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또한, 중국의 해양환경보호 체계와 정책형성 <strong>및</strong><br />

것이다.<br />

친환경 요소, 세계화와 더불어 나타나는 해양환경<br />

유기적<br />

2. 중국의 해양환경보호입법 체계와 성과<br />

있다. 수<br />

해양에 관한 전체적인 법률규정은 전인대와 그 상<br />

이중<br />

중국의 해양법규에 대한 이해 또한 이들 입법 주<br />

있으며,<br />

중심으로 상관관계와 상하위 법령의 적용관계를 이<br />

체를<br />

중국이 유일 정부로 인정받기 전에 유엔 내에서<br />

터이다.<br />

합법정부로 인정받았던 대만은 1958년 제1차 유<br />

유일한<br />

많은 해양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기에 이르렀다. 특히<br />

로는<br />

국제적인 환경보호 기조가 점차 강화되던 시<br />

1980년대는<br />

중국이 해양과 내수 환경보호 문제를 위한 국내법<br />

기로서,<br />

조치를 본격화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br />

적<br />

중국의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법원( 法 源 )으로는 헌<br />

현재,<br />

국제조약, 환경보호법, 해양환경보호법, 국무원이 제정<br />

법,<br />

< 碧 海 행동계획>, , ,<br />

,<br />

, ,<br />

등을 통해 국가의 장기 해양환경보호에 관<br />

호십일오계획><br />

따른 영역별 분류는 예를 들어, 형법, 경제법, 행정법, 소송법에 속하는 법률법규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하며; 법률<br />

8)법률체계에<br />

의한 분류는 국가 근본제도와 근본임무를 규정한 헌법 규정, 국가 해양주권과 주권적 권리 선포에 관한 것, 해양구역종합<br />

성질에<br />

관한 것, 해양자원 개발과 이용에 관한 것, 해양교통운수 등에 관한 것, 해양환경보호관리에 관한 것, 해사분쟁해결에 관<br />

관리에<br />

것 등에 따라 분류한 것을 의미한다. 권 등(2008). 제1부 참조.<br />

한<br />

언급한 ‘단계’는 입법 주체의 상하위에 의한 단계일 수도 있으며, 동시에 각 법령의 시행에 따른 시간적 단계일 수도 있<br />

9)본문에서<br />

주의하기 바란다.<br />

10) 음을<br />

국제법위원회의 노력으로 1958년 Geneva에서 개최된 제1차 해양법회의에서 4개의 협약을 체결(영해 <strong>및</strong> 접속수역, 공해, 공<br />

UN과<br />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는 해양투기를 규제할 국제적 체제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그해 12월 런던에서 “폐기물 <strong>및</strong> 기타<br />

11)<br />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협약”을 채택하였다. 지역적 차원에서는 1972년 2월 오슬로에서 영국과 노르웨이 등 일부 유럽<br />

물질의<br />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91<br />

유일 합법정부로 인정받은 후, 중국은 1973년<br />

유엔에서<br />

1982년까지 9년 동안 지속된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br />

부터<br />

관련 국내법의 국제적 기준으로의 동질화 현상을 통<br />

보호<br />

우리나라 해양환경보호제도에의 긍정적 시사점을 도<br />

해<br />

처음부터 참여하였는데,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를 통해<br />

에<br />

해양 정책에 대한 기본 정책수립과 함께 국내적으<br />

중국은<br />

출하고자 한다.<br />

해양환경보호입법의 체계<br />

중국<br />

해양 관련 법체계는 입법주체와 법률체계에 따<br />

중국의<br />

유엔해양법회의의 본격적인 진행과 해양환경에<br />

제3차<br />

국제적 논의가 가시화되면서 11) , 중국은 1970년대 해<br />

대한<br />

영역별 혹은 입법 성질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8) . 이중<br />

른<br />

주체에 따라서는 전인대의 입법, 전인대 상무위원<br />

입법<br />

제정 노력을 시작하었다. 1974년 중국 국<br />

양환경보호법규<br />

을 비준하였는데, 이는 유류 <strong>및</strong> 기타 유해물질에<br />

行<br />

연안해역 오염방지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1982에<br />

의한<br />

중국 최초의 해양환경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이<br />

제정하고, 구체적인 행정법규에 대하여는 국<br />

무위원회가<br />

관련 부서, 즉 국가해양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br />

무원과<br />

환경보호법과 함께 중국 환경체계를 형성하는 핵<br />

통과된<br />

원칙과 방향을 규정함으로써 전체 중국 해양환경 보<br />

심<br />

위한 법규, 규칙 <strong>및</strong> 지방성법규 제정의 근간이 되고<br />

호를<br />

있다.<br />

한다. 단, 본 절에서는 제정 주체와 그 주체를 통<br />

해하여야<br />

절차적인 이해보다는 단계별 법령을 중심으로 9) 구체적<br />

한<br />

중국의 해양환경 입법체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제한하<br />

인<br />

논한다. 여<br />

행정법규, 지방정부의 지방성 법규와 각 행정조직이 제<br />

한<br />

규칙과 해양관련 법규 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입<br />

정한<br />

해양정책에 적극성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중국<br />

중국이<br />

유엔에서 유일 합법정부로 인정받기 시작한 1971년부<br />

이<br />

주체를 기준으로 법률, 행정법규, 지방성법규로 구분할<br />

법<br />

있다(Fig. 1 참조).<br />

수<br />

해양환경보호 규범화를 위한 또 다른 특징은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