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7.2013 View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 Questel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0001]<br />

[0002]<br />

[0003]<br />

[0004]<br />

[0005]<br />

[0006]<br />

[0007]<br />

[0008]<br />

[0009]<br />

청구항 22<br />

제 21 항에 있어서,<br />

형질 전환체가 형질 전환 식물 세포 또는 형질 전환 식물인 형질 전환체.<br />

청구항 23<br />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기재된 형질 전환체로부터 얻어지는 종자.<br />

청구항 24<br />

배열 번호 2, 82 또는 84 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펩티드.<br />

명 세 서<br />

기 술 분 야<br />

본 발명은 시가 독소, 콜레라 독소, 대장균 이열성 독소 등의 세균 독소에 의해 생기는 질환에 대한 백신에 사<br />

용하는 하이브리드 단백질, 및 그 하이브리드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DNA 구축물에 관한 것이다.<br />

배 경 기 술<br />

시가 독소 (Stx, 베로 독소) 는 병원성 대장균 중 장관 출혈성 대장균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br />

이 산생하는 단백질성 외독소이다. 시가 독소는 출혈성 장염, 용혈성 요독증 증후군, 뇌증 등을 일으킨다.<br />

시가 독소는 크게 Stx1 과 Stx2 로 나누어지고, 또한 각각이 서브 클래스로 나누어진다. Stx2 로는, 예를<br />

들어 돼지 부종병을 일으키는 Stx2e 를 들 수 있다. 돼지 부종병은 이유 후 1 ∼ 2 주의 새끼 돼지에게 많<br />

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부종병균의 감염에 의한 치사율은 50 ∼ 90 % 로 매우 높다.<br />

또한 콜레라 독소 (CT) 는 Vibrio cholerae 가 산생하는 단백질성 외독소이다. CT 는 격렬한 설사나 구토를<br />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br />

또한 대장균 이열성 독소 (LT) 는 독소원성 대장균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이 산생하는 단백질성<br />

내독소이다. LT 는 설사나 구토를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br />

Stx, LT, CT 의 어느 세균 독소도 세포에 대한 부착에 관여하는 B 서브유닛 5 량체와 독성을 갖는 A 서브유닛 1<br />

량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LT 와 CT 는 구조적으로도 기능적으로도 유사하다는 것이 알려<br />

져 있다.<br />

이들 세균 독소에 의한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백신을 주사 혹은 경비 스프레이에 의해 투여하거나, 경구<br />

적으로 투여하거나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br />

예를 들어, 무독화한 Stx2e 단백질을 재조합 대장균을 사용하여 생산시켜, 주사에 의해 돼지에게 투여하는 기술<br />

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1). 그러나, 재조합 대장균에 의한 무독화한 Stx2e 단백질의 생산량은 충분하<br />

지 않다는 문제나 주사에 의한 백신의 투여는 인간의 노력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br />

공개특허 10-2011-0009<strong>19</strong>7<br />

또한, 백신을 경구적으로 투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노력 경감의 관점에서 축산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br />

다. 이와 같은 배경에 있어서, 세균 독소 단백질을 트랜스제닉 기술을 사용하여 식물에게 생산시키는 기술<br />

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LT 단백질의 B 서브유닛 (LTB) 을 코드하는 DNA 를 포함하고, 그<br />

DNA 를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식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또한, LT 단백질 또<br />

는 CT 단백질을 코드하는 DNA 를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식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 그러나,<br />

이들 기술에서는, 단백질의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LTB 를 양상추에 생산시킨 예<br />

가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이 연구에서는, 코돈을 개변한 LT 단백질의 B 서브유닛의 유전자를, 식<br />

물 고발현 프로모터인 콜리플라워 모자이크 바이러스 35S RNA 프로모터 (CaMV35S) 와, 인핸서인 Kozak 배열을<br />

사용하여, 양상추 내에서 발현시켰다. 그 결과, LT 단백질의 B 서브유닛이 양상추의 총 가용성 단백질의 약<br />

2.0 질량% 축적된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정도의 단백질의 축적량으로는, 트랜스제닉 식물을 이<br />

용하여 세균병의 방제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기에는 불충분하고 생각된다. 즉, 목적으로 하는 세균 독소 단백<br />

- 4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