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135<br />

어진다. 말하자면 서양문화에서 전통적으로 대립개념으로 여겨졌던 이분법적 개념쌍<br />

(독자적 주체 대(對) 타인에 의해 결정되는 주체, 미학적/사회적 대 정치적, 현전 대<br />

재현 등)은 이제 퍼포먼스 안에서 양자택일의 방식이 아니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br />

것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퍼포먼스는 모든 참여자들, 특히 관객들의 위치를 그 자<br />

리에 불러낸 규칙, 규범, 질서들의 ‘사이’로 옮겨다 놓는다. 이는 앞장에서 살펴본 아<br />

브라모비치의 퍼포먼스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관객들을 아주 극단적인 “사이에 있<br />

는 상태”에, 경계상황에 위치하게 한다는 것이다. 퍼포먼스가 불러일으키는 특별한<br />

경험방식은 경계 border, 즉 리미낼러티의 경험이라는 특수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는<br />

데, 예술적 공연의 경우에는 이를 ‘미적 경험 aesthetic experience’이라고 부를 수 있<br />

다. 이 ‘미적 경험’ 속에서 관계들이 타결되고 권력분쟁이 투쟁 끝에 해결되며, 공동<br />

체가 형성되고 다시 해체된다. 이런 의미에서 퍼포먼스는 관객들에게 하나의 미학적<br />

이고 동시에 사회적이며 정치적인 과정으로 경험된다.<br />

1960년대에 일어난 ‘수행적 전환’ 이후로 예술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br />

의의 왕성한 담론에 힘입어, 결국 완결되고 해석이 가능한 형태로 발언하지 않는다.<br />

예술의 형체는 의미나 상징적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예술은 이제 우리가 행동하고<br />

탐색하며 체험하고 또 - ‘지각 Aisthesis’이란 말뜻 그대로 - ‘받아들이고’ 답변해야만<br />

하는 과정들과 사건공간들을 만드는 것이다. 이로써 미적 경험의 구조뿐 아니라 예술<br />

의 자기이해도 변화를 맞이한다. 다시 말해서 예술은 그것의 ‘수행성’ 혹은 ‘영향, 작<br />

용’이 결정적이 되는 실제 Praxis로 되는 것이다.<br />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공연에 참여한 모두에게 작용하는 효과들이고 감응(感應)이<br />

며, 이와 더불어 함축된 경험이지, 행위들이 각기 무슨 행위인가 가 아니다. 49) 포스트<br />

구조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 리오타르가 퍼포먼스 연극으로서의 포스트드라마 연극<br />

을 가리켜 “현재의 연극”이라고 부르며 ‘수행적인 것’에 특별히 미적, 정치적 관점에<br />

서 “윤리주의 Ethismus” 50)를 부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br />

49) Vgl. Mersch, a. a. O., S. 37.<br />

50) Vgl. ebd., S. 46 f.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