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정도도 폭설 등으로 인한 피해이므로 우리 나라의 자<br />

11%<br />

거의 전부가 해양 <strong>및</strong> 기상에서 기인한 것이라<br />

연재해는<br />

수 있다(소방방재청 2006).<br />

할<br />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언제, 어디에,<br />

자연재해에<br />

2003년에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매미’에 의한 파랑과<br />

우,<br />

해일, 그리고 2007년 3월에 전남 영광에서 발생한<br />

태풍<br />

종류의 자료들이 요구된다.<br />

양한<br />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며, 태풍 해<br />

해상풍은<br />

그러나 해상에는 육지와는 달리 실측 자료들이 많지<br />

이다.<br />

육지의 관측소를 통한 해상풍의 자료 동화는 정확<br />

않으며,<br />

국립기상연구소에서는 LAPS(Local Analysis and<br />

면,<br />

System)의 입력자료로서 QSCAT 해상풍을 활<br />

Prediction<br />

주변의 바람을 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기상청<br />

한반도<br />

본 연구에서는 해양과 기상수치모델의 입력 <strong>및</strong> 검<br />

2006).<br />

해상풍의 검증은 주로 외해의 부이를 통해서<br />

QSCAT<br />

이루어졌다. QSCAT이 궤도에 오르기 이전 시기의<br />

많이<br />

이용한 해상풍의 관측에 대해서, Rufenach<br />

scatterometer를<br />

al.(1997)은 ERS-1 scatterometer의 관측자료와 1994년<br />

et<br />

해 동안 1시간 단위의 부이 해상풍 자료를 비교하였다.<br />

한<br />

연구에서는 약한 풍속 영역에서는 scatterometer<br />

그들의<br />

일본 주위에 설치된 JMA(Japan Meteorological<br />

al.(2000)은<br />

부이들과 NSCAT 자료를 비교하였다. 풍속의<br />

Agency)의<br />

NSCAT 고장 이후 QSCAT이 궤도에 오른 후, Ebuchi<br />

다.<br />

al.(2002)은 저위도의 수심이 깊은 외해에 설치된 부이<br />

et<br />

풍속의 상관관계는 0.89로 매우 높았으며 QSCAT이<br />

다.<br />

2m/s 정도 풍속을 크게 관측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br />

약<br />

등(2007)은 RDAPS(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br />

유<br />

System)와 QSCAT의 한반도를 포함한 북서태<br />

Prediction<br />

비교를 통해 풍속의 BIAS는 ±1m/s 이내이며,<br />

평양에서<br />

1.5 m/s 이내로 나타난다고 하였다.<br />

RMSE는<br />

해상풍은 2006년까지는 25 km 해상도로<br />

QSCAT<br />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의<br />

NASA(National<br />

Propulsion Laboratory)에서 제공하였으나 2007년<br />

JPL(Jet<br />

12.5 km 해상도 자료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br />

부터는<br />

해상풍과 비교, 검증 자료로 이용될 실측자료는<br />

QSCAT<br />

해양기상부이 5기(이하 기상청 부이), 한국<br />

국립기상청의<br />

기지)에서 관측된 값이다.<br />

어도<br />

지점(이하 ‘기상청 부이, 실시간 관측소, 그리고<br />

실측<br />

외해에서 검증이 된 대표값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br />

풍은<br />

해안선으로부터 20 km 이내의 ‘land mask’가<br />

QSCAT은<br />

그 영역에 대한 해상풍은 제공하지 않는다(Fig. 1).<br />

있어<br />

이를 연안의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외해에서<br />

따라서<br />

따라서 이에 기인하는 오차를 감안하여야 하며, 실<br />

크다.<br />

지점들이 연안에 있기 때문에 이들이 위치한 지리적<br />

측<br />

QSCAT 25 km 해상풍의 검증 결과와도 비교하<br />

하였으며,<br />

보았다. 여<br />

48 Jeong, J.-Y. et al.<br />

