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6.2013 Views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2. <strong>산업폐수</strong> <strong>생태독성</strong> 평가 결과<br />

고에서 보관되고 있었다.제조 과정에서 독성물질 배출 요인은 무기안료 제<br />

조 시 중금속 함유 폐수가 발생하고 다종의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br />

에 중금속과 염류에 의한 독성유발 잠재성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별<br />

도의 <strong>환</strong><strong>경</strong>관리자가 현장에서 근무를 하고 있고 관리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br />

어 전반적으로 폐수처리시설의 청결상태는 비교적 청결한 상태였다.<br />

2단계 제조원료 <strong>및</strong> 첨가물 평가 :원료 물질 중 무기안료 제조 시 발생되는<br />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가 <strong>생태독성</strong>의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사용 원료물질 중<br />

가장 많은 양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은 Pb(NO3)와 Na2Cr2O7으로 각각<br />

500~2000Kg,100~300Kg정도로 사용되고 있다.이 물질은 구리와 크롬을 함<br />

유하고 있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위의 화합물에 의해 납,크롬 의 중금속에 의<br />

한 독성 유발의 가능성이 있다.또한 1회(TU 2.7)채수와 2회(TU 0),3회(TU<br />

1.4)채수시 <strong>생태독성</strong>치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였기 때문에 다종의 화학물질에<br />

의한 독성이 유발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br />

표 29.합성염료 유연제 <strong>및</strong> 기타 착색제 제조시설 원료물질 <strong>생태독성</strong>값<br />

원료물질<br />

측정<br />

목표치<br />

노출<br />

기간<br />

농도<br />

(ug/L)<br />

- 55 -<br />

참고문헌<br />

LeadNitrate LC50 48hr 150 11065LeBlanc,G.A.,1982<br />

Sodium<br />

dichromate<br />

LC50 48hr 1,854<br />

49794Guilhermino,L.,T.Diamantino,<br />

M.C.Silva,andA.M.V.M.Soares,<br />

2000<br />

3단계 폐수처리 과정 평가 :폐수처리 공정은 흡착,여과,응집․침전 <strong>및</strong> 생<br />

물학적 처리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다.폐수 처리는 각각의 안료 생산 라인에<br />

서 발생되는 폐수를 활성탄 흡착 <strong>및</strong> 여과시설을 거친 후 중화시설에서 합류<br />

하여 응집,<strong>부</strong>상 <strong>및</strong> 무산소,호기 등 2단 생물반응 처리를 하고 있다.전체적<br />

인 폐수처리 공정은 물리화학처리+생물학적 처리로 고도처리를 하고 있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