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3.2024 Views

TCN 103호 2024년 3월 22일 A면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MAR 22, 2024 통권 103호 | 창간일 APRIL 8, 2022 · T. 972-620-6296 | 2356 Glenda Ln. PO. Box 59975 Dallas, TX 75229 · www.texaschristiannews.com / info@texaschristiannews.com


2 |<br />

MAR 22 2024


MAR 22 2024 | 3


4 |<br />

MAR 22 2024


MAR 22 2024 | 5


6 |<br />

MAR 22 2024<br />

가스펠 TEXAS<br />

10<br />

C O N T E N T S<br />

13<br />

“시대를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br />

달라스 중앙감리교회, 선한목자교회 김다위 담임목사 초청<br />

2024 부흥회 열어<br />

‘하나님의 마음에 맞는 사람’·‘여호수아 세대여 일어나라’·‘어둠 속<br />

등불로 부르시다’ 제하 말씀 선포<br />

“기도를 더 깊이, 더 많이,<br />

더 높이 하나님께 올려드리자”<br />

달라스안디옥교회, 주권태 목사 초청 ‘영혼이 잘 됨 같이’ 주제<br />

봄 부흥성회 개최<br />

14<br />

‘더 디바스’, 찬양 콘서트<br />

큰 감동 선사하며 성료<br />

한국 1세대 가스펠 디바, 최미·최명자·손영진·송정미 …<br />

‘추억의 찬양 전해’<br />

<strong>TCN</strong> / KTN / AM 730 DKNET<br />

대표/발행인<br />

사장<br />

스캇 김<br />

김민정<br />

보도국 / 편집국<br />

보도국장 최현준<br />

편집국장 박은영<br />

편집부국장 김진영<br />

기자 김여진<br />

기자 김영도<br />

번역 김지은<br />

아나운서 소피아 씽<br />

(hj@dknet730.com)<br />

(press@dknet730.com)<br />

(press2@dallasktn.com)<br />

(press4@dkent730.com)<br />

(press3@dallasktn.com)<br />

(press3@dallasktn.com)<br />

(sophia@dknet730.com)<br />

디자인팀<br />

팀장<br />

디자이너<br />

디자이너<br />

디자이너<br />

디자이너<br />

마케팅기획국<br />

부장<br />

허종문<br />

김예진<br />

김혜진<br />

김효민<br />

제시카 금<br />

레이첼 김<br />

(design@dallasktn.com)<br />

(design@dallasktn.com)<br />

(design@dallasktn.com)<br />

(design@dallasktn.com)<br />

(design@dallasktn.com)<br />

(marketing@dknet730.com)<br />

469.744.1321<br />

제작국<br />

국장<br />

팀장<br />

PD<br />

DJ<br />

김진언<br />

이덕수<br />

서동주<br />

이태용<br />

(jeremy@dknet730.com)<br />

(dslee@dknet730.com)<br />

(djsuh@dknet730.com)<br />

(tylee@dknet730.com)<br />

강예리 김명기 김주현 송영아 신한나<br />

자스민 리 주경숙<br />

오피스 매니저 김지현 (lucy@dknet730.com)


MAR 22 2024 | 7<br />

March<br />

29<br />

전영주 후원의 밤<br />

금요일<br />

일시: 3월 29일(금) 오후 5시<br />

장소: 2598 Royal Ln, Dallas, TX 75229<br />

DFW<br />

타운<br />

행사<br />

14<br />

30<br />

토요일<br />

27<br />

토요일<br />

문의: 972-241-4524<br />

제19회 달라스 초대 볼링협회장배 볼링대회<br />

일시: 3월 30일(토) 오후1시<br />

장소: 1398 W Main St, Lewisville, TX 75067<br />

문의: 469-758-0085<br />

더나눔 메디컬헬프 무료진료이벤트<br />

일시: 4월 27일(토)<br />

April<br />

장소: 1020 Flower Mound Rd #100, Flower Mound,<br />

TX 75028<br />

문의: info@dkfoundationtx.com<br />

교육<br />

교계 행사 또는 모임 소식을 알려주시면 행사 안내 및 기사로<br />

게재해 드립니다.<br />

전화 : 972-620-6296 이메일 : info@texaschristiannews.com<br />

March<br />

25<br />

월요일<br />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br />

일시 : 3월 25(월)~3월 29일(금) 오전 5시 30분<br />

장소 : 플라워마운드교회<br />

문의 : 214-513-7707<br />

고난주간 특별새벽기도회<br />

일시 : 3월 25일(월)~3월 29일(금) 오전 6시<br />

& 30일(토) 오전 6시 30분<br />

장소 : 빛내리교회<br />

문의 : 972-238-1127<br />

고난주간 기도회<br />

일시 : 3월 25(월)~3월 29일(금) 오후 7시 30분<br />

장소 : 달라스연합교회<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br />

문의 : 972-245-1419<br />

자녀의 정신 건강은 가정에서!<br />

사회정서적 능력 키우는 방법<br />

26<br />

화요일<br />

31<br />

일요일<br />

고난주간 특별새벽예배<br />

일시 : 3월 26일(화)~3월 29일(금) 오전 5시 30분<br />

장소 : 달라스 베다니장로교회<br />

문의 : 972-395-9200<br />

부활절 연합예배 및 기도회<br />

일시 : 3월 31일(일) 오후 6시<br />

장소 : 달라스 중앙감리교회<br />

문의 : 972-258-0991<br />

영업기획국<br />

국장<br />

부국장<br />

센트럴지국<br />

지국장<br />

이일근<br />

윤소영<br />

정순광<br />

(igl@dallasktn.com)<br />

972.951.1269<br />

(ad@dallasktn.com)<br />

214.843.3880<br />

(skjung6511@gmail.com)<br />

512.828.2993<br />

칼럼니스트<br />

가스펠<br />

강태광, 기영렬, 김귀보, 신용호, 안광문,<br />

안지영, 오정석, 이기욱, 이상철, 이정엽,<br />

최승민, Central Seminary<br />

경제·문화·예술 박영실, 박재관, 배준원, 서정숙<br />

교육<br />

김종환, 박우람, 엘리트 학원, 전동재<br />

디케이 미디어 그룹<br />

전화<br />

이메일<br />

홈페이지<br />

주소<br />

972-620-6296<br />

info@texaschristiannews.com<br />

info@dallasktn.com / info@dknet730.com<br />

www.dalkora.com<br />

www.texaschristiannews.com<br />

2356 Glenda Ln. P.O.Box 59975<br />

Dallas, TX 75229<br />

* 본지는 연합뉴스, 노컷뉴스, 미주 기독일보, 데일리굿뉴스와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8 |<br />

MAR 22 2024


MAR 22 2024 | 9


가스펠 TEXAS<br />

10<br />

MAR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시대를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br />

달라스 중앙감리교회, 선한목자교회 김다위 담임목사 초청 2024 부흥회 열어<br />

‘하나님의 마음에 맞는 사람’·‘여호수아 세대여 일어나라’·‘어둠 속 등불로 부르시다’ 제하 말씀 선포<br />

달라스 중앙감리교회(담임목사 배연택)가 선한<br />

목자교회 김다위 담임목사를 강사로 초청해 2024<br />

부흥회를 열고 하나님의 뜻을 품고 기도하며 하나<br />

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는 성도들의 삶을 재확인하<br />

는 시간을 가졌다.<br />

‘시대를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이란 주제로 지난<br />

15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이번 부흥회에서 김다<br />

위 목사는 △ ‘하나님의 마음에 맞는 사람’(사도행<br />

전 13장 21절~22절) △ ‘여호수아 세대여 일어나<br />

라’(여호수아 1장 1절~9절) △ ‘어둠 속 등불로 부<br />

르시다’(사무엘상 3장 1절~21절)를 제목으로 각각<br />

말씀을 선포했다.<br />

◈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아는 사람<br />

김다위 목사는 첫날 부흥회에서 다윗에 대해 이<br />

야기하면서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사람의 삶에 대<br />

해 살펴봤다.<br />

하나님이 시대를 전환할 때 하나님의 사람들을<br />

부르신다는 사실을 제시하면서 김 목사는 “사무엘<br />

을 부르실 때 사사기 시대를 끝내며 하나님 시대를<br />

열었고 다윗을 세우시면서 하나님만을 따라가는<br />

왕을 통해서 새로운 나라를 열었다. 또 모세 시대<br />

가 끝나고 가나안 시대로 갈 때에 하나님은 여호수<br />

아를 부르셔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셨다”고 말했다.<br />

다윗은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사람’, ‘하나님 마<br />

음에 맞는 사람’이다.<br />

모든 왕들의 기준이 다윗으로 삼은 이유에 대해<br />

김 목사는 “다윗은 하나님이 정말 그의 왕이었다.<br />

다윗은 복음을 그대로 믿고 하나님만을 믿으며 신<br />

뢰하며 살았던 사람이었기 때문에 하나님이 그 마<br />

음에 너무 기뻐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br />

그러면서 회중에게 예수 그리스도가 정말 주님<br />

인지, 어떤 말씀을 하면 그대로 순종할 수 있는지<br />

물었다.<br />

사울과 다윗은 비슷한 점이 많지만 너무나 다른<br />

인생을 살았다고 말한 김 목사는 “사울은 하나님께<br />

서 왕으로 택하신 사람이었고 기름부음을 받은 사<br />

람이었다. 다윗도 사무엘에게 기름 부음을 받는다.<br />

흡사한 과정을 겪었던 두 사람이 전혀 다른 결말을<br />

가게 된다”면서 그들이 다른 인생의 길을 걷게 된<br />

이유에 대해 설교를 이어나갔다.<br />

김 목사는 “하나님의 영은 사울이 하나님의 가르<br />

침을 거부했기 때문에 사울에게서 떠났다. 처음에<br />

는 하나님을 따라 살아갔지만 점차 하나님 말씀에<br />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하기 시<br />

작한다”며 “불순종과 거부로 인해 결국에는 하나<br />

님의 영이 더 이상 그와 함께 할 수가 없었던 것”<br />

이라고 해석했다.<br />

이어 “더 무서운 것은 사울은 자신에게서 하나<br />

님의 영이 떠나갔는데도 불구하고 그것을 잘 몰랐<br />

다는 것”이라면서 “하나님의 영이 떠났음에도 불<br />

구하고 계속해서 자기가 왕위를 지켰기 때문에 하<br />

나님이 자신과 함께한다고 생각했다”고 부연했다.<br />

김 목사는 “하나님이 택하시고 기름 부으시고 하<br />

나님의 영으로 충만히 임했던 사람이라 할지라도<br />

성령을 근심하게 하고 성령을 소멸하게 하며 하나<br />

님의 말씀에 불순종을 계속 반복한다면 하나님은<br />

더 이상 그를 통해서 역사하실 수가 없는 것”이라<br />

고 단언했다.<br />

성도들을 향해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하지만 하<br />

나님을 발판 삼아서 무언가(something) 되려고 하<br />

는 것은 아닌가’, ‘영적 교만이 스며든 것은 아닌가’<br />

등을 점검할 것을 강조하면서 잠언 4장 23절을 통<br />

해 마음을 지킬 것을 당부했다.<br />

또한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누구나 하<br />

나님 마음에 합한 사람”이라면서 “주 예수 그리스<br />

도의 마음을 가진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br />

통해 구원받고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아는 사람<br />

을 하나님은 기뻐하신다”고 말했다.<br />

◈ 변하지 않는 하나님을 바라보는 믿음<br />

김 목사는 ‘여호수아 세대여 일어나라’란 제목의<br />

말씀을 통해 새로운 리더십과 새로운 비전에 대해<br />

전하면서 어떤 상황 가운데서도 하나님을 바라보<br />

는 믿음에 대해 설교했다.<br />

하나님은 모세라는 탁월한 지도자를 통해 지난<br />

40년간 광야를 지나오게 하셨고 말씀을 받아서<br />

그 율법을 가르쳤으며 하나님과 동행하는 법<br />

을 가르쳤다. 또한 만나와 메추라기를 공급해<br />

주셨다.<br />

모세를 가장 위대한 선지자라고 표현한 김 목<br />

사는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와 함께했던 40년<br />

은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경험했던 시기였다. 모세<br />

가 죽은 후에 여호와께서 모세의 종이었던 눈의 아<br />

들 여호수아에게 말씀하면서 새로운 비전을 주신<br />

다”고 말했다.<br />

이어서 “여호수아는 모세의 죽음으로 시작한다.<br />

아무리 위대한 모세라 할지라도 주님이 부르시면<br />

그 땅에서의 여정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br />

LGBTQ, 마약 등의 이슈를 언급하면서 김 목사<br />

는 자녀들을 세상 속에 보낼 수 있을까 염려하게<br />

될 때 너무 연약해 보이고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어


MAR 22 2024 가스펠 TEXAS | 11<br />

떤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지 연약한 마음<br />

는 시대와 너무나 흡사하다는 것을 보게<br />

엘리 제사장은 40년간 제사장직에 있으<br />

는 사람을 부르신다는 김 목사는 “사무엘<br />

이 들기도 하고 할 수 없을 것 같고 사명이<br />

됐다고 김 목사는 말했다.<br />

면서 한때는 하나님과 친밀하게 하나님의<br />

이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을 때 그는 엘리<br />

너무 큰 것처럼 느껴지며 두려운 마음이<br />

그러면서 “어둠이 짙을수록 빛은 더 환<br />

음성을 들으면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br />

에게 달려가 ‘제가 여기 있습니다. 저를 부<br />

들 때도 있지만 여호수아처럼 두려운 마음<br />

하게 빛나게 된다. 또한 그 어둠 속에 등불<br />

라 살아온 나쁘지 않은 제사장이었지만 본<br />

르셨습니까’를 반복한다”고 했다.<br />

보다 용기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피력했다.<br />

과 같은 하나님의 사람들을 하나님은 찾아<br />

문에서는 이제 과거의 추억이 돼 버렸다고<br />

김 목사는 “하나님은 사무엘에게 ‘네가<br />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머물며 하나님의<br />

내신다”면서 아브라함, 요셉, 사무엘, 다윗,<br />

김 목사는 설명했다.<br />

이 시대의 등불이다. 내가 너와 함께해 너<br />

뜻이 무엇일까 기도했던 사람이 바로 여호<br />

베드로, 바울 등을 열거했다.<br />

이어 그 신앙이 지금 현재가 아니고 과<br />

의 말이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않게 할 것’<br />

수아라고 한 김 목사는 여호수아는 기도하<br />

김 목사는 “이런 식으로 하나님의 이야<br />

거에는 좋았던 사람, 과거에는 주님과 친<br />

이라는 약속을 주신다”면서 사무엘상 3장<br />

는 영적 습관을 가졌던 믿음의 사람이라<br />

기는 이어지고 있는데 우리는 지금 하나님<br />

했는데 과거에는 주의 음성을 들었는데 지<br />

19절(사무엘이 자라매 여호와께서 그와<br />

고 정의했다.<br />

의 이야기 안에 살고 있다. 하나님의 이야<br />

금은 더 이상 들을 수 없는 사람이라고 덧<br />

함께 계셔서 그의 말이 하나도 땅에 떨어<br />

두려운 마음이 생길 때 빠질 수 있는 2가<br />

기 안에 우리도 살고 있고 우리에게 맡겨<br />

붙였다.<br />

지지 않게 하시니)을 증거했다.<br />

지 덫을 ‘과거로 돌아가는 것’과 ‘나태’라고<br />

진 시대적 사명을 이어받아서 믿음의 선<br />

김 목사는 “우리의 신앙이 과거에만 그<br />

이어 “사무엘이 자랄 때에 주님께서 그<br />

김 목사는 전하면서 “과거 안에 우리가 배<br />

조들이 이어왔던 믿음의 바통을 이어받아<br />

추억을 회상하면서 하는 신앙이 아니라 날<br />

와 함께 계셨다”며 “성경의 가장 큰 복은<br />

워야 될 역사가 있고 과거를 통해서 전수<br />

서 우리도 시대의 등불이 돼 이 어두운 세<br />

마다 살아있는 주님과의 관계 속에 동행하<br />

하나님이 함께하신 다는 것”이라고 확증<br />

하며 흘려보내 될 일이 분명히 있지만 과<br />

상을 밝힐 사명을 받았다는 것”이라고 강<br />

길” 축복했다.<br />

했다.<br />

거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했다.<br />

조했다.<br />

하나님은 전적으로 순종의 자세가 돼 있<br />

김진영 기자 © <strong>TCN</strong><br />

‘나태’는 라틴어로 ‘아케디아’에서 유래<br />

됐는데 이는 무관심을 뜻한다면서 김 목<br />

사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무관한 상태를 나<br />

태로 봤다.<br />

그러면서 어떤 상황 가운데서도 변하지<br />

않는 하나님을 바라보는 믿음을 강조했다.<br />

◈ ‘어둠 속 등불로 부르시다’<br />

김 목사는 마지막 날 부흥회를 맞아 ‘어<br />

둠 속 등불로 부르시다’란 제목의 설교를<br />

각 주일 1부~4부 예배마다 전했다.<br />

본문을 읽으면서 영적으로 너무 어두운<br />

시기인데 그것이 마치 지금 우리가 살아가<br />

실천적 복음주의 신학의 새로운 물결<br />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br />

박사과정:<br />

석사과정:<br />

학사과정:<br />

성경사역학철학박사(Ph.D.), 교육학박사(Ed.D.), 목회학박사(D.Min.), 교육목회학박사(D.Ed.Min.)<br />

목회학석사(M.Div.), 기독교교육학석사(MACE), 성경상담학석사(MABC), 예배학석사(MTS-WM), 신학연구석사(MTS)<br />

신학과(B.A. in Biblical Studies + M.Div. Acceleration),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B.A. in Business Leadership)<br />

미남침례교단 6대 신학교 | 탁월한 교수진과 교과과정 | 한국부 재학생 740여명 | HLC, ATS, ABHE 정식인가 | 100%까지 온라인 수강 가능 | I-20 발행<br />

미드웨스턴 한국부 (Kansas City, MO)<br />

816-414-3754 (사무실); 816-424-3834 (입학상담); ks@mbts.edu


12 |<br />

가스펠 TEXAS<br />

MAR 22 2024<br />

“기도를 더 깊이, 더 많이, 더 높이 하나님께 올려드리자”<br />

달라스안디옥교회, 주권태 목사 초청 ‘영혼이 잘 됨 같이’ 주제 봄 부흥성회 개최<br />

목사는 “살아계신 하나님과 대화<br />

우리 교회를 부흥시켜주소서, 하<br />

리야의 하나님, 홍해를 가르시는<br />

하고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능”<br />

나님 역사하여 주소서’라고 기도<br />

하나님, 사막의 강을 내시는 하<br />

을 영력이라고 했다.<br />

하고 이는 하나님이 마음만 움직<br />

나님 그 하나님이 지금도 살아계<br />

그러면서 그리스도를 믿고 옛<br />

이면 된다”고 피력했다.<br />

신 하나님이다. 하나님이 역사하<br />

사람은 죽고 새사람이 됐다면 이<br />

주 목사는 “본문은 마음이 하<br />

시면 기적이 나타난다”고 했다.<br />

제 그 새사람은 영원히 성장해야<br />

나가 되는 것을 말하고 있다. 온<br />

주 목사는 “기도 시간은 저수<br />

한다”면서 “영력을 가져야 된다.<br />

성도가 문제가 닥쳤을 때, 환난<br />

지에 물을 대는 시간”이라면서 “<br />

영원히 힘을 얻어야 된다”고 당<br />

이 닥쳤을 때 포기하지 않고 한마<br />

이 재단이 저수지다. 여기에 은<br />

부했다.<br />

음으로 간절히 하나돼 부르지 기<br />

혜 물이 가득해야 된다. 기도하<br />

주 목사는 “우리 육체가 강건<br />

도했더니 모든 것이 진동하더니<br />

면서 이 재단에 물을 자꾸 붓는<br />

해져야 되듯이 우리 영혼도 강건<br />

무리가 다 성령으로 충만해 담대<br />

것”이라면서 “은혜의 물을, 성령<br />

해져야 된다. 거듭난 영혼들은 하<br />

히 하나님 말씀을 전했다”고 풀<br />

의 물을 채워 주일이 되면 수문<br />

토론토순복음 교회 주권태 담임목사<br />

나님의 이슬 같은 은혜를 먹고산<br />

다”고 말했다.<br />

이했다.<br />

이어서 “이들은 담대히 하나님<br />

을 열어서 물을 내보내는 것”이<br />

라고 설명했다.<br />

달라스안디옥교회(담임목사<br />

람과 새사람’(골로새서 3장 1절<br />

이어 “거듭난 성도들은 은혜의<br />

말씀을 전하고 예수 이름으로 능<br />

인생의 여러 가지 문제와 아픔<br />

안현)가 지난 15일부터 17일까<br />

~10절) ‘보혜사 성령’(요한복음<br />

자리를 자꾸만 찾아갈 수밖에 없<br />

력과 기적을 나타날 수 있도록 기<br />

과 고난 당한 성도들이 은혜를 받<br />

지 사흘간 토론토순복음 교회 담<br />

14장 16절~17절) ‘기도로 돌파<br />

다. 영원히 살기 위해, 내 영혼이<br />

도했다”고 덧붙였다.<br />

아야 하기 때문에 수문을 열어서<br />

임목사이자 순복음북미총회 부<br />

하라’(사도행전 4장 31절)란 제<br />

충만하기 위해, 강건해지기 위해<br />

문제가 기회라고 한 주 목사는<br />

그 은혜의 물을 내줘야 하는 것이<br />

총회장 주권태 목사를 강사<br />

목의 말씀이 각각 선포됐다.<br />

우리는 예배의 자리, 말씀의 자<br />

“무슨 기회 기도할 기회, 하나님<br />

라고 주 목사는 권면했다.<br />

로 초청해 봄 부흥성회를 열<br />

주권태 목사는 부흥성회 마지<br />

리, 기도의 자리를 찾아가야 되는<br />

을 찾을 기회”라고 재자 강조하<br />

이날 회중은 “기도를 더 깊이,<br />

었다.<br />

막 날인 지난 주일예배 말씀을<br />

것”이라고 설파했다.<br />

면서 “기도로 돌파하면 하나님<br />

더 많이, 더 높이 하나님께 올려<br />

요한삼서 1장 2절을 기반으로<br />

통해 기도의 힘을 강조했다.<br />

문제는 오직 하나님만이 해결<br />

일하시고 전화위복의 역사가 나<br />

드리자”고 다짐하면서 기도와 전<br />

‘영혼이 잘 됨 같이’란 주제 하에<br />

예수 믿는 성도들에게 정신력<br />

할 수 있다고 전제한 주 목사는<br />

타날 줄 믿는다”고 말했다.<br />

도를 위해 헌신을 결단했다.<br />

진행된 이번 부흥성회에서 ‘옛사<br />

도 있지만 영력이 있다고 한 주<br />

“‘주여, 우리 교회를 도와주소서,<br />

또한 “아브라함의 하나님, 엘<br />

김진영 기자 © <strong>TCN</strong><br />

오는 31일 ‘2024 부활절 연합예배 및 기도회’ 열린다!<br />

달라스 교회협의회,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 주제 연합예배 드려<br />

부활절을 맞이하여 달라스 교계의 연합과 부흥을<br />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br />

