지고, 전국<br />

사·탐지·감시·평가<br />

보호계획과 중점해역 지역성 해양환경보호계획<br />

해양환경<br />

수립하여 실시하며, 한 지역 혹은 한 부서 이상의 업무<br />

을<br />

해양건설 사업과 해양투기 폐기물의 해양에 대한 오염<br />

의<br />

대한 환경보호업무”를 수행하며, 해사( 海 事 )행정<br />

훼손에<br />

대하여는 관련 부서 간 협조를 통해서 해결토록 하고<br />

에<br />

만일, 관련 지방정부 혹은 부서 간 업무조정<br />

있다(제7조).<br />

해사국은 “관할 항구수역내 비군사선박과 항<br />

주관부서인<br />

수역외의 비어업 <strong>및</strong> 비군사선박의 해양환경 오염에 대<br />

내<br />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국무원이 결정토록 하여 효율적<br />

이<br />

집행의 강행성을 확보하는 규정을 두었다(제8조). 해<br />

업무<br />

감독관리, 오염사고의 조사처리, 외국국적의 선박이 일<br />

한<br />

오염사고에 대한 검사” 업무를 수행토록 하고 있다.<br />

으킨<br />

국가와 지방정부의 해양환경 기준 의무를<br />

양환경보호법은<br />

이를 지방정부의 업무계획에 포함함으로써 해<br />

규정하고,<br />

보호의 목표와 임무를 명확하게 하도록 하였다(제<br />

양환경<br />

오염물 배출에 대하여는 국가 규정에 따라 폐기비용<br />

9조).<br />

주관부서는 “항구 내 비군사선박과 항구 수역 외<br />

업행정<br />

해양환경을 감독관리하고, 어업수역 생태환경<br />

어업선박의<br />

지급하되(제10조 <strong>및</strong> 제11조), 방출 기준을 초과할 경우<br />

을<br />

기한을 정하여 회복하고(제12조), 해양환경에 중대한<br />

에는<br />

Fig. 2. Maj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standard by legislative subject of China.<br />

등의 지표수 <strong>및</strong> 지하수의 오염방지에 적용한다. 해양오염 방지는 법률로 규정하고 본 법을 적용하지 않는다.” 규정<br />

수로·저수지<br />

해양환경보호법과의 관계를 분명히 하고 있다.<br />

함으로써,<br />

의에서 개정, 2000년 4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해안공정 건설프로젝트(제5장), 해양공정건설프로젝<br />

4장),<br />

폐기물 투기(제7장), 선박과 관련 작업 활동(제<br />

트(제6장),<br />

등으로 인해 해양환경에 오염손해에 효과적으로 대<br />

8장)<br />

위하여 해양환경보호법은 각종 오염원 방지 관리<br />

처하기<br />

제정하고, 동시에 해양자연보호구(제21조 <strong>및</strong> 제22<br />

제도를<br />

특별보호구를 중점으로(제23조) 하는 해양생태보호제<br />

조),<br />

규정하고 있다.<br />

도를<br />

외에, 개정된 해양환경보호법과 국무원이 국가해양국<br />

이<br />

26) , 등을 들<br />

리임시조치><br />

있다. 중국의 해양환경보호 노력은 지방정부의 지방성<br />

수<br />

위한 행정법규<br />

해양환경보호를<br />

해양환경보호법을 기초로 한 중국의 해양환경<br />

상술한<br />

,<br />

, ,<br />

,<br />

,<br />

,<br />

들 수 있으며, 이<br />

양환경오염손해방지를위한관리조례>를<br />

23)<br />

新 華 網 (2007. 4.20); 中 國 網 (2007.4.11); 東 北 新 聞 網 (2007.4.23); 中 國 科 學 院 上 海 分 院 (2007. 4. 12일, http://www.google.com.tw/).<br />

정책연구실. 해양과학기술정책동향(2007.6). p. 128-133.<br />

25) 24)한국해양연구원<br />

8월 30일 국무원 제148차 상무회의 통과, 2006년 1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br />

2006년<br />

2002년 6월 24일 국가해양국이 해양환경보호법과 관련 법규에 의거하여 제정하였다. 본 조치는 중국 내수, 영해, 접속수역, 배타<br />

26)<br />

대륙붕 <strong>및</strong> 중국이 관할하는 기타 해역에서의 해양석유플랫폼 폐기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br />

적경제수역,<br />

2001년 8월 28일 국가질량감독검사검역총국이 공포(GB18421-2001)하고 2002년 3월 1일 시행되었다.<br />

27)<br />

2002년 3월 10일 국가질량감독검사검역총국이 공포(GB 18668-2002)하고 2002년 10월 1일 시행되었다.<br />

28)<br />

법률체계에서 행정법규라 함은 ‘국무원령’으로 공포되고, 그 효력은 헌법과 법률 아래에 있는 법규범을 말한다. 권 등(2008),<br />

29)중국의<br />

참조. 제1부<br />

1983년 12월 29일 국무원 공포( 國 發 [1983]202 號 ).<br />

30)<br />

해사국은 이전의 항무감독국(교통안전감독국)과 선박점검국(교통부선박점검국)이 합병하여 성립되었으며, 중국의 수상안전<br />

31)중국<br />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95<br />

일으키는 낙후시설과 설비는 도태시키는 제도를<br />

오염을<br />

생산설비의 제고를 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제13조).<br />

통해<br />


선박유류작업과 기름에 의한 오류 배출, 선박의 위<br />

외에,<br />

수송, 선박으로 인한 기타 오수, 선박 쓰레기, 선박<br />

험화물<br />

환경보호주관부서가 업무를 주관하도록 하였다(제4조).<br />

의<br />

만한 것은, 육상기인 오염물에 의한 해역오염 이외<br />

주의할<br />

환경오염 등에 관하여는 <br />

양자강수역의<br />

, <br />

중국의 교통부와 건설부 <strong>및</strong> 국가환경보호국이 1997년<br />

히,<br />

2조). 각 지방정부와 군대, 항구감독 기구 등은 해당 수역<br />

1. Competent authorities on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ship-breaking and the extent of the<br />

Table<br />

jurisdiction<br />

charge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ship-breaking on<br />

in<br />

coast beyond the harbour, inspecting of environmental<br />

the<br />

charge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ship-breaking on<br />

in<br />

water and the ship-breaking within the water areas of the<br />

the<br />

charge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ship-breaking<br />

in<br />

the fishing harbour water areas<br />

within<br />

charge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ship-breaking<br />

in<br />

the military harbour water areas<br />

within<br />

protection department of the people's<br />

environmental<br />

at/or above the county level<br />

government<br />

Superintendency Administration of the<br />

Harbour<br />

Internal Water Harbour and<br />

PRC(including<br />

Fisheries Administration and Fishing Harbour<br />

State<br />

Agency<br />

Suoerintendency<br />

Protection Department of the Armed<br />

Environmental<br />

Forces<br />

제1항 4호 “12해리 내에서 유류함유 오수를 배출하는 경우 처리를 거친 오수의 유류 함량은 12밀리그램을 초과할 수 없<br />

32)제15조<br />

12해리 이원에서의 오수 배출의 경우에는 리터당 100밀리그램을 초과할 수 없다.”<br />

으며,<br />

1990년 6월 22일 국무원의 제61호 문건으로 공포되었으며, 1990년 8월 1일부로 시행되었다.<br />

33)<br />

는 1992년 5월 20일 국무원 제104차 상무회의에서 통과되었으며,<br />

34)<br />

8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br />

1992년<br />

규정( 防 止 船 舶 和 沿 岸 固 廢 物 汚 染 長 江 水 域 管 理 規 定 )은 1997년 12월 24일 교통부, 건설부, 국가해양보호국이 공동으로 공<br />

35)본<br />

교통부령 제17호로 공포되었다. 본 규정은 수질오염방지법, 고체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방지법, 도시경관 <strong>및</strong> 환경위<br />

포하였으며,<br />

등의 법률, 법규 <strong>및</strong> 관련 국제조약에 의거하여 규정되었으며, 특히 해양환경과 선박쓰레기 <strong>및</strong> 연안고체폐기물로 인한<br />

생관리조례<br />

96 Yang, H. C. et al.<br />

선박을 말하나, 해상 석유 탐사 개발작업중의 고정식<br />

력의<br />

이동식 플랫폼을 포함하지 않는다(제52조). 조례는 150<br />

<strong>및</strong><br />

인한 해양환경 훼손은 선박해체에 의한 환경오염<br />

해체로<br />

의하여 집행한다(제3조). 전국의 육상기<br />

방지관리조례에<br />

이상의 유조선, 400톤 이상의 비유조선, 2000톤 이상<br />

톤<br />

유류 적재화물선은 해양환경보호법이 규정(제28조)하<br />

의<br />

오염물에 의한 해양환경오염은 국무원 환경보호 주관<br />

인<br />

담당하나, 각 연해지방에서는 縣 級 이상 지방정부<br />

부서가<br />

선박 오염방지문서를 구비토록 규정하고, 상기 기준 톤<br />

는<br />

이상의 유조선과 비유조선은 객실 오수와 평형수(밸러<br />

수<br />

분리토록 규정하고 있으며, 12해리 이내에서 오<br />

스트수)를<br />

배출할 경우에 대한 제한 규정을 두고 있다) 32) . 이<br />

수를<br />

기타 수역의 오염에 관하여는 아직 법률규정을 두고<br />

의<br />

않으며, 단지 선박쓰레기와 연안 고체폐기물로 인한<br />

있지<br />

이용한 폐기물 투척, 수상·수하 선박의 수선인용 <strong>및</strong><br />

을<br />

작업, 선박 오염 사고의 손해배상 등에 대한 상<br />

선박해체<br />

규정을 두고 있다. 특히, 제54조는 어항 수역내의 선<br />

세한<br />

문제에 관하여, 국가어정어항감독부서가 본 조례<br />

박오염<br />

<br />

규정하는 주관부서의 직권을 행사한다고 규정하고 있<br />

가<br />

항만중의 군사관할구역과 군용 선박의 내부 오염방<br />

으며,<br />

선박과 선박소유인(경영인) <strong>및</strong> 항구 하역시설 소유자에<br />

는<br />

적용되며, 국무원 교통행정 주관부서가 이 유역에서의<br />

게<br />

관리는 군대 환경보호 부서가 해양환경보호법과 본 조<br />

지<br />

근거하여 구체적 규정을 정하도록 하고 있다.<br />

례에<br />

인한 오염 방지의 관리책임을 수행토록 규<br />

선박쓰레기로<br />

있다. 정하고<br />

는<br />

관할해역에서 선박 해체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를<br />

중국<br />

국무원은 1988년 를<br />

종사하는 모든 개인과 조직에게 적용된다(제1조 <strong>및</strong> 제<br />

에<br />

려는 모든 단위와 개인에게 적용된다(제2조). 단, 선박의<br />

Extent of Jurisdiction<br />

Competent Authorities<br />

protection of the ship-breaking programmes<br />

Navigation Superintendency Administration)<br />

comprensive harbour<br />

State Administrative Department of Marine Affairs and the protection agencies of the main river systems shall … in cooperation<br />

※<br />

with the competent authorities<br />

양자강 수역 보호를 위해 제정되었다.


선박해체로 인한 환경보호업무 책임을 지며(제4조),<br />

에서의<br />

수원지와 해수의 담수화 취수점, 염장이나 주요 어업<br />

음용<br />

세창수( 洗 艙 水 )와 평형수는 배출 기준에 적합하여<br />

특히,<br />

하며, 처리하지 않은 평형수와 세창수는 선박해체로 인<br />

야<br />

오염을 주관하는 감독기관의 비준을 득하도록 하였다<br />

한<br />

(제13조).<br />

2006년 8월 제정된 <br />

후자의 규정이 우선 적용된다 37) .<br />

따라<br />

해안공정조례는 “해안 혹은 해안에 인접한 곳에<br />

우선,<br />

어업 공사, 바다 횡단 교량 <strong>및</strong> 터널 공사, 바다<br />

건설공사,<br />

해안 보호 공사 <strong>및</strong> 기타 일체의 해안·간석지의 자<br />

제방,<br />

상태를 변경하는 개발 건설 사업을 포함한다(제2조).<br />

연<br />

조례는 중국 국경내에서 해안건설 사업을 진행하는 모<br />

본<br />

특히, 해안건설사업을 진행하는 조직은 타당성 연구<br />

조).<br />

환경영향평가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하며,<br />

단계에서부터<br />

일정 투자 이상의 사업에는 국무원 환경보호 주<br />

바다매립,<br />

비준을 받도록 기준을 강화하였고, 어류의 주요<br />

관부서의<br />

사항을 추가하여 규정한 것을 근거로 제정되었다 38) .<br />

관련<br />

개념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해양경제의 지속적<br />

해양공정의<br />

해저관선, 해저전(광)선 매설 작업 ; (4) 해양광산자원<br />

(3)<br />

<strong>및</strong> 관련 부속 작업 ; (5) 해상조력 발전소, 파력<br />

탐사개발<br />

온도차 발전소 등의 해양에너지개발 건설 ; (6) 대<br />

발전소,<br />

인공어초 건설 ; (7) 염전, 해수의 담수화<br />

형해수양식장,<br />

등의 관련 기준을<br />

환경영향평가기술지침(GB/T19485-2)><br />

제정되었다 39) .<br />

근거로<br />

36) 2006년 8월 30일 국무원 제148차 상무회의 통과(국무원령 제475호), 동년 1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br />

제83조.<br />

37)<br />

제6장 참조.<br />

38)<br />

39)<br />

新 華 網 . “국무원 법제사무실의 관련 기자회견”(2006. 10. 6)<br />

40)<br />

三 同 時 제도란 해양공정의 환경보호 시설이 핵심 공정의 동시설계, 동시시공, 동시 가동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제16조.<br />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97<br />

등과 같이 특별보호가 필요한 지역에서는 선박 해체<br />

수역<br />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제5조) (Table 1 참조).<br />

를<br />

항행 가치를 지닌 수역, 전형적인 충적형 해안<br />

양식장이나<br />

매립을 금지토록 하였다(제7조).<br />

지역은<br />

전인대가 1999년 해양환경보호법을<br />

는<br />

때 특히 해양건설로 인한 해양환경오염 피해방지<br />

개정할<br />

1990년 5월 제정한 는<br />

의한해양환경오염방지관리조례(이하,<br />

발전 <strong>및</strong> 해역이용 방식의 다양화에 따라 도입된 것이<br />

인<br />

해양환경보호법은 해양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br />

다.<br />

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 해양환경에 영향을 주<br />

해안이나<br />

건설 사업으로 인한 환경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제정된<br />

는<br />

규정하지 않고 있으나, 해양공정조례는 “해양자원<br />

범위를<br />

개발, 이용, 보호, 회복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건설대상<br />

의<br />

해안선에서 해역 쪽으로 위치하여 건축, 개조, 확장 건<br />

이<br />

것”으로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br />

설되는<br />

함께 중국 관할해역에서의 건설로 인한 해양환경 보호<br />

와<br />

전문적으로 규정하고 관리하는 전문 행정법규이다. 양<br />

를<br />

메꾸거나 해상 제방 건설 ; (2) 인공도, 해상 <strong>및</strong> 해<br />

바다를<br />

저장시설, 바다를 가로지는 교량, 해저수로 건설 ;<br />

저물자<br />

모두 해역 <strong>및</strong> 인접지역에서의 건설사업으로 인한 해<br />

자는<br />

위한 전문 조례이지만, 적용 대상과 범위에<br />

양오염방지를<br />

차이가 있으며, 동시에 후자가 1999년 개정된 해양환<br />

서<br />

이후에 제정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만<br />

경보호법에<br />

전자(해안공정조례)와 후자(해양공정조례)의 불일치가<br />

일<br />

경우, 중국 입법법이 규정하는 “신법 우선의 원칙”에<br />

있을<br />

종합이용 건설 ; (8) 해상 레크레이션 <strong>및</strong> 운동, 경관개<br />

등<br />

건설 ; (9) 국가해양주관부서와 국무원 환경 주관부서<br />

발<br />

함께 규정한 기타 해양건설을 포함하는 것으로, 중국이<br />

가<br />

해역에서의 해양건설로 인한 해양환경 훼손 방<br />

관할하는<br />

해수를 통제하거나 해양을 이용하여 부분 혹은 전부의<br />

서<br />

완성한 것으로 해양환경에 영향을 주는 기본 건설<br />

기능을<br />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조례는 해양환경보호법이 규<br />

지를<br />

원칙과 관리경험을 전문가 의견수렴과


해양공정의 오염 배출 관리에 대하여, 조<br />

하였다(제3장).<br />

(1) 해양공정 오염 배출 보고제도, (2) 해양공정 오<br />

례는<br />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제36조).<br />

염방지를<br />

대한 예방과 통제에 관하여, 조례는 (1)<br />

해양오염사고에<br />

(3) 오염사고 응급처리의 상세화를 규정함으로<br />

보고제도,<br />

각급 지방정부와 관련 조직의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br />

써<br />

였다(제5장).<br />

42) 는 선박, 항공기, 플랫폼 <strong>및</strong> 기타<br />

<br />

폐기, 투기 목적의 운송 등의 행위에 적용된다(제2<br />

서의<br />

단, 투기에는 임대하여 이용하는 선박, 항공기와 기<br />

조).<br />

폐기물은 <br />

생하는<br />

규정에 따라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제2조 <strong>및</strong> 제3조).<br />

에<br />

제정된 <br />

1983년<br />

해양석유의 탐사, 개발, 생산, 저장 <strong>및</strong> 수송관 등의 관<br />

는<br />

실체적 규정과 절차적 요구를 종합하여 법정화, 절차<br />

의<br />

체계화한 것으로 모든 환경 관련 주체가 준수하여야<br />

화,<br />

법적 장치를 말한다.<br />

하는<br />

1999년 해양환경보호법 개정을 계기로 해양환<br />

중국은<br />

오염물 배출비용징수제도, 환경오염 훼손 시설의<br />

준제도,<br />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응급조치제도, 현장조사<br />

퇴출제도,<br />

선박유류오염에 대한 보험 <strong>및</strong> 유류오염에 대한 배상<br />

제도,<br />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주의할 만한 것으로는 (1)<br />

기금제도<br />

해양공정이 건설, 운영 중에 비준된 환경영향평가서의 상태가 발생한 경우, 건설단위는 해당 상황 출현후 20일내에 환<br />

41)제20조는<br />

대한 후평가를 실시한다. 후평가의 결론에 따라 개선조치를 하고, 또한 후평가 결론과 개진 조치를 원래의 공정환경영<br />

경영향에<br />

42)국무원이 1985년 3월 6일 공포하였으며, 동년 4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br />

허가증은 중국의 해양환경보호법 제55조 제2항의 규정에 근거한 것으로, 해양환경보호법은 “해양에 폐기물을 투기하고자<br />

43)폐기물<br />

조직은 국가해양행정 주관부서에 서면신청하고, 심사비준을 통해 허가증을 발급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br />

하는<br />

44) 제30조 <strong>및</strong> 관련 조항.<br />

98 Yang, H. C. et al.<br />

후 평가제도 41) , (3) 사용만료 후 제거 혹은<br />

환경영향의<br />

사용변경에 대한 감독관리 강화 등을 규정<br />

기타용도로의<br />

해양환경오염방지의 주요제도<br />

3.<br />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기본원칙이라 함은 해양<br />

중국에서<br />

방지 혹은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전 과정에서 준수되<br />

오염<br />

하는 기본 준칙을 말한다. 중국의 해양환경 보호를<br />

어야<br />

배출 비준과 비용부과 감독관리제도의 명확화, (3) 해<br />

염<br />

폐기물관리 상세화, (4) 오염물<br />

양유기탐사개발황동중의<br />

기본 원칙으로는 지속 가능한 발전 원칙, 예방을 위<br />

위한<br />

하되 방지를 결합한 원칙, 오염자 부담원칙, 경제건<br />

주로<br />

제한과 금지 규정을 두고 있다(제4장). 해양공정<br />

배출의<br />

인한 오염 배출에 대하여는 소위 “ 收 支 兩 條 線 ” 관<br />

으로<br />

환경보호의 조화원칙 등으로 국제적 환경보호 흐름<br />

설과<br />

크게 다르지 않다. 단, 중국은 해양환경보호의 의무적<br />

과<br />

시행하고 있는데, 이는 오염물 배출에 대한 금<br />

리제도를<br />

모두 재정예산에 산입하고, 모든 금액을 해양환경오<br />

액은<br />

강화하고 환경법이 규정하는 목표와 임무 수행을<br />

요건을<br />

위해 이들 기본원칙에 근거하여 ‘기본제도’를 입<br />

제고하기<br />

있다. 이는 환경감독관리에서 보편적 의의를 갖<br />

법화하고<br />

법률규칙이자 절차로써, 특정 혹은 일련의 환경보호 관<br />

는<br />

인한 해양환경 훼손에 대한 응급조치<br />

해양공정오염으로<br />

시간, 내용에 대한 단계별 조치, (2) 오염사고<br />

편제주체,<br />

조정하는 법률규범을 말한다. 따라서, 해양환경보호<br />

계를<br />

일반적 환경법률 규범이나 환경보호법의 기본<br />

기본제도는<br />

다른, 그러나 환경보호법률 규범의 중요한 구성<br />

원칙과는<br />

즉, 해양환경보호의 기본제도는 환경오염방지<br />

부분이다.<br />

통한 폐기물과 기타 물질 투기를 방지하기 위<br />

적재기구를<br />

것으로, 중국의 내해, 영해, 대륙붕과 기타 관할해역에<br />

한<br />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본제도를 도입하였<br />

경의<br />

여기에는 원래의 환경영향평가와 三 同 時 제도, 해양<br />

는데,<br />

적재기구 <strong>및</strong> 시설이 정상적인 조작으로 생성되는 폐기<br />

타<br />

배출을 포함하지 않으며, 석유탐사개발 과정에서 발<br />

물의<br />

대한 손해배상제도 외에, 해양기능구역과 해<br />

환경오염에<br />

중점해역오염물 총량제, 해양환경기<br />

양환경보호계획제도,<br />

폐기물관리에 관한 중요한 원칙중의 하나는 폐기<br />

중국의 43) , 허가증은 그 폐기물의 독성과 유해<br />

물허가증제도인데<br />

함량, 해양환경에 대한 영향 요소 등에 따라 긴급허<br />

물질<br />

특별허가증, 보통허가증으로 구분된다(제6조내지<br />

가증,<br />

오염물 배출량 통제제도, (2) 해양환경영향평가<br />

중점해역<br />

(3) 三 同 時 제도, (4) 해양오염물 배출비용징수제, (5)<br />

제도,<br />

제11조).<br />

배출허가제, (6) 해양환경오염방지기준화제도<br />

해양오염물<br />

있다. 등이<br />

작업활동에 44) 관하여 제정한 행정법규로서, 중국의 관<br />

련<br />

석유탐사개발에 종사하는 모든 자와 이들이<br />

할해역에서<br />

배출총량 통제제도<br />

중점해역오염물<br />

대한 오염물 배출총량 통제제도는 1999년<br />

중점해역에<br />

고정식 <strong>및</strong> 이동식 플랫폼 <strong>및</strong> 기타 관련시설에<br />

사용하는<br />

적용된다(제2조).<br />

개정된 에 의해 도입된 제도로서, 제3<br />

향평가보고서를 비준한 해양주관부서에 보고하고 등록한다.


