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거리가 모두 1km 이내에 있으며, 평균 거리도 6km<br />

소<br />

매우 가까이에서 관측되었다. 그 외 실측 지점들은<br />

정도로<br />

하지만, 연안의 소규모의 섬들까지 완벽하게 고려<br />

단된다.<br />

것은 아니기 때문에 QSCAT 해상풍을 연안에서 활용<br />

된<br />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br />

할<br />

13곳의 실측 지점에서 QSCAT 12.5 km 해상도 자료<br />

총<br />

한반도 외해에 위치한 왕돌초, 동해 부이, 그리고 이어<br />

다.<br />

기지에서 관측된 바람과 QSCAT 해상풍과의 상관관계<br />

도<br />

1.85, 그리고 1.83 m/s로서 동해 부이와 이어도 기지<br />

2.29,<br />

비교에서는 QSCAT의 설계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br />

와의<br />

2. Comparisons of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MSE<br />

Fig.<br />

QSCAT 12.5 km and 25 km resolution<br />

between<br />

3). 있다(Fig.<br />

기지와 QSCAT 해상풍 풍속의 비교 결과, 대<br />

이어도<br />

났다.<br />

설치된 기상청 부이의 상관관계는 평균 0.79로<br />

연안에<br />

m/s보다 1m/s 정도 낮게 나타났다. 기상청 부이와<br />

3.2<br />

해상풍 관측지점 간의 거리를 확인해보면 평균<br />

QSCAT<br />

km 정도이며, 실시간 관측소는 평균 29 km이다. 따라<br />

15<br />

이러한 풍속의 비교 결과 차이는 QSCAT의 관측점과<br />

서<br />

지점 간의 거리에 따른 영향으로 사료된다.<br />

실측<br />

관측점과 실측 지점 간의 거리가 커질수록<br />

QSCAT의<br />

QuikSCAT Wind Validation Around the Korean Coast 51<br />

그 외 다른 지점들에 비해 비교적 외해에 위치하고<br />

있어<br />

위의 세 실측 지점은 QSCAT의 관측점으로부터 최<br />

있다.<br />

거리가 10 km부터 48 km로 나타났다(Table 2).<br />

평균<br />

3. 결 과<br />

따른 QSCAT 해상풍 비교<br />

해상도에<br />

관측점과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실측 지점들<br />

QSCAT의<br />

위치는 Fig.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QSCAT의 관측지<br />

의<br />

Fig. 1에서 점으로 표시하였다. QSCAT은 육지로부<br />

점은<br />

약 20 km 정도 떨어진 곳부터 해상풍을 제공하며 육지<br />

터<br />

해상풍 자료를 제공하지 않는다(‘land mask’).<br />

근처에서는<br />

나타내진 않았지만 12.5 km와 이전의 25 km 해<br />

그림으로<br />

해상풍 관측지점을 비교해 보면 12.5 km 해상도<br />

상도의<br />

실제 해안선을 보다 정확하게 고려했다는 것을 확<br />

자료가<br />

수 있었다. 25 km 해상도 자료에서는 한반도의 <strong>서해</strong><br />

인할<br />

같이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들이 많은 경우, 섬과 가까<br />

와<br />

곳뿐만 아니라 섬 위에도 해상풍 자료가 생산되는 경<br />

운<br />

있었으나, 12.5 km 해상도 자료에서는 한반도 주위<br />

우가<br />

복잡한 해안선과 섬들도 효과적으로 고려된 것으로 판<br />

의<br />

data.<br />

25 km 자료보다 풍속은 평균 0.4 m/s, 풍향은 평균 3 o<br />

는<br />

향상된 값을 나타내었다(Fig. 2).<br />

정도<br />

연안에 위치한 거제 부이와 태안 실시간 관측소에서<br />

이나<br />

R 2 값이 외해에 비해 0.3 정도까지 낮은 값을 보이고<br />

는<br />

비교 풍속의<br />

설계 측정 풍속 범위는 3~20 m/s이므로, 본<br />

QSCAT의<br />

통계분석에 있어서는 QSCAT과 실측지점의<br />

연구에서는<br />

미만, 그리고 20 m/s를 초과하는 풍속은 제외하였<br />

3m/s<br />

해상풍은 4~10 m/s 범위의 영역에서 관측되었다<br />

부분의<br />

4). 7 m/s 이하의 풍속에서는 대체로 QSCAT 풍속<br />

(Fig.<br />

이어도 기지 풍속보다 약간 크게 관측되며, 7 m/s 이<br />

이<br />

풍속 영역에서는 오히려 QSCAT 풍속이 작게 나타<br />

상의<br />

각각 0.76, 0.84, 그리고 0.85로 나타나 그 경향이 유사<br />

는<br />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2). 각각의 RMSE는<br />

하다는<br />

0.61의 실시간 관측소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RMSE도<br />

서<br />

부이에서는 평균 2.23 m/s로서 실시간 관측소의<br />

기상청<br />

보이고 있다. QSCAT 25 km 해상풍과 실측 지점<br />

결과를<br />

통계 분석에서, 이어도 기지와 동해 부이의 상관관계<br />

과의<br />

0.2정도 낮아지고, RMSE는 0.1 m/s 정도 증가하였으<br />

는<br />

유의할 정도는 아니다. 왕돌초에서는 이어도 기지와 동<br />

나<br />

부이에 비해 상관관계는 낮고 RMSE는 큰 값을 보였<br />

해<br />

외해에 위치한 이어도 기지와 동해 부이에서는 풍속의<br />

다.<br />

전 영역에 걸쳐 QSCAT 해상풍 풍속과 잘 맞는 경향을 보<br />

상관관계는 작아지며, RMS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