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2016 Views

2016 HONGIK_single pages-web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강자영<br />

Kang Jayoung<br />

고수경<br />

Go Sookyung<br />

Contact: kjyy9807@naver.com<br />

Contact: ckj69002@naver.com<br />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상디자인학과 석사과정 / <strong>2016</strong>~<br />

동아대학교 조소학과 졸업 / <strong>2016</strong><br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 논문발표 / <strong>2016</strong><br />

패션 국제 FABI전 / <strong>2016</strong><br />

Course of MA. Graduate School. Fashion Design Major. Hongik Univ. / <strong>2016</strong>~<br />

B.A sculpture Dong-a university for fine arts / <strong>2016</strong><br />

Korea fashion and design society / <strong>2016</strong><br />

<strong>2016</strong> 16th international FABI exhibition / <strong>2016</strong><br />

< 예술의 극치 ><br />

우리 나라의 옛 건축물에는 여러가지 색깔의 그림 무늬가 그려져 있는데 이것을 ‘단청’이라고 부<br />

른다. 우리 조상들은 단청에서 기둥을 비롯한 아래부분을 붉은색을 많이 쓰고 두공과 대들보 등<br />

윗부분에는 푸른색을 많이 쓰는 ‘상록 하단’의 원칙을 지켜왔다. 이때부터 ‘단청’이라는 말이 이<br />

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 단청에 나타나는 연꽃 문양을 통해서 한국의 미적 아름다움을 보여<br />

주고, 미의 극치를 작품에 담아 제작하였다.<br />

< the highest reach of art ><br />

Dancheong refers to decorative designs that can be found on the surfaces of old Korean buildings.<br />

Some hypothesize that ‘dancheong’ originated from the principle named 常 綠 下 段 , using color red<br />

for the bottom parts and color blue for the upper parts of building, which has been practiced for a<br />

long time by Korean people. This work attempts to capture the Korean aesthetic beauty through the<br />

lotus print that often appears in dancheong designs.<br />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패션디자인전공 석사과정 / <strong>2016</strong>~<br />

문화여자대학교 복장조형학과 졸업 / 2004<br />

경기예술직업전문학교 전임교수 / <strong>2016</strong><br />

르돔 신진디자이너 / 2015<br />

Course of MA. Graduate School. Fashion Design Major. Hongik Univ. / <strong>2016</strong>~<br />

BA. Bunnka Women’s university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 2004<br />

kyong-gi fashion design college Full time lecturer / <strong>2016</strong><br />

Le-dome designer / 2015<br />

< 프레임을 리프레임하다. ><br />

프레임은 세상을 바라보는 틀(관점, 가치관)이다. 옷에 대한 프레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뀌<br />

었고, 인간과 옷과 사회의 교감의 의미로 패션을 바라보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을 반<br />

영한 옷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래서 이제 나에게 옷은 그동안 나의 착각과 오류, 오만과 편견,<br />

실수와 오해가 프레임에 의해 생겨남을 증명하고, 그것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br />

< Reframe the frame ><br />

The frame is a perspective and points of view the way we look at the world. The frame on clothing<br />

has changed over time. Considering the fashion as an interaction among human, clothing and society,<br />

we start to make clothing which reflect the window of mind gazing at the world. For that reason,<br />

I would like to prove that my mistake and error, arrogance and prejudice,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br />

about the clothing result from the frame and present the way to escape from there.<br />

< 예술의 극치 I the highest reach of art ><br />

< 프레임을 리프레임하다. I Reframe the frame ><br />

235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