주요 오염원에 대하여 배출량을 분배하여야 한<br />

정하며,<br />

구체적 조치는 국무원이 제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br />

다.<br />

환경 최대 허용치를 확정하는 제도를 말한다.<br />

오염물의<br />

확정되면 확정 지역의 각 기업단위의 오염물 배<br />

허용치가<br />

중국 은 “계획과 건설프로젝트<br />

것으로,<br />

실시후 환경에 야기될 수 있는 영향을 분석, 예측, 평가<br />

의<br />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예방하거나 경감하기 위한 대<br />

하고,<br />

조치를 제기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방법과 제도”<br />

책과<br />

규정하고 있다(제2조).<br />

로<br />

중국에 처음 규정된 것은 1979년<br />

환경영향평가제도가<br />

조직은 국가 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br />

는<br />

보고와 관련하여 중국은 해안공정건<br />

해양환경영향평가<br />

자문을 받아야 한다 52) .<br />

보호부서의<br />

외에, 해안공정과 해양공정은 일정 면적 이상의 바<br />

이<br />

徐 와 申 (2006). p. 55-56.<br />

45)<br />

2002년 10월 28일 제9기 전인대 상무위원회 제30차 회의에서 통과되었으며, 2003년 9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br />

46)<br />

제2장, 제3장 참조.<br />

47)<br />

1998년의 는 각 유형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가행성연구단계와 건설사업 개시 전에 환경<br />

48)예컨대,<br />

대한 보고, 비준을 완료토록 요구하고 있다.<br />

49) 영향평가에<br />

제7조.<br />

제43조.<br />

50)<br />

제10조.<br />

51)<br />

제47조.<br />

52)<br />

경우 5만 畝 이상의 해역을 개발하거나 국가가 규정한 투자 한도액 이상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보고서는 관련 사업 주<br />

53)해안공정의<br />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99<br />

“국가는 중점 해역의 오염물 배수 총량 통제제도를<br />

조는<br />

주요 오염물의 해역배수 총량 통제 기준을 확<br />

실시하고,<br />

환경영향평가에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br />

대중이<br />

있다고 평가된다.<br />

고<br />

환경영향평가제도는 (1) 환경영향평가를 계획된<br />

중국의<br />

건설프로젝트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로 구<br />

환경영향평가와<br />

총량 통제제도는 특정 해역에서 예정된 환경목표<br />

오염물<br />

해당 지역의 환경용량 등의 환경상황에 근거하여 주요<br />

나<br />

있으나, 건설프로젝트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위<br />

분하고<br />

하고 있다는 점, (2) 환경영향평가가 법적 강제성을<br />

주로<br />

있다는 점, (3) 환경영향평가와 기본건설관리 절차<br />

가지고<br />

밀접하게 연계하여 관리하고 있다는 점, (4) 정도가 다<br />

를<br />

최고 허용치를 확정하고, 여기에서 설정한 배출<br />

출량을<br />

통해 각 기업의 오염물 배출활동을 규제<br />

총량통제지표를<br />

환경영향을 야기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 각각 다른 관<br />

른<br />

시행한다는 점 48) , (5) 환경영향평가에 종사하고자 하<br />

리를<br />

하게 된다 45) .<br />

해양환경영향평가제도<br />

환경수준에 대한 예측평가를 의미하는<br />

환경영향평가는<br />

해양공정건설을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음에 주의할<br />

설과<br />

있다. 먼저, 1990에 제정된 는 환<br />

필요가<br />

보고서는 반드시 해양행정 주관부서를 통해<br />

경영향평가<br />

제출한 후, 환경보호 행정주관부서의 심사 비<br />

심사의견을<br />

받도록 하고 있다 49) . 환경보호 행정주관 부서는 환경<br />

준을<br />

보고서를 비준하기 전, 해사·어업 행정주관 부서와<br />

영향<br />

환경보호 부서의 의견을 구하여야 한다 50) . 단, 는<br />

에서였으며, 이후 1981년 國 家 計<br />

의<br />

· 建 委 ·국무원 환경보호 소위원회가 함께 공포한 와 1986년 이를 개정<br />

본건설프로젝트<br />

, 국무원이 1996<br />

공포한<br />

51) . 해양행정 주관 부서는 해양환경영향 보고서를 비준<br />

다<br />

전에 반드시 해사·어업행정 주관부서 <strong>및</strong> 군대 환경<br />

하기<br />

공포한 , 1998년의<br />

년<br />

통해 환경영향평가<br />

등을<br />

대한 기준과 요구를 제고하였다. 특히, 2000년<br />

보고서에<br />

전인대 환경과 자원보호위원회가 제출한 이<br />

시행되고 있다 46) .<br />

통과되어<br />

필요한 해양자원과 환경 훼손의 여지를 통제하고<br />

호가<br />

있다.<br />

처음으로 환경영향평가의 범위를 단<br />

환경영향평가법은<br />

건설프로젝트에 대한 영향평가에서 계획에 따라 추<br />

순한<br />

진하는 환경영향평가로 그 범위를 넓히고 47) , 동시에 일반<br />

同 時 제도 三<br />

三 同 時 ’제도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신축, 개축,<br />

‘<br />

예비 심사 후, 국무원 환경보호 행정주관 부서가 심사비준토록 하였으며 ; 해양공정의 경우, 50헥타르 이상의 바다를 메<br />

관부서의<br />

공정이나 100헥타르 이상의 바다를 에워싸는 공정, 혹은 해양권익과 국방안전 등의 특수 성질에 관련되는 공정 등에 대하여<br />

꾸는<br />

국가 해양주관 부서가 비준토록 규정하고 있다. 제7조 ; 제11조


동시에 투입되어 사용되어야 한다는 중국에 특유한 제<br />

며,<br />

말한다. 도를<br />

同 時 제도는 1972년 국무원이 비준한 가 “수체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오염물을 배출<br />

行<br />

배출허가제는 상술한 오염물 총량통제를 전제로<br />

특히,<br />

할 수 있으며, 오염물 배출총량제도는 배출허가증<br />

한다고<br />

‘허가’라 함은 환경보호 행정주관부서가 관리 상대자의 신청에 근거, 법적 절차에 의거하여 심사하고 특정 행위를 할 수<br />

57)본문에서<br />

허가하는 행위 말한다. 법률상, 환경보호행정허가는 인가, 승인, 등기 등으로 구분되며 통상적으로는 증서의 형식으로 표<br />

있도록<br />

증서는 환경보호 행정기관의 비준, 발행한 허가증, 자격증서, 등기증서, 비준증서, 비준 등의 각종 형식의 증서와 문서를<br />

현된다.<br />

포함한다.<br />

58) 제11조.<br />

59)<br />

環 發 (2003)64호.<br />

100 Yang, H. C. et al.<br />

사업, 기술 개조사업, 지역개발사업이나 자연자<br />

확장건설<br />

사업 등에 대한 환경보호 조치를 말한다. 즉, 이들<br />

원개발<br />

하며, 기타 용도로 전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br />

용하여야<br />

있다.<br />

대하여는 오염과 기타 공해방지 시설, 환경보호조<br />

공사에<br />

반드시 핵심 공정과 동시에 설계되고 동시에 시공되<br />

치가<br />

배출허가제<br />

해양오염물 57) 환경오염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자는 반<br />

배출허가제란<br />

법정 절차에 따라 환경보호 행정주관부서에 오염물<br />

드시<br />

방지상황을 보고하고, 관련 자료를 제공하며, 관련<br />

배출과<br />

· 建 委 關 於 官 廳 水 庫 汚 染 情 況 和 解 決 意 見 的 報 告 )>에서 처<br />

委<br />

등장하였고, 1979년 에서 재차 확<br />

음<br />

‘ 三 同 時 ’ 제도를 규정하고 있으며, 1998년에는 원래<br />

모두<br />

를 대폭 개정한 를<br />

강화하고 있다.<br />

집행을<br />

국무원은 를 통해 처음 오염물배출신고허가제를 규<br />

汚<br />

이래, 1984년 과 등<br />

정한<br />

주요 법규에 규정되었으며, 2003년 4월 국가환경보호<br />

의<br />

59) 을 통해 오염물 배출비<br />

汚<br />

있으며, 특히 해양공정으로 인한 환경보호 시설의 검<br />

하고<br />

검수는 환경보호 부서가 아닌 해양행정 주관부<br />

사비준과<br />

서가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54) .<br />

대한 신고등기, 심사, 공고, 통지, 집행 등의 절차와<br />

용에<br />

요구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였다.<br />

관련<br />

오염물 배출허가제에 대한 규정을<br />

은<br />

있지 않으나, 1988년 국가환경보호국이 제정한


이중 365건은 중국국가기준, 기타 74건은 업종기<br />

었으며,<br />

보고된다. 국가환경기준에는 환경질량기준에 관<br />

준이라고<br />

관한 기준이 29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61) .<br />

경샘플에<br />

제9조를 통해 “국가는 해양환경과<br />

은<br />

63) 등을 들 수 있으며, 오염물 배출과 관<br />

<br />

국가해양국이 1984년 제정한 과 1999년 국가환경보호총국이 제정한 이 있다.<br />

종합배출기준(<br />

환경기준은 크게 국가가 제정한 환경기준과 지<br />

중국의<br />

(4) 국가환경샘플기준, (5) 국가환경기초기<br />

터링방법기준,<br />

등으로 구분된다.<br />

준<br />

4. 중국 해양환경보호법제의 문제점<br />

중국의 이 통과된 이래, 1991<br />

1982년<br />

부터 시작된 에서는 해양정책이 처음 중국<br />

년<br />

1999년 국가환경보호총국이 공포하여 실시한 제3조.<br />

60)<br />

정책법규사. . p. 581-592.<br />

61)국가환경보호총국<br />

GB11607-89.<br />

62)<br />

GB3097-1997.<br />

63)<br />

64)해양환경오염방지 법률의 특징에 대하여는 徐 와 申 (2006). p. 51 참조.<br />

국민경제 5개년 계획에 반영되었으며, 2006년 에서는<br />

더구나, 해양환경 보호 <strong>및</strong> 관련 정책을 위해 국제 환<br />

한다.<br />

질서로의 부단한 편입과 수용을 시도한 중국의 노<br />

경규범<br />

중국의 해양환경보호법제의 성과에도 불구하고<br />

그러나,<br />

경제건설을 위한 현대화 작업과 국제사회 보다 약<br />

중국의<br />

차이는 중국의 해양환경 관련 입법체계 뿐만 아니<br />

러한<br />

기타의 사회 <strong>및</strong> 경제적 환경 등이 갖는 체제적 한계<br />

라,<br />

태도를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으로 작용한다. 특<br />

적<br />

해양환경의 중요성과 일단 오염된 환경에 대하여는 원<br />

히,<br />

제정함으로써 해양환경 보호와 개선, 해양자원의 보<br />

법을<br />

오염훼손의 방지, 생태균형의 유지, 경제와 사회의 지<br />

호,<br />

발전을 촉진할 것임을 규정하고 있다. 이 외에,<br />

속가능한<br />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각 영역별, 오염원인별 법령을<br />

각<br />

일련의 기본적 체제를 갖추고 있다는 점과,<br />

제정함으로써<br />

입법체계 외에, 각 지방의 특징을 반영한 지방성 법<br />

중앙<br />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101<br />

통해 그 효과적 실시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점에<br />

제도를<br />

양자는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br />

서<br />

해양정책이 국가의 중요한 실천과제로 대두되었다<br />

중국의<br />

것과 국민경제 발전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의미<br />

는<br />

해양환경오염방지기준화제도<br />

기준화라 함은 “국무원 환경보호 주<br />

해양환경오염방지<br />

省 級 인민정부가 관련 법규에 근거하여, 환경오<br />

관부서와<br />

방지와 생태균형 유지를 위해 통일이 필요하다고 요구<br />

염<br />

국내법 제정과 방향성 설정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br />

력이<br />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br />

는<br />

각항의 기술규범과 기술요구에 대하여 제정한 각종<br />

되는<br />

총칭”이라고 할 수 있다 60) . 이중 “관련 법규”라 함<br />

기준의<br />

과 을 의미하며, 2001년<br />

은<br />

기준으로 중국에선 총 439건의 환경기준이 제정되<br />

4월을<br />

늦게 시작한 해양환경보호 입법화 작업은 여전히<br />

10여년<br />

비교하여 많은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물론 이<br />

국제기준과<br />

것이 10건, 오염물배출기준이 약 85건, 환경기초기준<br />

한<br />

12건, 환경모니터링방법에 관한 기준이 229건, 국가환<br />

이<br />

등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br />

유기적 법률관계 미비<br />

해양환경보호의<br />

관한 입법은 국내 <strong>및</strong> 국제 환경규범 집<br />

해양환경보호에<br />

근거하여 국가해양환경 질적 기준<br />

국가경제·기술조건에<br />

정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국가의 기준이 설<br />

을<br />

대한 개발, 자원이용 <strong>및</strong> 환경보호에 대한 현실적 요<br />

행에<br />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일국의 관련 영역에 대한 정책<br />

구를<br />

않을 경우에는, “연해성·자치구·직할시 인민정<br />

정되지<br />

지방해양환경의 기준을 제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br />

부는<br />

따라, 연해 지방 각급 인민정부는 “해양환경보호의<br />

이에<br />

임무를 확정 하고, 인민정부 업무계획에 포함시켜<br />

목표와<br />

되돌리기 어렵다는 불가역성을 고려할 때, 과학 기<br />

점으로<br />

수단을 바탕으로 해양환경관리 정책을 수립할<br />

술이라는<br />

기준에 따라 관리를 시행”하여야 한다. 중국이<br />

해양환경<br />

시행중인 해양환경질량 기준에는 62) ,<br />

이미<br />

있는데, 이는 국제적 규범과 발전 추세를 이해하고<br />

필요가<br />

국내 입법체제를 부단히 개혁할 필요가 있음<br />

반영하면서<br />

의미한다. 이는 해양환경방지법에 관한 규범이 기타 법<br />

을<br />

비교할 때, 의무가 강조된다는 점, 비교적 높은<br />

률규범과<br />

과학기술을 요구한다는 점, 국제적 협력을 강조한<br />

정도의<br />

점과 무관하지 않다 64) .<br />

다는<br />

측면에서, 중국이 이미 환경보호 법제건설의 중<br />

이러한<br />

강조하고 해양환경보호법제를 수립하고 있다는 것<br />

요성을<br />

제정한 환경기준으로 나뉘며, 분류 방법에 따라<br />

방정부가<br />

(1) 환경질량기준, (2) 오염물배출기준, (3) 환경모니<br />

서는<br />

대하여는 긍정적 평가를 내릴만 하다. 예를 들어, 해양<br />

에<br />

대한 보호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해양환경보호<br />

생태환경에


근거 법률의 모호성<br />

적용<br />

불구하고, 중국의 해양환경보호법제는 여전히<br />

그럼에도<br />

구조적 측면에서는 “해양환경감독관리”<br />

양환경보호법은<br />

“해양생태보호”라는 새로운 장을 추가한 것 외에,<br />

와<br />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66) . 또한 후자의 경<br />

지관리조례>가<br />

가 아닌


특정의 환경위해행위가 범죄를 구성하여 형사처벌을<br />

서,<br />

위해서는 환경보호법 위반으로 인한 오염과 환경파<br />

받기<br />

중국 형법 제13조는 “사정이 경미하고 손해가 크지<br />

된다.<br />

경우는 범죄로 볼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음을 볼<br />

않은<br />

일정한 위법행위의 위해성이 행정위법인가 형사범죄<br />

때,<br />

구분하는 것은 해당 행위의 성질을 구분하는 것이<br />

인가를<br />

관건임을 알 수 있다.<br />

일차적<br />

7월 9일, 국무원이 공포한 제3조는 “법집행 행정기관이 법에 의<br />

嫌<br />

있음에도, 실효적 효과를 발휘하는 데는 많은 한계가<br />

두고<br />

의미한다. 있음을<br />

위법행위를 조사하는 중, 위법사실과 관련된 금<br />

거하여<br />

위법사실과 관련된 사정, 위법사실이 조장한 결과 등<br />

액,<br />

들어, 1997년 3월 개정되어 동년 10월부터 시행된<br />

예를<br />

은 제6장 제6절을 통해 “환경자원보호 훼손<br />

중국<br />

발견할 경우, 형법의 사회주의시장경제질서죄 파괴에<br />

을<br />

죄, 사회관리질서 방해죄 등의 규정과 최고인민법<br />

관한<br />

신설하였는데, 이에 의하면 환경자원보호훼손죄는<br />

죄”를<br />

방해죄”에 해당되며, 제338조에서 제346조<br />

“사회관리질서<br />

사회주의시장경제질서죄, 사회관리<br />

원·최고인민검찰원의<br />

등에 관한 사법해석, 최고인민검찰원·공안부<br />

질서방해죄<br />

<strong>및</strong> 를 통해 모두 15종류의 환경자<br />

규정<br />

열거하고 있다 69) . 주의할 것은, 이들 환경<br />

원보호훼손죄를<br />

경제범죄 사건 소추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범죄<br />

의<br />

혐의가 있는 경우로, 법에 따라 형사책임 소추가 필<br />

구성<br />

범죄행위는 모두 특정 사회 위해성을 명<br />

보호영역에서의<br />

갖추어야 범죄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br />

확히<br />

행위가 사회위해성을 구성하여 행정처벌이 아닌 형법<br />

괴<br />

규정하는 범위행위에 해당하여야 하고, 이러한 사회 위<br />

이<br />

연관된다. 이러한 범위에 관련된 위법행위는<br />

범죄행위에<br />

경우 이미 형법상의 “환경자원보호 훼손죄”에 포함<br />

많은<br />

“수량이 비교적 크거나”, “수량이 거대”하거나, “심<br />

해성이<br />

결과를 야기”하거나, “결과가 특별히 심각”하거나,<br />

각한<br />

심각”하거나, “사정이 특별히 심각”한 경우 등의<br />

“사정이<br />

기준의 정도에 이를 것을 요구한다 70) . 해양환경<br />

‘모호한’<br />

법률규정을 보건대, 중국 해양환경보호법 제91조는<br />

관련<br />

중대한 오염을 야기한 사고로 公 私 의 재산에<br />

해양환경에<br />

행위에 대하여도 형사적 이송절차로 이송된 경우가<br />

오염<br />

이를 반증한다.<br />

없음이<br />

손실이나 인신 상해를 야기한 경우, 법에 따른 형<br />

중대한<br />

추궁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해양공정조례<br />

사책임을<br />

제50조와 제52조를 통해, 관련 책임 주관부서의 책<br />

또한<br />

<strong>및</strong> 기타 직접 책임자에 대한 형사책임 추궁 등을 규<br />

임자<br />

해역 수질기준에 미치지 못한 해역은 전체 해역면<br />

역에서<br />

약 55%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br />

적의<br />

있다. 그러나, 실제 법집행 과정에서 무엇이 “중대<br />

정하고<br />

손실”이고 무엇이 “중대한 사고”인지, 또한 “심각한 결<br />

한<br />

무엇을 의미하는지의 정확한 기준이 설정되지 않고<br />

과”란<br />

범죄 구성여부에 대한 통제기준 역시 사실상 ‘주<br />

있으며,<br />

강조된다는 측면에서 해양환경 범죄를 효과적으<br />

관성’이<br />

처벌하는 데는 실질적 효력을 발휘하지 않는다고 생각<br />

로<br />

실시한 단속결과, 약 1383건의 행정처벌을 행하였으<br />

여<br />

이를 형사처벌로 이송한 경우는 한건도 없었다 71) . 이<br />

나,<br />

법집행의 한계성은 관련부서가 법집행 과정에서 행<br />

러한<br />

형사처벌 수단을 정확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명<br />

정처벌과<br />

기준 제시 노력이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정책과 동시<br />

확한<br />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br />

에<br />

벌금으로 처벌할 수 밖에 없었음을 토로한 바 있다. 蔡 岩 紅 . “ 我 國 海 洋 境 保 護 法 律 制 度 需 完 善 (해양환경보호법률제도 정<br />

