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9.2015 Views

근소만에서 영양염의 조석 및 계절 변화 서해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Ocean and Polar Research Tidal and Seasonal ... - Korea.net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KSGP는 설립된지 7년이 경과하였지만, 아직도<br />

요컨대,<br />

법제도와 관리·운영체제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해<br />

관련<br />

경우, 2명(사무관 1명과 실무자 1명)이 KSGP<br />

양수산부의<br />

담당하고 있고, KSGP 총예산 또한 약 20억 원에 지나<br />

를<br />

인센티브가 미흡하기 때문이다.<br />

과<br />

SG연구과제 응모의 경우, 연구과제가 지역 해<br />

예컨대,<br />

응모자격을 대학교수에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br />

하고,<br />

현안을 연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자의 참여를<br />

해양수산<br />

13) 단지 (i)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33조(연구·개발사<br />

다.<br />

등)와 (ii) 해양수산연구개발사업의처리등에관한규정<br />

업<br />

독립적 법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br />

KSGP는<br />

목적, 사업범위, 예산 등에 대한 구속력 있는 명<br />

KSGP의<br />

입법명령(legislative mandates)이 존재하지 않는다.<br />

확한<br />

지역 SG대학사업단의 경우에도 (i) 주관 시도와 주<br />

또한,<br />

위상 등에 관한 규정이 모호한 상태에 있다.<br />

국(사무처)<br />

국가 <strong>및</strong> 지역 SG에 대한 체계적 관할 시스템이 정<br />

이처럼<br />

기대되는 성과를 거양하지 못하고 있으며, (iii) 지역<br />

서<br />

직원들의 신분 <strong>및</strong> 처우에 대한 명확한 규정도 부재한<br />

SG<br />

임용절차, 임무, 보수 등에 대한 규정이 모호하다.<br />

격,<br />

해양수산부는 2005년 KSGP를 권역 KSGP로 전<br />

특히<br />

해양수산부는 2007년 8월 지역 주관 시도 <strong>및</strong> 주<br />

예컨대,<br />

지역대학과 긴밀한 사전협의가 없는 상태에서, 지역<br />

관<br />

대학사업단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던 프로그램 관리를<br />

SG<br />

이관하였다. 이러한 갑작스런 조치는 지역 SG<br />

KIMST로<br />

사업단을 중심으로 지역 해양수산 문제의 발굴,<br />

주관대학<br />

교육사업, 프로그램 관리 등을 수행하고자 했던<br />

대민사업,<br />

목적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대민, 교<br />

당초의<br />

연구사업 등 각 사업 영역의 고유성과 연계성이 존재<br />

육,<br />

KIMST는 「해양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운영규<br />

사실,<br />

<strong>및</strong> 지침」에 따라 일반 연구사업단 차원에서 지역 SG<br />

정<br />

연구개발사업 개념으로 관리하기 때문에,<br />

대학사업단을<br />

운영규정 <strong>및</strong> 지침을 적용하는 한, 지역 SG대학사업단<br />

동<br />

Sea Grant Legislation and Regulations에는 (i) Sea Grant Legislation, (ii) Sea Grant Public Law 107-299, (iii) Code of<br />

13)미국의<br />

Regulations - 917 & 918이 있다(www.seagrant.noaa.gov/other/admininfo.html).<br />

Federal<br />

SG대학사업단 사업 <strong>및</strong> 예산관리를 「해양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strong>및</strong> 지침」에 따라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KIMST)이<br />

14)<br />

권역 SG대학사업단은 프로젝트 베이스로 관리된다. 따라서 각 SG대학사업단은 하나의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하<br />

담당함으로써<br />

68 Park, S. K. and Kim, Y. J.<br />

5억 원의 국가지원금을 받고 있으며, 주관대학인 인<br />

같이<br />

연구사업(2억7천만 원, 58%)을, 강릉대학교가<br />

하대학교가<br />

사업 <strong>및</strong> 예산관리는 「해양과학기술 연구<br />

SG대학사업단<br />

운영규정 <strong>및</strong> 지침」에 따라 KIMST가 담당하고<br />

개발사업<br />

있다. 14)<br />

원, 16%)을 각각 분담하고<br />

교육홍보·대민사업(7.2천만<br />

9). 있다(Table<br />

않는다. 영남 SG대학사업단을 제외하고 지방 자치단체<br />

지<br />

주관대학도 재정 <strong>및</strong> 여타 협력에 있어서 소극적이다.<br />

와<br />

대학간의 관계설정, (ii) 주관대학과 지역 SG간 관계설<br />

관<br />

(iii) SG에 대한 주관대학의 지원, (iv) 단장과 SG 사무<br />

정,<br />

SG대학사업단 자체도 적정한 스탭핑이 되어있지 않<br />

권역<br />

때문에 SG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의 고유한<br />

기<br />

있지 않기 때문에 (i) 국가 <strong>및</strong> 지역 SG 설치 목적<br />

립되어<br />

여전히 명확하지 못하고, (ii) 교육과 대민사업 영역에<br />

이<br />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이<br />

역할과<br />

문제점이 구조적으로 존재하는 이유는 KSGP에 대<br />

러한<br />

정부의 인식부족과 SG 이해관계자들이 대민·교육·연<br />

한<br />

<strong>및</strong> 관리업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성<br />

구사업<br />

있고, (iv) 특히 지역 SG 대학사업단의 발전과 활<br />

상태에<br />

있어서 단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단장의 자<br />

성화에<br />

현안에 관련된 현장애로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어야<br />

양수산<br />

불구하고 높은 수준(SCI급)의 학문적 논문을 요구<br />

함에도<br />

당시 체계적인 KSGP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았<br />

환할<br />

때문에 KSGP 관리에 있어서 혼선이 야기되고 있다.<br />

기<br />

봉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KSGP가 지향<br />

원천적으로<br />

궁극적 목표와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KSGP의<br />

하는<br />

기능을 대학사회에 한정시키는 모순을 낳고 있<br />

역할과<br />

KSGP가 현재와 같이 개방성을 갖지 못한다면, KSGP<br />

다.<br />

바다와 국민 간 인터페이스 역할은 축소될 수밖에 없<br />

의<br />

것이다. 인터페이스의 역할이 축소되면, 자연히 해양수<br />

을<br />

대한 국민적 지지기반을 확대하기 어렵고 국가<br />

산정책에<br />

우선순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br />

정책의<br />

현행 예산은 여전히 연구사업에 편중되는 결과를<br />

함에도<br />

있다. 낳고<br />

추진에 필요한 법제도기반 구축과 제도적<br />

해양수산정책<br />

어려워지게 된다.<br />

예산확보도<br />

기반 법제도적<br />

미국의 SG처럼 독립적인 법을 가지고 있지 않<br />

KSGP는<br />

대민·교육사업 등 고유 사업영역을 도외시한 채, 연구<br />

은<br />

중심의 지역 SG사업을 수행될 수밖에 없고, 이<br />

개발사업<br />

구분)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에 따<br />

제4조(연구개발사업의<br />

각 지역 SG대학사업단은 연구개발사업 중심의 자체<br />

라<br />

지역 SG관리체제는 KSGP를 창설한 원래의 목적과 취<br />

런<br />

부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KSGP의 주된 임무가<br />

지에<br />

운영규정 하에서 운영되고 있다. 한편 2007년 8월 이후<br />

통합적이고 연계적인 대민·교육·연구사업을 통해 바다<br />

연구 프로젝트로 취급되는 모순을 안고 있기 때문에 행정업무와 서류작업에 과도한 인력과 시간과 예산을 낭비하는 경향<br />

나의<br />

있다. 이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