달라스 교회협의회(회장 손해도)가 ‘2024 부활절<br />

연합예배 및 기도회’를 개최한다.<br />

이번 예배 및 기도회는 에베소서 4장 3절 ‘성령이<br />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라는 말씀을 주제<br />

로 오는 31일 오후 6시 달라스중앙감리교회(담임목<br />

사 배연택, 3800 Carbon Rd, Irving, TX 75038)에서<br />

열릴 예정이다.<br />

이날 집회는 달라스 교회와 성도들이 지역의 복음<br />

화를 위해 더욱 연합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br />

달라스 교회협의회 측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br />

시기 전날 밤 가장 많이 기도하신 것은 연합(요 17)”<br />

이라며 “달라스에 교회들이 세워지기 위해서는 함께<br />

연합하여 기도해야 한다”라고 전했다.<br />

이어 “2024 부활절 연합 예배와 기도회를 통해 달<br />

라스의 모든 교회가 연합하고 세워지기를 축복한다.<br />

달라스의 모든 목회자와 성도들을 예배와 기도의 자<br />

리에 초청한다”라고 덧붙였다.<br />

이번 ‘2024 부활절 연합예배 및 기도회’에 대한 자<br />

세한 문의는 달라스 교회협의회 총무 유인철 목사 전<br />

화(817-897-1652)로 할 수 있다. 김영도 기자 © <strong>TCN</strong>


MAR 22 2024 가스펠 TEXAS | 13<br />

남궁송옥 손영진<br />

송정미<br />

최명자<br />

최미<br />

‘더 디바스’, 찬양 콘서트 큰 감동 선사하며 성료<br />

한국 1세대 가스펠 디바, 최미·최명자·손영진·송정미… ‘추억의 찬양 전해’<br />

한국 최고의 가스펠 뮤지션들<br />

오른 남궁송옥 씨는 “삶의 질곡<br />

이 위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br />

씨는 “80년대 중반에 한국 교계<br />

족하여 넘어지는 시간이 있었지<br />

이 ‘더 디바스(THE DIVAS)’라는<br />

마다 불러왔던, 하나님을 찾았던<br />

라고 밝히며 ‘나의 영혼이’, ‘주님<br />

에 노래를 발표하며 하나님의 사<br />

만, 하나님은 그 선하심으로 지금<br />

이름으로 지난 15일 달라스에 모<br />

그 순간에 나를 깨우고 일으켰던<br />

의 성령’, ‘기름부으심’ 등의 찬송<br />

랑을 노래할 때 나의 눈에 눈물이<br />

까지 이끌어 주셨다”라고 간증을<br />

였다.<br />

찬양을 다시 불러보는 시간이 됐<br />

을 열창했다.<br />

마르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했다.<br />

나눴다.<br />

1세대 찬양사역자 최미, 최명<br />

으면 좋겠다”라고 운을 떼며 찬송<br />

이어 손영진 씨의 무대가 진행<br />

하나님은 신실하게 그 약속을 지<br />

“힘든 시간 동안 기도하며 하나<br />

자, 손영진, 송정미, 그리고 남궁<br />

가 ‘내 삶의 이유라’를 불렀다.<br />

됐다.<br />

켜주셨다”라고 말했다.<br />

님께 매달렸을 때 하나님께서 확<br />

송옥 씨가 함께한 ‘더 디바스’ 콘<br />

다음으로 출연한 송정미 씨는<br />

손영진 씨는 “40여 년째 찬양사<br />

이어 “마치 이 세상에 나 하나<br />

증해 주신 말씀은 ‘나는 네가 아<br />

서트가 이날 오후 7시 30분 한우<br />

찬송 ‘나의 영혼이’를 소개했다.<br />

역을 하고 있는데 가끔 내가 언제<br />

밖에 없는 것처럼 사랑하시는 하<br />

무것도 하지 않아도 네가 좋다.<br />

리교회(담임목사 이대섭)에서 개<br />

그는 “예전에는 이 곡이 단지<br />

까지 찬양할 수 있을지 두려울 때<br />

나님의 은혜가 이 밤에 풍성하길<br />

사랑한다’라는 말씀이었다. 그래<br />

최됐다.<br />

잠잠히 하나님을 바라며 기다리<br />

가 있다. 그런데 하나님은 저에게<br />

바란다”라며 ‘왜 날 사랑하나’, ‘감<br />

서 제가 이 자리에 있다”라고 고<br />

이번 찬양 콘서트는 하나님 찬<br />

는 곡인 줄 알았다. 그런데 이 곡<br />

‘그 40년의 세월도 내 것이다’라<br />

사찬송’ 등을 찬양했다.<br />

백하며 ‘지금까지 지내온 것’, ‘낮<br />

양과 더불어 후배 찬양 사역자들<br />

가사의 기반이 된 시편 62장은 다<br />

고 말씀하셨다. 그때 나의 두려움<br />

마지막으로 출연한 최미 씨는 “<br />

엔 해처럼 밤엔 달처럼’ 찬송을<br />

을 위로하고 격려한다는 목적으<br />

윗이 사울에게 쫓기는 격랑의 상<br />

이 끝났다”라고 간증했다.<br />

달라스에 20년 만에 온 것 같다.<br />

노래했다.<br />

로 마련됐다.<br />

황 속에서 드렸던 기도였다는 것<br />

이어 손영진 씨는 “옥합을 깨뜨<br />

많이 바뀌었지만, 너무나 반갑고<br />

나아가 5명의 출연자가 모두<br />

이대섭 목사의 인사말 및 기도<br />

을 알게 됐다. 광야에서 요동하는<br />

린 여인의 마음이 우리에게 있기<br />

감격 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br />

무대에 올라 ‘나의 등 뒤에서’, ‘사<br />

로 시작된 콘서트에는 약 300여<br />

자신에게 끝없이 명령했던 것”이<br />

를 바란다”라며 ‘내게 있는 향유<br />

이어 “처음 찬양 선교를 시작했<br />

람을 보며 세상을 볼 땐’, ‘난 예수<br />

명의 관객이 자리해 예배당을 가<br />

라고 설명했다.<br />

옥합’을 비롯한 ‘정결’, ‘모두 다<br />

을 때 2년 정도 된 초심자였다. 선<br />

가 좋다오’ 등 찬양을 다 함께 제<br />

득 메웠다.<br />

그러면서 “이 자리에 오신 분<br />

드려요’ 등의 찬송을 선보였다.<br />

교라는 말에 얼마나 큰 대가가 담<br />

창함으로 이날 공연이 마무리됐<br />

이날 콘서트에서 먼저 무대에<br />

중 광야에 있는 이들에게 이 찬양<br />

다음으로 무대를 꾸민 최 명자<br />

겨있는지 알지 못했다”라며 “부<br />

다. 김영도 기자 © <strong>TCN</strong>


14 |<br />

가스펠 TEXAS<br />

MAR 22 2024<br />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br />

임마누엘연합감리교회, 2024 아시안 태평양 지역인 AAPI(Asian American Pacific Islander) 축제 연합 예배드려<br />

2024 아시안 태평양 지역인<br />

자리가 됐다.<br />

켈리 카펜터(Kelly Carpenter),<br />

대해 도전했다. 5가지 전략적 우<br />

준비한 애찬을 나누며 성령 안에<br />

AAPI (Asian American Pacific<br />

이날 예배에는 중앙텍사스<br />

모니카 프레이저(Monica Fra-<br />

선순위로 △ 예수님 제자를 늘리<br />

서 귀한 교제를 나눴다.<br />

Islander) 축제 예배가 지난 10일<br />

(Central Texas) 및 북텍사스<br />

zier) 등이 참석했다.<br />

는 사역△ 아이와 청소년 사역 △<br />

이번 AAPI 축제 예배를 호스<br />

오후 5시에 임마누엘연합감리교<br />

(North Texas) 연회 루벤 사엔<br />

권성철 목사의 환영인사로 시<br />

돌봄과 치유를 최대화하는 사역<br />

트한 임마누엘연합감리교회 권<br />

회(담임목사 권성철)에서 진행됐<br />

즈 주니어(Ruben Saenz Jr.) 감<br />

작된 이날 예배는 금 황( Keum<br />

△ 다양성을 추구하고 포용하는<br />

성철 담임목사는 “이날 예배를<br />

다. 이번 아시안 태평양인(AAPI)<br />

독을 비롯해 감독 보좌 앤디 루이<br />

Hwang, First UMC Heath) 목사<br />

사역 △ 우리의 이야기를 통해 증<br />

통해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br />

축제 예배는 한인교회뿐만 아니<br />

스(Andy Lewis), 지방감리사 에<br />

가 인도하는 연합찬양팀의 은혜<br />

거하는 사역을 제시했다. 회중은<br />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br />

라 다른 아시아 인종들도 참여해<br />

들렌 카울리(Edlen Cowley), 데<br />

로운 찬양이 이어졌고 10여 명의<br />

이를 통해 하나님의 일을 더욱 발<br />

시편 133편 1절) 말씀이 임한 은<br />

한국인을 비롯한 많은 아시아인<br />

브라 홉스 메이슨(Debra Hobbs<br />

목회자들과<br />

4명의 평신도들이<br />

전시키는 비전에 대해 깊이 생각<br />

혜가 가득한 예배와 교제였다”고<br />

들의 복음증거를 위해 함께 기도<br />

Mason) 그리고 연회 스태프 스테<br />

예배를 인도했다.<br />

하는 귀한 시간을 가졌다.<br />

밝혔다.<br />

하며 의미 있는 대화를 촉진하는<br />

이시 피야쿤(Stacey Piyakhun),<br />

특별히 예배 말씀과 성찬식은<br />

예배 후 Martin UMC, Im-<br />

이어 “앞으로도 교회가 복음 안<br />

루벤 사엔즈 주니어 감독이 인도<br />

manuel Korean UMC, Woori<br />

에서 연합함으로 하나님의 나라<br />

했다. 그는 말씀을 통해 중앙텍사<br />

Korean UMC, Umphress Road<br />

와 복음 사역을 위해서 더 나아가<br />

어스틴 주님의교회,<br />

스 연회와 북텍사스 연회에게 새<br />

로운 5가지 전략적 우선순위에<br />

Umc, Fairview Korean UMC,<br />

Faith UMC 등의 교회들이 함께<br />

이 땅의 부흥을 위해 힘쓰겠다”고<br />

말했다.<br />

김진영 기자 © <strong>TCN</strong><br />

“태국 치앙마이 단기선교<br />

기금 마련 골프대회”<br />

어스틴 주님의교회(담임목사 허성현)는 다가오는 4월 6일<br />

토요일 12시 30분부터 크리스털 폴 골프 클럽에서 태국 치앙<br />

마이 단기선교 방문을 위한 선교 기금 마련 골프 대회를 개<br />

최한다.<br />

주님의교회는 자체적으로 골프대회를 할 수 있지만 어스<br />

틴 한인 사회의 크리스천들도 함께 선교의 마음으로 대회를<br />

준비한다.<br />

골프를 좋아하는 한인들이 한 팀을 이루어 진행할 수도 있<br />

다. 전도의 기회이며 하루를 즐겁게 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br />

보인다.<br />

이번 대회의 참가비는 120달러이고 대회 후 저녁식사(하나<br />

월드 마켓 식당)가 준비되어 있다.<br />

관심 있는 한인들은 주님의교회 체육 선교부 정순광 집사에<br />

게 전화(512-828–2993) 하면 된다.<br />

메달리스트와 챔피언에게는 상금도 주어진다.<br />

주님의교회는 태국 치앙마이에서 활동하는 선교사를 지원<br />

하고 있으며 태국 지역 선교지 방문을 위해 현재 준비하고 있<br />

다. 땅끝까지 복음을 전하라는 선교적 사명을 실천하는 좋은<br />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br />

정순광 기자 © <strong>TCN</strong><br />

킬린 뉴게이트 글로벌 감리교회<br />

“신년부흥성회 교회여 네 담을 넘으라”<br />

킬린 뉴게이트 글로벌 감리교<br />

회(담임목사 소정일)는 오는 4월<br />

5일부터 7일까지 권준 목사(시애<br />

틀 형제교회 담임목사)를 모시고<br />

신년부흥성회를 진행한다.<br />

이번 성회의 주제는 “교회여 네<br />

담을 넘으라 “라는 말씀으로 3일<br />

간의 집회를 가진다.<br />

4월 5일 금요일 저녁 6시 30<br />

분에 소주제 ‘교회! 다시 부르<br />

심 앞에 서자’ 라는 제목으로 진<br />

행한다.<br />

4월 6일 토요일 새벽에는 ‘교<br />

회! 사랑으로 일어서자’ 저녁집회<br />

는 ‘교회! 끊임없이 변화하자’라<br />

는 제목으로 진행된다.<br />

마지막 4월 7일 주일 예배는 1<br />

부 2부 ‘교회! 은혜 위에 서자’라<br />

는 제목으로 성회를 진행한다.<br />

소정일 목사는 “이번 부흥성회<br />

에 우리 성도들뿐만 아니라 킬린<br />

지역의 한인 성도들에게 은혜의<br />

말씀으로 받아들이고 믿지 않는<br />

킬린 한인들께 말씀을 통한 전도<br />

의 길이 열리기를 소망한다”라고<br />

전해왔다.<br />

뉴게이트 글로벌 교회는 “이번<br />

신년 부흥회를 통해 교회가 변해<br />

야 한다는 주제로 온 성도들이 은<br />

혜받는 좋은 시간이 될 것으로 보<br />

인다. 동시에 킬린 지역의 한인<br />

그리스도인들이 먼저 은혜받는<br />

시간이 되기를 소망해 본다“라고<br />

전해왔다.<br />

벗꽃이 흩날리는 계절 그리스<br />

도의 푸르른 계절이 킬린 지역에<br />

도 만개하는 봄소식이 전해지기<br />

를 기도해 본다.<br />

정순광 기자 © <strong>TCN</strong>


MAR 22 2024 | 15


가스펠 Korea<br />

MAR<br />

16<br />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주 1회 가정예배 14% 불과 … 부모 - 자녀 신앙은 정비례<br />

목데연, 신앙 계승 위해 한국교회 관심 요청<br />

기독교인 가정 중 가정예배를 월 1회라도 드리는 비율은 20%<br />

[가정예배 빈도 설문, 2인 가구이상, %] 80%는 아예 예배드리지 않는다고 답했다.<br />

기독교인 가정 중 가정예배를 주 1<br />

학창시절 가정예배를 경험한 이들<br />

도 등 항목에서 ‘부모의 신앙보다 못<br />

목데연은 “이번 조사에서 신앙 계<br />

회 이상 드리는 비율은 단 14%에 불<br />

의 신앙 수준은 전체 평균보다 높았<br />

하다’고 생각했다.<br />

승의 약화 현상이 감지됐다”며 “저<br />

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br />

다. 특히 가장 높은 ‘신앙 수준 4단계’<br />

자녀를 가진 후 신앙생활에 어려움<br />

출산, 탈종교화, 개신교인 비율 감소<br />

자녀의 신앙 수준이 비례한다는 측<br />

비율은 가정예배를 경험한 자녀와 전<br />

을 겪는 이들도 많았다. 자녀가 없는<br />

로 향후 한국교회의 양적 축소가 예<br />

면에서 신앙 계승이 약화되고 있음을<br />

체 평균이 각각 19%와 9%로 2배 이<br />

부부는 결혼 후 신앙생활을 ‘더 잘하<br />

상되는 가운데, 신앙 계승의 중심 세<br />

보여 줬다.<br />

상 차이가 났다.<br />

게 됐다’가 41%, ‘못하게 되었다’가<br />

대인 3040세대의 신앙 약화는 한국<br />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br />

지용근,<br />

자신의 신앙적 정체성에 가장 큰<br />

17%인 반면, 자녀가 있는 경우 ‘더 잘<br />

교회의 질적 측면의 약화까지 영향<br />

이하 목데연)이 ㈜지앤컴리서치과<br />

영향을 준 요인은 3명 중 2명(66%)<br />

하게 됐다’는 30%로 감소했고, ‘못하<br />

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br />

함께 조사해 발표한 ‘개신교인의 신<br />

이 ‘크리스천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br />

게 됐다’는 23%로 늘었다.<br />

했다.<br />

앙 계승 실태’에 따르면, 한 달에 한<br />

란 것’을 꼽았다. 신앙에 가장 영향을<br />

자녀의 신앙 양육에 대한 노력은<br />

이어 “교회가 먼저 해야 할 일은<br />

번이라도 가정예배를 드리는 비율은<br />

많이 미친 사람은 어머니가 54%로<br />

3040세대에서 가장 낮았다. ‘노력한<br />

우선 부모세대인 3040세대의 신앙<br />

20%였다. 주 1회 가정예배를 드리는<br />

압도적이었고, 아버지(13%), 목회자<br />

다’는 응답은 50대 71%에서 40대에<br />

이 잘 정립될 수 있도록 돕는 것, 즉<br />

비율은 14%로, 7가구 중 1가구 꼴이<br />

(13%), 교회 친구/선후배(11%) 영향<br />

51%로 낮아졌고, 30대는 43%에 머<br />

부모 교육”이라며 “또 자녀들이 교회<br />

었다.<br />

은 다소 적었다.<br />

물렀다.<br />

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보내는 가정<br />

한 달간 신앙적인 대화를 나눈 비<br />

부모와 자녀 간 신앙 수준의 연관<br />

출석교회에서 가족 신앙 활동 자료<br />

에서 신앙적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br />

율(성경공부 포함)은 44%로 가장<br />

성은 확연했다. 신앙 수준을 1~4단계<br />

를 제공하는 교회는 10곳 중 6곳 정<br />

록 가족 신앙을 위한 교육, 자료를 제<br />

높았고, ‘가족 기도(식사기도 제외)’<br />

로 나눴을 때 부모와 자녀의 신앙 수<br />

도였다. 대다수(80%)는 영적인 가정<br />

공해야 한다. 가정예배를 정착시키는<br />

41%, ‘성경 읽기/큐티 나눔’ 34% 순<br />

준은 일치 확률이 가장 높았다. 대다<br />

을 위해 교회의 ‘부모 역할 교육’이 필<br />

것이 한국교회의 미래를 위해서도 중<br />

으로 응답했다.<br />

수는 주일성수, 십일조, 교회봉사, 전<br />

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br />

요하다”고 밝혔다.<br />

기독청년 3명 중 2명 “비혼동거 찬성” 충격<br />

20대 82%·10대 79%, 비혼 동거 긍정적 … “성경적 사랑으로 올바른 가정 이루도록 도와야”<br />

동거 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기독청<br />

발표했다.<br />

라는 응답이 39%로 가장 많았다. 또 향후 동거<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br />

년 3명 중 2명이 ‘비혼동거’에 찬성하는 것으<br />

로 나타났다.<br />

목회데이터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br />

‘비혼동거 실태와 인식’ 보고서를 지난 19일<br />

보고서에 따르면 개신교 대학생 중 64%가<br />

비혼동거에 대해 ‘찬성한다’고 답했다. 일반 대<br />

학생(79%)에 비해서는 찬성 비중이 적었으나<br />

절반 이상에 달했다.<br />

국민 전체의 비혼동거 동의율은 계속 상승<br />

하는 추세다. 2018년 56%, 2020년 60%에 이<br />

어 2022년에는 65%가 비혼동거에 대해 긍정<br />

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br />

연령별 동의율에서는 20대가 82%로 압도<br />

적으로 높았다. 이어 13~19세가 79%, 30대가<br />

78%로 뒤를 이었다.<br />

현재 비혼동거자들에게 비혼동거를 하는 이<br />

유를 물었더니, ‘별다른 이유 없이 자연스럽게’<br />

중인 파트너와 결혼할 의향이 있는 지를 물은<br />

결과 ‘없음’이 36%, ‘있음’이 64%로 집계됐다.<br />

목데연은 이를 두고 “이성 간의 자연스럽고<br />

본능적인 욕구가 자유롭고 개방적인 문화∙시<br />

대적 흐름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br />

고 분석했다.<br />

김진양 목데연 부대표는 “비혼동거는 더 이<br />

상 교회 밖의 이야기가 아니”라며 “동거를 무<br />

조건 정죄하고 배척하기보다 교회가 먼저 나<br />

서서 성경적 사랑은 단순히 감정적인 것이 아<br />

닌 ‘책임’이 따르는 것임을 가르쳐 주고, 올바<br />

른 결혼관 안에서 가정을 이루도록 도와야 한<br />

다”고 당부했다.