하는<br />

긴요)”( 中 國 法 制 日 報 , 2007.9.11).<br />

비가


결론 : 중국해양환경보호법제의 전개 방향과<br />

5.<br />

시사점<br />

1992년 리우선언 <strong>및</strong> 의제21 이후에는 을<br />

고려하여” 관련 법령을 채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br />

전을<br />

대하여 중국 해양환경보호법은 제4장 제41조를 추가<br />

이에<br />

<strong>및</strong> “대륙붕의 천연자원 개발, 관선에 의한 오염의<br />

건설”<br />

경감 <strong>및</strong> 통제”를 위한 합리적 조치를 취할 것을 규<br />

방지,<br />

만을 규범하고 있었으나, 개정된 법률은 제5장과 제6<br />

염<br />

통해 각각 “해안(해양)공정건설 프로젝트의 해양환<br />

장을<br />

대한 오염훼손”에 대한 상세한 규정을 추가하고 있<br />

경에<br />

중국은 1972년 채택된 해양투기방지를 위한 런던협약<br />

다.<br />

74) . 있다<br />

사고에 대한 응급조치에 대하여는 유<br />

해양환경오염훼손<br />

중국이 1980년 가입한《유류오염민사책임협약》(1969<br />

다.<br />

통과, 1975년 발효)은 해양유류오염에 대한 통일적 배<br />

년<br />

규정하고 당사자의 민사책임을 확정하고 있다.<br />

상제도를<br />

현행 해양환경보호법은 1982년 구법이 간략하게<br />

중국의<br />

손해단위(개인)의 배상청구권을 구체화하여,<br />

규정하였던<br />

선박유류오염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제도를 실시<br />

국가는<br />

해양환경법제의 전개방향<br />

중국<br />

해양환경보호 규범의 국내법적 수용을 통한 법<br />

국제적<br />

2006년 2월 13일에서 17일간 UN본부에서 개최된 회의( )에서는 정부대표, UN산하 전문기구, 정부간기구, NGOs <strong>및</strong> 수산업 관계자를 포함한 약 250명이 “국가 관할<br />

관한<br />

104 Yang, H. C. et al.<br />

1985년 가입하였는데, 이의 국내법적 이행조치로 해양<br />

에<br />

제7장은 폐기물의 해양투기로 인한 오염훼손<br />

환경보호법<br />

대한 규정을 통해 단위와 개인에 대한 투기행위를 엄<br />

에<br />

규율하고 있다. 1991년 가입한《국가간 폐기물이<br />

격하게<br />

문제는 전세계의 중심 화제이면서 가장 중요<br />

환경보호<br />

국가 정책으로 대두되었다. 국가 관할권 이원 해역에서<br />

한<br />

관한 바젤협약(1989)》에 대한 조치로는 역외 폐기<br />

동에<br />

중국 해역에서 폐기될 수 없는 금지규정을 추가하고<br />

물이<br />

자원개발 또한 생물다양성과 지속가능한 이용이라는<br />

의<br />

안에서 수행되도록 환경기준을 강화하는 것 역시<br />

테두리<br />

움직임과 무관하지 않다 72) . 중국 역시 1972년 유<br />

이러한<br />

이후 해양환경보호법과 환경보호법을 제<br />

엔인간환경회의<br />

제198조와 ILO의《1990년 유류오염대비·<br />

엔해양법협약<br />

<strong>및</strong> 협력에 관한 국제협약》이 응급계획과 협조사항<br />

대응<br />

강조하고 있는데, 중국의 해양환경보호법은 제18조에<br />

을<br />

국가가 “중대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응급계획”을 제정<br />

서<br />

정부차원의 행동지침을 추진하고 있음은 이미 지적한<br />

한<br />

같다. 이는 일국의 국내법인 해양환경보호입법이 국<br />

바와<br />

촉구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중국 국가해사국은 을 개정된 해양환경보호법과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선<br />

劃<br />

유류오염 사고에 대한 국내법적 조치를 제시하고 있<br />

박<br />

국제법적 성격을 가질 수 밖에 없다는 의미이기도<br />

면서도 73) . 하다<br />

국내 입법과정에서 국제적 해양환경 규범을 수<br />

중국이<br />

있다는 증거는 해양환경보호법 개정 전후의 내용<br />

용하고<br />

통해서도 찾을 수 있다. 먼저, 대기오염에 대하여는 유<br />

을<br />

제212조는 각국이 “대기로 부터, 또는 대기<br />

엔해양법협약<br />

통한 해양환경 오염 방지, 경감 <strong>및</strong> 통제를 위하여 국제<br />

를<br />

합의된 규칙, 기준, 권고관행과 절차 <strong>및</strong> 항공의 안<br />

적으로<br />

있다. 이에 따라 선주와 貨 主 는 위험에 대한 공<br />

규정하고<br />

부담하고, 선박유류오염 보험과 유류오염 배상<br />

동책임을<br />

기금제를 건립하고 있다.<br />

“국가가 대기 혹은 대기를 통하여 야기하는 해양환<br />

하여<br />

손해를 방지, 경감, 통제하기 위한 필요 조치”를<br />

경오염<br />

규정하였다. 해양개발 활동에 대하여는 유엔해<br />

취하도록<br />

제60조와 제79조가 “인공섬, 시설 또는 구조물<br />

양법협약<br />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중국학자<br />

제건설이<br />

평가는 여전히 그 양자간의 갭을 지적하고 있다. 이<br />

들의<br />

본문에서 지적한 법적, 집행적 문제점 외에 해양환경보<br />

는<br />

위한 공권력 혹은 기관 간의 문제점 <strong>및</strong> 효율성을 담<br />

호를<br />

있다. 1982년 중국 해양환경보호법은 해양개발활<br />

정하고<br />

대하여 단지 해양석유탐사개발 방지와 해양환경 오<br />

동에<br />

위한 직능상의 합리적 배분과 상당한 관련을 갖고<br />

보하기<br />

예를 들어, 중국의 역사적 원인은 지역발전을 위한<br />

있다.<br />

이외의 해양환경보호에 대하여 지방정부의 적극<br />

경제발전<br />

유도하는 것이 상당한 한계를 갖게 한다. 물론, 지방<br />

성을<br />

정부의 환경보호 조치와 정책적 방안이 시도되고는 있으<br />

이원 영역의 해양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제적 협력 강화와 실행 가능한 접근 방법을 논의하였다. 또<br />

권<br />

2006년 12월에는 UN 총회에서 157표의 찬성으로 해양과 해양법에 관한 문제의 결의안(A/61/L.30)이 통과되었는데, 여기에는<br />

한,<br />

활동과 심해 생물다양성 문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결의안은 para.28을 통해 해저기구가 유엔해양법협약 제<br />

심해저<br />

따라 지속적으로 규칙, 규정 <strong>및</strong> 절차를 확립함으로써 심해저 자연자원을 보호, 육성하도록 하며, 또한 심해저 활동이 그<br />

145조에<br />

야기할 수 있는 유해한 영향을 방지토록 지적하고 있다.<br />

동식물에<br />

등(2008). p. 35. ; Hartley(1999). p. 123-148 ; 김대순(2005). p. 195 재인용.<br />

73)권<br />

제55조와 제87조 참조.<br />

74)해양환경보호법


이는 해양환경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국가정책과 통일<br />

나,<br />

기준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지방<br />

적<br />

할 내용도 있다. 현재 중국에는 국가환경보호총국(7<br />

아야<br />

국가해양국(10개), 농업부(3개), 국가임업국(9개)이 각<br />

개),<br />

지역적 협력 프로그램 북서태평양행동계획<br />

Activities),<br />

Pacific Action Plan), 남중국해와 태국만프로<br />

(North-West<br />

UNEP/GEF Project in the South China Sea and<br />

젝트(the<br />

of Thailand), 황해광역해양생태계프로젝트(UNDP/<br />

Gulf<br />

제7조는 “해사법원은 선박의 유류 혹은 기타 유해물질 배출, 누수, 폐기, 해상에서의 생산·작업 혹은<br />

75)<br />

선박수리 중에 발생한 해역오염 손해에 의하여 제기된 소송에 대한 배타적 관할권을 갖는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규<br />

선박해체,<br />

최고법원의 사법해석에 규정되지 않았다는 것이 안건을 수리할 수 없다는 것으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육<br />

76)물론,<br />

오염에 대하여 최고법원이 관할을 확정할 때에는 해당 원인으로 인해 오염이 대상이 해역뿐만 아니라 육상 혹은 기타 환<br />

상기인<br />

77)<br />

王 曙 光 (2004). p. 51.<br />

해양환경보호를 담보하기 위한 또 다른 문제점은 일반인의 환경에 대한 의식과 관련된다. 해양환경은 특히 일반 대중의<br />

78)중국의<br />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도, 개인적 이익과 충돌할 경우에는 그 유효성을 담보하기가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시장경제가<br />

생존과<br />

물론, 일반 대중의 환경정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중국 환경당국의 노력 역시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06년 3월 중국<br />

있다.<br />

를 제정한 이후 1) , 환경영향평가 심사제도<br />

국가환경보호총국은<br />

대중의 환경권익을 수호하기 위한 긍정적 조치로 해석된다. 중국 環 境 報 (2007. 4. 26).<br />

으로써<br />

國 家 環 境 保 護 總 局 (2006. 10). p. 7.<br />

79)<br />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105<br />

보다 명확하게 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단, 이 규<br />

사항을<br />

중국의 기타 법률규정과 사법해석과 마찬가지로 육<br />

정은<br />

이익을 차순위로 하는 환경보호정책이 제시될 필요<br />

정부<br />

있다. 해양환경보호라는 속지적 성격을 강조하여 법률<br />

도<br />

해양오염안건에 대한 관할 규정을 포함하고 있지<br />

상기인 76) . 전체 해양환경 오염의 약 80%가 육상기인 임을<br />

않다<br />

지방정부의 정책권한과 관할범위를 명확하게 함으로써<br />

이<br />

적극성을 확보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일 것이다. 또 다<br />

그<br />

때 77) , 이러한 육상기인 해양오염에 대한 관할권 조<br />

고려할<br />

부재는 분명한 입법 흠결이며, 효과적인 사법제재를<br />

항의<br />

문제점은 해양환경 관련 행정행위와 다른 영역과의 차<br />

른<br />

고려하는 시스템 전환의 필요성에서 찾을 수 있다.<br />

이를<br />

법집행 확보의 측면에서 육상기인 해양오염 사항에<br />

통한<br />

해사법원의 관할 범위를 확대하는 것으로 개정<br />

대하여는<br />

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본다 78) .<br />

지적한 바와 같이, 해양은 과학기술과 많은 연관성을<br />

이미<br />

있으며, 동시에 국제적 확대 가능성(정책적이든 환<br />

가지고<br />

내포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전통적 행정계<br />

경영향이든)을<br />

행정명령, 행정처벌 등의 강제적 수단을 통해 정책목<br />

획,<br />

시사점<br />

지적한 중국해양환경정책의 문제점에도 불구하<br />

위에서<br />

달성하기에는 너무 많은 사회 환경적 조건이 <strong>변화</strong>되<br />

표를<br />

의미한다. 이 외에,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행정처<br />

었음을<br />

중국의 해양환경 법제화 노력과 정책적 추진 역량에<br />

고<br />

긍정적 평가와 함께 우리에게는 반면교사로 삼<br />

대하여는<br />

현재 중국에서 해양환경보호에 대한 거의 유일한 처<br />

벌이<br />

수단임을 고려할 때, 사안에 따라 형사 처벌을 강화하<br />

벌<br />

것 역시 해양환경오염이 갖는 심각성을 각성시키는 방<br />

는<br />

것이다. 법일<br />

주관하고 있는 총 2.5만km 2 면적의 29개 국가급 해양<br />

각<br />

지정되어 있다 79) .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노<br />

자연보호구가<br />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또 다른 문제는 육지기인<br />

중국의<br />

오염에 대한 관할법원의 명확화와 관련된다. 중국<br />

해양<br />

1980년대부터 꾸준히 추진되었고, 입법적 측면에서<br />

력도<br />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된다. 또한, 해양오염의<br />

는<br />

해양환경보호에 관한 안건의 심리는 주로 해사법원<br />

에서<br />

전속 관할 사항에 속한다 75) . 이에 따라, 해사법원은 민<br />

의<br />

국내적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참여<br />

특성상<br />

온 국제적 프로그램 GPA(Global Programme of<br />

하여<br />

Action for the Marine Environment from Land-based<br />

기초로 중국의 에 의<br />

사소송법을<br />

심리를 진행한다. 2001년 9월 18일 최고인민법원<br />

거하여<br />

을 통과시켰는데, 해당 규정은 해사법원이 수리<br />

의<br />

할 수 있는 해양환경 안건의 범위를 보다 확대하고 관할<br />

볼 때, 해사법원의 주된 관할사항은 선박 오염사건, 해상활동으로 야기된 오염사건 <strong>및</strong> 선박해체나 수선으로 야기된 해역<br />

정으로<br />

사건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br />

오염<br />

관련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결국은 원고가 피고의 소재지 혹은 기타 손해<br />

경오염에<br />

발생지의 법원으로의 합병관할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더욱 안건의 집중심리에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br />

결과<br />

현대화와 기존사회 해체가 빠르게 진행되는 중국의 경우, 일반대중의 주동적 법률 준수 없이 정부 의존형으로는 지<br />

활성화되고<br />

것은 특히 요원하다. 법적으로 볼 때, 일반 대중의 참여제도는 중국의 환경관련 법규에 대부분 규정되어 있으나, 대부분 일<br />

속하는<br />

원칙으로서 작용할 뿐이며, 실질적으로는 소극적이며 피동적 참여에 한정된다. 지적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한계는 중국이 다년<br />

반<br />

유지해온 중앙계획경제와 사회통제로 인한 지도형 사회였다는 것과 법제정이 상명하달 식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찾을 수<br />

간<br />

엄격하게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 약 1600억 인민폐에 달하는 43개 프로젝트의 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해 불가처분을 내렸다. 환<br />

를<br />

이러한 조치는 결국 기업에서 환경관련 정보를 공개하여 의견을 수렴토록 하고, 일반 대중의 참여 경로를 확대함<br />

경보호총국의


Yellow Large Marine Ecosystem Project) 등의 활동<br />

GEF<br />

통해서는 국내 해양환경 입법체계가 국제 기준과<br />

성과를<br />

중국은 각 행정 주관부서가 주체가 되어 해당 영<br />

먼저,<br />

일정 기간동안 추진하고자 하는 법제도 정비계획<br />

역에서<br />

환경보호입법 과정에서 시행하는 우리의 입법예<br />

것으로,<br />

다른 거시적 환경보호체계 형성을 위한 조정절차<br />

고와는<br />

의견수렴과정으로 평가할 수 있다.<br />

이자<br />

국내법적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환경법제가 국<br />

중국의<br />

연근해 해양오염문제는 내륙에서 흘러나오는<br />

관련된다.<br />

연안에서 바다로 직접 배출하는 오염물질을<br />

오염물질과<br />

사 사<br />

논문은 “황해 퇴적물 이동현상 <strong>및</strong> 퇴적환경 연구<br />

이<br />

참고문헌<br />

정책법규사. 2002. 중국환경보호법규전서<br />

국가환경보호총국<br />

受 陸 源 汚 染 國 際 論 壇 . 66 p.<br />

免<br />

박성욱, 양희철. 2008. 중국 해양관련법령 이해. 삼신<br />

권문상,<br />

2002. 21세기 청색혁명과 해양환경정책론. 세모출판<br />

김석구.<br />

서울. 545 p. 사,<br />

學 瀛 . 2006. 環 境 法 學 . 淸 華 大 學 出 版 社 , 北 京 . 428 p.<br />

史<br />

祥 民 , 申 進 忠 . 2006. 海 洋 還 境 的 法 律 保 護 硏 究 . 中 國 海 洋 大<br />

徐<br />

80) ‘개정’은 입법 공백 영역에 대해 보충을 하거나 원칙성 법률에 대한 하부규칙 제정, 혹은 새로운 조항의 추가나 개정이 필요한 법<br />

대한 개정 조치 등을 의미한다.<br />

규에<br />

통지의 부속문서 2(환경입법계회표) 참조.<br />

81)해당<br />

82)김석구(2002). p. 363-364.<br />

106 Yang, H. C. et al.<br />

하천과 연안도시, 산업시설로부터의 오염에 대한<br />

원인인<br />

해양수산부의 역할이 충분히 교류되고 있는가와<br />

환경부와<br />

반영하면서 추진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있<br />

추세를<br />

이러한 국내외적 성과는 중국의 해양환경보호를 위한<br />

다.<br />

혹은 외적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몇가지 측면<br />

내적<br />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br />

에서는<br />

부처가 어떻게 협력하여 대처하는가에 환경에 대한 효<br />

두<br />

집행력이 보장될 수 있을 것이다 82) .<br />

율적<br />

측면에서, 환경법은 민법이나 행정법과는 그 객관<br />

법적<br />

공익성이 훨씬 강하다. 이는 환경의 수익자가 미래<br />

성과<br />

사전에 공고함으로써 일반 대중과 사회, 학계 의견을<br />

을<br />

절차를 수립하고 있다. 예컨대, 2005년 중국 국<br />

수렴하는<br />

혹은 전 지구 이익보호라는 거시적 시각과는 별개로<br />

인류<br />

환경 생태계 그 자체를 지켜야 할 충분한 필요성이<br />

이미<br />

내부 局 務 회의를 통해 공포한 는 2006년부터 시작된<br />

全<br />

5개년계획 기간동안 환경보호법 영역의 정비계획<br />

제11차<br />

형성의 패러다임으로 정착될 것으로 보이며, 이<br />

환경정책<br />

개별 국가의 정책형성의 기준으로 적용될 것이다. 자국<br />

는<br />

발표하였다. 구체적 법제도 정비계획에 대하여는 입법<br />

을<br />

통해 (1) 입법 공백상태인 영역에 대한 ‘제정’, (2)<br />

방식을<br />

이익만을 고려한 정책이 효과적 결과로 이어지기에는<br />

의<br />

이미 전 지구적 문제로 대두되었다는 현실을<br />

환경문제가<br />

필요한 보충이 필요한 ‘개정’ 80) , (3) 구체<br />

하부규칙이나<br />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영역은 ‘연구’로 분류하여 추진<br />

적<br />

때, 국제규범의 일방적 수용자세보다는 국제 해양<br />

고려할<br />

질서의 형성이라는 주동적 기준제시와 실천이 필요<br />

환경<br />

한 시기임을 자각하여야 한다.<br />

81) . 중국의 입법계획서 공표는 법령(안)을 대상으로<br />

된다<br />

일반 <strong>및</strong> 전문가 의견 수렴의 전단계에 해당하는<br />

진행하는<br />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논문의 구체적 내용<br />

(PM44900)”의<br />

세심하게 보아주시고 지적하여 주신 심사위원님께<br />

까지<br />

환경규범과는 비교적 유기적 수용체제를 갖추고 있<br />

제적<br />

평가되면서도, 기능적 내지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면<br />

다고<br />

감사드린다.<br />

추진되고 있는가의 평가와 무관하지 않다. 국책사업<br />

서<br />

같은 중요 국가정책 수립 시에는 사업 자체의 타당<br />

등과<br />

경제성, 환경성 <strong>및</strong> 시급성을 공정하고 과학적인<br />

성이나<br />

검증을 통해 결정할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시행<br />

조사와<br />

(1997-2001. 4).<br />

과정에서의 이해충돌은 여전히 각 정책이 충분한 공<br />

전후<br />

형성하면서 추진되었는가 하는 의문이 있다. 이는<br />

감대를<br />

家 環 境 保 護 總 局 . 2006. 中 國 保 護 海 洋 還 境 免 受 陸 源 汚 染 -<br />

國<br />

家 報 告 . In: UNEP/GPA/2006 《 保 護 海 洋 還 境 免 受 陸 源<br />

國<br />

해양환경법제가 기능별 역할을 무시하고 성과위<br />

우리의<br />

추진되고 있다는 점에 대한 조심스러운 재고의 견해<br />

주로<br />

汚 染 全 球 行 動 計 劃 》 第 2 次 政 府 間 審 査 會 中 國 保 護 海 洋 還 境<br />

수 있으며, 사전에 이해조정 시스템이 제도화될 필요<br />

일<br />

있음을 의미한다.<br />

가<br />

해양환경정책에 관한 관리 부서 난립은 우리에게<br />

중국<br />

예외가 아니다. 해양수산부 출범 이후 해양환경 보전<br />

도<br />

서울. 915 p. 출판사,<br />

2005. 국제법론. 삼영사, 서울. 1233 p.<br />

김대순.<br />

일원화되었고 많은 법령 정비가 있었다. 단, 부처<br />

행정은<br />

관할과 법체계상의 효율성이 동시에 제고되었는지는<br />

간<br />

여전히 의문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연근해 해양오염의


大 江 . 2001. 近 海 資 源 保 護 與 可 持 續 利 用 . 海 洋 出 版 社 , 北 京 .<br />

于<br />

p. 350<br />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107<br />

1318 p.<br />

出 版 社 , 靑 島 . 186 p.<br />

學<br />

曙 光 . 2004. 論 中 國 海 洋 管 理 . 海 洋 出 版 社 , 北 京 . 174 p.<br />

王<br />

漢 光 , 朴 光 洙 . 2004. 環 境 法 基 礎 . 中 國 環 境 科 學 出 版 社 , 北<br />

陳<br />

. 313 p. 京<br />

Hartley. 1999. Constitutional Problem of the European<br />

Union. Hart Publishing, Oxford and Portland. 148 p.<br />

耀 臻 , 徐 祥 民 主 編 . 2006. 海 洋 世 紀 與 中 國 海 洋 發 展 戰 略 硏<br />

李<br />

. 中 國 海 洋 大 學 出 版 社 , 靑 島 . 355 p.<br />

究<br />

國 海 洋 年 鑑 編 纂 委 員 會 . 2006. 中 國 海 洋 年 鑑 . 海 洋 出 版 社 ,<br />

中<br />

京 . 510 p. 北<br />

Received Feb. 10, 2008<br />

Accepted Mar. 8, 2008<br />

中 國 海 洋 志 編 纂 委 員 會 . 2003. 中 國 海 洋 志 . 大 象 出 版 社 , 鄭 州 .


