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5. RMSE with the consideration of geophysical factors. Bold (Italic) characters indicate that ‘Good case’ is<br />

Table<br />

(worse) than ‘Bad case’<br />

better<br />

case’<br />

‘Good<br />

(Degrees)<br />

case’ ‘Bad<br />

(Degrees)<br />

315~0 135~215 73.61 72.33 2.91 3.71<br />

Seochoen<br />

135~225 315~45 97.88 57.61 3.67 3.87<br />

Sokcho<br />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Fig. 8).<br />

열의<br />

실측 지점의 지리적 조건을 감안한 분석 결과, 지<br />

연안<br />

주변의 실측 지점들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QSCAT<br />

반도<br />

km 해상풍은 이어도 기지에서 관측된 바람 자료로<br />

12.5<br />

풍속의 RMSE는 1.85 m/s 정도로 QSCAT 설계<br />

검증하여,<br />

2m/s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향의 경<br />

오차범위<br />

mask’는 해안선이 단순한 동해안과 남해 동부에서<br />

‘land<br />

약 20 km 정도의 범위를 나타냈으나 해안선이 복잡하<br />

는<br />

섬이 많은 남해 서부와 <strong>서해</strong>안의 경우에는 ‘land mask’<br />

고<br />

범위가 일정치 않다. 특히 남해 서부 해안에서는<br />

의<br />

해상풍이 제공되지 않는 범위가 매우 넓게 나타<br />

QSCAT<br />

있다. 나고<br />

해상풍과 실측 지점들의 비교 분석 결과 풍향<br />

QSCAT<br />

풍속 모두 QSCAT 해상풍과 실측 지점 간의 거리에 영<br />

과<br />

Ebuchi et al.(2002)는 부이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br />

났다.<br />

풍속에서 해상풍을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br />

강한<br />

56 Jeong, J.-Y. et al.<br />

RMSE<br />

Selected wind range<br />

Wind directon (degree)<br />

Wind speed (m/s)<br />

Station<br />

‘Good’ ‘Bad’ ‘Good’ ‘Bad’<br />

Deokjeokdo 270~360 90~180 91.26 89.91 2.08 2.47<br />

Chilbaldo 270~360 135~225 56.64 70.90 1.87 3.34<br />

Geojedo 45~90 315~360 51.30 42.53 2.19 2.76<br />

Geomundo 45~135 315~360 61.27 50.78 2.12 1.68<br />

Donongtan 200~290 0~90 42.47 61.88 2.83 3.59<br />

Ssangjeongcho 225~315 0~90 30.48 40.03 3.92 4.62<br />

Taean 270~315 90~135 26.66 32.05 1.95 3.04<br />

지점들보다 강한 <strong>계절</strong>성을 보였다(Fig. 8a, 8b). 두 지<br />

른<br />

RMSE는 동계에 낮고 하계에는 높게 나타났다. 동계<br />

점의<br />

풍향은 대부분 ‘Good case’의 풍향에 해당하며, 하계에<br />

의<br />

지배적으로 드러나는 풍향은 존재하지 않으나 남풍 계<br />

는<br />

조건에 의한 풍향의 <strong>변화</strong>는 예상보다 현저하게 나타<br />

리적<br />

않았다. 이는 지리적 조건 외에도 QSCAT과 실측지<br />

나지<br />

해상풍의 RMSE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존재하기<br />

점의<br />

사료된다. 거문도를 제외한 모든 연안 실측 지점<br />

때문으로<br />

받으나, 실측 지점이 위치한 지리적인 조건도 두 자<br />

향을<br />

간에 발생하는 오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br />

료<br />

풍속 RMSE는 평균 0.75 m/s 정도 낮아지는 값을 보<br />

에서<br />

지리적 조건에 의한 풍속의 <strong>변화</strong>는 상대적으로 잘 나<br />

여<br />

등(2007)은 모델을 이용한 천해파랑의 산정에 있어 지<br />

김<br />

고려한 해상풍을 이용할 때 천해파랑 모델링 결과가<br />

형을<br />

타났다.<br />

4. 요약 <strong>및</strong> 결론<br />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측 지점의 지<br />

달라지는<br />

조건을 고려하였으나, 김 등의 연구와 같이 지형적인<br />

리적<br />

분석하지 못하여 이후 계속적인 분석이 뒤따<br />

요소까지는<br />

것으로 사료된다.<br />

라야할<br />

제공하는 광역의 해상풍 자료는 여러 연구들<br />

QSCAT이<br />

통해 외해의 부이나 선박 등과의 비교, 검증으로 그 정<br />

을<br />

위치한 이어도 기지와 동해 기지의 풍속은 모두<br />

외해에<br />

설계오차범위를 만족시켰다. 하지만, 풍향의 경<br />

QSCAT의<br />

확보되어 있으며, 다양한 해양 <strong>및</strong> 기상수치모델 등<br />

확성이<br />

입력<strong>및</strong> 검증자료로서 이미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br />

의<br />

이어도 기지는 약 26 o , 동해 부이는 59 o 정도의 오차를<br />

우<br />

동해 부이는 설계오차범위보다 40 o 정도 크게 나타<br />

보여,<br />

기존의 25 km 해상도의 QSCAT 해상풍 자료보다 정밀<br />

는<br />

향상된 QSCAT 12.5 km 해상풍 자료를 이용하여 한<br />

도가<br />

제시하였다. 하지만 3~10 m/s 풍속 영역의 해상풍과<br />

을<br />

m/s 해상풍을 비교하면, 기상청 부이 뿐만 아니라 전<br />

3~20<br />

지점에서 RMSE가 작아지고, 풍향의 RMSE는 거의<br />

실측<br />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 m/s 이하의 풍속<br />

<strong>변화</strong>가<br />

26 o 정도로 설계오차범위인 20 o 보다 컸다. 이는<br />

우에는<br />

km 해상도에서보다 풍속의 RMSE가 0.15 m/s 정도 커<br />

25<br />

고정구조물과 부이의 해상풍의 정밀도 차이는 크<br />

에서는<br />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br />

지<br />

유의할 정도는 아니며, 풍향의 RMSE는 4 o 정도<br />

졌으나<br />

것으로 나타났다.<br />

향상된<br />

연구에서는 한반도 연안에서 QSCAT 12.5 km 해상<br />

본<br />

활용을 위해, QSCAT 해상풍과의 거리에 따른 풍향,<br />

풍의<br />

육지 부근에서 QSCAT 해상풍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인<br />

풍속의 오차 증가 등을 정량화하려 하였다. 하지만, 연안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