MAR 22 2024<br />

| 17<br />

“낙태보다 출산이 임산부의 육체적·정신적 건강에 유익”<br />

성산생명윤리연구소(소장 홍순철)<br />

는 지난 9일 성산 콜로키을 열고 고<br />

대 의대 산부인과 홍순철 교수가 ‘태<br />

아생명윤리-어떤 태아가 인공임신<br />

중절의 대상인가?’라는 제목으로 강<br />

의했다.<br />

홍 교수는 산전 검사에서 태아 기<br />

형이 발견되면 많은 이들이 낙태를<br />

선택하는 현실 상황을 안타까워하며,<br />

먼저 팔다리가 없이 태어난 닉 부이<br />

치치를 언급했다.<br />

그러면서 그는 심한 장애를 가진<br />

자가 오히려 멀쩡해 보이는 이들<br />

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했다.<br />

흔한 예로 임산부 금기약물 등급<br />

X에 대해 설명하며 “콜레스테롤을<br />

줄이는 스타틴 약물은 태아에게 콜<br />

레스테롤이 필요하기 때문에 금기인<br />

것이고, 경구피임약이 X인 이유도 임<br />

산부에게 피임약이 불필요하기에 X<br />

로 정해진 것”이라고 했다.<br />

임산부에게 처방한 약물 때문에<br />

걱정하는 의사들에게는 “부정적 말<br />

보다는 건강한 태아가 태어날 확률<br />

이 97~98%라는 긍정적 상담 후 산<br />

과 전문의에게 의뢰할 것”을 부탁<br />

고려대학교 의대 산부인과 홍순철 교수(성산생명윤리연구소 소장)<br />

의 삶을 위로하는 것을 보며 “무엇<br />

이 진짜 장애인가?”라는 질문을 던<br />

졌다.<br />

또 미국에서 태중에 무뇌아임이 밝<br />

혀진 셰인 마이클 헤일리의 사례를<br />

들었다. 그의 부모는 무뇌아로 태어<br />

나 수 일 내 사망할 태아를 낙태시키<br />

는 대신, 세 가족이 함께할 버킷 리스<br />

트를 작성했다.<br />

그 리스트를 시행하는 39주간의<br />

여정과 온 가족의 축복 속에 출산한<br />

셰인의 이야기는 소셜미디어를 통<br />

해 퍼졌고, 황금시간대에 뉴스로 방<br />

영됐다.<br />

홍 교수는 “기형아를 낙태시키는<br />

대신 출산을 택한 셰인 가족의 스토<br />

리는 세계 많은 이들에게 용기와 위<br />

안을 주었다”고 전했다.<br />

홍 교수는 “태아와 별도로 임산부<br />

의 입장만 이기적으로 고려한다고<br />

해도, 낙태보다는 출산하는 것이 산<br />

모의 육체적 건강에 유익하고 정신<br />

적으로도 훨씬 건강하다”며 “낙태보<br />

다 성숙하게 출산 후 이별하는 것이<br />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다.<br />

실제 낙태를 원하고 찾아오는 산모<br />

를 진찰할 때, 홍 교수는 태아 초음파<br />

를 부모에게 보여 준다고 했다.<br />

초음파 속 실제 아기의 모습을<br />

본 부모들은, “낙태를 하지 말라”<br />

고 직접 권하지 않아도 움직이는<br />

태아를 보며 낙태의 마음을 접는다<br />

고 했다.<br />

또 영화 ‘언플랜드(unplanned)’의<br />

한 장면을 언급하며, 뱃속의 아기는<br />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며 낙태를 권<br />

하는 행위를 강력히 비판했다.<br />

낙태가 많이 이뤄지는 또 다른 이<br />

유 중 하나는 임산부가 ‘금기 약물’<br />

로 정해진 약을 복용한 것 때문이라<br />

고 했다. 그는 산모의 약물에 대한<br />

잘못된 정보와 이로 인한 불안을 언<br />

급하며, “태아 발생학과 약물의 대사<br />

기전을 알면 불필요한 두려움 때문<br />

에 아기를 잃을 이유가 없다”고 말<br />

했다.<br />

그는 또 실제 논문을 통해 약물을<br />

복용한 경우(2.5%)와 노출이 안 된<br />

경우(2.9%)의 기형률을 비교하며 “유<br />

했다.<br />

또한 “임산부 금기인 백신의 예를<br />

MMR 백신과 대상포진 백신은 생백<br />

신이라는 이론적 이유로 임산부 금<br />

기라고 하지만, 이 역시 약독화시킨<br />

백신이어서 태아가 감염이 되었다는<br />

보고가 없다”며 “과도한 불안으로 낙<br />

태를 택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강<br />

조했다.<br />

아울러 “현대의 의학 수준은 태아<br />

기형 유발에 대한 방사선과 항암제<br />

의 효과도 밝혀져 있다”며 복부를 차<br />

폐하고 뇌종양을 방사선으로 치료하<br />

고, 항암제를 조절하여 림프종을 치<br />

료한 후 정상아를 분만한 경험을 소<br />

개하며 “어떤 아이도 낙태될 이유가<br />

없다”고 전했다.<br />

가스펠 KOREA<br />

세월호 10주기 한 달 앞 … 비극 반복되지 않길 기도<br />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함께하는 기도회 개최<br />

“유가족들은 평범한 일상으로 돌<br />

원 참사로 숨진 희생자들을 추모하<br />

는 “한국교회의 위로와 사랑에 힘 입<br />

해자들과 연대해 진상규명을 촉구하<br />

아오지 못했습니다. 이들의 마음을<br />

며 유가족들과 슬픔을 함께 나눴다.<br />

어 이제껫 버틸 수 있었다”며 “한국<br />

기로 다짐했다.<br />

사랑으로 감싸 위로해 주시고 슬픔<br />

‘평화, 우리의 숨 쉴 구멍’이라는<br />

교회가 보내준 사랑의 빚이 크다. 받<br />

우규성 정의평화목회자행동 공동<br />

속에서도 희망과 평안을 발견할 수<br />

제목으로 설교흘 전한 민돈후 간성<br />

은 사랑을 기억하면서 힘내겠다”고<br />

대표는 “세월호와 이태원 참사로 사<br />

있도록 하옵소서. 또한 다시는 이런<br />

제일교회 목사는 “고통과 부조리로<br />

말했다.<br />

랑하는 자녀를 잃은 부모의 마음을<br />

아픔이 반복되지 않도록 인도해 주<br />

가득한 이 세상을 살다보면 평화가<br />

이어 이 땅의 정의와 평화를 위해<br />

감히 헤아릴 수 없다”며 “한국교회가<br />

시옵소서.”<br />

멀게 느껴질 때가 있지만, 그럼에<br />

합심기도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석<br />

이들의 아픔에 침묵하지 않고 예수<br />

세월호 참사 10주기가 한 달 앞으<br />

로 다가온 가운데 상처입은 모든 자<br />

들의 평안과 위로를 바라는 기도소<br />

리가 울려퍼졌다.<br />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총회장 전<br />

상건 목사)는 18일 서울 종로구 한국<br />

기독교회관에서 ‘세월호·이태원 참<br />

사 유가족과 함께하는 사순절 정의<br />

평화기도회’를 개최했다.<br />

제326차 평화통일 월요일 기도회<br />

를 겸해 개최된 이번 기도회는 정의<br />

평화목회자행동(공동대표 우규성 목<br />

사)이 주관했다.<br />

이날 참석자들은 세월호와 이태<br />

도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평화를 강<br />

조하셨다”며 “보혜사 성령이 함께하<br />

기 때문에 어떤 상황과 조건 가운데<br />

서도 평화를 누릴 수 있다”고 강조<br />

했다.<br />

이어 민 목사는 “형언할 수 없는 고<br />

통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지금 이 순<br />

간에도 성령께서는 들숨과 날숨처럼<br />

우리와 함께 하신다”며 “여러분 안에<br />

있는 성령이 일할 수 있도록 마음의<br />

문을 열길 바란다”고 유가족들을 격<br />

려했다.<br />

이날 함께 자리한 세월호 참사 희<br />

생자 신호성 군의 어머니 정부자 씨<br />

자들은 대한민국이 안전한 사회가 그리스도의 마음으로 함께하길 바란<br />

될 수 있도록 마음 모아 기도하고 피 다”고 말했다.<br />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함께하는 사순절 정의평화기도회’<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


18 |<br />

MAR 22 2024<br />

가스펠 KOREA<br />

‘파묘’ 열풍에 무속 콘텐츠 봇물 … “무분별한 수용 경계해야”<br />

곡성·악귀·파묘까지 … 영적 현상 탐구하는 오컬트물 잇따라<br />

요즘 무속 사상이 사회적으로 유행<br />

하고 있다. 영화 ‘파묘’의 인기 영향<br />

으로 무속신앙에 대한 대중의 관심<br />

이 높아지는 추세다.<br />

풍수지리와 무속신앙을 전면에 내<br />

세운 영화 ‘파묘의 인기가 심상치 않<br />

다. ‘K-오컬트’라는 말이 나올 정도<br />

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전 세대의<br />

마음을 사로잡으며 올해 첫 천만 영<br />

화 등극을 눈앞에 뒀다.<br />

‘검은 사제들’과 ‘사바하’로 오컬트<br />

영화의 독보적인 세계관을 구축해온<br />

장재현 감독의 신작 ‘파묘’는 거액의<br />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br />

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br />

기이한 사건을 그린 오컬트 미스터<br />

리 영화다.<br />

젊은 층에 관객이 쏠렸던 기존 오<br />

컬트물과 달리 ‘파묘’는 중장년층, 나<br />

영화 ‘파묘’<br />

아가 노년층 관객까지 극장으로 불러<br />

들이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br />

CGV가 홈페이지·모바일 앱을 통<br />

해 ‘파묘’를 예매한 관객의 연령층을<br />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은 지난 1일<br />

기준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br />

났다. 40대는 20%로, 10대(6%)의 3<br />

배가 넘었다. 장 감독의 전작인 오컬<br />

트물 ‘사바하’의 경우 50대 이상 관객<br />

은 9%였고, 한국 미스터리·오컬트<br />

대표작인 나홍진 감독의 ‘곡성’은 6<br />

%에 불과한 것과 대조적이다.<br />

이는 ‘파묘’가 기성세대에게 익숙<br />

한 묫자리, 이장, 풍수지리, 무속신앙<br />

등의 소재를 전면에 내세웠기 때문이<br />

라는 분석이 많다. 나아가 기존 오컬<br />

트물들이 다뤘던 미속적인 소재에 동<br />

아시아의 근현대사까지 다루며 새로<br />

운 시사점을 선보였다는 평가다.<br />

한 배급사 관계자는 “파묘가 중장<br />

년층에게까지 호응을 얻는 이유로는<br />

소재의 힘이 꼽힌다”며 “명당에 조상<br />

을 모신다거나, 일이 안 풀리면 이장<br />

을 한다거나 하는 문화는 기성세대에<br />

익숙해 장르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은<br />

편”이라고 분석했다.<br />

영화의 인기에 무속신앙을 다루는<br />

콘텐츠도 덩달아 많아지고 있다.<br />

SBS ‘그것이 알고 싶다’는 1993년<br />

과 1994년 방영된 무속과 풍수지리<br />

를 다룬 에피소드를 재편집해 유튜<br />

브 채널에 공개했다. 영상은 공개된<br />

지 10일 만에 조회수 57만 건을 기<br />

록했고, 2021년 ‘쇠말뚝’ 관련 음모론<br />

을 다룬 ‘당신이 혹하는 사이’ 재편<br />

집 영상은 2주 사이 조회수 112만 건<br />

을 넘겼다.<br />

전·현직 무속인들이 ‘파묘’의 세부<br />

내용을 분석한 리뷰 콘텐츠들도 평<br />

균 40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인기를<br />

끌고 있다.<br />

‘파묘’ 뿐만 아니라 초자연적 사건<br />

혹은 영적 현상을 탐구하는 오컬트물<br />

은 요 몇 년 새 잇달아 등장했다.<br />

2015년 영화 ‘검은 사제들’을 시<br />

작으로 영화 ‘곡성(2016)’과 ‘사바하<br />

(2019)’, ‘랑종(2021)’, 그리고 드라마<br />

‘손 the guest(2018)’과 ‘악귀(2023)’,<br />

‘선산(2024)’까지 다양한 오컬트물이<br />

계속해서 쏟아져 나왔다. 무속신앙<br />

등이 대중문화의 단골소재로 등장,<br />

그만큼 무속 사상을 무분별하게 접<br />

하고 수용할 기회가 많아진 셈이다.<br />

필름포럼 성현 대표는 “한국인 대<br />

다수의 심성에는 대중매체가 그리는<br />

비현실적 세계가 거부감 없이 받아<br />

들여질 수 있는 문화적 토양이 꽤 두<br />

텁게 형성돼 있는 상태”라며 “대중이<br />

귀신이나 무속신앙 등을 소재로 한<br />

콘텐츠를 일종의 문화로 받아들이면<br />

서 거침없이 소비하는 양상을 보이고<br />

있다”고 말했다.<br />

백광훈 문화선교연구원장은 과학<br />

이 발달한 시대에 초자연적이거나<br />

가장 미신적인 것이 성행하고 있는<br />

현상을 주목해야 한다고 언급했다.<br />

백 원장은 “무속적 콘텐츠가 활발<br />

히 소비되는 것은 영적 세계에 대한<br />

대중의 궁금증이 그만큼 높다는 방<br />

증이기도 하다”며 “현대인들의 영적<br />

갈망을 대중문화가 채워주고 있다고<br />

볼 수 있다. 반대로 기독교가 사람들<br />

의 영적 갈망을 채워주지 못하면 사<br />

람들은 계속 대중문화로 눈이 쏠릴<br />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br />

석했다.<br />

그러면서 “한국교회가 먼저 대중<br />

의 영적인 필요를 포착해 채워주고<br />

삶과 죽음, 그 이후에 대한 건설적인<br />

논의를 계속해서 이어나갈 필요성이<br />

제기된다”고 제언했다.<br />

‘도 넘은’ 성교육책 문제없다고? … “편파 심의 말고 도서 퇴출해야”<br />

공공도서관과 초·중·고 공립학교<br />

긴 구체적 성행위 묘사와 삽화 등의<br />

적된다. 같은 성별에 끌리는 현상을<br />

구체적인 성행위 묘사가 포함됐음에<br />

도서실에 비치된 성교육책의 선정성<br />

정도가 청소년들에게 부적절하다며<br />

자연스럽다고 표현하거나 ‘제3의 성’<br />

도 유해 도서가 아닌 성교육 도서로<br />

이 도마 위에 올랐다.<br />

즉각 반발했다.<br />

등을 자세히 다룬다.<br />

판단됐다”며 “판정 기준이 모호한 편<br />

학부모들이 지속해서 문제가 되는<br />

실제로 책에는 남녀 특정 신체 부<br />

단체들은 “청소년보호법과 시행령<br />

파적 심의”라고 꼬집었다.<br />

도서의 회수를 요청하고 있지만 교<br />

위를 과도하게 묘사한 내용 등이 담<br />

상 심의기준을 보면 ‘성행위와 관련<br />

그러면서 “간행물 윤리 보호라<br />

육계가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어<br />

겨 있다.<br />

해 방법, 감정, 음성 등을 지나치게<br />

는 본연의 목적에 부합하는 심의<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br />

논란이 일고 있다.<br />

퍼스트코리아시민연대(시민연<br />

대)는 지난 18일 대전시청 앞에서<br />

전국 71개 학부모단체 및 시민단체<br />

와 기자회견을 열고 음란·유해 도<br />

서를 편파적으로 심의한 간행물윤<br />

리위원회에 대해 규탄의 목소리를<br />

높였다.<br />

앞서 간행물윤리위원회는 전국 학<br />

부모 단체 대표들이 음란 유해 도서<br />

로 심의 청구한 66권 중 11권에 대해<br />

‘청소년 유해 도서에 해당하지 않는<br />

다’고 결론지었다.<br />

단체들은 불문 결정된 도서들에 담<br />

성적 가치관 형성에 혼란을 야기<br />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어 문제로 지<br />

묘사한 것’을 유해 도서 판정 기준으<br />

로 적시하고 있는데 해당 도서들은<br />

간행물윤리위원회를 규탄하는 기자회견<br />

가 이뤄져야 한다”며 재결정을 촉<br />

구했다.<br />

이들은 또 “간행물윤리위원회 위<br />

원 중 한 명은 출판학회 학술이사로<br />

출판업계 관계자와 이해관계가 있어<br />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위반 소<br />

지가 있다”며 “간행물 윤리 보호라<br />

는 목적에 부합하는 단체를 추천받<br />

아 위원회를 다시 구성해 줄 것”을<br />

요구했다.<br />

시민연대는 이날 대전을 시작으<br />

로 다음달까지 전국을 돌며 간행<br />

물윤리위원회 규탄집회를 열 예정<br />

이다.