건강도 평가를 위한 다매체 바이오마커 적용<br />

해역 *<br />

정지현·류태권·이택견<br />

on Multi-biomarker Assessment in Environmental<br />

Application<br />

Status Monitoring of Coastal System<br />

Health<br />

Sea Research Institute, KORDI<br />

South<br />

656-830, Korea<br />

Geoje<br />

: Application of biomarkers for assessing marine environmental health risk is a relatively new<br />

Abstract<br />

According to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biomarkers can be<br />

field.<br />

into three classes: biomarkers of exposure, biomarkers of effect, and biomarkers of susceptibility. In<br />

divided<br />

to assess exposure to or effect of the environmental pollutants on marine ecosystem, the following set<br />

order<br />

biomarkers can be examined: detoxification, oxidative stress, biotransformation products, stress<br />

of<br />

apoptosis, physiological metabolisms, neuromuscular responses, reproductions, steroid<br />

responses,<br />

antioxidants, genetic modifications. Since early 1990s, several biomarker research groups have<br />

hormones,<br />

health indices of marine organisms to be used for assessing the state of the marine environment.<br />

developed<br />

indices can be used to interpret data obtained from monitoring biological effects. In this review,<br />

Biomarker<br />

will summarize Health assessment Index, Biomarker Index, Bioeffect Assessment Index and<br />

we<br />

Linear Model. Measurements of biomarker responses and development of biomarker index in<br />

Generalized<br />

organisms from contaminated sites offer great a lot of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in<br />

marine<br />

1993). 일반적으로 연안 환경 악화는 서식생물의 건강<br />

al.<br />

저하를 유발하여 서식 생물의 다양성과 생산량의 현저<br />

도<br />

warning system) 등을 환경 영향 지수 등에 적용<br />

자(early<br />

연안 건강도에 대한 질적인 평가를 시도하고 있다.<br />

하여<br />

Vol. 30(1):109-117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Review<br />

남해연구소<br />

한국해양연구원<br />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391<br />

(656-830)<br />

Jee-Hyun Jung, Tae-Kwon Ryu, and Taek Kyun Lee *<br />

environmental monitoring programs, designed for various aspects of ecosystem risk assessment.<br />

Key words : biomarker, ecosystem risk assessment, marine ecosystem health, biomarker index<br />

서 론<br />

1.<br />

물리, 화학 <strong>및</strong> 생물학적 과정에 의해 조절되는<br />

연안역은<br />

제정하여 연안생태계의 오염 총량 등을 법적으로<br />

리법을<br />

뿐 아니라, 물리·화학적 영향에 민감한 조기경보<br />

관리할<br />

생태계로서, 연안역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들은 다<br />

복잡한<br />

자연적·인위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Adams et<br />

양한<br />

또는 생식 등에 연관된 분자·생화학적 수준의 바이<br />

성장<br />

특이적이고 민감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현재<br />

오마커들은<br />

생태학적 단계에서는 인지할 수 없는 미세한 영향까지<br />

의<br />

반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민감한 수준에서 해역의 건<br />

도<br />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서식생물의 건강도는 연안<br />

한<br />

건강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br />

생태계의<br />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br />

강도를<br />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안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이<br />

러나<br />

1990년대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선진 국가에서는 연안 관<br />

생태조사나 오염물질의 생체축적 여부를 밝힌<br />

기본적인<br />

한정되어 있을 뿐, 국내연안의 실정에 맞<br />

생물영향평가에<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tklee@kordi.re.kr


isk assessment, ERA)는 생태계에 대한 오염물질<br />

mental<br />

다른 인위적인 활동의 악영향을 생태계 수준에서 과학<br />

<strong>및</strong><br />

CYP1A<br />

metabolites<br />

Bile<br />

Apoptosis<br />

responses<br />

Stress<br />

Metallothionein<br />

parameters<br />

Metabolic<br />

Cholinesterase<br />

stress<br />

Oxidative<br />

hormones<br />

Steroid<br />

Vg<br />

PCBs, HAHs<br />

PAHs,<br />

Chromophenolics<br />

PAHs,<br />

Cd PCB,<br />

stressors<br />

Multiple<br />

metals<br />

Heavy<br />

stressors<br />

Multiple<br />

& carbamate pesticides<br />

OP<br />

PCBs<br />

HAHs,<br />

stressors<br />

Multiple<br />

Estrogen<br />

Environmental<br />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되었다(Bucheli and Kent<br />

오마커에<br />

바이오마커는 인위적인 환경요인에 의해 유도되는<br />

1995).<br />

분자생물학 또는 생리학적 반응을 특이적으로 반<br />

생화학,<br />

1994), 개체, 집단뿐만 아니라 생태계에서<br />

영하며(Peakall<br />

생물학적 영향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McCarty<br />

의<br />

Munkittrick 1996). 생화학적 반응은 개체 또는 군집<br />

and<br />

1. Response level and ecological correlation (modified<br />

Fig.<br />

from McCarty and Munkittrick 1996).<br />

Exposure<br />

indicator<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opulation<br />

impact<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110 Jung, J.-H. et al.<br />

바이오마커를 선정하고, 이를 연안 해역 건강도 평가에<br />

는<br />

사례는 매우 드물다.<br />

적용한<br />

수준으로 높아질수록 오염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데<br />

계<br />

시간이 소요되며, 때로는 생물체내에서 화학적 방법<br />

오랜<br />

이용한 해양생물의 건강도 평가 연구는<br />

바이오마커를<br />

초부터 시작되었고, 각 국가별 연안의 특성을<br />

1990년대<br />

검출되지는 않는 수준에서부터 과다한 오염영향에<br />

으로<br />

변형된 생물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br />

대하여<br />

건강평가지수(Adams et al. 1993), 바이오마커지<br />

고려한<br />

et al. 1999; Chevre et al. 2003), 통합 바이<br />

수(Narbonne<br />

오염 또는 악화된 환경<strong>변화</strong>에 따라 더욱 특이적이고<br />

각의<br />

검출기법이 요구되면서, 조기경보신호 또는 바이<br />

민감한<br />

반응지수(Beliaeff and Burgeot 2002), 생물영향평<br />

오마커<br />

et al. 2005; Broeg and Lehtonen 2006), 일<br />

가지수(Broeg<br />

선형모델(Napierska and Podolska 2005) 등이 보<br />

반화된<br />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이오마커를 적용하여 해양<br />

고되고<br />

건강도를 평가함에 있어 ‘어떤 적절한 바이오마커<br />

생물의<br />

적용할 것인지’, 또한 ‘각 바이오마커로부터 제공되는<br />

를<br />

어떠한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해석할 것인지’에 대<br />

정보를<br />

논란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연안 해역에 대한 연구<br />

한<br />

반응보다 훨씬 민감하고 짧은 시간에 일어나므로<br />

수준의<br />

생물학적 영향을 감지할 수 있으나, 실제 이러한<br />

조기에<br />

미진한 국내 실정을 감안할 때 다음과 같이 고려해야<br />

가<br />

몇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 국내 연안생물의 건강<br />

할<br />

군집수준의 <strong>변화</strong>와 생태학적인 <strong>변화</strong>에 대하여는<br />

반응이<br />

상관성을 보인다(Fig. 1). 그러나 Table 1에서와 같이<br />

낮은<br />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서식환경에 따른 대표 생물<br />

을<br />

선정, 둘째, 대상생물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바이오마<br />

의<br />

주어지는 스트레스 중 일부는 종류와 특성 그<br />

외인적으로<br />

강도에 따라 생화학적 반응이 상쇄 또는 소멸되거나<br />

리고<br />

개체수준으로 증폭되기도 하므로 각각의 바이오마커를 건<br />

선정,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내 연안실정에 맞는 건강<br />

커의<br />

평가지수의 적용성 검토 등을 들 수 있다.<br />

도<br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해양생물의 위해성영향평<br />

따라서<br />

적용 빈도가 높은 각 생물 단계에 따른 바이오마커<br />

가에<br />

이들의 장단점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이용한 연안평가<br />

와<br />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해양건강성평가에 적용가능성을<br />

의<br />

살펴보고자 하였다.<br />

바이오마커<br />

또는 환경위해성 평가(ecological or environ-<br />

생태위해성<br />

측정하는 방법이다(Depledge and Fossi 1994). 오<br />

적으로<br />

인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생물계내의 영양<br />

염물질로<br />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개체 수준에서부터 생태<br />

Table 1. Responses of biomarker on biochemical stresses (modified from Sherry 2003)<br />

Inducing pollutants<br />

Field<br />

Laboratory<br />

Parameter<br />

Exposure<br />

Effect<br />

DNA breakage<br />

−<br />

Multiple stressors<br />

+<br />

−<br />

+


평가에 적용하는 의미는 다르다.<br />

강도<br />

국내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생태계 건강성<br />

지금까지<br />

장점<br />

바이오마커의<br />

유도된 반응에 대한 신뢰할 만한 결과를 들<br />

인위적으로<br />

1988; Holdway et al. 1995). 두번째로는 민감도를<br />

Graney<br />

수 있는데, 개체수준 이하에서 기관계 고유의 일련의<br />

들<br />

단점<br />

바이오마커의<br />

동일한 영향에 대하여 개체 또는 종에 따<br />

바이오마커는<br />

생물서식 환경의 특성이 충분히 고려된 물리<br />

선정하거나,<br />

보정도 필요하다. 또한, 환경 중에는 다양한 외인적 스<br />

적<br />

선택<br />

바이오마커의<br />

노출(exposure)에 대한 지표와 영향(effect)<br />

바이오마커는<br />

: 동물의 간은 주요 해독기관으로 다양한 오염<br />

해독효소<br />

대한 대사와 흡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br />

물질에<br />

유해물질을 해독하는 간장의 해독효소(xenobiotics<br />

인성<br />

enzymes)는 본래 내인성의 지방산이나 스테<br />

metabolizing<br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Dioxin, coplanar<br />

로<br />

구조의 PCB 등 매우 독성이 높은 오염물질에 노출<br />

때 높게 유도되므로(Ankley et al. 1986; Arukwe<br />

되었을<br />

al. 1997), 최종산물인 ethoxyresorufin O-deethylase<br />

et<br />

et al. 2004), 말미잘(Heffernan and Winston<br />

지렁이(Brown<br />

등에서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CYP1A 계는 계<br />

2000)<br />

al. 1997), 이를 이용하여 해양생태계의 건강도를 평가<br />

et<br />

위해서는 시료채취의 표준화, 효소계에 영향을 미칠<br />

하기<br />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br />

함께<br />

대사물질 : 세포내로 유입된 PAHs나 방향족 아<br />

쓸개즙<br />

분자와의 결합으로 쉽게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마커가<br />

내<br />

et al. 1992). 쓸개에서의 대사물질의 농도<br />

된다(Melancon<br />

Marine Organisms Health Assessment Using Biomarker Index 111<br />

대한 지표 2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br />

에<br />

카테고리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영향에 대한<br />

인위적인<br />

집단이나 군집수준에서의 생물량 <strong>및</strong> 생물다양성<br />

평가는<br />

통하여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br />

분석을<br />

노출에 대한 지표를 의미적으로 포괄할 수 있다<br />

지표는<br />

1). ‘어떠한 바이오마커를 이용해야 하는가?’ 하는<br />

(Table<br />

성장 또는 생식 등에 연관된 분자·생화학적 수준<br />

그러나<br />

특이적이고 민감한 평가가 없다면, 현재 군집 수준에서<br />

의<br />

평가하고자 하는 생태계가 어떠한 잠재적 오염원이<br />

것은<br />

수 있으며 ‘무엇을 평가하고자 하는가?’라는 의도<br />

존재할<br />

인지할 수 없지만, 향후 상위단계에까지 영향이 증폭될<br />

는<br />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과거에 진행되었거나 현<br />

가능성을<br />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부분의 바이오마커는 비용절감<br />

에<br />

측정의 용이성, 민감성과 특이성이라는 큰 이점을 가지<br />

과<br />

진행 중인)를 간과할 수 있는 오류를 초래할 수 있으므<br />

재<br />

et al. 1993), 생태계의 건강도를 조사하기 위해<br />

로(Cairns<br />

있으므로, 사용빈도와 현장에서의 검증여부에 따라 조<br />

고<br />

목적에 적절한 바이오마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br />

사<br />

생화학적 수준의 민감한 ‘조기경보자’를 이용한 평가<br />

서는<br />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br />

는<br />

방향족 환 구조를 가지고 있는 할로겐화합물들이 생체<br />

다.<br />

유입되면 생물의 간장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Ah-<br />

내로<br />

반응하여 Cytochrome P450 1A(CYP1A) 효소<br />

receptor)와<br />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 일련의 대사과정을 거친다. 외<br />

계를<br />

있다. 즉, 대부분의 바이오마커의 발현 기작은 생물에<br />

수<br />

주는 요인에 대한 반응 특이성을 가지므로, 바이오<br />

영향을<br />

이용하여 개체군의 건강도를 반영하는 동시에 인<br />

마커를<br />

스트레스의 정체도 추적할 수 있다(Giesy and<br />

위적인<br />

호르몬 등의 합성이나 불활성화에 관여를 하는 것<br />

로이드<br />

이들 효소를 이용하여 대상생물이 얼마나 영향을 받<br />

인데,<br />

평가할 수가 있다. CYP1A 계는 산화환원 가수<br />

았는지를<br />

이루어지는 Phase I 해독효소계의 대표적인 효소<br />

분해가<br />

따라 아주 낮은 수준의 반응이나 오염에 대하여도<br />

반응에<br />

<strong>변화</strong>를 볼 수 있으므로, 군집수준으로 영향으로 확<br />

민감한<br />

이전에 이를 감지하여 해양 생태계 보전과 복원에<br />

대되기<br />

수 있는 엄청난 비용을 조기에 절감할 수 있다.<br />

투여될<br />

arylhydrocarbone hydroxylase(AHH)를 바이오<br />

(EROD)나<br />

이용하여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어류<br />

마커로<br />

(Stegeman and Hahn 1994; Vaccaro et al. 2005; Yuan et<br />

반응의 감도가 다를 수 있다. 즉 바이오마커는 다양한<br />

라<br />

중 생성되는 생화학 산물이므로 생물 종 특<br />

생체대사과정<br />

al. 2006), 무척추동물인 담치류(Binelli et al. 2005, 2006),<br />

따라 민감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바<br />

성에<br />

중 효소활성이나 호르몬 분비 등과 연관된 지<br />

이오마커들<br />

많으므로 성별과 연령 뿐 아니라 수온, <strong>계절</strong>, 날씨<br />

표들이<br />

포함한 일반적인 환경요인들과 채집 중에 일어나는<br />

등을<br />

<strong>변화</strong>, 성별, 수온, 중금속 등의 오염에 대해 다른 반<br />

절별<br />

패턴을 가질 수 있으므로(Levine et al. 1995; Machala<br />

응<br />

서식환경의 변이 등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을<br />

스트레스와<br />

있다. 따라서 바이오마커를 생태계 건강도 평가에 적절<br />

수<br />

적용하기 위하여서는 이들의 생화학적 기작을 충분히<br />

히<br />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적절한 바이오마커를<br />

이해하는<br />

있는 요인의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현장에 잔류하고<br />

수<br />

다양한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영향이 상<br />

있는<br />

과유도될 수 있으므로 대상생물과 환경의 특성<br />

쇄되거나<br />

충분히 고려하여 중간단계 또는 상위단계의 지표들을<br />

을<br />

복합적으로 존재하므로 바이오마커 반응이 이러<br />

트레스가<br />

복합적인 요인에 대하여 어떠한 기작으로 반응하는지<br />

한<br />

는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br />

등과 같은 난분해성 물질은 해독효소들에 의해 분해산<br />

민<br />

<strong>변화</strong>하게 되고, <strong>변화</strong>된 대사물질 <strong>및</strong> 대사물질과 세포<br />

물로


대사를 나타내는 하나의 대사물질을 선택함으로써<br />

PAH<br />

수 있다(Krahn et al. 1987; Ariese et al. 1993).<br />

분석할<br />

대사물질은 형광분석기나 HPLC 등으로 측정한다<br />

PAH<br />

et al. 2000).<br />

(Aas<br />

: Apotosis는 세포사멸 프로그램으로 광범위한<br />

Apotosis<br />

화합물들에 대한 노출을 암시해 주는 비특이적 바<br />

외인성<br />

PCB나 카드뮴에 노출된 가자미류의 간조<br />

이오마커이다.<br />

apotosis가 유도되었음이 보고되었으며(Piechotta<br />

직에서<br />

al. 1999), Janz et al.(1997)은 폐쇄된 공장 배출수에 노<br />

et<br />

어류의 난소 크기의 감소, apotosis 증가는 오염지역<br />

출된<br />

수 있는 바이오마커라 할 수 있다.<br />

할<br />

: 주변 환경에 대한 생물의 불안정성을 나<br />

스트레스반응<br />

다른 세포수준의 스트레스 반응지표로 heat shock<br />

또<br />

있다. 이 단백질은 화학적인 물질뿐만 아니라 열<br />

protein이<br />

조직 손상 등으로 인하여 <strong>변화</strong>하므로 비특이적인 바<br />

충격,<br />

분류되고 있다. Hsp90나 Hsp70 등은 절지동<br />

이오마커로<br />

과제이다(Janz et al. 1997).<br />

할<br />

: MT는 중금속 노출에 의해 유<br />

Methallothionein(MT)<br />

시스테인이 풍부한 저분자량 단백질(6000-7000<br />

도되는<br />

아연, 구리, 카드륨 등 중금속과 결합하여 무독화<br />

Da)로서<br />

MT 단백질은 포유류를 비롯하여 생물 종간뿐만<br />

1990).<br />

같은 개체의 조직간 즉, 신장, 간, 뇌, 비장, 소장<br />

아니라<br />

기관 간에도 특성의 차이를 보인다. Hylland et al.<br />

등<br />

각각의 기관에서 발현된 MT 단백질이 다른 이<br />

(1996)은<br />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였고, 생물의 기관마다 MT<br />

