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isk assessment, ERA)는 생태계에 대한 오염물질<br />

mental<br />

다른 인위적인 활동의 악영향을 생태계 수준에서 과학<br />

<strong>및</strong><br />

CYP1A<br />

metabolites<br />

Bile<br />

Apoptosis<br />

responses<br />

Stress<br />

Metallothionein<br />

parameters<br />

Metabolic<br />

Cholinesterase<br />

stress<br />

Oxidative<br />

hormones<br />

Steroid<br />

Vg<br />

PCBs, HAHs<br />

PAHs,<br />

Chromophenolics<br />

PAHs,<br />

Cd PCB,<br />

stressors<br />

Multiple<br />

metals<br />

Heavy<br />

stressors<br />

Multiple<br />

& carbamate pesticides<br />

OP<br />

PCBs<br />

HAHs,<br />

stressors<br />

Multiple<br />

Estrogen<br />

Environmental<br />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되었다(Bucheli and Kent<br />

오마커에<br />

바이오마커는 인위적인 환경요인에 의해 유도되는<br />

1995).<br />

분자생물학 또는 생리학적 반응을 특이적으로 반<br />

생화학,<br />

1994), 개체, 집단뿐만 아니라 생태계에서<br />

영하며(Peakall<br />

생물학적 영향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McCarty<br />

의<br />

Munkittrick 1996). 생화학적 반응은 개체 또는 군집<br />

and<br />

1. Response level and ecological correlation (modified<br />

Fig.<br />

from McCarty and Munkittrick 1996).<br />

Exposure<br />

indicator<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opulation<br />

impact<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110 Jung, J.-H. et al.<br />

바이오마커를 선정하고, 이를 연안 해역 건강도 평가에<br />

는<br />

사례는 매우 드물다.<br />

적용한<br />

수준으로 높아질수록 오염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데<br />

계<br />

시간이 소요되며, 때로는 생물체내에서 화학적 방법<br />

오랜<br />

이용한 해양생물의 건강도 평가 연구는<br />

바이오마커를<br />

초부터 시작되었고, 각 국가별 연안의 특성을<br />

1990년대<br />

검출되지는 않는 수준에서부터 과다한 오염영향에<br />

으로<br />

변형된 생물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br />

대하여<br />

건강평가지수(Adams et al. 1993), 바이오마커지<br />

고려한<br />

et al. 1999; Chevre et al. 2003), 통합 바이<br />

수(Narbonne<br />

오염 또는 악화된 환경<strong>변화</strong>에 따라 더욱 특이적이고<br />

각의<br />

검출기법이 요구되면서, 조기경보신호 또는 바이<br />

민감한<br />

반응지수(Beliaeff and Burgeot 2002), 생물영향평<br />

오마커<br />

et al. 2005; Broeg and Lehtonen 2006), 일<br />

가지수(Broeg<br />

선형모델(Napierska and Podolska 2005) 등이 보<br />

반화된<br />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이오마커를 적용하여 해양<br />

고되고<br />

건강도를 평가함에 있어 ‘어떤 적절한 바이오마커<br />

생물의<br />

적용할 것인지’, 또한 ‘각 바이오마커로부터 제공되는<br />

를<br />

어떠한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해석할 것인지’에 대<br />

정보를<br />

논란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연안 해역에 대한 연구<br />

한<br />

반응보다 훨씬 민감하고 짧은 시간에 일어나므로<br />

수준의<br />

생물학적 영향을 감지할 수 있으나, 실제 이러한<br />

조기에<br />

미진한 국내 실정을 감안할 때 다음과 같이 고려해야<br />

가<br />

몇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 국내 연안생물의 건강<br />

할<br />

군집수준의 <strong>변화</strong>와 생태학적인 <strong>변화</strong>에 대하여는<br />

반응이<br />

상관성을 보인다(Fig. 1). 그러나 Table 1에서와 같이<br />

낮은<br />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서식환경에 따른 대표 생물<br />

을<br />

선정, 둘째, 대상생물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바이오마<br />

의<br />

주어지는 스트레스 중 일부는 종류와 특성 그<br />

외인적으로<br />

강도에 따라 생화학적 반응이 상쇄 또는 소멸되거나<br />

리고<br />

개체수준으로 증폭되기도 하므로 각각의 바이오마커를 건<br />

선정,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내 연안실정에 맞는 건강<br />

커의<br />

평가지수의 적용성 검토 등을 들 수 있다.<br />

도<br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해양생물의 위해성영향평<br />

따라서<br />

적용 빈도가 높은 각 생물 단계에 따른 바이오마커<br />

가에<br />

이들의 장단점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이용한 연안평가<br />

와<br />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해양건강성평가에 적용가능성을<br />

의<br />

살펴보고자 하였다.<br />

바이오마커<br />

또는 환경위해성 평가(ecological or environ-<br />

생태위해성<br />

측정하는 방법이다(Depledge and Fossi 1994). 오<br />

적으로<br />

인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생물계내의 영양<br />

염물질로<br />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개체 수준에서부터 생태<br />

Table 1. Responses of biomarker on biochemical stresses (modified from Sherry 2003)<br />

Inducing pollutants<br />

Field<br />

Laboratory<br />

Parameter<br />

Exposure<br />

Effect<br />

DNA breakage<br />

−<br />

Multiple stressors<br />

+<br />

−<br />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