가스펠 USA<br />

MAR<br />

19<br />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美 유명 진보 활동가 목사, 이슬람교로 돌연 개종<br />

미국의 진보주의 활동가이자 전<br />

2020년 조지 플로이드가 경찰에<br />

기독교 목사가 이슬람교로의 개종<br />

의해 사망한 후, 킹은 노예를 소유했<br />

을 선언하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br />

거나 노예 제도를 지지했던 역사적<br />

에서 팔레스타인에 대한 지지를 표<br />

인물의 기념 동상과 함께 “그들이 예<br />

명했다.<br />

수라고 주장하는 백인 유럽인의 동<br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br />

상도 함께 끌어내려야 한다”고 발언<br />

면, 션 킹(Shaun King)은 텔레그램<br />

하여 비난을 받았다.<br />

에 자신과 그의 아내가 달라스에 있<br />

당시 그는 “백인 예수와 그의 유<br />

는 이슬람 사원에서 “라마단을 시작<br />

럽인 어머니, 그리고 그들의 백인 친<br />

하기 위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br />

구들의 모든 벽화와 스테인드글라스<br />

발표했다.<br />

그의 개종식이 촬영된 영상에는 킹<br />

미국의 진보주의 활동가 션 킹 목사<br />

창문도 끌어내려야 한다”라며 이들<br />

을 “백인 우월주의의 역겨운 형태”,<br />

이 “하나님은 오직 한 분이시며 그의<br />

신의 활동을 알리는 게시물들로 이<br />

그는 또한 사회 정의 기금의 회계<br />

“인종차별적 선전”이자 “억압의 도<br />

사자는 무함마드”라고 동의하는 장<br />

루어져 있다.<br />

문제와 함께, 1847년에 창간된 노예<br />

구”라고 비난했다.<br />

면이 담겨 있다.<br />

그는 11일 오후 올린 게시물에서<br />

제도 반대 신문 ‘노스 스타’(North<br />

그러면서 킹은 “나는 실천적인 기<br />

킹은 자신의 개종을 “절대 잊지 못<br />

“이번 라마단 기간 동안 이슬람과 우<br />

Star) 재출간과 관련해 여러 논란에<br />

독교인이다. 나는 안수 받은 목사이<br />

할, 아름답고 강력하며 의미 있는 경<br />

리의 여정을 공유하기 시작할 것”이<br />

휩싸였다.<br />

며 수년 동안 담임목사로 일했다. 기<br />

험”으로 묘사하며, “전 세계 10억 명<br />

라며 “우리와 함께 이슬람교로 개종<br />

미국의 뉴스 웹사이트 ‘더 데일리<br />

독교 백인화(Christian whiteness)<br />

이 넘는 무슬림들과 함께 아침에 금<br />

하기를 원하는 남성, 여성, 어린이들<br />

비스트’(The Daily Beast)는 킹이 부<br />

는 항상 위험했다”며 자신의 입장을<br />

식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br />

로부터 수백 통의 메시지를 전 세계<br />

정행위에 대한 형사 또는 민사 소송<br />

변호했다.<br />

킹은 “내 마음은 가자에 있는 나의<br />

로부터 받았다”고 언급했다.<br />

을 받은 적이 없다고 보도했지만, 교<br />

킹은 개인 웹사이트에서 자신을<br />

가장 사랑하는 친구들과 함께 있다.<br />

킹은 2015년 블랙 라이브즈 매터<br />

수이자 작가인 케이샤 N. 블레인은<br />

연설가, 언론인, 인도주의자, 활동가<br />

오늘 밤 가자지구 북쪽에서 남쪽까<br />

(Black Lives Matter, BLM) 운동을<br />

2020년 당시 트위터에 게시한 글에<br />

로 소개하며 “블랙 라이브즈 매터 운<br />

지 수천 명의 가족에게 식사를 제공<br />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주목을 끌기<br />

서 “킹을 경계하라는 주의를 받았다”<br />

동의 핵심 요소”이자 “정의와 가족을<br />

할 수 있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br />

시작했다.<br />

며, 개인적 경험을 통해 그가 “거짓<br />

위한 인도주의적이고 열정적인 옹호<br />

한다”며 “라마단 기간에도 매일 식사<br />

당시 목사였던 킹은 자신의 출생<br />

말쟁이자 사기꾼”임을 알게 되었다<br />

자”라고 묘사했다.<br />

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br />

증명서에 기재된 남성이 친부가 아<br />

고 주장했다.<br />

또한 그는 과거 애틀랜타에서 고<br />

그의 텔레그램 계정은 지난해 10<br />

니라며, 그의 실제 아버지는 백인 어<br />

킹은 2017년 10월 1일 네바다 주<br />

등학교 역사 및 시민교육 교사로 재<br />

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테러 공<br />

머니와 관계를 가진 “밝은 피부의 흑<br />

라스베이거스에서 발생한 대규모 총<br />

직했으며, 이후 조지아주의 여러 감<br />

격 이후 가자지구의 상황과 팔레스<br />

인 남성”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br />

격 사건 이후 가해자가 백인임을 강<br />

옥, 교도소 및 청소년 구금 시설에<br />

타인들에 대한 동정을 표현하며, 라<br />

언으로 인해 킹은 흑인으로 위장하<br />

조하며, 언론이 백인이 아닌 인종을<br />

서 강사 겸 상담사로 일했다고 기재<br />

마단 기간 동안 식사를 제공하는 자<br />

고 있다는 의혹을 받았다.<br />

차별적으로 취급한다고 주장했다.<br />

했다.<br />

美 성서공회, 재정난에 성경박물관 ‘폐쇄’ 결정<br />

오는 4월 1일 운영 종료, 3월 28일 이후 티켓 구매자들 환불 조치<br />

미국성서공회(American Bible Society·ABS)<br />

ABS는 연간 25만 명의 방문객을 예상했지<br />

방문한 모든 사람에게 헌신해준 직원들과 지<br />

가 재정적 어려움으로 6,000만 달러 규모의 성<br />

경박물관을 폐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br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펜<br />

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인디펜던스 몰<br />

(Independent Mall)에 위치한 성경박물관<br />

인 ‘신앙과자유발견센터’(Faith and Liberty<br />

Discovery Center·FLDC)가 오는 4월 1일 운<br />

영을 종료한다.<br />

3월 28일 이후 방문 티켓을 구매한 사람들<br />

에게는 전액 환불될 예정이다.<br />

ABS는 폐쇄 이유로 ‘구조적 한계’, ‘코로나<br />

19 봉쇄의 영향’,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br />

는 기타 요인’ 등을 꼽았다.<br />

만 2022년 한 해 방문객 수는 5,400명 정도에<br />

불과했다.<br />

예상보다 방문객 수가 적은 탓에 재정적 어<br />

려움을 겪으며 개관한 지 채 3년이 되지 않아<br />

문을 닫게 됐다.<br />

ABS의 신임 CEO 제니퍼 홀로렌(Jennifer<br />

Holloran) 씨는 성명을 통해 “이사회가 지난 2<br />

월 회의에서 박물관의 문을 닫는데 합의했다.<br />

FLDC는 개관 이후 탁월한 배움과 영감의 장<br />

소 역할을 해왔다”고 밝혔다.<br />

그는 “우리는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디<br />

지털 형식을 통해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새<br />

로운 미래를 기대한다”며 “그동안 박물관을<br />

역 파트너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전<br />

했다.<br />

성경박물관 ‘신앙과자유발견센터’ 전경<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


20 |<br />

MAR 22 2024<br />

가스펠 USA<br />

트랜스젠더 고집하는 아들 가진 부모에 존 파이퍼 목사가 전한 조언<br />

사이에 만연한 두려움을 인정하는<br />

것부터 시작했다, 그는 이러한 우려<br />

가 다양한 기독교 가정에서 공유되<br />

고 있다고 믿는다고 했다. 그는 혼인<br />

외 출생, 문제가 있는 가정에서 자라<br />

는 것, 방탕한 자녀를 갖는 것에 대<br />

한 두려움 등 부모의 불안을 가중시<br />

키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강조했다.<br />

파이퍼 목사는 자녀가 기독교 원<br />

칙에서 멀어지는 것과 씨름하는 부<br />

모들을 위한 포괄적인 10가지 제안<br />

미국 피츠버그 지역에 위치한 대형 약국 체인 CVS 간판<br />

목록을 제시했다.<br />

파이퍼 목사는 “자녀에게 진리를<br />

말하라”고 격려하면서 자녀에게 신<br />

앙과 진리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사<br />

랑을 전하라고 말했다. 부모는 자녀<br />

의 행복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할 준<br />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야 하기 때문<br />

이다.<br />

파이퍼 목사는 “쉬지 말고 기도하<br />

라”면서 부모에게 지속적인 기도의<br />

힘과 하나님의 자비에 대한 신뢰를<br />

상기시켰다.<br />

이어 분별력 있는 의사소통을 통<br />

미국의 신학자 존 파이퍼(John<br />

Piper) 목사가 성별 위화감, 기독교<br />

거부 등 자녀의 잘못된 선택으로 어<br />

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들에게 조언<br />

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br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br />

파이퍼 목사는 ‘디자이어링 갓’(Desiring<br />

God) 웹사이트에 공유된 ‘존<br />

목사에게 물어보세요’의 최근 에피<br />

소드에서 자녀의 성별 위화감과 관<br />

련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버지<br />

가 보낸 이메일에 대해 언급했다.<br />

그는 “아내와 저는 20세부터 8세<br />

까지 네 명의 아들이 있다. 최근 20<br />

세와 15세 아들이 모두 소위 ‘성별<br />

위화감’을 앓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br />

을 알게 되었다. 20세인 아들은 주<br />

님과 동행하며 그것이 잘못된 것임<br />

을 알고, 유혹과 싸우며, 힘을 얻기<br />

위해 하나님 안에 거하려고 노력하<br />

며, 견고하고 성경을 믿는 교회에 다<br />

니고 있다. 하지만 아들은 2시간 거<br />

리에 있는 대학을 다니고 있고 우리<br />

는 여전히 그 사람을 걱정하고 있다”<br />

라고 했다.<br />

이어 “15살 아들은 신자가 아니<br />

다. 이번 시즌 우리는 너무 무너졌<br />

고 외롭고 무력감을 느낀다. 실패한<br />

부모로서 매일 마주하는 절망에 맞<br />

서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br />

리는 어떻게 그들을 실패시켰나?”라<br />

고 물었다.<br />

파이퍼 목사는 자녀가 죄를 물려<br />

받거나 반복하는 것에 대해 부모들<br />

파이퍼 목사는 부모들에게 “희<br />

망을 품고 슬퍼하라”고 격려하면<br />

서 “자녀의 어려움에 대해 깊이 슬<br />

퍼하되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하심에<br />

뿌리를 둔 희망을 갖고 슬퍼하라”고<br />

조언했다.<br />

그는 “불가능한 일을 하시는 하나<br />

님을 바라보라”라며 “인간에게는 불<br />

가능해 보이는 일이 하나님께는 가<br />

능하다”라고 했다.<br />

그는 “잘못을 가정하지 말라”면서<br />

부모의 불완전성이 자녀의 불순종의<br />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하지 말라<br />

고 조언했다. 이어 “하나님의 뜻을 따<br />

라 사랑하라”면서 진리와 의에 대한<br />

하나님의 표준에 따라 자녀를 사랑<br />

하는 것을 강조했다.<br />

해 자녀와 민감한 문제를 얼마나 자<br />

주 다루어야 하는지 말했다.<br />

또한 그는 “복음을 분명하게 하라”<br />

고 강조하면서 어린이들, 특히 길을<br />

잃은 사람들에게 정기적으로 복음<br />

을 분명하게 전하는 것이 중요하다<br />

고 했다.<br />

그는 또한 부모들에게 “불굴의 기<br />

쁨으로 힘쓰라”고 격려하면서 어려<br />

움에도 불구하고 즐거운 삶을 살라<br />

고 조언했다.<br />

파이퍼 목사는 “그러므로 서로를<br />

위해 기도하자. 주님께서 수천 명의<br />

귀중한 탕자들을 부모와 주 예수님<br />

의 품으로 휩쓸어 버리는 은혜의 파<br />

도가 밀려오는 날을 가져오시기를<br />

바란다”라고 했다.<br />

테네시 대형교회, 하루 만에 93명에 침례식 거행<br />

테네시주의 한 대형교회가 하루 동<br />

고 했다.<br />

없다”거나, “침례가 (세례와) 같은 의<br />

그는 “우리의 사명 선언문은 ‘모든<br />

안 4차례의 예배를 통해 93명이 침<br />

레일리는 “93명의 침례는 즉흥적<br />

미가 아니거나 강조되지 않는 신앙<br />

세대를 하나님과 다른 이들, 그리고<br />

례를 받았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br />

으로 이루어졌다. 그 사람들은 그날<br />

배경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br />

섬김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들을<br />

(CP)에 따르면, 이들은 침례를 받을<br />

침례를 받으려고 준비한 것이 아니<br />

그는 “주일에 많은 사람들이 침례<br />

다른 이들과 연결하는 것은 매주 성<br />

계획이 없었으나 예배 후에 마음을<br />

었지만, 우리는 준비가 되어 있었으<br />

의 성경적 중요성과 의미에 대해 실<br />

경 공부를 통해 만나고, 하나님의 말<br />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br />

며, 하나님께서 말씀하시자 그들은<br />

제로 들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br />

씀을 공부하는 그룹을 통해 이루어<br />

매주 약 3600여 명이 예배에 참석<br />

순종했다”고 전했다.<br />

말을 들었다”고 했다. 침례 이후, 레<br />

지며, 이들을 사역에 참여시키는 것”<br />

하는 헨더슨빌 제일침례교회(First<br />

레일리 목사는 교회가 많은 사람들<br />

일리는 “93명의 사람들이 신앙을 굳<br />

이라며 “그들이 교회나 지역사회에<br />

Baptist Church of Hendersonville)<br />

이 다른 지역에서 이주하는 것을 보<br />

건히 하도록 소그룹 성경공부 모임<br />

서 다른 이들과 함께 일하고, 다른 신<br />

는 지난 10일 주일 예배에서 93명에<br />

고 있으며, 대다수가 “신앙적 배경이<br />

으로 연결시킬 것”이라고 밝혔다.<br />

앙인들과 짝지어 기독교 교육을 배<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br />

게 침례식을 거행했는데, 이는 교회<br />

가 한 번에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세<br />

례를 베푼 날이었다.<br />

교회는 오전 8시 30분 예배에서는<br />

12명, 9시 45분 예배서는 22명, 캠퍼<br />

스의 다른 장소에서 열린 9시 45분<br />

예배에서는 5명, 그리고 11시 예배에<br />

서는 54명에게 침례를 거행했다.<br />

헨더슨빌 제일침례교회 부목사인<br />

브루스 레일리(Bruce Raley)는 CP<br />

와의 인터뷰에서 “하루 동안 많은<br />

준비와 기도가 있었지만, 침례를 받<br />

은 사람들은 사전에 침례 받을 준비<br />

를 하고 교회에 온 것이 아니었다”<br />

브루스 체서 담임목사와 침례 받은 참석자<br />

우는 동안 함께 걷도록 하는 것”이<br />

라고 했다.<br />

레일리는 “침례는 우리에게 우선<br />

순위이다.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br />

서 믿음을 가지고, 그 믿음을 신자<br />

의 침례를 통해 공개적으로 고백하<br />

길 원한다”고 덧붙였다.<br />

헨더슨빌 제일침례교회는 건물<br />

내에 눈에 잘 띄는 벽면에 새로 침<br />

례 받은 사람들이 자신의 이름을 직<br />

접 기록하도록 해두었다. 이 부착<br />

물에는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br />

(Unashamed)’라는 문구와 함께 로<br />

마서 1장 16절이 적혀 있다.


MAR 22 2024<br />

| 21<br />

철제 폐(아이언 렁) 속에서 살아온 폴 알렉산더<br />

72년 동안 ‘철제 폐’ 속에 지낸 美 남성,<br />

78세로 사망<br />

어린 시절 소아마비에 걸린 후 70<br />

년 이상 철제 폐(아이언 렁) 속에서<br />

살아온 남성이 78세 나이로 세상을<br />

떠났다. 신앙으로 자신의 한계를 극<br />

복해 온 그의 삶은 많은 이들에게 영<br />

감을 줬다.<br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br />

르면, 지난 12일 폴 알렉산더(Paul<br />

Alexander)의 가족은 고펀드미(Go-<br />

FundMe) 페이지를 통해 그의 비보<br />

를 알렸다. 모금 활동가 크리스토퍼<br />

울스터(Christopher Ulster)는 “폴,<br />

항상 당신을 기억할 것이다. 당신의<br />

이야기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긍정<br />

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고인을 추모<br />

했다.<br />

달라스 출신의 폴 알렉산더는 6살<br />

때인 1952년 소아마비에 걸려 전신<br />

이 마비된 탓에 철제 폐 기기를 사<br />

용하기 시작했다. 커다란 실린더 모<br />

양의 이 기기는 내부의 압력을 높이<br />

거나 낮춰 환자의 폐를 확장하거나<br />

수축시켜 호흡하게 한다. 이 기구는<br />

1920년대에 발명됐는데, 소아마비<br />

백신이 1955년에 널리 보급된 후부<br />

터 사용되지 않았다.<br />

그는 상태가 악화돼 철제 폐 밖에<br />

서는 자가 호흡을 할 수 없게 됐지만,<br />

소년 시절 학업에 대한 열정을 놓지<br />

않았다. 입에 붓이나 펜을 물고 그림<br />

을 그리고 글을 썼으며, 철제 폐 밖에<br />

있는 시간을 조금씩 늘리는 훈련을<br />

하면서 끝내 휠체어를 타고 학교에<br />

다닐 수 있게 됐다.<br />

4~6시간을 철체 폐 밖에서 보낼<br />

수 있게 된 그는 1978년 텍사스대<br />

학교에서 경제학학사 학위를, 1984<br />

년 법학학사 학위를 받았고, 변호사<br />

시험까지 합격했다. 그는 마비된 몸<br />

을 지탱하는 특수 휠체어를 타고 법<br />

정에 출석하고, 사무실이나 집에서<br />

는 철제 폐에 들어가는 방식으로 달<br />

라스와 포트워스에서 변호사로 활동<br />

했다.<br />

나이가 들면서 점차 호흡이 힘들어<br />

진 그는 다시 철제 폐로 돌아왔다. 그<br />

는 입에 도구를 물고 키보드를 두드<br />

리며 8년에 걸쳐 자서전을 저술해 자<br />

신의 이야기를 전했다.<br />

최근에는 동영상 사이트 틱톡에<br />

‘아이언렁맨’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br />

일상도 공개해 왔다. 그의 동영상 페<br />

이지는 약 33만 7천 명의 팔로워를<br />

보유하고 있다. 특히 ‘에피소드 1’ 게<br />

시물은 약 5,600만 회의 조회수를 기<br />

록하고 있다.<br />

그는 2018년 지역 매체와 인터뷰<br />

에서 자신이 성공할 수 있었던 원동<br />

력은 돌아가신 부모님의 “마법 같은<br />

사랑”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부모님<br />

은 ‘넌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말했<br />

고, 나는 그 말을 믿었다”고 했다.<br />

이어 “어린 나이에 몸이 마비된 지<br />

옥 같은 경험을 겪었지만, 고통 속에<br />

서도 부모가 나를 얼마나 깊이 사랑<br />

하는지 느낄 수 있었다. 그들을 통해<br />

동시에 하나님이 나를 얼마나 사랑하<br />

시는지 깨닫게 됐다”고 전했다.<br />

알렉산더의 동생인 필립은 영국 일<br />

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가<br />

족은 매주 교회에 다녔는데, 아버지<br />

는 때때로 형을 강단에 데리고 올라<br />

가 기도하곤 했다. 그는 십자가 앞에<br />

서 울고 또 울었다”며 신앙의 힘으로<br />

어려움을 극복했다고 회상했다.<br />

그는 고펀드미를 통해 “형의 모금<br />

행사에 기부해 주신 모든 분들께 정<br />

말 감사드린다. 그 덕분에 이 어려운<br />

시기에 그의 장례식 비용도 지불할<br />

수 있게 됐다”며 “많은 사람들이 형<br />

의 삶을 통해 영감을 받았다는 것은<br />

정말 놀랍고 감사한 일이다. 다시 한<br />

번 감사드린다”고 전했다.<br />

가스펠 USA<br />

아이티, 고조되는 폭력 사태로 美 선교사 가정 고립<br />

아이티에서 고조되는 폭력 사태로 아리엘<br />

고, 총리를 축출하기 위한 대규모 갱단의 소요<br />

헨리(Ariel Henry) 총리가 11일 사임을 발표<br />

사태가 도시 전역에서 계속되면서, 그들은 총<br />

한 후에도 권력 투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br />

소리가 들리는 작은 호텔에 머물 수밖에 없었<br />

선교사와 입양 자녀들이 피신해 기도와 도움<br />

다. 10대들은 모두 백인이어서 아이티에서 눈<br />

을 요청하고 있다.<br />

에 띌 수 밖에 없고, 현재 도움이 되지 않는다”<br />

선교사 라이언 돌란(Ryan Dolan)과 질 돌란<br />

며 “수도를 오가는 모든 도로도 폐쇄돼, 사역<br />

(Jill Dolan)은 미국 워싱턴주에 있는 파송교회<br />

지로도 돌아갈 수 없다”고 했다.<br />

카마노채플(Camano Chapel)과 협력해, 2013<br />

년 10월부터 아이티에서 아이들과 함께 ‘러브<br />

어 네이버’(Love A Neighbor) 사역을 해왔다.<br />

그러나 지난 12일 이들의 친척은 ‘러브 어<br />

네이버’ 페이스북에 성명을 내고 “질 돌란 부<br />

부와 입양 자녀 4명이 지난주 출국을 시도하<br />

다 갇혔다”며 “나의 조카 라이언과 그의 아내<br />

질은 입양 10대 자녀 4명을 위해 긴급 기도를<br />

요청했다. 그들은 무장 갱단이 아이티 수도의<br />

공항을 점거했을 때,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br />

치 북쪽에서 열린 친딸 사라의 결혼식에 참석<br />

하기 위해 가던 중이었다”고 말했다.<br />

이어 “그 이후로 아이티의 항공편이 취소됐<br />

2023년 7월, 미 국무부는 아이티에 대한 ‘4<br />

단계 여행 주의보’를 다시 발령하고, 납치, 범<br />

죄, 시민 불안, 열악한 의료 인프라 때문에 이<br />

지역 여행을 금지했다. 7월 27일 국무부는 모<br />

든 미국 시민과 비긴급 정부 직원에게 가능한<br />

한 빨리 떠날 것을 요청하고, 미국 공무원과 그<br />

가족에게 출국을 명했다.<br />

그 경고에도 불구하고 돌란 부부나 유명한<br />

작가 미치 앨봄 같은 선교사들은 현지 사역을<br />

지속해 왔다. 앨봄은 2010년부터 아이티에서<br />

‘Have Faith Haiti Mission & Orphanage’를<br />

운영하고 있다.<br />

디트로이트 프리프레스(Detroit Free Press)<br />

아이티의 질 돌란 선교사와 현지 아이들의 모습<br />

에 따르면, 앨봄은 최근 소요 사태가 발생했을<br />

당시 아이티에 있었으나 포르토프랭스에서 무<br />

사히 대피할 수 있었다.<br />

앨봄은 미시간주 리사 맥클레인 미 하원의<br />

원의 도움으로 12일 밤 구조된 후 성명을 통해<br />

“우리는 꽤 지쳤으나, 이틀 간의 협력 끝에 아<br />

내와 나를 포함한 ‘Have Faith Haiti Mission<br />

& Orphanage’ 단체는 한밤중 아이티의 한 현<br />

장에서 대피했다. 우리는 운 좋게 빠져나올 수<br />

있었다”고 했다.<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


가스펠 WORLD<br />

MAR<br />

22<br />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세계 160개국 기독교인 박해 경험 … ‘기록적 수준’<br />