동도를<br />

발현되는 중금속이 다름도 보고된 바 있다<br />

단백질이<br />

et al. 1996). 또한, 어류에서 아연과 여성호르<br />

(Kammann<br />

동시에 투여하였을 때 그 발현 농도가 증가한 결과<br />

몬을<br />

할 것이다. 야<br />

and Physiological Parameter : 일반적인 대<br />

Metabolic<br />

세포손상의 지표인 aspartate transaminase(Van der<br />

의<br />

et al. 1996), 조직과 세포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br />

Oost<br />

dehydrogenase(Escher et al. 1999) 등이 있다. 이러<br />

lactate<br />

지표들은 생물종 내에서도 개체간 차이가 심한 단점이<br />

한<br />

오염이 극심하게 진행되지 않은 지역을 판별하는<br />

있으나,<br />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Konradt<br />

데<br />

ChE): ChE는 생물<br />

콜린에스터라아제(Cholinesterase:<br />

불필요한 아세틸콜린을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로서 카<br />

체내<br />

al. 1992) 등에서 ChE의 활성을 이용한 생물영향이 연<br />

et<br />

왔으며, 농약류나 살충제뿐 아니라 일부 중금속 등<br />

구되어<br />

인한 저해 효과도 보고되고 있다(Sturm et al. 1999).<br />

으로<br />

ChE는 acetyl-과 butyl-cholinesterase로 분류되는<br />

생체내<br />

근육조직에서 측정한 butyl-cholinesterase는 acetylcholinesterase<br />

데,<br />

보다 더 민감하게 농약류에 반응한다고 알<br />

112 Jung, J.-H. et al.<br />

형광방향성화합물(fluorescent aromatic compounds)의<br />

는<br />

변환된 PAH 대사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전체<br />

형태로<br />

생물이 과다한 중금속에 노출되고 있음을 알리<br />

단백질은<br />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Klaverkamp et al. 1984; Garvey<br />

는<br />

통해 MT 단백질 역시 생식적 단계나 <strong>계절</strong> 등에 영<br />

들을<br />

받아 다른 스트레스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예<br />

향을<br />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고 소개하였다. 반응 자체의<br />

과<br />

낮은 반면 개체나 군집수준의 증폭 반응이 반영<br />

특이성이<br />

수 있다(Overnell et al. 1987). 따라서 중금속 노출<br />

측할<br />

감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서 MT를 이용할 때에<br />

등을<br />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지역 간의 서식하는 생물의 생식<br />

는<br />

따는 보정과 시료채취에 대한 표준화가 고려되어<br />

단계에<br />

주는 스트레스는 비특이적인 바이오마커 중의 하나<br />

타내<br />

생물이 인식할 만한 수준의 스트레스는 혈중의 스트<br />

이다.<br />

호르몬인 코티졸 등을 상승 또는 억제시키며, 이는<br />

레스<br />

체내 항상성의 파괴와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br />

장기적으로<br />

생리적 지표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어류에서 아가<br />

사<br />

ATPase 활성(De la Torre et al. 2000), 혈중 포<br />

미조직의<br />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생물을 채<br />

사의<br />

과정에 의해서도 이 반응은 유도될 수 있으므로,<br />

집하는<br />

글루코스와 젖산 수치 역시 일반적인 스트레스에<br />

도당과<br />

지표들이다. 성장률의 지표로서 RNA/DNA의<br />

반응하는<br />

과정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을 고려해서 사용하<br />

실험<br />

것이 중요하다. Hontela et al.(1995)은 유기오염물질에<br />

는<br />

생물의 영양 상태와 지질 대사 장애와 관련한 혈중<br />

비와<br />

지질 분석(Adams et al. 1990), 혈장<br />

트리글리세라이드와<br />

어류가 노출되지 않은 어류와 비교하여 채집 스트<br />

노출된<br />

등에 대한 코티졸 생성이 낮음을 보여주었다. 또한,<br />

레스<br />

등에 노출된 어류도 코티졸 생성기작에 장애가 있<br />

중금속<br />

보고된바 있다(Brodeur et al. 1997). 스트레스 반응<br />

음이<br />

저하는 생물의 생존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br />

호르몬의<br />

결과이나 스트레스 반응 바이오마커와 생태학적 연<br />

주는<br />

and Braunbeck 2001).<br />

관하여는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br />

관성에<br />

것이다.<br />

유기인계 농약류 등의 화학적 오염에 대하여<br />

바메이트나<br />

빠르고 민감한 반응을 보여 최근 효소학적 바이오<br />

비교적<br />

활용도가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유기인계 농약 등<br />

마커로<br />

ChE의 수용체 부위와 결합하여 활성의 저해를 초래하<br />

은<br />

어류 등에서 신호 전달과 관련된 호르몬 수용체와<br />

물이나<br />

기작에 영향을 주는 독성물질에 대한 바이오마커로 가<br />

의<br />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가수분해를 억제한다고<br />

고<br />

지금까지 어류를 비롯하여 이매패류(Galgani<br />

알려져있다.<br />

제기된 상태이나, 정확한 작용기작이 밝혀져 있지<br />

능성이<br />

개체나 군집수준 건강과의 연관성도 검증되어야<br />

않으며<br />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체내 필수 금속<br />

시키는<br />

반응하는 단백질이나, 동물체내에 과발현된 MT<br />

흡수에<br />

려져 있다(Sturm et al. 2000). 콜린에스터라아제 역시 생


할 것이다. 야<br />

관련 지표 : 일반적으로 개체수준의 영향이 개체<br />

생식계<br />

하며, 독성물질에 의해 선택적으로 손상되기도 한다.<br />

기도<br />

생식내분비계는 시상하부-뇌하수체-생<br />

해양척추동물의<br />

여성호르몬인 17β-estradiol을 분비하게 한다. 17βestradiol로<br />

여<br />

유도된 난황단백전구체인 비텔로제닌은 난소<br />

이동하여 배 발생에 영양분인 난황단백질을 형성하는<br />

로<br />

성숙한 암컷에서만 특이적으로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br />

데,<br />

수준의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br />

조직학적<br />

간 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비만도(fatness)<br />

GSI),<br />

비정상적인 영향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본 지<br />

있으므로,<br />

비정상적인 패턴을 보인다. 일부 산란습성이 다른<br />

수들은<br />

본 지수들을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기도 하<br />

어종들은<br />

국내연안에 서식하는 해산어종들은 비교적 일정한 주<br />

나,<br />

intracellular chemicals,<br />

EROD,<br />

growth<br />

population<br />

DNA, LPO, Vn, PHAG,<br />

MT,<br />

NsPE<br />

stability, Lipid,<br />

Lysosomal<br />

phosphatase<br />

Acid<br />

ChE, GST, biological<br />

EROD,<br />

year, age<br />

parameters,<br />

using Genstat<br />

Analysis<br />

program<br />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br />

가하는데<br />

breaks : PAH를 비롯한 해양으로 배출되는 화합<br />

DNA<br />

손상이 심각한 경우 DNA 복제억제, 돌연변이 유발<br />

DNA<br />

불완전한 전사로 이어지거나, 특정 대사산물의 발현 저<br />

<strong>및</strong><br />

et al.(1993)에 의해 제시된 HAI는 어류 건강에<br />

Adams<br />

정량적지수를 제시하기 위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의<br />

대한<br />

In(y)=LT+CF+age+sex+<br />

+ year + area + error<br />

gon<br />

et al. 2005<br />

Broeg<br />

and Lehtonen 2006<br />

Broeg<br />

and Podolska<br />

Napierska<br />

2005<br />

Marine Organisms Health Assessment Using Biomarker Index 113<br />

종류에 따라 그 민감도의 차이를 보이므로 바이오<br />

물체의<br />

대상생물과 조직의 선정에 충분한 논의가 있어<br />

마커로서<br />

중 일부는 생물체의 DNA 손상을 유발하기도 하는데<br />

물<br />

et al. 2002; Hagger et al. 2002), 이러한<br />

(Fernández-Alba<br />

이어지는 가장 큰 영향으로 생식계 손상을 들 수<br />

군집으로<br />

생식계는 생물이 스트레스를 장시간 받을 때 손상되<br />

있다.<br />

이어질 수 있으며 결국 생태계 전체에 심각한 문제<br />

해로<br />

일으킬 수 있다(Kurelec 1992). DNA breaks는 최근 돌<br />

를<br />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기작을 가지고 있으며, 뇌하<br />

식소로<br />

분비된 gonadotrophin 호르몬은 난소를 자극하<br />

수체에서<br />

유전적 손상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널<br />

연변이나<br />

이용되고 있으며, 특정 영향에 대한 반응 지표라기보다<br />

리<br />

물리적이고 비특이적인 스트레스에도 반응하여 상관관<br />

는<br />

보이고 있다. 계를<br />

건강도 평가지수와 바이오마커의 적용<br />

생물학적<br />

환경의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작업에는 인간으로<br />

연안<br />

유사여성호르몬 계열의 오염물질이나 중금속 등에<br />

질로서<br />

수컷에서도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 것이 밝혀지면<br />

노출된<br />

비롯된 인위적인 영향을 증명할 수 있는 신뢰할 만<br />

부터<br />

도구들이 필요하다. 연안 환경의 건강성 평가를 위해<br />

한<br />

생식계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에서 널리 이용<br />

서<br />

있다. 난황단백전구체의 유전자나 단백질 수준에서<br />

되고<br />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본 장에서는<br />

국내외에서<br />

건강도를 평가한 다양한 생화학적 결과들을<br />

연안생물의<br />

기작에 대하여 많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br />

발현<br />

용의한 장점이 있으나, 때때로 자연계에 존재하는<br />

활용이<br />

기준으로 활용하여 이를 평가하고, 해석해 왔는지<br />

어떠한<br />

보여줄 수 있는 일부 평가지수의 예(Table 2)를 소개하<br />

를<br />

에스트로겐 등으로 인한 자연발생적인 난황단백전<br />

식물계<br />

발현이나 광주기, 수온이나 생식주기 등 자연적인<br />

구체의<br />

고자 한다.<br />

스트레스나 오염으로 인한 영향을 구별하는 데 있<br />

반응과<br />

주의가 필요하다.<br />

어<br />

건강평가지수(Health Assessment Index, HAI)<br />

생식계 영향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해양생물<br />

또한<br />

생식주기에 따라 생식소와 간이 전체 체중에 차지하는<br />

은<br />

기관 또는 조직에서 유도된 손상을 측정할 수 있는 바<br />

한<br />

선택하고, 이를 통계학적인 비교 수치로서 정<br />

이오마커를<br />

<strong>변화</strong>를 가지게 되며,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환경의<br />

비율에<br />

생식주기에 따른 생리적 상태를 그대로 반영할 수<br />

영향과<br />

지수이며, 여러 연구자에 의해 수정·보완되고 있<br />

량화한<br />

et al. 1996; Schleiger 2004). 정상상태를 0<br />

다(Coughlan<br />

하고, 손상 정도에 따라 각각 10, 20 <strong>및</strong> 30의 가중치를<br />

로<br />

각 바이오마커 측정 결과 얻어진 값의 합을 대<br />

두었으며<br />

상집단의 건강을 평가하는 지수로 제시하였다.<br />

바이오마커 지수(Biomarker Index, BI)<br />

나타내므로 난황단백전구체 등을 포함한 상위바이오<br />

기를<br />

함께 이용된다면 생태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평<br />

마커와<br />

BI는 Chevre et al.(2003)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시공간<br />

Table 2. Reported biomarker indices and classification of values of biomarkers<br />

Biomarkers Class Index Reference<br />

HAI<br />

10, 20, 30, 40 Sum of biomarker values Adams et al. 1993, 1996<br />

BI<br />

1, 2, 3, 4, 5 Sum of each biomarker values Chevre et al. 2003<br />

10, 20. 30, 40 Sum of each biomarker values<br />

BAI<br />

GLM


<strong>및</strong> non-specificesterase activity(NspE)<br />

phagocytosis(PHAG)<br />

6종류의 바이오마커를 적용했으며, 얻어진 측정치를<br />

등<br />

1993년 Adams 등에 의해 제안된 HAI 방법에서<br />

BAI는<br />

et al. 2005). BAI는 독성반응에 민감한<br />

유래되었다(Broeg<br />

BAI는 다양한 화학적 영향에 반응하는 선택적인 바이<br />

다.<br />

이용하여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br />

오마커를<br />

정도에 따라 10, 20, 30, 40의 점수를 부과하게 되고,<br />

의<br />

합산하여 BAI를 얻게 된다.<br />

이를<br />

CF(비만도) 등이 고려될 수 있다. age는 채집한<br />

량지수),<br />

연령을, gon는 <strong>계절</strong>적 요인으로 인한 생화학적 변<br />

어류의<br />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연안생태계 건강도 평가<br />

2.<br />

위한 검토 를<br />

114 Jung, J.-H. et al.<br />

따른 해양생물의 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건강도 <strong>변화</strong>를<br />

에<br />

수 있다. Metallothionein(MT), DNA strand breakage<br />

반영할<br />

인하여 경제적이고 더욱 명확한 “조기경보자”의 사용<br />

로<br />

회피하여 감도 높은 평가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br />

을<br />

(DNA), lipid peroxidation(LPO), vitellin-like protein(Vn),<br />

GLM을 이용하여 생물 자체의 다양한 생리적 요<br />

그러나<br />

보정하고, 오염이나 생물의 건강도에 민감한 지표들<br />

인을<br />

선별하여 사용한다면, 연안의 건강도를 객관화할 수 있<br />

을<br />

좋은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GLM을<br />

는<br />

않은 지역과 비교하여 등급을 나누고 이를 더<br />

오염되지<br />

지수화하였다. 그러나 다른 바이오마커 지수와는<br />

하여<br />

합산된 값을 지수화함에 있어 먼저 국내 연안<br />

이용하여<br />

실정에 맞는 지표의 선정, 지표에 대한 합리적인<br />

생물의<br />

바이오마커 각각에 가중치를 두어 등급을 결정하<br />

달리<br />

였다.<br />

적용 등이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 있으며, 무엇보<br />

가산점의<br />

국내 건강한 해역을 평가한 기초적 데이터베이스 구<br />

다도<br />

생물영향평가 지수(Bioeffet assessment index, BAI)<br />

축이 절실히 요구된다.<br />

이용하여 건강지수를 어류에 유해한 환경적<br />

바이오마커를<br />

중 독성학적 영향과 건강도에 집중하도록 고안하였<br />

요인<br />

이하의 바이오마커는 일시적으로 생물에 주어<br />

개체수준<br />

비정상적인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이성<br />

지는<br />

종류의 오염에 의한 독성영향에 반응하는 생물계의<br />

양한<br />

진단할 수 있다. BAI의 산출은 바이오마커측정값<br />

장애를<br />

지표이다. 따라서 장점에 비해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br />

높은<br />

때 큰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생태계 군집수<br />

했을<br />

아닌 세포 수준 이하의 민감한 지표를 연안건강성<br />

준이<br />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반드시 고<br />

평가에<br />

할 것이다. 첫째, 각 해역의 다양한 수계 생태계<br />

려되어야<br />

맞는 바이오모니터의 선정이다. 먹이사슬에 따른<br />

특성에<br />

일반화된 선형모델(Generalized Linear model, GLM)<br />

해역에 서식하는 생물로부터 측정한 다양한 생<br />

GLM은<br />

결과를 채집한 연도나 생물학적 요인들, 예<br />

화학적지표의<br />

선정이 중요하며, 연안을 구성하는 다양한 수준에<br />

단계별<br />

적절한 대표 생물의 선정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br />

서식하는<br />

들면 성별, 생식소 발달단계, 비만도, 간 중량지수 등<br />

를<br />

요인이 아닌 생물학적 요인을 보정하여, 더욱 정확<br />

인위적<br />

중 가장 상위척추동물인 어류의 경우에서도 같<br />

해양생물<br />

연안 어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저층에 서식하는 가자<br />

은<br />

연안환경에 대한 생물의 건강도를 알 수 있도록 고안<br />

히<br />

방법이다(Napierska and Podolska 2005).<br />

된<br />

해양 퇴적물 등의 건강성을 반영할 수 있는 종이<br />

미류는<br />

중층에 서식하는 조피볼락 등은 연안 수계를 보다 적<br />

며,<br />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하고자 하는 연안의<br />

극적으로<br />

생물의 서식형태를 고려하여 목적에 맞는 바이오<br />

특성과<br />

In(y) = LT + CF + age + sex + gon + year + area + error<br />

측정한 생화학지표들의 값(ChE, EROD, GST 등)이<br />

y는<br />

수 있으며 실험자의 선택에 따라 LT(전장), HSI(간중<br />

될<br />

선정하는 작업은 성공적인 연안건강도 평가를<br />

모니터를<br />

중요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대표 바이오<br />

위하여<br />

결정되면 생물의 특성과 앞서 기술한 특이적인<br />

모니터가<br />

선정이다. 바이오마커는 생물의 생화학적<br />

바이오마커의<br />

판단할 수 있도록 생식소의 발달단계를, sex는 생물<br />

화를<br />

성별의 차이로 있을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할 수 있도<br />

학적<br />

기초하므로 생리적 대사과정에 따라 하나의 메커<br />

반응에<br />

관여하는 유전자나 단백질 등 다양한 수준의 평가<br />

니즘에<br />

구성되어 있다. area는 측정한 생물학적 지표가 채집한<br />

록<br />

환경적으로 주어지는 비정상적 요인에 의해 유의<br />

연안의<br />

요구된다. 특히 생식단계와 생리적 특성, <strong>계절</strong>적, 자연<br />

가<br />

요인 등의 물리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정상적인 생리<br />

적<br />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 수 있다. 결과에서는 식에 첨가<br />

한<br />

각각의 정보들과 생물학적 지표 간에 유의한 관계가<br />

된<br />

반응 여부를 확인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지역 간의 특<br />

적<br />

보다 명확히 검증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총체<br />

성을<br />

수치로 보여주어, 실제 연안건강에 대한 자료로<br />

있는지를<br />

수 있다. 사용할<br />

정확한 건강도 평가를 위하여서는 내분비계, 신경<br />

적이고<br />

해독효소계 등 다양한 기관계와 기작을 반영할 수 있<br />

계<br />

소개한 세포학적 수준의 다양한 바이오마커들은<br />

앞서<br />

생물의 생식단계와 생리적 특성, <strong>계절</strong>적 요인에<br />

대부분이<br />

지표를 골고루 선정해야 하며, 이때 개체수준의 영향<br />

는<br />

보고된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도 평<br />

여부가<br />

의해 자연적으로 <strong>변화</strong>할 수 있으며, 때때로 이러한 특성으<br />

가에서 어떠한 바이오마커를 선정하였는지는 가장 핵심이


생식, 스테로이드 호르몬, 항산화물질, 유전적 변형.<br />

반응,<br />

초부터 여러 바이오마커 연구그룹들은 해양생<br />

1990년대<br />

지수 관련 연구 중 대표적인 건강평가지수(Health<br />

오마커<br />

Index), 바이오마커 지수(Biomarker Index),<br />

assessment<br />

Assessment Index) <strong>및</strong> 일반<br />

생물영향평가지수(Bioeffect<br />

선형모델(Generalized Linear Model) 등의 연구를<br />

화된<br />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의 바이오<br />

요약하였다.<br />

반응 측정 <strong>및</strong> 바이오마커 지수 개발은 다양한 측면<br />

마커<br />

사 사<br />

연구는 2007년도 한국해양연구원 정책사업 “연안해<br />

본<br />

Marine Organisms Health Assessment Using Biomarker Index 115<br />

사항이다. 셋째, 연안 생물을 적절한 바이오마커로<br />

되는<br />

후 이를 어떠한 지수를 이용하여 해석할 것인가<br />

평가한<br />

참고문헌<br />

Aas, E., T. Baussant, L. Balk, B. Liewenborg, and O.K.<br />

문제이다. 앞서 저자는 몇 가지 국외에서 이용되고<br />

하는<br />

지수들을 소개하였다. 각각의 지수들은 평가하고자<br />

있는<br />

Andersen. 2000. PAH metabolites in bile, cytochrome<br />

P4501A and DNA adducts as environmental risk<br />

해역의 특성에 맞게 구성된 것이다. 연안생태계 건강<br />

하는<br />

평가에 바이오마커를 적용한 예가 거의 없는 국내 실<br />

도<br />

parameters for chronic oil exposure: A laboratory experiment<br />

with Atlantic cod. Aquat. Toxicol., 51, 241-258.<br />

고려하여 볼 때, 국내에서는 다양한 해역에서 건강도<br />

정을<br />

먼저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수한 연안<br />

평가가<br />

Adams, S.M., A.M. Brown, and R.W. Goede. 1993. A<br />

quantitative health assessment index for rapid evaluation<br />

마산만이나 광양만 등을 제외하면 이러한 생체지표를<br />

인<br />

건강도 평가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으므로 건강도<br />

이용한<br />

of fish condition in the field. Trans. Am. Fish. Soc., 122,<br />

63-73.<br />

악화되거나 개선된 것을 비교할 만한 연구조차 부족한<br />

가<br />

먼저 건강하지 못한 극단적인 해역과 매우 건강<br />

상황이다.<br />

Adams, S.M., K.D. Ham, M.S. Greeley, R.F. LeHew, D.E.<br />

Hinton, and C.F. Saylor. 1996. Downstream gradients in<br />

bioindicator responses: Point source contaminant effects<br />

해역에 대한 자료들을 조사하여 국외에서 시도된 다양<br />

한<br />

평가지수에 적용하여 장기적으로 이를 적용 보완해야<br />

한<br />

on fish health. Can. J. Fish. Aquat. Sci., 53(10), 2177-<br />

할 것이다.<br />

2187.<br />

Adams, S.M., L.R. Shugart, G.R. Southworth, and D.E.<br />

Hinton. 1990. Application of bioindicators in assessing<br />

the health of fish populations experiencing contaminant<br />

적 요<br />

3.<br />

건강성 평가에서 바이오마커의 적용은 상대<br />

해양환경<br />

stress. p. 333-353. In: Biomarkers of environmental<br />

contamination, ed. by J.F. McCarthy and L.R. Shugart.<br />

새로운 분야이다. 국립학술원 <strong>및</strong> 세계보건기구에<br />

적으로<br />

바이오마커는 노출바이오마커, 영향바이오마커 <strong>및</strong><br />

따르면<br />

Lewis, Boca Raton.<br />

Ankley, G.T., V.S. Blazer, R.E. Reinert, and M. Agosin.<br />

1986. Effects of Aroclor 1254 on cytochrome P-450-<br />

등 3가지로 나누어진다. 해양생태계에 대<br />

민감바이오마커<br />

환경오염물질의 노출 <strong>및</strong>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br />

