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133<br />

까지 계획하거나 조종하거나 마음대로 처리할 수 없다. 퍼포먼스는 개개인이 처리할<br />

수 있는 권한에서 벗어나 있다.<br />

퍼포먼스는 그 과정에서 모든 참가자들에게 하나의 “공동주체 Ko-Subjekte” 46)로서<br />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주체는 독립적인 것도, 또 전적으로 남에게<br />

의존하는 것도 아니다. 스스로 완전하게 만들어낸 것은 아니지만 참여하고 있는 상황<br />

에 대해서는 함께 ‘책임’을 진다. 그러므로 여기서 퍼포먼스란 - 예술적 퍼포먼스의<br />

경우에도 - 언제나 사회적 과정으로서만 진행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모든 참여자<br />

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퍼포먼스의 진행과정을 함께 결정하기도 하고, 동시에<br />

그로부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들 중의 어느 누구도 퍼포먼스에 있어서 수동적이라<br />

고 할 수는 없다. 이런 의미에서 참여자 모두는 퍼포먼스의 진행과정에서 일어나는<br />

‘사건’에 대해 함께 책임을 진다.<br />

두 번째, 퍼포먼스의 물질적인 측면 Materialität, 즉 공간성, 몸성, 소리들은 공연이<br />

진행되는 중에 비로소 수행적으로 나타난다. 이 때문에 퍼포먼스의 역설적인 면이 발<br />

생한다. 퍼포먼스는 일시적이며 붙잡을 수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퍼포먼스는 현재성<br />

에만, 즉 행위의 시작과 끝 사이에서 계속되는 생성과 소멸 안에만 국한된다 하더라<br />

도, 공연하는 중에는 물질적인 대상을 사용한다. 공연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은 일<br />

차적으로 서로 다른 주체의 의도나 생각 그리고 계획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떠한<br />

퍼포먼스들이 이 물질적 대상과 함께 이루어져서 어떤 공간 속에서 어떠한 반응을<br />

일으키고 언제 사라지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은 ‘연출 Inszenierung’에 의존해 있다. 이<br />

런 점에서 연출의 개념과 퍼포먼스(공연)의 개념은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연출’이<br />

임의적으로 반복될 수 있는 의도되고 계획된 물질성의 수행적 산출 과정이라고 한다<br />

면, 행위자와 관객의 상호작용에서 생성되는 ‘퍼포먼스’는 의도되었던 물질성뿐만 아<br />

니라 관객의 반응도 포함한다. 47) 또한 특정한 종류의 퍼포먼스들이 그것을 위해 마<br />

련된 특수한 공간에서 일어난다고 할지라도 퍼포먼스의 공간성은 언제나 붙잡을 수<br />

없고 일시적이다. 이 때문에 퍼포먼스의 공간성은 실제 공연이 일어나는 건축적인 공<br />

간과 동일시할 수 없다. 퍼포먼스는 오히려 수행적 공간 안에서 또 그 공간을 통해서<br />

만 발생한다. 그러므로 퍼포먼스의 공간성은 존속하는 것이 아니라 발생하는 것이<br />

46) Fischer-Lichte 2004, a. a. O., S. 47.<br />

47) Vgl. ebd., S. 325-328.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