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KMA<br />

Buoy<br />

KORDI<br />

Realtime<br />

Observation<br />

Data<br />

7. Schematic diagram for selecting the ‘Good’ and<br />

Fig.<br />

cases. Gray arrows, dots, and triangle rep-<br />

‘Bad’<br />

wind direction, QSCAT wind data points,<br />

resent<br />

in-situ observation station(Ssangjeongcho),<br />

and<br />

direction (degree) Distance (km) Number<br />

Wind<br />

Data of<br />

‘Good case’와 ‘Bad case’의 해상풍을 분석하여 풍향,<br />

후<br />

RMSE의 <strong>변화</strong>를 분석하였다.<br />

풍속의<br />

거문도 부이는 해안으로부터 각각 약 18 km,<br />

거제도,<br />

km 이상씩 떨어진 위치에 계류되어 있으며 풍향의<br />

15<br />

받는 것으로 보인다.<br />

향을<br />

실시간 관측소의 경우에는 ‘Good case’에서 ‘Bad<br />

속초<br />

서쪽으로 태백산맥이 위치하는 지형적 특성에 의한<br />

하고,<br />

추정되지만, 명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속초<br />

영향으로<br />

지리적 조건을 고려한 분석을 통해서 풍향의 RMSE<br />

서도<br />

‘Good case’에서 ‘Bad case’보다 낮아지지 않는 것으<br />

가<br />

나타났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Good case’에서 ‘Bad<br />

로<br />

풍향, 풍속의 RMSE가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br />

case’보다<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55<br />

Table 4. Same as the Table 2. But for wind direction<br />

Observation Station<br />

Corr RMSE Bias Closest Mean<br />

Deokjeokdo 0.65 92.13 15.64 17.32 22.94 2220<br />

Chilbaldo 0.80 59.43 9.81 9.48 15.70 2160<br />

Geomundo 0.87 53.66 21.50 6.83 12.60 1750<br />

Geojedo 0.91 46.06 2.36 3.31 10.84 2138<br />

Donghae 0.87 57.67 14.72 0.46 6.16 1486<br />

Donongtan 0.89 48.39 −24.67 13.91 19.35 1061<br />

Incheon 0.86 55.85 −4.82 42.92 47.66 331<br />

Seocheon 0.82 64.57 −18.95 16.85 23.47 2300<br />

Sokcho 0.83 69.30 −12.48 17.41 23.30 2220<br />

Ssangjeongcho 0.92 39.96 4.35 15.43 20.67 1691<br />

Taean 0.93 36.45 8.65 31.56 39.05 2250<br />

Wangdolcho 0.95 47.15 −25.09 0.2 5.07 1236<br />

Ieodo Ocean Research Staton 0.96 25.85 0.96 0.44 5.84 1591<br />

결과, 풍향의 RMSE는 분석된 9곳의 실측 지점 중<br />

비교<br />

case’에서 ‘Bad case’보다 작게 나타난 지점이 4곳<br />

‘Good<br />

풍속의 RMSE는 거문도 부이를 제외한 모든 지<br />

이었으며<br />

‘Good case’에서 작은 값을 보여주었다(Table 5).<br />

점에서<br />

‘Good case’에서 작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두<br />

RMSE가<br />

해안으로부터 10 km 이내에 위치한 그 외 연<br />

지점에서는<br />

실측 지점보다 지리적 조건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br />

안<br />

관측 거리의 차이에 의해서 풍향의 RMSE가 영<br />

생각되며<br />

풍향의 RMSE가 40 o 나 큰 값으로 나타났다. 속<br />

case’보다<br />

실시간 관측소는 해안으로부터의 거리가 2km에 불과<br />

초<br />

관측소 자료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br />

실시간<br />

생각된다. 한편, 덕적도 부이와 서천 실시간 관측소에<br />

로<br />

respectively.<br />

풍향보다는 풍속에서 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br />

며<br />

5). (Table<br />

육지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br />

관측소는<br />

때문에 제외하였다. 실측지점의 해상풍이 육지(섬)의<br />

기<br />

연안 실측 지점의 풍향 RMSE 시계열 분석을 시<br />

모든<br />

결과(그림 표시하지 않음), 태안과 쌍정초 실시간 관<br />

행한<br />

받지 않는 풍향 영역(이하 ‘Good case’)과 영향을<br />

영향을<br />

풍향 영역(이하 ‘Bad case’)을 정하였다(Fig. 7). 그<br />

받는<br />

측소에서 하계(6,7,8월)와 동계(12, 1, 2월)의 RMSE가 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