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3. RMSE between QSCAT wind and observed<br />

Table<br />

Wind speed from 3 to 10 m/s are used.<br />

wind.<br />

KMA<br />

Buoy<br />

KORDI<br />

Realtime<br />

Observation<br />

Data<br />

RMSE differences (RMSE 3~10<br />

-RMSE 3~20<br />

)<br />

The<br />

shown in ( ). RMSE 3~10<br />

and RMSE 3~20<br />

rep-<br />

are<br />

the RMSE for wind speeds from 3 to 10<br />

resent<br />

and from 3 to 20 m/s, respectively<br />

m/s<br />

Observation<br />

station<br />

direction<br />

Wind<br />

(degree)<br />

speed<br />

Wind<br />

(m/s)<br />

59.72 (0.29) 1.36 (−0.75)<br />

Chilbaldo<br />

54.16 (0.5) 1.29 (−0.89)<br />

Geomundo<br />

Ocean Research<br />

Ieodo<br />

Station<br />

이하인 경우만 분석한 경우, 풍속의 RMSE는 현저히 줄<br />

s<br />

경향을 보였던 것과는 달리, 풍향의 RMSE는 거의<br />

어드는<br />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br />

<strong>변화</strong>가<br />

QSCAT과 실측 지점의 풍향 RMSE는, 평균<br />

연안에서<br />

지점의 지리적 조건과 풍향, 풍속의 RMSE<br />

실측<br />

실측 지점의 해상풍 비교에 있어서 일치성은<br />

QSCAT과<br />

관측 지점과 실측 지점간의 거리에 의해 일차적<br />

QSCAT<br />

영향을 받을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거리 외에 다른<br />

인<br />

실측 지점별로 실시하였다.<br />

여,<br />

이어도 기지, 동해 부이, 그리고 왕돌초 실시간<br />

외해의<br />

54 Jeong, J.-Y. et al.<br />

Fig. 6. Same as the Fig. 3, but for wind direction.<br />

가깝게 나타났으나 풍향의 RMSE가 5~10 o 정도<br />

측소보다<br />

나타났다. 전체 실측지점에서 QSCAT 풍속이 10 m/<br />

크게<br />

RMSE<br />

15 km인 기상청 부이에서 63 o 인 반면 평균거리가<br />

거리가<br />

km로 더 먼 곳에 위치한 실시간 관측소에서 평균 52 o<br />

29<br />

Deokjeokdo 92.87 (0.74) 1.65 (−0.45)<br />

나타나 풍향의 유사성은 단지 거리에 의해 좌우되는<br />

로<br />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br />

것만은<br />

Geojedo 49.85 (3.79) 1.76 (−0.8)<br />

Donghae 58.32 (0.65) 1.20 (−0.58)<br />

Donongtan 55.80 (7.41) 2.51 (−0.59)<br />

Incheon 56.06 (0.21) 1.88 (−0.73)<br />

Seocheon 67.39 (2.82) 2.13 (−0.98)<br />

중 실측 지점이 위치한 지리적 요인이 미치는 영<br />

요소들<br />

살펴보았다. 지리적 조건의 분석은 외해에서 육지를<br />

향을<br />

Sokcho 73.20 (3.9) 2.53 (−1.16)<br />

Ssangjeongcho 43.79 (3.83) 4.54 (0.68)<br />

Taean 38.54 (2.09) 1.93 (−0.84)<br />

않고 실측 지점으로 불어 들어가는 바람과, 육지를<br />

거치지<br />

실측 지점으로 향하는 바람의 영역을 각각 구분하<br />

지나<br />

Wangdolcho 47.68 (0.53) 1.67 (−0.62)<br />

27.10 (1.25) 1.47 (−0.36)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