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4. Wind speed comparisons between Ieodo Ocean<br />

Fig.<br />

Station and QSCAT 12.5 km wind (a)<br />

Research<br />

speed residuals (QSCAT-Ieodo), (b) standard<br />

Wind<br />

deviation, and (c) number of data.<br />

5. Variability of correalation coefficient and RMSE<br />

Fig.<br />

the mean distances between QSCAT and<br />

with<br />

in-situ observation stations.<br />

해상풍 관측 지점과 실측 지점 간의 거리에 따<br />

QSCAT<br />

비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는 거리가 멀어짐<br />

른<br />

따라 상관관계는 작아지고 RMSE는 커지는 경향을 보<br />

에<br />

5). 하지만, 연안에 위치한 실측 지점의 경우, 거<br />

인다(Fig.<br />

경우 풍향의 특정 영역에서는 잘 맞는 경향을 보<br />

측소의<br />

6a와 6b), 이는 지리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br />

이는데(Fig.<br />

이는 다음 절에서 살펴볼 것이다.<br />

생각된다.<br />

RMSE는 덕적도 부이에서 92 o 로 가장 크게 나<br />

풍향의<br />

대부분 40 o 가 넘는 값을 보이고 있다. 기상청<br />

타났으며,<br />

QSCAT 해상풍 관측 지점과의 거리가 실시간 관<br />

부이는<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53<br />

큰 것으로 나타나 이 기간을 제외하고 재분석하<br />

상적으로<br />

그 결과 풍향의 RMSE는 47.54 o 로 향상되었지만 여<br />

였다.<br />

이어도 기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br />

전히<br />

강한 풍속과 파도로 인해 동해 부이의 관측에 영향이<br />

다.<br />

것으로 판단하여 10 m/s를 초과하는 풍속을 제외하<br />

있을<br />

오히려 약한 풍속에서의 RMSE가 0.65 o 더 크게<br />

였으나,<br />

나타났다(Table 3).<br />

차이 외의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분석 결과가 영향<br />

리의<br />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거제도 부이와 태안 실시간 관<br />

을<br />

경우에는 잘 맞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풍향의 유<br />

의<br />

이어도 기지에 비해 떨어졌으며(Fig. 6b), 풍향의<br />

사성이<br />

약 59 o 로 나타났다. 동해 부이의 월별 풍향의<br />

RMSE는<br />

분석해 본 결과 2004년초의 풍향 RMSE가 비정<br />

RMSE를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