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br />

<br />

<br />

수용체(TCR)가 MHC-Ⅱ-펩타이드 복합체를 인식하는 즉시, T-세포는 활성화되어 B-세포의 분화를 돕는 사이토카<br />

인을 분비한다. B-세포는 많은 숫자로 증가하고 항체를 분비하는 플라즈마 세포로 분화한다. Ig M은 처음에<br />

플라즈마 세포에 의해 생산되지만 나중엔 플라즈마 세포가 클래스 스위치를 하여 Ig G와 같은 다른 아이소타입<br />

클래스의 항체를 생산하도록 T-세포가 돕는다. 이러한 과정은 플라즈마 세포가 변이를 일으킴으로써 다당류-<br />

단백질 접합체에 대한 더 높은 친화력을 가지는 항체 수용체의 생산을 유도하면서 진행된다. 항원이 제거되면<br />

서, 더 높은 친화력의 플라즈마 세포만이 남겨진 다당류-단백질 접합체에 의해 활성화된다. T-세포에 의한<br />

플라즈마 세포의 성숙과정은 계속되어 플라즈마 세포의 숫자는 증가하고 Ig G 클래스의 항체에 높은 친화력을<br />

가지게 된다. 플라즈마 세포의 숫자의 증가는 면역접종된 인간 등의 대상체 혈청 내의 항-다당류 Ig G 항체의<br />

숫자를 측정함으로써 쉽게 탐지할 수 있다.<br />

결국 성숙 및 스위치 과정은 다당류에 특이적이며 수명이 긴 메모리 B-세포의 생산을 가져온다. 메모리 B-세포<br />

는 다당류에 노출되었을 때 즉시 활성화되는 독특한 특성이 있다. 활성화로 인해 메모리 B-세포는 항-다당류<br />

Ig G를 다중적이고 빠르게 생산한다. 다당류 항원에 대한 2차 노출에서 야기되는 메모리 B-세포의 활성화는<br />

"부스터 반응(booster response)"라고 불리며, 장기 2차 기억 면역반응의 척도가 된다. 1차 면역접종은 Ig M<br />

항체 및 약간의 Ig G 항체의 생산을 촉진시킬 수 있다. 2차 면역접종과 동시에, 메모리 세포는 이미 1차 접종<br />

에서 프로그램되었으므로 대량의 Ig G를 생산하는 기억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br />

T-세포 비의존성 항원은 대계 Ig G항체의 생산과 같은 지속적인 면역반응을 촉진시키진 않지만, 덜 강력하고 더<br />

일시적인 Ig M 항체의 생산을 촉진한다. 다당류 항원 단독으론 Ig G의 부스터 반응을 유발시키지 못하며, 다<br />

당류-단백질 접합체로 1차 면역접종이 되어 메모리 세포들이 Ig G를 생산하도록 유도된 경우에만 부스터 반응을<br />

일으킨다. 백신접종된 동물이나 인간에서의 부스터 반응은 다당류를 가지는 미생물에 노출된 경우의 방어반응<br />

을 모방한 것이라 여겨진다. 이런 장기기억은 백신이 면역접종된 대상체에서 수년 후 작용하는데 있어 중요하<br />

다. 따라서,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는 (1) 다당류 항원에 대한 Ig G항체를 다량 유도하는 능력 및 (2) 다당류<br />

항원에 대한 기억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으로 인해 가치가 있다. 다당류 항원은 전형적으로 이러한 특성을<br />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열등한 항원이다. 접합 백신의 합성의 어려움 및 그 생산비용으로 인해 많은 박테리아<br />

질병에 대한 접합백신의 발전은 더뎠다. 다른 T-세포 비의존성 항원들은 폴리-감마-D-글루타민산(PGA)같은 아<br />

미노산의 호모중합체 또는 폴리알콜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생물학적 중합체는 T-세포 비의존성 항원이다.<br />

중합체는 B-세포의 Ig 수용체와 크로스링크 할 수 있으며, 중합체의 반복적인 화학구조로 인해 B-세포가 이들을<br />

인식한다(따라서 에피토프가 된다). 중합체들은 다당류처럼 B-세포를 활성화하여 항-중합체 Ig M을 생산하도<br />

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호모중합체인 탄저균의 PGA는 면역원성이 떨어지는 캡슐 폴리머이자 T-<br />

세포 비의존성 항원이다. 수송단백질과 접합된 PGA로 구성된 백신은 면역원성이 매우 높고, 항-PGA Ig G 및<br />

PGA에 대한 면역학적 기억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중합체들은 MHC-Ⅱ 에 포함되어 반응이 진<br />

행되지 않고 T-세포의 도움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면역원성의 측면에 있어서 다당류처럼 반응한다. 자연계에<br />

서 TRL(Toll-like receptor)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클래스의 수용체와 반응하는 몇몇 예외적인 중합체가 있다.<br />

일단 활성화되면, TLR은 숙주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 생산을 유도하고 적합한 면역 반응의 변화를 만들어낸다.<br />

몇몇 다당류는 TLR 리간드에 공유결합되어있거나 이러한 리간드들에 의해 오염되어있다. 예를 들어,<br />

LPS(lipopolysaccharide)는 매우 면역원성이 강하며 Ig G와 기억반응을 유도한다; LPS의 지방부분 A(lipid A<br />

moiety)는 TLR 리간드이며 면역학적 특성의 원인부일 수 있다.<br />

또 다른 예를 들면, 몇몇 폐렴구균(pneumococcal)의 다당류는 수송단백질과 결합하지 않고도 Ig G로의 아이소토<br />

프 스위치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접합백신의 면역학적 특성을 가짐이 밝혀졌다. 최근에, 폐렴연쇄상구균의 개<br />

개의 다당류 뿐 아니라 상업적 다당류 백신인 Pneumovax-23도 TLR 리간드에 의해 오염된다는 사실이 밝혀졌<br />

다.(Sen et al. J. Immunol. 175:3084-3091(2005)). 이 발견은 왜 이러한 다당류 시료가 단백질과의 접합 없<br />

이도 Ig G로의 스위치를 유도하는지를 설명해준다. 이 폐렴상구균 다당류는 대식세포에 의한 IL-6 및 TNF-α<br />

의 분비를 유도한다. 그러나, 다당류를 페놀추출법으로 더 순화시키면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일어나지 않는다.<br />

페놀이 추출된 다당류는 면역원성이 낮고 더 이상 항-다당류 Ig G를 유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페놀 추출은<br />

다당류의 이런 비정상적인 면역원성의 원인인 오염분자를 제거한다. 오염분자는 대식세포에서 TLR-의존성 사<br />

이토카인 반응을 활성화하는 능력을 가진 TLR 리간드인 것으로 보인다. 다당류를 페놀추출에 의해 좀 더 순화<br />

하면 TLR 리간드를 제거하고 다당류가 완전한 T-세포 비의존성이 되도록 한다.<br />

이상의 예시는 다당류 항원이 단백질과 탄수화물 간 공유결합 없이도 다당류-단백질 접합항원처럼 행동한다는<br />

사실을 말해준다. 불행하게도, TLR 리간드는 대계 인화성이다. 예를 들면, LPS는 소량으로도 독성을<br />

갖는다. 따라서, TLR 리간드를 다당류와 혼합하면 다당류에 대한 면역반응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근<br />

- 20 -<br />

공개특허 10-2009-006627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