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할 것이다. 야<br />

관련 지표 : 일반적으로 개체수준의 영향이 개체<br />

생식계<br />

하며, 독성물질에 의해 선택적으로 손상되기도 한다.<br />

기도<br />

생식내분비계는 시상하부-뇌하수체-생<br />

해양척추동물의<br />

여성호르몬인 17β-estradiol을 분비하게 한다. 17βestradiol로<br />

여<br />

유도된 난황단백전구체인 비텔로제닌은 난소<br />

이동하여 배 발생에 영양분인 난황단백질을 형성하는<br />

로<br />

성숙한 암컷에서만 특이적으로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br />

데,<br />

수준의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br />

조직학적<br />

간 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비만도(fatness)<br />

GSI),<br />

비정상적인 영향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본 지<br />

있으므로,<br />

비정상적인 패턴을 보인다. 일부 산란습성이 다른<br />

수들은<br />

본 지수들을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기도 하<br />

어종들은<br />

국내연안에 서식하는 해산어종들은 비교적 일정한 주<br />

나,<br />

intracellular chemicals,<br />

EROD,<br />

growth<br />

population<br />

DNA, LPO, Vn, PHAG,<br />

MT,<br />

NsPE<br />

stability, Lipid,<br />

Lysosomal<br />

phosphatase<br />

Acid<br />

ChE, GST, biological<br />

EROD,<br />

year, age<br />

parameters,<br />

using Genstat<br />

Analysis<br />

program<br />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br />

가하는데<br />

breaks : PAH를 비롯한 해양으로 배출되는 화합<br />

DNA<br />

손상이 심각한 경우 DNA 복제억제, 돌연변이 유발<br />

DNA<br />

불완전한 전사로 이어지거나, 특정 대사산물의 발현 저<br />

<strong>및</strong><br />

et al.(1993)에 의해 제시된 HAI는 어류 건강에<br />

Adams<br />

정량적지수를 제시하기 위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의<br />

대한<br />

In(y)=LT+CF+age+sex+<br />

+ year + area + error<br />

gon<br />

et al. 2005<br />

Broeg<br />

and Lehtonen 2006<br />

Broeg<br />

and Podolska<br />

Napierska<br />

2005<br />

Marine Organisms Health Assessment Using Biomarker Index 113<br />

종류에 따라 그 민감도의 차이를 보이므로 바이오<br />

물체의<br />

대상생물과 조직의 선정에 충분한 논의가 있어<br />

마커로서<br />

중 일부는 생물체의 DNA 손상을 유발하기도 하는데<br />

물<br />

et al. 2002; Hagger et al. 2002), 이러한<br />

(Fernández-Alba<br />

이어지는 가장 큰 영향으로 생식계 손상을 들 수<br />

군집으로<br />

생식계는 생물이 스트레스를 장시간 받을 때 손상되<br />

있다.<br />

이어질 수 있으며 결국 생태계 전체에 심각한 문제<br />

해로<br />

일으킬 수 있다(Kurelec 1992). DNA breaks는 최근 돌<br />

를<br />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기작을 가지고 있으며, 뇌하<br />

식소로<br />

분비된 gonadotrophin 호르몬은 난소를 자극하<br />

수체에서<br />

유전적 손상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널<br />

연변이나<br />

이용되고 있으며, 특정 영향에 대한 반응 지표라기보다<br />

리<br />

물리적이고 비특이적인 스트레스에도 반응하여 상관관<br />

는<br />

보이고 있다. 계를<br />

건강도 평가지수와 바이오마커의 적용<br />

생물학적<br />

환경의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작업에는 인간으로<br />

연안<br />

유사여성호르몬 계열의 오염물질이나 중금속 등에<br />

질로서<br />

수컷에서도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 것이 밝혀지면<br />

노출된<br />

비롯된 인위적인 영향을 증명할 수 있는 신뢰할 만<br />

부터<br />

도구들이 필요하다. 연안 환경의 건강성 평가를 위해<br />

한<br />

생식계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에서 널리 이용<br />

서<br />

있다. 난황단백전구체의 유전자나 단백질 수준에서<br />

되고<br />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본 장에서는<br />

국내외에서<br />

건강도를 평가한 다양한 생화학적 결과들을<br />

연안생물의<br />

기작에 대하여 많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br />

발현<br />

용의한 장점이 있으나, 때때로 자연계에 존재하는<br />

활용이<br />

기준으로 활용하여 이를 평가하고, 해석해 왔는지<br />

어떠한<br />

보여줄 수 있는 일부 평가지수의 예(Table 2)를 소개하<br />

를<br />

에스트로겐 등으로 인한 자연발생적인 난황단백전<br />

식물계<br />

발현이나 광주기, 수온이나 생식주기 등 자연적인<br />

구체의<br />

고자 한다.<br />

스트레스나 오염으로 인한 영향을 구별하는 데 있<br />

반응과<br />

주의가 필요하다.<br />

어<br />

건강평가지수(Health Assessment Index, HAI)<br />

생식계 영향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해양생물<br />

또한<br />

생식주기에 따라 생식소와 간이 전체 체중에 차지하는<br />

은<br />

기관 또는 조직에서 유도된 손상을 측정할 수 있는 바<br />

한<br />

선택하고, 이를 통계학적인 비교 수치로서 정<br />

이오마커를<br />

<strong>변화</strong>를 가지게 되며,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환경의<br />

비율에<br />

생식주기에 따른 생리적 상태를 그대로 반영할 수<br />

영향과<br />

지수이며, 여러 연구자에 의해 수정·보완되고 있<br />

량화한<br />

et al. 1996; Schleiger 2004). 정상상태를 0<br />

다(Coughlan<br />

하고, 손상 정도에 따라 각각 10, 20 <strong>및</strong> 30의 가중치를<br />

로<br />

각 바이오마커 측정 결과 얻어진 값의 합을 대<br />

두었으며<br />

상집단의 건강을 평가하는 지수로 제시하였다.<br />

바이오마커 지수(Biomarker Index, BI)<br />

나타내므로 난황단백전구체 등을 포함한 상위바이오<br />

기를<br />

함께 이용된다면 생태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평<br />

마커와<br />

BI는 Chevre et al.(2003)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시공간<br />

Table 2. Reported biomarker indices and classification of values of biomarkers<br />

Biomarkers Class Index Reference<br />

HAI<br />

10, 20, 30, 40 Sum of biomarker values Adams et al. 1993, 1996<br />

BI<br />

1, 2, 3, 4, 5 Sum of each biomarker values Chevre et al. 2003<br />

10, 20. 30, 40 Sum of each biomarker values<br />

BAI<br />

GLM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