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x) α-할로알킬 에테르(α-haloalkyl ether)로서, 이들은 활성화가 에테르의 산소원자에 의해 일어나므로, 더<br />

반응성이 높은 알킬화 시약이다(Benneche et al. Eur. J. Med. Chem. 28:463 (<strong>19</strong>93)).<br />

아미노기와 잘 반응하는 아실화 시약으로는 다음의 것이 있다.<br />

(i) 이소사이아네이트(isocyanates) 및 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isothiocyanates) 중 특히 방향성 유도체로서, 이<br />

들은 각각 안정된 우레아(urea) 및 사이오우레아(thiourea) 유도체를 형성한다;<br />

(ii) 설포닐 클로라이드(sulfonyl chloride)( Herzig et al. Biopolymers 2:349 (<strong>19</strong>64));<br />

(iii) 아실할라이드;<br />

(iv) 니트로페닐에스터(nitrophenylester) or N-하이드록시숙시니미딜 에스터(N-hydroxysuccinimidyl ester)와<br />

같은 반응성 있는 에스터;<br />

(v) 혼합되거나, 대칭형이거나, N-카복시언하이드라이드(N-carboxyanhydrides)인 무수물산(acid anhydride);<br />

(vi) 그 밖에 아마이드 결합의 형성에 유용한 시약 (M.Bodansky. Principles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br />

Verlag (<strong>19</strong>84));<br />

(vii) 아실아자이드(acylazide)로서, 아자이드기는 소듐니트라이트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하이드라자이드<br />

(hydrazide) 유도체로부터 합성된다(Wetz et al. Anal. Biochem. 58:347 (<strong>19</strong>74)); 및<br />

(viii) 이미도에스터로서, 이는 아미노 그룹과 반응하여 안정된 아미딘을 형성한다 (Hunter and Ludwig J. Am.<br />

Chem. Soc. 84:3491 (<strong>19</strong>62)).<br />

글루타르알데히드와 같은 알데히드 및 케톤은 아민과 반응하여 쉬프 염기를 만들 수 있으며, 이는 환원적 아민<br />

화 반응을 통해 안정화될 수 있다. 알콕시아미노기(Alkoxylamino) 부분은 케톤 및 알데히드와 쉽게 반응하여<br />

안정한 알콕사민(alkoxamine)을 생성한다(Webb et al. Bioconjugate Chem. 1 :96 (<strong>19</strong>90)).<br />

카복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있는 부분은 디아조아세테이트에스터(diazoacetate ester) 및 디아조아세트<br />

아마이드(diazoacetamides)와 같은 디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들은 높은 특이성으로 반응하여 에스터르 생<br />

성한다 (Herriot Adv. Protein Chem. 3:169 (<strong>19</strong>47)). O-아실우레아(O-acylurea)형성을 통해 반응하여 아마이<br />

드 결합을 형성하는 카보디이미드같은 카복시산 변환시약도 쓰일 수 있다.<br />

(A)또는 (B)의 작용기는 원하는 바에 따라, 예를 들어 추가적인 반응성과 선택성을 부여하기 위해, 반응 전에<br />

다른 작용기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예시적인 유용한 방법은 디카복실릭 언하이드라이드<br />

(dicarboxylic anhydride)를 이용한 아민의 카복시산으로의 변환; N-아세틸호모시스테인 사이오아세톤(N-<br />

acetylhomocysteinethiolactone), S-아세틸머캅토숙시닉언하이드라이드(S-acetylmercaptosuccinic anhydride),<br />

2-이미노사이올란(2-iminothiolane) 또는 사이올-함유 숙시니미딜(thiol-containing succinimidyl)유도체를 이<br />

용한 아민의 사이올(thiol)로의 변환; α-할로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사이올의 카복시산으로의 변환; 에틸렌이민<br />

(ethylenimine) 또는 2-브로모에틸라민(2-bromoethylamine)을 이용한 사이올의 아민으로의 변환; 카보디이민<br />

(carbodiimide)과 디이민(diamine)을 차례로 이용한 카복시산의 아민으로의 변환; 및 토실 클로라이드를 이용한<br />

뒤 사이오아세테이트로 트랜스에스터화 한 후 소듐아세테이트로 가수분해하여 알콜을 사이올로 변환하는 과정을<br />

포함한다.<br />

소위 말하는 무-길이 링커(zero-length linker)는 추가적인 결합물질 없이 (A)화학기의 반응성 있는 부분과<br />

(B)화학기의 반응성 있는 부분간의 직접적인 공유결합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처럼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br />

(L)은 (A)의 산소원저와 (B)의 카보닐 또는 사이오카보닐 부분간의 화학결합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아미노기<br />

(A)는 카보닐기(B)에 A-L-B(L은 아마이드 결합) 또는 N-R에 결합된 R-C=O(R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 개의 단<br />

백질 분자 의 아미노산 측쇄에서 유래한 탄소사슬)의 형태가 되는 카보디이미드 구조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br />

다.<br />

그러나 가장 일반적으로, 링커는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연결된 두 개나 그 이상의 반응성 있는 부분을 가지<br />

고 있다. 스페이서의 존재는 이중작용기성 링커가 (A) 및 (B)내의 특정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게 하여 두 화<br />

합물간 공유결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링커(L)의 반응성 있는 부분은 같을 수도 있고(호모 이중작용기성<br />

링커), 다를 수도 있어(헤테로 이중작용기성 링커 혹은 여러개의 비유사한 반응부분이 있는 경우 헤테로 다중기<br />

능성 링커), (A)와 (B)사이에 공유결합을 유발하는 다양한 가능한 시약을 제공한다.<br />

- 24 -<br />

공개특허 10-2009-0066272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