미국의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br />

Center)가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br />

르면, 2021년에 세계 190개국 중<br />

160개국에서 기독교인들이 박해를<br />

경험했으며, 종교에 대한 정부의 규<br />

제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br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br />

르면, 퓨-템플런 글로벌 종교 미래<br />

프로젝트(Pew-Templeton Global<br />

Religious Futures)의 일환으로 이<br />

루어진 이 연구는 정부의 조치와 사<br />

회적 적대감이 모두 종교 단체에 대<br />

한 박해에 기여했다고 보고했다.<br />

종교에 대한 정부의 규제는 총 183<br />

개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으<br />

며, 이는 연구가 시작된 2007년 이후<br />

가장 높은 수치다.<br />

그중 기독교인들은 전 세계에서 가<br />

장 큰 종교 집단으로, 모욕적인 발언<br />

부터 신체적 폭력까지 다양한 형태<br />

의 괴롭힘을 당했다.<br />

연구 결과, 기독교인들은 160개국<br />

에서 정부에 의해 괴롭힘을 당했으<br />

며, 이는 전년도의 155개국보다 증가<br />

했다. 이러한 박해는 미묘한 형태의<br />

차별부터 명백한 폭력 및 억압 행위<br />

까지 다양했다.<br />

무슬림들은 2021년에 141개국에<br />

서 괴롭힘을 당했는데, 이는 2020년<br />

145개국보다 줄어들었다.<br />

유대인들은 2021년 91개국에서<br />

인도의 기독교 여성들의 기독교 박해에 반대하는 시위<br />

정부와 사회단체, 또는 개인으로부 및 유대인 유적지가 공격당한 사례<br />

터 괴롭힘을 당했으며, 이는 2020년 가 보고되었다.<br />

94개국보다 감소했다.<br />

91개 국가에서는 종교적 신념에<br />

그러나 유대인들은 세계 인구의 따른 개인에 대한 신체적 공격이 보<br />

0.2%임을 고려할 때, 종교 집단 중 고되었다. 특히 중동 및 북아프리카<br />

세 번째로 높은 박해를 받았다. 에서 이러한 공격이 흔했으며, 해당<br />

재산 피해, 사람에 대한 공격, 구금, 지역의 국가 중 75%가 이러한 사건<br />

강제추방 및 살인을 포함한 신체적 을 보고했다. 여기에는 예멘에서 수<br />

괴롭힘 측면에서는 137개국이 사례 니파의 모스크에 대한 미사일 공격<br />

를 보고했으며, 이 중 100개국에서 도 포함되었다.<br />

주요 가해자는 정부였다.<br />

종교적 신념과 관련된 구금은 77<br />

재산 피해는 가장 흔한 유형의 신 개국에서 보고되었으며, 중동 및 북<br />

체적 괴롭힘으로 보고되었으며, 105 아프리카 지역이 이러한 사건을 보<br />

개국에서 발생했다.<br />

고한 국가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br />

유럽은 종교와 관련된 재산 피해 스리랑카에서는 2019년 부활절 주<br />

를 보고한 국가의 비율이 가장 높았 일에 발생한 폭탄 테러와의 관련 혐<br />

으며, 프랑스에서는 21개의 모스크 의로 311명이 공식적인 기소 없이 구<br />

가 폐쇄되고, 폴란드에서는 가톨릭 금되어 있다.<br />

한편, 종교적 신념과 관행을 제한<br />

하는 국가 공무원의 법, 정책 및 규<br />

제는 전 세계적으로 최고조에 이르<br />

렀다.<br />

종교에 대한 정부의 전 세계 평균<br />

규제 수준은 2020년 2.8에서 2021년<br />

3.0으로 증가해 종교 활동에 대한 통<br />

제가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br />

그러나 종교와 관련된 사회적 적<br />

대감의 전 세계 평균 수준은 2020<br />

년 1.8에서 2021년 1.6으로 약간 감<br />

소했다.<br />

2021년에는 전체의 28%를 차지하<br />

는 55개국이 ‘높음’ 또는 ‘매우 높음’<br />

수준의 정부 규제를 경험했다. 이는<br />

2020년, 2019년, 2012년에 동일한<br />

수준에 이른 57개국(29%)에 비해 소<br />

폭 감소했다.<br />

하지만 감소를 보인 국가에 비해<br />

규제 지수가 증가한 국가가 더 많아<br />

져, 전체 국가의 평균 규제 점수는 증<br />

가했다고 연구는 밝혔다.<br />

이 연구는 또한 종교와 관련된 정<br />

부 조치의 이중성에 대해 주목했다.<br />

161개국의 정부는 종교 단체에 제<br />

한과 괴롭힘을 가하면서도, 종교 교<br />

육 및 종교 건물 유지를 위한 자금을<br />

지원했다고 보고했다.<br />

보고서는 이러한 상황이 모순적이<br />

라고 지적하며, 정부의 종교 단체에<br />

대한 정책 동기에 의문을 제기했다.<br />

英 복음주의 단체, 전 세계 성경 대학에 도서 1만 권 기부<br />

영국의 한 복음주의 단체가 전 세<br />

르면, 랭햄 파트너십 (Langham<br />

‘심각한 부족’이 글로벌 리더십 위기<br />

영국 및 아일랜드 랭햄의 개발 관<br />

계적인 신학 자원 격차를 줄이기 위<br />

Partnership)은 ‘세계 책의 날’을 맞아<br />

를 초래하고 학위 프로그램 개발을<br />

리자인 사이먼 파울즈는 “이제 그 어<br />

해 1만 권이 넘는 책을 기부할 계획<br />

‘성경 대학을 위한 도서’ 계획을 시<br />

막고 있다고 보고 이 계획을 추진 중<br />

느 때보다 우리는 매일 가난, 압박,<br />

이다.<br />

작했다.<br />

이다.<br />

박해에 직면하는 기독교 지도자들에<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br />

영국 크리스천투데이(CT)에 따<br />

이 단체는 전 세계 신학 자원의<br />

이에 따르면, 대다수 세계의 목회<br />

자들 중 80% 이상이 공식적인 훈련<br />

을 받지 못하고, 많은 대학 및 신학<br />

교 도서관에는 그들을 가르칠 충분<br />

한 자원이 없다.<br />

더 큰 문제는 서구 기독교인들이<br />

작성한 자료에 대한 ‘과도한 의존’<br />

이다.<br />

이 계획을 통해 성경 대학은 랭햄<br />

카탈로그에 있는 7,200권의 책 중 선<br />

택해 자체 핵심 도서관을 만들고 인<br />

증을 받을 수 있다.<br />

참여 대학은 물류와 배송을 포함해<br />

보조금 300파운드를 받게 된다.<br />

게 큰 잠재력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br />

조했다.<br />

이어 “모든 교회는 잘 훈련된 지도<br />

자를 가질 자격이 있으며, 랭햄은 모<br />

든 교회 지도자들이 강단에서 설교<br />

하기 전 비축된 도서관에 접근할 수<br />

있도록 보장하기를 원한다. 신학적으<br />

로 건전한 연구와 훈련의 기초는 과<br />

소평가될 수 없다”고 했다.<br />

키마 국제신학대학원(KIST) 학장<br />

인 로즈 체메메트 목사는 “KIST 전<br />

직원은 랭햄이 아프리카 교회에 제<br />

공한 책들에 대해 매우 감사하고 있<br />

다”고 말했다.


MAR 22 2024<br />

| 23<br />

‘예수 부인하라’ 거부한 기독 대학생, 신성모독죄로 기소<br />

파키스탄의 기독교 대학생인 18세<br />

의 애시빌 가우리(Ashbeel Ghauri)<br />

가 이슬람으로의 개종을 거부하자,<br />

전 동급생이 그를 신성모독죄로 고<br />

발했다고 미국 크리스천데일리인터<br />

내셔널(CDI)이 보도했다.<br />

가우리의 부친 바바르(Babar)는<br />

지난 6일 펀자브주 아톡시에 있는 자<br />

택에서 아들이 경찰에 의해 체포되<br />

었다고 밝혔다.<br />

사건의 발단은 두 달 전, 셰라즈 꾸<br />

리스탄(Sheraz Gulistan)이 왓츠앱<br />

채팅에서 종교 토론 중 애시빌이 이<br />

슬람을 모욕했다고 그를 고소하면서<br />

려갈 때마다 항상 이슬람 신앙에 관<br />

한 학문적 질문을 던졌다”며 “우리<br />

가족 모두는 파키스탄에 사는 기독<br />

교인으로서 종교 토론의 민감성을<br />

잘 알고 있으며, 자녀들에게 첫날부<br />

터 그런 논쟁에 휘말리지 말라고 가<br />

르쳐왔다”고 강조했다.<br />

바바르는 애쉬빌이 세 자녀 중<br />

장남이며, 가족의 더 나은 미래를<br />

위한 희망이라고 말했다. 바바르는<br />

“지금은 우리 가족, 특히 애쉬빌에<br />

게 매우 중요한 시기이지만 하나님<br />

은 이 시험을 통과하도록 우리를 인<br />

도하시며, 아들이 믿음으로 승리할<br />

시작되었다.<br />

것을 확신한다”며 “아내와 나는 3월<br />

파키스탄의 기독교 대학생 애시빌 가우리<br />

장로교 신자인 바바르는 “경찰이<br />

애시빌을 체포하러 왔을 때 우리는<br />

충격을 받았다”며 “아들은 이전에 셰<br />

라즈와 몇몇 다른 무슬림 동급생들<br />

이 그를 기독교에서 (이슬람교로) 개<br />

종하도록 압박했다는 사실을 우리에<br />

게 알리지 않았다”고 했다.<br />

신앙심이 깊은 기독교 신자인 애시<br />

빌은 대학에 입학했고, 전 동급생인<br />

꾸리스탄은 이슬람 신학교인 마드라<br />

사(madrasha)에 입학했다. 바바르는<br />

꾸리스탄을 비롯한 다른 무슬림들이<br />

아들을 개종시키기 위해 수차례 종<br />

교 토론을 벌였다고 증언했다.<br />

8일에 그를 감옥에서 만났다. 애시<br />

빌은 자신의 상태를 걱정하면서도,<br />

그리스도께서 자기를 버리지 않으<br />

실 줄 안다며 걱정하지 말라고 했<br />

다”고 밝혔다.<br />

꾸리스탄의 증언에 따라 작성된 최<br />

초 정보 보고서(FIR) 185/24호에 따<br />

르면, 지난 1월 애시빌은 왓츠앱 문<br />

자 메시지로 자신은 이슬람의 신 알<br />

라를 믿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기<br />

재되어 있다.<br />

애시빌의 법무 대리인 크리스천트<br />

루스피릿(CTS) 변호사 나팀 하산은<br />

“고소인은 또 문자 메시지에서 그가<br />

기독교 신앙은 이슬람의 가르침과<br />

반대로 네 번의 결혼을 허용하지 않<br />

는다고 말했을 뿐이다. 그가 전화 통<br />

화 중에 이슬람을 거짓 종교라고 말<br />

한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했다.<br />

하산에 따르면, 신성모독법 295-A<br />

항은 종교적 감정을 상하게 하는 것<br />

과 관련이 있으며, 최대 10년의 징역<br />

형이나 벌금 또는 둘 다로 처벌될 수<br />

있다.<br />

라호르에 본부를 둔 사회정의센<br />

터(CSJ)에 따르면, 2023년 파키스<br />

탄에서 최소 329명이 신성모독 혐<br />

베르파크툰크와주 32명, 발루치스탄<br />

주와 길기트발티스탄주가 각 1명이<br />

었다.<br />

2023년에는 펀자브주에서 4명, 카<br />

이베르파크툰크와, 발루치스탄, 아<br />

자드 잠무 카슈미르주에서 각각 1<br />

명 등 신성모독 혐의로 기소된 7명<br />

이 사법 절차를 거치지 않고 살해되<br />

었다.<br />

이 보고서에 따르면, 파키스탄은<br />

1987년부터 2023년까지 최소 2449<br />

명이 신성모독죄로 기소됐다.<br />

종교별로는 이슬람교도 1,279명<br />

바바르는 CDI-모닝스타뉴스에 무슬림 남성들에게 네 번의 결혼을 의로 기소됐다. 그중 247명은 이슬 (52%)가 가장 많았고, 아흐마디아<br />

“이전 동급생들은 애시빌이 기독교<br />

신앙을 포기하지 않자, 그의 학업 경<br />

험과 장래를 파괴하려고 거짓 신성<br />

모독 사건에 그를 연루시켰다”며 “애<br />

시빌은 이슬람에 대한 어떤 모욕적<br />

인 발언도 한 적이 없다고 단호히 부<br />

인했다”고 했다.<br />

또한 “그는 이런 대화에 억지로 끌<br />

허용하는 이슬람 개념에 의문을 제<br />

기했다고 주장했다”고 했다.<br />

하산은 CDI-모닝스타뉴스에 “그<br />

후 고소인은 왓츠앱 통화에서 애시<br />

빌이 이슬람은 거짓 종교이며, 그 가<br />

르침도 거짓이라고 말했다고 주장했<br />

다”며 “애시빌은 단지 자신이 성경의<br />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했으며, 그의<br />

