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6.2013 Views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산업폐수 생태독성 원인물질 탐색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I) 환 경 부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2. <strong>산업폐수</strong> <strong>생태독성</strong> 평가 결과<br />

중에는 작업공정에서 제거된 토사,먼지,유지류,약제,섬유폐품 등이 포함되<br />

어 있으며 수온도 비교적 높다.일반으로 염색가공에서는 섬유 1kg에 대해<br />

서 5~500L의 물을 사용하고 염색가공 후 폐수로 대<strong>부</strong>분 배출된다.염색폐수<br />

는 일반적으로 유해물질을 갖는 것은 드물지만 염료에 의해서 진하게 착색되<br />

어 있으며 또한 BOD,COD,SS의 높은 물질을 가지는 것이 많다.또한,임가<br />

공산업으로 피가공물인 섬유의 종류 <strong>및</strong> 소비자가 요구하는 가공형태에 따라<br />

사용약품과 가공공정이 달라 피염물의 종류,가공방법,염료의 종류,가공제조<br />

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의 폐수가 배출된다.또한 염색 가공 시 염료<br />

<strong>및</strong> 조제로 유기합성 화공약품이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으나,피가공물인 섬유<br />

에 전량 결합되지 않고 상당량이 물에 혼합,배출되므로 폐수처리에 어려움을<br />

야기 시키고 있으며,특히 잔존되는 색도로 인해 타인에게 혐오감을 유발시키<br />

고 있다.염색폐수는 계절적,시간적으로 용수 사용량 폭이 크고,사용되는 염<br />

료 역시 매우 다양하게 변화하여 폐수의 수질(COD,BOD,색도,온도,유량)<br />

변화 폭이 크다.염색 폐수의 일반적 폐수 특성은 표 35와 같다.<br />

표 35.염색공장의 폐수 <strong>및</strong> 정화목표의 예 (안<strong>경</strong>조,2000)<br />

폐수의 실상 정화목표의 예<br />

외관 색이 있으며,나쁜 냄새,불투명 불쾌하지 않을 정도까지<br />

pH<br />

산을 사용하는 공장,알칼리를 사용하는<br />

공장에 따라 다름<br />

- 62 -<br />

약산성~약알칼리<br />

BOD 호발,가공공장 등에는 500ppm정도에 달함 20ppm 이하로<br />

COD<br />

SS<br />

색도<br />

하이드로설파이트나 황화나트륨,발염제,<br />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공장<br />

50ppm 이하로<br />

섬유찌꺼기(폐섬유),전분질,단백질 중에<br />

고형물이나 유지류가 포함되어 발생<br />

70ppm 이하로<br />

흡수하지 않은 염료를 포함하는데 일반으로<br />

불쾌감을 주지 않을 정도로<br />

색이 진함<br />

발포성분 계면활성제를 많이 사용하는 공장에서 발생<br />

잔유염소 표백공정 폐수에 많음<br />

용존염류 염색공정 폐수에 많음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