한<br />

dependent monooxygenase, glutathione-S-transferase, and<br />

같은 바이오마커들이 시험되고 있다: 해독, 산화스트<br />

과<br />

분해산물, 스트레스 반응, 세포사멸, 물질대사, 신경<br />

레스,<br />

UDP-glucuronosyltransferase activities in channel catfish<br />

liver. Aquat. Toxicol., 9, 91-103.<br />

Ariese, F., S.J. Kok, M. Verkaik, C. Gooijer, N.H. Velthorst,<br />

and J.W. Hofstraat. 1993. Synchronous fluorescence<br />

spectrometry of fish bile: Arapid screening method for<br />

건강지수를 개발하여 해양환경의 상태를 평가하기<br />

물의<br />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 바이오마커 지수는 생물학적<br />

위한<br />

the biomonitoring of PAH exposure. Aquat. Toxicol., 26,<br />

273-286.<br />

대한 모니터링활동으로부터 얻어진 자료의 해석<br />

효과에<br />

사용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이제까지 보고된 바이<br />

에<br />

Arukwe, A., L. Förlin, and A. Goksøyr. 1997. Xenobiotic<br />

and steroid biotransformation enzymes in Atlantic<br />

salmon (Salmo salar) liver treated with an estrogenic<br />

compound, 4-nonylphenol. Environ. Toxicol. Chem.,<br />

16(12), 2576-2583.<br />

Beliaeff, B. and T. Burgeot. 2002. Integrated biomarker<br />

response: A useful tool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br />

Environ. Toxicol. Chem., 21(6), 1316-1322.<br />

Binelli, A., F. Ricciardi, C. Riva, and A. Provini. 2005.<br />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고안된 환경모니터링<br />

의<br />

공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br />

프로그램에<br />

Screening of POP pollution by AChE and EROD<br />

이다.<br />

activities in Zebra mussels from the Italian Great Lakes.<br />

Chemosphere, 61, 1074-1082.<br />

Binelli, A., F. Ricciardi, C. Riva, and A. Provini. 2006. New<br />

evidences for old biomarkers: Effects of several<br />

xenobiotics on EROD and AChE activities in Zebra<br />

mussel (Dreissena polymorpha). Chemosphere, 62, 510-<br />

건강도 평가를 위한 기반구축연구(PE97904)” 사업의<br />

역<br />

받아 수행되었습니다.<br />

지원을<br />

519.


116 Jung, J.-H. et al.<br />

Brodeur, J.C., C. Girard, and A. Hontela. 1997. Use of<br />

Chisti. 2002. Toxicity evaluation of single and mixed<br />

perifusion to assess in vitro the functional integrity of<br />

antifouling biocides measured with acute toxicity<br />

interrenal tissue in teleost fish from polluted sites.<br />

bioassays. Anal. Chim. Acta, 456(2), 303-312.<br />

Environ. Toxicol. Chem., 16(10), 2171-2178.<br />

Galgani, F., G. Bocquene, and Y. Cadiou. 1992. Evidence of<br />

Broeg, K., H.V. Westernhagen, S. Zander, W. Körting, and<br />

variation in cholinesterase activity in fish along a<br />

A. Koehler. 2005. The “bioeffect assessment index”<br />

pollution gradient in the North Sea. Mar. Ecol.-Prog.<br />

(BAI): A concept for the quantification of effects of<br />

Ser., 91, 77-82.<br />

marine pollution by an integrated biomarker approach.<br />

Garvey, J.S. 1990. Metallothionein: A potential biomonitor<br />

Mar. Pollut. Bull., 50(5), 495-503.<br />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xins. p. 267-287. In:<br />

Broeg, K. and K.K. Lehtonen. 2006. Indices for the<br />

Biomarker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ed. by J.F.<br />

assess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of the Baltic Sea<br />

McCarthy and L.R. Shugar. Lewis, Boca Raton.<br />

coasts: Integrated assessment of a multi-biomarker<br />

Giesy, X.P. and R.L. Graney. 1988. A review of selected<br />

approach. Mar. Pollut. Bull., 53, 508-522.<br />

clinical indicators of stress-induced changes in aquatic<br />

Brown, P.J., S.M. Long, D.J. Spurgeon, C. Svendsen, and<br />

organisms. p. 160-201. In: Toxic contaminants and<br />

P.K. Hankard. 2004. Toxicological and biochemical<br />

ecosystem health: A great lakes focus, ed. by M.S.<br />

responses of the earthworm Lumbricus rubellus to pyrene,<br />

Evans. John Wiley & Sons, New York.<br />

a non-carcinogen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br />

Hagger, J.A., A.S. Fisher, S.J. Hill, M.H. Depledge, and<br />

Chemosphere, 57(11), 1675-1681.<br />

A.N. Jha. 2002. Genotoxic, cytotoxic and ontogenetic<br />

Bucheli, T.D. and K. Kent. 1995. Induction of cytochrome<br />

effects of tri-n-butyltin on the marine worm, Platynereis<br />

P450 as a biomarker f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br />

dumerilii (Polychaeta: Nereidea). Aquat. Toxicol., 57(4),<br />

aquatic ecosystems. Crit. Rev. Enciron. Sci. Technol.,<br />

243-255.<br />

25(3), 201-268.<br />

Heffernan, L.M. and G.W. Winston. 2000. Distribution of<br />

Cairns, J., P.V. McCormick, and B.R. Niederlehner. 1993. A<br />

microsomal CO-binding chromophores and EROD activity<br />

proposed framework for developing indicators of<br />

in sea anemone tissues. Mar. Environ. Res., 50, 23-27.<br />

ecosystem health. Hydrobiologia, 263(1), 1-44.<br />

Holdway, D.A., S.E. Brennan, and J.T. Ahokas. 1995. Short<br />

Chevre, N., F. Gagne, P. Gagnon, and C. Blaise. 2003.<br />

review of selected fish biomarkers of xenobiotic<br />

Application of rough sets analysis to identify polluted<br />

exposure with an example using fish mixed-function<br />

aquatic sites based on a battery of biomarkers: A<br />

oxidase. Aust. J. Ecol., 20(1), 34-44.<br />

comparison with classical methods. Chemosphere, 51(1),<br />

Hontela, A., P. Dumont, D. Duclos, and R. Fortin. 1995.<br />

13-23.<br />

Endocrine and metabolic dysfunction in yellow perch,<br />

Coughlan, D.J., B.K. Baker, D.G. Cloutman, and W.M.<br />

Perca flavescens, exposed to organic contaminants and<br />

Rash. 1996.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fish<br />

heavy metals in the St. Lawrence River. Environ.<br />

health assessment index used for largemouth bass in the<br />

Toxicol. Chem., 14(4), 725-731.<br />

Catawba River, North Carolina-South Carolina. p. 73-84.<br />

Hylland, K., M. Sandvik, J.U. Skåre, J. Beyer, E. Egaas, and<br />

In: Multidimensional approaches to reservoir fisheries<br />

A. Goksøyr. 1996. Biomarkers in flounder (Platichthys<br />

management: Proc. 3rd national reservoir fisheries<br />

flesus): An evaluation of their use in pollution<br />

Symp., Chattanooga, Tennessee, USA, June 12-14, 1995.<br />

monitoring. Mar. Environ. Res., 42, 223-227.<br />

De la Torre, F.R., A. Salibián, and L. Ferrari. 2000.<br />

Janz, D.M., M.E. McMaster, K.R. Munkittrick, and G. van<br />

Biomarkers assessment in juvenile Cyprinus carpio<br />

der Kraak. 1997. Elevated ovarian follicular apoptosis<br />

exposed to waterborne cadmium. Eviron. Pollut., 109(2),<br />

and heat shock protein-70 expression in white sucker<br />

277-282.<br />

exposed to bleached kraft pulp mill effluent. Toxicol.<br />

Depledge, M.H. and M.C. Fossi. 1994. The role of biomarkers<br />

Appl. Pharmacol., 147(2), 391-398.<br />

in environmental assessment (2). Invertebrates.<br />

Kammann, U., M. Friedrich, and H. Steinhart. 1996. Isolation<br />

Ecotoxicology, 3(3), 161-172.<br />

of a metal-binding protein from ovaries of dab (Limanda<br />

Escher, M., T. Wahli, S. Buettner, W. Meier, and P.<br />

limanda L.) distinct from metallothionein: Effect of<br />

Burkhardt-Holm. 1999. The effect of sewage plant<br />

cadmium exposure. Ecotox. Environ. Safe., 33(3), 281-<br />

effluent on brown trout (Salmo trutta fario): A cage<br />

288.<br />

experiment. Aquat. Sci., 61(2), 93-110.<br />

Klaverkamp, J.F., W.A. Macdonald, D.A. Duncan, and R.<br />

Fernández-Alba, A.R., M.D. Hernando, L. Piedra, and Y.<br />

Wagemann. 1984. Metallothionein and acclimation to


Marine Organisms Health Assessment Using Biomarker Index 117<br />

heavy metals in fish: A review. p. 99-113. In: Contaminant<br />

55-60.<br />

effects on fisheries, ed. by V.W. Cairns, P.V. Hodson and<br />

Piechotta, G., M. Lacorn, T. Lang, U. Kammann, T. Simat,<br />

J.O. Nriagu. Wiley. New York.<br />

H.S. Jenke, and H. Steinhart. 1999. Apoptosis in dab<br />

Konradt, J. and T. Braunbeck. 2001. Alterations of selectes<br />

(Limanda limanda) as possible new biomarker for<br />

metabolic enzymes in fish following long-term exposure<br />

anthropogenic stress. Ecotox. Environ. Safe., 42(1), 50-<br />

to contaminated streams. J. Aquat. Ecosyst. Stress Recov.,<br />

56.<br />

8, 299-318.<br />

Schleiger, S.L. 2004. Fish health assessment index study of<br />

Krahn, M.M., D.G. Burrows, W.D. MacLeod, and D.C.<br />

four reservoirs in West-Central Georgia. North Am. J.<br />

Malins. 1987. Determination of individual metabolites of<br />

Fisheries Manage., 24(4), 1173-1188.<br />

aromatic compounds in hydrolyzed bile of English sole<br />

Sherry, J.P. 2003. The role of biomarkers in the health<br />

(Parophrys vetulus) from polluted sites in Puget Sound,<br />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s. Aquat. Ecosyst.<br />

Washington. Arch. Environ. Contam. Toxicol., 16, 511-<br />

Health Manage., 6(4), 423-440.<br />

522.<br />

Stegeman, J.J. and M.E. Hahn. 1994. Biochemistry and<br />

Kurelec, B. 1992. The multixenobiotic resistance mechanism<br />

molecular biology of monooxygenase: Current perspective<br />

in aquatic organisms. Crit. Rev. Toxicol., 22, 23-43.<br />

on forms, functions, and regulation of cytochrome P450<br />

Levine, S.L., X.T. Oris, and T.E. Wissing. 1995. Influence<br />

in aquatic species. p. 87-206. In: Aquatic toxicology:<br />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physiological condition<br />

Molecular, Biochemical and Cellular Perspectives, ed.<br />

and hepatic e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 activity<br />

by D.C. Malins and G.K. Ostrander. Lewis, Boca Raton.<br />

of gizzard shad (Dorosoma cepedianum). Environ. Toxicol.<br />

Sturm, A., H.C. da Silva de Assis, and P.D. Hansen. 1999.<br />

Chem., 14, 123-128.<br />

Cholinesterases of marine teleost fish: Enzymological<br />

Machala, M., K. Nezveda, M. Petrivalsky, A.B. Jarosova, V.<br />

characterization and potential use in the monitoring of<br />

Piacka, and Z. Svobodova. 1997. Monooxygenase activities<br />

neurotoxic contamination. Mar. Environ. Res., 47(4),<br />

in carp as biochemical markers of pollution by polycyclic<br />

389-398.<br />

and poly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s: Choice of<br />

Sturm, A., J. Wogram, H. Segner, and M. Liess. 2000.<br />

substrates and effects of temperature, gender and capture<br />

stress. Aquat. Toxicol., 37, 113-123.<br />

McCarty, L.S. and K.R. Munkittrick. 1996. Environmental<br />

Different sensitivity to organophosphates of acetylcholinesterase<br />

and butyrylcholinesterase from threespined<br />

stickleback (Gasterosteus aculeatus): Aapplication<br />

biomarkers in aquatic toxicology: Fiction, fantasy or<br />

in biomonitoring. Environ. Toxicol. Chem., 19(6), 1607-<br />

functional? Human Ecol. Risk Assess., 2(2), 268-274.<br />

1615.<br />

Melancon, M.J., R. Alscher, W. Benson, G. Kruzynski, R.F.<br />

Vaccaro, E., V. Meucci, L. Inotorre, D. Soldani, D. Di bello,<br />

Lee, H.C. Sikka, and R.B. Spies. 1992. Metabolic products<br />

V. Longo, P.G. Gervasi, and C. Pretti. 2005. Effects of<br />

as biomarkers. p. 87-124. In: Biomarkers: Biochemical,<br />

17-β-estradiol, 4-nonylphenol and PCB 126 on the<br />

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Markers of Anthropogenic<br />

estrogenic activity and phase 1 and 2 biotransformation<br />

Stress, ed. by R.J. Huggett, R.A. Kimerly, P.M. Mehrle<br />

enzymes in male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Aquat.<br />

and H.L. Bergman. Lewis, Boca Raton.<br />

Toxicol., 75(4), 293-305.<br />

Napierska, D. and M. Podolska. 2005. Biomarkers of<br />

Van der Oost R., A. Goksøyr, M. Celander, H. Heida, and<br />

contaminant exposure: Results of a field study with<br />

N.P.E. Varmeulen. 1996. Biomonitoring of aquatic<br />

flounder (Platichthys flesus) from the southern Baltic<br />

pollution with feral eel (Anguilla anguilla), II.<br />

Sea. Mar. Pollut. Bull., 50(7), 758-767.<br />

Biomarkers: Pollution-induced biochemical responses.<br />

Narbonne, J.M., M. Daube, C. Clerandeau, and P. Garrigues.<br />

Aquat. Toxicol., 36, 189-222.<br />

1999. Scale of classification based on biochemical markers<br />

Yuan, Z., S. Courtenay, and I. Wirgin. 2006. Comparison of<br />

in mussels: Application to pollution monitoring in<br />

hepatic and extra hepatic induction of cytochrome<br />

European coasts. Biomarkers, 4(6), 415-424.<br />

P4501A by graded doses of aryl hydrocarbon receptor<br />

Overnell, J., R. McIntosh, and T.C. Fletcher. 1987. The level<br />

agonists in Atlantic tomcod from two populations.<br />

of liver metallothionein and zinc in plaice, Pleuronectes<br />

Aquat. Toxicol., 76, 306-320.<br />

platessa L., during the breeding season, and the effect of<br />

estradiol injection. J. Fish Biol., 30, 539-546.<br />

Received Nov. 1, 2007<br />

Peakall, D.W. 1994. Biomarkers: The way forward in<br />

Revised Jan. 16, 2008<br />

environmental assessment. Toxicol. Ecotoxicol. News, 1,<br />

Accepted Feb. 19, 2008


*·양희철 박성욱<br />

정책연구실<br />

한국해양연구원<br />

Study on the Analysis of Japan's Basic Ocean Law and Policy of Korea<br />

A<br />

Case of Korea, Japan and China on the Administrative<br />

−The<br />

Seong Wook Park *<br />

Research Division, KORDI<br />

Policy<br />

P.O. Box 29, Seoul 425-600, Korea<br />

Ansan<br />

: Japan's new Basic Ocean Law took effect in 20 July 2007. This law contains that 1) calls for the<br />

Abstract<br />

of eight government offices that previously worked separately on maritime issues; 2)<br />

consolidation<br />

a basic plan for maritime matters, and; 3) creates a comprehensive maritime policy headquarters,<br />

establishes<br />

by the Prime Minister. The result is a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promotion of maritime policy. The<br />

run<br />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been appointed to the newly established position of<br />

Minister<br />

minister. Japan has been in conflict with Korea and China over EEZ and territory, which has<br />

maritime<br />

the country to turn to ocean. If Japan puts more emphasis on sea, it will be on a collision course with<br />

caused<br />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Russia, and Taiwan. Japan has been at odds with these<br />

neighboring<br />

with Korea over Dokdo islets, with China over the Senkaku Islands and the East China Sea,<br />

countries;<br />

gas fields lie, with Taiwan over fishery rights in the East China Sea, with Russia over the Kuril<br />

where<br />

Korea's posit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Japan's new Basic Ocean Law is followed: 1)<br />

Islands.<br />

of Korea's position in maritime resourcces of east china sea, 2) understand of strategy for<br />

expression<br />

resources development and maritime delimitation in China and Japan, 3) a caution for extention of<br />

maritime<br />

and maritime activities, 4)effective and comprehensive policy establishment, and strength in R&D, 5)<br />

EEZ<br />

words : Basic Ocean Law, East China Sea, Maritime Policy, Administrative System, basic plan for<br />

Key<br />

matters<br />

maritime<br />

Vol. 30(1):119-128 Ocean and Polar Research March 2008<br />

Note<br />

해양기본법 제정과 우리의 대응방안 연구<br />

일본의<br />

해양행정체계 비교를 중심으로−<br />

−한중일<br />

(425-600) 경기도 안산시 안산우체국 사서함 29<br />

System for Ocean<br />

and Hee Cheol Yang<br />

construction of active and responsive system for maritime issues in neighbor country.<br />

서 론<br />

1.<br />

해양정책에 대한 거시적이고 효과적 대응체계 구<br />

일본<br />

등의 부서가 분담하던 일본의 해양정책은 일<br />

경제산업성<br />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2) . 일본의 해양정책 전반에<br />

원화<br />

첫 기본법이기도 한 해양기본법은 업무의 효율적 추<br />

대한<br />

위해 내각에 “종합해양정책본부”를 설치하고, 총리<br />

진을<br />

의미하는 「해양기본법」이 2007년 일본 참의원에<br />

축을<br />

통과되어 정식 발효되었다 1) . 이로써 과거 국토교통성,<br />

서<br />

해당 본부의 본부장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동시에 “해<br />

가<br />

직책 역시 신설되었다. 해양기본<br />

양정책담당대신”이라는<br />

*Corresponding author. E-mail : swpark@kordi.re.kr<br />

법은 일본재단 3) 이 설립한 해양관리연구회가 2002년에


世 紀 におけるわが 國 の 海 洋 政 策 に 關 する 提 案 」 4) 을 발<br />

「21<br />

시작되었다. 동 제안이 있은 후, '05년 11월 해양<br />

표하면서<br />

해양행정 체제에 대한 국가적 역량 강화라는 측<br />

반성이자,<br />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이 1996년<br />

면에서<br />

더구나, 총리가 해양정책본부의 본부장으로써 직접 해<br />

다.<br />

통일적으로 지휘하도록 한 것과 모든 국무대신<br />

양전략을<br />

전개될 것임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br />

로<br />

제정 자체가 일본이 그동안 독도 <strong>및</strong> 동중국<br />

해양기본법<br />

2. 해양기본법의 내용<br />

총칙<br />

해양자원의 개발, EEZ의 개발, 해양의 안<br />

해양기본법은<br />

해양조사의 추진, 이도( 離 島 )의 보전 등을 포함한<br />

전확보,<br />

제1장은 총칙으로 해양정책에 대한 전체적인 추진의<br />

며,<br />

설정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국가가 전체 해양전략<br />

개략을<br />

제33호로 공고(관보 제4573호)<br />

1)법률<br />

발효와 더불어 현재의 업무 현황을 보면, 후유시바 국토교통상이 초대 해양정책대신을 겸직하고 내각관방에 설치된 종<br />

2)해양기본법<br />

사무국이 업무를 개시하였다. 그리고 외무성은 2007년 7월 20일 해양에 관한 외교정책 전반의 종합적 기획, 입<br />

합해양정책본부<br />

조정 <strong>및</strong> 정책결정을 위한 「해양에 관한 외교정책본부」를 설치하였다.<br />

안,<br />

1962년 설립되어(당시 일본선박진흥회, 1996년부터 일본재단이라 불림) 해양과 선박에 대한 지원 <strong>및</strong> 문화, 교육, 사회<br />

