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125<br />

은 희곡이 대화, 갈등, 해결, 형식의 추상화 등의 변증법을 담보하는 한 그것을 포기<br />

한다. 이들이 이 변증법을 거부하는 이유는 희곡을 세계의 모델로서 보는 것에 대한<br />

그들의 믿음이 사라진 까닭이다. 이들은 “희곡과 논리, 그리고 희곡과 변증법의 공범<br />

관계”의 전통에서 이탈한다. 왜냐하면 세계모델로서의 희곡은 실재로부터 추상화되<br />

고 멀어지면서 종료되었고 또 희곡의 이러한 특성이 미디어 역사 상 어차피 오래 전<br />

에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들의 작품에서는 진행되는 공연이 함유하고 있<br />

는 세계, 즉 시간과 공간의 물질성과 그리고 행위자들의 몸성과 물질성이 강하게 부<br />

각되는 것이다. 29)<br />

요약해서 말하자면,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연극이 관객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br />

칠 수 있고 또 그렇게 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연극 기호와 요소들의 스펙트럼<br />

을 확장하였다면, 포스트모던 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연극은 관객에게 모든 임의의<br />

기호현상을 무제한 실행하거나 혹은 의미의 지시를 포기하고, 제시된 형태들을 단<br />

순히 그 구체적, 물질적, 현상적 존재 형태로 경험할 자유를 부여하고 있는 셈이<br />

다. 30)<br />

다만 연극학에서의 용어 사용에 있어서 네오아방가르드 개념은 상대적으로 종속<br />

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것은 아방가르드 개념이 무엇보다도 분석적<br />

관점에서 볼 때 충분히 예리함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수행적 전환’과<br />

‘포스트드라마 연극’(탈희곡적 연극)이라는 두 범주가 지난 수 십 년 동안 진행되어<br />

온 미학적 입장과 강조점의 이동(기호성에서 수행성으로의)을 정의하고 기술(記述)하<br />

는 과정에서 네오아방가르드나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보다 훨씬 더 생산적인 개념으<br />

로 입증되었을 뿐더러 작금에 연극학적 담론을 주도해온 것과 관련이 있다. 결국 2차<br />

세계대전 후에 형성되기 시작한 네오아방가르드 연극으로서의 포스트드라마 연극은<br />

‘탈희곡적인 것’과 ‘수행적인 것’의 미학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br />

인 자극과 영향을 끼친 점에서 역사적 아방가르드 연극의 연장선상에 있으면서 동시<br />

에 이를 극복하고 더욱 극단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br />

29) Vgl. Andreas Kotte, Theaterwissenschaft, Köln · Weimar · Wien: Bählau, 2005, S. 111.<br />

30) Vgl. Erika Fischer-Lichte, Die Entdeckung des Zuschauers. Paradigmenwechsel auf dem Theater des<br />

20. Jahrhunderts, Tübingen u. Basel: Francke, 1997, S. 35.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