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131<br />

때문에 숨을 멈추는 것 같은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관객들이 두 시간 동안 경험한<br />

이러한 변형 transformation들은 쉽게 지각할 수 있는 행동으로 나타났다. 바로 이처<br />

럼 관객들에게서 감지할 수 있듯이 정체성이 교란되거나 증발하며, 목소리가 잠기고<br />

몸에 대한 통제력을 잃게 되는 양상들이야말로 네오아방가르드 시대의 새로운 퍼포<br />

먼스 예술이 추구하는 미적 경험이다. 42) 관객들의 ‘변형’은 그녀의 고통과 이 퍼포먼<br />

스를 종료시켰다. 아브라모비치의 실행이 불러일으킨 이 ‘변형’이 마침내 이 퍼포먼<br />

스에 참여한 관객들을 행위자로 변화시킨 것이다. 아브라모비치의 퍼포먼스는 제의<br />

와 스펙터클의 특질들 사이에서 영원히 진동운동을 한다. 즉 제의처럼 예술가와 개별<br />

관객의 변형이 일어나도록 영향을 미치는가 하면, 스펙터클처럼 관객들에게 놀라움<br />

과 경악을 불러일으키고 또 이들을 관음증으로 유혹한 것이다.<br />

이러한 퍼포먼스는 전래하는 미학이론으로는 포착하기 어렵다. 아브라모비치가 실<br />

행한 퍼포먼스는 예술작품의 ‘이해’를 목표로 하는 해석학적 미학의 요구에 집요하게<br />

저항한다. 그 까닭은 이 퍼포먼스에서 중요한 것은 그 행동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br />

이라기보다 그녀가 행하고 또 관객에게 불러일으킨 ‘경험’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퍼<br />

포먼스에 참여한 사람들, 즉 행위자와 관객의 ‘변형’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43)<br />

3. ‘수행적인 것’의 미학적 토대 - 혹은 퍼포먼스 개념<br />

지난 30-40년을 되돌아 볼 때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특별한 업적이 있다면, 그것은<br />

퍼포먼스[공연] Aufführung, performance의 개념을 정의하는 자질들에 대해 성찰하고,<br />

그 자질들을 도발적인 방식으로 보여주며 또 처음으로 의식하게 한 능력이라고 할<br />

수 있다. 퍼포먼스의 개념을 규정하는 자질들에는 행위자와 관객의 신체적 현전, 물<br />

질성의 수행적 생산, 의미의 돌발성 및 사건성 등이 있다.<br />

예술과 관련된 학문에서는 지금까지 작품 Werk, opus의 개념이 언제나 중심에 서<br />

왔다. 그러나 예술 창작에 작품뿐만이 아니라, 공연, 즉 사건도 포함되어 있다면, 이<br />

42) Vgl. Fischer-Lichte 1998, a. a. O., S. 28.<br />

43) Vgl. Fischer-Lichte 2004, a. a. O., S. 17; vgl. dazu auch Günter Berghaus, Avant-garde<br />

Performance. Live Events and Electronic Technologies, New York: Pelgrave, 2005, S. 171-178.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