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실제 수층으로 공급되는 양은 많지 않다(Sundareshwar<br />

어<br />

Morris 1999; Coelho et al. 2004). Lillebø et al.<br />

and<br />

갯벌퇴적물이 연안해역의 영양염 <strong>변화</strong>에 별다른<br />

루어져,<br />

미치지 않는다.<br />

영향을<br />

만조 시보다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데,<br />

절에서<br />

갯벌퇴적물에서 해수로 공급되는 양이 해수 중에<br />

이것은<br />

암모니아, 질산염, 아질산염을 모두 합한 용존무<br />

용한다.<br />

봄, 여름, 겨울에는 간조 시보다 만조 시에 높은<br />

기질소는<br />

겨울에는 용존무기질소의 제거원으로 작용하고 가을<br />

름,<br />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갯벌퇴적물은 가을에<br />

에는<br />

여름과 가을에는 만조 시보다 간조 시에 월등히 높<br />

내고,<br />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봄과 겨울에 규산염의<br />

은<br />

Kim, D. and Kim, K.H. 9<br />

퇴적물과의 흡착이 있다. 한편, 인산염의 생성은 주<br />

표층<br />

퇴적물에서 유기물 분해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기물 공<br />

로<br />

유기물의 형태로 갯벌퇴적물에 다시 유입되며, 이로<br />

되어<br />

갯벌퇴적물과 해수 사이의 영양염 순환이 이루어진다.<br />

써<br />

많고 퇴적속도가 빠른 갯벌퇴적물에서 유기물 분해<br />

급이<br />

의해 생성된 인산염은 대부분이 표층 퇴적물에 흡착되<br />

에<br />

영양염 순환에 있어서, 유기물 분해에 의해 갯벌퇴<br />

이러한<br />

해수로 공급되는 <strong>영양염의</strong> 양과 해수 중에서 식<br />

적물에서<br />

의해 섭취되는 <strong>영양염의</strong> 양이 같으면, 갯벌<br />

물플랑크톤에<br />

해수 사이에 <strong>영양염의</strong> 공급과 소비가 평형이 이<br />

퇴적물과<br />

연구에 따르면, 갯벌퇴적물에서 수층으로 공급되<br />

(2004)의<br />

인산염 플럭스는 <strong>계절</strong>에 따라 <strong>변화</strong>하는데, 수온이 낮은<br />

는<br />

겨울에 비해 수온이 높은 여름과 가을에 높게 관측<br />

봄과<br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여름과 가을에 근소만이 인산<br />

되었다.<br />

연구에서 모든 영양염 농도가 <strong>조석</strong>에 따라 큰 <strong>변화</strong><br />

본<br />

나타내는 것은 갯벌퇴적물에서 해수로 공급되는 양과<br />

를<br />

공급원으로 작용하는 것은 갯벌퇴적물에서 수층으로<br />

염의<br />

인산염 플럭스가 여름과 가을에 높기 때문이다.<br />

공급되는<br />

중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섭취되는 양이 평형을<br />

해수<br />

있지 않다는 것을 지시해준다. 암모니아는 모든 계<br />

이루고<br />

봄과 겨울에 근소만이 인산염의 제거원으로 작용<br />

그리고<br />

것은 갯벌퇴적물에서 수층으로 공급되는 인산염 플<br />

하는<br />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섭취되는 양보다 작기 때문<br />

럭스가<br />

이다.<br />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섭취되는 양보다 많다는 것을 의<br />

서<br />

따라서 갯벌퇴적물은 암모니아의 주요 공급원으<br />

미한다.<br />

인산염과 마찬가지로 봄과 겨울에는 만조 시<br />

규산염도<br />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간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br />

