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김형기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139<br />

는 행위자와 나란히 시 · 공간적 맥락과, 무엇보다도 사건을 구성하는 관객의 역할이<br />

필요하다. 퍼포먼스는 예술적 행동이 관객과 관계를 맺을 때 비로소 발생한다. 57) 이<br />

는 관극이라는 수행적 과정에서 처음으로 의미가 산출되고, 퍼포먼스와의 만남을 통<br />

해 개인적으로 어떤 가능성의 공간이 극장공간 속에서 반복해서 새롭게 체험되고 창<br />

출됨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연극을 연기하는 것은 수행성 그 이상<br />

이라고 할 수 있다. 58)<br />

하지만 레만이 철학적 에세이에서 강조한 바에 따르면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리오<br />

타르가 말하는 ‘에너지가 충만한 현전’의 토대 위에서 “힘” 내지 “밀도”로 새로운 연<br />

극을 창조하며, 59) 소위 ‘현전의 연극’을 위하여 의미와 재현과 작별을 고한다. 즉, 포<br />

스트드라마 연극에서는 물질적 현전이 의미의 지평을 대체하고, “감각성이 의미를<br />

마비시킨다”는 것이다. 60) 그러나 포스트드라마 연극을 이와 같이 물리적인 것을 강<br />

조하면서 의미를 내던지는 연극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가 그리스 연극부터 19세기말<br />

까지의 유럽 연극을 통틀어 텍스트의 사실주의적 모방과 재현의 연극으로 구분할 때<br />

와 마찬가지로,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바탕을 둔 네오방가르드 연극의 폭<br />

넓고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나치게 단순 논리화하는 오류를 또 다시 범하는 것이다.<br />

57) Vgl. Christoph Wulf/ Michael Göhlich/ Jörg Zirfas, “Sprache, Macht und Handeln - Aspekte des<br />

Performativen”, in: dies.(Hrsg.), Grundlagen des Performativen. Eine Einführung indie<br />

Zusammenhänge von Sprache, Macht und Handeln, Weinheim u. München: Juventa, 2001, S. 9-24,<br />

bes.: S. 11.<br />

58) Vgl. Kristin Westphal, “Lernen als Ereignis: Schultheater als performative Praxis. Zur<br />

Aufführungspraxis von Theater”, in: Wulf, Christoph/Zirfas, Jörg (Hrsg.), Pädagogik des<br />

Performativen. Theorien, Methoden, Perspektiven, Weinheim u. Basel: Beltz, 2007, S. 49-58, bes. S.<br />

51.<br />

59) Vgl. Lehmann, a. a. O., S. 56.<br />

60) Ebd., S. 365. 같은 책에서 레만은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는 호흡과, 리듬, 그리고 몸의 육체적<br />

현전이 갖는 지금시간이 이성 Logos에 앞서 나타난다”(Lehmann, 262)고 말한다. 레만은 이러한<br />

특성이 포스트드라마 연극을 포함한 “예술형식으로서의 연극에 고유한 특수한 무인공성(無人工<br />

性)”에서 비롯하는 것임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연극은 의미들을 항시 시간을 펼쳐놓으면서<br />

표현한다. 그리하여 새로운 동인들이 비로소 시작을 알려올 때 어떤 것들은 벌써 가라앉는다. 연<br />

극은 테두리를 하고 미학적으로 묶는 등의, 의미를 심는 힘을 언제나 반복해서 해체하고, 구성된<br />

것을 유희를 통해 영구적으로 파괴한다. 모든 것이, 가장 심오한 의미조차도, 의미부여를 중지시<br />

키고 이것을 불가해한 물질의 소란과 혼합하는 이러한 연기(延期)의 유희 속에서 효력을 잃는<br />

다”(Lehmann, 365 f.).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