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119<br />

배경에 힘입어 연극무대에서도 이제 거의 모든 경계와 금기가 무너지고, 무엇이든 가<br />

능하게 되기 시작한 상황에 대한 설명에 다름 아니다. 말하자면 오늘의 연극은 “시대<br />

흐름이 내주는 온갖 형식들과 주제 그리고 기질에 관한 것을 모조리 빨아들이는 거<br />

대한 해면(海綿)처럼 작용”하는 것이다. 13)<br />

1.2.1. 포스트모던 연극과 포스트드라마 연극<br />

그렇다면 이런 새로운 양상의 연극이 포스트모던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활발히 전<br />

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포스트모던 연극이란 용어 대신에 구태여 ‘포스트드라마<br />

연극’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연극사적으로 볼 때 1970년대부터<br />

1990년대에 이르는 시기의 연극에 대해서 ‘포스트모던 연극’이라는 개념이 널리 통<br />

용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합 하산은 포스트모던 예술을 지칭하기 위한 매개변수들<br />

로 불확정성, 단편화(斷片化)현상, 탈정전화, 자아와 깊이의 상실, 묘사와 재현 불가<br />

능성, 아이러니, 혼성모방 혹은 패러디, 카니발화, 퍼포먼스(행위, 참여), 구성주의, 보<br />

편내재성 등을 예시하고 있다. 14) 이에 따르면 포스트모던 연극은 해체의 연극, 다중<br />

매체 연극, 게스투스와 움직임의 연극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그 특징을 요약하자<br />

면, 모호성, 비연속성, 이질성, 비-텍스트성, 다원주의, 여러 가지의 약호, 전복, 도착,<br />

주제 및 주인공으로서의 행위자, 데포르마시옹, 재료로서의 텍스트, 해체, 희곡과 연<br />

극 ‘사이’에 있는 제3자로서의 퍼포먼스, 반(反)-미메시스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트모<br />

던 연극은 담론이 없이 존재하며, 그 대신 명상, 리듬, 음조 등이 지배한다. 15)<br />

그러나 방금 위에서 열거한 표제어들은 새로운 연극의 실상을 적확하게 표현하고<br />

있긴 하지만, 지나치게 도식적인데다 또 그 이전의 연극형식들에 해당되는 점들도 없<br />

지 않다. 우리가 포스트모던이라고 부르는 실제 연극의 많은 특질들은 드라마 형식의<br />

13) Peter von Becker, Das Jahrhundert des Theaters. Das Buch zur Fernsehserie, hrsg. v. Wolfgang<br />

Bergmann, Köln: Dumont, 2002, S. 238.<br />

14) Vgl. Ihab Hassan, An Intorduction to Postmodernism. Essays in Postmodern Theory and Culture,<br />

포스트모더니즘 개론. 현대문화와 문학이론, 정정호 · 이소영 편/역, 서울: 한신문화사, 1991, S.<br />

311-321.<br />

15) Vgl. Hans-Thies Lehmann, Postdramatisches Theater, Frankfurt a. M.: Verlag der Autoren, 1999, S.<br />

27.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