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1. QuikSCAT wind data points and in-situ observation<br />

Fig.<br />

stations. Thick lines indicate the ‘land mask’<br />

of QSCAT wind. Dots on the ocean are<br />

border<br />

wind data points accumulated for<br />

QuikSCAT<br />

days. Triangles, stars, and squares represent<br />

seven<br />

the KMA buoys, KORDI Realtime Obseva-<br />

Stations, and Ieodo Ocean Research Station,<br />

tion<br />

a: Deokjeokdo buoy, b: Chilbaldo<br />

respectively.<br />

c: Geomundo buoy, d: Geojedo buoy, e:<br />

buoy,<br />

buoy, f: Incheon, g: Seocheon, h: Taean,<br />

Donghae<br />

Donongtan, j: Wangdolcho, k: Sokcho, l:<br />

i:<br />

and m: Ieodo.<br />

Ssangjeongcho,<br />

실시하여 지구 표면의 약 90% 범위를 스캔하게 된다.<br />

을<br />

이전의 NSCAT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웨이브<br />

QSCAT은<br />

이용하여 해상풍을 관측하며 그 주파수는 13.4 GHz이<br />

를<br />

가시광선 영역이 아닌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므로<br />

다.<br />

기상조건에서 관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br />

모든<br />

측정된 반사파는 ‘Geophysical Model<br />

Scatterometer로<br />

3~20 m/s의 풍속측정범위를 갖는다. 풍속은 2m/s,<br />

지며<br />

20 o 의 설계오차범위를 갖는다(http://winds.jpl.<br />

풍향은<br />

m 높이의 이어도 기지 옥상 층의 10 m 높이로 위치<br />

33.5<br />

기상타워에 풍향, 풍속계들이 설치되어 있다. 기상타워<br />

한<br />

자료 선정의 시간범위는 이어도 기지에서 10분 간격<br />

한편,<br />

바람 자료가 생산되지만, 기상청 부이와 실시간 관측소<br />

의<br />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다.<br />

것이<br />

해상풍은 관측 높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br />

실측지점의<br />

해상풍과 비교하기 위해 10 m 높이의 해상풍으로<br />

QSCAT<br />

변환하기 위한 식으로는 하 등(2007)이 이어<br />

변환하였다.<br />

ln H z 0<br />

---<br />

----------<br />

−3 m을 사용하였다.<br />

10<br />

기지는 제주도 서남쪽 약 160 km 정도 떨어진<br />

이어도<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49<br />

현재 운용 중인 다섯 기 모두의 자료를 사용<br />

2006년까지<br />

실시간 관측소는 항로표지 또는 잔교 등에 설치되<br />

하였다.<br />

있으며(해양수산부 2006), 대부분의 지점에서 2003년<br />

어<br />

2006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어도 기지는<br />

부터<br />

동, 서쪽에 설치된 풍향, 풍속 자료는 동일하여 타워 서<br />

의<br />

설치된 풍향풍속계 자료를 사용하였다.<br />

쪽에<br />

기지, 기상청 부이, 그리고 실시간 관측소의 위<br />

이어도<br />

Fig. 1에 나타내었다. 실측지점에서 바람을 측정하는<br />

치는<br />

사용하는 풍향, 풍속계는 R.M. Young사의 05106 모델<br />

데<br />

모두 사용하고 있으며 장비의 측정오차는 풍속은 2%,<br />

을<br />

7 o 이다. QSCAT 해상풍은 각 실측지점으로부터<br />

풍향은<br />

km 이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는 30분 이내의 자료<br />

50<br />

선택하였다. Ebuchi et al.(2002)은 QSCAT 25 km 해<br />

를<br />

외해에 설치된 부이들과의 비교에 있어서 공간적<br />

상풍과<br />

25 km, 시간의 차이로는 30분 이내의 자료를 추출<br />

으로는<br />

비교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연안에서<br />

하여<br />

곳에 위치한 실측지점과의 비교에 많은 비중을 두<br />

가까운<br />

때문에 Ebuchi et al.(2002)이 사용한 범위에서 데이<br />

었기<br />

추출하였을 때 비교자료가 없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br />

터를<br />

공간적으로 50 km 이내에 속하는 자료를 추출하였다.<br />

서<br />

1시간 마다 자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실측<br />

에서<br />

관측시간으로부터 30분 이내의 자료를 추출하는<br />

지점의<br />

2. 자료 <strong>및</strong> 연구방법<br />

극궤도, 태양동조궤도위성이며 약 100분에<br />

QSCAT은<br />

바퀴 정도 지구를 회전하며. 하루에 약 40만 번의 관측<br />

한<br />

기지와 QSCAT 해상풍을 비교할 때 사용하였던 변환<br />

도<br />

(1)을 사용하였다 (De Rooy et al. 2004; 오 등 2005;<br />

식<br />

등 2007). 실측지점의 세부 정보는 Table 1에 기술하였<br />

하<br />

실시간 해양관측자료의 풍향, 풍속계 높이는 정확히<br />

다.<br />

어려운 부분이 있어 등표의 제원을 기준으로 계<br />

파악하기<br />

산하였다.<br />

ln 10 -----<br />

z 0<br />

u u Hm 10 m<br />

(1)<br />

=<br />

통해 10 m 높이의 해상풍으로 환산된<br />

Functions(GMF)’를<br />

QSCAT의 1회 관측범위는 1,800 km 정도의 폭을 가<br />

다.<br />

실측지점에서 해상풍을 관측한 높이를 의미하며, z 0<br />

H는<br />

거칠기 길이로서 외해에 해당하는 이어도 기지, 동해<br />

는<br />

nasa.gov/missions/quikscat/index.cfm).<br />

그리고 왕돌초는 하 등(2007)이 사용한 값인 5×10 −4<br />

부이,<br />

하였으며, 그 외의 실측지점은 연안에 해당하는 값인<br />

m로<br />

부이는 1996년부터 설치되어 운용되어 왔으며<br />

기상청<br />

덕적도, 칠발도, 거문도, 거제도, 그리고 동해시의 동<br />

현재<br />

쪽 해상에 계류되어 있다. 비교 분석을 위해 2003년부터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