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6.2013 Views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3. 독성<strong>원인물질</strong> 정밀분석 <strong>및</strong> 규명결과 <strong>및</strong> 독성저감방안 도출<br />

3.1.2.독성<strong>원인물질</strong> <strong>탐색</strong> TIEPhase I결과<br />

B-3업체의 최종방류수를 대상으로 TIEPhaseI독성<strong>원인물질</strong> 그룹<strong>탐색</strong>을<br />

시도하였으나 중금속,유기화합물,<strong>부</strong>유물,암모니아,휘발성물질,산화제 6개<br />

독성<strong>원인물질</strong> 그룹 모두 독성<strong>원인물질</strong>의 제거 후 독성 영향이 없어 독성원<br />

인물질 그룹의 규명이 되지 않았다.독성 시험이 된 시료에 대해 중금속 분<br />

석 결과에서도 중금속에 의한 물벼룩 독성 유발 잠재성은 없어 보였다.<br />

표 104.B-3업체 방류수 중금속 분석 결과(mg/L)<br />

시료 Cu Cr Cr 6+ Cd Mn Fe Pb Zn As Hg<br />

B-3 0.092 0.082 N․D N․D 0.087 0.954 0.739 0.070 N․D N․D<br />

B-3업체의 유입원수는 제조공정의 특성에 의해 2곳에서 유입이 되고,중<br />

화조에서 모여 폐수처리 단계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운<br />

영되고 있다.폐수처리시설 공정별 <strong>생태독성</strong> 강도를 파악하여 처리 약품이나<br />

처리공정에서 폐수속의 오염물질간 반응에 의해 독성 유발이 있는지 조사하<br />

였다.처리공정 중 분석된 공정은 원수,중화조,가압<strong>부</strong>상조,최종방류수로<br />

각 공정 단계에 대한 <strong>생태독성</strong>값과 최종방류수의 유기화합물 분석값은 다음<br />

표 105,106과 같다.<br />

표 105.B-3업체 폐수처리공정별 <strong>생태독성</strong> 결과<br />

구 분 원수 1 원수 2 중화조 가압<strong>부</strong>상조 최종방류수<br />

TU >16 3.5 >16 9.6 1.4<br />

표 106.B-3업체 개별오염물질 규제 대상의 유기화합물 분석<br />

시료 Phenol PCBs 유기인 DCM Benzene TCE PCE<br />

유입수 0.11 N․D N․D N․D N․D N․D N․D<br />

방류수 N․D N․D N․D N․D N․D N․D N․D<br />

- 121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