람교도, 65명은 아흐마디아교도, 11<br />

명은 기독교도이며, 한 명은 힌두교<br />

도, 나머지 5명의 종교는 알려지지<br />

않았다.<br />

CSJ 보고서에 따르면, 신성모독 혐<br />

의로 기소된 사람은 펀자브주가 179<br />

명으로 가장 많았고, 신드주 79명, 아<br />

자드잠무 및 카슈미르주 37명, 카이<br />

교도 782명(32%), 기독교도 291명<br />

(12%), 힌두교도 45명(2%) 순이었<br />

으며, 기타 종교(2%)는 확인되지 않<br />

았다.<br />

파키스탄은 2024년 오픈도어선<br />

교회(Open Doors)의 세계감시목록<br />

(WWL)에서 최악의 박해 국가 중 7위<br />

에 올랐으며, 이는 전년과 동일하다.<br />

가스펠 WORLD<br />

우크라이나 침례교 목사 가족, 러 드론 공격에 사망<br />

우크라이나 남부 오데사 주에서 러시아군<br />

이들은 당시 자신들의 아파트에 있었으며,<br />

이 드론 공격은 안나와 티머시를 포함한<br />

의 드론 공격으로, 침례교 목사의 딸과 손<br />

자를 포함한 12명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br />

했다.<br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주거<br />

용 건물을 겨냥한 이번 공격으로 20명이 부상<br />

을 입었으며, 그중 일부는 위독한 상태이다.<br />

오데사 주는 러시아의 공격을 자주 받는 도<br />

시로, 특히 지난 2일 드론의 공격이 치명적<br />

이었다.<br />

이 공격으로 인한 희생자 중에는 독립 침례<br />

교회 목사인 니콜라이 시다크(Nikolai Sidak)<br />

의 딸 안나(Anna)와 그녀의 어린 아들 티머시<br />

(Timothy)도 포함되었다.<br />

현장에서 즉사했다.<br />

뱁티스트 스탠더드에 따르면, 안나의 남편<br />

세르히 하이다르지(Serhiy Haidarzh)와 그들<br />

의 딸 리자(Liza)는 다른 방에 있었으며, 이 공<br />

격에서 생존했다.<br />

이 사건은 안나와 티머시가 잠자고 있던 때<br />

에 발생했으며, 세르히와 리자는 집과 분리된<br />

공간에 있었다.<br />

우크라이나 복음주의침례교연맹(Evangelical<br />

Baptist Union) 부회장 이고르 반두라(Igor<br />

Bandura)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다음 날인 3<br />

일 오후 4시경 구조 대원들에 의해 안나와 티<br />

머시의 시신이 발견되었다.<br />

5명의 어린이의 목숨을 앗아갔으며, 이 어<br />

린이들의 나이는 8개월부터 9세까지 다양<br />

했다.<br />

하이다르지는 추도식에서 “아내와 아들이<br />

고통을 겪었을까 걱정되었지만, 의사들은 그<br />

들이 잠자는 동안 숨졌다고 말했다”며 “그들<br />

은 잠들었던 자세 그대로 발견되었고, 함께<br />

있었다”고 증언했다.<br />

또한 이 공격으로 우크라이나 군대에 복무<br />

중이던 테티야나(Tetyana)와 올레 크라베츠<br />

(Oleh Kravets) 부부와 그들의 세 자녀도 사<br />

망했다. 수색 작업은 이 가족의 시신을 수습<br />

한 뒤 종결되었다.<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


24 |<br />

MAR 22 2024<br />

가스펠 WORLD<br />

쿠바, 지난해 622건 종교자유 탄압 … 2년전보다 2배 이상 ↑<br />

2021년 7월 시위 이후 쿠바에서 종<br />

교 자유에 대한 탄압이 계속되고 있<br />

으며, 지난해에만 622건의 종교 자유<br />

침해 사례가 보고됐다.<br />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br />

면, 영국의 기독교 박해 감시단체 ‘<br />

세계기독연대’(Christian Solidarity<br />

Worldwide, CSW)가 발표한 보고서<br />

에서 쿠바는 2022년에 657건의 종교<br />

자유 침해 사례가 발생했으며 2021<br />

년에 비해 상당한 증가세를 보였다.<br />

2021년에는 272건의 사례가 기록되<br />

었다.<br />

CSW의 2024년 3월 보고서 ‘억압<br />

과 저항 - 강경 전술로의 회귀’는 쿠<br />

바 내에서 종교 지도자 및 신자들에<br />

쿠바 국기<br />

게 영향을 미친 억압적인 입법과 체<br />

계적인 인권 침해 사례를 강조했다.<br />

이 보고서에는 개신교, 천주교를 비<br />

롯해 아프리카계 쿠바 단체 및 여호<br />

와의 증인 등 다양한 종교 단체가 포<br />

함되었다.<br />

쿠바의 공산주의 정부는 2021년 7<br />

월 11일 시위 이후 종교 단체 및 지<br />

도자들을 겨냥하여 점점 더 억압적인<br />

입법을 강화해왔다.<br />

이로 인해 등록된 종교 단체와 미<br />

등록 종교 단체 모두가 침입적인 감<br />

시, 반복된 심문 및 종교 활동 억제 조<br />

치에 직면하고 있다.<br />

보고서는 “정부는 특히 정치범 가<br />

족에게 정신적 또는 물질적 지원을<br />

제공한 종교 지도자들과 개인을 표<br />

적으로 삼는 데 집중했다”며 “많은<br />

지역에서 점점 더 심각해진 인도적<br />

필요에 대응하려고 한 종교 지도자<br />

들과 신자들은 괴롭힘을 당하고, 벌<br />

금을 부과 받았으며, 자주 배급하려<br />

고 했던 구호품을 압수당했다”고 설<br />

명했다.<br />

또한 보고서는 쿠바 정부가 종교<br />

지도자들에게 정치범의 가족을 단체<br />

에서 추방하라는 압력을 가한 사례를<br />

지목했다. 정치범들은 종교적 방문이<br />

나 종교 자료를 받을 권리를 박탈당<br />

하거나, 그들의 자녀들은 종교적 신<br />

념 때문에 학교에서 언어폭력을 당한<br />

사례도 있다. 또한 미등록된 종교 단<br />

체의 지도자들은 괴롭힘과 위협 및<br />

벌금에 직면했다.<br />

보고서는 “정부에 의해 반체제 인<br />

사로 내몰린 사람들은 종교 예배 참<br />

석을 반복적이고 체계적으로 차단당<br />

했으며, 보통 단기임의구금을 통해<br />

이루어졌다”며 “이민 물결은 줄어들<br />

기미가 없으며, 쿠바를 떠난 많은 사<br />

람들은 구금 위협과 국가로 인한 자<br />

녀 양육권 상실을 이유로 꼽았다”고<br />

밝혔다.<br />

국제 종교 박해 감시 단체 ‘오픈도<br />

어스’(Open Doors)에 따르면, 쿠바<br />

에서는 정부가 기독교인에 대한 일차<br />

적인 박해자로, 쿠바 공산당은 기독<br />

교 신앙을 포함한 어떤 잠재적인 경<br />

쟁자도 위협으로 간주한다. 특히 인<br />

권 침해나 정치적 부패를 비판하는<br />

교회 지도자나 신자들은 심문, 구금,<br />

명예 훼손, 투옥의 위험에 노출되어<br />

있다.<br />

쿠바에서 교회들은 합법적으로 운<br />

영하려면 등록을 해야 한다. 그러나<br />

정부는 이러한 신청을 거부하거나 무<br />

시하여 교회를 불법으로 간주하고, 벌<br />

금이나 재산 몰수와 같은 처벌 또는<br />

폐쇄로 위협할 수 있다. 심지어 등록<br />

된 교회조차도 체제를 지지하지 않거<br />

나, 국가 안전을 위협한다고 여겨지는<br />

경우 정부에 의해 감시를 받는다.<br />

CSW에 따르면, 쿠바 정부는 2022<br />

년에 종교 기관 및 친목 단체 관심<br />

부서를 신설했다. 그러나 종교 지도<br />

자들은 CSW에 “대부분의 업무가 쿠<br />

바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종교 사무국<br />

(ORA)에서 계속 처리되고 있으며, 이<br />

는 종교 단체들과 지속적으로 적대적<br />

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br />

유대 사막에서 히브리어 문자 새겨진 희귀한 2세기 시대 동전 발견돼<br />

최근 유대 사막에서 AD 2세기 시대 동전 묶<br />

이어 “동전의 앞면에는 대추야자가 새겨져<br />

는 정복되었다. 이 전설은 하모다이의 중요성<br />

음이 발견됐으며 그 중 하나에는 고대 히브리<br />

있고 고대 히브리 문자로 ‘제사장 엘르아자르’<br />

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br />

문자로 ‘제사장 엘르아자르’라는 이름이 새겨<br />

가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고대 히브리어로 ‘이<br />

클라인 부국장은 그의 이름이 고대 히브리어<br />

져 있었다고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가 보도<br />

스라엘 구원의 원년’이라는 문구가 포도송이로<br />

문자로 새겨져 있었는데, 반란 당시 사용이 중<br />

했다.<br />

둘러싸여 있다”라고 했다.<br />

단되었다고 덧붙였다.<br />

히브리 문자가 새겨진 동전은 ‘Mazuq Ha-<br />

숨겨진 보물이 약탈자들의 손에 넘어가지 않<br />

그는 “이러한 시대착오적 태도는 의도적인<br />

he’teqim’ 자연 보호 구역에서 발견되었으며<br />

도록 보호하는 임무를 담당한 IAA 도난 방지<br />

것이었다”라며 “바르 코흐바 반군은 자신들의<br />

유대 민족이 로마 제국에 맞서 봉기했던 바르<br />

부서 부국장인 에이탄 클라인은 “동굴이 발굴<br />

뿌리와의 연관성을 보여주기 위해 의도적으로<br />

코크바 반란(AD 132)의 첫 해로 거슬러 올라<br />

된 지 약 20년 후인 지난달 동전이 발견되었<br />

첫 번째 성전 시대부터 고대 히브리어 문자를<br />

간다. 3월 4일 이스라엘 고대유물청(IAA) 발표<br />

다”고 이스라엘 현지언론인 하레츠에 말했다.<br />

주화에 새겼다”라고 했다.<br />

에 따르면, 이 반란과 관련된 ‘시므온’이라는 이<br />

클라인 부국장은 “동굴은 사해 서쪽에 길게<br />

그는 “그들은 유대인과 유대인 왕국의 연속<br />

름의 동전 3개가 더 있었다고 한다.<br />

늘어선 절벽인 Matzok Hahe’etekim에 있다.<br />

성을 보여주기 위해 첫 번째 성전 당시 사용<br />

T e x a s C h r i s t i a n N e w s<br />

IAA가 문화유산부 및 유대 및 사마리아 군<br />

정 고고학 사무소와 협력하는 동안 동전이 발<br />

굴됐다.<br />

제사장 엘르아자르의 신원은 미스터리이며<br />

랍비 요하난 벤 자카비의 제자인 아키바 시대<br />

의 타나익 랍비인 랍비 엘르아자르 하모다이라<br />

는 설이 제기됐다.<br />

IAA는 “랍비 엘르아자르 하모다이는 바르<br />

코크바 반란시 중요한 종교적 역할을 한 것으<br />

로 보이며 그는 반란 본부가 있는 베이타르 마<br />

을에 살고 있었다. 탈무드는 그가 베이타르에<br />

서 반란 중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기록하고<br />

있다”고 전했다.<br />

당시 고고학자들은 그 동굴에서 다양한 물건<br />

을 발견했다”라며 “여기에는 유대인 반군이 로<br />

마 군인에게서 훔치거나 다른 방법으로 얻은<br />

것으로 추정되는 로마 투창도 포함되어 있다”<br />

라고 했다.<br />

클라인 부국장은 하레츠에 “제사장 엘르아<br />

자르가 누구인지에 대해 사실이 아닐 수 있는<br />

많은 전설을 포함하여 많은 불확실성이 있다”<br />

고 말했다.<br />

클라인 부국장은 “엘르아자르 제사장은 바<br />

르 코크바 주 반란의 수도인 베이타르에 살았<br />

다. 그가 기도하는 한 베이타르를 정복할 수 없<br />

다고 했다. 그가 (기도를) 멈췄을 때 베이타르<br />

된 고대 히브리어 문자를 의도적으로 사용했<br />

다. 바르 코크바와 다윗과 솔로몬 왕국 사이의<br />

연관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라고 했다.<br />

AD 2세기 시대 동전


26<br />

MAR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주님 안에 내가<br />

내 안에 주님이<br />

CCM<br />

1.<br />

2.<br />

3.<br />

4.<br />

5.<br />

6<br />

7<br />

8.<br />

9.<br />

10.<br />

Holy forever - Bethel Music<br />

Nineveh (Live) - Brooke Ligertwood<br />

Hosanna - Hillsong United(힐송 유나이티드)<br />

whole Heart (Hold Me Now) (Live) - Hillsong United(힐송 유나이티드)<br />

What A Beautiful Name - Hillsong Worship(힐송 워십)<br />

O Praise the Name (anástasis) (Live) - 어노인팅(Anointing)<br />

Keep On (Live) - Hillsong Young & Free(힐송 영 앤 프리)<br />

Send Me (feat. Chris Quilala) - Jenn Johnson<br />

Worthy - Elevation Worship(엘레베이션 워십)<br />

Agnus Dei (Live) - Michael W. Smith(마이클 W. 스미스)<br />

<strong>TCN</strong> 추천 앨범<br />

정직 - 신형재<br />

감정, 생각, 오감으로 느껴지는 모든 결과들이<br />

주님 앞에 정직하게 드려질 수 있을까.<br />

이번 앨번에는 정직이란 무엇일지에 대한 깊은 사려가 담겨있다.<br />

정직하게 주님 앞에 모든 것을 내놓기를 원하는 모든 이들에게<br />

이 앨범의 이야기가 잘 전달이 되기를 바라며.<br />

출처= 멜론


texaschristiannews.com<br />

불후의 찬양<br />

MAR<br />

27<br />

22 2024<br />

프란시스 하버잘의 “내 너를 위하여”<br />

사랑은 희생을 통해 증명된다.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죽으심으로 자기의 사랑을 영원토록 확증하셨다(롬5:8). 오늘 우리는 주님을 위해 무엇을 희생할 수 있는<br />

가? 찬송가 ‘내 너를 위하여’를 작사한 영국의 시인이자 찬송작가 프란시스 하버잘의 이야기를 통해 이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다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br />

몸이 아주 허약한 아가씨가 한 미술관에 앉아있었다.<br />

22세가 된 영국인 프란시스 하버잘(Frances Havergal)이었다. 하<br />

버잘은 1858년 아버지의 권유로 학교를 쉬며 여행하던 중 친구 집을<br />

방문하기 위해 독일 뒤셀도르프에 머물고 있었다.<br />

미술관을 둘러보다 곧 피곤을 느낀 그녀는 우연히 십자가에 달려있<br />

는 예수님이 그려진 그림 앞에 앉아 쉬게 됐다.<br />

그림에는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라는 제목이 붙어 있었<br />

다. 이 말은 빌라도가 가시 면류관을 쓰신 예수님을 가리켜서 유대인<br />

들에게 한 말이다(요 19:5).<br />

그리고 그림 밑에는 “나는 널 위해 이 일을 행하였거늘 너는 날 위<br />

해 무엇을 하였느냐?라는 글귀가 쓰여 있었다.<br />

이 그림이 하버잘에게 던진 질문은 이전에 느낄 수 없었던 큰 충격<br />

과 감동으로 다가왔다. 그림을 통해 영감을 받은 하버잘은 떠오르는<br />

대로 몇 줄의 시를 썼다.<br />

그날 밤 묵고 있는 집으로 돌아온 하버잘은 시를 꺼내 곰곰이 읽<br />

어보았다. 몇 번을 되새겨도 미술관에서 느꼈던 감정이 생겨나지 않<br />

았다.<br />

그래서 그녀는 형편없는 시를 썼다고 생각하고, 메모지를 구겨 벽난<br />

로 속으로 던져버렸다.<br />

그 순간 별안간 굴뚝에서 바람이 거꾸로 불더니 시가 적힌 종이가<br />

다시 난로 밖으로 튀어나왔다.<br />

이것은 분명한 하나님의 뜻이라고 믿으며 구겨진 종이를 폈다.<br />

이후 영국으로 돌아온 그녀는 목회자이자 음악가인 아버지 윌리엄<br />

하버잘 목사에게 그 시를 보여주었다. 아버지는 좋은 시라고 칭찬하<br />

며 딸에게 4절까지 완성해 보라고 격려했다.<br />

이렇게 하여 찬송 “내 너를 위하여(I Gave My Life for Thee)”<br />

가 탄생됐다.<br />

이 찬송은 우리가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내용이 아닌, 예수님<br />

께서 우리에게 질문을 하시는 독특한 구성의 찬송이다.<br />

예수님은 모든 영광을 버리시고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육신<br />

의 몸을 입고 이 세상에 오셨다.<br />

죄 많은 우리들이 죄 없으신 예수님을 조롱하고 십자가에 못<br />

박았다.<br />

죽음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은 오늘도 우리에게 물으신다.<br />

“나는 널 위해 이 일을 행하였거늘 너는 날 위해 무엇을 하<br />

였느냐?”<br />

“내 너를 위하여 몸 버려 피 흘려 네 죄를 속하여 살길을 주<br />

었다 널 위해 몸을 주건만 너 무엇 주느냐 널 위해 몸을 주건<br />

만 너 무엇 주느냐” (I gave my life for thee, My precious<br />

blood I shed, That thou might’st ransomed be, And<br />

quickened from the dead. I gave, I gave my life for<br />

thee, What hast thou given for Me? I gave, I gave my<br />

life for thee, What hast thou given for Me?)”<br />

김영도 기자c<strong>TCN</strong>


28<br />

MAR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CEF 국제 총재 조정환<br />

어린이전도협(Child Evangelism Fellowship, CEF) 국제총재로 사역하고 았는 조정환 목사<br />

숨기지 않고 전하리라!<br />

인류가 하나님과 단절되는 것은 단 한<br />

세대에 달려 있습니다.<br />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건국하시면서<br />

이와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나에게 백성을<br />

모으라 내가 그들에 게 내 말을 들려주어 그들<br />

이 세상에 사는 날 동안 나를 경외함을 배우게<br />

하며 그 자녀에게 가르치게 하리라.’(신4:10).<br />

하나님은 대를 이어서 그 다음 세대들이<br />

하나님을 경외하는 개인, 가정, 그리고 국<br />

가가 되기를 원하셨습니다. 그러나 안타깝<br />

게도 이스라엘 역사에서 그 다음세대가 하<br />

나님을 알지 못했다는 말씀은 끊임없이 반<br />

복되고 마침내 약속의 땅에서 이방인들의<br />

종이되고 급기야 나라를 잃고 전 세계로<br />

뿔뿔히 흩어져 버리게 되었습니다.<br />

아삽은 다윗시대 찬양대 지휘자였는데<br />

다음세대를 향한 하나님의 명령을 간과함<br />

으로 인해 생긴 국가 적인 문제점을 파악<br />

하고 그의 지휘봉을 내려 놓고 선지자처럼<br />

백성들 앞에 서서 불을 뿜듯이 시편 78 편<br />

에서 다음세대를 향한 기성세대의 책임을<br />

지적하며 새롭게 헌신하기를 외치고 있습<br />

니다. “우리가 이를 그들의 자손에게 숨기지 아<br />

✿ 함께 기도해 주세요!<br />

니하고 여호와의 영예와 그의 능력과 그가 행 저주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후일에 이스<br />

하신 기이한 사적을 수 대에 전하리로다.” (시 라엘과 같은 비극적인 결과를 맞이하고 이<br />

78:4)<br />

런 고백을 할 것이 아니라 오늘 바로 이 생<br />

하나님은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세대까 명의 복음을 열방의 어린이들에게 증거하<br />

지 하나님을 경외하고 대대손손 하나님을 여 그들이 그 소망을 하나님께 두고 완고<br />

경외하는 사람으로 만들어 온 땅에 하나 하고 패역한 그 부모 세대들과 같이도지<br />

님을 경외하는 사람들로 가득차기를 기대 아니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br />

하십니다.<br />

2023년 한 해 동안 전세계 어린이 선교<br />

만약 현 세대가 다음 세대에게 그리스 를 위해 서 동역해 주신 여러 동역자님들<br />

도의 복음을 증거하지 않으면 그 다음 세 과 교회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올 2024<br />

대는 영원히 복음과 단절 될 것입니다. 이 년에는 새로운 사역자 450명을 세워서 전<br />

미 유럽과 미국을 통해서 이와 같은 사실 세계에서 3,200만 명의 어린이들에게 복음<br />

이 역사적으로 입증되었고, 한국에도 이미 을 증거할 것입니다.<br />

많은 교회와 성도의 가정에 임하고 있는 주님의 복음이 결코 다음세대에 숨겨지<br />

현실입니다.<br />

지 않고 밝히 드러낼 수 있도록 함께 해 주<br />

하나님 없이 이 땅에서 누리는 부요는 시기를 부탁드립니다.<br />

1. 2023년에 맡겨주신 국제총재로써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게 하신 주님을 찬양합니다.<br />

2. 2024년에 3,200만 명의 어린이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450명의 새로운 사역자를 세우며 그들을 위해서 필요한 모든 재정을<br />

공급해 주소서.<br />

3. 북아일랜드, 멕시코, 북미/케르비안지역대회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능력있게 전하게 하시고 거룩한 부흥을 경험할 수 있게 하<br />

소서.<br />

4. 열방기도센터를 위해 필요한 재정 3,000만원을 허락해 주소서.<br />

5. 전세계 지역대표들과 국가 대표들이 올해 하 나님의 위대한 꿈과 비전을 가슴에 품고 더 위대 한 역사를 일으키는데 쓰임받<br />

게 하소서.<br />

6. M국의 사역자 Z형제가 뇌종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현지에서는 수술이 불가능하여 한 국에서 수술하려고합니다. 보험<br />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어서 수술비와기타 비용이 약 6,000 만 원이 예상됩니다. 수술에 필요한 재정 6,000 만원이 잘 준비되어<br />

속히 한국으로 와서 수술을 받고 완케되어 사역에 전념할 수 있게 하소서.


29<br />

MAR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환락의 길에 들어서지 마라<br />

“그의 발은 사지로 내려가며 그의 걸음은 스올로 나아가나니”(잠5:5)<br />

5절 말씀을 메시지 성경(Message Bible)에서는 이렇게 번<br />

역하였습니다.<br />

“그 여자는 환락의 꽃길을 따라 춤추며 죽음으로 내려가고<br />

지옥으로 가는 그 길을 너와 함께 할 것이다”(She’s dancing<br />

down the primrose path to Death, she’s headed straight<br />

for Hell and taking you with her.)<br />

성적 타락은 기본적으로 창조질서를 거역하고 파괴하는 것<br />

에서부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또한 창조주 하나님께서는 인<br />

간의 종교적 타락상을 보면서 인간을 “그 정욕에 방임‘( 放 任 ),<br />

즉 인간의 육체의 욕망이 발동하는 대로 그냥 버리심으로 인<br />

하여 더욱 깊은 수렁에 빠졌다 할 수 있습니다.<br />

하여간 육체의 정욕( 情 慾 )이라는 것은 ’타락한 인간의 본성<br />

속에 있는 세속적인 강렬한 욕망‘을 가리킵니다. 그 성적 욕망<br />

에는 ”마음의 정욕“(롬1:24)과 ”육체의 정욕“(벧후2:18), 그리<br />

고 ”안목의 정욕“(요일2:16)이 있습니다.<br />

마음과 생각 속에 음란한 상상을 하기 시작하면 온갖 추잡<br />

한 생각과 행동이 일어나고, 그것이 육체의 욕망을 발동시키<br />

는 것입니다. 또한 육체의 욕망이 발동하기 시작하면 마음속<br />

에 오만가지 잡다한 상상과 함께 그것을 추구하고자 하는 열<br />

망이 일어나는 것입니다.<br />

제일 많이 일어나는 현상은 성적 유혹의 현장이나 그림이<br />

나 영상을 보게 되면 ‘안목의 정욕’이 발동하고, 연이어 마음<br />

과 육체의 욕망이 들끓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세상<br />

의 타락한 성적 문화는 우리 인간들을 성적 범죄에 빠져들어<br />

가게 만드는 것입니다.<br />

중요한 것은, 오늘 말씀처럼 음란을 추구하는 것이 사망으<br />

로 내려가게 하고, 지옥으로 끌고 간다는 사실입니다. 성경이<br />

지적한 것처럼 인간의 육체는 마치 나귀와 같고 그 정욕은 말<br />

과 같습니다(겔23:20). 그래서 그 육체의 욕망이 발동하면 “<br />

들 암나귀가 성욕이 동하여 헐떡거림과 같아”(렘2:24) 인간으<br />

로 인격과 이성을 잃어버리고 날뛰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것<br />

이 자신을 죽음의 자리로, 지옥으로 끌고 가는 데도 춤추며 간<br />

다는 것입니다.<br />

특히 여기 “환락의 꽃길”(the primrose path)이라는 표현이<br />

재미있습니다. 환락의 생활, 성적 쾌락의 길이 사망으로 가는<br />

길임에도 불구하고 희희낙락거리며 춤추면서 서서히 그 길로<br />

내려가고 있다는 것입니다.<br />

오늘도 젊은이들은 젊은이대로 온갖 성적 쾌락의 문화에 빠<br />

져서 흥청망청하고 있으며, 나이든 사람들은 나이 먹은 대로<br />

온갖 음탕한 것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중<br />

요한 것은 음탕한 여인들은 혼자서만 지옥을 향하여 가지 않<br />

고 유혹한 남자들의 목줄을 잡고 함께 지옥을 향하여 내려가<br />

고 있다는 것입니다.<br />

우리는 생명의 길, 좁은 길, 거룩한 길을 걸어가야 할 사람<br />

들입니다.<br />

“주여! 주님 가신 거룩한 길, 사명의 발자취를 따라가게 하<br />

옵소서. 세속적 타락 문화에 오염되지 않게 하옵소서.”