3)일본재단은<br />

등에 관한 지원, 해외협력원조활동 지원 등을 하고 있다.<br />

복지<br />

世 紀 におけるわが 國 の 海 洋 政 策 に 關 する 提 案 」은 일본재단이 2001년말에 실시한 「해양정책앙케이트조사」등을 참고하여 정<br />

4)「21<br />

世 紀 の 海 洋 政 策 への 提 言 」은 해양정책연구재단이 일본재단의 「21 世 紀 におけるわが 國 の 海 洋 政 策 に 關 する 提 案 」이후의 내외<br />

5)「21<br />

정책연구의 진전을 감안하여 해양의 종합적인 관리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정책을 포괄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2005년 11<br />

정세,<br />

발표되었으며 1 해양정책대강 책정, 2 해양기본법제정을 위한 추진체제 정비, 3 바다로 확대된 「국토」관리와 국제협력<br />

월에<br />

제언하고 있다. 을<br />

社 民 黨 이 유일하게 반대하였다.<br />

6)야당에서는<br />

海 洋 基 本 法 の 施 行 期 日 を 定 める 政 令 ( 平 成 十 九 年 政 令 第 二 百 一 號 )<br />

7)일본의<br />

제8조.<br />

8)일본해양기본법<br />

9)일본해양기본법 제9조 내지 제12조.<br />

120 Park, S. W. and Yang, H. C.<br />

자원확보라는 수단적 의미에서 국가적 이익 수호라는<br />

이<br />

확보 과제로 제고되었다는 또 다른 반영이기도 하<br />

필수적<br />

일본재단의 제안을 보다 구체화한 「21 世<br />

정책연구재단이<br />

の 海 洋 政 策 への 提 言 」 5) 을 공표하였고, '06년 4월 국회<br />

紀<br />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해양기본법연구회」가<br />

의원과<br />

연구회는 동년 12월 「해양정책대강」과<br />

발족되었다.<br />

해양종합정책본부의 구성원으로 규정한 것 역시 세계<br />

을<br />

유사 예를 찾아 볼 수 없이 이례적이다. 향후 해<br />

적으로도<br />

작성, 조문화 작업을 통해 국회 법안<br />

「해양기본법안」을<br />

제출되었다. 제언이 발표된 이래 해양기본법의 법제<br />

으로<br />

대한 일본의 정책방향이 대상 해역과 외교적 전개상<br />

양에<br />

따라서는 국가적 지원을 바탕으로 전력투구 양상으<br />

황에<br />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시도되었고, 자민·공명·민<br />

화를<br />

3당의 초당적 의원입법으로 국회에 제출되었다. 동법<br />

주<br />

'07년 4월 3일 중의원 본회의, 20일 참의원에서 가결<br />

안은 6) , 동년 7월 20일 정식 시행되었다 7) .<br />

되었으며<br />

유전개발을 둘러싸고 주변국과의 해양권 쟁탈에서 야<br />

해<br />

정부대응의 미흡에 대한 비판과 종합적 해양정<br />

기되었던<br />

일본 매체와 여론은 해양기본법 제정이 그동<br />

대부분의<br />

동해에서는 한국의 독도 영유권 <strong>및</strong> 수로측량 문제, 동<br />

안<br />

수립요구의 여론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일본<br />

책<br />

의도를 보다 분명하게 해석할 수 있으리라 본다. 따라<br />

의<br />

중국과 자원개발을 둘러싼 분쟁이 지속되어<br />

중국해에서는<br />

일본 정부의 효율적 대응이 없었다는 점에 대한<br />

왔음에도<br />

본 논문에서는 해양기본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우<br />

서<br />

중국의 해양관련 법률과 비교한 후 우리나라의<br />

리나라와<br />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br />

신설하고 중국이 1964년 국가해양국 설치<br />

해양수산부를<br />

통해 주변국과의 해양 갈등에 대비하고 새로운 국가성<br />

를<br />

동력으로서의 해양을 재인식한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br />

장<br />

적이다.<br />

해양기본법 제정은 향후 일본의 해양정책이 “바<br />

일본의<br />

통해 수호된 일본에서 바다를 지키는 일본( 海 に 守 ら<br />

다를<br />

주요 실시조치를 열거하고 있다. 해양기본법은<br />

12개항의<br />

4개의 章 과 총 38개 조항 <strong>및</strong>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으<br />

총<br />

日 本 から 海 を 守 る 日 本 へ)”이라는 적극적이고 능동적<br />

れた<br />

해양정책으로 전환되어 추진될 것임을 의미한다. 그 동<br />

인<br />

주변해역에 대한 부단한 자원개발과 외교적 대립을 감<br />

안<br />

까지 관할권 확대를 추구하였던 일본에게 해양<br />

수하면서<br />

을 수립 8) 하고, 각 공사기관 <strong>및</strong> 국민의 협조의무 9) , 해양에<br />

제언이다. 2002년 3월에 발표하였으며 그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다 : 1) 제언 1 - 종합적인 해양정책 책정 ; 2) 제언 2 - 해양<br />

리한<br />

위한 행정기구의 정비 ; 3) 제언 3 - 종합적 연안역관리의 법제정비 ; 4) 제언 4 - 수산자원의 합리적인 관리, 어<br />

정책책정·실행을<br />

그 외의 해양이용과의 조정 ; 5) 제언 5 - 배타적경제수역 <strong>및</strong> 대륙붕의 종합적 관리 구체화 ; 6) 제언 6 - 해양에 관한 청소년<br />

업과<br />

<strong>및</strong> 학제적 교육·연구 충실.<br />

교육


Major 3<br />

Objective<br />

Major 6<br />

Philosophy<br />

Major 4<br />

[Composite<br />

·Plan]<br />

Implemen-<br />

tation<br />

Strategy<br />

Development<br />

1)<br />

use of ocean<br />

and<br />

its harmony<br />

and<br />

the with<br />

of<br />

preservation<br />

maritime<br />

Securing 2)<br />

maritime of<br />

Comprehensive<br />

5)<br />

of ocean<br />

management<br />

Clearly specify the<br />

1)<br />

of Country /<br />

responsibilities<br />

government / business<br />

local<br />

/ citizens<br />

men<br />

Establishment of basic<br />

3)<br />

on maritime policy<br />

items<br />

1. Objectives and strategy for the implementation of<br />

Fig.<br />

Basic Maritime Act.<br />

the<br />

제13조.<br />

10)일본해양기본법<br />

제14조.<br />

11)일본해양기본법<br />

제2조 내지 제7조.<br />

12)일본해양기본법<br />

제16조<br />

13)일본해양기본법<br />

3)<br />

Accumula-<br />

of tion<br />

scientific<br />

knowledge<br />

ocean on<br />

Sound 4)<br />

develop-<br />

of ment<br />

maritime<br />

International<br />

6)<br />

on ocean<br />

cooperation<br />

Establishment of<br />

4)<br />

General<br />

Policy<br />

Maritime<br />

Headquarter<br />

재정확보는 전체 해양 R/D 재정 확보에도 강한 추진<br />

며,<br />

수반될 것으로 사료된다.<br />

력이<br />

규정하고 있는 바, 이중 자원개발과 EEZ개<br />

기본정책을<br />

해양안전 확보, 해양조사 등은 직간접적으로 우리나라<br />

발,<br />

주민 생활기반정비 등은 일본의 EEZ 확장의도와 연계<br />

전,<br />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Fig. 2 참조) 15) .<br />

될<br />

제16조 제7항, 일본은 국회에 제출된 2008년 해양정책본부 관련예산으로 1조 4,534억엔을 신청하였다. http://<br />

14)일본해양기본법<br />

www.ckjorc.org/ka/view.asp?id=471&Screenwidth=1024<br />

제26조. 離 島 는 일본 본토 주변해에 존재하는 섬 보다는 경계획정에 관련된 섬 혹은 암초와 관련하여 일본 EEZ<br />

15)일본해양기본법<br />

관련 해역 개발을 위한 중요 추진체계가 될 것인 만큼, 필요한 경우 중국과의 공동 대응전략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br />

확장과<br />

16)일본해양기본법 제6조 <strong>및</strong> 제25조.<br />

Article<br />

16<br />

Plan Basic<br />

establishment<br />

of Content<br />

Plan Basic<br />

of Basic Maritime Plan<br />

Establishment<br />

→ Request for cabinet<br />

(Government)<br />

by Prime Minister → Promulgation<br />

decision<br />

Basic Plan → Review of Basic Plan in<br />

of<br />

5 years and change (Requires cabinet<br />

every<br />

decision)<br />

direction on maritime policy<br />

Basic<br />

based general actions to take by<br />

Plan<br />

policy<br />

maritime<br />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br />

Items<br />

action necessary for securing required<br />

Take<br />

finan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br />

public<br />

Japan's Basic Ocean Law and Policy of Korea 121<br />

이해증진 노력 10) , 정책의 추진을 위한 법적 <strong>및</strong> 재정<br />

대한<br />

조치 11) 근거를 규정하였다.<br />

적<br />

해양기본계획<br />

종합적 추진을 위해 해양기본계획을 5년마<br />

해양활동의<br />

경제사회의 건전한 발전, 국민생활의 안<br />

해양기본법은<br />

해양과 인류의 공생에 공헌하는 3대 목표를 달성<br />

정향상,<br />

수립하고 정책 내용의 추진을 위한 재정확보가 함께<br />

다<br />

하였다 13) . 해양기본계획의 실시에 필요한 자<br />

수반되도록<br />

위해 해양의 개발·이용, 환경의 보전과 조화, 해양<br />

하기<br />

확보, 해양에 관한 과학적 지식의 충실, 해양산업<br />

안전의<br />

확보를 위해 매년 국가 재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br />

금<br />

예산에 계상토록 하는 등 그 원활한 실시에 필요한<br />

이를<br />

건전한 발전, 해양의 종합 관리, 해양에 관한 국제적 협<br />

의<br />

6가지 기본이념 12) 을 설정하였으며(Fig. 1 참조),<br />

조라는<br />

강구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하여 실질적인 운<br />

조치를<br />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Table 1 참조) 14) . 이는 제14<br />

영에<br />

종합적 추진을 위해 정부가 해양기본계획을 수립<br />

이러한<br />

하고 있다. 해양에 관한 시책을 집중적으로 실행하<br />

하도록<br />

규정한 제도적 지원조치와 함께 재정 확보의 과감한<br />

조가<br />

투자가 가능토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 하<br />

결정과<br />

위해, 내각에 종합해양정책본부 설치를 명문화하고 총<br />

기<br />

대신이 본부장을, 부본부장에는 관방대신과 신설되는<br />

리<br />

담당대신이 책임지도록 하였다. 종합해양정책본<br />

해양정책<br />

내각관방에 설치한 것에 대하여 법안을 기초하였던<br />

부를<br />

Table 1. Overview of Basic Maritime Plan<br />

중의원 겸 前 방위청대신 이시바 시게루( 石 破 茂 )는<br />

자민당<br />

종합적 조정기능에 관한 최종 권한을 보유하<br />

내각관방이<br />

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다.<br />

procedure<br />

Sound development of economic society<br />

Enhancement of stability of people's living<br />

Contribution to symbiosis of ocean and mankind<br />

other plan based general maritime policies<br />

Others<br />

Basic Plan<br />

safety<br />

industry<br />

environment<br />

정책 기본적<br />

해양정책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것으로 12개<br />

일본의<br />

2) Establishment of Basic<br />

Maritime Plan<br />

중국과의 관할권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야기될 수 있을<br />

<strong>및</strong><br />

보인다. 본토와 떨어져 있는 섬( 離 島 )에 대한 구체<br />

것으로<br />

방향으로 제시된 이도 해안의 보전, 해상교통 안전확<br />

적인<br />

해양자원 개발·이용을 위한 시설 정비, 자연환경보<br />

보와<br />

해양의 종합적 관리 16) 는 해양자원, 해양환경, 해상교


해양 안전 등의 문제가 상호 밀접한 연계를 통해 검토<br />

통,<br />

필요가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연안과 육역의 조건들이<br />

될<br />

한정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br />

책’으로 18) 과 관련해서는 사전예방조치와 함께 연<br />

해양환경보전<br />

제21조.<br />

17)일본해양기본법<br />

제18조, 제25조.<br />

18)일본해양기본법<br />

제23조<br />

19)일본해양기본법<br />

제35조<br />

20)일본해양기본법<br />

해상안전의 확보 방안 등이 포함될 것이며, 기본법<br />

리,<br />

지금까지 국토교통성, 경제산업성 등의 8개<br />

제정으로<br />

122 Park, S. W. and Yang, H. C.<br />

Fig. 2. Major Basic Policies stipulated in the Basic Maritime Act and its classification by field.<br />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고, 신설 해양정책담당대신과 본<br />

는<br />

위치하게 될 내각관방대신이 부본부장 직무를 수행<br />

부가<br />

고려되어 관리토록 규정하였다. 또한 쓰나미와<br />

충분하게<br />

등을 포함한 자연재해에 대하여도 국가가 충분한 조<br />

고조<br />

하였다. 또한 이들 3명을 제외한 기타 국무대신은 모<br />

토록<br />

종합해양정책본부의 구성원으로 참석토록 함으로써 일<br />

두<br />

강구 17) 함으로써 해양의 적절한 이용이 확보될 수 있<br />

치를<br />

하였다. 동시에 해양정책과 해역관리 추진 과정에서<br />

도록<br />

추진이 한 부처의 소관사무가 아닌 해양이라<br />

본해양정책<br />

목적을 위해 전체 관련 기관이 유기적 연계성과 협조<br />

는<br />

국제협력과 국민의 해양이해도 제고로 실행의 객관성<br />

는<br />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 추진체계가 하나의 ‘정<br />

과<br />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본부는 필요하다고 인정되<br />

체제를<br />

경우, 관련 기관에 대한 자료제출, 의견표명, 설명 <strong>및</strong><br />

는<br />

필요한 협력을 의뢰할 수 있고, 기타 관련자에 대하<br />

기타<br />

필요한 협력 의뢰가 가능하다 20) .<br />

여도<br />

종합적 관리 <strong>및</strong> 연안역 이외의 전체 해역에 대한<br />

안역의<br />

환경보전 노력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해양과학기<br />

국가의<br />

수행하는 주요 업무는 해양기본계획안 작성 <strong>및</strong><br />

본부가<br />

추진에 관한 일, 행정기관이 기본계획에 의거 실시하<br />

실시<br />

관한 연구개발 추진 19) 을 위해 인프라 구축 <strong>및</strong> 관련<br />

술에<br />

연대를 규정함으로써, 일본의 해양정책이 영토확보<br />

기관<br />

시책의 종합조정, 기타 중요 해양시책에 중요한 사항의<br />

는<br />

입안 <strong>및</strong> 종합조정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본부 업<br />

기획과<br />

관리까지 연계될 수 있는 기반을 확충할 수 있도록<br />

에서<br />

전체적으로 해양기본법이 추구하는 주요 시책의<br />

하였다.<br />

일상적인 사무는 내각관방 부장( 官 補 )이 처리하도록<br />

무의<br />

있다. 하고<br />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범주로 요약할 수 있<br />

핵심내용은<br />

각 주제별 중복적인 목적을 가질 수 있으리라 본다.<br />

으며,<br />

따라 일본은 시행 1년내에 해양기본계<br />

해양기본법에<br />

수립하여야 하는 바, EEZ와 대륙붕 개발, 이용·관<br />

획을<br />

종합해양정책본부<br />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일본의 해양정<br />

해양기본법의<br />

나뉘어져 온 일본의 해양정책은 일원화된 체<br />

성·청에<br />

통해 효율적 대응 방안을 수립, 제시하게 될 토대<br />

계를<br />

총괄 계획, 추진할 주체인 종합해양정책본부를 신설<br />

책을<br />

추진력을 높이려 한다는 것이다. 종합해양정책본부<br />

하여<br />

를 갖추게 되었다.


4.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Act for the Development of Maritime and Fishery Development of<br />

Fig.<br />

country.<br />

our<br />

Japan's Basic Ocean Law and Policy of Korea 123<br />

Fig. 3. Constitutional diagram for General Maritime Policy Headquarter.<br />

3. 우리나라, 중국의 해양수산체계와 비교<br />

위해 1996년 해양수산부를 신설하였으며 2002<br />

구축하기<br />

해양수산발전기본법을 제정하였다. 동법은 해양의 합<br />

년<br />

대한민국<br />

해양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통합해양행정을<br />

우리나라는<br />

보전·관리 <strong>및</strong> 개발·이용과 해양산업의 육성을<br />

리적인<br />

기본이념 <strong>및</strong> 발전방향을 정립하고, 해양수산정책을<br />

위한


for Objects<br />

application<br />

of maritime industry and reinforcement of<br />

Promotion<br />

competitiveness<br />

international<br />

국민복지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제정되었다.<br />

발전과<br />

<strong>및</strong> 해양자원의 관리·보전 <strong>및</strong> 개발·이용과 해양<br />

해양<br />

제6조<br />

22)해양수산발전기본법<br />

제7조 <strong>및</strong> 제11조<br />

23)해양수산발전기본법<br />

제12조 내지 제15조<br />

24)해양수산발전기본법<br />

제17조 제2항<br />

25)해양수산발전기본법<br />

Act on Maritime<br />

Basic<br />

Fishery Development<br />

&<br />

Sea Area<br />

Jurisdictional<br />

Foreign EEZ/Public<br />

+<br />

of<br />

Establishment<br />

Maritime<br />

General<br />

중국<br />

1964년 국가해양국을 설치하였으며, “21세기 초<br />

중국은<br />

전면적으로 제고하여” 해양강국을 지향한다는<br />

해양력을<br />

‘근해 방어’에서 해양주권 수호를 위한 ‘대양작<br />

금까지의<br />

쪽으로 <strong>변화</strong>시킬 방침이다. 이는 미국과 러시아가 이<br />

전’<br />

124 Park, S. W. and Yang, H. C.<br />

Table 2. Comparison of major implementation tasks for the Basic Act between Korea and Japan<br />

Major contents<br />

Basic Maritime Act<br />

Target Sea Area<br />

Jurisdictional Sea Area<br />

Sea (Deep Seabed)<br />

Development and use of maritime resources<br />

Preservation of maritime environment<br />

Development of EEZ<br />

Securing of maritime transportation<br />

−<br />

Securing of maritime safety<br />

Implementation of maritime survey<br />

Research and development on maritime science and technology<br />

Comprehensive management of coast area<br />

−<br />

Preservation o isolated islands<br />

−<br />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solidarity<br />

Promotion of national understanding on ocean<br />

Utilization of maritime space<br />

Pioneering of front base for maritime development<br />

−<br />

Improve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 of fishing villages<br />

−<br />

Promotion of informatization for maritime development<br />

−<br />

Special items<br />

−<br />

Policy Headquarter<br />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br />

종합적·체계적으로<br />

시행함으로써 해양선진국의 실현을 통하여 국가경제<br />

하여<br />

방침 아래 해상 군사력과 해양경제, 해양과학기술<br />

국무원<br />

3개 분야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전국해양경제<br />

등<br />

육성을 위한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을 10년마다 세<br />

산업의<br />

시행 21) 하도록 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과<br />

워<br />

비준하였다 25) .<br />

발전계획요강’을<br />

요강에서 중국은 해양군사 분야에서 방어전략을 지<br />

동<br />

등에 관한 중요정책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br />

해양개발<br />

소속하에 해양수산발전위원회를 두고, 위원회의 효율<br />

리<br />

운영과 심의안건의 검토·조정을 위하여 해양수산발전<br />

적<br />

두도록 하되, 동 실무위원회에는 분야별로<br />

실무위원회를<br />

22) 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Fig. 4 참조).<br />

분과위원회<br />

정부는 해양의 환경·자원 <strong>및</strong> 생태계 등의 관리·<br />

그리고<br />

대양력 제고에 치중하고 있는 데다 대만 독립문제, 일<br />

미<br />

댜오위타이(센가쿠 열도) 점령문제에 대처하고 남부<br />

본의<br />

방어 <strong>및</strong> 석유자원 보호를 위해서다. 중국은 최근 항<br />

해안<br />

잠수함 건조 <strong>및</strong> 보유를 중시하기 시작했다. 러시<br />

공모함과<br />

해양안전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 23) 하도<br />

보전과<br />

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장관은 해양과학기술의 향상<br />

록<br />

은 최근 “중국은 50년 동안 3단계에<br />

아의<br />

해군 현대화 계획을 추진중”이라며 “중국 해군은<br />

걸쳐<br />

실용화·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해양과학기술개발<br />

과 24) 을 세워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br />

계획<br />

2010년까지 전투력을 가진 항공모함을 보유할 것”이라고


5.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maritime<br />

Fig.<br />

of China.<br />

policy<br />

수 있다는 시각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br />

질<br />

중일간 동중국해 공동개발 문제가 다각적 가능성을 두<br />

이,<br />

비록 해양기본법의 제정이 이러한 원칙의 훼손<br />

반적이다.<br />

의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으나, 해당 조문을 통해<br />

을<br />

촉각을 세우고 있다.<br />

의도에<br />

주시하고 있는 또 하나의 논점은 대만과 일본의<br />

중국이<br />

하나로 인식하고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br />

“해양문제”중의<br />

일본이 공식적으로는 대만을 협상대상에서 배제하면<br />

이는<br />

무력화시켜온 중국에게는 신경쓰이는 대목이며,<br />

속적으로<br />

양안(중국과 대만)의 문제에 간여하는 것이라고 오<br />

일본이<br />

일본 해양기본법 제정과 종합해양정책본부 설<br />

4.<br />

의의 치의<br />

공포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종합해양정책본부는<br />

어<br />

해양정책 예산으로 총 1조 4,534억엔을 요구하<br />

2008년도<br />

uniformity of development speed and efficiency, Parallel administration of economic<br />