에<br />

작용한다. 질산염은 모든 <strong>계절</strong>에서 간조 시보다 만조<br />

로<br />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식물플랑크톤에 의<br />

시에<br />

반면, 여름과 가을에는 정반대로 간조 시에 높은 농도<br />

낸<br />

나타냈고 만조 시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하지만<br />

를<br />

섭취되는 양과 갯벌퇴적물에서 탈질소화작용에 의해<br />

해<br />

양을 합한 것이 갯벌퇴적물에서 해수로 공급되<br />

제거되는<br />

여름과 가을에 만조와 간조 사이에 농도 차이가<br />

규산염은<br />

μmol l −1 정도로 매우 큰 반면, 봄과 겨울의 농도차이<br />

10<br />

양보다 많다는 것을 지시해준다. 따라서 암모니아의 경<br />

는<br />

반대로 갯벌퇴적물은 질산염의 주요 제거원으로 작<br />

우와<br />

그다지 크지 않다. 따라서 여름과 가을에는 근소만이<br />

는<br />

확실한 공급원으로 작용하지만, 봄과 겨울에는<br />

규산염의<br />

미약한 제거원으로 작용한다. 규산염은 수층에<br />

규산염의<br />

주로 식물플랑크톤의 섭취에 의해 제거되고, 퇴적물에<br />

서<br />

나타낸 반면, 가을에는 오히려 만조 시보다 간조<br />

농도를<br />

높은 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갯벌퇴적물은 봄, 여<br />

시에<br />

규산질 껍질(siliceous shell)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어<br />

서<br />

공급된다. 따라서 여름과 가을에 근소만이 규산<br />

수층으로<br />

확실한 공급원으로 작용하는 것은 갯벌퇴적물에서<br />

염의<br />

껍질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어 수층으로 공급되는<br />

규산질<br />

용존무기질소의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다른 <strong>계절</strong> 동안<br />

만<br />

제거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일년 평균적으로는 제<br />

에는<br />

양이 수층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섭취에 의해 제<br />

규산염의<br />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또한, 봄과 겨울에 근소만<br />

거되는<br />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산염은 봄과 겨울<br />

거원으로<br />

간조 시보다 만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여름<br />

에는<br />

규산염의 제거원으로 작용하는 것은 수층에서 식물플<br />

이<br />

섭취에 의해 제거되는 규산염의 양이 갯벌퇴적<br />

랑크톤의<br />

가을에는 만조 시보다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낸<br />

과<br />

따라서 갯벌퇴적물은 봄과 겨울에는 인산염의 제거원<br />

다.<br />

규산질 껍질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어 수층으로 공<br />

물에서<br />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즉 갯벌퇴적물에서 규산염<br />

급되는<br />

작용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공급원으로 작용하며, 일<br />

으로<br />

평균적으로는 인산염 공급과 소비가 평형을 이루고 있<br />

년<br />

<strong>계절</strong>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수온이 낮<br />

플럭스가<br />

봄과 겨울보다 수온이 높은 여름과 가을에 보다 더 큰<br />

은<br />

것으로 생각된다. 규산염도 봄과 겨울에는 간조 시보다<br />

는<br />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여름과 가을에는 만조<br />

만조<br />

플럭스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br />

간조 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갯벌퇴적<br />

시보다<br />

봄과 겨울에는 규산염의 제거원으로 작용하고 여름<br />

물은<br />

연안해역의 영양염 <strong>변화</strong>에 미치는 영향<br />

갯벌퇴적물이<br />

유기물 공급이 많고 퇴적속도가 빠르기 때문에,<br />

갯벌은<br />

가을에는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규산염은 봄과<br />

과<br />

간조 시보다 만조 시에 약간 높은 농도를 나타<br />

겨울에는<br />

유기물 분해가 활발히 일어나며, 이에 따<br />

갯벌퇴적물에서<br />

분해 산물인 암모니아, 인산염, 규산염과 같은 영양염<br />

라<br />

많이 생성된다(Jickells and Rae 1997). 갯벌퇴적물로부<br />

이<br />

수층으로 공급된 영양염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섭취<br />

터<br />

양보다 여름과 가을에 공급되는 양이 더 많은<br />

제거되는<br />

판단된다. 따라서 일년 평균적으로는 갯벌퇴적물<br />

것으로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