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3.2018 Views

주간연예 vol.1125_032218

주간연예 vol.1125_032218

주간연예 vol.1125_032218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96 건강 e-mail: enews4989@gmail.com<br />

232회<br />

덥지도 않은데 흐르는 땀은<br />

어떻게 고치나?<br />

덥지도 않은데 흐르는 땀은 분명한 몸<br />

의 이상신호<br />

살다 보면 ‘더위를 느끼면 땀을 흘린다’<br />

라는 이 너무나도 당연한 명제가 적용되<br />

지 않을 때가 있다. 밥을 먹으면서 이마에<br />

땀을 흘리거나, 긴장을 하면 손 발이 축축<br />

해지기도 하고, 심지어는 추위를 느낄 때<br />

식은땀을 흘리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게<br />

덥지 않은데도 흘리는 땀이 이상하고 불<br />

편하긴 하지만,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생<br />

명의 위협을 느낄 만큼 건강이 악화되지<br />

는 않는다. 그래서 대부분 이러한 상태를<br />

가볍게 여기면서 가급적이면 신경을 쓰지<br />

않고 살아가려 한다. 하지만 정확하게 집<br />

어낼 수는 없어도 스스로도 몸의 어딘가<br />

에 이상이 생겼음을 분명하게 의식하기에<br />

우리는 ‘덥지도 않은데 흐르는 땀’을 자연<br />

스럽지 않다라고 인식하는 것이다.<br />

땀이란 본래가 발한 기능, 즉 체내의 열<br />

을 외부로 발산하여 몸의 온도를 일정하<br />

게 유지시키기 위한 자동 메커니즘 이다.<br />

그러므로 외부의 온도가 올라가서 더위<br />

를 느끼거나, 정신적인 긴장 작용(스트레<br />

스)으로 인해 체온이 올라가면(쉬게 말해<br />

열을 받아도) 우리의 몸은 땀을 흘려 체<br />

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런데 이러한<br />

적합한 자극이 배제된 상황에서도 자꾸<br />

이상하게도 땀이 난다면 우리는 이런 신<br />

호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처음에는<br />

일견 별 것 아닌 것 같아 보이는 이러한 이<br />

상 신호들이, 시간이 지나면 점점 커다란<br />

건강 문제로 자라나기 때문이다.<br />

잘 때 흘리는 땀, 식사를 하다가도 흘<br />

리는 땀이 바로 이상한 땀, 즉 식은 땀<br />

이다.<br />

만약 본인이 특별히 더운 날이 아닌데<br />

도 자고 나면 땀으로 이불이 흥건하게 젖<br />

어 있거나, 식사를 할 때마다 흐르는 땀<br />

으로 인해 화장지로 연신 얼굴을 닦는다<br />

면, 혹은 남들은 다 괜찮은데 혼자서만 더<br />

운 느낌에 계속해서 손수건을 사용해야<br />

한다면 바로 자신이 이 ‘이상한 땀’을 흘<br />

리고 있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실제로 열<br />

이 나지 않아도 흐르는 땀을 우리는 흔한<br />

말로 ‘식은 땀’이라 부르는데, 이는 문자 그<br />

대로 ‘식어 있는 상태로 흐르는 땀’, 즉 정<br />

상적인 원인이 아닌 연유로 흐르는 땀이<br />

란 뜻이다.<br />

식은 땀의 원인과 치료법<br />

이 식은땀이 수면과는 상관없이 흐른다<br />

면 기나 양기가 허해서 생기는 증상이다.<br />

특히 수면 중에는 증상이 악화되다가도<br />

잠을 깨면 땀이 멈출 경우는 혈이나 음기<br />

가 허한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기’가 우리<br />

몸의 땀구멍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기에<br />

지나친 과로, 잘못된 식이습관, 수면부족<br />

같은 생활습관의 이상으로 인해 이 ‘기’가<br />

쇠약해지면서 땀구멍의 배수 기능에 이상<br />

이 생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필요보다 지<br />

나치게 땀을 흘리거나 필요한 상황에서도<br />

땀이 흐르지 않는 현상이 생긴다고 본다.<br />

만약, 늘 땀을 많이 흘리거나 적게 흘리<br />

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낯선 상황<br />

에서 긴장을 할 때만 식은땀을 흘린다면<br />

이것은 심장과 담이 약해져 생기는 증상<br />

이다. 주로 장기간의 스트레스에 억눌려<br />

공포감이나 불안감에 시달리게 되면 담과<br />

심장에 부담을 주어 이러한 증상이 나타<br />

난다고 본다.<br />

밥을 먹을때만 유독 식은땀이 나는 것은<br />

위장이 허약해져 나타나기도 하지만, 본<br />

디 체질적으로 열이 많은 사람에게도 종<br />

종 나타나는 증상이다. 소화 기능에는 아<br />

무 문제가 없어도 체질적으로 열이 많아<br />

땀을 흘리는 경우라면 굳이 의학적인 치<br />

료를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개인이 불편<br />

을 호소한다면 탕약을 통해 증상을 완화<br />

시킬 수는 있다.<br />

산모나 갓 출산을 한 여성이 식은땀을<br />

흘리는 경우는 분만시 형성된 어혈이 모<br />

두 제거되지 못해 생기는 증상으로 어혈<br />

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소진된 피를 보해<br />

주는 치료를 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br />

다.<br />

또 혈이나 음기가 부족해 생기는 식은땀<br />

을 수면중에 많이 흘리는 증상은 주로 신<br />

장의 기운과 연결지어 생각하는데, 신경<br />

쇠약이나 과한 두려움, 신장의 혈액부족,<br />

과도한 자위행위, 폐결핵 같은 병적 원인<br />

들이 신장의 기운을 약화시키는 원인이<br />

될 수 있다.<br />

물론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날 때는 한의<br />

원을 찾아 전문가의 치료를 받는 것이 최<br />

우선이지만, 그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br />

에는 일상적인 음식들을 통해서도 좋은<br />

효과를 볼 수 있다. 낮에 가만히 있어도<br />

땀이 줄줄 흐를때는 인삼이나 장어같이<br />

양기를 북돋아 주는 음식이 좋고, 밤에 식<br />

은땀이 많이 난다면 소꼬리 곰탕이나 당<br />

귀차가, 머리에만 땀이 많이 난다면 냉 칡<br />

차를, 사타구니에 땀이 많이 차는 분들은<br />

검은콩이나 검은깨를, 누런땀이 나온다<br />

면 구기자차가 도움이 될 수 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