Maintain<br />

and resources/environment protection, Development of maritime economy through the<br />

development<br />

of maritim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tructuring of ocean<br />

promotion<br />

Development of key industry, National defense and security<br />

boundary,<br />

of maritime economy, Growth of national maritime economy, Development of coast area<br />

Development<br />

economy, Maritime ecological environment and resource protection<br />

maritime<br />

of major maritime industry and maritime economy zone, Maritime ecological<br />

Establishment<br />

and resources protection, Major actions to take for maritime economic development<br />

environment<br />

環 球 時 報 (2007.4.6) ; 중국해양보 第 1281 期 .<br />

26) 25)중국<br />

http://www.hani.co.kr/section-007100003/2003/06/007100003200306062137574.html<br />

3쪽.<br />

28) 27)인민일보해외판(2007.11.27)<br />

http://www.kmi.re.kr/data/linksoft/00000003/365-s-03.pdf<br />

Japan's Basic Ocean Law and Policy of Korea 125<br />

<strong>및</strong> 배타적경제수역 자원개발을 분명히 한<br />

해양자원개발<br />

주변국과의 협상결과에 관계없이 일본의 기존 정책<br />

것은<br />

지속적으로 강화, 유지할 것임을 천명한 것이라고 해석<br />

을<br />

따라서 일본의 해양기본법 제정은 쌍방이 모두 상대<br />

된다.<br />

권익을 침해할 수 있는 국내법 제정을 피하고자 하<br />

국의<br />

중국의 입장과 상반되는 것으로, 일본의 기본법 제정의<br />

는<br />

26) . 전망했다<br />

중국 최초의 해양분야 발전계획인 「국가 “11.5<br />

또한,<br />

문제에 있다. 일본은 이미 해양기본법 제정 시<br />

어업관련<br />

대만 간의 어업문제를 일본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br />

일본과<br />

(2006-2010년)” 해양과학 <strong>및</strong> 기술발전 규획 요강」을 2006<br />

3월 발표 27) 하였는 바, 동 계획에서는 해양의식 강화, 해<br />

년<br />

수호, 해양생태 보호, 해양자원개발, 해양종합관리<br />

양권익<br />

<strong>및</strong> 해양경제발전 등을 독립적으로 명시하였으며,<br />

실시<br />

들어서는 정치협상회의와 전인대회에서 국가해<br />

2007년에<br />

비공식적 라인을 통해 지속적으로 대만과 어업문제 협<br />

서<br />

진행하여 왔다는 점에서, 양국의 어업문제를 공론화<br />

상을<br />

총괄기관 설치 <strong>및</strong> 해양기본법 제정 문제 등이 제기<br />

양정책<br />

등 해양경계 발전을 위한 입법이 가속화 되고 있다 28) .<br />

되는<br />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일국양제( 一 國 兩 制 )<br />

시키겠다는<br />

유일합법정부 임을 내세워 대만의 국제적 지위를 지<br />

혹은<br />

일본의 해양기본법 제정에 특별히 경계심을 보<br />

중국이<br />

있는 이유 또한 한국과 중국이 수립하거나 설치하고<br />

이고<br />

해양관련 조직과 달리, 국내 정치상황에 따라서는 지<br />

있는<br />

일본의 주장을 근간으로 하는 해양력 강화로 이어<br />

나치게<br />

해될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이다.<br />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일 정상회담 이후 聯 合 新 聞<br />

고<br />

동중국해 유전의 개발문제가 “양국의 해양법 입장을<br />

은<br />

해양기본법 실시와 함께, 금년 2월에는 해양정<br />

일본의<br />

대한 기본 방침을 정한 해양기본계획이 정식 수립되<br />

책에<br />

않는다”고 보도한 바 있다. 공동개발은 기본적<br />

훼손하지<br />

경계획정 이전의 잠정조치로서, 관련 당사국간의 실<br />

으로<br />

추구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양국의 경계<br />

익을<br />

입장을 변경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는 것이 일<br />

획정<br />

였고,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이중 주목할 만한 것<br />

Table 3. Major contents of the summary of China's National Maritime Economic Development Plan<br />

Category<br />

Contents<br />

Target sea area<br />

Jurisdictional sea area + Foreign EEZ/Public sea (Deep seabed)<br />

Principle<br />

Objective<br />

Major contents


오키나와·아마미군도·오가사와라제도 등의 이도<br />

으며,<br />

離 島 ) 보전을 위해 총 152,250백만엔, 해상안전을 위한<br />

(<br />

해양관할권 행사와 직접 충돌될 여지가 있다. 특히,<br />

리의<br />

해양기본법 제정이 중국의 동중국해 유전개발에<br />

일본의<br />

견제에 있다고 판단됨에도, 독도 영유권과 독도 주변<br />

대한<br />

대한 일본의 행위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br />

EEZ에<br />

문제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br />

가의<br />

“EEZ와 대륙붕의 개발, 이용, 보전 등에<br />

해양기본법은<br />

종합해양정책본부(http://www.kantei.go.jp/jp/singi/kaiyou/gaisan_yokyu_h20.pdf)<br />

29)일본<br />

제19조.<br />

30)일본해양기본법<br />

북방 4개섬(일본명 ‘북방영토’, 러시아명 ‘쿠릴열<br />

아와는<br />

영유권을 둘러싸고 대립하고 있다. 즉, 자국이 설정<br />

도’)의<br />

해양기본법은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의 대처 수준에 대<br />

며,<br />

내부적 의사결정 라인을 집결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br />

한<br />

31) 2007년 올해 들어서도 일본은 제주도 남부수역에서 한국해양연구원이 수행하던 해양과학조사를 자국 관할이라는 이유를 들어 조<br />

항의를 한 바 있다.<br />

32) 사에<br />

4월 일본 해상보안청은 우리측 배타적경제수역을 포함한 독도주변의 공동어로수역에서 우리측 사전허가 없이 수로측량<br />

2006년<br />

해양기본법 제22조(해양조사 추진)에 근거하여 해양상황 파악, 해양환경 <strong>변화</strong>예측, 기타 해양에 관한 시책 수립과 실시에<br />

33)일본이<br />

조사를 추진할 경우 한일 양국간 갈등은 언제든지 재연될 수 있다.<br />

필요한<br />

126 Park, S. W. and Yang, H. C.<br />

영해 <strong>및</strong> 배타적경제수역에서의 해저지형, 지각구조에<br />

은<br />

조사를 위한 예산이 신규 편성(약 1,691백만엔)되었<br />

대한<br />

점에서는 우리의 독도 주변 EEZ 개발·관리에 대한 보<br />

는<br />

강한 일본의 대응이 있으리라 예상된다. 특히, “주권적<br />

다<br />

침해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 필요한 조치<br />

권리를<br />

강구한다”라는 조항이 일본과의 도서 영유권 <strong>및</strong> 경계<br />

를<br />

항공기 긴급 정비를 위해 총 48,977백만엔이 편<br />

순시정과<br />

점이다. 전체 예산에서 해양을 지키기 위한 안<br />

성되었다는<br />

수역에서의 당사국간 관할권 행사가 상시 대립 <strong>및</strong><br />

미획정<br />

가능한 긴장 상태 31) 를 야기할 경우, 일본 관련 기관<br />

충돌<br />

치안확보, 이도보전, 해양환경 보전, 재해 방지 항목<br />

전과<br />

총 8,932억엔이 투자되고 있다는 점이 놀랍다. 물론 해<br />

에<br />

행위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는 측면이 강하다고 해석되<br />

의<br />

때문이다. 동시에 이는 제21조와 연계하여 동중국해에<br />

기<br />

예산은 올 예산 총액인 1조 4천 49억엔과 비교하<br />

양관련<br />

획기적인 증가세를 이룬다고는 할 수 없다. 단, 우리나<br />

여<br />

일본의 자원개발에 대한 수동적 의미의 안전보장과 능<br />

서<br />

의미의 자원확보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사료된다.<br />

동적<br />

혹은 주변국과 관할권 확장의도와 관계있는 예산이 신<br />

라<br />

혹은 타 영역보다 높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과,<br />

규<br />

이미 우리나라와 독도영유권 <strong>및</strong> 주변해역에 대<br />

일본은<br />

수로측량으로 민감한 갈등상황을 일으킨 바 있으며 32) ,<br />

한<br />

과제가 일본의 새로운 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해<br />

이러한<br />

실질적이고 집중력 있는 해양정책 목표를 추진할 수<br />

보다<br />

조어대열도(일본명 ‘센카쿠( 尖 閣 )’)와 동중<br />

중국/대만과는<br />

가스전 개발 문제 <strong>및</strong> 동중국해 주변 어업문제, 러시<br />

국해<br />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으리라 본다 29) .<br />

있다는<br />

바와 같이, 해양기본법은 일본 정부가 시행할<br />

상술한<br />

시책으로 (1) 해양자원 개발 (2) EEZ(대륙붕)의 개발<br />

주요<br />

(3) 해양 안전 유지 (4) 해양조사의 추진 (4) 이도( 離<br />

추진<br />

가상 중간선 인근해역에서의 주변국 활동과 당사국간<br />

한<br />

비화될 수 있는 가능성은 항상 내포되어 있으<br />

갈등으로<br />

)의 보전 등 모두 12개항을 제시하고 있다. 법안이 의도<br />

島<br />

있는 동중국해와 독도영유권 <strong>및</strong> 수로측량 문제 등의<br />

하고<br />

측면을 논외로 하고라도, 법안은 몇가지 측면에서<br />

함의적<br />

집행규정의 미비 혹은 포괄적 해석 가능성으로 우<br />

구체적<br />

기대된다. 이러한 점에서 해양기본법 시행 후 1년내<br />

으로<br />

수립될 것으로 예상되는 ‘해양기본계획’의 내용에 주목<br />

에<br />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인 해양정책인 ‘해양기본계획’이<br />

할<br />

분쟁 대상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적시할 경<br />

영토<br />

분쟁국과의 관계는 악화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br />

우,<br />

동해, 특히 독도 주변해역에서 발생할 것으로<br />

우리나라<br />

해역조사(수로측량)와 관련한 활동에 대하여는 갈<br />

보이는<br />

야기될 수 있다 33) . 다만, EEZ 내에서 외국이 해저자<br />

등이<br />

대책 강화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해역의 특성에 맞는<br />

관한<br />

대륙붕 개발추진, EEZ와 대륙붕에서 일본의 주권<br />

EEZ와<br />

등을 실시할 경우에 일본 해상보안청이 구체<br />

원조사활동<br />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들 법<br />

적으로<br />

권리 침해 행위의 방지, 기타 해당 해역에서 개발에 필<br />

적<br />

조치”를 강구 30) 하도록 하고 있는 바, 이는 일본의 해<br />

요한<br />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서 일본 내에서도 논란이<br />

안이<br />

있다. 이러한 규정상의 미비가 일본의 자의적 해석<br />

되고<br />

상당한 자유재량적 해석으로 전개될 가능성이<br />

양정책이<br />

배타적경제수역 이용 강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br />

있으며,<br />

확보하기 위한 것인지, 주변국의 반응을 충분히 관<br />

여지를<br />

다음 관련 지침을 통해서 구체화 할 것인지는 알 수<br />

찰한<br />

하겠다는 일방적 선언을 하여 양국간 심각한 외교적 마찰을 유도한 바 있다. 일본이 수로측량을 이유로 독도주변 해양조<br />

행위를<br />

시도하려는 근저에는 유엔해양법협약과 국내 해양과학조사법상의 법적 모호성을 교묘하게 이용하려는 측면이 강하다. 따라<br />

사를<br />

일본이 한일 어업협정 제4조 3항과 우리 EEZ에서 일본 어선의 입어에 관한 절차규칙이 규정하는 “EEZ에서의 시험·연구조<br />

서<br />

근거로 추진하려는 “시험·연구” 혹은 “모니터링 시험·연구” 등의 신청에 대하여도 연구의 성격을 신중하게 검토하여 승<br />

사”를<br />

인할 필요가 있다.


다만, 현 일본정부의 성향과 국내 정치환경 <strong>및</strong> 주변<br />

없다.<br />

갈등시 대두되는 민족주의적 여론형성에 따라서는<br />

국과의<br />

동중국해 자원에 대한 적극적 개입과 입장표명이<br />

첫째,<br />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본은 중국의 동중국해<br />

필요하다.<br />

내부 전략이 재고되어야 한다.<br />

는바,<br />

중일 양국 협의과정에서 제기되는 공동개발 문제<br />

현재<br />

지질구조 파악을 위한 주변해역 조사가 병행되어야 하<br />

한<br />

경계획정 자료의 통합적 해석을 위한 관련 연구 사업<br />

며,<br />

가상중간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중일 양측의 이<br />

둘째,<br />

논쟁은 자원개발이라는 직접적인 원인과 함께<br />

전투구식<br />

반증하며, 양국 협상진행 과정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br />

을<br />

해양기본법은 일본이 제정한 첫 번째 거시적 해<br />

셋째,<br />

독도 주변해역에서의 수로측량과 해양과학조사 시행<br />

히,<br />

문제는 언제든지 민감한 외교사안으로 대두될 수 있<br />

등의<br />

있다. 요가<br />

우리가 주장하는 독도기점 EEZ를 기준으로 일<br />

따라서,<br />

효율적 <strong>및</strong> 통일적 정책수립과 R&D 개발에 집중<br />

넷째,<br />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현재 해양관련 연구개발은<br />

하여야<br />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산업자원부,<br />

해양수산부를<br />

등이 개별 부처의 관심사항을 중심으로 연구<br />

과학기술부<br />

요하다.<br />

주변국과의 해양문제에 즉각적인 대응체계를<br />

다섯째,<br />

鳳 凰 衛 時<br />

34)<br />

; 양희철, 박성욱, 박세헌. 2006. 동중국해 중·일 유전개발 분쟁을 통해 본 양국의 해양경계획정에 대한 입<br />

(2005.7.14)<br />

연구. Ocean and Polar Res., 28(2), 175-186.<br />

장<br />

Japan's Basic Ocean Law and Policy of Korea 127<br />

관할권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크<br />

일본의<br />

판단된다. 다고<br />

경계획정 전략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음을 인식하<br />

일본의<br />

한다. 양국의 자원개발 논쟁이 사실은 일본이 주장하<br />

여야<br />

가상 중간선을 중심에 놓고 발생하고 있으며, 일본에<br />

는<br />

중국의 대응논리가 자칫 동중국해에서 일본의 가상<br />

대한<br />

우리나라의 대응방안<br />

5.<br />

해양기본법의 제정이 배타적경제수역에서 일본<br />

결국,<br />

대한 잠정적 승인 형태로 비추어질 것을 경계해<br />

중간선에<br />

할 것이다. 중국 외교부는 이미 여러 차례 일본의 동중<br />

야<br />

강화를 명분으로 하고는 있으나, 실상은 일본의 해양<br />

권익<br />

확정되지 않은 지역에서 타국의 탐사개발 행<br />

경계획정이<br />

자원개발 항의에 대한 대응을 통해 “설령 일본이 주<br />

국해<br />

중간선 원칙에 따른다 할지라도 여전히 중국측 해<br />

장하는<br />

시도될 경우, 일본의 관할권 보호를 명확하게 하겠다<br />

위가<br />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한중일 삼국의 영토문제<br />

는<br />

속하여 있다”고 주장하며, 일본측 항의가 이유 없음<br />

역에<br />

주장한 바 있다 34) . 또한 “중국 춘샤오 유전을 포함한<br />

을<br />

주변 해역에 대한 관리·개발 시도와 관련 당사국의 대<br />

<strong>및</strong><br />

지금까지보다 더욱 강경하게 진행될 것이며, 분<br />

응방안이<br />

개발은 모두 중국 근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br />

관련<br />

일본과 쟁의가 없는 곳으로 주권적 권리를 행사하<br />

근해는<br />

심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임을 알 수 있다. 주변<br />

쟁이<br />

일본 총리를 해양정책 수뇌로 하고 전체 국무위<br />

국에게는<br />

정상적 활동이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는 중국정부<br />

는<br />

일본이 주장하는 중간선을 상당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br />

가<br />

구성원으로 하는 강력한 일원화 체계가 부담일 수밖<br />

원을<br />

없으며, 각각의 전개 가능한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수<br />

에<br />

예상하고, 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안<br />

위를<br />

되었다. 게<br />

입법이지만, 내면에는 EEZ 관할권 확대와 활동범<br />

양정책<br />

확대를 통한 해양력 강화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35) . 특<br />

위의<br />

해양기본법 제정과 관련 정책 추진과정에서 발<br />

일본의<br />

문제 접근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다음과 같은 민감<br />

생하는<br />

사안에 대하여 단계별 그리고 역할별 대응책을 고려하<br />

성<br />

한다. 여야<br />

점과, 이러한 점에서 일본은 이미 국가 최고위층에서<br />

다는<br />

대응 <strong>및</strong> 정책결정 체계를 갖추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br />

의<br />

시도에 지속적 항의를 제기하고 있으며, 2005년<br />

자원개발<br />

일본이 주장하는 가상 중간선 일측해역<br />

제국석유회사에게<br />

대한 정확한 메시지를 줄 필요가 있으며, 일본의 해<br />

본에<br />

행위에 대한 각 부서별(해양부, 외교통상부, 해경),<br />

역조사<br />

자원개발 시굴을 허가한 바 있다. 중일 양국을 중<br />

에서의<br />

전개되는 자원개발의 대립구도에 우리측 입장이<br />

심으로<br />

대응 수위를 사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일본<br />

단계별<br />

해양과학조사법을 통한 해역조사 신청의 민감성을 인<br />

이<br />

개입되고 있지 못하는 문제는 향후 일본의 해양기본<br />

전혀<br />

시행과 기본계획 수립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br />

법<br />

있어 다른 기준을 통한 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br />

식하고<br />

해양과학조사법과 수로측량법이 규정하고 있지<br />

되는바,<br />

사각 범위의 해역조사 신청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br />

않은<br />

하리라 본다.<br />

수반되어야<br />

우리가 주장하는 가상 관할해역의 일부를 포함하고<br />

또한<br />

판단되는 바, 중일 양국의 자원개발에 대하여는 지<br />

있다고<br />

구조에 의한 자원의 일방으로의 흡수 가능성을 근거<br />

질적<br />

일국의 일방적 개발에 반대하고, 우리가 주장하는 가상<br />

로<br />

중심으로 경계획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br />

경계선을<br />

한다. 이러한 외교적 대응은 한편으로는 정확<br />

견지되어야<br />

추진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연구의 추진 시에도<br />

사업이<br />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br />

연구의<br />

의 재편 혹은 통합 역시 고려되어야 하리라 본다.<br />

구축하여야 한다. 해양문제는 경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관할권 <strong>및</strong> 해양안보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문제가<br />

영유권,<br />

따라서 중국과 일본의 막강한 해양력에 능동적으<br />

되었다.<br />

사 사<br />

논문은 해양수산부의 “배타적경제수역 해양자원조<br />

이<br />

128 Park, S. W. and Yang, H. C.<br />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이에 걸맞는 시스템의<br />

로<br />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양수산<br />

구축이<br />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구체적 사항에까<br />

사(PM50101)”의<br />

검토하고 고민하여 주신 심사위원들께 감사드린다.<br />

지<br />

신설되었으나, 신생부처로서의 역량 한계와 각 부처<br />

부가<br />

부정확한 업무에 따라 해양문제에 능동적인 대응에 한<br />

의<br />

Received Nov. 16, 2007<br />

있었다. 따라서, 예산의 증액뿐만 아니라 해양문제를<br />

계가<br />

극대화 측면에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br />

국익<br />

Accepted Feb. 21, 2008<br />

필요하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