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실측지점의 비교분석 결과 각 실측지점의<br />

QSCAT과<br />

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실측지점이<br />

RMSE는<br />

mask’ 이내의 연안으로 확장해서 사용할 때에는<br />

‘land<br />

해상풍 관측지점과의 거리뿐만 아니라 연구지역<br />

QSCAT<br />

2006. 해양기상<strong>변화</strong> 탐지기술개발(IV). 기상연구소,<br />

기상청.<br />

2002M-004-00. 484 p.<br />

MR053M16<br />

허동수, 김창훈, 김도삼. 2007. 지형을 고려한 해상풍<br />

김지민,<br />

SWAN 모델의 결합에 의한 천해파랑<br />

모델(MASCON)과<br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1), 57-65.<br />

산정.<br />

2006. 재해사전예방 강화 <strong>및</strong> 투자확대 방안.<br />

소방방재청.<br />

오현미, 하경자. 2005. 2003~2004년도 이어도 기지 해상 기<br />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41(5), 671-680.<br />

상<br />

조재갑, 서장원. 2007. 기상청 현업 모델 RDAPS와<br />

유승협,<br />

해상풍 자료의 비교.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br />

QuikSCAT<br />

467-475.<br />

19(5),<br />

허기영, 오현미, 심재설. 2007. 이어도 해양과학기지<br />

하경자,<br />

자료의 기상학적 활용성. 제1회 이어도연구(회) 발<br />

관측<br />

논문집, p. 79-84. 표<br />

2006. 해양관측 <strong>및</strong> 예보시스템 - 제1부 해양관측<br />

해양수산부.<br />

58 Jeong, J.-Y. et al.<br />

가까울수록 QSCAT 관측지점과의 거리는 멀어지<br />

연안에<br />

주변 육지의 지리 <strong>및</strong> 지형의 영향을 받게 되어 QSCAT<br />

며<br />

실측지점의 해상풍의 RMSE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br />

과<br />

따라서, QSCAT 해상풍을 실측자료가 없는 지역에서<br />

다.<br />

지리 <strong>및</strong> 지형적 조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br />

의<br />

료된다.<br />

개발. 한국해양연구원, BSPM 3780-1880-1. 197 p.<br />

시스템<br />

Rooy, W. and K. Kok. 2004. A combined physical-<br />

De<br />

statistical approach for the downscaling of model wind<br />

사<br />

사<br />

speed. Weather Forecast., 19(3), 485-495.<br />

Ebuchi, N., H.C. Graber, and M.J. Caruso. 2002. Evaluation<br />

of wind vectors observed by QuikSCAT/SeaWinds using<br />

ocean buoy data. J. Atmos. Ocean. Tech., 19(12), 2049-<br />

2062.<br />

연구는 해양수산부 R&D 연구과제인 “종합해양과학<br />

본<br />

구축 <strong>및</strong> 활용 연구(PM49900)”와 “해일침수범람지역<br />

기지<br />

Masuko, H., K. Arai, N. Ebuchi, M. Konda, M. Kubota, K.<br />

기술 <strong>및</strong> 재해도(Hazard Map) 작성기술 개발<br />

예측<br />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논문이 만들<br />

(PE98070)”의<br />

Kutsuwada, T. Manabe, A. Mukaida, T. Nakazawa, A.<br />

Nomura, A. Shibata, and Y. Tahara. 2000. Evaluation of<br />

Vector Winds Observed by NSCAT in the Seas around<br />

세심한 배려를 아끼지 않은 두 분의 심사위원<br />

어지기까지<br />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br />

분들께<br />

참고문헌<br />

NASA Missions - SeaWinds on QuikSCAT. Available from<br />

Japan. J. Oceanogr., 56, 495-505.<br />

WWW: [cited 2007-9-10]<br />

Rufenach, C. 1998. Comparison of Four ERS-1<br />

Scatterometer wind retrieval algorithm with buoy<br />

measurements. J. Atmos. Ocean Tech., 15(1), 304-313.<br />

Received Oct. 1, 2007<br />

Revised Jan. 21, 2008<br />

Accepted Feb. 5, 2008<br />

363 p.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