30 |<br />

칼럼<br />

MAR 22 2024<br />

배경과 더불어 읽는 성경(23)<br />

단 한 번의 왕 대접<br />

최승민 목사<br />

현 플라워마운드 교회 동역 목사<br />

종려주일에 예루살렘에<br />

입성하는 예수님의 모습은<br />

영락없는 왕의 모습이었습니다.<br />

사람들도 예수님을 다윗의 자손,<br />

즉 왕으로 고백했습니다.<br />

이번 주는 종려주일(Palm Sunday)로 지키는 주일입<br />

니다. 종려주일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죽임을 당하시<br />

기 위해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것을 기념하는 주일입니다.<br />

예수님은 이전에도 유대인의 절기를 따라 예루살렘에 들<br />

르셨지만, 죽임을 당하시기 위해 예루살렘에 가실 때에는<br />

평소와는 다른 특별한 모습으로 들어가셨습니다. 마가복<br />

음에서는 예수님과 제자들이 예루살렘 가까이 이르러 감<br />

람산 벳바게와 베다니에 이르렀을 때부터 특별한 입성을<br />

준비했다고 합니다. 제자 중 둘을 보내시며 맞은편 마을<br />

로 가서 아무도 타 보지 않은 나귀 새끼를 풀어오라고 말<br />

씀하셨던 것이지요(막 11:1-2). 이는 스가랴서의 예언<br />

을 이루시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스가랴 예언자는 예루살<br />

렘의 왕이 예루살렘에 임하실 때, 어떠한 모습으로 임하<br />

시게 될지를 예언하며 “그는 공의로우시며 구원을 베푸<br />

시며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시나니 나귀의 작은 것 곧 나<br />

귀 새끼니라(슥 9:9)”고 했습니다. 이 예언대로 왕이신<br />

예수님께서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들어가십니다.<br />

구약에 예언된 왕의 모습으로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br />

예수님의 모습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자기의 겉옷을 길에<br />

펴고, 들에서 벤 나뭇가지를 길에 폈습니다. 메시아를 고<br />

대하던 당시 예루살렘 주변의 유대인들에게 왕으로서 오<br />

시는 스가랴의 예언은 잘 알려진 것이었기에 겸손한 왕<br />

의 모습으로 작은 나귀 새끼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가시<br />

는 예수님의 모습을 보고 제왕적 메시아를 찬송한 것이<br />

지요. 요한복음에서는 사람들이 길에 편 ‘들에서 벤 나뭇<br />

가지’를 더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그냥 아무 들에서나 쉽<br />

게 구할 수 있는 나뭇가지가 아니라 “종려나무 가지”였<br />

다고 합니다(요 12:13). 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사람들<br />

이 예수님을 환영했기에 이날을 종려주일이라는 이름으<br />

로 기념합니다.<br />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다른 나뭇가지가 아니라 종려나<br />

무 가지를 가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예수님을 환영<br />

했을까요? 당시 예루살렘에는 평소보다 많은 사람들이<br />

있었을 것입니다. 구약의 율법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모<br />

든 성인은 1년에 세 차례 반드시 성전에 나아가 하나님<br />

을 뵈어야 했습니다(신 16:1-17). 절기 때마다 예루살<br />

렘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여 북새통을 이루는 것<br />

은 낯선 풍경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 역시 유월절에 죽<br />

임을 당하시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향하시는 길이었습니<br />

다. 그토록 붐비던 때에 예루살렘으로 들어가시는 예수<br />

님의 입성에 많은 사람들이 나아와 자기 겉옷을 펴고 종<br />

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예수님을 찬양한 것이지요. 그들<br />

은 종려나무 가지를 어디에서 얻었을까요? 예루살렘 및<br />

감람산 주변 지역에서 종려나무는 쉽게 볼 수 있는 나무<br />

가 아니었습니다. 종려나무가 자랄 수 있는 토양이 아니<br />

기 때문입니다. 종려나무가 잘 자라는 곳은 구약에서 여<br />

러 차례 종려나무 성읍이라고 불리는 여리고였습니다(신<br />

34:3; 삿 1:16; 대하 28:15).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br />

는 나무의 가지를 잘라서 흔들며 예수님을 맞은 것이 아<br />

니었다는 것이지요.<br />

종려나무가 가지는 특별한 의미가 있었습니다. 우리 문<br />

화권에서 대나무 하면, 많은 사람들이 반듯하고 올곧은<br />

이미지를 떠올립니다. 대쪽 같다는 표현이 여기에서 나온<br />

것이지요. 대나무는 쪼갠 조각조차도 반듯하기에 성미와<br />

절개가 곧은 사람을 지칭하는 표현입니다. 우리가 대나무<br />

에 대해 가지는 이러한 이미지들을 고대의 이스라엘 백성<br />

들은 종려나무에 대해 가졌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br />

들은 새로운 왕이 취임할 때,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그<br />

들을 맞았습니다. 새로운 왕으로 취임하는 자가 하나님께<br />

서 세우신 의로운 왕으로서 의롭게 통치해 주기를 바라는<br />

마음을 담은 것이었습니다. 왕이 하나님의 의에 입각하<br />

여 정의롭게 통치하고 하나님 앞에서 의로움을 지킨다면<br />

그가 다스리는 나라 역시 평안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br />

이었습니다. 성경을 통해서는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br />

입성 하실 때, 사람들이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맞은 사<br />

건 한 번만 볼 수 있지만, 요세푸스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br />

마카비 가문이 예루살렘에 입성할 때, 그리고 헤롯 대왕<br />

(Herod the Great)이 예루살렘으로 입성할 때 역시 사<br />

람들이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맞았다고 합니다.<br />

예수님께서 작은 나귀 새끼를 타고 가시고, 사람들은<br />

손에 종려나무 가지를 들고 환호합니다. 여러 사람이 예<br />

수님을 향해서 외치는 소리의 내용은 “호산나 다윗의 자<br />

손이여 찬송하리로다(마 21:9)”였습니다. 다윗의 자손<br />

인 예수님의 혈통을 언급하며 찬송한 것이지요. 종려주<br />

일에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예수님의 모습은 영락없는 왕<br />

의 모습이었습니다. 사람들도 예수님을 다윗의 자손, 즉<br />

왕으로 고백했습니다.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종려주일에<br />

관한 내용을 읽는다면 굉장히 가슴을 졸이게 됩니다. 정<br />

치적 쿠데타를 일으키기 직전의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이<br />

장면을 본 당시 유대의 종교 지도자들과 권세자들은 예<br />

수님을 가만히 두면 안되겠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예<br />

수님은 종의 모습으로 사시다가 단 한 번 왕의 모습을 하<br />

시고 왕으로 대접을 받습니다. 죽임을 당하시기 위한 때<br />

에 그 죽음으로 한 걸음 더 가기 위하여 왕으로 대접을 받<br />

으신 것이지요. 종려주일은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br />

뻐하는 절기가 아닙니다. 평생을 종의 모습으로 섬기며<br />

살아오신 예수님께서 죽임을 당하시기 위하여 왕의 대<br />

접을 받으신 것을 기억하는 날이 되어야 합니다. 종려주<br />

일을 보내며 예수님의 마음을 품는 그리스도인 되시기를<br />

축복합니다.


31<br />

MAR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사십(forty)<br />

성경에 40일, 40년이라는 기간이 나옵니다.<br />

노아 때 40일 동안 비가 내려 홍수가 났습니다.(창 7:17) 이스<br />

라엘이 악행을 저질러 블레셋 사람들 손에 40년 동안 넘어갔습<br />

니다.(삿 13:1)<br />

솔로몬은 예루살렘에서 40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습니다.(<br />

왕상 11:42) 선지자 요나는 니느웨 사람들에게 회개할 시간이 40<br />

일 있다고 경고했습니다.(욘 3:4)<br />

예수께서는 부활 후 40일 동안 사도들에게 말씀을 더 전하셨<br />

습니다.(행 1:3)<br />

신약성경 원전은 사십을 그리스어 ‘테사라콘타’로 썼습니다.<br />

테사레스(넷)에 데카(열)의 다른 형태인 콘타가 합쳐졌습니다.<br />

구약성경에는 히브리어 아르바임(마흔)을 썼는데 아르바(넷)에<br />

서 유래했습니다.<br />

영어 포티(forty·마흔)는 텐(ten·열)의 4배수라는 뜻입니다. 포<br />

티 윙크스(winks·눈깜박임)는 짧은 잠이라는 뜻으로 씁니다.<br />

예수께서 시험받으신 이야기는 마태 마가 누가복음에서 조금씩<br />

다르지만 그 기간이 40일이었음을 전합니다.<br />

“예수께서 밤낮 사십 일을 금식하시니, 시장하셨다. 그런데 시<br />

험하는 자가 와서, 예수께 말하였다.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거든,<br />

이 돌들에게 빵이 되라고 말해 보아라.’ 예수께서 대답하셨다. ‘성<br />

경에 기록하기를 사람이 빵으로만 살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입에<br />

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다’ 하였다.”(마 4:2~4, 새번역)


32 |<br />

칼럼<br />

MAR 22 2024<br />

His LIFE<br />

하나님 나라를 아십니까?<br />

하나님 나라에 대한 잘못된 생각과<br />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br />

결코 하나님 나라에 들어 갈 수 없습니다.<br />

감리교의 창시자인 요한 웨슬레가 어느 날 천국에 간<br />

꿈을 꾸었는데, 천국에 올라가니, 천사가 천국 문을 지<br />

키고 있었다고 합니다. 웨슬리는 천사에게 다가가 “천<br />

국에 들어온 사람 중에 감리교인은 몇 명이나 되나요?”<br />

라고 질문했다고 합니다. 그러자 천사는 천국에 들어<br />

온 사람들의 명부를 한참 동안 뒤져 보더니, “웨슬레 선<br />

생, 미안하지만 감리교인은 한 명도 없군요”라고 대답<br />

하였습니다. 웨슬레는 그 말을 듣고 마음이 무거웠습니<br />

다. 그러고 나서 또 질문합니다. “그럼 장로교인은 몇<br />

명이나 천국에 왔습니까?” 천사는 다시 명부를 훑어보<br />

더니, “장로교인도 없군요”라고 대답하였다고 합니다.<br />

그렇다면 ‘침례교인은 몇 명이나 천국에 왔습니까?’라<br />

고 묻자, 천사의 대답은 같았습니다. 웨슬레는 천사의<br />

말에 매우 실망하고 말았습니다. 그리고 생각에 잠겼<br />

던 웨슬레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아, 천사를 향해 큰<br />

소리로 물었습니다. “그러면 도대체 천국에는 누가 온<br />

단 말입니까?” 그러자 천사가 빙그레 웃으며 말했습니<br />

다. “천국에 온 사람들은 예수님을 믿는 그리스도인들<br />

입니다.”<br />

1세기에 살았던 유대인들이나 오늘날의 그리스도인<br />

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공통적인 관심사가 있다면, 바<br />

로 하나님 나라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 모두가 자<br />

신이 구원받은 존재라고 믿고, 이 세상에서의 짧은 일<br />

생을 마친 후에는 하나님 나라에 간다고 믿기 때문입니<br />

다. 하지만 사람들이 가진 최종 목적지가 동일한 ‘하나<br />

님 나라’일지라도, 그 나라에 대한 잘못된 생각과 잘못<br />

된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결코 하나님 나라에 들어 갈<br />

수 없습니다.<br />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공생애 사역을 하시는 동<br />

안 가장 많이 가르치셨던 것 중의 하나가 바로 하나님<br />

나라입니다. 당시 유대인들도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br />

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들이 가지고 있었던 메시아상에<br />

서 엿볼 수 있는 ‘부강한 나라’였습니다. 이를 위해 그<br />

들은 회당을 만들어 율법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인위적<br />

으로 만든 규율을 지키는 데에는 엄격했지만, 하나님<br />

의 사랑은 잃어버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열여<br />

덟 해 동안 꼬부라져 있었던 여인이 치유 받아 하나님<br />

께 영광 돌리게 된 일에 분을 내는 것이 당연한 장소가<br />

되었고, 병자들을 죄인으로 여기며 비난과 책망하는 곳<br />

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그들의 잘못된 모습을 고쳐주시<br />

고자 누가복음 13:18-30에서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br />

말씀을 주십니다.<br />

첫번째는 겨자씨와 누룩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특<br />

성을 비유한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 나라에 대해 말씀<br />

해 주십니다. 겨자씨는 씨앗 중에 가장 작은 씨로서 사<br />

람들에게 하찮게 여김을 받는 씨입니다. 하지만 그 씨<br />

가 땅에 심어져 자라게 되면 큰 나무가 되어 공중의 새<br />

들이 깃들어 둥지를 지어 지속적으로 살아가게 됩니다.<br />

바로 예수님은 겨자씨 비유를 통해 하나님 나라는 구<br />

원받은 자들의 영원한 안식처가 된다는 것을 말씀하신<br />

것입니다.<br />

다음으로 누룩은 적은 양으로 많은 양의 반죽을 부<br />

풀게 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비록 세상에 하<br />

나님 나라가 임한 믿음의 사람이 적더라도 그들을 통<br />

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고 그들에게 하나<br />

님 나라가 임하는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말씀하<br />

신 것입니다.<br />

두 번째는 좁은 문과 집 주인의 이야기를 통해 예수<br />

님을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태도에 대<br />

해 말씀해 주십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구원받을 자가<br />

멸망 받을 자보다 적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br />

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유대인들 외에는 모두 구원<br />

받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수<br />

님은 첫번째로 형통이 아니라 좁은 길로 가는 자가 하<br />

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씀합니다. 좁은 길에<br />

대한 말씀은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동일하게 기록되<br />

어 있습니다. 그런데 마태복음에서는 좁은 문을 선택<br />

하고 그 길로 가는 행함을 강조하지만, 누가복음에서<br />

는 좁은 문에 들어가기 위해 힘쓰는 태도를 강조합니<br />

다. 누가가 강조하는 ‘힘쓰다’는 말은 당시 고대운동경<br />

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이 경주에서 승리하기 위해 자신<br />

생명을 걸고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경기에 임하는 것을<br />

의미합니다. 다음으로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의 문이 열<br />

려 있을 때 들어가야 한다고 말씀합니다. 왜냐하면, 하<br />

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문은 예수님께서 재림하는<br />

날까지만 열려 있고, 그 후에는 닫혀서 절대 열리지 않<br />

기 때문입니다.<br />

그런데 어떤 교인들은 누가복음 13:26에 “그 때에<br />

너희가 말하되 우리는 주 앞에서 먹고 마셨으며 주는<br />

또한 우리를 길거리에서 가르치셨나이다 하나”라는<br />

말씀처럼, 자신이 과거에 했던 종교의식과 활동 그리<br />

고 자신이 가졌단 직분에 대해 이야기하며 자신이 구<br />

원 받았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현재에 자신이 하나님<br />

나라에 들어가기 위해 예수님을 온전히 믿지 않고 좁<br />

은 길로 가는 믿음의 삶을 살지 않는다면, 결국 누가복<br />

음 13:27에 “나는 너희가 어디에서 왔는지 알지 못하<br />

노라 행악하는 모든 자들아 나를 떠나 가라”는 예수님<br />

의 동일한 책망을 들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br />

뜻에 순종하여 항상 그분을 더욱 알기에 힘쓰고, 날마<br />

다 그분과 교제하면서 더욱 친밀한 관계를 이루어가면<br />

서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축복된 하나님의 자녀가 되<br />

시길 바랍니다.


33<br />

MAR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Bible Quiz!<br />

열왕기하 4.<br />

1. 엘리사는 찾아온 나아만에게 나병 치료 처방을 알려 주었는데 그 방법은 무엇<br />

입니까?<br />

2. 나아만은 엘리사가 자기의 병을 어떻게 치료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까?<br />

9. 엘리사는 요단 강가에서 선지자 제자들과 함께 나무하다가 물에 떨어뜨린<br />

도끼를 어떻게 꺼냈습니까?<br />

3. 요단강에 몸을 씻으라는 말에 나아만은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br />

10. 아람 군대가 가야 할 곳을 이스라엘 군대가 사전에 다 알고 방비했는데<br />

누가 알려 줘서 대비 한 것입니까?<br />

4. 나아만은 자기의 병을 치료받고 예물을 엘리사에게 드렸는데 엘리사는 그<br />

예물을 어떻게 했습니까?<br />

11. 아람 왕이 군대를 이끌고 엘리사를 잡으러 어디까지 왔습니까?<br />

5. 나아만은 엘리사에게 한 가지 용서를 구했는데 그것은 무엇입니까?<br />

12. 아람 왕이 군대를 이끌고 도단 성읍을 에워싸자 사환이 두려워하고 있을 때<br />

엘리사가 사환에게 보여준 것은 무엇입니까?<br />

6. 엘리사의 사환 게하시가 돌아가는 나아만에게 찾아가서 무슨 거짓말을<br />

하였습니까?<br />

13. 엘리사는 아람 군대를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사마리아로 이끌고 갔습니까?<br />