바람과 파도에 의한 피해, 그리고 태풍 해일에 대한 피<br />

된<br />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우리 나라는 지진이나 화산<br />

해도<br />

1.7 m/s, 풍향에서는 20 o 를 조금 넘는 값으로 계<br />

RMSE는<br />

설계오차범위를 대체로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br />

산되어<br />

의한 피해 규모는 거의 없으나 풍수해로 인한 손실<br />

등에<br />

전체 자연재해의 약 88% 정도를 차지하며 나머지<br />

은<br />

QSCAT 자료를 비교하여 풍속은 1.01 m/s, 풍향은<br />

들과 o 의 오차범위를 보여 Masuko et al.(2000)과 마찬가지로<br />

23<br />

관측된 해상풍이 실제 관측값과 큰 오차<br />

scatterometer로<br />

없다는 것을 보였다. 한편 한반도 주변에서는 하 등<br />

가<br />

정도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필<br />

어느<br />

하지만, 1996년의 지리산 부근에서 발생한 집중호<br />

요하다.<br />

2005년도 3월 한 달 동안에 이어도 종합해양과<br />

(2007)이<br />

관측된 해상풍과 QSCAT 해상풍을 비교하였<br />

학기지에서<br />

등 해양 <strong>및</strong> 기상재해는 사전에 예측하기가 쉽지 않<br />

해일<br />

것이 현실이다. 이런 재해들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br />

은<br />

해양과 기상 관측자료들이 필수적이다. 즉, 예측을<br />

양질의<br />

수치모델의 입력자료로서 충분한 신뢰성을 갖는 다<br />

위한<br />

파랑을 좌우하기 때문에 여러 대기, 해양 기인의<br />

일이나<br />

예측에 반드시 입력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br />

자연재해의<br />

수행하던 초기에는 25 km 자료로 시작하였으나 그<br />

를<br />

12.5 km 자료를 획득하여 이를 위주로 분석하였다.<br />

후<br />

않다(유 등 2007). 따라서 실측 자료의 획득이 어려<br />

하지<br />

해상에서는 위성자료가 매우 유용하다. QuikSCAT(이<br />

운<br />

QSCAT)은 광역의 해상풍을 관측하는 위성으로, 수치<br />

하<br />

위한 자료동화 등에 이미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br />

모델을<br />

운용하는 7곳의 실시간 해양관측소(이하<br />

해양연구원에서<br />

관측소), 그리고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이하 이<br />

실시간<br />

있으며, 실측자료가 전무한 해상에서 QSCAT 자료<br />

용하고<br />

입력하여 해상풍을 모의하였을 때, 보다 실제에 가깝게<br />

를<br />

기지의 통칭’)에서 관측된 해상풍은 실측 지점이<br />

이어도<br />

지역에 대한 해상풍의 대표값이며, QSCAT 해상<br />

위치한<br />

외해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는 QSCAT 위성의<br />

증자료로서<br />

자료를 한반도 연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br />

해상풍<br />

마찬가지로 검증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QSCAT 해상<br />

와<br />

활용 영역을 연안으로 확장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br />

풍의<br />

지점들의 해상풍과 비교하여 연안에서 QSCAT 해상<br />

실측<br />

비교, 검증하였다. 연안에서 QSCAT 해상풍의 검증<br />

풍을<br />

외해에서와는 달리 비교 대상이 되는 실측 지점과<br />

은<br />

해상풍의 관측 지점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br />

QSCAT<br />

풍속이 과대평가되고 강한 풍속 영역에서는 오히려<br />

의<br />

경향이 나타남을 지적하였다. 1996년에는<br />

과소평가되는<br />

탑재한 NSCAT(NASA scatterometer)이<br />

scatterometer를<br />

올라 해상풍을 관측하기 시작하였고, Masuko et<br />

궤도에<br />

의한 영향도 파악하고자 한다. 그에 앞서 해상도가<br />

조건에<br />

QSCAT 12.5 km 해상풍을 이어도 기지에서 검증<br />

높아진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