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0071]<br />

[0072]<br />

[0073]<br />

[0074]<br />

[0075]<br />

[0076]<br />

[0077]<br />

[0078]<br />

[0079]<br />

[0080]<br />

[0081]<br />

[0082]<br />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단백질은 그 카르복실 말단에 소포체 잔류 시그널 펩티드, 액포 이행 시그널 펩티<br />

드 등의 시그널 펩티드가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부가」란, 시그널 펩티드가 상기 하이브리드 단백질<br />

의 카르복실 말단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다른 펩티드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br />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미노 말단에 분비 시그널 펩티드가 부가되고, 또한 카르복실 말단에 소포체 잔류 시<br />

그널 펩티드가 부가된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소포체형 (ER) 하이브리드 단백질이라고도 하고, 그 소포체형 하이<br />

브리드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구축물을 소포체형 DNA 구축물이라고도 한다. 소포체형 하이브리드 단백질은<br />

특히 양상추 등에 효율적으로 축적된다.<br />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단백질은 그 카르복실 말단에, 바람직하게는 소포체 잔류 시그널 펩티드가 부가되어<br />

있다. 소포체 잔류 시그널 펩티드로는 KDEL 배열 (배열 번호 <strong>19</strong>), HDEL 배열 (배열 번호 20), KDEF 배열<br />

(배열 번호 21) 또는 HDEF 배열 (배열 번호 22) 을 포함하는 소포체 잔류 시그널 펩티드를 들 수 있다.<br />

액포 이행 시그널 펩티드로는, 바람직하게는 가지과 (Solanaceae), 십자화과 (Brassicaceae), 국화과<br />

(Asteraceae) 에 속하는 식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담배속 (Nicotiana), 애기장대속 (Arabidopsis), 서양 고추<br />

냉이속 (Armoracia) 등에 속하는 식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담배 (Nicotiana tabacum), 애기장대 (Arabidopsis<br />

thaliana), 서양 고추냉이 (Armoracia rusticana) 등에서 유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키티나아제에서<br />

유래된다. 담배 키티나아제 유래의 액포 이행 시그널 펩티드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76 으로 나타낸<br />

다. 또한, 담배 키티나아제 유래의 액포 이행 시그널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배열은 예를 들어 배<br />

열 번호 75 로 나타낸다.<br />

또한, 바람직하게는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C1a 아이소자임에서 유래된다.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br />

제 C1a 아이소자임 유래의 액포 이행 시그널 펩티드의 아미노산 배열은 배열 번호 78 로 나타낸다. 또한,<br />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C1a 아이소자임 유래의 액포 이행 시그널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의 염기 배열은<br />

예를 들어 배열 번호 77 로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미노 말단에 분비 시그널 펩티드가 부가되고,<br />

또한 카르복실 말단에 액포 이행 시그널 펩티드가 부가된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액포형 (Vac) 하이브리드 단백질<br />

이라고도 하고, 그 액포형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구축물을 액포형 DNA 구축물이라고도 한다.<br />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단백질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도 있고, 유전자 공학적으로 생산할 수도 있다. 유전<br />

자 공학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br />

본 발명의 DNA 구축물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r />

즉, 본 발명의 DNA 구축물은 2 개 또는 3 개의 세균 독소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가 상기 펩티드를 코드하는<br />

DNA 를 통해 탠덤으로 연결되어 있는 DNA 를 포함한다. 상기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는 예를 들어 배열 번<br />

호 1 (PG<strong>12</strong>), 배열 번호 81 (PG17), 배열 번호 83 (PG22) 으로 나타낸다. 세균 독소 단백질을 코드하는<br />

DNA 로서 예를 들어 Stx2eA 를 코드하는 DNA (배열 번호 3), Stx2eB 를 코드하는 DNA (배열 번호 5) 나 CTB 를<br />

코드하는 DNA (배열 번호 7) 를 들 수 있다. 상기 펩티드를 코드하는 DNA 와 세균 독소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br />

는 종지 코돈을 제외하고 리딩 프레임을 맞추어 연결된다.<br />

세균 독소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는 예를 들어 배열 번호 3, 5, 7 의 염기 배열에 기초하여, 일반적인 유전자<br />

공학적인 수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세균 독소를 생산하는 세균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br />

에 따라 cDNA 라이브러리를 조제하고, 그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염기 배열에 기초하여 제작한 프로브를 사용하<br />

여 원하는 클론을 선택한다. 또한, 상기 염기 배열을 기본으로 한 화학 합성, 상기 염기 배열의 5' 및 3'<br />

말단의 염기 배열을 프라이머로 하고, 게놈 DNA 를 주형 (鑄型) 으로 한 PCR 등에 의해 합성할 수도 있다.<br />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는 예를 들어 배열 번호 9, 11, 13, 15, 85, 87, 89, 91, 93,<br />

95, 97 또는 99 로 나타낸다.<br />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는 그 단백질을 생산시키는 숙주 세포에 따라 하이브리드 단백질의 번역량이<br />

증대되도록,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나타내는 코돈이 적절히 개변되어 있는 것도<br />

바람직하다.<br />

코돈 개변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Kang et al. (2004) 의 방법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또한, 숙주 세포에<br />

있어서 사용 빈도가 높은 코돈을 선택하거나, GC 함량이 많은 코돈을 선택하거나, 숙주 세포의 하우스키핑 유전<br />

자에 있어서 사용 빈도가 높은 코돈을 선택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br />

공개특허 10-2011-0009<strong>19</strong>7<br />

또한,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는 배열 번호 9, 11, 13, 15, 85, 87, 89, 91, 93, 95, 97 또는 99<br />

- 10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