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0181]<br />

[0182]<br />

[0183]<br />

[0184]<br />

[0185]<br />

[0186]<br />

[0187]<br />

[0188]<br />

[0189]<br />

[0<strong>19</strong>0]<br />

[0<strong>19</strong>1]<br />

[0<strong>19</strong>2]<br />

[0<strong>19</strong>3]<br />

[0<strong>19</strong>4]<br />

[0<strong>19</strong>5]<br />

[0<strong>19</strong>6]<br />

[0<strong>19</strong>7]<br />

도 6 중, 최좌열의 화상 A 는 어느 프로토플라스트에 있어서의 mRFP 의 국재를 나타낸다. mRFP 의 국재는<br />

소포체의 위치를 반영한다. 중열의 화상 B 는 동일한 프로토플라스트에 있어서의 Stx2eB-YFP 하이브리드 단<br />

백질의 국재를 나타낸다. 최우열의 화상은 화상 A 및 B 의 합성 화상이다. 합성 화상으로부터, Stx2eB-<br />

YFP 하이브리드 단백질은 소포체에 과립상으로 국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br />

(6) 소포 수송 기능의 영향<br />

2×Stx2eB(PG<strong>12</strong>) 의 축적 및 응집이 단백질 번역 후의 어느 과정에서 일어나는지 조사하였다.<br />

2×Stx2eB(PG<strong>12</strong>)-YFP 를, 애기장대의 소포 수송 조절 단백질 ARF1, 또는 그 도미넌트 네거티브 변이체 ARF1<br />

(Q71L) (ARF1DN) 과 공발현시켰다. 또한, ARF1DN 의 공발현에 의해 골지체에 대한 단백질의 수송이 저해되<br />

는 리포터로 하여 액포형 GFP (vacuole-GFP) 와 각 ARF1 의 공발현을 실시하였다. 각 ARF1 의 발현 벡터의<br />

구축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또한, 액포형 GFP 발현 벡터의 제작은 하기 문헌을 참조하여 실시할 수 있<br />

다.<br />

Di Sansebastiano et. al., Specific accumulation of GFP in a non-acidic vacuolar compartment via a C-<br />

terminal propeptide-mediated sorting pathway. Plant J. (<strong>19</strong>98) 15, 449-457<br />

소포 수송 조절 단백질로서 애기장대 ARF1 (GenBank Accession No. M95166) 및 그 도미넌트 네거티브 변이체<br />

ARF1 (Q71L) (Masaki Takeuchi et al., 2002 (하기 참조)) 의 발현 벡터를 구축하였다. 애기장대 유식물체<br />

로부터 조제한 cDNA 를 주형으로 하여, ARF1-F 프라이머 (배열 번호 59) 및 ARF1-R 프라이머 (배열 번호 60) 를<br />

사용하여 PCR 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DNA 단편을 pBluescript (Stratagene) 의 EcoRV 갭에 서브 클로닝하<br />

였다. 또한, ARFQL-F 프라이머 (배열 번호 61) 및 ARFQL-R 프라이머 (배열 번호 62) 를 사용하여 PCR 을<br />

실시하고, 71 번째의 글루타민 잔기를 류신 잔기로 치환하였다. 얻어진 각 ARF1 단편을 일과성 발현용 벡터<br />

pBI221 에 서브 클로닝하였다.<br />

제작한 각각의 벡터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담배 배양 세포의 프로토플라스트에 도입하고, 각 단백질을 공발<br />

현시켜, 2×Stx2eB(PG<strong>12</strong>) 의 국재를 조사하였다.<br />

결과를 도 7 에 나타낸다.<br />

2×Stx2eB(PG<strong>12</strong>)-YFP 를 ARF1 과 공발현시킨 경우도, ARF1(Q71L) 과 공발현시킨 경우도, 2×Stx2eB(PG<strong>12</strong>)-YFP<br />

를 단독으로 발현시킨 경우와 마찬가지로 과립이 관찰되었다. 한편, ARF(Q711) 와의 공발현은 소포체로부터<br />

의 액포형 GFP 의 이출 (移出) 을 저해하였다. 이것으로부터, 과립의 형성은 소포체로부터 골지체에 대한<br />

소포 수송 과정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되었다.<br />

담배 배양 세포를 사용한 형질 전환 실험<br />

(1) 형질 전환용 벡터의 구축<br />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1×Stx2eB(PG<strong>12</strong>), 2×Stx2eB(PG<strong>12</strong>), 3×Stx2eB(PG<strong>12</strong>), 4×Stx2eB(PG<strong>12</strong>) 를 제작하였다.<br />

또한 PG<strong>12</strong> 대신에, RS (Arg Ser), PG7 (배열 번호 63) 또는 SG<strong>12</strong> (배열 번호 64) 를 스페이서에 사용한 DNA 구<br />

축물, 2×Stx2eB(RS), 2×Stx2eB(PG7), 2×Stx2eB(SG<strong>12</strong>) 를 이하의 방법으로 제작하였다.<br />

상기 plasmid 8 의 Stx2eB 와 HA 태그 사이에 PG7 스페이서 (배열 번호 63) 를 삽입하였다. PG7-F 프라이<br />

머 (배열 번호 65) 와 PG7-R 프라이머 (배열 번호 66) 를 어닐링하고 T4 PNK 로 인산화하였다. 얻어진 인산<br />

화 DNA 단편을 plasmid 8 의 BglII 갭에 삽입하였다 (plasmid 10).<br />

또한, Stx2eB 와 HA 태그 사이에 SG<strong>12</strong> 스페이서 (배열 번호 64) 를 삽입하였다. SG<strong>12</strong>-F 프라이머 (배열 번<br />

호 67) 와 SG<strong>12</strong>-R 프라이머 (배열 번호 68) 를 어닐링하고 T4 PNK 로 인산화하였다. 얻어진 인산화 DNA 단<br />

편을 plasmid 8 의 BglII 갭에 삽입하였다 (plasmid 11).<br />

공개특허 10-2011-0009<strong>19</strong>7<br />

Plasmid 1 로부터 BamHI 및 BglII 를 사용하여 Stx2eB 단편을 잘라내고, 1×Stx2eB(PG<strong>12</strong>) 의 BamHI 갭에 삽입<br />

하였다 (2×Stx2eB(RS)). Plasmid 10 으로부터 BamHI 및 BglII 를 사용하여 Stx2eB-PG7 단편을 잘라내고,<br />

1×Stx2eB(PG<strong>12</strong>) 의 BamHI 갭에 삽입하였다 (2×Stx2eB(PG7)). Plasmid 11 로부터 BamHI 및 BglII 를 사용<br />

하여 Stx2eB-SG<strong>12</strong> 단편을 잘라내고, 1×Stx2eB(PG<strong>12</strong>) 의 BamHI 갭에 삽입하였다 (2×Stx2eB(SG<strong>12</strong>)).<br />

식물의 안정 형질 전환체를 사용하여 Stx2eB 의 생산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각 Stx2eB 의 DNA 구축물을 형질<br />

전환용 벡터에 서브 클로닝하였다 (벡터의 디자인은 도 1 을 참조). 1×Stx2eB(PG<strong>12</strong>), 2×Stx2eB(PG<strong>12</strong>), 3<br />

- 18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