7. 게하시는 거짓말을 하여 옷 두 벌과 은 두 달란트를 나아만에게 받아서 자기<br />

집에 숨겼지만 그로 인해서 어떤 벌을 받았습니까?<br />

14. 눈이 어두워진 아람 군대를 이끌고 엘리사는 어디로 데려갔습니까?<br />

8. 선지자의 제자들이 요단으로 가서 나무를 베어 오려고 한 이유는 무엇입니까?<br />

15. 엘리사에게 끌려온 아람 군대를 이스라엘 왕은 죽이려고 했지만 반대한<br />

사람은 누구입니까?<br />

정답<br />

1. 요단강에 가서 몸을 일곱 번 씻으라.<br />

2. 상처를 만지고 기도하면<br />

3. 화가나서 돌아가려 했다.<br />

4. 받지 않았다.<br />

5. 왕이 림몬 신전에서 절할 때 부축하는 자신<br />

도 절 할 수 있다는 것<br />

6. 선지자 제자에게 줄 옷 두 벌과 은 한 달란<br />

트를 달라는 것<br />

7. 나병에 걸렸다.<br />

8. 숙소가 좁아서 다시 지으려고<br />

9. 나뭇가지를 물에 던져 쇠도끼가 떠오르게 했다.<br />

10. 엘리사<br />

11. 도단<br />

12. 불 말과 불 병거가 엘리사를 둘러<br />

싸고 있는 모습<br />

13. 아람 군대의 눈을 어둡게 해서<br />

14. 사마리아<br />

15. 엘리사


34 |<br />

칼럼<br />

MAR 22 2024<br />

더불어 함께 드리는 예배 공동체 A<br />

안지영 목사<br />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부교수<br />

우리는 혼자가 아니라<br />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br />

예수 그리스도의<br />

‘몸 공동체’입니다.<br />

개척을 준비했던 우리는 “말씀과 삶을 나눔으로 하나<br />

님 나라를 드러내는 교회”라는 나눔교회의 비전이 제대<br />

로 이뤄진다면, 과연 그 교회는 어떤 모습의 교회가 될<br />

까 상상의 나래를 펼쳐 보았습니다. 여기에서 ‘비전’이<br />

란, 다른 말로 표현하면 ‘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br />

가 장차 어른이 되면 어떤 어른이 되고 싶다는 ‘꿈’과 같<br />

은 거지요.<br />

그래서 그려본 첫 그림이 바로 “더불어 함께 드리는<br />

예배 공동체”였습니다. 예배 드림이 혼자서가 아니라 다<br />

른 이들과 함께라는 거지요.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가<br />

르쳐 주신 기도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로 시작됩<br />

니다. 모든 것 위에 계시는 하나님이 우리의 아버지가 되<br />

신다는 거지요. 즉,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자녀로서 서로<br />

를 바라볼 때 모두 한결 같은 형제와 자매로 바라봐야 한<br />

다는 겁니다. ‘우리’ 사이에는 어떤 차별도 존재하지 않<br />

아야 하는 거지요. 사회적 신분, 경제적 차이, 교육적 우<br />

열, 세대 차이를 극복한 ‘우리’가 되어야 한다는 겁니다.<br />

하나님은 이러한 ‘우리’의 하나님이 되신다는 고백을 한<br />

무리의 하나님이십니다. 이러한 우리는 하나님을 아버지<br />

로 둔 형제 자매이기에 서로서로에게 책임 있는 존재가<br />

된다는 것을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우리<br />

는 혼자가 아니라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예수 그리스도<br />

의 ‘몸 공동체’입니다.<br />

나눔교회의 첫 예배 때 장면이 아직도 생생하게 떠오<br />

릅니다. 한 가정집 거실에서 청소년 사역자 가정과 우리<br />

가정을 포함해서 일곱 가정이 첫 예배를 드렸습니다. 첫<br />

예배를 드리기 전 약 이 년 동안 성경공부를 하고, 교회<br />

개척을 위한 준비 모임을 하면서 팀웍이 어느 정도 다져<br />

졌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첫 예배 준비로 분주하<br />

면서도 들뜬 분위기와는 달리 한 구석에 처박힌(?) 채 쪼<br />

그려 앉아있는 내 자신을 보았지요. 왠지 모를 답답한 느<br />

낌이 밀려오더군요. 모두들 즐거운 마음으로 첫 예배를<br />

준비하고 있는데 나는 왜 이럴게 마음이 무거운지 그 이<br />

유를 정말 모르겠더라구요. 그 바람에 첫 예배 설교를 겨<br />

우겨우 해냈던 기억만 남아있습니다.<br />

나는 예배 준비 대신에 집안 한 구석에 쪼그리고 앉아<br />

서, 처음 파푸아뉴기니 수도 포트모레스비 공항에 도착<br />

했을 때를 떠올렸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선교지에 도착<br />

했기에 새로운 땅에 대한 큰 기대감으로 가득 차 있었지<br />

요. 그런데 막상 비행기 문 밖 트랩에 발을 내딛는 순간<br />

에 그 기대감은 온데간데 없이 날아가 버리고 말았습니<br />

다. 턱 막히는 뜨거운 열기와 함께 내 속을 파고들어온<br />

것은 ‘아, 나 이제 어쩌지? 왜 선교사가 되려고 했지? 잘<br />

못 정한 것 같다’는 당혹감과 중압감이었습니다. 그러면<br />

서도 선교사라는 작자가 이런 나약한 생각을 하고 있다<br />

는 것에 한심하기 짝이 없다는 자책감도 밀려오더군요.<br />

그런데 그와 비슷한 감정이 교회 첫 예배 때 데자뷰가 되<br />

어 나를 압박해 왔습니다.<br />

그런 가운데 처음 드리는 예배에 눈에 띄는 장면은 부<br />

모 손에 억지로 끌려 나온 표정으로 앉아있는 사춘기 아<br />

이들이었습니다. 미국에 있는 한인이민교회에 당연히 있<br />

어야 할 EM(English Ministry) 예배가 없이 모두 한국<br />

어로 드려야 하는 KM(Korean Ministry) 예배가 그들<br />

에게 마땅치 않았던 것 같더군요. 가뜩이나 영어든 한국<br />

어든 예배란 것에 그리 관심이 없는 아이들인데, 어른과<br />

함께 예배드린다는 게 고역이었을 겁니다. 그러니 그 아<br />

이들의 태도에 부모들의 신경이 모두 곤두설 수밖에요.<br />

아이들의 불량한(?) 태도는 그들의 불만을 표출하는 통<br />

로였던 것 같았습니다. 대놓고 누워서 코고는 아이, 창밖<br />

만 쳐다보는 아이, 부산을 떠는 아이, 등등 부모의 눈살을<br />

찌푸리게 만드는 행동 때문에 부모는 아이들에게 경고의<br />

신호를 부단히도 보내고 있더군요. 그래서 어른들에게 아<br />

이들을 그대로 두고, 예배에 집중하자고 설득하면서 첫 예<br />

배를 마쳤습니다. 이렇게 부모와 아이들이 그동안 서로를<br />

모르며 신앙 생활을 했던 거였습니다. 세대별로 예배를 드<br />

릴 때는 몰랐던 것이 함께 하면서 보게 된 거지요. 세대<br />

간에 존재하는 차이가 현실로 다가오는 첫 예배였습니다.<br />

이 세상에는 세대 간의 갈등이 존재하고, 사회적 신<br />

분 간의 갈등도 심각합니다. 지역 간의 갈등 또한 가볍<br />

지 않습니다. 혈연, 지연, 학연으로 이어진 집단 이기주<br />

의가 한 사회를 병들게 만드는 것을 목격합니다. 하지만<br />

교회는 이 병리현상을 해결해야 하는 공동체입니다. 다<br />

시 말해서, 교회는, 교회 안에 있는 다양한 집단을 조화<br />

롭게 만드는 공동체입니다. 그래서 교회에는 갈등을 풀<br />

어가는 수고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거지요. 하지만<br />

어디 그게 쉽겠습니까? 처음부터 갈 길이 멀다는 게 느<br />

껴지는 예배였습니다.<br />

하지만 그 꿈이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라는 걸 보기도<br />

했습니다. 교회가 출범한 지 얼마 안 되어서 십대 아이<br />

두 명이 교회에 왔습니다. 그런데 기존의 아이들이 그 두<br />

아이를 너무나 싫어하는 거였어요. 그 두 아이가 학교에<br />

서 아이들에게 상처를 많이 주었던 거였지요. 그래서 그<br />

두 아이가 온 것을 보고서는 자기 부모들에게 그 두 아이<br />

가 교회에 오지 못하게 해 달라고 했다더군요. 그렇게 안<br />

하면, 교회 나가지 않겠다고 했답니다. 하지만, 나는 이<br />

상황을 아이들이 이런 갈등 관계를 풀어가는 법을 배우<br />

는 절호의 기회로 활용하였습니다. 부모와 자녀들이 함<br />

께 대화하면서 해결점을 찾아가는 것을 연습하자고 부모<br />

들을 설득한 거지요. 감사하게도 부모님들이 나의 제안<br />

에 동의했습니다. 청소년 모임에서 처음에는 서로 등을<br />

돌리고 있던 아이들이 수 개월이 지나면서 그 상처의 앙<br />

금을 걷어내고 함께 기도하더군요 한 아이가 집에 전화<br />

를 해서 부모에게 그 아이들과 화해했다는 기쁜 소식을<br />

전하는 모습이 진하게 남아있습니다.


가이드<br />

35<br />

MAR 22 2024<br />

texaschristiannews.com<br />

| 가정예배 가이드 소개 |<br />

주일예배 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가정예배다. 이에 많은 성도들이 가정예배를 드리고 싶어 하지만 방법을 잘 모르거나 복잡하게 생각해<br />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가정예배 가이드’ 코너는 초신자 혹은 성경을 잘 모르는 부모라도 쉽게 가정 예배를 인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침서다.<br />

아래의 순서(찬송-신앙고백-말씀 나눔-기도)를 참고해 온 가족이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기쁨의 시간을 가져 보자.<br />

천국 문이 활짝 열린 교회<br />

찬송: ‘천성을 향해 가는 성도들아’ 359장(통 401)<br />

신앙고백: 사도신경<br />

본문: 요한계시록 3장 8~13절<br />

묵상 :<br />

빌라델비아 교회 성도들은 세상에서 가<br />

장 불쌍하고 의지할 곳 없는 사람들이었지<br />

요. 그런데 그들이 온 힘을 다해 하나님의<br />

말씀을 묵상하고 그 말씀을 풍성하게 나눌<br />

때 천국 문이 활짝 열렸습니다. 그래서 그<br />

들은 하나님의 보물 창고에 들어가 무한정<br />

으로 하나님의 복을 가져올 수 있게 되었던<br />

것입니다.<br />

빌라델비아 교회는 그들의 신앙에 있어<br />

서 하나님 나라의 인정을 받은 교회였습니<br />

다. 사실 이 교회는 아주 적은 능력을 갖춘<br />

교회였지요. 이 말은 교인들의 숫자나 사회<br />

적 지위 면에서 부족한 데다 영향도 거의 미<br />

치지 못하는 성도들이 모였다는 뜻입니다.<br />

거기에 영적인 지진까지 일어나 주님으로부<br />

터 멀어지게 만드는 수많은 시험이 있었습<br />

니다. 그런데 이 교회는 어떤 지진에도 절<br />

대 무너지지 않는 신앙이 있었던 것입니다.<br />

어떤 이론이나 사상이 들어와 그들을 흔들<br />

어도 이들은 오로지 주님의 말씀을 지켰다<br />

는 것을 인정하십니다. 그리고 그들은 절대<br />

로 주님의 이름을 배반치 않았다고 말씀하<br />

십니다.<br />

주님께서는 이렇게 신실한 빌라델비아 교<br />

회에게 큰 약속을 주셨습니다. 먼저 그들에<br />

게 열린 문을 주셨다고 했지요. 이것은 주님<br />

이 이 교회에 복음의 문을 열어 주셔서 지속<br />

적으로 주님의 복음을 전할 수 있게 하시겠<br />

다는 약속입니다. 다음으로 ‘자칭 유대인’이<br />

라고 하는 엉터리 유대인 중에서 몇몇이 복<br />

음을 듣고 결국 복음 앞에 무릎을 꿇는 역사<br />

가 일어날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br />

우리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주께서<br />

우리에게 붙여 주셔야만 하는 일입니다. 그<br />

리고 인내의 말씀을 지킨 그들을 주님도 지<br />

켜 주셔서 시험의 때를 면하게 해주신다고<br />

했습니다. 그러나 그들도 주의해야 할 것은<br />

이미 얻은 면류관을 빼앗기지 않도록 깨어<br />

기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br />

하나님께서는 빌라델비아 교회를 보증하<br />

셨습니다. “이기는 자는 내 하나님 성전에<br />

기둥이 되게 하겠다”는 말씀은 천국에서 인<br />

정하는 가장 중요한 교회를 의미하는 것이<br />

지요. 다른 곳은 다 흔들려서 흔적도 없이<br />

쓰러지고 말겠지만, 이 교회는 안전하게 남<br />

아서 그 사명을 끝까지 감당한다는 뜻입니<br />

다. 이 기둥에 기록되는 세 가지 이름은 하<br />

나님의 이름과 새 예루살렘의 이름 그리고<br />

우리 주님의 이름입니다. 이 교회는 참으로<br />

하나님의 백성이요, 하늘에서 임할 새 예루<br />

살렘의 집이요, 진실로 그리스도가 이 교회<br />

를 세우고 지키고 계신다는 사실을 증거하<br />

시는 것입니다. 성도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br />

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붙드는 것이지요.<br />

어떤 시험에도 우리 믿음의 뿌리가 흔들려<br />

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빌라델비아 교회처<br />

럼 예수님에 대한 신의를 지키면서 진실한<br />

신앙을 가지려고 애써야 합니다. 우리를 힘<br />

들게 하는 사람도 주께서 사랑으로 굴복시<br />

킬 때가 올 것을 인내하며 기다릴 수 있기<br />

를 바랍니다.<br />

기도 :<br />

하나님, 주께서 보증해 주시는 교회 되게 하<br />

옵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36 |<br />

칼럼<br />

MAR 22 2024<br />

[영혼을 살찌우는 신앙 명시 산책]<br />

내 믿음의 부활절 / 유안진<br />

강태광 목사<br />

월드쉐어 USA<br />

내 믿음의 부활절 / 유안진<br />

지난겨울<br />

얼어죽은 그루터기에도<br />

새싹이 돋습니다<br />

말라 죽은 가지 끝<br />

굳은 티눈에서도<br />

분홍 꽃잎 눈부시게 피어납니다<br />

저 하찮은 풀 포기도<br />

거듭 살려내시는 하나님<br />

죽음도 물리쳐 부활의 증거 되신 예수님<br />

깊이 잠든 나의 마음<br />

말라죽은 나의 신앙도<br />

살아나고 싶습니다<br />

당신이 살아나신<br />

기적의 동굴 앞에<br />

이슬 젖은 풀포기로<br />

부활하고 싶습니다<br />

그윽한 믿음의 향기<br />

풍겨내고 싶습니다<br />

해마다 기적의<br />

증거가 되고 싶습니다<br />

이시는 시인이자 수필가 유안진의 이<br />

라는 시입니다. 유안진은 박목월 시인의 추천으로 등단하였<br />

습니다. 박목월 선생은 서울대 교육 심리학과를 다니는 유안<br />

진을 시인으로 추천하는 것을 주저했다고 합니다. 왜냐하면,<br />

전공이 문학과 상관없는데 계속 시를 쓰지 않으리라고 보았<br />

던 것입니다.<br />

그러나 유안진은 열심을 습작시를 썼고 이런 유안진의 열<br />

정적인 시작 활동을 눈여겨본 박목월은 현대문학에 유안진을<br />

추천했습니다. 시인 추천에 엄격했던 박목월이 유안진의 시<br />

,, 를 1965년부터 1967년에 현대문학에 3<br />

회 추천했고 이것을 계기로 유안진은 등단했습니다.<br />

유안진을 수필가로 아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라는 수필 때문입니다. 1986년 이향자, 신<br />

달자 시인과 함께 펴낸 수필집 에 실린 수<br />

필입니다. 이 작품으로 유안진은 일약 대중적 명성을 얻었습<br />

니다. 시와 소설, 에세이의 장르를 넘나드는 활발한 작품 활<br />

동을 펼쳤으며 여성 특유의 섬세하고 유려한 문체와 치밀한<br />

구성 방식이 돋보인다는 평을 얻고 있습니다.<br />

시인으로 유안진은 통찰력 있는 시선으로 인생을 궤 뚫어<br />

보는 능력이 있습니다. 섬세한 시어로 유명한 유안진 시인은<br />

천주교 신자(세례명 클라라)입니다. 유안진은 몇 편의 신앙<br />

시를 남겼습니다. 참 아름다운 시들이 많습니다. 특히 시인의<br />

고백과 간증이 담긴 시들입니다. 아름다운 신앙시가 많습니<br />

다. 모든 시가 사랑받아 마땅한 수작( 秀 作 )들입니다.<br />

유안진의 은 과거 주님의 부활을 기념<br />

하는 부활절이 아닌 자신의 믿음이 되살아 나는 믿음의 부활<br />

절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시의 후반인 4연 5연 6연의 마지막<br />

이 입니다. 3번의 반복으로 시인의 소원이 분명하<br />

고 나타나고 있습니다.<br />

1연부터 3연은 부활이 필요한 존재들이 누리는 부활의 역<br />

사를 노래합니다. 얼어붙은 그루터기, 말라 죽은 가지 끝, 굳<br />

은 티눈, 풀포기, 그리고 죽음... 모두 부활이 필요합니다. 봄<br />

을 통해 부활과 생명의 역사를 보여주시는 주님께서 친히 부<br />

활의 증거가 되고 싶다고 고백합니다.<br />

부활절을 얘기하며 봄날 식물의 소생이나 계란의 부화를<br />

말하는 것은 부활의 왜곡입니다. 사망을 짓밟고 부활하는 것<br />

은 전혀 다른 차원인데 인간의 저질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부<br />

활을 설명하려고, 위대한 부활을 자연적 사건과 부활을 동격<br />

으로 낮추어 버립니다. 부활을 설명하려고 부활의 능력과 의<br />

미를 격하시키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현대 부활절의 역설과<br />

아이러니입니다.<br />

왜곡된 부활은 우리를 부활 신앙에서 멀어지게 합니다. 부<br />

활의 의미를 모르면 부활절을 수십 년 맞아도 부활을 사모하<br />

지 못합니다. 부활의 능력을 알며 부활의 능력을 사모하는 삶<br />

이 되어야 합니다. 시인은 부활의 의미를 깨닫고 부활의 능력<br />

이 나타나기를 갈망합니다.<br />

이 시가 전반부 3연으로 끝났다면 이 시도 부활의 능력<br />

을 약화시키는 시가 되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능력과 권<br />

세가 나타나는 부활을 자연의 섭리나 인간의 이야기로 만들<br />

어 버렸을 것입니다. 이 시의 핵심 메시지는 후반부에 있습<br />

니다. 후반부에서 부활의 진정한 능력을 소개합니다. 그리고<br />

그 부활의 능력이 자신의 삶에 나타나기를 소망하고 있습니<br />

다. 그래서 후반부에는 소망의 표현 “싶습니다”가 계속 반복<br />

됩니다.<br />

4연은 살아나고 싶다고 말합니다. “깊이 잠든 나의 마음/<br />

말라죽은 나의 신앙도/ 살아나고 싶습니다.” 4연은 잠든 나<br />

의 마음, 말라 죽은 나의 신앙도 살아나고 싶다고 고백합니<br />

다. 5연은 더 큰 부활의 갈망입니다. 시인은 “주님이 부활<br />

하신 무덤 앞에 이슬 젖은 풀포기로 부활하고 싶습니다.”라<br />

고 고백합니다. 새봄에 자연스럽게 돋아나는 풀포기가 아니<br />

라 주님 부활의 능력을 힘입은 풀포기로 부활하고 싶은 것<br />

입니다.<br />

6연은 가 두 번 등장합니다. 부활의 능력이 삶<br />

에 담기는 축복을 사모합니다. 부활의 능력으로 “그윽한 믿음<br />

의 향기/ 풍겨내고 싶습니다.”라고 고백합니다. 이어서 “해마<br />

다 기적의/ 증거가 되고 싶습니다.”라고 합니다. 신앙인이라<br />

면 시인의 고백이 구구절절 가슴이 와 닿을 것입니다. “아멘!”<br />

입니다. 모든 표현, 모든 고백에 아멘이 절로 나옵니다.<br />

모쪼록 이 시의 메시지처럼 올해 부활절에 우리 신앙이 부<br />

활 되기를 바랍니다. 주님의 무덤 앞에 이슬 젖은 풀포기의<br />

모습이라도 부활을 아는 자가 되기를 기도합니다. 부활의 능<br />

력 머금고 믿음의 향기 발하고, 주님이 행하시는 기적의 증거<br />

가 되는 매년의 부활절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MAR 22 2024 교회안내 및 신학교 | 37<br />

텍사스 한인교회 및 신학교<br />

DFW 지역<br />

감리교 Methodist Church<br />

순복음 Pure gospel church<br />

장로교 Presbyterian Church


38 |<br />

교회안내 및 신학교<br />

MAR 22 2024<br />

장로교 Presbyterian Church<br />

침례교 Baptist Church<br />

달라스, 캐롤튼, 코펠 지역, 한인 교회 안내<br />

Lake Park Rd<br />

꿈을주는교회<br />

121<br />

주님의기쁨교회<br />

뉴송교회<br />

121<br />

달라스<br />

소망장로교회<br />

플라워마운드교회<br />

121<br />

달라스베다니장로교회<br />

35E<br />

플라워마운드 하나로교회<br />

사랑의교회<br />

코너스톤한인침례교회<br />

새삶교회<br />

성시교회<br />

달라스사랑의교회<br />

십자가복음교회<br />

세미한교회<br />

수정교회<br />

리빙스톤교회<br />

큰나무교회<br />

35E<br />

한우리교회<br />

달라스드림교회<br />

웨슬리교회<br />

달라스안디옥교회<br />

글로벌침례신학교<br />

289<br />

75<br />

635<br />

조이플교회<br />

임마누엘연합감리교회<br />

114<br />

태멘교회<br />

리스타트교회<br />

나무십자가교회<br />

달라스우리교회<br />

635


MAR 22 2024 교회안내 및 신학교 | 39<br />

침례교 Baptist Church<br />

네 길을 여호와께 맡기라. 그를 의지하면 그가 이루시고 네 의를 빛 같이 나타내시며<br />

네 공의를 정오의 빛 같이 하시리로다. 시편 37편 5절 6절<br />

Commit your way to the Lord; trust in him, and he will act.<br />

He will bring forth your righteousness as the light, and your justice as the noonday. Psalm 37:5-6


40 |<br />

교회안내 및 신학교<br />

MAR 22 2024<br />

침례교 Baptist Church<br />

초교파 interdenominational<br />

신학교 seminary<br />

어빙, 포트워스, 알링턴 지역,<br />

한인 교회 안내<br />

플레이노 맥키니, 프리스코, 리차드슨,<br />

갈랜드 지역, 한인 교회 안내<br />

380<br />

35W<br />

377<br />

121<br />

635<br />

161<br />

프렌즈 교회<br />

289<br />

페어뷰<br />

연합감리교회<br />

벤브룩한인침례<br />

30<br />

183<br />

세계로제자교회<br />

26<br />

새빛침례교회<br />

달라스중앙감리교회<br />

빛과소금의교회<br />

183<br />

10<br />

12<br />

30<br />

하늘샘교회<br />

180<br />

121<br />

423 코너스톤한인침례교회<br />

<br />

글로리침례교회<br />

뉴라이프 선교교회<br />

<br />

75<br />

아가페 교회<br />

78<br />

303<br />

세계선교교회<br />

20 20<br />

635<br />

빛내리교회<br />

157<br />

75<br />

30<br />

사랑에빛진교회<br />

35W<br />

287<br />

360


MAR 22 2024 교회안내 및 신학교 | 41<br />

Central Texas<br />

어스틴<br />

킬린지역 알칸사지역<br />

전화주시면 친절하게<br />

상담해 드립니다.<br />

어스틴지역<br />

E Rancier Ave<br />

킬린지역<br />

<br />

알칸사 제자들 교회<br />

<br />

130<br />

<br />

<br />

630<br />

어스틴우리침례교회<br />

183<br />

Austin<br />

1<br />

주님의교회<br />

45<br />

라운드락장로교회<br />

35<br />

130<br />

290<br />

190<br />

킬린한인침례교회<br />

Florence Rd<br />

S 10th St<br />

킬린뉴게이트글로벌감리교회<br />

킬린온누리교회<br />

Killeen<br />

190<br />

우리연합감리교회<br />

S Twin Creek Dr<br />

430<br />

알칸사 지역<br />

35<br />

14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